KR20100095963A - Apparatus binding stowage for truck - Google Patents
Apparatus binding stowage for truc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95963A KR20100095963A KR1020090015034A KR20090015034A KR20100095963A KR 20100095963 A KR20100095963 A KR 20100095963A KR 1020090015034 A KR1020090015034 A KR 1020090015034A KR 20090015034 A KR20090015034 A KR 20090015034A KR 20100095963 A KR20100095963 A KR 2010009596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winding rod
- rod
- cargo
- gea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5—Securing or supporting by load brac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 B62D33/027—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 B62D33/037—Latching means there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적재차량용 화물결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화물적재차량 일측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이상의 설치공이 형성된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양측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형성되는 한쌍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한쌍의 지지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거치홈이 형성되며, 일단에 일방향으로 경사진 기어가 형성되는 권취봉과, 상기 한쌍의 지지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지지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권취봉이 상기 기어의 경사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기어에 맞물리면서 상기 권취봉의 회전을 단속하는 폴부와, 일단부가 상기 권취봉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와, 하단부가 상기 권취봉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상부가 일방으로 절곡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의 타단부가 지지되는 지지체 및 상기 고정부와 상기 지지체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고정부의 타단부가 상기 지지체방향으로 탄성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적재차량용 화물결박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go binding device for a cargo loading vehicle, a fixed fram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rgo loading vehicle, at least one installation hole is formed, a pair of support frames extending forward from both ends of the fixed frame, and the It is rotatably coupled to a pair of support frames, the mounting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the winding rod is formed in one direction inclined in one direction, and is rotatably installed on any one of the support frame of the pair of support frames, When the winding rod rotates in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gear, the pawl portion engaged with the gear and intermittently rotates the winding rod, a fixed portion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winding rod, and one end of the winding rod. Is coupled to the portion, the upper portion is bent in one direction, the support that the other end of the fixed portion is supported A torsion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sieve and the fixing part and the support,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fixing part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fixing part is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support direction. Provide cargo strapping device for cargo loading vehicl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권취봉의 일단부에 지지체를 설치하고, 권취봉의 일단부에 지지체를 설치하고, 타단부에 고정부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며, 권취봉과 고정부 사이에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탄성부재가 고정부의 타단부에 지지체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권취봉에 로프를 용이하게 거치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고정부에 상하좌우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고정부가 지지체로부 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로프가 권취봉으로터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support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winding rod, a support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winding rod, and a fixing part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other end, and an elastic member is interposed between the winding rod and the fixed portion. The elastic member provides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to the other end of the fixing part so that the rope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winding rod and the fixing part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even when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the fixing par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to prevent the rope is separated from the winding rod.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물적재차량용 화물결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권취봉의 일단부에 지지체를 설치하고, 타단부에 고정부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며, 권취봉과 고정부 사이에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탄성부재가 고정부의 타단부에 지지체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권취봉에 로프를 용이하게 거치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고정부에 상하좌우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고정부가 지지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로프가 권취봉으로터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화물적재차량용 화물결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go binding device for a cargo loading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a support is provided at one end of a winding rod, and a fixing part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other end, and an elastic member is interposed between the winding rod and the fixed portion. The elastic member provides elasticity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to the other end of the fixing part, so that the rope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winding rod, and the fixing part is not separated from the support even when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the fixing par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go strap device for cargo loading vehicles that can prevent the rope from deviating from the winding rod.
일반적으로 화물결박장치는 화물적재차량 내에 설치되어 운행 중 차량내에 적재된 적재물이 떨어지지 않도록 로프를 이용하여 화물을 결박하는 것으로서, 종래의 화물결박장치는 고정프레임과, 고정프레임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한쌍의 지지프레임 및 지지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봉으로 구성된다.In general, the cargo binding device is to be installed in the cargo loading vehicle to bind the cargo using a rope so that the load loaded in the vehicle does not fall during operation, the conventional cargo binding device is a fixed frame, a pair coupled to both ends of the fixed frame It consists of a support frame and a rotating rod rotatably supported on the support frame.
