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78442A - 도로표지병 및 그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도로표지병 및 그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8442A
KR20100078442A KR1020080136703A KR20080136703A KR20100078442A KR 20100078442 A KR20100078442 A KR 20100078442A KR 1020080136703 A KR1020080136703 A KR 1020080136703A KR 20080136703 A KR20080136703 A KR 20080136703A KR 20100078442 A KR20100078442 A KR 20100078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road sign
road
concave
sign bott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6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창조
Original Assignee
황창조
최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창조, 최희택 filed Critical 황창조
Priority to KR1020080136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8442A/ko
Publication of KR20100078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8442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표지병의 몸체 하부에 진행차량의 하중이나 충격을 전달하는 받침판과 함께 프리스트레싱 방식에 의해 지내력을 강화·분산시키는 요면체를 설치하므로서 표지병이 침하나 매몰에 의하여 표지기능이 상실·저하됨을 방지하기 위한 도로표지병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지병, 요면체, 지내력, 곡면, 받침판

Description

도로표지병 및 그 설치방법{Road stud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도로상에 설치된 도료형 노면표시의 선형을 보완하여 야간 또는 우천시에 운전자의 시선을 명확히 유도함으로써 교통의 안전 및 원활한 소통을 도모하기 위하여 도로상에 매입설치되는 도로표지병에 관한 것이다.
도로표지병은 자동차 전조등으로부터의 빛을 입사방향과 근사한 방향으로 재귀반사시켜 야간에 노면표시의 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부수적으로는 자동차가 차선 밖으로 벗어나는 경우 타이어와의 접촉음을 통해 운전자에게 경고의 의미를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1에 전형적인 구조형태가 도시되어 있는 바, 도로상에 노출되는 몸체(10)는 단면사다리꼴 모양의 알루미늄합금 또는 주철재로 이루어지고, 그 측주면에는 반사체(12)가 장착되며, 몸체(10) 하부 중앙에 돌설된 앵커(30)는 지중에 매설된다.
이의 설치는 앵커(30) 부위를 직접 지중에 타설매입하거나 드릴 등으로 지중 홈을 판 다음에 앵커를 타입 또는 에폭시수지와 같은 접착제를 주입응고 시키는 방식 등으로 매입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도로표지병들은 반복 진행하는 차량의 하중이나 충격에 의해 점차 매몰되므로서 표지병으로서의 기능이 상실 또는 저하되는 문제가 있어 그동안 여러가지 구조적 개선방안이 제안되어 왔으며, 이러한 개선방안은 주로 세가지 유형으로 대별된다.
즉, 그 하나는 몸체(10)의 일부를 탄성출몰하도록 이중구조로 함으로서 진행차량에 의한 하중이나 충격을 흡수하는 방식이 있는 바, 이러한 방식은 상대적으로 복잡한 기구적 구성이 부가되므로 고장의 우려와 함께 제품단가 상승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표지병의 또 다른 기능인 경고음 기능이 약화되는 문제가 있다.
또 하나는 앵커부위를 확대하거나 앵커에 여러형태의 돌조나 돌기 등을 부가시켜 마찰면을 확대시킴으로서 지내력을 강화 시키는 방식이 있으나, 이 역시 구조적 부가에 따라 얻어지는 상대적 효과가 미미하다는 단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침하매몰되는 만큼 아예 몸체부위를 회전상승 시키거나 괴어 올리는 등의 높이조절 방식이 있으나, 이 역시 조절의 정도에는 한계가 있어 결국은 매몰되므로서 기능상실이 되는 기본적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보다 간명한 구성의 부가를 통해 표지병의 지내력을 현저히 강화시켜 침하 및 매몰에 의한 표지병의 기능저하나 상실을 방지함과 동시에 종래 주요제품의 구조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자원의 활용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도로표지병 및 그 설치방법을 제안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기술적 해결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몸체의 하부주위에 부설되어 몸체에 가해지는 하중이나 충격을 받아 전달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 하부에서 응력을 도입분산 시키도록 구형(球刑) 곡면을 갖는 요면체가 부가 됨을 구조적 특징으로 함과 동시에, 상기 요면체는 표지병 설치 작업시 해당 노면을 미리 일정 정도 압밀함으로서 응력도입 즉, 프리스트레스트 공법효과를 거두도록 