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4824B1 - 터치 감지 및 터치압력 감지가 가능한 장치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감지 및 터치압력 감지가 가능한 장치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44824B1 KR102044824B1 KR1020170077985A KR20170077985A KR102044824B1 KR 102044824 B1 KR102044824 B1 KR 102044824B1 KR 1020170077985 A KR1020170077985 A KR 1020170077985A KR 20170077985 A KR20170077985 A KR 20170077985A KR 102044824 B1 KR102044824 B1 KR 1020448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uch
- swipe gesture
- pressure
- control
- swi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6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10000003811 finger Anatomy 0.000 description 2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10000003813 thumb Anatomy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4247 hand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935 right thumb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13 municipal soli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3 sol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287 pola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41 sensory perception of touc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4 s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포스 앤 스와이프 제스처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스와이프 방향의 상하 성분과 좌우 성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스와이프 방향의 상하 성분의 절대값과 좌우 성분의 절대값에 따라 스와이프 방향이 상하 방향인지 좌우 방향인지를 판단하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5는 두 손 키보드의 일 예이다.
도 6은 한 손 키보드의 두가지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한 손 키보드의 다른 예로서, 오른손 엄지로 키입력을 하는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도 8은 장치를 잡고 있는 손의 엄지 손가락으로 압력터치를 한 후에 아래쪽으로 스와이프 제스처를 하여 객체(A)를 삭제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은 앱을 압력터치하고 스와이프 제스처를 하여 앱 위치를 이동시키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 10은 객체를 압력터치하고 스와이프 제스처를 하여 객체의 방향을 변경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 11은 스와이프 앤 포스 제스처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앱에서부터 스와이프 제스처를 하고 압력터치를 하여 앱 위치를 이동시키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 13은 객체로부터 스와이프 제스처를 하고 압력터치를 하여 객체의 방향을 변경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 14는 제어량을 변경할 수 있는 핸들이 표시된 위치에서 시작되는 스와이프 제스처에 따라 제어량의 값을 변경하고 원하는 위치에서 압력터치를 하여 해당 위치에 대응되는 제어량의 값을 디폴트 값으로 설정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 15는 스와이프에 따라 객체(도서)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고 객체 상에서의 압력터치에 따라 객체와 관련된 제어동작(구입/대여)을 수행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110 무선 통신부,
120 입력부,
130 센싱부,
140 메모리,
150 출력부,
151 디스플레이부,
160 전원공급부,
180 제어부,
190 전원공급부.
Claims (46)
- 터치 감지 및 터치압력 감지가 가능한 장치에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접촉지점에서 임계압력보다 큰 압력 터치를 감지하는 압력 터치 감지단계와,
상기 압력 터치에 이어서 터치 지점이 이동되는 스와이프(swipe) 제스처를 감지하는 스와이프 감지단계와,
상기 스와이프 제스처가 종료되면, 상기 제1 접촉지점과 상기 스와이프 제스처의 종료 지점을 잇는 벡터의 방향에 기초하여 미리 지정된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동작단계를 포함하는 제어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터치 감지단계와 상기 스와이프 감지단계가 앱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수행된 경우에, 상기 제어동작은 실행 중인 상기 앱을 종료시키는 것인, 제어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동작은 한 손 키보드 모드로 변환하는 동작인, 제어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손 키보드 모드로 변환하는 동작은 상기 압력 터치와 상기 스와이프 제스처가 키보드 상에서 이루어진 경우에 수행되는 것인, 제어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와이프 제스처의 방향이 좌측이면 한 손 키보드를 좌측에 치우쳐서 표시하고, 상기 스와이프 제스처의 방향이 우측이면 상기 한 손 키보드를 우측에 치우쳐서 표시하는 것인, 제어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와이프 제스처의 방향이 좌측이면 한 손 키보드를 우측에 치우쳐서 표시하고, 상기 스와이프 제스처의 방향이 우측이면 상기 한 손 키보드를 좌측에 치우쳐서 표시하는 것인, 제어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터치의 위치가 좌측이면 한 손 키보드를 좌측에 치우쳐서 표시하고, 상기 압력터치의 위치가 우측이면 상기 한 손 키보드를 우측에 치우쳐서 표시하는 것인, 제어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터치와 상기 스와이프 제스처가 객체 상에서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제어동작은 상기 객체의 삭제 또는 전송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인, 제어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와이프 제스처의 방향이 아래쪽이면 해당 객체를 삭제하고, 상기 스와이프 제스처의 방향이 위쪽이면 해당 객체를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터치가 객체 상에서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제어동작은 상기 스와이프 제스처에 따라 상기 객체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인, 제어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동작은 상기 스와이프 제스처의 종료점으로 상기 객체를 이동시키는 것인, 제어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와이프 감지 단계에서 상기 스와이프 제스처가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에 상기 객체를 상기 스와이프 제스처의 이동 경로를 따라 표시하는, 제어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파일 리스트 상의 파일, 게임 상의 캐릭터, 앱 리스트 상의 앱, 친구 리스트 상의 친구 중의 어느 하나인, 제어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터치가 객체 상에서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제어동작은 상기 스와이프 제스처에 따라 상기 객체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인, 제어방법. - 제1, 2, 3,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동작단계는 상기 스와이프 제스처의 방향이 소정 조건을 만족시킬 때 수행하는 것인, 제어방법. -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동작단계는 상기 스와이프 제스처를 수행한 시간이 소정 시간 이내일 때 수행하는 것인, 제어방법.