여기서 회전봉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화물을 결박하는 로프가 일정부분 관 통홀을 관통하여 관통된 로프부분을 매듭지어 로프가 관통홀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한다.Here, the rotating rod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and the rope that binds the cargo passes through a portion of the through hole to tie a portion of the rope through which the rope does not fall out of the through hole.
이러한 종래의 화물결박장치는 종전 차량에 형성된 걸림봉을 이용하여 화물을 결박하는 방법에 비해 화물을 결박하는 시간이 단축된 효과가 있으나, 관통홀에 로프가 관통설치되어 결박됨에 따라 장시간 사용시 로프 및 관통홀 부분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Such a conventional cargo strapping device has a shorter effect of binding the cargo than a method of strapping the cargo using a locking rod formed in a conventional vehicle, but the rope and the rope when used for a long time as the rope is penetrated through the through ho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hrough-hole portion is damaged.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이 제안한 실용신안등록 제0419201호 "자동차용 화물결박장치"가 도1에 도시되어 있다.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419201 proposed by the present applicant to solve such a problem "car cargo strap device for automobile" is shown in FIG.
도1은 실용신안등록 제0419201호 "자동차용 화물결박장치"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419201 "car cargo strap device for automobiles".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용신안등록 제0419201호 "자동차용 화물결박장치"(100)는 자동차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110)과, 고정프레임(110)의 양측 단부에 평행하게 부착되는 한쌍의 지지프레임(120)과, 지지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부에 기어(141)가 형성된 회전봉(140)과, 회전봉(140) 일측에 설치되고 상부가 일방으로 절곡된 봉체(130)와, 회전봉(140)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후크(150) 및 후크(150)와 회전봉(140) 사이에 개재되어 후크(150) 상방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고 탄성력에 의해 후크(150)가 봉체(130)에 걸림결합되도록 하는 탄성부재(160) 및 한쌍의 지지프레임(120) 중 어느 하나의 지지프레임(120)에 결합되어 기어(141)와 맞물리면서 회전봉(140)의 회전방향을 단속하는 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419201 “Car Freight Bonding Device” 100 is a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자동차용 화물결박장치(100)는 고정프레임(110)을 자동차 일측에 설치한 상태에서 적재물을 결박하기 위해 로프를 회전봉(140)에 결속하게 된다.Conventional vehicle
이때, 로프의 단부에 매듭을 만들고, 작업자가 후크(150)를 손으로 눌러 봉체(130)에서 후크(150)를 이탈시킨 후 회전봉(140)에 로프를 얹혀 놓은 상태에서 다시 후크(150)를 손으로 눌러 봉체(130)에 결합함으로써 로프의 매듭이 봉체(130)와 회전봉(140)사이에 거치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일단부가 봉체(130)와 회전봉(140)사이에 거치된 로프를 이용하여 적재물을 결박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end of the rope to make a knot, the operator presses the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용 화물결박장치(100)는 회전봉(140)에 로프를 용이하게 거치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로프를 쉽고 빠르게 권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나, 로프의 매듭을 지지하는 후크(150)가 탄성부재(160)로부터 상방으로 탄성력을 제공받아 봉체(130)에 지지되는 바 후크(150)의 좌우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후크(150)가 봉체(130)로부터 이탈됨으로써 로프 또한 회전봉(140)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Such a conventional vehicle
이는 곧 적재물을 결박하는 로프의 결박력이 현저하게 저하되면서 운행 중 차량으로부터 적재물이 낙하하여 큰 사고를 초래하는 원인이 되었다.This caused the load to drop from the vehicle while driving, resulting in a major accident.
아울러 종래의 자동차용 화물결박장치(100)는 후크(150)가 봉체(150)로부터 이탈되어 보관되는 경우 후크(150)가 좌우로 자유회동되면서 외부물체에 부딪히거나 다수의 작업자가 이동하면서 후크(150)를 밟아 후크(150)의 형상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vehicl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권취봉의 일단부에 지지체를 설치하고, 타단부에 고정부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며, 권취봉과 고정부 사이에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탄성부재가 고정부의 타단부에 지지체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권취봉에 로프를 용이하게 거치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고정부에 상하좌우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고정부가 지지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로프가 권취봉으로터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화물적재차량용 화물결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support on one end of the winding rod, rotatably installed on the other end, the elastic member between the winding rod and the fixing portion The elastic member provides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to the other end of the fixing part to easily mount the rope to the winding rod, and the fixing part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even whe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ixing part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rgo strapping device for a cargo loading vehicle that can prevent the rope from deviating from the winding rod.
