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47242A -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포네이트의 형광을 소광시키기 위한 트록세루틴의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포네이트의 형광을 소광시키기 위한 트록세루틴의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7242A
KR20100047242A KR1020107002255A KR20107002255A KR20100047242A KR 20100047242 A KR20100047242 A KR 20100047242A KR 1020107002255 A KR1020107002255 A KR 1020107002255A KR 20107002255 A KR20107002255 A KR 20107002255A KR 20100047242 A KR20100047242 A KR 20100047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salts
ethylhexyl
disodium phenyl
formul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2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7135B1 (ko
Inventor
윌리엄 존콕
위르겐 클라우스
Original Assignee
짐리즈 게엠베하 운트 캄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짐리즈 게엠베하 운트 캄파니 카게 filed Critical 짐리즈 게엠베하 운트 캄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100047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7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13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46Imidazole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benzimid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61K2800/434Luminescent, Fluorescent; Optical brighteners; Photosensitiz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자외선의 유해한 효과로부터 피부 및 모발을 보호하는 화장료 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제는 수용성 UVA 흡수 물질인 디소듐페닐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포네이트와 이의 형광을 감소시키기 위한 형광 소광제인 트룩세루틴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제제의 제조방법과 트룩세루틴과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포네이트의 용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포네이트의 형광을 소광시키기 위한 트록세루틴의 사용방법{Use of troxerutin to quench the fluorescence of disodium phenyl dibenzimidazole tetrasulfonate}
본 발명은 사람 피부와 머리카락을 태양광 자외선의 유해효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포네이트[2,2'-(1,4-페닐렌)비스(1H-벤즈이미다졸-4,6-디설폰산, 단일소듐염); 1H-벤즈이미다졸-4,6-디설폰산, 2,2'-(1,4-페닐렌)비스-, 디소듐염]와 그의 형광을 감소시키는 트록세루틴(7,3',4'-트리스[O-(2-히드록시에틸)]루틴 = 3,5-디히드록시-3',4',7-트리스(2-히드록시에톡시)플라본 3-(6-O-(6-디옥시-알파-L-만노피라노실)-베타-D-글루코피라노사이드)을 포함하는 수용성 UVA흡수물질과 그의 제조방법, 그리고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항에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을 시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폰산과 그의 염 간에 차이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포네이트와 그의 염,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폰산과 그의 염은 특별한 언급이 없을 시 상호 교체 사용된다.
UV 흡수제는 자외선에 대한 현저한 흡수능력이 있는 물질이다. 이는 화장품의 자외선차단제와 의약품 제조에 사용되는 것 외에도 산업 물질, 예를 들면 페인트, 광택제, 플라스틱, 직물, 모노올레핀, 디올레핀,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폴리아마이드, 폴리에스터, 폴리우레아, 그리고 폴리카보네이트의 단일, 공중합체등과 같은 폴리머, 포장재, 고무 등의 내광성을 높이는데도 사용된다.
UV 선은 UVA 선(320~400nm, UVA-I: 340-400 nm, UVA-II: 320-340 nm) 또는 UVB 선(280-320 nm)의 파장에 따라 정의된다. UV선은 피부에 극심하고 만성적인 손상을 초래하며, 손상의 유형은 방사선의 파장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면, UVB 방사선은 햇빛에 의한 화상(홍반)부터 넓게는 심각한 피부 화상, 효소 활성도 저해, 면역체계 약화, DNA구조 변형, 세포 표면의 변화를 야기시킨다.
UVA 선은 피부 깊숙히 침투하여 피부노화를 가속화시키며, 더 짧은 파장인 UVA-II 방사선은 추가적으로 햇빛에 의한 화상에 기여한다. 게다가 UVA 선은 광독성 또는 광알레르기성 피부반응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매우 빈번히 태양광에 보호되지 않은 피부를 노출시키는 것은 피부 탄력의 손실과 주름살 증가를 야기한다. 극단의 예로, 이러한 피부의 병원성 변화는 피부암까지 이르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UV 방사선의 부정적인 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해 UV 흡수제라 불리는 UV 광을 흡수하거나 반사하는 물질이 화장품이나 의약품 제조에 사용되고 있다. UV 흡수제는 최대 흡수 위치에 따라 UVA와 UVB 흡수제로 나뉜다. 만일 UV 흡수제가 UVA와 UVB 모두를 흡수한다면, 그것은 UVA/B 광대역 흡수제라 한다.
적합한 UVA 흡수제의 수는 매우 제한되어 있고, 대부분의 UVA 흡수제는 상당한 결함이 있다. 예를 들면, UVA-I 방사선을 막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4-터트-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 최대흡수파장: 357nm) 필터는 광안정성이 없다. 이러한 광반응은 UVB 필터인 2-에틸헥실과 이소아밀 p-메톡시신나메이트의 조합에서도 관찰되었다. 게다가, 이러한 UV 흡수제는 화장 오일에 제한된 용해도를 가지는데, 이는 화장료 제조시에 있어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더욱이 디벤조일메탄 유도체를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제는 직물에 자국을 남길 수 있으며 이는 매우 제거하기 어렵다.
상기 단점을 가지지 않는 상대적으로 신규한 UVA 필터는 Neo Heliopan®AP 이라는 상표명으로 팔리는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포네이트이다. (EP 669 323, WO 03/084496과 비교; 짐리즈 게엠바하 운트 캄파니 카게, 독일; 양 서류 는 여기에 참조문헌으로 포함된다.)
이는 우수한 광안정성이 있는 UVA 필터로 아무런 피해를 주지 않고 흡수된 UV 에너지를 형광/인광을 통해 소멸시키는데, 이러한 형광/인광이 소수의 소비자들에게 부정적으로 인식되므로, 화장품이나 의약품 제조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형광을 소광시키는 시약이 필요하다. 이 소광제(quencher)는 색이 인식되지 않아야 하며, 전형적인 화장료와 피부 제제, 특히 자외선 차단제에서 변색 없이 안정해야 한다. 또한 소광제는 전형적인 화장료나 피부 제제, 특히 자외선 차단제에 쉽게 포함되어야 하므로,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폰산과 그의 염의 형광을 감소시키기 위해 필요한 농도에서 수용성인 것이 선호된다.
형광의 소광(quenching)은 고농도 물질 존재시의 자가 소광(self quenching), 기저상태의 형광 물질과 감소제의 복합체로부터 일어나는 정적 소광(static quenching), 유색 분자가 방사한 형광 에너지를 흡수하는 색 소광(colour quenching) 등의 다양한 메커니즘에 의해 일어난다.
전형적인 소광제(quencher)는 산소를 포함하고 있으나 단일상태 산소(singlet oxygen)가 결과로 발생되므로 화장품이나 의약품 제조에 사용하기는 부적합하다. 또한 탈리움과 같은 중금속 또는 알킬 브로마이드/플루오라이드/클로라이드, 테트라플로로보레이트, 안트라센 유도체와 같은 유기 화합물 등의 사용도 원칙이나 독성이 있어 화장품이나 의약품 제조에 사용될 수 없다. 또한 색소는 의도치 않은 색깔을 화장품이나 의약품 제제에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사용가능한 소광제는 UV와 가시광 흡수 발색단(chromophor)을 가지고 있는 수용성 식물 추출물로, 예를 들면 이는 녹차에만 제한되지 않고 루이보스(Rooibos),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또는 식물 추출물에서 발견되는 루틴(rutin), 리보플라빈(riboflavins), 탄닌(tannins), 닉틴아마이드(nictinamides), 케르세틴(quercetin), 유비퀴논(ubiquinones), 폴리페놀(polyphenols) 등과 같은 UV흡수 물질과 그들의 유도체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강력한 산화방지성 물질들은 화장료에서 불안정하고, 상온에서 짧은 시간 내에 직접적인 변색을 초래한다. 이러한 변색은 30℃ 이상에서 더욱 가속화되며 이러한 특성은 화장료 제제 특히 자외선 차단 상품에의 적용에 있어서 특히 부적합하다.
플라본 유도체인 루틴이나 그의 아클리콘(aglycon), 케르세틴은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포네이트와 그의 염의 형광의 우수한 소광제이다. 그러나 케르세틴이 함유된 유화액(emulsion)은 짙은 노란색이며, 화장료에 적합하지 않다. 루틴이 함유된 유화액은 베이지색이며 저장시 짙은 갈색으로 변하므로 이것 또한 화장료에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색 불안정성은 켐퍼롤(kaempferol), 루텔리온(luteolion), 피세틴(fisetin), 아피제닌(apigenin), 모린(morin), 로비네틴(robinetin), 고십페틴(gossypetin), 마이리세틴(myricetin), 또는 그들의 당 유도체인 퀘르시트린(quercitrin), 모녹세루틴(monoxerutin), 디오스민(diosmin) 등에 있어서 일반적이다.
또한 플라본 당 유도체인 나린진(naringin)과 헤스페리딘(hesperidin)은 다른 플라본 유도체보다 색 불안정성 문제가 적지만,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포네이트와 그의 염의 형광을 효과적으로 소광시키지 못한다. 또한 이들은 물에 거의 녹지 않는다.
따라서 플라본 유도체인 트록세루틴(troxerutin)이 유화액에서 장시간 색 안정성이 있는 동시에 효과적으로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포네이트의 형광을 소광시키는 특성을 가진다는 점은 예측할 수 없었던 놀라운 발견이다. 또한 트록세루틴을 사용하는 이점은 이것이 나린진과 히스페리딘과 같은 다른 유도체에 비해 물에 용해도가 높다는 점이다.
트록세루틴을 화장료에 사용하는 것은 신규하지 않다. DE197 39 349는 화장료 제조에 있어서 피부의 산화작용을 막고 화장료 자체를 보호하기 위해 트록세루틴을 항산화제와 자유 라디칼 분해물질로 사용할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트룩세루틴의 형광 소광제로서의 용도는 개시하지 않고 있다.
EP 1 055 413은 트록세루틴을 포함한 플라본 유도체의 용도에 대해 개시하고 있는데, UV 유발 손상에 대응한 보호를 위한 황산화된 UV필터에 혼합해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트룩세루틴이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포네이트와 그의 염의 형광을 소광시키는데 사용된다는 것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US 4,603,046은 홍반과 같은 피부화상의 방지를 위해 UV필터, 특히 에틸헥실 p-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에 트룩세루틴을 같이 사용할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트룩세루틴의 형광 소광 특성에 대해서는 개시하지 않고 있다.
DE 197 55 504는 광분해성 UVA 필터인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트록세루틴을 포함하는 플라본 유도체의 용도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형광 소광에 대해서는 개시하지 않고 있다.
DE 10 2006 030 328은 트록세루틴을 포함하는 이소플라본과 삼탄당이나 사탄당을 함께 사용하여 피부 제제의 피부 미백 효능을 증진시키기 위한 UV 필터로 사용할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이는 형광 소광에 대해서는 어떤 점도 개시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폰산이나 그의 염 및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폰산의 형광을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트록세루틴을 포함하는 제제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제제는 화장품용 또는 의약품용이며, 특히 피부용 제제, 보다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이다.
