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72913A - 담배 및 이를 위한 담배갑 - Google Patents

담배 및 이를 위한 담배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2913A
KR20100072913A KR1020080131462A KR20080131462A KR20100072913A KR 20100072913 A KR20100072913 A KR 20100072913A KR 1020080131462 A KR1020080131462 A KR 1020080131462A KR 20080131462 A KR20080131462 A KR 20080131462A KR 20100072913 A KR20100072913 A KR 20100072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garette
tobacco
pack
present
cigaret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1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순
Original Assignee
신상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상순 filed Critical 신상순
Priority to KR1020080131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2913A/ko
Publication of KR20100072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29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2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 A24D1/027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with ventilating means, e.g. perf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5/00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 A24F15/01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Landscapes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담뱃가루가 떨어지지 않아 담뱃잎의 불필요한 손실 내지는 의복 주머니나 가방 등이 지저분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면서도 사용상 아무런 번거로움이나 불편함이 없는 담배 그리고 외부의 크고 작은 충격에도 각 담배의 정렬상태를 상시적으로 유지하여 사용에 편리하고 깔끔하게 정돈된 느낌을 주는 담배갑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담뱃잎이 포함된 원통 형상의 담배본체; 및 상기 담배본체의 일 끝단을 밀폐하는 밀폐단을 포함하는 담배를 제공하는 한편, 상기의 담배를 위한 담배갑으로서, 상기 담배가 수납되고, 상기 담배의 양 끝단 중 적어도 하나가 닿는 내면에 상기 담배의 해당 끝단이 끼워지는 홈이 구비된 담배갑을 제공한다.
담배, 담배갑

Description

담배 및 이를 위한 담배갑{tobacco and tobacco case}
본 발명은 담배 및 이를 위한 담배갑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담뱃가루가 떨어지지 않아 담뱃잎의 불필요한 손실 내지는 의복 주머니나 가방 등이 지저분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면서도 사용상 번거로움이나 불편함이 전혀 없는 담배 그리고 외부의 크고 작은 충격에도 각 담배의 정렬상태를 상시적으로 유지하여 사용에 편리하고 깔끔하게 정돈된 느낌을 주는 담배갑에 관한 것이다.
엄밀하게는 '담배'란 학명이 Nicotiana tabacum 인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가지과의 여러해살이풀을 지칭하지만, 통상적으로는 담뱃잎을 원료로 사용목적에 알맞게 가공된 제품을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참고로, 담배라 불리는 제품은 흡연용, 씹는용, 냄새용 등으로 나누어볼 수 있으나 흡연용이 대부분을 차지하는바, 이하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담배'란 담뱃잎으로 제조된 흡연제품을 지칭한다.
흡연용 담배는 또다시 그 형태에 따라 일정크기로 처리 및 절각된 담뱃잎을 권련지로 말아 담배본체를 만든 후 그 한쪽 끝에 필터를 결합한 권련(卷煙:cigarettes), 이보다 큰 크기의 담뱃잎을 원통 형상으로 말아 담배본체로만 흡연하도록 제공되는 엽권련(葉卷煙 또는 呂宋煙:cigar), 절각된 담뱃잎을 권련지로 말아 담배본체를 만든 후 필터 없이 그대로 흡연하는 막권련 등으로 구분된다.
하지만, 이들 흡연용 담배는 서로 유사한 공정을 통해 완성되는데, 편의상 가장 보편적인 형태인 권련을 예로 들면, 잎담배를 처리하는 원료가공단계, 담배본체를 제조하는 권련제조단계, 완성된 담배를 일정규격으로 포장하는 포장단계로 이루어진다.
각각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원료가공단계는 각종 잎담배가 지닌 향기와 맛, 색과 윤기 등을 적절한 비율로 섞어 특징을 부여하고 품질을 통일시키는 배합과정, 발효, 가열, 가향, 불량부분의 제거 등으로 잎담배의 가치를 높이고 가습 또는 가열로 잎을 부드럽게 하는 처리과정, 완성된 담뱃잎을 적절한 크기로 자르는 절각과정 순서로 진행된다.
그 결과 일정크기로 절단된 담뱃잎이 얻어지며, 참고로 우리나라에서는 담뱃잎의 크기를 9mm 이하로 절각한다.
다음으로, 권련제조단계는 절각된 담뱃잎을 권련지로 말아 담배본체를 만드는 본체제조과정, 담배본체의 한쪽 끝에 필터를 부착하는 필터부착과정의 순서로 진행된다.