그리고, 본 발명은 고정부가 지지체에 지지되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고정부가 자유회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고정부의 자유회동에 따른 외부물체와의 충돌이나 외력에 의해 변형 및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화물적재차량용 화물결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and damaged by an external force or a collision with an external object caused by the free rotation of the fixed portion by preventing the fixed portion free rotation by maintaining the state that the fixed portion is supported on the support. To provide a cargo strapping device for a cargo loading vehicle.
또한, 권취봉이 일단부 내측에 안내홈이 형성되고 외측면에 다수의 가이드공이 형성된 외봉과, 안내홈과 대응되는 영역에 스토퍼가 형성된 내통 및 내통에 힌지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며, 내통이 외통내에서 회동하는 경우 고정핀이 가이드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돌출된 고정핀이 외통에 권취되는 로프의 일측에 지지되어 로프의 고정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화물결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the winding rod is configured to include an outer rod formed with a guide groove in one end portion and a plurality of guide holes on the outer side, and an inner cylinder formed with a stopper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groove and a fixing pin hingeably coupled to the inner cylinder. When the inner cylinder rotates in the outer cylinder, the fixing pin is protrud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guide hole so that the projecting fixing pin is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rope wound on the outer cylinder to provide a cargo binding device that can further improve the fixing force of the rope. Is i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화물적재차량 일측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이상의 설치공이 형성된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양측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형성되는 한쌍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한쌍의 지지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거치홈이 형성되며, 일단에 일방향으로 경사진 기어가 형성되는 권취봉과, 상기 한쌍의 지지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지지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권취봉이 상기 기어의 경사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기어에 맞물리면서 상기 권취봉의 회전을 단속하는 폴부와, 일단부가 상기 권취봉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와, 하단부가 상기 권취봉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상부가 일방으로 절곡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의 타단부가 지지되는 지지체 및 상기 고정부와 상기 지지체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고정부의 타단부가 상기 지지체방향으로 탄성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적재차량용 화물결박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fixed frame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rgo loading vehicle, at least one mounting hole is formed, and a pair of support frames extending forward from both ends of the fixed frame And a winding rod rotatably coupled to the pair of support frames, a mounting groove formed on one side, and a gear inclined in one direction at one end thereof, and rotatably connected to any one of the pair of support frames. Is installed, when the winding rod is rotated in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gear pole part for intermittent rotation of the winding rod while engaging with the gear, a fixed portion that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winding rod, the lower end is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winding rod, the upper portion is bent in one direction, the other end of the fixed portion is supported A torsion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and the fixing part and the support,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fixing part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fixing part is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support direction. Provide cargo strapping device for cargo loading vehicle.
그리고, 상기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은 코일부와, 상기 코일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코일부의 타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봉은 상기 제1 지지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제1 탄지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부가 상기 제1 탄지홈에 삽입지지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 지지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제2 탄지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2 지지부가 상기 제2 탄지홈에 삽입지지될 수 있다.The torsion spring may include a coil part, a first support part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coil part, and a second support part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coil part. The first support groove is form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pport part so that the first support part is inserted into the first support groove, and the fixing part is formed i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upport part. The second support part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finger trough groove.
또한, 상기 폴부는 상기 한쌍의 지지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지지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권취봉이 상기 기어의 경사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기어에 맞물리면서 상기 권취봉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1 걸림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권취봉이 상기 기어의 경사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몸체를 상기 기어의 경사진 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 상기 기어에 맞물리면서 상기 권취봉의 역회전을 제어하는 제2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awl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any one of the support frame of the pair of support frames, protrud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when the winding rod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inclined gear of the gear The first engaging portion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winding rod and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the winding rod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gear and the body is rotated in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gear It is preferred to include a second engaging portion for engaging the gear to control the reverse rotation of the winding rod.