화장료, 의약품, 특히 피부용 제제에 있어서 트록세루틴의 총 양은 제제의 총중량 대비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중량%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폰산 및 그의 염의 총 양은 제제의 총중량 대비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4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3중량%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폰산 및 그의 염과 트록세루틴의 중량비는 40:1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10:1 내지 1:4이면 적당하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는, 제제(특히 화장픔 또는 의약품 제제)는 트록세루틴과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폰산 및/또는 그의 염의 화합물에 하나 이상의 UV 흡수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UV 흡수제의 총 양은 제제의 총중량 대비 0.1 내지 4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3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중량%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체예에서는, 화장품 또는 피부용, 의약품용 제제는 UV 필터 및/또는 무기 안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제는 자외선 차단 지수가 2 이상(바람직하게는 5 이상)이며 60까지 이른다. 이러한 자외선차단제는 피부 및 모발의 보호에 적합하다.
보다 적합한 광 차단제(UV 흡수제)는 4-아미노벤조산과 그의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벤조페논 유도체, 디벤조일메탄 유도체, 디페닐아크릴레이트, 3-이미다졸-4-일아크릴산 및 그의 에스터, 벤조퓨란 유도체, 벤질리덴말론산 유도체, 하나 이상의 유기실리콘 라디칼을 포함하는 UV 흡수제 폴리머, 신남산 유도체, 캄퍼 유도체, 트리아닐리노-s-트리아진 유도체, 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유도체, 페닐, 멘틸안트라닐레이트, 벤조트리아졸 유도체 및 인돌 유도체 등과 같은 유기 UV 흡수제이다.
이러한 UV 흡수제는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추가하여 사용될 수 있고, 아래에 구체화 되어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한 UV 필터는 다음과 같다.
UVB 필터:
- p-아미노벤조산
- 에틸 p-아미노벤조에이트(25몰) 에톡실레이티드
- 2-에틸헥실 p-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 에틸 p-아미노벤조에이트(2몰) N-프로폭시레이티드
- 글리세롤 p-아미노벤조에이트
- 호모멘틸 살리실레이트(호모살레이트)(Neo Heliopan®HMS)
- 2-에틸헥실살리실레이트(Neo Heliopan®OS)
- 트리에타놀아민 살리실레이트(Neo Heliopan®TS)
- 4-이소프로필벤질 살리실레이트
- 멘틸 안트라닐레이트(Neo Heliopan®MA)
- 에틸 디이소프로필신남메이트
- 2-에틸헥실 p-메톡시신남메이트 (Neo Heliopan®AV)
- 메틸 디이소프로필 실남메이트
- 이소아밀 p-메톡시신남메이트(Neo Heliopan®E1000)
- p-메톡시신남산 디에타놀아민염
- 이소프로필 p-메톡시신남메이트
- 3-(4'-트리메틸암모늄)벤질리덴보난-2-원 메틸 설페이트
- β-이미다졸-4(5)-아크릴산(유로카닉산)
- 3-(4'-설포)벤질리덴보난-2-원 및 염
- 3-(4'-메틸벤질리덴)-d.l-캠퍼(Neo Heliopan®MBC)
- 3-벤질리덴-d.l-캠퍼
- N-[(2 및 4)-[2-(옥소본-3-일리덴)메틸]벤질]아크릴아마이드 폴리머
- 4,4'-[{(6-[4-(1,1-디메틸)아미노카보닐]페닐아미노)-1,3,5-트리아진-2,4-디일}디이미노]비스(벤조산 2-에틸헥실에스터)(Uvasorb®HEB)
- 벤질리덴말로네이트-폴리실록산(Parsol®SLX)
- 글리세릴 에틸헥사노에이트 디메톡시신남메이트
- 디프로필렌 글리콜 살리실레이트
- 트리스(2-에틸헥실) 4,4'4''-(1,3,5-트리아진-2,4,6-트릴트리이미노)트리벤조에이트(Uvinul®T150)
- EP 1 008 593에 개시된 벤질리덴 부티로락톤
- WO 2005/107692에 개시된 벤질리덴 β-디카르보닐 화합물
UVA/B 광대역 필터:
- 2-에틸헥실 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레이트(Neo Heliopan®303)
- 에틸 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레이트
-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벤조페논-3, 옥시벤존) (Neo Heliopan®BB)
-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 (설리소벤존, 벤조페논-4) 또는 그의 염
- 디소듐 2,2'-디하이드록시-4,4'-디메톡시-5,5'-디설포벤조페논
- 페놀,-(2H-벤조트리아졸-2-일-4-메틸-6-(2-메틸-3-(1,3,3,3-테트라메틸-1-(트리메틸실리)옥시)디실록시아닐)프로필), (Mexoryl®XL)
- 2,2'-메틸렌비스(6-(2H-벤즈트리아졸-2-일)-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 (Tinosorb®M)
- 2,4-비스[4-(2-에틸헥실옥시)-2-하이드록시페닐]-1,3,5-트리아진
- 2,4-비스[(4-(2-에틸헥실옥시)-2-하이드록시)페닐]-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Tinosorb®S)
- 2,4-비스[{(4-(3-설포네이토)-2-하이드록시프로필옥시)-2-하이드록시}페닐]-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소듐염
- 2-4-비스[{(3-(2-프로필옥시)-2-하이드록시프로필옥시)-2-하이드록시}페닐]-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 2,4-비스[{4-(2-에틸헥실옥시)-2-하이드록시}페닐]-6-[4-(2-메틸옥시에틸카르보닐)페닐아미노]-1,3,5-트리아진
- 2,4-비스[{4-(3-(2-프로필옥시)-2-하이드록시프로필옥시)-2-하이드록시}페닐]-6-[4-(2-에틸카르복실)페닐아미노]-1,3,5-트리아진
- 2,4-비스[{4-(2-에틸헥실옥시)-2-하이드록시}페닐]-6-(1-메틸피롤-2-일)-1,3,5-트리아진
- 2,4-비스[{4-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실릴프로필옥시)-2-하이드록시}페닐]-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 2,4-비스[{4-(2''-메틸프로페닐옥시)-2-하이드록시}페닐]-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 2,4-비스[{4-(1',1',1',3',5',5',5'-헵타메틸실록시-2''-메틸프로필옥시)-2-하이드록시}페닐]-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UVA 필터:
- 테레프탈일리덴디보난설폰산 및 염(Mexoryl®SX)
- 4-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아보벤존) (Neo Heliopan®357)
- 헥실 2-(4-디에틸아미노-2-하이드록시벤조일)벤조에이트(Uvinul® A Plus)
- 4-이소프로필디벤조일메탄
- 멘틸 안트라닐레이트 (Neo Heliopan®MA)
- DE 100 55 940에 개시된 인다닐리덴 화합물
- WO 2006/015954에 개시된 벤조일신나밀 나이트릴
조합물에 적합한 UV 흡수제:
- p-아미노벤조산
- 3-(4'-트리메틸암모늄)벤질리덴보난-2-원 메틸 설페이트
- 호모멘틸 살리실레이트(호모살레이트)(Neo Heliopan®HMS)
- 테레프탈일리덴디보난설폰산 및 염(Mexoryl®SX)
-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아보벤존) (Neo Heliopan®357)
- 3-(4'-설포)벤질리덴보난-2-원 및 염
- 2-에틸헥실 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레이트(Neo Heliopan®303)
- N-[(2 및 4)-[2-(옥소본-3-일리덴)메틸]벤질]아크릴아마이드 폴리머
- 2-에틸헥실 p-메톡시신나메이트 (Neo Heliopan®AV)
- 에틸 p-아미노벤조에이트(25몰) 에톡실레이티드
- 이소아밀 p-메톡시신남메이트(Neo Heliopan®E1000)
-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Uvinul®T150)
- 페놀,2-(2H-벤조트리아졸-2-일-4-메틸-6-(2-메틸-3-(1,3,3,3-테트라메틸-1-(트리메틸실리)옥시)디실록시아닐)프로필), (Mexoryl®XL)
- 4,4'-[{(6-[4-(1,1-디메틸)아미노카보닐]페닐아미노)-1,3,5-트리아진-2,4-디일}디이미노]비스(벤조산 2-에틸헥실에스터)(Uvasorb®HEB)
- 3-(4'-메틸벤질리덴)-d.l-캠퍼 (Neo Heliopan®MBC)
- 3-벤질리덴캠퍼
- 2-에틸헥실살리실레이트 (Neo Heliopan®OS)
- 2-에틸헥실 4-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Padimate O)
-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벤조페논-3, 옥시벤존) (Neo Heliopan®BB)
- 2,2'-메틸렌비스(6-(2H-벤조트리아졸-2-일)-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 (Tinosorb®M)
- 2,4-비스[(4-(2-에틸헥실옥시)-2-하이드록시)페닐]-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Tinosorb®R)
- 벤질리덴말로네이트-폴리실록산(Parsol®SLX)
- 멘틸 안트라닐레이트 (Neo Heliopan®MA)
- 헥실 2-(4-디에틸아미노-2-하이드록시벤조일)벤조에이트(Uvinul®A Plus)
- DE 100 55 940에 개시된 인다닐리덴 화합물
- WO 2006/015954에 개시된 벤조일신나밀 나이트릴
- EP 1 008 593에 개시된 벤질리덴 부티로락톤
- WO 2005/107692에 개시된 벤질리덴 β-디카르보닐 화합물
또한 소수성이 필요하다면 특별한 UV 필터나 이산화티타늄(TiO2), 산화아연(ZnO), 산화철(Fe2O3), 산화지르코늄(ZrO2), 산화규소(SiO2), 산화마그네슘(z.B. MnO), 산화알루미늄(Al2O3)및 산화세륨(e.g. Ce2O3)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무기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화장료나 피부용 제제에 존재하는 설폰화된 수용성 UV 필터로는, 구체적으로는 이에 제한되는것은 아니나, 페닐벤즈이미다졸 설폰산,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폰산, 빈조페논-4, 테레프탈일리덴디보난설폰산, 3-(4'-트리메틸암모늄)벤질리덴보난-2-원 메틸 설페이트, 3-(4'-설포)벤질리덴보난-2-원 및 그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의 총 양은 총 제제의 양 대비 0.1 내지 15.0중량%, 특히 0.5 내지 10.0중량%, 특히 1.0 내지 8.0 중량%를 사용할 수 있다.
트록세루틴과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포네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나 피부용 제제에 사용되는 페닐벤즈이미다졸 설폰산 및 그의 염의 양은 총 제제의 양 대비 0.1 내지 10.0중량%,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8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0중량%를 사용할 수 있다.
트록세루틴과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포네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나 피부용 제제에 사용되는 Mexoryl®SX 및 그의 염의 양은 총 제제의 양 대비 0.1 내지 10.0중량%,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8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0중량%를 사용할 수 있다.
트록세루틴과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포네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나 피부용 제제에 사용되는 지용성 UV 필터로는, 구체적으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2-에틸헥실) 4,4'-4''-(1,3,5-트리아진-2,4,6-트릴트리이미노)트리벤조에이트, 터트-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에틸헥실 4-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Mexoryl®XL, Uvasorb®HEB, Tinosorb®S, 벤조페논-3, Parsol®SLX, Neo Heliopan®MA, 이소아밀 p-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틸헥실 살리실레이트, 호모살레이트,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옥토크릴렌, Uninul®A Plus 및 3-(4'-메틸벤질리덴)-d,l-캠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의 총 양은 총 제제의 양 대비 0.1 내지 30중량%, 특히 0.5 내지 25중량%, 특히 1 내지 20중량%를 사용할 수 있다.
