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6036A - 휴대 단말기 운용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운용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66036A KR20100066036A KR1020080124668A KR20080124668A KR20100066036A KR 20100066036 A KR20100066036 A KR 20100066036A KR 1020080124668 A KR1020080124668 A KR 1020080124668A KR 20080124668 A KR20080124668 A KR 20080124668A KR 20100066036 A KR20100066036 A KR 2010006603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vent
- sensor
- content
- function
- pressu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22)
- 휴대 단말기 외관으로부터 작용하는 압력에 따라 압력 이벤트를 생성하는 과정;상기 압력 이벤트 생성에 따라 현재 휴대 단말기의 상태를 기반으로 방향 센서를 활성화하고 초기화하는 과정;상기 압력 이벤트가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방향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일정 방향으로의 움직임에 따른 방향 이벤트를 생성하는 과정;상기 방향 이벤트에 따라, 컨텐츠 분류 저장 기능, 컨텐츠 표시 기능 및 메뉴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운용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상기 압력 이벤트 생성 시,상기 방향키 이미지에 따른 기능을 정의한 텍스트 정보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과정;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운용 방법.
- 제2 항에 있어서,상기 생성된 방향 이벤트의 방향 정보에 해당하는 방향키 이미지를 다른 방향의 방향키 이미지와 다르게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운용 방 법.
- 제1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 과정은상기 컨텐츠 분류 저장 기능 활성화 시,각 방향에 따른 가상 파일 폴더를 생성하는 과정;상기 생성된 방향 이벤트에 따라, 현재 출력 중인 컨텐츠를 해당 방향의 가상 파일 폴더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운용 방법.
- 제4 항에 있어서,상기 생성된 방향 이벤트의 방향 쪽으로 상기 컨텐츠 이미지를 이동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운용 방법.
- 제4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 과정은상기 컨텐츠 표시 기능 활성화 시,상기 생성된 방향 이벤트에 따라, 해당 방향에 설정된 가상 파일 폴더를 확인하는 과정;상기 가상 파일 폴더에 저장된 컨텐츠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출력 과정;을 포 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운용 방법.
- 제6 항에 있어서,상기 출력 과정은상기 저장된 컨텐츠가 다수인 경우,해당 컨텐츠를 멀티 뷰 화면으로 출력하는 과정;해당 컨텐츠 중 마지막으로 저장된 컨텐츠를 전체 화면으로 출력하는 과정;검색 빈도수가 가장 높은 컨텐츠를 전체 화면으로 출력하는 과정; 중 어느 하나의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운용 방법.
- 제6 항에 있어서,상기 출력 과정은상기 저장된 컨텐츠가 단수인 경우, 상기 저장된 컨텐츠를 전체 화면으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운용 방법.
- 제6 항에 있어서,상기 가상 파일 폴더에 저장된 컨텐츠가 없는 경우, 컨텐츠 없음을 알리는 알람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운용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 과정은상기 메뉴 기능 활성화 시,하이라이트 박스를 활성화하는 과정;상기 생성된 방향 이벤트의 방향 쪽으로 상기 하이라이트 박스를 이동시키는 이동 과정;상기 압력 이벤트 해제 시, 상기 하이라이트 박스가 지시하고 있는 메뉴 기능을 활성화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운용 방법.
- 제10 항에 있어서,이동 과정은상기 방향 이벤트가 특정 방향에서 일정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상기 하이라이트 박스의 이동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운용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 과정은상기 메뉴 기능 활성화 시,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현재 수행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을 확인하는 과정;상기 응용 프로그램 제어 및 상기 방향 이벤트에 따라 설정된 메뉴 항목들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운용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상기 압력 이벤트 생성 시,방향키 이미지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과정;상기 압력 이벤트 생성 이전에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에 출력 중인 화면의 밝기를 이전보다 어둡게 처리하는 과정;상기 휴대 단말기의 입력부를 비활성화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운용 방법.
- 휴대 단말기 외관으로부터 작용하는 압력에 따라 압력 이벤트를 생성하는 압력 센서;상기 압력 이벤트 생성에 따라 현재 휴대 단말기의 상태를 기반으로 활성화되고 초기화된 후, 상기 압력 이벤트가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일정 방향으로의 움직임에 따른 방향 이벤트를 생성하는 방향 센서;상기 방향 이벤트에 따라, 컨텐츠 분류 저장 기능, 컨텐츠 표시 기능 및 메뉴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운용 장치.
