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2037A - 나선형 표면 구조를 가지는 생체내 이동형 로봇 및 그구동방법 - Google Patents
나선형 표면 구조를 가지는 생체내 이동형 로봇 및 그구동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52037A KR20100052037A KR1020080110896A KR20080110896A KR20100052037A KR 20100052037 A KR20100052037 A KR 20100052037A KR 1020080110896 A KR1020080110896 A KR 1020080110896A KR 20080110896 A KR20080110896 A KR 20080110896A KR 20100052037 A KR20100052037 A KR 2010005203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raight
- protrusion
- spiral
- rotating body
- linea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1—Capsule endoscopes for imag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47—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 A61B1/00156—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using self propuls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47—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 A61B1/0016—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using motor drive un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3)
- 모터(1)가 장착되며, 전후방으로의 연장길이를 가지는 다수의 직선형 돌기(11)가 표면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직선형 돌기(11)의 돌출높이와 갯수에 비례하는 표면 회전 마찰력을 가지는 직선돌기 직진체(10);상기 직선돌기 직진체(10) 후방에 이격되게 설치되며, 표면 둘레에 나선형 돌기(21)가 전후방으로 연속형성되어 회전수에 비례하여 전방으로의 직진 이동변위를 가지는 나선돌기 회전체(20); 및상기 나선돌기 회전체(20)가 상기 직선돌기 직진체(10)에 장착된 상기 모터의 회전축(1a)에 연동되어 회전되고, 상기 직선돌기 직진체(10)가 상기 나선돌기 회전체(20)의 직진 이동변위에 연동되어 직진이동되도록, 상기 모터의 회전축(1a)과 상기 나선돌기 회전체(20)를 축이음하며, 상기 직선돌기 직진체(10)와 나선돌기 회전체(20) 상호간에 임의의 상대각도를 형성가능하도록 전후 길이방향의 일부 또는 전체가 유연하게 굴곡변형 가능한 연질소재로 구성되는 연질 연결체(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표면 구조를 가지는 생체내 이동형 로봇.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돌기 직진체(10)는,진행방향의 전방단부에 카메라 모듈(2)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 형 표면 구조를 가지는 생체내 이동형 로봇.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돌기 회전체(20)는,0.2 이하의 낮은 마찰계수를 가지는 DLC(diamond-like carbon) 코팅층이 표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표면 구조를 가지는 생체내 이동형 로봇.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돌기 회전체(20)는,상기 나선형 돌기(21)를 포함한 전체가 유연하게 굴곡변형 가능한 연질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표면 구조를 가지는 생체내 이동형 로봇.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돌기 회전체(20)는,상기 나선돌기 회전체(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중공형성된 중공부(22)가 구비되어, 설정압을 초과하여 외압이 작용하는 경우 외압의 초과정도에 비례하여 외경이 유연하게 축소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표면 구조를 가지는 생체내 이동형 로봇.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돌기 회전체(20)는,진행방향의 후방단부에 생체 외부 취출용 와이어(5)가 베어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표면 구조를 가지는 생체내 이동형 로봇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 연결체(30)는,상기 모터의 회전축(1a)에 연결되는 연질소재의 전방연결부;상기 전방연결부의 후방단부에 전달된 회전각 변위와 동일한 회전각 변위를 가지도록, 경질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전방연결부의 후방단부에 연결되는 경질계합부(31);상기 경질계합부(31)의 회전각 변위와 동일한 회전각 변위를 가지도록, 경질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경질계합부(31)에 계합되는 경질피계합부(32); 및상기 경질계합부(31) 및 피경질계합부(31)의 회전각 변위가 상기 나선돌기 회전체(20)에 전달되도록, 전방단부가 상기 경질피계합부(32)에 연결되고, 후방단부가 상기 나선돌기 회전체(20)에 연결되는 연질소재의 후방연결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표면 구조를 가지는 생체내 이동형 로봇.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 연결체(30)는,전체가 연질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축(1a)에 전방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나선돌기 회전체(20)에 후방단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표면 구조를 가지는 생체내 이동형 로봇.
- 모터(1)가 중앙에 장착, 고정되며, 전후방으로의 연장길이를 가지는 다수의 직선형 돌기(11)가 표면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직선형 돌기(11)의 높이와 갯수에 비례하는 표면 회전 마찰력을 가지는 직선돌기 직진체(10);상기 직선돌기 직진체(10) 후방에 이격되게 설치되고, 표면 둘레에 나선형 돌기(21)가 전후방으로 연속형성되어 회전수에 비례하여 전방으로의 직진 이동변위를 가지며, 중앙에 제1연장홀(24)이 전후방으로 관통형성된 나선돌기 회전체(20);상기 직선돌기 직진체(10) 중앙에 위치되는 모터의 회전축(1a)과 상기 나선돌기 회전체(20)의 중앙부를 축이음하며, 상기 직선돌기 직진체(10)와 나선돌기 회전체(20) 상호간에 임의의 상대각도를 형성가능하도록 전후 길이방향의 일부 또는 전체가 유연하게 굴곡변형 가능한 연질소재로 구성되고, 중앙에 상기 제1연장홀(24)에 연통되는 제2연장홀(34)이 연속형성되는 연질 연결체(30);상기 모터의 회전축(1a)에 연결형성되는 제1기어부(41), 상기 연질 연결체(30)의 전방부에서 상기 와이어(5) 연장홀 둘레에 연결형성되는 제2기어부(42), 상기 제1기어부(41)와 제2기어부(42) 사이에 상기 제1, 2연장홀(24, 34)에 연통되 는 이격공간(44)을 제공하면서 상기 제1기어부(41)와 제2기어부(42)를 기어연결하는 제3기어부(43)가 구비되는 기어박스(40); 및전방단부가 상기 제1, 2연장홀(24, 34) 및 기어박스의 이격공간(44)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직선돌기 직진체(10)에 연결되어, 상기 나선돌기 회전체(20)와 연질 연결체(30)의 회전력을 전달받지 않고 상기 직선돌기 직진체(10)의 직선이동변위에 대응되는 이동변위만을 가지는 와이어(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표면 구조를 가지는 생체내 이동형 로봇.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5)는,생체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가압력을 전달하는 인출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표면 구조를 가지는 생체내 이동형 로봇.