트록세루틴과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포네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나 피부용 제제에 사용되는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의 양은 총 제제의 양 대비 0.1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0중량%를 사용할 수 있다.
트록세루틴과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포네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나 피부용 제제에 사용되는 이소아밀 p-메톡시신나메이트의 양은 총 제제의 양 대비 0.1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0중량%를 사용할 수 있다.
트록세루틴과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포네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나 피부용 제제에 사용되는 옥토크릴렌의 양은 총 제제의 양 대비 0.1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0중량%를 사용할 수 있다.
트록세루틴과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포네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나 피부용 제제에 사용되는 살리크릴레이트 에스터의 양은 총 제제의 양 대비 0.1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0중량%를 사용할 수 있다. 에틸헥실 살리크릴레이트가 UV 필터로 사용되면 총 제제의 양 대비 0.1 내지 5.0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좋고, 호모살레이트가 UV 필터로 사용되면 총 제제의 양 대비 0.1 내지 15.0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트록세루틴과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포네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나 피부용 제제에 사용되는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의 양은 총 제제의 양 대비 0.1 내지 10.0중량%,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7.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0중량%를 사용할 수 있다.
트록세루틴과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포네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나 피부용 제제에 사용되는 Uninul®A Plus의 양은 총 제제의 양 대비 0.1 내지 10.0중량%,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7.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0중량%를 사용할 수 있다.
트록세루틴과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포네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나 피부용 제제에 사용되는 Tinosorb®S의 양은 총 제제의 양 대비 0.1 내지 10.0중량%,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7.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0중량%를 사용할 수 있다.
트록세루틴과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포네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나 피부용 제제에 사용되는 Uvasorb®HEB의 양은 총 제제의 양 대비 0.1 내지 10.0중량%,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7.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0중량%를 사용할 수 있다.
트록세루틴과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포네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나 피부용 제제에 사용되는 Uvinul®T-150의 양은 총 제제의 양 대비 0.1 내지 10.0중량%,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7.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0중량%를 사용할 수 있다.
트록세루틴과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포네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나 피부용 제제에 사용될 수 있는 지성 초미립자 유기/무기 안료, 구체적으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트리아진 유도체, 산화아연(코팅되거나 비코팅된 것) 및 이산화티타늄(코팅되거나 비코팅된 것)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고, 이의 양은 총 제제의 양 대비 0.1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0중량%, 또한 바람직하게는 0.75 내지 7.5중량%를 사용할 수 있다. 이산화티타늄 또는 산화 아연이 UV 필터로 사용되면 총 제제의 양 대비 0.1 내지 10.0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좋고, 트리아진 유기 안료 하나 이상이 UV 필터로 사용되면 총 제제의 양 대비 0.1 내지 10.0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트록세루틴과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폰산 및 하나 이상의 그의 염을 다른 UV 필터(구체적으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조합물에 적합한 UV 흡수제'의 목록에 나열된 물질들을 사용할 수 있음)에 결합하는 것은 각각에 대한 광 차단지수로 결정된 UVB 와 UVA선에 대한 보호의 정도에 있어서 시너지 효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은 또한 트록세루틴과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폰산 또는 그의 염을 상기 나열된 UV 필터 외에도 당업자에게 허용되는 모든 UV 필터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적합한 혼합물과 결합하여 하기 미국, 유럽, 일본, 오스트레일리아의 법률에 규정된 자외선 차단제로 사용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미국: FDA(Food and Drug Administration), 전 국민을 위한 자외선 차단제 모노그래프.
유럽: 유럽 커뮤니티 공식 저널에 있는 유럽 커뮤니티 의회의 Cosmetics Directive 76/768 EEC.
일본: MHW(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의 Cosmetic Criteria에 있는 UV 필터 포지티브리스트.
오스트레일리아: ARTG(Australian Register of Therapeutic Good)의 Australian Therapeutic Goods Administration 이 출판한 허용되는 UV 필터 포지티브리스트.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UVA 및 UVB 선으로부터의 보호에 있어서 상승 효과를 유발한다.
화장료나 피부용 제제에 있어서, 트록세루틴은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포네이트와 같이 사용되었을 때 UV선을 흡수하고, UV에 대해 낮은 안정성을 가지고 있는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 유도체와 같은 UV 흡수제의 광안정화를 유발한다. 특히,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포네이트 및 그의 산화형과 함께 존재하는 트록세루틴 및 그의 염은 빛에 매우 불안정한 4-터트-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과 같은 UVA 흡수제의 안정도를 증가시킨다.
메틸벤질리딘 캠퍼, 2-에틸헥실-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레이트, 옥틸트리아존, Uvasorb®HEB, Tinosorb®S, Tinosorb®M, 에틸헥실 살리실레이트, 호모멘틸 살리실레이트, 페닐렌벤즈이미다졸설폰산, 벤조페논-4, Uvinul A Plus, Mexoryl®SX, Mexoryl®XL, Parsol®SLX, DE 100 55 940 및/또는 WO 02/38537에 개시된 인다닐리덴 화합물, WO 2006/015954에 개시된 벤조일신나밀 나이트릴, EP 1 008 593에 개시된 벤질리덴 부티로락톤 및 WO 2005/107692에 개시된 벤질리덴 β-디카르보닐 화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광 안정성 UV 흡수제를 상기 세 화합물의 조합에 더하는 것은 큰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UV 필터에 추가하거나, 단독으로 에몰리언트(emollient)성분인 2,6-디에틸헥실 나프탈레이트(Corapan®TQ, Symrise사, 독일)를 상기 세 화합물의 조합에 더하는 것은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의 광안정성을 증가시키는 이점이 있다.
UVA 흡수제, 특히 UVA- I 흡수제와 트록세루틴,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폰산및 그의 염의 복합제는 그에 상응하는 UVA 방사선(320~400nm)에 대한 보호 효과를 제공한다.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 Tinosorb®S, 인다닐리덴 유도체, 또는 벤조일신나밀 나이트릴(UVA- I 흡수제)과 트록세루틴,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폰산 및 그의 염의 복합제는 넓은 파장의 UV에 대한 보호 효과가 있다. 트록세루틴과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폰산 및 그의 염과 함께 쓰이면 좋은 UVA 필터로는 Mexoryl® SX, Mexoryl®XL, Tinosorb®M, Tinosorb®S, 벤조페논-3, 벤조페논-4, Uvinul® A Plus, Neo Heliopan®357 및 Neo Heliopan®M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복합제는 UVA와 UVB 방사선에 대한 광역 보호를 최대화하기 위해 UVB 필터나 이들의 혼합물(예: 상기 언급된 적합한 UV 흡수제)과도 결합이 가능하다.
UVB 필터로는 Neo Heliopan상기 복합제는 UVA와 UVB 방사선에 대한 광역 보호를 최대화하기 위해 UVB 필터나 이들의 혼합물(예: 상기 언급된 적합한 UV 흡수제)과도 결합이 가능하다.
UVB 필터로는 Neo Heliopan®AV, Neo Heliopan®E1000, Neo Heliopan®Hydro, Neo Heliopan®MBC, Neo Heliopan®303, Neo Heliopan®OS, Neo Heliopan®HMS, Uvinul®T150 및 Uvasorb®HEB, Parsol®SLX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트록세루틴,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포네이트와 UV 광 흡수 능력이 없는 다들 물질을 혼합했을 때의 UV광에 대한 증진된 보호 효과와 같은 시너지가 예측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및 피부용 제제는 수용액 상이나 지질 상에서 전형적인 UVA, UVB 또는 광대역 필터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필터를 포함한다. 이는 높은 UVA 및 UVB 차단 지수를 가지는 다방면에서 우수한 제제이다.
만일 UV 흡수제가 옷에 잘 지워지지 않는 자욱을 남긴다는 것은 큰 단점으로 작용한다. 특히 UVA 흡수제인 터트-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은 직물에 지워지지 않는 자욱을 남긴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트록세루틴과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포네이트를 사용하면 자욱은 쉽게 지워지므로 이러한 단점이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의약품 또는 피부용 제제는 상업적으로 제형화 될 수 있고, 피부 및/또는 모발의 치료, 케어, 세척 등을 위한 화장품, 피부용 자외선 차단제, 색채화장품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UV로부터 피부 및 모발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항하는 이러한 화장품 및 의약품 제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중유형(oil-in water), 유중수형(water-in-oil), 또는 혼합 유화액(emulsion)의 형태, 밀크, 크림이나 로션, 에어로졸, 수분산 겔, 오일 젤(무유화제), 스프레이, 폼, 용액, 파우더, 연필 제제 등의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샴푸, 린스, 컨디셔너, 젤, 로션, 스프레이 또는 크림 상의 제제는 UV로부터 모발을 보호하는데 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의약품 또는 피부용 제제는 일반적인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고, 피부 및/또는 모발의 치료, 케어, 세척 등을 위한 화장품, 피부용 자외선 차단제, 색채화장품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제는 그들의 제형화 유형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피부 보호 크림, 클렌징 밀크, 자외선 차단용 로션, 영양 크림, 낮 또는 밤 용 크림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제는 그들의 제형화 유형에 따라 샴푸, 컨디셔너, 이들의 복합제제, 항비듬 샴푸, 헤어 토닉, 헤어 로션, 헤어 린스, 스타일링제 및 스프레이 등과 같은 모발 관리 조성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의약품 제제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화장료 및 의약품 제제는 피부 케어, 모발 케어 또는 메이크 업 제품일 수 있다.
일반적인 구체예로는 크림, 젤(단순히 수분 젤과 수분산 젤, 오일 젤에 국한되지 않음), 로션, 알코올성 및 수성/알코올성 용액, 유화액(emulsion), 구체적으로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수중유형(oil-in water), 유중수형(water-in-oil), 혼합 유화액, PIT 유화액, 피커링 유화액(Pickering emulsion), 마이크로 유화액 및 나노 유화액 등이 있고, 이외에도 에어로졸 폼(Foam), 비-에어로졸 폼, 에어로졸 스프레이, 비-에어로졸 스프레이, 펌프 스프레이, 세럼, 롤온형(roll-on), 페이스트, 발삼, 스틱 제제 등이 있다.
이러한 제제는 또한 보조적 또는 추가적으로 온화한 계면활성제, 보조 유화제, 과지방제, 광택 왁스, 보딩 시약(bodying agent), 고화제, 폴리머, 실리콘 화합물, 지방, 왁스, 안정제, 생체활성물질, 악취제거물질, 항비듬 시약, 필름 형성제, 팽윤제, 가용화제, 보존제, 방충제, 태닝제(tanning agent), 인공 자가 태닝제(예: 디하이드록시아세톤), 방향 오일, 염료, 항균제, 수성 또는 비수성 식물 추출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및 피부용 제제의 사용시에는 피부 및/또는 두발에 통상적으로 화장료 또는 의약 및 피부용 제제에 사용되는 적당한 양을 적용할 수 있다.
피부 및 모발의 보호를 위해 화장료 및 피부용 제제가 화장료 조성물과 함께 존재하는 것이 선호된다.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화장료 및 피부용 제제는 트록세루틴과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페이트 외에 적어도 하나의 무기 안료, 보다 바람직하게는 무기 미세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안료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피부용 제제는 피부 케어나 화장품 형태로의 사용에 선호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및 피부용 제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는데, 보존제, 살균제, 향료, 소포제, 염료, 색깔반응을 갖는 색소, 증점제(thickener), 수분 제공제, 습윤제, 지방, 오일, 왁스 등이 그 예이다. 또한 화장료 및 피부용 제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알코올, 폴리올(polyol), 폴리머, 거품 안정제, 전해액, 유기 용매, 실리콘 유도체 등이 그 예이다.
