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53186A - 썸네일 생성 방법 및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썸네일 생성 방법 및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3186A
KR20100053186A KR1020080112202A KR20080112202A KR20100053186A KR 20100053186 A KR20100053186 A KR 20100053186A KR 1020080112202 A KR1020080112202 A KR 1020080112202A KR 20080112202 A KR20080112202 A KR 20080112202A KR 20100053186 A KR20100053186 A KR 20100053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umbnail
xps file
file
xps
p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2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우열
김행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2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3186A/ko
Priority to US12/547,725 priority patent/US9082064B2/en
Priority to EP09169210A priority patent/EP2187304A3/en
Priority to CN200910173054A priority patent/CN101739224A/zh
Priority to JP2009252911A priority patent/JP5614749B2/ja
Publication of KR20100053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318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8Conditioning data for presenting it to the physical printing elements
    • G06K15/1801Input data handling means
    • G06K15/181Receiving print data characterized by its formatting, e.g. particular page description languages
    • G06K15/1811Receiving print data characterized by its formatting, e.g. particular page description languages including high level document description on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5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increased flexibility in print job configuration, e.g. job settings, print requirements, job tick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42Image or content composition onto a p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44Job translation or job parsing, e.g. page banding
    • G06F3/1246Job translation or job parsing, e.g. page banding by handling markup languages, e.g. XSL, XML, HTM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3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 G06F3/1258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by updating job settings at the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8Conditioning data for presenting it to the physical printing elements
    • G06K15/1848Generation of the printable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Abstract

썸네일 생성 방법이 개시된다. 본 썸네일 생성 방법은, XPS(XML Paper Specification) 파일을 선택받는 단계, XPS 파일의 구조를 분석하는 단계, 분석에 따라, XPS 파일에 대한 썸네일(Thumbnail)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썸네일 이미지를 XPS 파일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손쉽게 XPS 파일에 썸네일을 추가할 수 있다.
썸네일, 미리 보기, XPS 파일, 화상형성장치, 단말장치

Description

썸네일 생성 방법 및 화상형성장치{METHOD FOR PRODUCING THUMBNAIL,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썸네일 생성 방법 및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XPS 파일 내에 썸네일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손쉽게 썸네일을 추가할 수 있는 썸네일 생성 방법 및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컴퓨터와 같은 단말장치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기록 용지에 인쇄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의 예로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 Function Peripheral: MFP) 등을 들 수 있다.
최근 보급되는 화상형성장치는 PDF, TIFF, JPG 등과 같은 문서 데이터에 대한 직접 인쇄 기능까지 지원하고 있다. 직접 인쇄(Direct Printing) 기능이란, PC, 노트북 PC, PDA, 디지털 카메라 등의 단말장치에서 별도의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키지 않고, 화상형성장치로 파일을 전송하는 것만으로 바로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한편, 이러한 직접 인쇄를 지원하는 데이터로 XPS 파일이 있다. XPS 파일은 문서 서식이 유지되고 파일 공유가 가능한 고정된 레이아웃의 전자 파일로, 해당 문서 또는 작업에 필요로 하는 모든 리소스를 디렉터리 구조로 체계화한 후 그들 사이의 참조 관계 등을 XML을 써서 기술한 데이터 및 리소스 모두를 ZIP 형태로 묶은 파일이다. 이러한 XPS 파일은 도 1과 같은 복수개의 계층을 갖는 트리 구조의 형태의 논리 구조를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XPS 파일은 작업 레벨, 문서 레벨, 페이지 레벨과 같이 계층적으로 구성되며, 각 문서 레벨, 페이지 레벨에는 복수개의 문서,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문서, 페이지마다 다른 인쇄 옵션이 설정될 수 있으며, 각각의 문서, 페이지에 해당하는 썸네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XPS 파일에 썸네일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를 추가할 수 있는 방법을 지원하지 않았으며, PC와 같은 단말장치에서도 XPS 파일에 썸네일을 추가하기 위해서는 XPS 파일 내의 각종 XML 파일 및 이미지를 사용자가 일일이 수정하고 추가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XPS 파일에 썸네일을 용이하게 추가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XPS 파일 내에 썸네일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XPS 파일의 구조를 분석하여 손쉽게 XPS 파일 내에 썸네일을 추가할 수 있는 썸네일 생성 방법 및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썸네일 생성 방법은, XPS(XML Paper Specification) 파일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XPS 파일의 구조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에 따라, 상기 XPS 파일에 대한 썸네일(Thumbnail)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XPS 파일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XPS 파일의 구조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XPS 파일에 대한 작업, 문서 및 페이지 구성을 분석하고, 상기 작업, 문서 및 페이지에서 썸네일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파일을 선택받는 단계는, 상기 XPS 파일에 대한 인쇄 명령 및 썸네일 생성 명령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XPS 