아울러, 상기 권취봉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이상의 가이드공이 형성되며, 일단부의 내측면에 안내홈이 형성된 외봉과, 상기 외봉 내측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내봉과, 상기 안내홈과 대응되는 상기 내봉의 일단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외봉의 안내홈에 지지되며, 상기 내봉이 회동하는 경우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는 스토퍼 및 상기 외봉의 가이드홈에 위치하도록 상기 내봉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내봉이 회동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외부로 돌출되는 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ake-up rod is formed in the receiving space therein, at least one guide hole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an outer rod formed with a guide groove on the inner side of one end, and an inner rod rotatably coupled inside the outer rod; Is formed on one end of the inner rod corresponding to the guide groove is supported by the guide groove of the outer rod, when the inner rod is rotated so as to be located in the stopper and the guide groove of the outer rod to move along the guide groove It 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rod, and may include a fixing pin protruding outward along the guide hole when the inner rod is rotat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권취봉의 일단부에 지지체를 설치하고, 권취봉의 일단부에 지지체를 설치하고, 타단부에 고정부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며, 권취봉과 고정부 사이에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탄성부재가 고정부의 타단부에 지지체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권취봉에 로프를 용이하게 거치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고정부에 상하좌우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고정부가 지지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로프가 권취봉으로터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support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winding rod, a support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winding rod, and a fixing part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other end, and an elastic member is interposed between the winding rod and the fixed portion. By providing the elastic member to the other end of the fixing part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the elastic member can easily mount the rope to the take-up rod and prevent the fixing par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upport even when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the fixing part.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ope from detaching from the winding rod in advance.
그리고, 본 발명은 고정부가 지지체에 지지되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고정부가 자유회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고정부의 자유회동에 따른 외부물체와의 충돌이나 외력에 의해 변형 및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and damaged by an external force or a collision with an external object caused by the free rotation of the fixed portion by preventing the fixed portion free rotation by maintaining the state that the fixed portion is supported on the support. It has an effect.
또한, 권취봉이 일단부 내측에 안내홈이 형성되고 외측면에 다수의 가이드공이 형성된 외봉과, 안내홈과 대응되는 영역에 스토퍼가 형성된 내통 및 내통에 힌지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며, 내통이 외통내에서 회동하는 경우 고정핀이 가이드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돌출된 고정핀이 외통에 권취되는 로프의 일측에 지지되어 로프의 고정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winding rod is configured to include an outer rod formed with a guide groove in one end portion and a plurality of guide holes on the outer side, and an inner cylinder formed with a stopper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groove and a fixing pin hingeably coupled to the inner cylinder. When the inner cylinder is rotated in the outer cylinder, the fixing pin is protrud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guide hole so that the protruding fixing pin is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rope wound on the outer cylinder, thereby improving the fixing force of the rope.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적재차량용 화물결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적재차량용 화물결박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rgo strapping device for a cargo loading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argo strapping device for a cargo loading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 및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적재차량용 화물결박장치(1)는 고정프레임(10)과, 한쌍의 지지프레임(20)과, 권취봉(30)과, 폴부(40)와, 고정부(50)와, 지지체(60)와, 토션스프링(70)(Torsion spring)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2 and Figure 3, the