- 제14 항에 있어서,상기 압력 이벤트 생성 시, 상기 방향키 이미지에 따른 기능을 정의한 텍스 트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운용 장치.
- 제15 항에 있어서,상기 표시부는상기 생성된 방향 이벤트의 방향 정보에 해당하는 방향키 이미지를 다른 방향의 방향키 이미지와 다르게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운용 장치.
- 제14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상기 컨텐츠 분류 저장 기능 활성화 시, 각 방향에 따른 가상 파일 폴더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방향 이벤트에 따라, 현재 출력 중인 컨텐츠를 해당 방향의 가상 파일 폴더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운용 장치.
- 제17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상기 컨텐츠 표시 기능 활성화 시,상기 생성된 방향 이벤트에 따라, 해당 방향에 설정된 가상 파일 폴더를 확 인하고, 상기 가상 파일 폴더에 저장된 컨텐츠를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운용 장치.
- 제14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상기 메뉴 기능 활성화 시, 하이라이트 박스를 활성화하고, 상기 생성된 방향 이벤트의 방향 쪽으로 상기 하이라이트 박스를 이동시킨 후, 상기 압력 이벤트 해제 시, 상기 하이라이트 박스가 지시하고 있는 메뉴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운용 장치.
- 제19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상기 방향 이벤트가 특정 방향에서 일정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상기 하이라이트 박스의 이동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운용 장치.
- 제14 항에 있어서,상기 표시부는상기 압력 이벤트 생성 시 출력되는 방향키 이미지를 출력하고, 상기 압력 이벤트 생성 이전에 상기 휴대 단말기에 출력 중인 화면의 밝기를 이전보다 어둡게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운용 장치.
- 제14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상기 메뉴 기능 활성화 시,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현재 수행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을 확인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 제어 및 상기 방향 이벤트에 따라 설정된 메뉴 항목들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운용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24668A KR20100066036A (ko) | 2008-12-09 | 2008-12-09 | 휴대 단말기 운용 방법 및 장치 |
US12/633,456 US8542185B2 (en) | 2008-12-09 | 2009-12-08 |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mobi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24668A KR20100066036A (ko) | 2008-12-09 | 2008-12-09 | 휴대 단말기 운용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66036A true KR20100066036A (ko) | 2010-06-17 |
Family
ID=42230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24668A Ceased KR20100066036A (ko) | 2008-12-09 | 2008-12-09 | 휴대 단말기 운용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8542185B2 (ko) |
KR (1) | KR20100066036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501098B2 (en) | 2011-09-19 | 2016-11-2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Interface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force |
US9519350B2 (en) | 2011-09-19 | 2016-12-1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Interface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for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61052B1 (ko) | 2007-09-24 | 2019-03-21 | 애플 인크. | 전자 장치 내의 내장형 인증 시스템들 |
US10585493B2 (en) | 2008-12-12 | 2020-03-10 | Apple Inc. | Touch sensitive mechanical keyboard |
TW201131424A (en) * | 2010-03-11 | 2011-09-16 | Univ Nat Formosa | Swinging-style remote control method for home appliances |
KR20120005124A (ko) * | 2010-07-08 | 2012-01-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용 단말기에서 움직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US9785251B2 (en) | 2011-09-14 | 2017-10-10 | Apple Inc. | Actuation lock for a touch sensitive mechanical keyboard |
US20130147850A1 (en) * | 2011-12-08 | 2013-06-13 | Motorola Solutions, Inc. | Method and device for force sensing gesture recognition |
KR101866272B1 (ko) * | 2011-12-15 | 2018-06-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그립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기반의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 및 방법 |
CN103257815A (zh) * | 2012-02-20 | 2013-08-21 | 索尼爱立信移动通讯有限公司 | 一种触摸位置定位方法、文本选择方法、装置及电子设备 |
CN111178332A (zh) * | 2012-05-18 | 2020-05-19 | 苹果公司 | 用于操纵用户界面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
US8947216B2 (en) * | 2012-11-02 | 2015-02-03 | Immersion Corporation | Encoding dynamic haptic effects |
US9898084B2 (en) | 2012-12-10 | 2018-02-20 | Immersion Corporation | Enhanced dynamic haptic effects |
US20150215530A1 (en) * | 2014-01-27 | 2015-07-30 | Microsoft Corporation | Universal capture |
CN105511597B (zh) * | 2014-09-25 | 2019-07-05 |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 一种基于浏览器的页面控制方法及装置 |
US9703472B2 (en) * | 2015-03-18 | 2017-07-11 | Alpine Electronics, Inc. |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console with touch screen |