각각의 경우에 사용되는 화장료 또는 피부 보조제, 담체, 향료의 양은 물질의 특성에 따라 당업자가 용이하게 적정 범위내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의약품 특히 피부용 제제의 바람직한 구체예는 또한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계면활성제는 물에서 유기, 비극성 물질을 녹일 수 있는 양친매성 물질이다. 여기서 계면활성제의 친수성 부분은 -COO-, -OSO3 2 -, -SO3 -과 같은 극성 관능기인 반면, 소수성 부분은 비극성 탄화수소 라디칼이다. 계면활성제는 그 성질과 친수성 분자 부위의 극성에 따라 다음과 같은 네 그룹으로 분류된다.
-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카르복실레이트, 설페이트 또는 설포네이트 기를 관능기로 포함한다. 산 또는 중성을 띄는 수용상에서 이는 음전하를 띄는 유기 이온을 형성한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주로 4차 암모늄 기를 포함하고 있다. 산 또는 중성을 띄는 수용상에서 이는 양전하를 띄는 유기 이온을 형성한다.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양이온성 그룹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수용상에서 pH에 따라 음이온성 또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특성을 보인다. 강한 산 조건에서 이는 양전하를 띄고 있고, 염기조건에서는 음전하를 띈다. 반면, 중성 pH 조건에서는 쯔비터(zwitter)이온이 된다. 폴리에터 사슬은 전형적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수용상에서 이온을 형성하지 않는다.
A.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주로 사용되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아크릴아미노산(및 그의 염)인데, 예를 들면:
- 소듐 아크릴 글루타메이트, 디-TEA-팔미토일 아스파테이트 및 소듐 카프릴릭/카프릭 글루타메이트 등과 같은 아크릴 글루타메이트,
- 팔미토일 우유 가수분해 단백질, 소듐 코코일 콩 가수분해 단백질, 소듐/포타슘 코코일 가수분해 콜라겐 등과 같은 아크릴 펩타이드,
- 미리스토일 사르코신, TEA-라우로일 사르코시네이트, 소듐 라우로일 사르코시네이트, 소듐 코코일 사르코시네이트 등과 같은 사르코시네이트,
- 소듐 라우로일 타우레이트, 소듐 메틸코코일 타우레이트 등과 같은 타우레이트,
- 아실락틸레이트, 라우로일 락틸레이트, 카프로필 락틸레이트,
- 알라니네이트
카르복실산 및 그 유도체, 예를 들면:
- TEA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PEG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 라우릴산,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알카노레이트, 징크운데실레네이트,
- 칼슘 스테아로일 락틸레이트, 라우레스-6 시트레이트, 소듐 PEG-4 라우르아마이드카르복실레이트,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올레일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시트레이트, 글리세릴 올레일 시트레이트 등과 같은 에스터-카르복실산,
- 소듐 라우레스-13 카르복실레이트, 소듐 PEG-6 코카마이드 카르복실레이트 등과 같은 에터-카르복실산
글루코시드 에스터, 예를 들면:
- 세테아릴 글루코시드, 라우릴 글리코시드
포스포릭산 에스터 및 그의 염, 예를 들면:
- 세틸 포스페이트(단일, 이중 세틸 및 그들의 혼합물), 포타슘 세틸 포스페이트(단일 이중 세틸 및 그들의 혼합물), DEA 세틸 포스페이트(단일, 이중 세틸 및 그들의 혼합물), DEA-올레스-10 포스페이트 및 디라우레스-4-포스페이트
설폰산 및 그의 염, 예를 들면
- 소듐/암모늄 코코일 이세치오네이트와 같은 아실 이세치오네이트,
- 알킬아릴설포네이트
- 소듐 코코-모노글리세라이드 설페이트, 소듐 C12-14 올레핀설포네이트, 소듐 라우릴 설포아세테이트 및 마그네슘 PEG-3 코카마이드 설페이트 등과 같은 알킬설포네이트,
- 디옥틸 소듐 설포석시네이트, 디소듐 라우레스-설포석시네이트, 디소듐 라우릴설포석시네이트 및 디소듐 운데실렌아미도-MEA-설포석시네이트 등과 같은 설포석시네이트
및 황산 에스터 예를 들면:
- 소듐, 암모늄, 마그네슘, MIPA, TIPA 라우레스 설페이트, 소듐 미레스 설페이트 및 소듐 C12-13 파레스 설페이트 등과 같은 알킬 에터 설페이트
등이 있다.
B.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주로 사용되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다음과 같다.
- 알킬아민,
- 알킬이미다졸,
- 에톡시레이티드 아민,
- 4차 계면활성제,
- RNH2CH2CH2COO- (pH=7)
- RNHCH2CH2COO- B+ (pH=12) B+ = 임의의 양이온(예: Na+)
- 에스테르 쿼트
4차 계면활성제는 네개의 알킬 또는 아릴 그룹과 공유결합된 N 원자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한다. 이것은 pH와 무관하게 양전하를 띈다.
알킬베타인, 알킬아미도프로필베타인 및 알킬아미도프로필하이드록시설파인이 주로 사용될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벤질디메틸스테아릴암모늄 클로라이드와 같은 벤질트리알킬암모늄 클로라이드 또는 브로마이드, 또는 알킬트리알킬암모늄염, 보다 구체적으로는 세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또는 브로마이드, 알킬디메틸하이드록시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또는 브로마이드, 디알킬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또는 브로마이드, 알킬아마이드에틸트리메틸암모늄 에터 설페이트, 이미다졸린 유도체 및 아민 옥사이드와 같이 양이온성을 가진 화합물, 예를들면 알킬디메틸아민 옥사이드 또는 알킬아미노에틸디메틸아민 옥사이드 등과 같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세틸트리메틸-암모늄염을 사용할 수 있다.
C. 양쪽성 계면활성제
주로 사용되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다음과 같다.
- 소듐 아실암포아세테이트, 디소듐 아실암포디프로피오네이트, 디소듐 알킬암포디아세테이트, 소듐 아실암포하이드록시프로필설포네이트, 디소듐 아실암포디아세테이트 및 소듐 아실암포프로피오네이트 등과 같은 아실/디알킬에틸렌디아민,
- 아미노프로필 알킬글루타마이드, 알킬아미노프로피오닉산, 소듐 알킬이미도디프로피오네이트 및 라우로암포카르복실글리시네이트 등과 같은 N-알킬아미노산,
- 아실암포하이드록시프로필설포네이트, 디소듐 아실암포디아세테이트 및 소듐 아실암포프로피오네이트,
- 아미노프로필 알킬글루타마이드, 알킬아미노프로피오닉산, 소듐 알킬이미도디프로피오네이트 및 라우로암포카르복시글리시네이트 등과 같은 N-알킬아미노산
D.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주로 사용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다음과 같다.
- 알코올,
- 코카마이드 MEA/DEA/MIPA와 같은 알카놀아마이드,
- 코코아미도프로필아민 옥사이드와 같은 아민 옥사이드
- 에톡시레이티드/프로폭시레이티드 알코올, 에톡시레이티드/프로폭시레이티드 에스터, 에톡시레이티드/프로폭시레이티드 글리세롤 에스터, 에톡시레이티드/프로폭시레이티드 콜레스테롤, 에톡시레이티드/프로폭시레이티드 트리글리세라이드 에스터, 에톡시레이티드/프로폭시레이티드 라놀린, 에톡시레이티드/프로폭시레이티드 폴리실록산 및 프로폭시레이티드 POE 에터 등의 에스터 및 라우릴 글루코시드, 데실 글루코시드 및 코코-글리코시드 등과 같은 알킬 폴리글리코시드,
- 수크로오스 에스터, 수크로오스 에터
- 폴리글리세롤 에스터, 디글리세롤 에스터, 모노글리세롤 에스터, 폴리글리세릴-2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Dehymuls®PGPH), 폴리글리세릴-3 디이소스테아레이트(Lameform®TGI), 폴리글리세릴-4 이소스테아레이트(Isolan®GI 34), 폴리글리세릴-3 올리에이트, 디이소스테아릴 폴리글리세릴-3 디이소스테아레이트(Isolan®PDI), 폴리글리세릴-3 메틸글루코스 디스테아레이트(Tego Carey®450), 폴리글리세릴-3 비스왁스(Cera Bellina®, 폴리글리세릴-4 카프레이트(폴리글리세롤 카프레이트 T2010/90), 폴리글리세릴-3 세틸 에터(Chimexane®NL), 폴리글리세릴-3 디스테아레이트(Cremophor®GS 32), 폴리글리세릴-2 스테아레이트(Hostacerin®DGMS) 및 폴리글리세릴 폴리리시네올리에이트(Admul®WOL 1403) 및 이들의 혼합물,
- 메틸글루코오스 에스터, 하이드록시산의 에스터
음이온성, 양쪽성 계면활성제 중 하나 이상을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및 피부용 제제는 무기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무기 안료는 균일하게 분산된 물에 녹지 않거나 미미하게 녹는 금속 산화물 및/또는 금속 물질을 기초로 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산화티타늄(TiO2), 산화아연(ZnO), 산화철(Fe2O3), 산화지르코늄(ZrO2), 산화규소(SiO2), 산화망간(z.B. MnO), 산화알루미늄(Al2O3)및 산화세륨(e.g. Ce2O3)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무기 안료, 상기 금속의 혼합 산화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X-선-비정질이거나 비-X-선-비정질이다.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티타늄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X-선-비정질 산화 안료는 X-선 회절분석에서 특별한 결정 구조가 나타나지 않거나 인식되지 않는 금속 산화물이거나 반-금속 산화물이다. 이러한 안료는 금속이나, 반-금속 할라이드를 수소와 공기(또는 순수한 산소)와 반응시키는 것과 같은 불꽃반응으로 얻어진다.
화장료, 피부용 또는 의약품 제제에 있어서, X-선-비정질 산화 안료는 증점제(thickner)와 칙소제Thixotropic agent), 유화액 및 분산제의 안정화를 위한 흐름 보조제 및 담체(예를 들면 균일 파우더의 부피 증가를 위한 목적을 위한 물질)로 사용된다. 화장료나 피부용 제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X-선-비정질 산화 안료는 고순도 규소 산화물이다. 바람직하게는 입자 크기가 5 내지 40nm이고 활성 표면적(BET)이 50 내지 400 m2/g,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300m2/g인 균일한 구형의 크기와 모양을 가진 고순도 규소 산화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육안으로 상기 규소 산화물 안료는 하얀 루스 파우더 형태로 인식된다. 이는 Aerosil®CAS-No. 7631-85-9)이나 Carb-O-Sil이라는 상표 하에서 상업적으로 판매된다.