고정프레임(10)은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공(11)이 형성되어 본 발명의 화물적재차량용 화물결박장치(1)가 볼트 및 너트부재와 같은 고정부재에 의해 화물적재차량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한쌍의 지지프레임(20)은 고정프레임(10)의 양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일측면에 후술하는 권취봉(30)이 삽입되는 삽입공(21)이 형성되며, 각 지지프레임(20)사이에는 로프가 권취되도록 권취공간(22)이 형성되어 있다.The pair of
이러한 한쌍의 지지프레임(20)은 고정프레임(10)의 양단부로부터 프레스가공됨이 바람직하며, 삽입공(21)에 삽입되는 권취봉(3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pair of
권취봉(30)은 상기한 삽입공(21)에 회전가능하게 삽입결합되고, 일단부에 기어(31)가 형성되며, 화물적재차량에 적재된 적재물을 고정하는 로프를 권취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기어(31)는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후술하는 제1 걸림부(42) 또는 제2 걸림부(42)에 의해 권취봉(30)이 일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Here, the
아울러, 권취봉(30)은 일단부에 후술하는 고정부(50)의 축(51)이 결합되는 결합공(32)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로프가 거치되는 거치홈(33)이 형성되며, 후술하는 토션스프링(70)의 제1 지지홈(52b)과 대응되는 영역에는 제1 탄지홈(34)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권취봉(30)의 일단부에 기어(31)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권취봉(30)과 기어(31)를 별도로 제조한 후 권취봉(30)에 기어(31)를 고정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at the
폴부(40)는 권취봉(30)에 형성된 기어(31)와 대응되는 지지프레임(20)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부(41)와, 몸체부(41)의 일측에 돌출형성된 제1 걸림부(42) 및 몸체부(41)의 타측에 돌출형성된 제2 걸림부(4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권취봉(30)이 회전하는 경우 기어(31)에 맞물리면서 권취봉(30)의 회전을 단속하는 역할을 하는데, 폴부(40)의 구체적인 구성설명은 도3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The
고정부(50)는 권취봉(30)의 결합공(32)에 일단부가 삽입고정되는 축(51)과, 일단부가 축(51)의 타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편(5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거치홈(33)에 거치된 로프가 이탈되지 않도록 로프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여기서 고정편(52)은 후술하는 토션스프링(70)의 제2 지지부(73)와 대응되는 영역에 제2 탄지홈(52a)이 형성되고, 타단부에 후술하는 지지체(60)의 일측에 지지되는 지지홈(52b)이 형성된다.Here, the
이와 같은 고정편(52)은 거치홈(33)에 로프가 거치될 수 있도록 거치홈(33) 방향으로 진입하는 로프의 진입로를 제공함과 아울러 로프가 거치홈(33)에 거치된 경우에는 지지체(60)에 지지되어 로프의 일측을 지지함으로써 거치홈(33)에 거치된 로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지지체(60)는 봉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부가 권취봉(30)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상부가 일방으로 절곡형성되어 고정편(52)이 회동하는 경우 고정편(52)의 지지홈(52b)이 일측에 지지되도록 하여 고정편(52)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고정편(52)이 로프를 지지하도록 한다.The
토션스프링(70)(Torsion spring)은 코일부(71)와, 코일부(71)의 일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제1 지지부(72) 및 코일부(71)의 타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제2 지지부(7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고정편(52)의 타단부가 지지체(60)에 지지될 수 있도록 고정편(52)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The torsion spring 70 has a coil portion 71, a first support portion 72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coil portion 71,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from the other end of the coil portion 71.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upport 73, and serves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코일부(71)는 금속사가 수회 권취된 것으로 제1 지지부(72) 및 제2 지지부(73)에 좌우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The coil part 71 may be wound several times to provide elastic force to the first support part 72 and the second support part 73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제1 지지부(72)는 제1 탄지홈(34)에 삽입지지되어 코일부(71)로부터 제공되는 탄성력이 제2 지지부(73)로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support part 72 is inserted into and supported in the
제2 지지부(73)는 제2 탄지홈(52a)에 삽입지지되어 코일부(71)로부터 제공되는 탄성력을 고정편(52)에 인가하여 고정편(52)의 타단부가 지지체(60)에 탄성지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second support part 73 is inserted into and supported in the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부의 동작을 도시한 측면도이다.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ole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폴부(40)는 몸체부(41)와, 제1 걸림부(42) 및 제2 걸 림부(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여기서 몸체부(41)는 지지프레임(20) 중 기어(31)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권취봉(30)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1 걸림부(42) 또는 제2 걸림부(42)가 기어(31)에 맞물릴 수 있도록 제1 걸림부(42) 및 제2 걸림부(42)의 위치를 변위시키는 역할을 한다.Here, the