파일에 대한 선택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썸네일 생성 방법은, 상기 수신된 XPS 파일에 썸네일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XPS 파일에 썸네일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음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XPS 파일 내의 작업 구성, 파일 구성 및 페이지 구성 각각에 대한 썸네일의 존부를 표시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작업 구성, 파일 구성 및 페이지 구성 각각에 대한 썸네일 생성 여부를 선택받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통하여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선택한 영역에 대해서만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XPS 파일의 모든 영역, 상기 XPS 파일의 모든 문서 레벨 영역, 상기 XPS 파일의 모든 페이지 레벨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하는 문서 및 페이지 영역에 대한 랜더링된 데이터 또는 상기 썸네일에 대응하는 문서 및 페이지 영역에 대한 인쇄 데이터를 이용하여 썸네일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썸네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랜더링된 데이터 또는 상기 인쇄 데이터를 기정의된 썸네일 이미지 사이즈로 축소하여 썸네일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썸네일 생성 방법은, 상기 썸네일이 추가된 XPS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XPS(XML Paper Specification) 파일을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XPS 파일의 구조를 분석하는 분석부, 상기 분석에 따라, 상기 XPS 파일에 대한 썸네일(Thumbnail) 이미지를 생성하는 썸네일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썸네일을 상기 XPS 파일에 추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분석부는, 상기 XPS 파일에 대한 작업, 문서 및 페이지 구성을 분석하고, 상기 작업, 문서 및 페이지 구성 각각에 대해서, 썸네일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XPS 파일에 대한 인쇄 명령 및 썸네일 생성 명령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XPS 파일에 대한 선택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수신된 XPS 파일에 썸네일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XPS 파일에 썸네일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음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XPS 파일 내의 작업 구성, 파일 구성 및 페이지 구성 각각에 대한 썸네일의 존부를 표시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작업 구성, 파일 구성 및 페이지 구성 각각에 대한 썸네일 생성 여부를 선택받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통하여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썸네일 생성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영역에 대해서만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썸네일 생성부는, 상기 XPS 파일의 모든 영역, 상기 XPS 파일의 모든 문서 레벨 영역, 상기 XPS 파일의 모든 페이지 레벨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썸네일 생성부는, 상기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하는 문서 및 페이지 영역에 대한 랜더링된 데이터 또는 상기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하는 문서 및 페이지 영역에 대한 인쇄 데이터를 이용하여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썸네일 생성부는, 상기 랜더링된 데이터 또는 상기 인쇄 데이터를 기정의된 썸네일 이미지 사이즈로 축소하여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썸네일이 추가된 XPS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썸네일이 추가된 XPS 파일을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화상형성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저장부(130), 분석부(140), 썸네일 생성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PC, 노트북 PC, PDA, 디지털 카메라 등의 단말장치(미도시)와 연결되며, XPS(XML Paper Specification) 파일을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화상형성장치(100)를 외부장치와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고,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단말장치에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를 통하여 접속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직접 인쇄(Direct Printing) 방 식으로 XPS 파일 자체를 수신받을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단말장치(미도시)로부터 직접 인쇄 방식으로 XPS 파일을 전송받을 수 있으며, USB 포트를 통하여 USB 메모리 등과 같은 저장매체로부터 XPS 파일을 수신받을 수 있다.
여기서 XPS 파일이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계층을 갖는 트리 구조로 인쇄 옵션이 설정된 인쇄 데이터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XPS 파일은 각 계층 및 각 트리의 매듭마다 별도의 인쇄 옵션이 설정될 수 있으며, 각각의 문서 및 페이지에 해당하는 썸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XPS 파일은 작업 레벨(10), 문서 레벨(20), 페이지 레벨(30)을 갖는 계층적 구조를 갖으며, 작업 영역에 해당하는 썸네일(11) 및 각각의 페이지 영역에 해당하는 썸네일(31, 32, 33, 34)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지원하는 각종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 또는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의 인쇄 명령, XPS 파일에 대한 썸네일 생성 명령을 수신하거나,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제공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터치패드 등과 같이 입력과 출력이 동시에 구현되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고, 마우스 및 모니터의 결합을 통한 장치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이용하여, 썸네일을 추가하고자 하는 XPS 파일을 선택할 수 있으며, XPS 파일에 포함된 각종 썸네일 정보를 확인하여 썸네일을 추가하고자하는 작업 영역, 페이지 영역 또는 문서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XPS(XML Paper Specification) 파일을 저장한다. 그리고, 저 장부(110)는 화상형성장치(100) 내의 저장매체 및 외부 저장매체, 예를 들어 USB 메모리를 포함한 Removable Disk, 단말장치(Host)에 연결된 저장매체, 네트워크를 통한 웹 서버(Web server)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분석부(140)는 XPS 파일의 구조를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분석부(140)는 XPS 파일 대한 작업, 문서 및 페이지 구성 각각에 썸네일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XPS 파일은 문서 또는 작업에 필요로 하는 각종 리소스를 디렉터리 구조로 체계화되어 ZIP 형태로 묶인 형태이다. 이에 따라, XPS 파일에 대한 압축을 해제하면, 작업 영역, 문서 영역, 페이지 영역에 해당하는 썸네일 이미지가 해당 리소스 폴더에 PNG 또는 JPEG 파일 형태로 저장되어 있으며, 각각의 작업 영역, 문서 영역, 페이지 영역에 해당하는 썸네일 정보가 기재되어 있는 릴레이션 파일(.fdoc 또는 .fpage)이 해당 디렉터리에 저장되어 있다.