-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동작단계는 스와이프된 거리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킬 때 수행하는 것인, 제어방법.
-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와이프 제스처 전의 압력 터치가 소정 횟수 감지된 경우에 상기 제어동작단계를 수행하는 것인, 제어방법.
-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압력은 사용자가 설정 가능한 것인, 제어방법. - 터치 감지 및 터치압력 감지가 가능한 장치에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접촉지점에서 제2 접촉지점으로 터치 지점이 이동되는 스와이프(swipe) 제스처를 감지하는 스와이프 감지단계와,
상기 스와이프 제스처에 이어서 상기 제2 접촉지점에서 임계압력보다 큰 압력 터치를 감지하는 압력 터치 감지단계와,
상기 압력 터치가 감지되면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동작단계를 구비하는 제어 방법.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스와이프 감지단계와 상기 압력 터치 감지단계가 앱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수행된 경우에, 상기 제어동작은 실행 중인 상기 앱을 종료시키는 것인, 제어방법.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동작은 한 손 키보드 모드로 변환하는 동작인, 제어방법.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손 키보드 모드로 변환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접촉지점 및 상기 제2 접촉지점이 키보드 상인 경우에 수행되는 것인, 제어방법.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스와이프 제스처의 방향이 좌측이면 한 손 키보드를 좌측에 치우쳐서 표시하고, 상기 스와이프 제스처의 방향이 우측이면 상기 한 손 키보드를 우측에 치우쳐서 표시하는 것인, 제어방법.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스와이프 제스처의 방향이 좌측이면 한 손 키보드를 우측에 치우쳐서 표시하고, 상기 스와이프 제스처의 방향이 우측이면 상기 한 손 키보드를 좌측에 치우쳐서 표시하는 것인, 제어방법.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지점의 위치가 좌측이면 한 손 키보드를 좌측에 치우쳐서 표시하고, 상기 제1 접촉지점의 위치가 우측이면 상기 한 손 키보드를 우측에 치우쳐서 표시하는 것인, 제어방법.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지점에 객체가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동작은 상기 객체의 삭제 또는 전송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인, 제어방법.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스와이프 제스처의 방향이 아래쪽이면 해당 객체를 삭제하고, 상기 스와이프 제스처의 방향이 위쪽이면 상기 해당 객체를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방법.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지점에 객체가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동작은 상기 객체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인, 제어방법. -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동작은 상기 제2 접촉지점으로 상기 객체를 이동시키는 것인, 제어방법.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스와이프 감지 단계에서 스와이프 제스처가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에 상기 객체를 상기 스와이프 제스처의 이동 경로를 따라 표시하는, 제어방법.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파일 리스트 상의 파일, 게임 상의 캐릭터, 앱 리스트 상의 앱, 친구 리스트 상의 친구 중의 어느 하나인, 제어방법.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지점에 객체가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동작은 상기 스와이프 제스처에 따라 상기 객체의 방향(orientation)을 제어하고 상기 제2 접촉지점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기 객체의 방향을 고정하는 것인, 제어방법.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동작은 화면밝기, 음량, 재생속도, 줌레벨 중의 어느 하나(이하, '제어량'이라 함)를 조절하는 것이며, 상기 스와이프 제스처에 따라 상기 제어량의 값을 제어하고, 상기 제2 접촉지점에 대응되는 제어량의 값을 상기 제어량의 디폴트 값으로 설정하는 것인, 제어방법.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스와이프 감지단계에서 스와이프 도중에 객체를 터치하게 되면 해당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압력 터치가 객체 위에서 이루어지면 상기 해당 객체와 관련된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것인, 제어 방법. -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와 관련된 상기 정보는 상기 객체의 미리보기 화면, 상기 객체에 대한 설명, 상기 객체의 판매가격 중의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스와이프 감지단계에서 스와이프 도중에 객체를 터치하게 되면 해당 객체를 강조하여 표시하고,
상기 압력 터치가 객체 위에서 이루어지면 해당 객체와 관련된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것인, 제어 방법. - 제20, 21, 22, 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동작단계는 상기 스와이프 제스처의 방향이 소정 조건을 만족시킬 때 수행하는 것인, 제어방법. - 제20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동작단계는 상기 스와이프 제스처를 수행한 시간이 소정 시간 이내일 때 수행하는 것인, 제어방법.