제1 걸림부(42)는 몸체부(41)의 일측에 기어(31)이와 맞물리는 형상으로 돌출형성되어 도4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부(40)는 권취봉(30)이 전방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걸림부(42)가 기어(31)에 맞물림되면서 권취봉(30)의 회전을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The
제2 걸림부(42)는 몸체부(41)의 타측에 기어(31)이와 맞물리는 형상으로 돌출형성되어 작업자가 권취봉(30)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권취봉(30)의 회전을 단속하고자 하는 경우 도4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부(41)를 회동하여 제2 걸림부(42)가 기어(31)에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권취봉(30)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권취봉(30)의 회전을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The
도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적재차량용 화물결박장치를 사용하기 전인 초기상태를 도시한 평면도고, 도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적재차량용 화물결박장치의 고정편이 회동된 평면도이며, 도5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적재차량용 화물결박장치의 거치홈에 로프가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Figure 5a is a plan view showing an initial state before using a cargo strapping device for cargo loading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b is a fixed piece of the cargo strapping device for cargo loading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Figure 5c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pe is mounted on the mounting groove of the cargo binding device for cargo loading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적재차량용 화물결박장치(1)의 동작설명을 첨부된 도5a 내지 도5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s 5a to 5c attached to the operation description of the
도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적재차량용 화물결박장치(1)는 고정편(52)이 상기한 토션스프링(70)(Torsion spring)에 의해 지지체(60)에 지지되는 초기상태를 갖는다.As shown in FIG. 5A, the
이후 작업자가 거치홈(33)에 로프를 거치시키기 위해 도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편(52)에 외력을 가하여 고정편(52)을 회동시킨 후 거치홈(33)에 로프(L)를 거치시키고, 거치된 로프(L)의 일단부를 매듭진 상태에서 고정편(52)에 가해진 외력을 해제하여 고정편(52)이 지지체(60)에 지지되도록 한다.After the worker to rotate the fixing
이에 도5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로프(L)의 매듭이 고정편(52)과 권취봉(30)에 거치됨으로써 로프(L)가 권취봉(3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As shown in FIG. 5C, the knot of the rope L is mounted on the fixing
다음, 작업자는 권취봉(30)에 지지된 로프(L)를 이용하여 적재물을 결박한 후 권취봉(30)을 회전시키면 적재물을 결박한 로프(L)가 팽팽해지면서 적재물을 차량에 고정시키게 된다.Next, the worker binds the load by using the rope (L) supported on the take-up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적재차량용 화물결박장치의 권취봉의 단면도이다.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nding rod of the cargo binding device for cargo load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의 실시예는 기본적인 구성은 도1 및 도5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권취봉(30')이 이중봉으로 구성된 것이다.6 is basically the same as the embodiment of FIGS. 1 and 5, but the winding rod 30 'is composed of a double rod.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권취봉(30')은 외봉(31')과, 내봉(32') 및 고정핀(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5, the winding
외봉(31')은 내부에 수용공간(31'a)이 형성되고 일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가이드공(31'b)이 형성된다.The outer rod 3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an accommodating space 31'a is formed and one end is opened, and a plurality of guide holes 31'b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여기서 외봉(31')의 타단 내면에는 후술하는 스토퍼(32'b)와 대응되는 위치에 안내홈(31'c)이 형성되어 내봉(32')의 회동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함과 아울러 스토퍼(32'b)가 안내홈(31'c)의 걸리는 경우 회전하여 로프를 권취하는 역할을 한다.Here, the other end inner surface of the outer rod 31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31'c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topper 32'b,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serves to guid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inner rod 32' and stopper. When the 32'b is caught by the guide groove 31'c, it rotates and serves to wind the rope.