릴레이션 파일은 해당 영역에 대한 썸네일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파일로, 각각의 문서 및 페이지 영역에 해당하는 디렉터리별로 저장되어 있다. 릴레이션 파일 구조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3은 XPS 파일의 페이지 영역에 대한 썸네일 정보를 포함하는 릴레이션 파일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3에 박스로 표시된 부분과 같이 해당 페이지 영역에 해당하는 썸네일 이미지 주소 "Page1_Thumbnail.jpg"가 기재되어 있다. 도 4는 XPS 파일의 페이지 영역에 대한 릴레이션 파일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 해당 페이지에 썸네일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도 3에 박스로 표시된 부분과 같은 썸네일 이미지 주소가 도 4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분석부(140)는 XPS 파일 내에 작업 영역 및 각각의 문서, 페이지에 대한 릴레이션 파일 내부에 썸네일 이미지 주소가 기재되어 있는지를 파악하여, 작업 영역, 문서 또는 페이지 영역에 썸네일이 존재하는지 알 수 있으며, 해당 영역에 대한 썸네일 주소 등과 같은 썸네일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분석부(140)는 파악된 썸네일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XPS 파일의 계층적인 썸네일 구조를 분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석된 썸네일 구조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해당 XPS 파일의 구조 형태에 대응한 구조일 수 있으며, 각각의 썸네일 영역에 대응하는 표 형태의 구조일 수도 있다.
또한, 분석부(140)는 XPS 파일 내의 썸네일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 각각의 리소스 디렉터리를 검색하여 작업, 문서 또는 페이지 영역에 썸네일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XPS 파일 내의 썸네일 이미지는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리소스 폴더 내에 저장되어 있는바, 분석부(140)는 XPS 파일 내의 각각의 리소스 폴더를 검색하여, 해당 폴더 내에 썸네일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통해 썸네일이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썸네일 생성부(150)는 분석된 XPS 파일 구조에 기초하여, 썸네일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썸네일 생성부(150)는 분석된 XPS 파일 구조에 기초하여, 썸네일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은 모든 영역에 대해서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분석된 XPS 파일 구조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영역에 대해서만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UI 창 구성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썸네일 생성부(150)는 사용자가 선택한 영역 또는 썸네일이 존재하지 않는 모든 영역에 대응하는 인쇄 데이터를 파싱하고, 파싱된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현재 해당 XPS 파일에 대한 인쇄가 진행중이거나, 인쇄가 완료되어 해당 영역에 대한 랜더링된 데이터 즉, 메타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썸네일 생성부(150)는 해당 XPS 파일에 대한 인쇄 과정에서 생성된 랜더링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생성되는 썸네일 이미지의 크기는 가로 세로 96 DPI일 수 있으며, 이외의 기설정된 크기일 수 있다. 또는 해당 XPS 파일의 일부 영역에 썸네일 이미지가 존재하는 경우, 존재하는 썸네일 이미지 크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되는 썸네일 이미지는 해당 문서 또는 페이지에 대한 기설정된 배수의 축소 이미지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크기는 설계자 및 사용자가 해당 화상형성장치(100)에 대한 최적화 값으로 기설정해놓을 수 있다. 따라서, 썸네일 생성부(150)는 랜더링된 데이터 또는 인쇄 데이터를 기정의된 사이즈로 축소하여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생성된 썸네일 이미지를 XPS 파일에 추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생성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하는 리소스 폴더에 생성된 썸네일 이미지를 추가하고, 해당 작업, 문서 또는 페이지에 대응하는 릴레이션 파일에 추가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0)는 기 설정된 순위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작업, 문서 또는 페이지 영역에 대한 썸네일을 기본 썸네일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윈도우 탐색창에 미리 보기 상태로 XPS 파일을 탐색하는 경우, 하나의 썸네일이 해당 XPS 파일에 대한 기본 썸네일로 표시된다. 따라서, 제어부(160)는 해당 XPS 파일 내에 썸네일 중 기설정된 순위 또는 사용자 선택한 썸네일을 해당 XPS 파일에 대한 기본 썸네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썸네일이 추가된 XPS 파일을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0)는 기존의 XPS 파일과 다른 이름을 갖는 XPS 파일로 저장할 수 있으며, 종래 XPS 파일에 덮어쓰는 형태로 저장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동작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진행될 수 있으며, 별도의 사용자 저장 명령 없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썸네일이 추가된 XPS 파일을 단말장치(미도시)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XPS 파일이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동작이 수행된 경우, 해당 단말장치에서 썸네일이 추가된 XPS 파일을 이용할 수 있는바, 제어부(160)는 썸네일이 추가된 XPS 파일을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단말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0)는 최초 수신된 XPS 파일 이름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다른 이름의 XPS 파일 이름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동작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진행될 수 있으며, 별도의 사용자 저장명령 없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XPS 파일에 대한 썸네일 생성 명령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수신한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일 련의 과정이 진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XPS 파일에 대한 인쇄 명령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수신한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과정이 진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화상형성장치(100) 내에 기저장된 XPS 파일에 대한 인쇄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또는, 단말장치(미도시)로부터 XPS 파일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인쇄 명령을 수신받은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썸네일 