함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표지병의 몸체 하부에 받침판과 함께 응력을 도입분산하는 요면체를 부가 구성함에 의해 도로표지병의 지내력을 대폭 강화시킴으 로서 진행차량의 하중이나 충격으로부터 쉽게 매몰되지 않게 되어 결과적으로 표지병으로서의 기능이 상실 또는 저하됨을 최대한 방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기존의 모든 주요제품에도 그대로 부가적용할 수 있어 자원의 활용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평면정방형 모양의 도로표지병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도로표지병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인 바,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표지병 몸체(10)는 통상의 구조와 같이 상협하광형의 단면사다리꼴 모양이며, 내부공간은 하면이 개방되고 보강벽(11)으로 강화된 강성구조를 이루고 있다.
또한, 몸체(10)의 측주면부에는 반사체(12)가 장착되며, 하면 주변주위는 접지용 프렌지(13)가 형성되고, 상기 접지용 프렌지(13)의 네모서리부에는 앵커용 볼트(30)가 끼워질 체결공(15)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접지용 프렌지(13)의 아래에는 상기 프렌지(13)에 대응하여 상부로부터의 하중을 받아 전달하는 받침판(21)이 구비되고, 그 하부에는 다시 구형(球刑)의 곡면을 갖는 요면체(20)가 부설된다.
상기 받침판(21)은 어느정도 충격흡수가 가능한 강화합성수지 재질이 바람직 하나, 알루미늄합금이나 철판 등의 강재로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탄성재질로 된 충 격흡수판(22)을 받침판(21)과 프렌지(13) 사이에 개재 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받침판(21)과 요면체(20)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각에 형성된 체결돌기(23)와 체결홈(24)을 결합시켜 한몸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요면체(20)는 금속재질로 하는 경우에는 그대로 강성구조를 이루므로 별다른 보강을 할 필요가 없으나, 강화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하는 경우에는 내부공간에 상기 몸체(10)와 같이 보강벽으로 보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도로표지병은 먼저 설치될 장소의 노면을 일차적으로 요면체(20) 또는 곡면을 갖는 기구로 눌러 요입시킨 다음, 그 요입된 부위에 상기 요면체(20)를 위치시키고 그 위에 받침판(21), 경우에 따라서는 충격 흡수판(22)을 차례로 재치시킨 후 최종적으로 몸체(10)를 덮어 씌우되 상기 받침판(21)과 프렌지(13)의 네모서리에 각기 형성된 체결공(15)을 일치시켜 앵커볼트(30)를 타입 시키는 등의 방식으로 소정위치에 고정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표지병이 설치될 장소의 노면이 미리 눌려 일정 정도 압밀되므로서 결과적으로 응력이 도입되어 소위 프리스트레스트 공법효과에 의해 지내력이 현저히 강화될 뿐만 아니라, 일단 설치된 다음에는 진행차량의 하중이나 충격이 요면체(20)에 형성된 구형(球刑) 곡면을 따라 균일하고도 폭 넓게 분산되므로서 표지병의 지지력을 보다 강화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며, 따라서 도로표지병이 침하매몰 됨에 따른 표지기능의 상실이나 저하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즉, 평면직사각 모양의 몸체 중앙하부에 앵커(30)가 돌설된 형태의 전형적인 기존 제품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사례가 도시되어 있다.
기존 제품의 경우에는 몸체(10)의 중앙하부에 앵커(30)가 돌설되어 있으므로 요면체(20)의 바닥 중앙부위에 상기 앵커(30)의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모양으로 앵커 관통공(31)을 별도로 형성하여야 하며,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앵커(30)와 관통공(31)이 접하는 부위에 기밀용 와셔를 부가할 수도 있다.
그리고 평면직사각형의 몸체(10)에 대응하기 위하여 받침판(21) 역시 직사각형 모양이 되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21)의 장변측 프렌지 폭이 단변측 보다 다소 넓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 제품에도 약간의 설계 변경을 통해 그대로 적용할 수가 있어 자원의 재활용이라는 점에서 이용가치가 보다 제고된다.
도 1은 종래 도로표지병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도로표지병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도로표지병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을 도 1의 종래 표지병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저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1 : 보강벽
12 : 반사체 13 : 프렌지
15 : 체결공 20 : 요면체
21 : 받침판 22 : 충격흡수판
23 : 체결돌기 24 : 체결홈
30 : 앵커볼트, 앵커 31 : 관통공

