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65734A - 차량 진단 커넥터를 이용하여 차량을 진단하는 차량용 단말 - Google Patents

차량 진단 커넥터를 이용하여 차량을 진단하는 차량용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5734A
KR20100065734A KR1020080124223A KR20080124223A KR20100065734A KR 20100065734 A KR20100065734 A KR 20100065734A KR 1020080124223 A KR1020080124223 A KR 1020080124223A KR 20080124223 A KR20080124223 A KR 20080124223A KR 20100065734 A KR20100065734 A KR 20100065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driving
self
diagnostic conne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4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기구
김재영
이은령
방준학
안성호
김종욱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24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5734A/ko
Priority to US12/632,329 priority patent/US20100145571A1/en
Publication of KR20100065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573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16Indicating performance data, e.g. occurrence of a malfun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6Indicating mainten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GPS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 차량 진단 커넥터에 접속되어 차량 진단 커넥터로부터 자기 진단 정보를 입력받고, 차량 진단 커넥터를 통해 차량의 전자 제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자기 진단 정보 및 GPS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처리하여 운전자가 차량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도록 운행 정보, 주행 상태에 관한 정보, 부품 상태에 관한 정보, 소모품 교환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는 제어부; 및 운행 정보, 주행 상태에 관한 정보, 부품 상태에 관한 정보, 소모품 교환에 관한 정보를 운전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상호 작용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가 고장 나기전에 미리 확인하고 정비를 받을 수 있게 되고, 적기에 소모품 및 차량 부품을 교환하여 안전 운전 및 비용 절감을 달성할 수 있가 있다. 또한 운전 습관 교정을 통해 연료절약을 할 수가 있게 된다.

Description

차량 진단 커넥터를 이용하여 차량을 진단하는 차량용 단말{In-vehicle terminal for diagnosing vehicle using OBD connector}
본 발명은 차량 진단 커넥터를 이용하여 차량을 진단하는 차량용 단말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차량 진단 커넥터를 이용하여 차량을 진단하는 차량용 단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명:미래지능형 자동차전장용 임베디드 SW플랫폼기술 개발].
OBD는 On Board Diagnosis의 약자로, 현재 출시되는 모든 차량에는 차량 자기 진단 커넥터인 OBD 커넥터가 차량의 전면 대쉬보드 쪽에 제공되고 있다(도 1 참고). 현재 기술 발전에 의하여 차량을 자기 진단할 수 있는 범위가 증가하여서 CARB(California Air Resource Board)의 주도하에 더 포괄적인 OBD 법규가 제정되었다. 그에 따라 OBD-Ⅱ가 개발되었고, 여기에는 새로운 시스템에 대한 차량 자기 진단 기능이 많이 추가되었다. 예를 들어, 촉매 변환 장치 진단, 실화 진단, 캐니스터 퍼지(Canister Purge) 진단, 2차 공기 시스템 진단 등이 추가 되었다. 또한 자동차 회사마다 통신 방법 또한 표준화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 제공되는 차량 진단 커넥터(예컨대, OBD-Ⅱ 커넥터)를 통해 차량 자기 진단을 수행할 수가 있게 되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차량 진단 장치는 자동차 정비 업소 등에 비치되어 있기 때문에, 자동차의 부품이 고장유무가 의심되거나 운전자가 자동차의 고장 유무를 진단하고 싶을 때에는 자동차 정비 업소를 방문하여 차량 진단 장치를 차량 진단 커넥터에 연결하고 자동차의 고장 유무를 점검하여야만 한다. 이 경우 운전자는 자동차 정비업소를 직접 방문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으로 인해, 최근 국내외에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을 포함한 몇몇 차량진단 시스템이 판매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시스템들의 대부분은 차량의 상태 정보를 수집한 후 유무센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원격지에 있는 별도의 서버에 전송하여 분석한 후 운전자에게 정보를 제공해 주는 시스템들이다.