추가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100)의 저장부(130)에 기저장된 XPS 파일에 대한 인쇄 명령을 수신한 경우, 제어부(160)는 기저장된 XPS 파일의 구조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 썸네일이 포함되어 있지 않거나, 일부 영역에 썸네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XPS 파일에 대한 썸네일이 포함되어 있지 않음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0)는 XPS 파일의 잡 구성, 파일 구성 및 페이지 구성 각각에 대한 썸네일의 존부를 표시하는 제1 영역 및 각각의 구성에 대한 썸네일 생성 여부를 선택받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UI 창이 생성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선택한 영역에 대한 썸네일이 생성되도록 썸네일 생성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구현시에 XPS 파일에 대한 인쇄 명령을 수신함과 동시에 썸네일을 추가할 것인지를 사용자에게 확인받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해당 XPS 파일에 대한 인쇄 동작이 완료된 시점에서 썸네일을 추가할 것인지를 확인받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선택한 영역이란, 잡 레벨, 문서 레벨, 페이지 레벨과 같이 계층에 대한 선택 영역일 수 있으며, 트리 구조로 이루어진 XPS 파일의 일부 노드에 대한 선택 영역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화상형성장치(100)는 XPS 파일 내에 썸네일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거나, 일부 문서 및 페이지 영역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사용자는 XPS 파일 내에 추가하고자 하는 영역만을 선택함으로써 용이하게 썸네일을 추가할 수 있게 된다.
도 2를 설명함에 있어서, XPS 파일이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는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화상형성장치(100)의 저장부(130)에 기저장된 XPS 파일에 대해서 썸네일을 추가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실시 예들에서, 본원의 화상형성장치(100)는 PC, 노트북 PC, PDA,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단말장치뿐만 아니라, 복사기, 잉크젯 프린터(inkjet printer), 레이저 프린터(LBP) 및 복합기(MFP)와 같은 화상형성장치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UI 창(500)은 현재 XPS 파일의 구조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 및 XPS 파일 내의 문서 구성 및 페이지 구성 각각에 대한 썸네일 존부를 표시하는 영역이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XPS 파일에는 각 문서 구성 및 페이지 구성 별로 썸 네일을 포함할 수 있는데, UI 창(500)은 현재 XPS 파일의 구조를 트리 구조로 표시하고, 각각의 문서 구성 및 페이지 구성에 썸네일이 있는지를 해싱과 같은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제1 문서의 제1 페이지(511), 제2 페이지(512), 제2 문서의 제1 페이지(521) 및 제2페이지(522) 및 제2 문서(520)에 대해서는 썸네일 이미지가 존재하여, 해당 XPS 파일의 문서 영역 및 페이지 영역에 해당하는 박스가 해싱 되어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어느 문서 영역 및 페이지 영역에 썸네일을 포함하고 있는지 손쉽게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구현시에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썸네일이 존재하는 경우 해싱 처리하여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나, 썸네일이 존재하는 경우 썸네일 이미지 자체를 표시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구현시에는 도시된 문서, 페이지 영역을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 해당 썸네일 이미지가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UI 창(500)은 썸네일을 생성 명령을 입력받는 썸네일 생성 영역(530) 및 표시된 썸네일 구조 창을 닫는 명령을 입력받는 영역(54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현재 XPS 파일에 대한 썸네일을 추가하기를 원하는 경우, 썸네일 생성 영역(530)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썸네일 생성 영역(530)을 선택한 경우 표시되는 UI 창에 대해서는 도 6과 관련하여 후술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썸네일 생성 영역을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UI 창(600)은 현재 XPS 파일에 대한 전체 XPS 파일에 대해서 어떠한 영역에 대한 썸네일을 생성할 것인지를 선택받는 옵션 창이 표시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을 살펴보면, 전체 XPS 파일에 대한 생성 옵션(610), XPS 파일의 문서 레벨에 대한 생성 옵션(620), XPS 파일의 페이지 레벨에 대한 생성 옵션(630) 및 사용자 선택에 따른 생성 옵션(640)이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전체 XPS 파일에 대한 생성 옵션(610)은 썸네일이 존재하지 않는 모든 잡 영역, 문서 영역 및 페이지 영역에 대해서 썸네일을 생성하는 사용자 옵션이다. 그리고, XPS 파일의 문서 레벨에 대한 생성 옵션(620)은, 썸네일이 존재하지 않는 문서 레벨 영역에 대해서 썸네일을 생성하는 사용자 옵션이다. 그리고, XPS 파일의 페이지 레벨에 대한 생성 옵션(630)은 썸네일이 존재하지 않는 페이지영역에 대해서 썸네일을 생성하는 사용자 옵션이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선택에 따른 생성 옵션(640)은, 잡 레벨, 문서 레벨, 페이지 레벨 각각에 대해서 사용자가 지정한 영역에 대해서만 썸네일을 생성하는 사용자 옵션으로, 사용자가 사용자 선택에 따른 생성 옵션(640)을 선택한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UI 창이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사용자 선택에 따른 생성 옵션 영역(640)을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UI 창(700)은 XPS 파일 내의 잡 구성, 파일 구성 및 페이지 구성 각각에 대한 썸네일의 존부를 표시하는 영역 및 잡 구성, 파일 구성 및 페이지 구성 각각에 대한 썸네일 생성 여부를 선택받는 영역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임의의 영역에 대한 썸네일을 생성하고자 도 6에 도시된 사용자 선택 영역(640)을 선택한 경우, 작업 구성, 파일 구성 및 페이지 구성 각각에 대한 선택 을 받을 수 있는 UI 창(700)이 표시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썸네일이 현재 존재하는 영역에 대해서는 추가적으로 썸네일을 생성할 필요가 없는바, 썸네일이 존재하는 영역에 대해서는 해싱 처리되어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구현시에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썸네일이 존재하는 경우 해싱과 같은 표시뿐만 아니나, 썸네일이 존재하는 경우 썸네일 이미지 자체를 표시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현재 XPS 문서의 어느 영역에 썸네일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표시된 UI 창을 통해 생성하고자 하는 작업, 문서 및 페이지 영역만을 선택함으로써 썸네일을 생성할 수 있게 되는바,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썸네일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썸네일 생성을 원하는 XPS 파일을 선택받고(S810), 선택된 XPS 파일에 대한 썸네일 생성 명령을 수신하면(S820). 