Claims (3)

  1. 도로표지병의 몸체(10) 하면에 하중 전달용 받침판(21)과 함께 구형(球刑) 곡면을 갖는 요면체(20)가 부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21)과 요면체(20) 사이에 충격흡수판(22)을 개재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병.
  3. 도로표지병이 매입설치될 부위의 노면을 구형 곡면을 갖는 요면체(20)로 압밀한 다음 상기 요면체(20)를 설치하고, 그 위에 하중전달용 받침판(21)을 재치시킨 후, 그 위에 다시 표지병 몸체(10)를 덮어 통상의 앵커방식(30)에 의해 고정설치하는 도로표지병의 설치방법.
KR1020080136703A 2008-12-30 2008-12-30 도로표지병 및 그 설치방법 Ceased KR201000784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703A KR20100078442A (ko) 2008-12-30 2008-12-30 도로표지병 및 그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703A KR20100078442A (ko) 2008-12-30 2008-12-30 도로표지병 및 그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8442A true KR20100078442A (ko) 2010-07-08

Family

ID=42639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6703A Ceased KR20100078442A (ko) 2008-12-30 2008-12-30 도로표지병 및 그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784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29024A (en) * 2014-06-17 2016-02-10 W J North Ltd Road stu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29024A (en) * 2014-06-17 2016-02-10 W J North Ltd Road stud
GB2529024B (en) * 2014-06-17 2018-12-12 W J North Ltd Road stu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07936B1 (en) Impact absorbing barrier assembly
US7473051B2 (en) Flexible route marker
KR100897583B1 (ko) 운전자를 보호 및 시공이 편리한 안전 가드레일
KR20100078442A (ko) 도로표지병 및 그 설치방법
CN108774962A (zh) 一种耐冲击高耐磨的道路橡胶减速带
KR200457800Y1 (ko) 차선 규제봉
KR200385479Y1 (ko) 보ㆍ차도용 경계블록
KR102311795B1 (ko) 가드레일용 지주 커버
KR200345530Y1 (ko) 차선규제봉
KR100593202B1 (ko) 급커브 유턴 구간 경계석의 충격흡수 보호대
CN215405764U (zh) 一种橡胶马
KR200223964Y1 (ko) 도로 표지병
KR20040026347A (ko) 기둥형 보강체가 삽입된 가드레일
KR200242748Y1 (ko) 충격흡수 구조가 부착된 도로의 자동차 높이 제한틀
KR0119966Y1 (ko) 도로용 경계블록
KR200300997Y1 (ko) 가로등 지주용 하부커버
KR20210001055U (ko) 카 스토퍼
KR200189319Y1 (ko) 과속방지장치
CN218175646U (zh) 一种具备防撞功能的交通标志杆
KR20210001494A (ko) 가드레일용 탄성커버 및 그 탄성커버가 구성된 가드레일
KR200222513Y1 (ko) 차량 진입방지용 지주
CN223061388U (zh) 一种停车场路沿石结构
KR200208133Y1 (ko) 완충구조를 갖는 도로 표지병
JP2005133361A (ja) 側溝蓋
US20250226570A1 (en) Mechanically Mounted Traffic Rated Anten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6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12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