그리고, 차량 진단 커넥터에 연결하여 다양한 차량 상태 정보를 운전자에게 바로 제공해주는 시스템들이 있으나, 이러한 시스템은 별도의 하드웨어 장치를 두어 차량의 차량 진단 커넥터와 내비게이션 단말을 연결하여만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차량 진단 커넥터(OBD-Ⅱ 커넥터)에 접속된 통신 인터 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는 다양한 자기 진단 정보를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포함한 차량 단말에서 입력받아, 이를 처리하여 운전자에게 운행 정보, 주행 상태에 관한 정보, 부품 상태에 관한 정보, 및 소모품 교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줌으로써, 운전자가 안전하고 경제적인 운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단말은,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차량 진단 커넥터에 접속되어 차량 자기 진단을 수행하는 차량용 단말로서, GPS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 상기 차량 진단 커넥터에 접속되어 상기 차량 진단 커넥터로부터 자기 진단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차량 진단 커넥터를 통해 차량의 전자 제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자기 진단 정보 및 상기 GPS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처리하여 운전자가 차량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도록 운행 정보, 주행 상태에 관한 정보, 부품 상태에 관한 정보, 소모품 교환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운행 정보, 상기 주행 상태에 관한 정보, 상기 부품 상태에 관한 정보, 상기 소모품 교환에 관한 정보를 운전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상호 작용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단말.
특히,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OBD-Ⅱ 커넥터 표준(SAE J-1962)을 따르며, ISO, KWP, PWM, CAN, VWP 통신 프로토콜 중 하나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Bluetooth, IrDA, ZigBee 중 하나 이상의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해 상기 차량 진단 커넥터로부터 자기 진단 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량 진단 커넥터의 접속 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차량의 배터리 전원을 상기 차량용 단말의 공급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차량용 단말로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운행 정보는, 차량의 현재 주행속도, 평균연료 소모율, 주행가능거리, 평균연비, 순간연비, 평균 RPM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행 상태에 관한 정보는, 현재 차량의 주행 상태가 저속주행, 과속주행, 경제주행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국 지도에 대한 지도 데이터, 지도 데이터와 연관된 경로 안내 데이터, 및 경로 안내 제어 프로그램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경로 검색 및 경로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실행을 제어하고, 저장된 지도 데이터와 경로 안내 제어 프로그램 이용하여 운전자가 선택한 목적지에 대해 경로를 안내하는 경로 안내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전국 지도를 일정 크기(mesh)의 그리드(grid) 형태로 분할하여 각 그리드 별로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각 그리드 별로 인덱스를 부여한 인덱스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을 얻을 수 있다.
종래 차량 진단을 수행하기 위해 차량 진단 커넥터와 디스플레이 수단을 갖는 차량용 단말을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하드웨어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차량 내부가 복잡해 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운전자가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운전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운전자에게 운행 정보, 주행 상태에 관한 정보, 부품 상태에 관한 정보, 및 소모품 교환에 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해줌으로써, 운전자가 안전하고 경제적인 운전을 수행할 수가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가 고장 나기전에 미리 확인하고 정비를 받을 수 있게 되고, 적기에 소모품 및 차량 부품을 교환하여 안전 운전 및 비용 절감을 달성할 수 있가 있다. 또한 운전 습관 교정을 통해 연료절약을 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진단 커넥터를 이용하여 차량을 진단하는 차량용 단말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진단이 가능한 차량용 단말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 진단 커넥터(1)에 접속되고, 차량 진단 커넥터(1)를 통해 전송되는 자기 진단 정보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단말(100, 차량 단말)은 차량 진단 커넥터(1)로부터 차량의 자기 진단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가공 및 처리하여 운전자에게 운행 정보, 주행 상태에 관한 정보, 부품 상태에 관한 정보, 및 소모품 교환에 관한 정보 등을 제공한다. 따라서, 운전자가 안전하고 경제적인 운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차량 진단 커넥터(1)는 OBD-Ⅱ 커넥터가 될 수 있다.
도 1을 통해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출시되는 모든 차량에는 차량 진단 커넥터가 차량의 전면 대쉬보드 쪽에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OBD 법규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차량이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단말을 이용하여 자가 차량의 자기 진단을 수행할 수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진단 커넥터를 이용하여 차량을 진단하는 차량용 단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단말(100)은 차량 진단 커넥터(1)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 차량용 단말(100)이 사용할 수 있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20),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상호 작용부(130), 음성 출력부(140), 본 발명에 구현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150), 위성으로부터 GPS신호를 수신하는 GPS수신부(160), 및 차량 진단 커넥터(1)로부터 전송되는 자기 진단 정보를 처리하여 운전자가 자가 차량을 진단할 수 있도록 운행 정보, 주행 상태에 관한 정보, 부품 상태에 관한 정보, 소모품 교환에 관한 정보 등을 추출 및 산출하는 제어부(170)를 구비한다.