해당 XPS 파일의 구조를 분석한다(S830). 구체적으로, 썸네일 생성 명령은 별도의 썸네일 생성만을 위한 명령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해당 XPS 파일에 대한 인쇄 명령일 수도 있다. 그리고, 썸네일 생성 명령이 인가된 경우, 해당 XPS 파일에 대한 작업, 문서 및 페이지 구성을 분석하고, 각각의 작업, 문서, 및 페이지에 대한 릴레이션 파일 내부에 썸네일 이미지 주소가 기재되어 있는지 여부를 통해, 작업 영역, 문서 영역 및 페이지 영역에 썸네일이 존부 및 해당 썸네일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 주소 등의 썸네일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파악된 썸네일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XPS 파일 구조에 대응되는 썸네일 구조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XPS 파일의 구조 분석이 완료되면, 분석에 따라, XPS 파일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석된 XPS 파일 구조에 기초하여 썸네일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영역에 대해서 해당하는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파싱 및 랜더링 하여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는 동작은 도 2의 썸네일 생성부(150)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하였는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생성된 썸네일을 XPS 파일에 추가하고, 썸네일이 추가된 XPS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S850). 구체적으로, 생성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하는 리소스 폴더에 생성된 썸네일 이미지를 추가하고, 해당 작업, 문서 또는 페이지에 대응하는 릴레이션 파일에 추가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여, 생성된 썸네일을 XPS 파일에 추가하고, 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되는 XPS 파일은 원래의 XPS 파일과 다른 이름을 갖도록 저장될 수 있으며, 종래 XPS 파일에 덮어쓰는 형태로 저장될 수도 있다. 이러한 동작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진행될 수 있으며, 별도의 사용자 저장 명령 없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구현시에는 썸네일이 추가된 XPS 파일을 단말장치로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순위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작업, 문서 또는 페이지 영역에 대한 썸네일을 기본 썸네일로 설정하는 동작이 XPS 파일에 추가하는 단계에서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썸네일 생성 방법은, XPS 파일에 썸네일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표시된 정보를 통하여 XPS 파일에 썸네일을 손쉽게 추가할 수 있게 된다. 도 8 같은 썸네일 생성 방법은, 도 2의 구성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다른 구성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또는 단말장치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XPS 파일의 논리적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 내지 도 4는 릴레이션 파일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본 화상형성장치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시 예에 따라 썸네일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화상형성장치 110: 통신 인터페이스부
1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30: 저장부
140: 분석부 150: 썸네일 생성부
160: 제어부

Claims (21)

  1. XPS(XML Paper Specification) 파일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XPS 파일의 구조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에 따라, 상기 XPS 파일에 대한 썸네일(Thumbnail)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XPS 파일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썸네일 생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PS 파일의 구조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XPS 파일에 대한 작업, 문서 및 페이지 구성을 분석하고, 상기 작업, 문서 및 페이지에서 썸네일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썸네일 생성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을 선택받는 단계는,
    상기 XPS 파일에 대한 인쇄 명령 및 썸네일 생성 명령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XPS 파일에 대한 선택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썸네일 생성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PS 파일에 썸네일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XPS 파일에 썸네일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음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썸네일 생성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XPS 파일 내의 작업 구성, 파일 구성 및 페이지 구성 각각에 대한 썸네일의 존부를 표시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작업 구성, 파일 구성 및 페이지 구성 각각에 대한 썸네일 생성 여부를 선택받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통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썸네일 생성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선택한 영역에 대해서만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썸네일 생성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XPS 파일의 모든 영역, 상기 XPS 파일의 모든 문서 레벨 영역, 상기 XPS 파일의 모든 페이지 레벨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썸네일 생성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하는 문서 및 페이지 영역에 대한 랜더링된 데이터 또는 상기 썸네일에 대응하는 문서 및 페이지 영역에 대한 인쇄 데이터를 이용하여 썸네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썸네일 생성 방법.
  9. 제8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랜더링된 데이터 또는 상기 인쇄 데이터를 기정의된 사이즈로 축소하여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썸네일 생성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이 추가된 XPS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썸네일 생성 방법.
  11. XPS(XML Paper Specification) 파일을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XPS 파일의 구조를 분석하는 분석부;