-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5)는,생체 내부에 삽입된 상태의 상기 모터(1)에 생체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표면 구조를 가지는 생체내 이동형 로봇.
- 직선형 돌기(11)와 생체 내벽과의 마찰에 의해 전후방으로의 이동변위만을 가지는 직선돌기 직진체(10)와, 나선형 돌기(21)와 생체 내벽과의 접속에 의해 회전이동변위를 가지는 나선돌기 회전체(20)를 유연하게 굴곡변형 가능한 연질소재로 구성된 연질 연결체(30)로 연결하여, 상기 나선돌기 회전체(20)의 회전에 의해 생성되는 직진 이동변위에 대응되는 변위로 상기 직선돌기 직진체(10)를 이동시킴과 동시에, 생체 내벽의 굴곡형상에 따라 이에 순응하여 상기 연질 연결체(30)가 굴곡되면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표면 구조를 가지는 생체내 이동형 로봇의 구동방법.
- 제12항에 있어서,모터(1)의 몸체부는 상기 직선돌기 직진체(10)에 장착, 고정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1a)은 상기 연질 연결체(30)에 연결되어, 상기 직선돌기 직진체(10)의 회전 정지 마찰력을 토대로 상기 나선돌기 회전체(20)의 스크류 회전 및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표면 구조를 가지는 생체내 이동형 로봇의 구동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10896A KR101040487B1 (ko) | 2008-11-10 | 2008-11-10 | 나선형 표면 구조를 가지는 생체내 이동형 로봇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10896A KR101040487B1 (ko) | 2008-11-10 | 2008-11-10 | 나선형 표면 구조를 가지는 생체내 이동형 로봇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52037A true KR20100052037A (ko) | 2010-05-19 |
KR101040487B1 KR101040487B1 (ko) | 2011-06-09 |
Family
ID=42277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10896A Expired - Fee Related KR101040487B1 (ko) | 2008-11-10 | 2008-11-10 | 나선형 표면 구조를 가지는 생체내 이동형 로봇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40487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12426A (ko) * | 2019-03-22 | 2020-10-05 |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 생물학적 물질의 운반 디바이스 |
KR20230140235A (ko) * | 2022-03-29 | 2023-10-06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스크류 추진형 검측 로봇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083049B (zh) * | 2012-12-20 | 2014-10-29 | 北京航空航天大学 | 基于无线供电与通信的模块化微型减肥胶囊机器人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18119B1 (ko) * | 2003-08-28 | 2006-08-30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위-창자를 이동하는 내시경 장치 |
JP4699013B2 (ja) * | 2004-11-26 | 2011-06-08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カプセル型医療装置本体及びカプセル型医療システム |
KR100810732B1 (ko) | 2007-07-12 | 2008-03-07 |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 캡슐형 내시경 장치 |
JP5276814B2 (ja) | 2007-08-28 | 2013-08-28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カプセル型医療装置 |
-
2008
- 2008-11-10 KR KR1020080110896A patent/KR101040487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12426A (ko) * | 2019-03-22 | 2020-10-05 |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 생물학적 물질의 운반 디바이스 |
KR20230140235A (ko) * | 2022-03-29 | 2023-10-06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스크류 추진형 검측 로봇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40487B1 (ko) | 2011-06-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977776B2 (ja) | 遠隔操作の内視鏡カプセル | |
JP2021151468A (ja) | ひずみ緩和要素を備えた操縦可能医用デバイス | |
JP5173136B2 (ja) | 内視鏡装置 | |
US20050256505A1 (en) | Medical instrument having a controlled guidewire drive | |
KR20110052405A (ko) | 캡슐 내시경 로봇의 나선 추진장치 | |
AU2006213225A1 (en) | Flexible tube for endoscope, and endoscope device | |
WO2006109598A1 (ja) | 内視鏡用挿入部、及び内視鏡システム | |
JP4435154B2 (ja) | 挿入装置 | |
CN107249831B (zh) | 机械手 | |
KR101040487B1 (ko) | 나선형 표면 구조를 가지는 생체내 이동형 로봇 | |
US8491466B2 (en) | Intraductal insertion device | |
JP4891560B2 (ja) | 内視鏡用挿入部及び内視鏡システム | |
US20090023994A1 (en) | Endoscope Insertion Portion and Endoscope | |
US20190150704A1 (en) | Insertion apparatus | |
US20190150713A1 (en) | Insertion apparatus | |
JPS6334641Y2 (ko) | ||
US20190104924A1 (en) | Insertion apparatus | |
CN107072477B (zh) | 插入装置 | |
WO2019106906A1 (ja) | 挿入装置用チューブ | |
KR100996487B1 (ko) | 신축변형에 의해 이동되는 생체내 이동형 로봇 및 그구동방법 | |
JP7470131B2 (ja) | 内視鏡の挿入部からスパイラルチューブに回転力を伝達するためのローラレスチューブ状コネクタ | |
JP4955491B2 (ja) | 内視鏡 | |
JP2007313225A (ja) | 回転自走式内視鏡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9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6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6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6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