바람직하게는 Aerosil®OX50, Aerosil®130, Aerosil®150, Aerosil®200, Aerosil® 300, Aerosil® 380, Aerosil® MQX 80, Aerosil® MOX 170, Aerosil® COK 84, Aerosil®R 202, Aerosil®R 805, Aerosil®R 812, Aerosil®R 972, Aerosil®R 974, Aerosil®R 976 등과 같은 Aerosil®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장료 또는 피부용 자외선 차단 제제는 0.1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중량%의 X-선-비정질 산화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X-선-비정질 무기 안료는 소수성 형태일 수 있고, 이를 위해 표면 개질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표면 개질은 소수성 층을 안료에 제공하는 것인데, 예를 들자면 하기의 반응을 통해 소수성 표면 층을 형성하는 것이다.
n TiO2 + m (RO)3Si-R'→ n TiO2 (표면)
n과 m은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화학양론적 계수이고, R과 R'는 임의의 유기 라디칼이다. 바람직하게는 DE-A 33 14 742에 개시된 내용과 유사하게 소수성으로 개질된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Degussa 사에서 T805라는 상표명으로 판매하는 이산화티타늄 안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Degussa 사에서 T817이라는 상표명으로 판매하는 TiO2/Fe2O3 혼합 산화물을 사용하는 것도 좋다.
화장료 또는 피부용 제제에 있어서 무기 안료, 특히 친유성 무기 미세안료의 양은 총 제제의 양 대비 0.1 내지 30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6.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화장료 또는 피부용 조성물에 피부 미백 조성물의 첨가는 선택적이다. 상기 피부 미백 조성물의 예로는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나 코직산(5-hydroxy-2-hydroxymethyl-4-pyranone), 코직 디팔미테이트와 같은 코직산 유도체, 알부틴, 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하이드로퀴논, 하이드로퀴논 유도체, 스티릴 레조르시놀 유도체(예: 4-(1-페닐에틸)1,3-벤젠다이올), 알파-하이드록시산(예: 시트르산, 라틱산, 말레익산) 및 그들의 유도체와 같은 글루타치온 또는 시스테인과 같은 황을 포함하는 분자, N-아세틸티로신 및 그 유도체, 운데세노일페닐알라닌, 글루코닉산, 에올레신과 같은 크로몬 유도체, 플라보노이드, 티몰 유도체, 1-아미노에틸포스피닉산, 티오우레아 유도체, 엘라직산, 니코틴아마이드, 염화아연 또는 투야플리신(thujaplicin) 및 그 유도체와 같은 징크 글루코네이트 등과 같은 아연 염, 마스릭산과 같은 트리테르펜, 에르고스테롤과 같은 스테롤, 센큐노라이드와 같은 벤조퓨라논, 비닐- 또는 에틸구아야콜, 옥토데세네디오닉산 또는 아젤라인산과 같은 디이온산(dionic acid), L-니트로아르기닌 및 그 유도체와 같은 질소 산화물 형성 억제제, 2,7-디니트로인다졸, 티오시트룰린, 금속 킬레이터(예: 알파-하이드록시-지방산, 팔미틱산, 피틱산, 락토페린, 휴믹산, 갈릭산, 담즙 추출물, 빌리루빈, 빌리버딘), 레티노이드, 두유, 콩 추출물, 세린 단백질분해효소 억제제, 리포산, 피부와 모발 밝기를 위한 합성 또는 자연 활성 물질로 베어베리 추출물, 쌀 추출물, 파파야 추출물, 감초 뿌리 추출물, 글라브리딘 또는 리코칼콘 A의 농축액, 아르토카르푸스 추출물, 루맥스와 라물러스종 추출물, 소나무 종 추출물, 머루 종 추출물과 이로부터 농축된 스틸벤 유도체, 바위취(saxifraga) 추출액, 멀버리(mulberry) 추출액, 황금(scutelleria)수침액 및/또는 포도추출액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화장료 또는 피부용 조성물에 항산화제를 첨가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선호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될 수 있는 바람직한 항산화제로 화장료 또는 피부용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모든 항산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항산화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아미노산(예: 글리신, 히스티딘, 티로신, 트립토판), 이의 유도체, 이미다졸(예: 우로카닉산) 및 이의 유도체, 펩타이드 예를 들면 D, L-카르노신, D-카르노신, L-카르노신 및 이의 유도체(예: 안세린), 카르테노이드, 카로틴(예: 알파-카로틴, 베타-카로틴, 리코펜) 및 이의 유도체, 클로로제닉산 및 이의 유도체, 리포산 및 이의 유도체(예: 디하이드로리포산), 아우로티오글루코오스, 프로필티오우라실 및 다른 티올(예: 티오레독신, 글루타치온, 시스테인, 시스틴, 시스타민, 글리코실, N-아세틸, 메틸, 에틸, 프로필, 아밀, 부틸, 라우릴, 팔미토일, 올레일, 감마-리놀레일, 콜레스테릴, 글리세릴 에스터) 및 이의 염, 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디스테아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티오디프로피오닉산 및 이의 유도체(에스터, 에터, 펩타이드, 리피드, 뉴클레오디드, 뉴클레오시드 및 염), 매우 적은 내성용량(예: pmol 내지 μmol/kg)의 설폭시민 화합물(예: 부티오닌 설폭시민, 호모시스테인 설폭시민, 부티오닌 설폰, 펜타-, 헥사-, 헵타티오닌 설폭시민), (금속) 킬레이팅 시약(예: 알파-하이드록시 지방산, 팔미틱산, 피틱산, 락토페린), 알파-하이드록시산(예: 시트르산, 라틱산, 말레인산), 휴믹산, 담즙산, 담즙 추출물, 빌리루빈, 빌리버딘, EDTA, EGTA 및 이의 유도체, 불포화지방산 및 이의 유도체(예: 감마리놀린산, 리놀린산, 올레익산), 폴릭산 및 이의 유도체, 유비퀴논, 유비퀴놀 및 이의 유도체, 비타민 C 및 유도체(예: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Mg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아스코르빌 아세테이트), 토코페롤 및 이의 유도체(예: 비타민 E 아세테이트), 비타민 A 및 이의 유도체(예: 비타민 A 팔미테이트), 벤조인 수지(benzoin resin)의 코니페릴 벤조에이트, 루티닉산 및 이의 유도체, 알파-글리코실루틴, 페룰릭산, 퍼퍼릴리덴글루시톨, 카르노신, 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 노르디하이드로구아이아식산, 노르디하이드로구아이아레틱산, 트리하이드록시부티로페논, 요산(uric acid) 및 이의 유도체, 만노오스 및 이의 유도체, 아연 및 이의 유도체(예: ZnO, ZnSO4), 셀레늄 및 이의 유도체(예: 셀레노메티오닌), 스틸벤 및 이의 유도체(예: 스틸벤 옥사이드, 트랜스-스틸벤 옥사이드) 및 본 발명에 적합한 활성 요소의 유도체(염, 에스터, 에터, 당, 뉴클레오티드, 뉴클레오시드, 펩타이드 및 리피드) 등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제 중 상기 항산화제의 양은 총 제제 중량 대비 0.001 내지 30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중량%이면 적당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또는 의약 제제 특히 피부용 활성 제제에 화장료 또는 피부용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모든 비타민 및 비타민 전구체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비타민 및 비타민 전구체의 예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토코페롤, 비타민 A, 니아신(niacin) 산, 니아신아마이드, 비오틴과 같은 B 복합체의 비타민, 비타민 C, 판테놀 및 이의 유도체(예: 판테놀의 에스터 및 판테놀 트리아세테이트, 판테놀 모노에틸 에터, 판테놀 모노아세테이트와 같은 양이온성 판테놀 유도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비타민 E 및/또는 이의 유도체가 항산화제인 경우, 이의 양은 총 제제 중량 대비 0.001 내지 10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비타민 A, 비타민 A 유도체, 카로틴 또는 카로틴 유도체가 항산화제로 사용된다면, 각각의 양은 총 제제 중량 대비 0.001 내지 10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장료 또는 의약 제제 특히 피부용 제제는 하기의 그룹에서 선택된 지질을 포함할 수 있다.
(ⅰ) 15개 이상의 탄소,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45개의 탄소를 가지고 있는 선형 또는 가지형 포화 파라핀(미네랄 오일);
(ⅱ) 6 내지 30개의 탄소를 가지고 있는 선형 또는 가지형 지방산과 선형 또는 가지형, 3 내지 30개의 탄소를 가지고 있는 포화 또는 불포화 모노-, 디-, 트리올의 12개 이상의 탄소를 가지는 에스터, 이러한 에스터들은 자유 하이드록시기가 없다;
(iii) 벤조산과 선형 또는 가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탄소수 8 내지 20개의 모노알칸올의 에스터;
(ⅳ) 3 내지 30개의 탄소를 갖는 알코올과 나프탈렌-모노카복실릭 또는 디카복실 산의 모노에스터 또는 디에스터; 특히 나프탈렌모노카복실산 C6-C18 에스터 및 나프탈렌디카복실산 디- C6-C18 에스터;
(ⅴ) 선형 또는 가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디-C6-C18-알킬에터;
(ⅵ) 실리콘 오일;
(ⅶ) 하기 구조식의 2-알킬-1-알칸올 (Ⅲ)
Figure pct00001
(Ⅲ)
여기서 Q1은 탄소수 6 내지 24개의 선형 또는 가지형 알킬 라디칼;
Q2는 탄소수 4 내지 16개의 선형 또는 가지형 알킬 라디칼이다.
본 발명의 유상(oil phase) 또는 유성 화합물은 다음의 좀더 좁은 범위의 그룹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ⅰ) 20 내지 32개의 탄소를 가지고 있는 선형 또는 가지형 포화 파라핀(미네랄 오일);
(ⅱ) 8 내지 24개의 탄소를 가지고 있는 선형 또는 가지형 포화 지방산과 선형 또는 가지형, 3 내지 24개의 탄소를 가지고 있는 포화 또는 불포화 모노-, 디-, 트리올의 적어도 14개 이상의 탄소를 가지는 에스터, 이러한 에스터들은 자유 하이드록시기가 없다;
(iii) 벤조산과 선형 또는 가지형, 포화, 탄소수 10 내지 18개의 모노알칸올의 에스터;
(ⅳ)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디- C6-C12 에스터;
(ⅴ) 선형 또는 가지형, 포화 디-C6-C18-알킬에터, 특히 (직선 사슬) 디-C6-C12-알킬에터;
(ⅵ) 사이클로트리실록산,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디메틸폴리실록산, 디에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및 디페닐폴리실록산 및 이들의 혼성체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실리콘 오일;
(ⅶ) 구조식(Ⅲ)의 탄소수가 12 내지 32개인 2-알킬-1-알칸올
여기서 Q1은 (바람직하게는 선형인) 탄소수 6 내지 18개의 알킬 라디칼;
Q2는 (바람직하게는 선형인) 탄소수 4 내지 16개의 알킬 라디칼이다.
본 발명의 유상(oil phase) 또는 유성 화합물은 다음의 더욱 좁은 범위의 그룹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ⅰ) 이소에이코산(isoeicosane) 또는 스쿠알란(squalane)과 같은 20 내지 32개의 탄소를 가지고 있는 선형 또는 가지형 포화 파라핀(미네랄 오일);
(ⅱ) 8 내지 18개의 탄소를 가지고 있는 선형 또는 가지형 포화 지방산과 선형 또는 가지형, 3 내지 18개의 탄소를 가지고 있는 포화 모노-, 디-, 트리올의 적어도 16개 이상의 탄소를 가지는 에스터, 이러한 에스터들은 자유 하이드록시기가 없다;
(iii) 벤조산과 선형 또는 가지형, 포화, 탄소수 12 내지 15개의 모노알칸올의 에스터, 특히 C12-C15-알킬 벤조에이트;
(ⅵ)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디- C6-C10 에스터, 특히 디에틸헥실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ⅴ) 직선 사슬 디-C6-C10-알킬에터, 특히 디-n-옥틸 에터(디카프릴리 에터);
(ⅵ) 운데카메틸사이클로트리실록산, 사이클로메티콘,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디메틸폴리실록산, 디에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및 디페닐폴리실록산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실리콘 오일;
(ⅶ) 구조식(Ⅲ)의 탄소수가 12 내지 32개인 2-알킬-1-알칸올
여기서 Q1은 (바람직하게는 선형인) 탄소수 6 내지 18개의 알킬 라디칼;
Q2는 (바람직하게는 선형인) 탄소수 4 내지 16개의 알킬 라디칼이다.