    상기 분석에 따라, 상기 XPS 파일에 대한 썸네일(Thumbnail) 이미지를 생성하는 썸네일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XPS 파일에 추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XPS 파일에 대한 작업, 문서 및 페이지 구성을 분석하고, 상기 작업, 문서 및 페이지 구성에서 썸네일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XPS 파일에 대한 인쇄 명령 및 썸네일 생성 명령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XPS 파일에 대한 선택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XPS 파일에 썸네일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XPS 파일에 썸네일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XPS 파일 내의 작업 구성, 파일 구성 및 페이지 구성 각각에 대한 썸네일의 존부를 표시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작업 구성, 파일 구성 및 페이지 구성 각각에 대한 썸네일 생성 여부를 선택받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통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 생성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영역에 대해서만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 생성부는,
    상기 XPS 파일의 모든 영역, 상기 XPS 파일의 모든 문서 레벨 영역, 상기 XPS 파일의 모든 페이지 레벨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 생성부는,
    상기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하는 문서 및 페이지 영역에 대한 랜더링된 데이터 또는 상기 썸네일에 대응하는 문서 및 페이지 영역에 대한 인쇄 데이터를 이용하여 썸네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제18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 생성부는,
    상기 랜더링된 데이터 또는 인쇄 데이터를 기정의된 썸네일 이미지 사이즈로 축소하여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이 추가된 XPS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1.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이 추가된 XPS 파일을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80112202A 2008-11-12 2008-11-12 썸네일 생성 방법 및 화상형성장치 Ceased KR20100053186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202A KR20100053186A (ko) 2008-11-12 2008-11-12 썸네일 생성 방법 및 화상형성장치
US12/547,725 US9082064B2 (en) 2008-11-12 2009-08-26 Thumbnail creation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09169210A EP2187304A3 (en) 2008-11-12 2009-09-02 Thumbnail creation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200910173054A CN101739224A (zh) 2008-11-12 2009-09-08 略图创建方法以及图像形成装置
JP2009252911A JP5614749B2 (ja) 2008-11-12 2009-11-04 サムネイル生成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202A KR20100053186A (ko) 2008-11-12 2008-11-12 썸네일 생성 방법 및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186A true KR20100053186A (ko) 2010-05-20

Family

ID=41137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2202A Ceased KR20100053186A (ko) 2008-11-12 2008-11-12 썸네일 생성 방법 및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82064B2 (ko)
EP (1) EP2187304A3 (ko)
JP (1) JP5614749B2 (ko)
KR (1) KR20100053186A (ko)
CN (1) CN10173922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02030A1 (en) * 2010-07-29 2013-08-08 Sk Telecom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image encoding/decoding using block split prediction
US10649647B2 (en) 2014-11-25 2020-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handwritten content in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605B1 (ko) * 2009-12-03 2016-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제어 단말장치 및 인쇄제어방법
US9183186B2 (en) * 2011-07-08 2015-11-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version tool for XPS and OpenXPS documents
US9025851B2 (en) * 2013-02-15 2015-05-05 Bank Of America Corporation Image recreation using image lift data
US9031308B2 (en) * 2013-02-15 2015-05-12 Bank Of America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recreating an image using white space and check element capture
US8913820B2 (en) * 2013-02-15 2014-12-16 Bank Of America Corporation Store images at point of capture
US8934701B2 (en) * 2013-02-15 2015-01-13 Bank Of America Corporation Bulk image retrieval
US9098765B2 (en) * 2013-02-15 2015-08-04 Bank Of America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storing image data from a negotiable instrument
US9087389B2 (en) * 2013-02-15 2015-07-21 Bank Of America Corporation Reducing image size at point of capture
JP6292862B2 (ja) * 2013-12-19 2018-03-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229395B2 (en) 2015-06-25 2019-03-12 Bank Of America Corporation Predictive determination and resolution of a value of indicia located in a negotiable instrument electronic image
US10373128B2 (en) 2015-06-25 2019-08-06 Bank Of America Corporation Dynamic resource management associated with payment instrument exceptions processing
US10115081B2 (en) 2015-06-25 2018-10-30 Bank Of America Corporation Monitoring module usage in a data processing system
US10049350B2 (en) 2015-06-25 2018-08-14 Bank Of America Corporation Element level presentation of elements of a payment instrument for exceptions processing
US10475129B2 (en) 2015-09-24 2019-11-12 Bank Of America Corporation Computerized person-to-person asset routing system
US10437880B2 (en) 2016-02-08 2019-10-08 Bank Of America Corporation Archive validation system with data purge triggering