- 제20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동작단계는 스와이프된 거리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킬 때 수행하는 것인, 제어방법.
- 제20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터치가 소정 횟수 감지된 경우에 상기 제어동작단계를 수행하는 것인, 제어방법.
- 제20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압력은 사용자가 설정 가능한 것인, 제어방법. - 디스플레이;
특정 위치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
터치된 곳의 압력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는 압력 감지부;
상기 터치 감지부와 상기 압력 감지부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되, 제1 접촉지점에서 임계압력보다 큰 압력 터치가 감지되고 이어서 터치 지점이 이동되는 스와이프(swipe) 제스처가 감지된 후에 상기 스와이프 제스처가 종료되면, 상기 제1 접촉지점과 상기 스와이프 제스처의 종료 지점을 잇는 벡터의 방향에 기초하여 미리 지정된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장치. -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동작은 실행중인 앱 종료, 한 손 키보드 모드 변경, 객체의 삭제 또는 전송, 객체의 이동, 객체의 회전 제어 중의 하나인, 장치. - 디스플레이;
특정 위치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
터치된 곳의 압력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는 압력 감지부;
상기 터치 감지부와 상기 압력 감지부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되, 제1 접촉지점에서 제2 접촉지점으로 터치 지점이 이동되는 스와이프(swipe) 제스처에 이어서 상기 제2 접촉지점에서 임계압력보다 큰 압력 터치가 감지되면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장치. -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동작은 실행중인 앱 종료, 한 손 키보드 모드 변경, 객체의 삭제 또는 전송, 객체의 이동, 객체의 회전, 제어량의 디폴트 값 설정 중의 하나인,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7985A KR102044824B1 (ko) | 2017-06-20 | 2017-06-20 | 터치 감지 및 터치압력 감지가 가능한 장치 및 제어방법 |
JP2019559061A JP2020518914A (ja) | 2017-06-20 | 2018-05-04 | タッチ感知及びタッチ圧力感知が可能な装置及び制御方法 |
PCT/KR2018/005191 WO2018236047A1 (ko) | 2017-06-20 | 2018-05-04 | 터치 감지 및 터치압력 감지가 가능한 장치 및 제어방법 |
US16/610,022 US20200089362A1 (en) | 2017-06-20 | 2018-05-04 | Device and control method capable of touch sensing and touch pressure sens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7985A KR102044824B1 (ko) | 2017-06-20 | 2017-06-20 | 터치 감지 및 터치압력 감지가 가능한 장치 및 제어방법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42443A Division KR20190128139A (ko) | 2019-11-08 | 2019-11-08 | 터치 감지 및 터치압력 감지가 가능한 장치 및 제어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7985A KR20180137985A (ko) | 2018-12-28 |
KR102044824B1 true KR102044824B1 (ko) | 2019-11-15 |
Family
ID=64737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77985A Active KR102044824B1 (ko) | 2017-06-20 | 2017-06-20 | 터치 감지 및 터치압력 감지가 가능한 장치 및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200089362A1 (ko) |
JP (1) | JP2020518914A (ko) |
KR (1) | KR102044824B1 (ko) |
WO (1) | WO2018236047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71948A1 (ko) * | 2022-09-28 | 2024-04-04 | 주식회사 스마트아이캠 | 모니터링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973148A (zh) * | 2020-07-24 | 2022-01-25 |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 一种压力三段式按键的实现方法及电子设备 |
CN112612200B (zh) * | 2020-12-10 | 2021-09-24 | 中国地质大学(武汉) | 一种儿童智能手表摘取系统及方法 |
JP7447886B2 (ja) | 2021-12-10 | 2024-03-12 |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 行列操作方法、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
KR102619689B1 (ko) * | 2023-06-30 | 2023-12-28 | 박수빈 | 콘텐츠 기반 구인구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204402A (ja) * | 2007-02-22 | 2008-09-04 | Eastman Kodak Co |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
KR101102087B1 (ko) * | 2009-05-11 | 2012-01-04 | (주)빅트론닉스 | 터치스크린 제어방법, 이를 이용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폰 및 휴대용 전자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643639B2 (en) * | 2001-02-07 | 2003-11-04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Customer self service subsystem for adaptive indexing of resource solutions and resource lookup |
JP4166229B2 (ja) * | 2005-03-14 | 2008-10-15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タッチパネルを備えた表示装置 |
JP4743602B2 (ja) * | 2005-10-04 | 2011-08-10 | 任天堂株式会社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
BRPI0804355A2 (pt) * | 2008-03-10 | 2009-11-03 | Lg Electronics Inc | terminal e método de controle do mesmo |
KR101021757B1 (ko) * | 2009-02-25 | 2011-03-15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한 손으로 조작 가능한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
JP5158023B2 (ja) * | 2009-06-09 | 2013-03-06 | 富士通株式会社 | 入力装置、入力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KR101364837B1 (ko) * | 2009-06-16 | 2014-02-19 | 인텔 코오퍼레이션 | 핸드헬드 디바이스를 위한 적응형 버츄얼 키보드 |