이때, 본체제조과정이 끝나면 필터 없는 막권련이 얻어지며, 참고로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라이스페이퍼(rice-paper)를 권련지로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포장단계는 일정수량의 담배를 전용의 담배갑에 넣어 밀봉하는 순서로 진행된다. 참고로 우리나라에서는 대부분 10개들이, 20개들로 포장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담배(10) 및 담배갑(20)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편의상 가장 많이 사용되는 권련 그리고 상자형 담배갑이 나타나 있다.
보이는 것처럼, 담배(10)는 전체적으로 원통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로서 담뱃잎을 포함하는 담배본체(12)의 한쪽 끝에 필터(14)가 부착된다. 따라서 필터(14)의 반대쪽은 흡연 시 불을 붙이는 착화지점이 된다.
그리고 담배갑(20)은 복수 개피의 담배(10)가 세워 실장되는 박스형상으로서 그 상면에는 입구(22)가 마련되어 담배(10)의 추출 및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통상의 담배(10)는 필터(14)가 입구(22)를 향하도록 담배갑(20)에 삽입되고, 담배본체(12)의 일 끝단은 담배갑(20)의 바닥에 맞닿는다.
참고로 도면에서는 담배갑(20)의 입구(22)에 별도의 뚜껑(24)이 연결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직접 입구(22)를 개폐하는 방식이 나타나 있다.
한편, 담배는 중독성이 강하고 암, 심장병, 순환계 질환 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매년 5조 5천억 개가 생산되어 세계인구의 1/6이 넘는 11억 명 이상이 흡연을 즐길 만큼 전 세계적으로 애용되는 대표적인 기호식품 중 하나이다.
이에 따라 과거로부터 오랜 기간 동안 비흡연자와 흡연자들 사이에서 담배의 유무해성에 대한 견해가 엇갈리고 있으나, 이와 별개로 대부분의 흡연자들은 담배의 보관상 불편함을 지적하고 있다.
그중 대표적인 한가지는 작은 크기로 절각된 담뱃가루가 담배본체로부터 쉽 게 떨어져 담뱃잎의 불필요한 손실을 야기하고 의복의 주머니나 가방 등을 지저분하게 하는 현상으로, 흡연자라면 누구나 한번쯤 경험해봤을 정도로 매우 흔하게 나타난다.
이를 위해 담배갑에 담배를 넣어 보관하지만 담뱃잎의 손실적 측면에서는 그 효과가 크지 않으며, 특히 기존의 담배갑은 처음 구입 당시 담배가 빽빽하게 실장된 상태에서는 외부 충격에도 별다른 영향이 없지만 담배갑 내부의 담배 수량이 줄어 여유공간이 생기면 작은 충격에도 담배갑 내부의 담배가 쉽게 흔들려 담뱃잎의 불필요한 손실을 야기하고, 초기 정렬상태가 쉽게 흐트러져 사용에 불편하며, 정돈되지 못한 지저분한 느낌을 갖게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깔끔하고 편리하게 보관 및 사용할 수 있는 담배 그리고 담배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담뱃가루가 떨어지지 않아 담뱃잎의 불필요한 손실 내지는 의복 주머니나 가방 등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흡연 시 아무런 번거로움이나 불편함이 없는 담배 그리고 외부의 크고 작은 충격에도 각 담배의 정렬상태를 상시적으로 유지하여 사용에 편리하고 깔끔하게 정돈된 느낌을 줄 수 있는 담배갑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담뱃잎이 포함된 원통 형상의 담배본체; 및 상기 담배본체의 일 끝단을 밀폐하는 밀폐단을 포함하는 담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밀폐단은 상기 담배본체의 일 끝단에 결합되는 가연성 시트재질의 캡 또는 상기 밀폐단은 권련지의 끝단을 접어 형성된 밀폐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밀폐단에 관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순환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의 담배를 위한 담배갑으로서, 상기 담배가 수납되고, 상기 담배의 양 끝단 중 적어도 하나가 닿는 내면에 상기 담배의 해당 끝단이 끼워지는 홈이 구비된 담배갑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내면의 반대편에는 상기 담배의 수납 및 추출을 위한 입구가 존재하고, 상기 담배갑은 종이, 금속, 합성수지 재질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에 편리하고 깔끔하게 사용 및 보관할 수 있는 담배와 담배갑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담배는 담배본체의 일 끝단을 밀폐하는 밀폐단을 제공하여 담뱃가루가 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담뱃잎의 불필요한 손실 내지는 의복 주머니나 가방 등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밀폐단은 담배의 권련지 또는 별도의 가연성 시트재질로 이루어져 흡연 시 아무런 번거로움 이나 불편함이 없고, 사용자는 일반적인 담배와 동일하게 착화 및 흡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담배갑은 낱개의 담배 각각의 정렬상태를 상시적으로 유지하도록 하여 사용에 편리하고 깔끔하게 정돈된 느낌을 준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樣態)에 따른 담배(50)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편의상 가장 일반적인 형태인 권련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담배(50) 역시 일정크기 이하로 절각된 담뱃잎을 권련지로 말아 감싼 원통 형상의 담배본체(52) 후단에 필터(54)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내며, 필터(54)의 반대편에 해당되는 담배본체(52)의 선단은 사용자가 불을 붙이는 착화지점이 된다.