US9823958B2 (en) 2016-02-08 2017-11-21 Bank Of America Corporation System for processing data using different processing channels based on source error probability
US10437778B2 (en) 2016-02-08 2019-10-08 Bank Of America Corporation Archive validation system with data purge triggering
US10460296B2 (en) 2016-02-08 2019-10-29 Bank Of America Corporation System for processing data using parameters associated with the data for auto-processing
US10067869B2 (en) 2016-02-12 2018-09-04 Bank Of America Corporation System for distributed data processing with automatic caching at various system levels
US9952942B2 (en) 2016-02-12 2018-04-24 Bank Of America Corporation System for distributed data processing with auto-recovery
US10867119B1 (en) * 2016-03-29 2020-12-15 Amazon Technologies, Inc. Thumbnail image generation
US10977624B2 (en) 2017-04-12 2021-04-13 Bank Of America Corporation System for generating paper and digital resource distribution documents with multi-level secure authorization requirements
US10122889B1 (en) 2017-05-08 2018-11-06 Bank Of America Corporation Device for generating a resource distribution document with physical authentication markers
US10621363B2 (en) 2017-06-13 2020-04-14 Bank Of America Corporation Layering system for resource distribution document authentication
JP2020075360A (ja) * 2018-11-05 2020-05-2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2022169302A (ja) * 2021-04-27 2022-11-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39860B1 (en) * 1999-10-01 2006-05-02 Netspinner Solutions As Creating web pages category list prior to the list being served to a browser
JP2002142062A (ja) * 2000-10-31 2002-05-17 Canon Inc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US7679774B2 (en) * 2001-04-06 2010-03-16 Oce Printing Systems Gmbh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generation of an electronic document from scanned image data
JP2003196638A (ja) 2001-12-28 2003-07-11 Jekku:Kk ファイリングデータのサムネイルキャプチャリング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4070809A (ja) * 2002-08-08 2004-03-04 Ntt Advanced Technology Corp Web情報閲覧装置、Web情報表示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4054989B2 (ja) * 2003-02-27 2008-03-05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ファイル管理方法、ファイル管理方法のプログラム、ファイル管理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145746B2 (ja) * 2003-07-17 2008-09-03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出力装置、情報出力方法、情報出力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490188B2 (ja) * 2003-07-31 2010-06-23 株式会社リコー 印刷処理装置、印刷処理システム、印刷処理装置の制御方法、印刷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FR2860935B1 (fr) * 2003-10-09 2006-03-03 Canon Kk Procede et dispositif de traitement de donnees numeriques
JP4764596B2 (ja) * 2003-12-08 2011-09-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ータ転送方法及びサーバコンピュータ
JP4666996B2 (ja) 2004-10-21 2011-04-06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ファイリングシステム、電子ファイリング方法
US7546528B2 (en) * 2004-12-20 2009-06-09 Ricoh Co., Ltd. Stamp sheets
US7571189B2 (en) * 2005-02-02 2009-08-04 Lightsurf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to implement themes for a handheld device
JP4086050B2 (ja) * 2005-04-12 2008-05-14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情報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管理装置
US7543229B2 (en) * 2005-04-14 2009-06-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nalysis of graphic design material
JP4155278B2 (ja) * 2005-04-20 2008-09-24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文書処理装置、そ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7864347B2 (en) * 2005-06-27 2011-01-04 Xerox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that provide custom region scan with preview image on a multifunction device
US8560853B2 (en) * 2005-09-09 2013-10-15 Microsoft Corporation Digital signing policy
JP4918776B2 (ja) * 2005-10-24 2012-04-18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文書比較プログラム、電子文書比較装置および電子文書比較方法
US7844918B1 (en) * 2005-12-22 2010-11-30 Adobe Systems Incorporated Desktop thumbnails with page controllers
KR100803598B1 (ko) 2005-12-28 2008-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형성 장치에 연결된 외부 저장매체의 이미지 파일들을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7201935A (ja) * 2006-01-27 2007-08-09 Canon Inc 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画像処理装置
JP4635907B2 (ja) 2006-02-28 2011-02-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JP4759464B2 (ja) 2006-07-31 2011-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文書処理装置および文書処理方法
JP2008084018A (ja) * 2006-09-27 2008-04-10 Fuji Xerox Co Ltd 電子ファイル管理プログラム及び電子ファイル管理装置
KR100867131B1 (ko) 2006-11-10 2008-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이미지 출력 장치 및 방법