US10146379B2 (en) * | 2015-11-23 | 2018-12-04 | Himax Technologies Limited | Touch screen capable of detecting touch pressure and a system of controlling the same |
CN115867878A (zh) * | 2020-07-10 | 2023-03-28 | 瑞典爱立信有限公司 | 用于获得用户输入的方法和设备 |
US11409410B2 (en) | 2020-09-14 | 2022-08-09 | Apple Inc. | User input interfaces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64754A (ja) * | 1993-08-24 | 1995-03-10 | Hitachi Ltd | 小型情報処理装置 |
US6573883B1 (en) * | 1998-06-24 | 2003-06-03 |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omputing device with gestures |
US6567101B1 (en) * | 1999-10-13 | 2003-05-20 | Gateway, Inc. | System and method utilizing motion input for manipulating a display of data |
CN1119051C (zh) | 1999-11-03 | 2003-08-20 | 摩托罗拉公司 | 用于在便携式电子设备上选择用户界面选项的装置和方法 |
US6466198B1 (en) * | 1999-11-05 | 2002-10-15 | Innoventions, Inc. | View navigation and magnification of a hand-held device with a display |
US6847351B2 (en) * | 2001-08-13 | 2005-01-25 | Siemen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Mobile, Llc | Tilt-based pointing for hand-held devices |
US20040125073A1 (en) * | 2002-12-30 | 2004-07-01 | Scott Potter |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employing motion sensor for function control |
JP2007510234A (ja) * | 2003-10-31 | 2007-04-19 | イオタ・ワイアレス・エルエルシー | 携帯デバイス用同時データ入力 |
US7519468B2 (en) * | 2005-02-28 | 2009-04-14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ng a mobile device user interface with a directional sensing device |
KR101171055B1 (ko) | 2006-02-02 | 2012-08-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메뉴 리스트 항목의 이동 속도 제어 장치 및 방법 |
-
2008
- 2008-12-09 KR KR1020080124668A patent/KR20100066036A/ko not_active Ceased
-
2009
- 2009-12-08 US US12/633,456 patent/US8542185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501098B2 (en) | 2011-09-19 | 2016-11-2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Interface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force |
US9519350B2 (en) | 2011-09-19 | 2016-12-1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Interface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for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00141574A1 (en) | 2010-06-10 |
US8542185B2 (en) | 2013-09-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00066036A (ko) | 휴대 단말기 운용 방법 및 장치 | |
US9952681B2 (en) |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tasks using fingerprint information | |
US10013098B2 (en) | Operating method of portable terminal based on touch and movement inputs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 |
CN106775313B (zh) | 分屏操作控制方法及移动终端 | |
EP2207342B1 (en) | Mobile terminal and camera image control method thereof | |
US20240231595A1 (en) | Portable terminal device | |
US9058095B2 (en) | Method for displaying data in mobile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and mobile terminal thereof | |
KR101870773B1 (ko) | 광학식 문자 판독기를 이용한 스케줄 관리 방법 및 장치 | |
JP2009140368A (ja) | 入力装置、表示装置、入力方法、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KR20120071468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50119135A (ko) | 전자 장치에 표시된 콘텐츠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
US20120284671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face mangement | |
US20120284668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face management | |
KR102044824B1 (ko) | 터치 감지 및 터치압력 감지가 가능한 장치 및 제어방법 | |
KR20150033429A (ko)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 |
JP6691426B2 (ja) | 携帯端末装置 | |
JP7244231B2 (ja) | 電子機器、制御プログラム及び表示制御方法 | |
EP3056061B1 (en) | Mobile terminal | |
KR20190128139A (ko) | 터치 감지 및 터치압력 감지가 가능한 장치 및 제어방법 | |
JP7034856B2 (ja) | 電子機器、制御プログラム及び表示制御方法 | |
CN113535054A (zh) | 显示内容切换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 |
KR20120018923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20078816A (ko) | 가상 터치 포인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
HK40053999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display content,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 |
KR20120018925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0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12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12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2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506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12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