유상(oil phase)에서 특별히 선호되는 (ⅰ)유형의 화합물은 다음과 같다.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 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 올리에이트, n-부틸 스테아레이트, n-헥실 라우레이트, n-데실 올리에이트, 이소옥틸 스테아레이트, 이소노닐 스테아레이트,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2-에틸헥실 팔미테이트, 2-에틸헥실 라우레이트, 2-헥실데실 스테아레이트, 2-옥틸도데실 팔미테이트, 올레일 올리에이트, 올레일 에루케이트, 에루실 올리에이트, 에루실 에루케이트, 2-에틸헥실 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트리데실 이소노나노에이트, 2-에틸헥실 코코에이트,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조조바 유(jojoba oil)와 같은 에스터의 자연, 반합성, 합성 혼합물.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유상에서의 (ⅰ)유형 화합물)은 자연, 반합성, 합성 혼합물 형태일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올리브유, 해바라기유, 콩유, 땅콩유, 평지씨유, 아몬드유, 팜유, 코코넛유, 팜커널유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다.
유상(oil phase)에서 특별히 선호되는 (ⅶ)유형의 지질 화합물은 다음과 같다.
2-부틸-1-옥탄올, 2-헥실-1-데칸올, 2-옥틸-1-도데칸올, 2-데실테트라데칸올, 2-도데실-1-헥사데칸올 및 2-테트라데실-1-옥타데칸올.
유상(oil phase)에서 특별히 선호되는 지질 화합물은 C12-C15-알킬 벤조에이트와 2-에틸헥실 이소스테아레이트의 혼합물, C12-C15-알킬 벤조에이트와 이소트리데실 이소노나노에이트의 혼합물, C12-C15-알킬 벤조에이트, 2-에틸헥실 이소스테아레이트 및 이소노나노에이트의 혼합물, 사이클로메티콘과 이소트리데실이소노나노에이트의 혼합물 및 사이클로메티콘과 2-에틸헥실이소스테아레이트의 혼합물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또는 의약 제제 특히 피부용 활성 제제는 피부나 모발에 제형의 발림성을 좋게 하거나 물이나 땀에 잘 지워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 또한 제형의 차단 지수를 높게 하기 위해서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머의 구체적인 예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인터네셔널 스페셜리티 프로덕트(International Speciality Product)에 의해 Antaron V-220이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는 VP/에이코신 공중합체; 동일 회사에서 Antaron V-216과 Antaron V-516이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는 VP/헥사데센 공중합체; 동일 회사에서 Antaron WP-660이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는 트리콘타닐 PVP; Penreco에 의해 Versagel MC 나 MD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는 이소핵사데칸 및 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공중합체 및 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Penreco에 의해 Versagel ME 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는 수소화된 폴리이소부텐 및 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공중합체 및 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National Starch에 의해 Dermacryl 79, Dermacryl AQF, Dermacryl LT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는 아크릴레이트/옥틸아크릴아마이드 공중합체; Noveon에 의해 Avalure UR 450 및 525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는 PPG-17/IPDI/DMPA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우레탄; Noveon에 의해 Avalure UR 405, -410, -425, -430, -445 및 525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는 폴리우레탄-2 및 4; Noveon에 의해 Avalure UR 510, -525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는 폴리우레탄-5, 부틸 아세테이트 및 이소프로필알콜; BASF에 의해 Luviset PUR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는 폴리우레탄-1 및 -6; 및 Cognis에 의해 Cosmedia DC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는 수소화된 다이머 디일놀레일/디메틸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언급된 화합물 외에도 당업자가 예측가능한 화합물이 사용 가능하고, 예를 들면CTFA의 국제 화장료 사전의 최신판에 기재된 폴리머와 같은 화합물은 당업자가 예측가능한 화합물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제제에 있어서 요구되는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폴리머의 양은 총 제제의 중량 대비 0.10 내지 5.0중량%, 특히 0.25 내지 3.0중량%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또는 의약 제제 특히 피부용 활성 제제는 필요시 케어(care) 능력이 있는 성분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케어(care) 활성이 있는 성분의 구체적인 예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탄소수 6 내지 30개를 가지는 지방성 알코올이 있다.
지방성 알코올(fatty alcohol)은 포화 또는 불포화일 수 있고 선형 또는 가지형이다. 또한 이 지방성 알코올은 조건을 만족할 때 유상(oil phase) 또는 유성 화합물의 유형(ⅶ)의 화합물 구조식에 포함될 수 있다. 선택할 수 있는 알코올의 예로는 데칸올, 데켄올, 옥탄올, 옥테놀, 도데카놀, 도데케놀, 옥타디엔올, 데카디엔올, 도데카디엔올, 올레일 알코올, 리시놀레일 알코올, 에루실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세틸 알코올, 라우릴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아라키딜 알코올, 카프릴일 알코올, 카프릴 알코올, 리놀레일 알코올, 리놀레닐 알코올 및 베헤닐 알코올 등이 있고, 또한 2-옥틸-1-도데카놀과 같은 Guerbet 알코올 등이 있다. 이외에도 구조화학적으로 연관된 다른 알코올까지 사용할 수 있다.
지방성 알코올은 자연 지방산으로부터 유래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는 보통 지방산에 대응하는 에스터의 환원을 통해 얻어진다. 지방 및 지방유(예: 쇠기름, 땅콩유, 평지유, 목화유, 콩유, 해바라기유, 팜커널유, 아마씨유, 옥수수유, 비버유, 평지씨유, 참깨유, 카카오버터, 코코넛지방)의 자연 환원으로 얻어진 지방성 알코올도 또한 사용 가능하다.
화장료 또는 피부용 활성 제제에 사용될 수 있는 케어(care) 활성이 있는 성분은 다음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 세라마이드, 여기서 세라마이드는 N-아실스핑고신(스핑고신의 지방산 아마이드) 또는 이의 유사한 합성물(pseudo-seramide)이며 이는 각질층의 수분 보유 능력을 증가시킨다.
- 콩 레시틴, 계란 레시틴 및 세팔린과 같은 포스포리피드.
- 지방산
- 피토스테롤 및 피토스테롤-함유 지방 또는 왁스
- 바셀린, 파라핀유 및 실리콘유; 실리콘 오일은 그 중에서도 디알킬- 또는 알킬아릴실록산을 포함하는데 예를 들면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또한 알콕시화되거나 4중합체된 그들의 유도체 등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또는 의약 제제 특히 피부용 활성 제제는 동물 및/또는 식물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동물이나 식물 단백질 가수분해물로는 엘라스틴, 콜라겐, 케라틴, 유단백질, 콩단백질, 귀리단백질, 완두단백질 및 아몬드단백질, 밀 단백질, 또한 각각의 가수분해물, 지방산 농축액, 사합체 단백질 가수분해물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제의 수용상(aqueous phase)은 알코올, 디올, 폴리올 (낮은 탄소수의 알킬) 및 그들의 에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프로필렌 글리콜, 1,2-헥산다이올, 1,2-옥탄다이올, 1,2-데칸다이올, 1,2-헥산다이올과 1,2-옥탄다이올의 혼합물, 1,2-옥탄다이올과 1,2-데칸다이올의 혼합물, 1,2-헥산다이올, 1,2-옥탄다이올 및 1,2-데칸다이올의 혼합물, 글리세롤, 에틸렌 글리콜-모노에틸 또는 모노부틸 에터,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모노에틸 또는 모노부틸 에터,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또는 모노에틸 에터 및 이의 유사화합물 등이 있으며, 또한 알코올(낮은 탄소수의 알킬) 예를들면 에탄올, 1,2-프로판디올, 글리세롤, 특히 하나 이상의 증점제(thickner), 구체적으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실리콘 디옥사이드,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폴리사카라이드 및 그 유도체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잔탄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특히 폴리아크릴레이트, 바람직하게는 카보폴(Carbopol, 예: 카보폴 등급 980, 981, 1382, 2984, 5984) 그룹의 폴리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또는 의약 제제 특히 피부용 활성 제제는 화장품이나 피부용 제제에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항염증성 및/또는 발적(redness) 및/또는 가려움 완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활성 항염증성, 또는 발적(redness) 및/또는 가려움 완화 화합물은 구체적으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코르티코스테로이트 타입 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 예를 들면 하이드로코르티손, 덱사메타손, 덱사메타손 포스페이트, 메닐프리드니솔론 또는 코르티손 등이 있으며, 이외에 다른 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도 사용할 수 있다.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 또한 사용 가능하다.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로는 구체적으로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피록시캄 또는 테녹시캄 등의 옥시캄; 아스피린, 디살시드(Disalcid), 솔프린(Solprin) 또는 펜도살 등의 살리실레이트; 디클로페낙, 펜클로페낙, 인도메타신, 설린닥, 톨메틴 또는 실린다낙 등의 아세트산 유도체; 메페나믹, 메클로페나믹, 플루페나믹 또는 니플루믹 등의 페나메이트;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베녹사프로펜 등의 프로피온산 유도체; 및 페닐부타존, 옥시페닐부타존, 페브라존 또는 아자프로파존 등의 피라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자연 유래의 항염증성, 또는 발적(redness) 및/또는 가려움 완화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식물 추출물, 특히 식물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고순도 활성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예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카모마일, 알로에 베라, 커미포라(Commiphora)종, 루비아(Rubia)종, 버드나무, 로즈베이 버드나무 잎, 귀리 등의 추출물, 분획물 및 활성 물질, 또한 고순도 물질, 그중에서도 비사보롤, 아피게닌 7-글루코시드, 보스웰릭산, 피토스테롤, 글리시리진산, 글라브리딘 또는 리코칼콘 A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제는 또한 두가지 이상의 활성 항염증성 화합물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사보롤(Bisabolol), 보스웰릭산, 또한 귀리, 에키나시아(echinacea) 추출물 및 분리된 고순도 활성 물질을 본발명의 항염증성, 또는 발적(redness) 및/또는 가려움 완화 화합물로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알파-비사보롤 및 귀리 추출물 및 분리된 고순도 활성 물질을 사용한다.
항염증성, 또는 발적(redness) 및/또는 가려움 완화 화합물의 양은 총 제제 중량 대비 0.0001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1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중량%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또는 의약 제제 특히 피부용 활성 제제는 수분 유지 조절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하기의 물질들이 수분 유지 조절물(moisturizer)로 작용한다: 소듐 락테이트, 우레아, 알코올, 소르비톨,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탄소수 5 내지 10의 알리파틱 1,2-디올, 콜라겐, 엘라스틴 또는 히알우론산, 디아실 아디페이트, 페트롤라텀, 엑토인, 우로칸산, 레시틴, 펜테올, 피탄트리올, 리코펜, 조류(algae) 추출물,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글리코리피드, 키토산, 콘트로틴 설페이트, 폴리아미노산, 폴리아미노당, 라놀린, 라놀린 에스터, 아미노산, 알파-하이드록시산(예: 시트르산, 라틱산, 말레익산) 및 그의 유도체, 당(예: 이노시톨), 알파-하이드록시 지방산, 피토스테롤, 베툴리닉산 또는 우르솔릭산과 같은 트리테르펜산.