도 3을 참고하여,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진단이 가능한 차량용 단말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유무선으로 차량 내부의 차량 진단 커넥터(1)에 접속하여 차량 진단 커넥터(1)를 통해 차량 내 전자 제어장치(도시 생략)와 자기 진단 통신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전자 제어장치로부터 자기 진단 정보를 입력받는다. 차량 진단 커넥터(1)가 OBD-Ⅱ 커넥터인 경우, OBD-Ⅱ 커넥터는 ISO, KWP, PWM, CAN, VWP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차량 진단 커넥터(1)에 연결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OBD-Ⅱ 커넥터 표준(SAE J-1962)을 따라야 하며, ISO, KWP, PWM, CAN, VWP 통신 프로토콜 중 하나 이상을 지원한다. 차량 내 전자 제어장치는 차량의 엔진제어장치, 변속제어장치(TCU), 현가제어장치, 제동제어장치 등의 차량 내 전자 제어장치(ECU)를 총칭하는 것으로, 상기한 전자 제어장치는 차량제어기능 이외에 운행 중 검출되는 차량의 상태를 자기 진단 정보 또는 차량 운행 정보의 일부로서 저장하거나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한 OBD 표준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은 국제 규약에 따라 변화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각 국제 규약에 대응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구성하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봐야할 것이다.
통신 인터페이부(110)가 유선으로 구현되는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차량 진단 커넥터(1)를 통해 입력받은 자기 진단 정보가 제어부(170)에 전달될 수 있도록 USB, RS-232 등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반면, 통신 인터페이스부(110)가 무선으로 구현되는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차량 진단 커넥터(1)에 부착되어 Bluetooth, IrDA, ZigBee 등과 같은 무선통신을 이용해 통신하는 제 1통신모듈,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단말(100) 내부에 설치되어 차량 진단 커넥터(1)에 부착된 제 1통신모듈과 Bluetooth, IrDA, ZigBee 등과 같은 무선통신을 이용해 통신하는 제 2통신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인터 페이스부(11)가 무선으로 구현되는 경우, 별도의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운전 공간 주위에 배선 설계에 대한 고려를 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이 가능하도록 커넥션을 설정하는 방식 은 이미 당업자에게 자명한 공지 기술인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원 공급부(120)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12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0)가 유선으로 구현될 경우, 차량 진단 커넥터(1)의 접속 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여 주도록 구성된다. 즉, 전원 공급부(120)는 전원차량 진단 커넥터(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예컨대, 12V 또는 14V)을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단말의 작동 전압(3V 또는 3.3V)으로 조정하여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단말에는 별도의 배터리가 불필요하게 되고, 부피를 줄이 수 있게 되고, 사용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차량 장착의 용이성을 더욱 고양시킬 수가 있다.
하지만, 통신 인터페이스부(10)가 무선으로 구현될 경우에는 별도의 전원을 외부로부터 공급받아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거나, 내장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한다.
음성 출력부(140)는 제어부(170)로부터 운행 정보, 주행 상태에 관한 정보, 부품 상태에 관한 정보, 소모품 교환에 관한 정보 등을 입력받아, 이를 기초로 경고 알림 등의 음성을 발생 시킬 수 있는 기계적 혹은 전자적 음성 발생 장치이다.