이때,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담배(50)는 담배본체(52)의 일 끝단, 바람직하게는 착화지점에 해당되는 담배본체(52)의 선단을 밀폐하는 밀폐단으로서 별도의 가연성 시트재질로 이루어진 캡(60)이 씌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통해 담뱃잎의 불필요한 손실을 방지하고 담뱃가루가 떨어져 사용자의 호주머니나 가방 등이 지저분해지는 문제를 해결한다.
이를 위한 캡(60)은 도면에서와 같이 담배본체(52)의 일 끝단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서 그 내경이 담배본체(52)의 일 끝단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여 마개와 같이 씌워지는 형태 또는 담배본체(52)의 일 끝단을 감싸는 주머니 형태 등 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캡(60)의 재질은 시트 형태의 가연성 재질이라면 특별한 제한이 없지만 연소 시 건강에 해로운 유독가스를 유발하는 합성수지 재질은 적절치 않다. 따라서 캡(60)은 권련지로 주로 사용되는 라이스페이퍼나 종이, 천연섬유 등 연소 시 유독물질의 발생 가능성이 적은 천연물질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캡(60)은 가급적 담배본체(52)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것이 그 사용 및 효과면에서 유리하다. 따라서 필요하다면 접착제 등으로 담배본체(52)의 해당 부위에 긴밀히 접착되는 것도 가능한데, 여기에 사용되는 접착제 역시 연소 시 유독가스를 유발할 수 있는 합성수지계 보다는 천연계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하다면 캡(60)은 담뱃잎 자체의 풍미가 변질되지 않고 착화에 용이하도록 공기의 유통이 자유로운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이를 위해 담배본체(52)의 일 끝단과 맞닿는 캡(60)의 평면부분 내지는 캡(60) 전체에 걸쳐 다수의 공기순환공(62)이 관통될 수 있다. 하지만, 공기순환공(62)을 통해 담뱃잎이 빠져나오지 않도록 그 크기는 제한될 필요가 있고, 우리나라의 경우에 담뱃잎이 보통 9mm 크기로 절각된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공기순환공(62)의 지름은 9mm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된 도 3은 도 2의 II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담배본체(52)의 일 끝단과 여기에 씌워진 캡(60) 그리고 담배본체(52)의 일 끝단과 맞닿는 캡(60)의 평면부분을 따라 관통된 다수의 공기순환공(62)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미설명 부호 56는 담뱃잎을 나타내며, 공기순환공(62)은 캡(60)의 전 면적에 걸쳐 관통되어도 무방하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담배(50)는 담배본체(52)의 일 끝단에 결합되는 캡(60)의 존재를 통해 담뱃가루가 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불필요한 손실 내지는 의복 주머니나 가방 등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흡연자가 담배(50)를 피우고자 할 경우에는 필터(54)를 입에 물고 그 반대편의 착화지점에 불을 붙인다. 이때, 비록 본 발명에 따른 담배(50)는 착화지점에 해당되는 담배본체(52)의 일 끝단에 캡(60)이 결합되어 있지만, 상기 캡(60)은 가연성의 시트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착화 및 흡연과정 중에 자연스럽게 연소되어 사라진다. 따라서, 흡연자는 착화 전 미리 캡(60)을 분리하는 등의 번거로움이나 불편함 없이 통상의 담배와 동일하게 사용 및 흡연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담배(52)는 도면에 제시된 권련 이외에도 시거라 불리는 엽권련, 필터가 없는 막권련 등 모든 종류의 흡연용 담배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흡연용 담배는 대부분 담뱃잎(56)이 포함된 원통 형상의 담배본체(52)를 포함하며, 담배본체(52)의 일 끝단인 착화지점에 불을 붙여 그 반대편을 입에 물고 연기를 흡입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따라서 담배본체(52)의 일 끝단으로부터는 담뱃잎(56)이 떨어질 가능성이 항시 존재하는바, 본 발명에 따른 캡(60)을 담배본체(52)의 일 끝단에 결합하면 담배본체(52)로부터 담뱃잎(56)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아무런 불편없이 사용 및 흡연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피우다만 담배(52)로부터 담뱃잎(56)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경우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캡(60)은 앞서 설명한 형태 중에서도 마개와 같은 형상을 나타내는 것이 적절하며, 사용자는 담배(50)의 착화 전 미리 담배본체(52)의 일 끝단으로부터 캡(60)을 분리시켜 흡연한 후 자유의사에 따라 중간에 불을 끄고, 해당 담배본체(52)의 일 끝단, 즉 소화지점에 캡(60)을 씌워 동일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본 경우는 담배본체(52)의 착화 시 캡(60)에 불이 붙지 않는 것을 전제로 하므로 캡(60)은 가연성 천연재질 이외에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분리 및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일정 정도의 두께 및 형태를 유지하는 합성수지나 기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오히려 더 적절할 수 있다.