본 발명의 화장료 또는 의약 제제 특히 피부용 활성 제제는 모노-, 디-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글루코오스, 갈락토오스, 프룩토오스, 만노오스, 과당 및 락토오즈 등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또는 의약 제제 특히 피부용 활성 제제는 식물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보통 식물 전체로부터 추출되거나, 꽃, 잎, 줄기, 껍질, 뿌리 등만을 따로 사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식물 추출물은 Industrieverband Korperpflegemittel und Waschmittel e.V. (IKW). Frankfurt에서 출판한 Leitfaden zur Inhaltsstoffdeklaration kosmetischer Mittel[화장료의 조성 성분 정의 방법] 3판의 44페이지에서부터 시작되는 표에 나열되어 있다.
바람직한 식물 추출물로는 알로에, 조롱나무, 조류, 귀리껍질, 로즈-베이 버드나무 잎, 쐐기풀, 광대수염, 홉, 카모마일, 아킬레아, 아르니카, 카렌듈라, 우엉뿌리, 속새풀, 산사나무, 린덴 꽃, 아몬드, 소나무, 칠엽수, 백단향, 향나무, 코코넛, 망고, 살구나무, 오렌지, 레몬, 라임, 그레이프푸르트, 사과, 녹차, 그레이프푸르트 씨, 밀, 귀리, 보리, 세이지, 백리향, 야생백리향, 로즈마리, 자작나무, 아욱, 황새냉이 무리의 잡초, 버드나무 껍질, 토끼풀, 머위, 히비스커스, 인삼 및 생강 뿌리 등의 추출물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알로에 베라, 카모마일, 조류, 로즈마리, 카렌듈라, 인삼, 오이, 세이지, 쐐기풀, 린덴 꽃, 아르니카 및 조롱나무 등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이 좋다.
본 발명의 제제에 사용되는 식물 추출물의 추출에 사용되는 추출 시약으로는 물, 알콜,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알콜 중에서도 에탄올 및 이소프로판올 등의 낮은 탄소수의 알콜이나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및 부틸렌 글리콜과 같은 폴리하이드릭 알콜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알콜은 알콜 단독 또는 물과의 혼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식물 추출물은 순수한 상태 또는 희석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또는 의약 제제 특히 피부용 활성 제제는 하기의 보존제를 포함할 수 있다.
벤조산 및 이의 에스터 및 염, 프로피온산 및 그의 염, 살리실산 및 이의 염, 2,4-헥사디에노익산(소르빈산) 및 이의 염, 포름알데하이드, 파라포름알데하이드, 2-하이드록시바이페닐 에터 및 이들의 염, 2-징크설피도피리딘 N-옥사이드, 무기 설파이트 및 바이설파이트, 소듐 아이오데이트, 클로로부타놀룸, 4-에틸머큐릴(Ⅱ)-5-아미노-1,3-비스(2-하이드록시벤조산)및 이의 염 및 에스터, 디하이드로아세트산, 포름산, 1,6-비스(4-아미디노-2-브로모페녹시)-n-헥산 및 이의 염, 에틸머큐릴(Ⅱ)-티오살리실산의 소듐 염, 페닐머큐리 및 그의 염, 10-운데실렌산 및 이의 염, 5-아미노-1,3-비스(2-에틸헥실)-5-메틸-헥사하이드로피리미딘, 5-브로모-5-니트로-1,3-디옥산, 2-브로모-2-니트로-1,3-프로판디올, 2,4-디클로로벤질 알코올, N-(4-클로로페닐)-N'-(3,4-디클로로페닐)우레아, 4-클로로-m-크레졸, 2,4,4'-트리클로로-2'-하이드록시디페닐에터, 4-클로로-3,5-디메틸페놀, 1,1'-메틸렌-비스(3-(1-하이드록시메틸-2,4-디옥시미다졸리딘-5-일)우레아), 폴리(헥사메틸렌 디구아나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2-페녹시에탄올, 헥사메틸렌테트라민, 1-(3-클로로알릴)-3,5,7-트리아자-1-아조니아아다만탄 클로라이드, 1-(4-클로로페녹시)-1-(1H-이미다졸-1-일)-3,3-디메틸-2-부탄온, 1,3-비스-(하이드록시메틸)-5,5-디메틸-2,4-이미다졸리딘다이온, 벤질 알콜, 옥토피록스, 1,2-디브로모-2,4-디시아노부탄, 2,2'-메틸렌비스(6-브로모-4-클로로페놀), 브로모클로로펜, 5-클로로-2-메틸-3(2H)-이소티아졸리논 및 2-메틸-3(2H)이소티아졸리논과 마그네슘 클로라이드 및 마그네슘 니트레이트의 혼합물, 2-벤질-4-클로로페놀, 2-클로로아세트아마이드, 클로르헥시딘, 클로르헥시딘 아세테이트,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클로로헥시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1-페녹시프로판-2-올, N-알킬(C12-C22)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 및 클로라이드, 4,4-디메틸-1,3-옥사졸리딘, N-하이드록시메틸-N-(1,3-디(하이드록시메틸)-2,5-디옥소이미다졸리딘-4-일)-N'-하이드록시메틸우레아, 1,6-비스(4-아미디노페녹시)-n-헥산 및 이의 염, 글루타르알데하이드, 5-에틸-1-아자-3,7-디옥사바이사이클로[3.3.0]옥탄, 3-(4-클로로페녹시)-1,2-프로판디올, 하이아민, 알킬-(C8-C18)-디메틸벤질암모늄 클로라이드, 알킬-(C8-C18)-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로마이드, 알킬-(C8-C18)-디메틸벤질암모늄 사카리네이트, 벤질 헤미포멀, 3-아이오도-2-프로피닐 부틸카바메이트, 소듐 하이드록시메틸아미노아세테이트 등이 보존제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또는 의약 제제 특히 피부용 활성 제제는 동물 유기체 물질 또는 세균의 부적절한 번식을 막기 위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보존제, 통상적인 항균제 외에 화장료 조성물과 관련된 추가로 포함되는 활성 물질로는, 트리클로산, 클림바졸, 옥톡시글리세롤, 옥토피록스(1-하이드록시-4-메틸-6-(2,4,4-트리메틸펜틸)-2(1H)-피리돈, 2-아미노에탄올), 키토산, 파르네솔, 글리세롤 모노라우레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겨드랑이 냄새, 발냄새 또는 비듬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또는 의약 제제 특히 피부용 활성 제제는 냉각작용을 수행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냉각 작용을 수행하는 물질을 하기에 나타내었고, 당업자가 이를 보완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명백한 것이며, 하기의 물질들은 단독 또는 혼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l-멘솔, d-멘솔, 라세믹 멘솔, 멘손 글리세롤 아세탈(상품명: Frescolat®MGA), 멘틸 락테이트(상품명: Frescolat®ML, 바람직하게는 l-멘틸 락테이트, l-멘틸 l-락테이트를 사용), 치환된 멘틸-3-카복실산 아마이드(예: 멘틸-3-카복실산 N-에틸아마이드), 2-이소프로필-N-2,3-트리메틸부탄아마이드, 치환된 사이클로헥산 카복실산 아마이드, 3-멘톡시프로판-1,2-디올, 2-하이드록시에틸 멘틸 카르보네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멘틸 카르보네이트, N-아세틸글리신 멘틸 에스터, 이소풀레졸, 멘틸 하이드록시카복실산 에스터(예: 멘틸 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모노멘틸 석시네이트, 2-머캅토사이클로데카논, 멘틸 2-피롤리딘-5-원카복실레이트, 2,3-디하이드록시-p-멘탄, 3,3,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사논 글리세롤 케탈, 3-멘틸 3,6-디-및 트리옥사알카노에이트, 3-멘틸 메톡시아세테이트 및 이실린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냉각 작용을 수행하는 물질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l-멘솔, d-멘솔, 라세믹 멘솔, 멘손 글리세롤 아세탈(상품명: Frescolat®MGA), 멘틸 락테이트(상품명: Frescolat®ML, 바람직하게는 l-멘틸 락테이트, l-멘틸 l-락테이트를 사용), 치환된 멘틸-3-카복실산 아마이드(예: 멘틸-3-카복실산 N-에틸아마이드), 2-이소프로필-N-2,3-트리메틸부탄아마이드, 치환된 사이클로헥산 카복실산 아마이드, 3-멘톡시프로판-1,2-디올, 2-하이드록시에틸 멘틸 카르보네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멘틸 카르보네이트 및 이소풀레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냉각 작용을 수행하는 물질로 사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l-멘솔, 라세믹 멘솔, 멘손 글리세롤 아세탈(상품명: Frescolat®MGA), 멘틸 락테이트(상품명: Frescolat®ML, 바람직하게는 l-멘틸 락테이트, l-멘틸 l-락테이트를 사용), 3-멘톡시프로판-1,2-디올, 2-하이드록시에틸 멘틸 카르보네이트 및 2-하이드록시프로필 멘틸 카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냉각 작용을 수행하는 물질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l-멘솔, 멘손 글리세롤 아세탈(상품명: Frescolat®MGA) 및 멘틸 락테이트(상품명: Frescolat®ML, 바람직하게는 l-멘틸 락테이트, l-멘틸 l-락테이트를 사용)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냉각 작용을 수행하는 물질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냉각 작용을 수행하는 물질의 양은 물질의 종류마다 다르나, 보통 총 완성 제제 중량 대비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중량%를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에 기재된 양, 비율 및 백분율은 특별한 지칭이 없으면 중량 및 총중량 또는 총 제제 중량을 기초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제가 UV 방사선에 조사되었을 때 형광의 발현은 없었으나, 형광 소광제(트록세루틴)이 없을때는 강한 형광이 나타났다.
형광 실험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폰산을 포함한 제제와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폰산 및 트룩세루틴의 혼합물을 포함한 제제를 비교 실험하였다.
< 실시예 1>
Figure pct00002
A 부를 사람 피부에 적용했을 때, UVA 조사시에 강한 형광을 나타냈다.
B 부는 같은 조건에서 형광이 없었다.
< 실시예 2>
Figure pct00003
A 부를 사람 피부에 적용했을 때, UVA 조사시에 강한 형광을 나타냈다.
B 부는 같은 조건에서 형광이 없었다.
< 실시예 3>
Figure pct00004
A 부를 사람 피부에 적용했을 때, UVA 조사시에 강한 형광을 나타냈다.
B 부는 같은 조건에서 형광이 없었다.
실시예 1 내지 3에 사용된 제조방법
A 부: 켈트롤과 카보폴을 제외한 모든 성분을 혼합하고 모든 성분이 용해될때까지 최대 85℃의 열을 가하였다. 그 후 켈트롤과 카보폴을 넣고 잘 섞는다.
B 부: 모든 성분을 혼합하고 교반하며 85℃까지 열을 가하였다. 그 후 A 부와 합한 후 잘 섞어 상온으로 식힌다.