저장부(150)는 본 발명에 구현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150)는 차량 진단 커넥터(1)를 통해 입력되는 자기 진단 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제어부(170)에 제공할 수 있도록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나 램(RAM)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저장부(150)는 차량용 단말(100)이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2D 또는 3D의 지도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150)는 전국 지도에 대한 지도 데이터, 지도 데이터와 연관된 경로 안내 데이터를 구축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경로 안내 기능을 포함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경로안내 제어 프로그램과, 경로 검색 및 경로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실행을 제어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 제어 프로그램과, 탐색 경로를 중심으로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한 시설물 검색을 제어하는 검색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저장부(150)는 전국 지도를 일정 크기(mesh)의 그리드(grid) 형태로 분할하여 각 그리드 별로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각 그리드 별로 인덱스를 부여하여 인덱스 정보에 저장함으로써 인덱스 정보를 통해 그리드 별 지도 데이터의 관리 및 접근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 지도 상에 존재하는 각종 시설물, 예를 들어 병원, 약국, 주유소, 주차장, 은행, 숙박시 설, 음식점, 편의점, 지하철 등의 항목으로 분류된 시설물 정보는 비트 단위 형태의 정보로 상기 저장부(150)의 인덱스 정보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다양한 프로그램 들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차계부, 게임, 영화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들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GPS 수신부(160)는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부(170)는 상호 작용부(130)를 통해 운전자로부터 자기 진단 명령을 입력받으면, 차량 진단 커넥터(1)로부터 자기 진단 정보, GPS 수신부(160)로부터 GPS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처리하여 운전자가 자가 차량을 진단할 수 있도록 운행 정보, 주행 상태에 관한 정보, 부품 상태에 관한 정보, 소모품 교환에 관한 정보 등을 추출 및 산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170)는 운전자로부터 자기 진단 명령을 입력받으면, 자기 진단 명령이 포함된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차량 진단 커넥터(1)를 통해 차량 내 전자 제어장치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차량 내 전자 제어장치는 본 발명의 차량용 단말로(100)부터 자기 진단 메시 명령이 포함된 메시지를 전송받게 된다. 차량 내 전자 제어장치는 차량용 단말(100)로부터 자기 진단 요구가 전송되면 메모리 수단에 저장한 차량 각 부분에 대한 자기 진단 정보를 추출하여 K-line 또는 CAN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차량 진단 커넥터(1)로 전송하고, 차량 진단 커넥터(1)에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차량용 단말(100)로 자기 진단 정보가 전송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진단 정보를 자기 진단 요구에 응답하여 차량 내 전자 제어장치가 메모리에 저장된 자기 진단 정보를 추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상기한 전자 제어장치가 자기 진단 요구시 차량 각 부분에 대하여 자기 진단을 수행하고 현재 자기 진단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70)에서의 '처리'란 정보 분석, 비교 연산 수행, 자기 진단 정보(차량 내부 정보) 획득을 위한 자기 진단 통신 수행, 자기 진단 정보를 외부 장치에 출력하는 동작 등을 포괄적으로 포함한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CDMA 단말기, 스마트 폰, PDA, 컴퓨터, 노트북, 자동자 정비소의 단말기 등 정보 처리 단말기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어부(170)는 운행정보 처리부(172), 주행상태 판단부(174), 부품상태 판단부(176), 소모품 교환정보 산출부(178), 검색부(180), 및 경로 안내부(182)를 구비한다.
운행정보 처리부(172)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입력받은 자기 진단 정보를 이용하여 안전운전을 위한 운행정보를 추출하거나 비교 연산하여 산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현재 주행속도, 평균연료 소모율, 주행가능거리, 평균연비, 순간연비, 평균 RPM 등을 추출 및 산출하여 상호 작용부(130)의 GUI 및 음성 출력부(140)를 통해 운전자(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주행상태 판단부(174)는 주행중인 운전자의 현재 주행상태를 파악하여 상호 작용부(130)의 GUI 및 음성 출력부(140)를 통해 운전자에게 현재 주행상태를 알려준다. 보다 상세하게는, 주행상태 판단부(174)는 현재 주행상태가 저속주행, 과속주행, 경제주행 등 인지를 파악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한다.
부품상태 판단부(176)는 차량 진단 커넥터(1)를 통해 전송되는 차량 내 장착 또는 설치된 부품의 이상 유무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부품에 대한 상태 정보(즉, 부품의 이상 유무에 대한 정보)를 파악 및 처리하여 상호 작용부(130)의 GUI 및 음성 출력부(140)를 통해 운전자에게 제공한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 시스템, 에어백 등과 같은 차량 내 설치된 부품의 이상 유무에 대한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한다.