또한,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담배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보이는 것처럼, 본 변형예에서는 담배본체(52)의 일 끝단을 밀폐하는 밀폐단으로서 권련지로 이루어진 밀폐면(64)을 제공한다.
이때, 밀폐면(64)은 권련지의 끝단을 담뱃가루로부터 일정 정도 연장시킨 후 그 말단부위를 담배본체(52)의 일 끝단 방향으로 접어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고, 각각의 접힌 형상은 접는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본 변형예는 담배본체(52)의 일 끝단을 밀폐하는 밀폐단으로서 별도의 캡을 대신해서 권련지 말단의 접힘에 의해 형성되는 밀폐면(64)을 제공함으로써 공정의 간소화를 꾀할 수 있고, 특히 권련지 말단의 접는 부분에 대한 길이를 적절히 조절하면 그 중심에 소정 직경의 공기순환공(62)이 구현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밀폐면(64)은 담배본체(52)로부터 담뱃가루가 떨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적절한 크기, 바람직하게는 0.9mm 미만의 공기순환공(62)은 공기의 유통 을 자유롭게 하여 담배의 풍미가 변질되지 않고 착화가 용이하도록 한다. 그외 다른 작용, 예컨대 착화시 밀폐면(64)이 자연스럽게 연소되어 사라짐에 따라 사용상 아무런 번거로움이나 불편함 없는 점은 앞서와 동일하며, 이에 대해서는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당업자라면 쉽게 예상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의 담배(50)를 담기에 가장 적합한 형태의 담배갑을 제공한다.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담배갑(70)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해를 돕기 위해 내부의 필요부분을 점선으로 나타내었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상 가장 보편적인 형태의 담배갑(70)을 도시하였는바,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담배갑(70)은 복수 개의 담배(도 2의 50 참조, 이하 동일하다.)를 세로로 보관할 수 있는 박스형상을 나타내고 그 상면에는 담배(50)를 넣고 뺄 수 있는 입구(72)가 마련된다. 따라서 입구(72)의 맞은편에 해당되는 담배갑(70)의 일면은 바닥(76)이 되고, 입구(72)에는 별도의 뚜껑(74)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담배갑(70)은 담배(50)의 양 끝단 중 적어도 하나가 닿는 내면, 바람직하게는 입구(72) 반대편에 해당되는 바닥(76)으로 각 담배(50)의 일 끝단이 끼워지는 홈(80)이 마련되며, 이를 통해 외부의 크고 작은 충격에도 각 담배(50)의 정렬상태를 상시적으로 유지함으로써 사용에 편리하고 깔끔하게 정돈된 느낌을 준다.
이를 위한 담배갑(70) 바닥(76)의 홈(80)은 담배(50)와 일대일 대응되는 위치에 담배(50)와 동일한 수량, 예컨대 국내의 경우에 10개 또는 20개로 구비될 수 있고, 그 깊이는 가급적 깊은 것이 담배(50)의 안정적인 고정에 유리하다. 하지만 홈(80)의 깊이가 깊으면 자칫 담배갑(70)의 외관을 해칠 수 있으므로 1~5mm 정도가 적절하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담배갑(70)의 하단에는 바닥(76) 및 홈(80)을 내부로 수용하여 통상의 담배갑과 동일한 형상을 나타내도록 하는 별도의 박스로서 상면이 개방된 함체 형상의 버툼커버(미도시)가 추가로 결합된 형태도 가능하다.