또한, 외봉(31')의 타단에는 후술하는 내봉(32')의 일단부가 통과하는 통과공(31'd)이 형성되어 있다.At the other end of the outer rod 31 ', a through
내봉(32')은 외봉(31')의 내부에서 일단부가 외봉(31')의 통과공(31'd)을 통과하여 너트부재와 너트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일방향으로 경사진 기어(32'a)가 형성되어 있다.The inner rod 32 'is coupled to the nut member with one end passing through the through
그리고, 내봉(32')은 상기한 외봉(31')의 안내홈(31'c)과 대응하는 일단부 일측에 스토퍼(32'b)가 돌출형성되어 내봉(32')이 외봉(31')내에서 회전하는 경우 스토퍼(32'b)가 안내홈(31'c)을 따라 이동한다.In addition, the inner rod 32 'is formed with a stopper 32'b protruding from one en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groove 31'c of the outer rod 31', so that the inner rod 32 'is outer rod 31'. The stopper 32'b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31'c when it rotates in the inner circle.
고정핀(33')은 내봉(32') 중 외봉(31')의 가이드공(31'b)과 대응되는 하부 일측에 힌지결합되며, 내봉(32')이 외봉(31')내에서 회동하는 경우 가이드공(31'b)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로프의 일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fixing pin 33 'is hinged to a lower side of the inner rod 32' corresponding to the guide hole 31'b of the outer rod 31 ', and the inner rod 32' is rotated in the outer rod 31 '. When it protrud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guide hole (31 'b) serves to support one side of the rope.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적재차량용 화물결박장치의 권취봉 의 단면도이다.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nding rod of the cargo binding device for cargo load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적재차량용 화물결박장치(1)의 동작을 첨부된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 7 attached to the operation of the cargo binding device for a cargo loading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s follows.
도7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봉(32')이 외봉(31')내에서 회동을 시작하면, 도7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토퍼(32'b)가 안내홈(31'c)을 따라 이동하고, 내봉(32')의 일측에 힌지결합된 고정핀(33')이 외봉(31')의 가이드봉을 따라 외부로 돌출된다.As shown in Fig. 7A, when the inner rod 32 'starts to rotate in the outer rod 31', as shown in Fig. 7B, the stopper 32'b is guide groove 31 '. Moving along c), a fixing pin 33 'hinged to one side of the inner rod 32' protrudes out along the guide rod of the outer rod 31 '.
이후, 스토퍼(32'b)가 안내홈(31'c)의 끝단에 걸리게 되면 내봉(32')의 회전력이 외봉(31')에 전달되면서 외봉(31')이 회전하게 된다.Then, when the stopper 32'b is caught by the end of the guide groove 31'c, the outer rod 31 'is rotated whil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inner rod 32' is transmitted to the outer rod 31 '.
이에, 도면에 도시되어 있진 않지만 외봉(31')에 권취되는 로프의 일측을 고정핀(33')이 지지하여 로프의 고정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Thus,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fixing pin 33 'supports one side of the rope wound on the outer rod 31' so that the fixing force of the rope can be further improved.
그 외의 구조는 전술한 기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rest of the structure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basic embodiment, the rest of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일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appended claims are intended to cover such modifications or changes a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도1은 실용신안등록 제0419201호 "자동차용 화물결박장치"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419201 "Cargo binding device for automobiles",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적재차량용 화물결박장치의 사시도,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rgo strapping device for a cargo loading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적재차량용 화물결박장치의 분해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argo binding device for cargo loa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부의 동작을 도시한 측면도,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ole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적재차량용 화물결박장치를 사용하기 전인 초기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Figure 5a is a plan view showing an initial state before using the cargo binding device for cargo loading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적재차량용 화물결박장치의 고정편이 회동된 평면도, Figure 5b is a plan view of the fixed piece of the cargo binding device for cargo loa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적재차량용 화물결박장치의 거치홈에 로프가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Figure 5c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pe is mounted on the mounting groove of the cargo strapping device for cargo loading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적재차량용 화물결박장치의 권취봉의 단면도,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nding rod of the cargo binding device for cargo load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적재차량용 화물결박장치의 권취봉의 단면도.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nding rod of the cargo binding device for cargo load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주요도면부호에 관한 설명> <Description of main drawing code>