소모품 교환정보 산출부(178)는 차량 진단 커넥터(1)를 통해 전송되는 자기 진단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가공 및 처리하여 차량 내 장착 또는 설치된 소모품들에 대한 교환 정보를 상호 작용부(130)의 GUI 및 음성 출력부(140)를 통해 운전자에게 제공한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수, 에어 크리너, 오일필터, 플러그 배선, 엔진 오일 등과 같은 차량 내 소모품들에 대한 교환 정보(예를 들어, 교환 주기)를 운전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교환 시 주행거리는 운전자가 소모품을 교환할 때 주행거리를 입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할 경우, 차량 진단 커넥터(1)를 통해 출력되는 자기 진단 정보를 제어부(170)에서 차량 전자 제어장치와의 통신을 통해 획득하고, 차량 정보 및 차량 자기 진단 정보, 차량 운행 정보 등을 제어부(170)에서 관리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비교연산을 시행하여 상호 작용부(130) 및 음성 출력부(140)를 통해 운전자에게 경고하거나 제 3자에게 알려주는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획득한 정보 및 처리 한 정보를 외부의 정보 출력 장치로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단말(100)은 차량의 고장 발생, 주행 상태를 분석하여 운전자의 운전성향 분석, 급가속, 급제동, 과속, 엔진 과열 등을 파악할 수 있고, 이를 운전자에게 상호 작용부(13) 및 음성 출력부(140)을 통해 알려줄 수도 있다.
경로 안내부(18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경로안내 제어 프로그램과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경로 안내 기능을 포함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경로 안내부(182)는 경로 검색 및 경로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실행을 제어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 제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운전자가 선택한 목적지에 대해 지도 상에 경로 안내 객체를 생성하고, 상호 작용부(130)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단말은 외부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외부 통신 인터페이스부(도시 생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으로는 RS-232 또는 USB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으로는 RF통신이 가능하도록 Bluetooth, IrDA, ZigBee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이 가능하도록 커넥션을 설정하는 방식은 이미 당업자에게 자명한 공지 기술인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부 단계들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몸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CD-RW,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HDD, 광 디스크, 광자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차량 진단 커넥터인 OBD-Ⅱ 커넥터가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진단 커넥터를 이용하여 차량을 진단하는 차량용 단말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진단 커넥터를 이용하여 차량을 진단하는 차량용 단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단말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는 도면이다.

Claims (8)

  1.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차량 진단 커넥터에 접속되어 차량 자기 진단을 수행하는 차량용 단말로서,
    GPS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
    상기 차량 진단 커넥터에 접속되어 상기 차량 진단 커넥터로부터 자기 진단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차량 진단 커넥터를 통해 차량의 전자 제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자기 진단 정보 및 상기 GPS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처리하여 운전자가 차량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도록 운행 정보, 주행 상태에 관한 정보, 부품 상태에 관한 정보, 소모품 교환에 관한 정보를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연산을 시행하여 산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운행 정보, 상기 주행 상태에 관한 정보, 상기 부품 상태에 관한 정보, 상기 소모품 교환에 관한 정보를 운전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상호 작용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단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OBD-Ⅱ 커넥터 표준(SAE J-1962)을 따르며, ISO, KWP, PWM, CAN, VWP 통신 프로토콜 중 하나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단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Bluetooth, IrDA, ZigBee 중 하나 이상의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해 상기 차량 진단 커넥터로부터 자기 진단 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단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 진단 커넥터의 접속 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차량의 배터리 전원을 상기 차량용 단말의 공급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차량용 단말로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단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행 정보는,
    차량의 현재 주행속도, 평균연료 소모율, 주행가능거리, 평균연비, 순간연비, 평균 RPM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단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행 상태에 관한 정보는,
    현재 차량의 주행 상태가 저속주행, 과속주행, 경제주행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단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전국 지도에 대한 지도 데이터, 지도 데이터와 연관된 경로 안내 데이터, 및 경로 안내 제어 프로그램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경로 검색 및 경로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실행을 제어하고, 저장된 지도 데이터와 경로 안내 제어 프로그램 이용하여 운전자가 선택한 목적지에 대해 경로를 안내하는 경로 안내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단말.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전국 지도를 일정 크기(mesh)의 그리드(grid) 형태로 분할하여 각 그리 드 별로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각 그리드 별로 인덱스를 부여한 인덱스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단말.