첨부된 도 5는 도 4의 V-V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담배갑(70)의 바닥(76)에는 복수의 홈(80)이 마련되고, 여기에 본 발명에 따른 담배(50)의 담배본체(52) 일 끝단이 끼워져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담배갑(70)에 실장되는 담배(52)는 필터(도 2의 54 참조)가 입구(도 4의 72 참조)를 향하도록 하여 담배본체(52)의 일 끝단이 바닥(76)의 홈(80)에 끼워지는 것이 사용에 유리하며, 이로써 원치않게 캡(60)이 분리된 경우나 기타 일반적인 담배인 경우라도 담뱃가루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담배갑(70)은 종이재질이 적절하지만, 필요에 따라 종이, 금속, 합성수지 재질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면과 달리 가로로 실장되는 형태에도 본 발명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을 만족시키는 여러 가지 변형이 있을 수 있지만, 이들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만족시킨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되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담배 및 담배갑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담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III-III 선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담배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담배갑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V-V 선에 대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담배 52 : 담배본체
54 : 필터 56 : 담뱃잎
60 : 캡 62 : 공기순환공
64 : 밀폐면 70 : 담배갑
72 : 입구 74 : 뚜껑
76 : 바닥 80 : 홈

Claims (6)

  1. 담뱃잎이 포함된 원통 형상의 담배본체; 및
    상기 담배본체의 일 끝단을 밀폐하는 밀폐단을 포함하는 담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폐단은 상기 담배본체의 일 끝단에 결합되는 가연성 시트재질의 캡인 담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폐단은 권련지의 끝단을 접어 형성된 밀폐면인 담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폐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된 0.9mm 미만의 공기순환공을 더 포함하는 담배.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선택된 항에 기재된 담배를 위한 담배갑으로서,
    상기 담배가 수납되고, 상기 담배의 양 끝단 중 적어도 하나가 닿는 내면에 상기 담배의 해당 끝단이 끼워지는 홈이 구비된 담배갑.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내면의 반대편에는 상기 담배의 수납 및 추출을 위한 입구가 존재하고, 상기 담배갑은 종이, 금속, 합성수지 재질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담배갑.
KR1020080131462A 2008-12-22 2008-12-22 담배 및 이를 위한 담배갑 KR201000729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1462A KR20100072913A (ko) 2008-12-22 2008-12-22 담배 및 이를 위한 담배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1462A KR20100072913A (ko) 2008-12-22 2008-12-22 담배 및 이를 위한 담배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2913A true KR20100072913A (ko) 2010-07-01

Family

ID=42635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1462A KR20100072913A (ko) 2008-12-22 2008-12-22 담배 및 이를 위한 담배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7291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464U (ko) 2015-10-15 2017-04-25 정경일 선단 밀봉담배
WO2019123296A1 (en) * 2017-12-22 2019-06-27 G.D S.P.A. A method for making a sub-unit of a smoking article
IT201900004551A1 (it) * 2019-03-27 2020-09-27 Gd Spa Sottounitá di un articolo da fum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464U (ko) 2015-10-15 2017-04-25 정경일 선단 밀봉담배
WO2019123296A1 (en) * 2017-12-22 2019-06-27 G.D S.P.A. A method for making a sub-unit of a smoking article
US11998041B2 (en) 2017-12-22 2024-06-04 G.D S.P.A. Method for making a sub-unit of a smoking article
IT201900004551A1 (it) * 2019-03-27 2020-09-27 Gd Spa Sottounitá di un articolo da fumo
WO2020194102A1 (en) * 2019-03-27 2020-10-01 G.D S.P.A. A sub-unit of a smoking art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32893A1 (en) Filter tip, tubes, and cones
US8141701B2 (en) Pack for tobacco industry products
CA2577544C (en) Product for the consumption of smokable substances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CN103889257B (zh) 具有带标记的嘴端腔的发烟制品
US20140360519A1 (en) Smooth Wrap - Hybrid Cigar Wrap
JP6129335B2 (ja) 挿入式フィルターユニット
KR20100072913A (ko) 담배 및 이를 위한 담배갑
US8162136B2 (en) Package for different tobacco products
CA3037842A1 (en) Filter element for a smoking article
CA2886668C (en) Substitute cigarette for non-combustion use
JPH11318415A (ja) 嗜好かおり入紙巻タバコ
KR200317008Y1 (ko) 우미채를 이용한 담배 대용품
JP3099789U (ja) 箱入り紙巻きタバコ
KR20040079699A (ko) 우미채를 이용한 담배 대용품
KR20220069362A (ko) 일반연초의 가향 및 담배냄새 저감등을 위한 삽입제
JPH11154A (ja) 喫煙用紙巻ハーブ(ハーブレ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3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12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3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