1 : 화물적재차량용 화물결박장치 10 : 고정프레임1: Cargo strap device for cargo loading vehicle 10: Fixed frame
20 : 지지프레임 30 : 권취봉20: support frame 30: winding rod
40 : 폴부 50 : 고정부40: pole portion 50: fixed portion
60 : 지지체 70 : 토션스프링60: support 70: torsion spring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15034A KR20100095963A (en) | 2009-02-23 | 2009-02-23 | Apparatus binding stowage for truc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15034A KR20100095963A (en) | 2009-02-23 | 2009-02-23 | Apparatus binding stowage for truck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95963A true KR20100095963A (en) | 2010-09-01 |
Family
ID=43003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15034A Ceased KR20100095963A (en) | 2009-02-23 | 2009-02-23 | Apparatus binding stowage for truc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95963A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7556Y1 (en) * | 2011-07-22 | 2013-06-19 | 신윤동 | Apparatus binding stowage for truck |
KR101322565B1 (en) * | 2011-12-07 | 2013-10-28 | 송창호 | Belt fixing apparatus |
KR20150053352A (en) * | 2013-11-08 | 2015-05-18 | 박근식 | Ratchet for fixing rope |
WO2016186223A1 (en) * | 2015-05-17 | 2016-11-24 | 박근식 | Rope fixing ratchet |
CN117841815A (en) * | 2024-03-05 | 2024-04-09 | 淄博市热力集团有限责任公司 | Photovoltaic module handling device convenient to field construction installation |
-
2009
- 2009-02-23 KR KR1020090015034A patent/KR20100095963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7556Y1 (en) * | 2011-07-22 | 2013-06-19 | 신윤동 | Apparatus binding stowage for truck |
KR101322565B1 (en) * | 2011-12-07 | 2013-10-28 | 송창호 | Belt fixing apparatus |
KR20150053352A (en) * | 2013-11-08 | 2015-05-18 | 박근식 | Ratchet for fixing rope |
WO2016186223A1 (en) * | 2015-05-17 | 2016-11-24 | 박근식 | Rope fixing ratchet |
CN117841815A (en) * | 2024-03-05 | 2024-04-09 | 淄博市热力集团有限责任公司 | Photovoltaic module handling device convenient to field construction installation |
CN117841815B (en) * | 2024-03-05 | 2024-05-17 | 淄博市热力集团有限责任公司 | Photovoltaic module handling device convenient to field construction installa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00095963A (en) | Apparatus binding stowage for truck | |
JP6162122B2 (en) | Ratchet device for strap and use thereof | |
US3328064A (en) | Automotive accessories | |
US20120241545A1 (en) | Tiedown strap ratchet with take-up reel | |
CA2699021C (en) | Hold-down locking mechanism for a flexible cover system | |
RU2602907C2 (en) | Load-strapping device | |
EP1602518A3 (en) | Power supply device for sliding door | |
CA2662646A1 (en) | Cargo securing device for securing cargo | |
KR20090046722A (en) | Tension Device and Sunscreen Assembly Provided Here | |
US6494435B1 (en) | Spring-loaded safety winch for load restraint system | |
CN101980895A (en) | Seat belt tensioner | |
US20130326847A1 (en) | Strap-Tensioning Apparatus | |
KR200419201Y1 (en) | Cargo Straps for Automobiles | |
KR200303771Y1 (en) | Freight binding apparatus for a truck | |
SU1494858A3 (en) | Antiskid chain | |
JP4901901B2 (en) | Belt buckle and lashing device | |
KR101771833B1 (en) | Belt tightening devices for cargo securing | |
KR20170003076U (en) | Apparatus binding stowage for truck | |
KR102046639B1 (en) | Holding open device for rear door of box truck | |
KR101981783B1 (en) | Freight Binding Device Set Of Freight Car | |
RU223506U1 (en) | COVERED CARGO DOOR WITH RETURN MECHANISM | |
KR20190124394A (en) | Rachet buckle | |
CN103625353B (en) | position adjustable vehicle safety tensioning device | |
KR200326995Y1 (en) | Belt tensioner for luggage fixing | |
KR102454212B1 (en) | Luggage fixing belt tighten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1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107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11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