KR1020080124223A 2008-12-08 2008-12-08 차량 진단 커넥터를 이용하여 차량을 진단하는 차량용 단말 Ceased KR2010006573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223A KR20100065734A (ko) 2008-12-08 2008-12-08 차량 진단 커넥터를 이용하여 차량을 진단하는 차량용 단말
US12/632,329 US20100145571A1 (en) 2008-12-08 2009-12-07 In-vehicle terminal for diagnosing vehicle using obd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223A KR20100065734A (ko) 2008-12-08 2008-12-08 차량 진단 커넥터를 이용하여 차량을 진단하는 차량용 단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5734A true KR20100065734A (ko) 2010-06-17

Family

ID=42232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4223A Ceased KR20100065734A (ko) 2008-12-08 2008-12-08 차량 진단 커넥터를 이용하여 차량을 진단하는 차량용 단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145571A1 (ko)
KR (1) KR20100065734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679B1 (ko) * 2011-12-30 2012-03-20 주식회사 허즈앤티 에코 드라이빙 유도와 연료 소모량 확인 방법
WO2013058415A1 (ko) * 2011-10-18 2013-04-25 주식회사 솔리드아이비 스마트폰을 활용한 차량 스캐너
KR101303735B1 (ko) * 2011-09-30 2013-09-0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과 외부통신 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324594B1 (ko) * 2011-12-20 2013-11-01 전자부품연구원 차량 상태정보 전달장치 및 방법
KR101405727B1 (ko) * 2012-11-12 2014-06-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계부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20160073734A (ko) * 2014-12-17 2016-06-27 주식회사 유디테크 스마트키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46220A (ko) * 2016-10-27 2018-05-08 지플레인 주식회사 전주기적 자동차 진단 시스템
KR102608553B1 (ko) * 2022-12-27 2023-12-01 주식회사 케이제이알앤디 차량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24106868A1 (ko) * 2022-11-14 2024-05-23 르노코리아자동차 주식회사 전기자동차 배터리 진단 장비용 케이블 및 그 케이블을 이용한 차종 선택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7544A1 (en) * 2010-09-27 2012-04-12 Force Protection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integration of vehicle systems
US9286265B2 (en) 2010-10-28 2016-03-15 Innovation Gap Inc.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an electronic control unit of a vehicle
FR2977686A1 (fr) * 2011-07-07 2013-01-11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ysteme et procede d'autodiagnostic interactif embarque, autonome d'un vehicule terrestre
JP5536736B2 (ja) * 2011-10-24 2014-07-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診断方法及び外部診断装置
CN103481835B (zh) * 2013-09-29 2016-05-18 中国科学院深圳先进技术研究院 一种车载电子装置
CN104035432B (zh) * 2014-05-23 2017-05-24 深圳市元征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obd的汽车行程信息统计方法
CN104735125B (zh) * 2014-12-20 2019-01-25 南京矛盾防辐射科技有限公司 一种车载娱乐系统的娱乐数据同步方法
JP5937238B2 (ja) * 2015-01-06 2016-06-2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インフラ装置、車両のパーツの診断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車両のパーツの診断方法
CN106143365A (zh) * 2015-04-20 2016-11-23 深圳市力可普尔电子有限公司 取电装置及车辆
CN105043479A (zh) * 2015-07-13 2015-11-11 贺志君 远程车辆柴油发动机油耗监测装置、方法及车辆
SE539427C2 (en) * 2015-12-15 2017-09-19 Greater Than S A Method and system for assessing the trip performance of a driver
CN106773968A (zh) * 2016-12-22 2017-05-31 北京航天益森风洞工程技术有限公司 基于v2x无线通信的车载智能终端装置
CN107458307A (zh) * 2017-09-15 2017-12-12 四川莹润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安全驾驶智能提示装置
CN109698862A (zh) * 2018-12-17 2019-04-30 深圳市道通科技股份有限公司 车辆的诊断方法、管理服务器和诊断服务器
CN116088459B (zh) * 2021-11-08 2025-06-03 广州优胜汽车科技有限公司 Obd接口的引脚切换电路及故障诊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884A (ja) * 1996-06-24 1998-01-16 Mitsubishi Electric Corp 車両用経路案内装置および経路探索方法