JP2008125026A (ja) 2006-11-15 2008-05-29 Fuji Xerox Co Ltd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4026669B1 (ja) * 2006-11-30 2007-12-2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管理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8537408B2 (en) * 2006-12-20 2013-09-17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7761783B2 (en) * 2007-01-19 2010-07-20 Microsoft Corporation Document performance analysis
JP2008209985A (ja) * 2007-02-23 2008-09-11 Canon Inc データ処理装置、電子文書登録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8233194A (ja) * 2007-03-16 2008-10-02 Seiko Epson Corp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100182B2 (ja) * 2007-03-30 2012-12-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転送装置及びデータ受信装置並びにデータ転送システム
JP5064091B2 (ja) * 2007-04-13 2012-10-31 株式会社Pfu スキャナ装置、および、画像読取表示方法
US8739073B2 (en) * 2007-05-15 2014-05-27 Microsoft Corporation User interface for document table of contents
JP4924281B2 (ja) * 2007-08-15 2012-04-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090113278A1 (en) * 2007-10-25 2009-04-30 Fuji Xerox Co., Ltd. System and methods for generating automatic and user-controllable movies of presentations on small devices
JP4643673B2 (ja) * 2008-03-14 2011-03-02 キヤノンIt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文書管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90254529A1 (en) * 2008-04-04 2009-10-08 Lev Goldentouch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content management
US8607166B2 (en) * 2008-06-06 2013-12-10 Apple Inc. Browsing or searching user interfaces and other aspects
JP5538995B2 (ja) * 2010-04-30 2014-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02030A1 (en) * 2010-07-29 2013-08-08 Sk Telecom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image encoding/decoding using block split prediction
US9973750B2 (en) * 2010-07-29 2018-05-15 Sk Telecom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image encoding/decoding using block split prediction
US10649647B2 (en) 2014-11-25 2020-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handwritten content in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87304A3 (en) 2012-10-31
EP2187304A2 (en) 2010-05-19
JP2010118054A (ja) 2010-05-27
CN101739224A (zh) 2010-06-16
JP5614749B2 (ja) 2014-10-29
US9082064B2 (en) 2015-07-14
US20100122216A1 (en) 201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4749B2 (ja) サムネイル生成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383326B1 (ko) 썸네일 표시 방법 및 화상형성장치
KR20100027889A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USRE47519E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that adjusts an XPS file to the outputted paper size
US20110047450A1 (en) Method of providing document box as web pa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o perform the same
JP5958131B2 (ja) 中継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方法
US20100162103A1 (en) Method to change thumbnail and printing control apparatus
JP4109938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213037B2 (en) Multifunctional peripheral print container modification
KR20100041136A (ko) 인쇄제어장치 및 프린트 티켓 제어방법
KR20110062306A (ko) 인쇄제어 단말장치 및 인쇄제어방법
JP4849154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20110051052A (ko) 인쇄 제어 방법 및 인쇄 제어 단말장치
JP4281558B2 (ja) 画像管理方法及び画像管理装置並びに画像管理プログラム
JP2015058592A (ja) 画像処理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21072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データ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023146B2 (en) Print control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ethod of print control device, method of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mputer program
JP3894205B2 (ja) 印刷装置,印刷方法,及び、印刷システム
JP4433331B2 (ja) 画像管理方法および画像管理装置ならびに画像管理プログラム
JP3854914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1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10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11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6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10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4081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6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14101005130

Request date: 20140818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4081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18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40203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0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B0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818

Effective date: 20150721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50721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40818

Decision date: 20150721

Appeal identifier: 2014101005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