KR101690786B1 (ko) * | 2010-02-12 | 2016-12-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멀티태스킹 수행 장치 및 방법 |
JP2011048832A (ja) * | 2010-08-27 | 2011-03-10 | Kyocera Corp | 入力装置 |
JP5713400B2 (ja) * | 2011-09-26 | 2015-05-07 | Kddi株式会社 | ポインタを用いた指による操作が可能な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動作発動方法及びプログラム |
EP2975512B1 (en) * | 2012-05-09 | 2019-02-06 | Apple Inc. |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 virtual loupe in response to a user contact |
JP5922522B2 (ja) * | 2012-07-24 | 2016-05-24 | 京セラ株式会社 | 携帯端末 |
JP2014106806A (ja) * | 2012-11-28 | 2014-06-09 | Sharp Corp | 情報処理装置 |
CN103064629B (zh) * | 2013-01-30 | 2016-06-15 | 龙凡 | 能动态调整图形控件的便携电子设备及方法 |
JP5759660B2 (ja) * | 2013-06-21 | 2015-08-05 |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 タッチ・スクリーンを備える携帯式情報端末および入力方法 |
JP5881650B2 (ja) * | 2013-07-30 | 2016-03-09 | 三菱電機株式会社 | リモコン装置 |
KR20150082032A (ko) * | 2014-01-07 | 2015-07-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
JP2015135611A (ja) * | 2014-01-17 | 2015-07-27 | シャープ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 |
JP6247651B2 (ja) * | 2014-03-24 | 2017-12-13 | 株式会社 ハイディープHiDeep Inc. | メニュー操作方法及びこれを行うタッチ入力装置を含むメニュー操作装置 |
KR20150121949A (ko) * | 2014-04-22 | 2015-10-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제스처를 인식하는 방법 및 장치 |
-
2017
- 2017-06-20 KR KR1020170077985A patent/KR102044824B1/ko active Active
-
2018
- 2018-05-04 US US16/610,022 patent/US2020008936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8-05-04 WO PCT/KR2018/005191 patent/WO2018236047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8-05-04 JP JP2019559061A patent/JP2020518914A/ja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204402A (ja) * | 2007-02-22 | 2008-09-04 | Eastman Kodak Co |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
KR101102087B1 (ko) * | 2009-05-11 | 2012-01-04 | (주)빅트론닉스 | 터치스크린 제어방법, 이를 이용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폰 및 휴대용 전자장치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71948A1 (ko) * | 2022-09-28 | 2024-04-04 | 주식회사 스마트아이캠 | 모니터링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KR20240044110A (ko) * | 2022-09-28 | 2024-04-04 | 주식회사 스마트아이캠 | 모니터링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KR102712161B1 (ko) * | 2022-09-28 | 2024-10-02 | 주식회사 스마트아이캠 | 모니터링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00089362A1 (en) | 2020-03-19 |
KR20180137985A (ko) | 2018-12-28 |
JP2020518914A (ja) | 2020-06-25 |
WO2018236047A1 (ko) | 2018-12-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952681B2 (en) |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tasks using fingerprint information | |
JP5977627B2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KR102044824B1 (ko) | 터치 감지 및 터치압력 감지가 가능한 장치 및 제어방법 | |
US8739053B2 (en) |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transferring object between two display unit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101971982B1 (ko) | 터치 감지 및 터치압력 감지가 가능한 장치 및 제어방법 | |
US8542185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mobile terminal | |
EP2068235A2 (en) | Input device, display device, input method, display method, and program | |
US9703418B2 (en) | Mobile terminal and display control method | |
JP2013228953A (ja) |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US11354031B2 (en) | Electronic apparatus,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and display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a scroll speed of a display screen | |
KR20190128139A (ko) | 터치 감지 및 터치압력 감지가 가능한 장치 및 제어방법 | |
JP2013065290A (ja) |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KR101911680B1 (ko) |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화면 제어 방법 | |
JP5762885B2 (ja) |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6663131B2 (ja) | 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6242045B2 (ja) |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2017194776A (ja) | 携帯端末装置 | |
US20200033959A1 (en) | Electronic apparatus,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and display control method | |
JP5740366B2 (ja) |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2013047921A (ja) |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2014067297A (ja) |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KR20120018926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11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1108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