JP2003044704A (ja) * 2001-07-31 2003-02-14 Honda Motor Co Ltd サービス提供方法
US20040249557A1 (en) * 2003-05-28 2004-12-09 Wherenet Corp Vehicle tag used for transmitting vehicle telemetry data
KR20050048023A (ko) * 2003-11-18 2005-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적외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차량의 주행 기록 관리 시스템
TWI295247B (en) * 2006-01-02 2008-04-01 Appro Technology Inc Rear-view mirror with front and rear bidirectional lens and screen for displaying image
US8630768B2 (en) * 2006-05-22 2014-01-14 Inthinc Technology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vehicle parameters and driver behavior
US7928837B2 (en) * 2007-08-09 2011-04-19 Drew Technologies Data acquisition and display system for motor vehicles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735B1 (ko) * 2011-09-30 2013-09-0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과 외부통신 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3058415A1 (ko) * 2011-10-18 2013-04-25 주식회사 솔리드아이비 스마트폰을 활용한 차량 스캐너
KR101324594B1 (ko) * 2011-12-20 2013-11-01 전자부품연구원 차량 상태정보 전달장치 및 방법
KR101125679B1 (ko) * 2011-12-30 2012-03-20 주식회사 허즈앤티 에코 드라이빙 유도와 연료 소모량 확인 방법
KR101405727B1 (ko) * 2012-11-12 2014-06-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계부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20160073734A (ko) * 2014-12-17 2016-06-27 주식회사 유디테크 스마트키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46220A (ko) * 2016-10-27 2018-05-08 지플레인 주식회사 전주기적 자동차 진단 시스템
WO2024106868A1 (ko) * 2022-11-14 2024-05-23 르노코리아자동차 주식회사 전기자동차 배터리 진단 장비용 케이블 및 그 케이블을 이용한 차종 선택 방법
KR102608553B1 (ko) * 2022-12-27 2023-12-01 주식회사 케이제이알앤디 차량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45571A1 (en)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65734A (ko) 차량 진단 커넥터를 이용하여 차량을 진단하는 차량용 단말
CN104570791B (zh) 用于通信附接在车辆上的物体的系统和方法
EP1973078B1 (en) System and method improving the driving efficiency
JP6310332B2 (ja) 車両診断機及び車両診断方法
CN101434221A (zh) 车辆故障诊断设备
CN102594929A (zh) 车载信息中心控制单元
JP2011076322A (ja) 車載通信端末装置および車両内部データ配信方法
WO2015002025A1 (ja) 運転評価の指標生成方法、情報処理装置、車載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と制御プログラム
JP6565571B2 (ja) 車両診断システム及び方法
EP3868577A1 (en) Computer system with tire wear measurement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CN202584724U (zh) 车载信息中心控制单元
JP2016203933A (ja) Obdアダプタ及びその取り付け方法
JP6338247B2 (ja) 車載システム、車載器、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6310331B2 (ja) 車両診断用のデータ収集装置及びデータ収集方法
CN103856519A (zh) 在检测出异常车载信息时产生对应提示的系统及其方法
JP3217361U (ja) 車載情報提供装置
JP2013101426A (ja) 車載通信装置
WO2019051045A1 (en) FACILITATING TRANSPORT ARRANGEMENTS BETWEEN PLATFORMS WITH THIRD-PARTY SUPPLIERS
CN103890558B (zh) 车辆诊断方法和外部诊断装置
KR20150083887A (ko) 차량 센서들을 이용한 핸드셋 센서들의 증강
KR20090000638A (ko) 자동차용 미디어 플레이어를 이용한 자동차 상태 관리 방법및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60124044A (ko) 차량운행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10085265A (ko) 차량 원격 진단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차량 관리 방법
KR20110117969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실시간 차량 진단 모니터링 시스템
KR101102469B1 (ko) 무선 통합 ap를 이용한 사용자들의 서비스 활용 및 운용 시스템과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1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03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1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