C 부: A 부 및 B 부와 혼합한 후 이를 30℃에서 교반한다. 균질회되도록 한다.
제제 제조
< 제조예 1> 시험관 조건에서 SPF 5, 내수성을 띄는 자외선 차단용 소프트 크림( Oil in Water )
Figure pct00005
제조방법
A 부: 약 85℃로 가열한다.
B 부: 카보풀을 제외한 원료의 무게를 단 후, Ultra Turrax를 이용하여 카보풀을 분산시킨다. 약 85℃로 가열한 후 B 부를 A 부에 가한다. Ultra Turrax에서 열을 가하며 균질화한다. 그 후 교반하며 식힌다.
C 부: A 및 B 부와 이를 혼합한 후 이를 30℃ 이하에서 교반한다.
< 제조예 2> 시험관 조건에서 SPF 20, 자외선 차단용 크림( Oil in Water )
Figure pct00006
제조방법
A 부: 약 85℃로 가열한다.
B 부: 카보풀을 제외한 원료의 무게를 단 후, Ultra Turrax를 이용하여 카보풀을 분산시킨다. 약 85℃로 가열한 후 B 부를 A 부에 가한다.
C 부: A 및 B 부에 C원료를 부가 하자마자 Ultra Turrax에서 열을 가하며 균질화한다. 그 후 교반하며 식힌다.
D 부: D 원료를 부가하고 교반한다.
< 제조예 3> 시험관 조건에서 SPF 25, 기름 성분이 적은 자외선 차단용 밀크( Oil in Water )
Figure pct00007
제조방법
A 부: 80 내지 85℃로 가열한다.
B 부: 80 내지 85℃로 가열한 후, B 부를 A 부에 가하며 교반한다.
C 부: 물에 카보풀을 분산시킨 후 NaOH로 교반하며 중화한다. 이러한 C부를 약 60℃에서 교반하며 상기 A 부 및 B 부의 혼합물에 가한다. 이를 상온으로 식힌다.
D 부: D 원료를 부가하고 교반한다.
< 제조예 4> 시험관 조건에서 SPF 18, 자외선 차단용 로션( Oil in Water )
Figure pct00008
제조방법
A 부: 고체를 오일과 액체 UV 필터에 70℃까지 가열하며 용해시킨다. 그 후 약 30℃까지 식힌 후 카보풀(Carbopol)과 페물렌(Pemulen)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을 이에 가하고 상온에서 5분간 교반하며 혼합한다. 그 후 카보풀과 페물렌을 가하고 교반한다.
B 부: 물과 글리세린을 혼합하고, 이에 Neo Heliopan® Hydro를 70℃까지 가열하며 강하게 교반하여 분산시킨다. 그 후 아미노 메틸 프로판올을 Neo Heliopan®Hydro, Neo Heliopan®AP이 모두 용해될 때까지 가한다. 그 후 총 B 부를 A에 교반하며 가한다. 60분간 교반하며 식힌 후 Ultra Turrax를 사용하여 균질화한다.
C 부: 상온에서 교반한다.
< 제조예 5> 시험관 조건에서 SPF 10, 내수성을 띄는 자외선 차단용 크림( Water in Oil )
Figure pct00009
제조방법
A 부: 약 85℃로 가열한다.
B 부: 약 85℃로 가열한 후, B 부를 A 부에 가한 후 식히며 교반한다. 그 후 균질화한다.
C 부: 상온에서 교반한다.
< 제조예 6> 시험관 조건에서 SPF 50, 자외선 차단용 소프트 크림( Water in Oil )
Figure pct00010
제조방법
A 부: 약 85℃로 가열한다.
B 부: 산화 아연을 제외하고 약 85℃로 가열한 후, Ultra Turrax를 이용하여 산화 아연을 분산시킨다. B 부를 A 부에 가한 후 식히며 교반한다.
C 부: 성분 추가 후 균질화한다.
< 제조예 7> 넓은 범위의 UV 에 대해 보호 효능을 가지는 데이 케어 크림( Day care cream )
Figure pct00011
제조방법
A 부: 80℃로 가열한다.
B 부: 80℃로 가열한 후, A 부에 교반하며 가한다.
C 부: 물에 카보풀을 분산시키고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으로 중성화한다. 그 후 55℃에서 A와 B부의 혼합물에 이를 가한다.
D 부: 상온에서 교반한다.
< 제조예 8> 시험관 조건에서 SPF20 인 자외선 차단용 스프레이
Figure pct00012
제조방법
A 부: Lara Care A-200을 A부의 다른 성분에 교반하며 용해시킨다.
B 부: 페물렌(Pemulen)을 제외한 원료의 무게를 단 후, 결정화된 물질을 열을 가하며 용해시킨다. 그 후 페물렌을 분산시킨다. B 부를 A 부에 가하고 1분동안 균질화한다.
C 부: 조성물이 모두 용해될때까지 교반하고 C부와 D부를 혼합한 후 Ultra Turrax를 사용하여 다시 1 내지 2분간 균질화한다.
상기 제제의 pH는 6.2 이다.
< 제조예 9> 자외선 차단용 수분산 젤(밤, balm )
Figure pct00013
제조방법
A 부: 카보풀을 물에 분산시키고 트리에탄올아민 용액으로 중성화시킨다.
B 부: A 부에 교반하며 가한다.
C 부: 최대 40℃로 가열하며 C부의 원재료에 존재하는 결정화된 성분을 용해시키고, A와 B의 혼합물에 첨가한다. 잘 교반한 후 균질화한다.(Homozenta)
< 제조예 10> UV 필터 함유 헤어 컨디셔너
Figure pct00014
제조방법
A 부: 80℃로 가열한다.
B 부: 나트로솔(Natrosol)을 물, Neo Heliopan® AP 및 Amino Methyl Propanol 에서 부풀리고, Nipagin M을 더한 후 80℃로 가열한다. A부에 교반하며 가하고, 유화시킨다. 그 후 교반하며 식힌다.
C 부: 35℃에서 A와 B부의 혼합물에 이를 가하고, 교반하며 상온으로 식힌다.
< 제조예 11> 시험관 조건에서 SPF 가 14.0인 넓은 범위의 UV 에 대해 효능을 가지는 수용성 젤
Figure pct00015
제조방법
A 부: 물에서 Amaze XT가 부풀어 젤을 형성할 때까지 교반한다.
B 부: 구성 성분을 교반하고 A부에 더한후 C부를 더하고 균일 상태를 형성할때까지 교반한다. 그 후 부드럽게 교반하며 D부를 가한다.
< 제조예 12> 시험관 조건에서 SPF 가 50 이상인 내수성, 넓은 범위의 UV 에 대해 효능을 가지는 O/W 유화액
Figure pct00016
제조방법
A 부: 잔탄검과 이산화티타늄을 제외한 모든 성분을 가열한 후, 잔탄검과 이산화티타늄을 가하고 균질화한다.
B 부: 모든 구성성분을 85℃로 가열하고 교반하며 A부에 더한후 상온까지 교반하며 식힌다.
C 부: C부를 A 및 B의 혼합부에 가하고, 균질화한다.
< 제조예 13> O/W 자외선 차단 스프레이 exp . SPF20
Figure pct00017
제조방법
A 부: 50℃까지 가열하며 Neo Heliopan 357을 다른 A부에 있는 구성요소(페물렌 및 EDTA 제외)에 용해시킨다. 그후 잔탄검과 이산화티타늄을 가하고 균질화한다.
B 부: A부에 교반 없이 가한 후 유화시킨다. 그 후 교반하며 식힌다.
C 부: C부를 A 및 B의 혼합부에 가하고, 균질화한다.
< 제조예 14> UV 차단 능력이 이는 모발 세정 샴푸
Figure pct00018
제조방법
A 부: Merquat를 물에 교반하며 분산시킨다.
B 부: Neo Heliopan Hydro를 가하고, 아미노 메틸 프로판올로 중화시킨 후 맑은 용액이 형성될때까지 분산시킨다.
C 부: C부의 구성물질을 A 및 B의 혼합부에 가하고, 균일 용액이 될 때까지 교반한다. 소듐 클로라이드로 점도를 조절한다.
결과 제제의 pH는 5.2 내지 5.5였다.
< 제조예 15> 이밖에 다른 제제들
1.O/W 유화액 , SPF > 20
Figure pct00019
Figure pct00020
Figure pct00021
Figure pct00022
Figure pct00023
Figure pct00024
Figure pct00025
Figure pct00026
2. W/O 유화액 , SPF > 20
Figure pct00027
Figure pct00028
Figure pct00029
Figure pct00030
Figure pct00031
Figure pct00032
Figure pct00033
3. 스프레이/무스 유화액 , SPF > 20
Figure pct00034
Figure pct00035
Figure pct00036
Figure pct00037
Figure pct00038
Figure pct00039
Figure pct00040
4. 일일 보호 제제
Figure pct00041
Figure pct00042
Figure pct00043
Figure pct00044
Figure pct00045
Figure pct00046
Figure pct00047

Claims (12)

  1.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폰산 또는 그의 염의 형광을 소광시키는 트록세루틴(7,3',4'-트리스[O-(2-하이드록시에틸)]루틴)의 용도.
  2. 화장료 및 피부용 제제에 적용되는 제1항의 용도.
  3.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폰산 및 그의 염의 양은 총 제제 중량 대비 0.2 내지 4중량%이고, 트록세루틴의 양은 총 제제 중량 대비 0.1 내지 2중량%인 제1항 또는 제2항의 용도
  4. 화장료 및 피부용 제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폰산 또는 그 염과 이의 형광을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트록세루틴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폰산 또는 그의 염의 형광을 감소시키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폰산 및 그의 염에 화장료 및 약제학적 제제에 허용되는 담체가 제공되는 것인 방법.
  6.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폰산 또는 그 염과 이의 형광을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트록세루틴을 포함하는 제제.
  7. 제6항에 있어서, 트룩세루틴 및 이의 염의 총 양과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폰산 및 이의 염의 총 양의 비는 0.1:5.0 내지 5.0:0.1인 제제.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화장료용 또는 의약품용인 제제.
  9. 제6항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록세루틴 및 이의 염 및 디소듐 페닐 데빈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폰산 및 이의 염의 총 양이 UV 필터의 UV흡수 능력을 상승 작용에 의해 증가시키는, 상기 UV필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제.
  10. 제6항 내지 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외선 차단 지수가 적어도 2인 제제.
  11. 제6항 내지 1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래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UV흡수물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제제.
    - p-아미노벤조산
    - 3-(4'-트리메틸암모늄)벤질리덴보난-2-원 메틸 설페이트
    - 호모멘틸 살리실레이트
    - 테레프탈일리덴디보난설폰산 및 염
    -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 3-(4'-설포)벤질리덴보난-2-원 및 염
    - 2-에틸헥실 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레이트
    - N-[(2 및 4)-[2-(옥소본-3-일리덴)메틸]벤질]아크릴아마이드 폴리머
    - 2-에틸헥실 p-메톡시신나메이트
    - 에틸 p-아미노벤조에이트(25몰) 에톡실레이티드
    - 이소아밀 p-메톡시신남메이트
    -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 페놀,2-(2H-벤조트리아졸-2-일)-4-메틸-6-(2-메틸-3-(1,3,3,3-테트라메틸-1-(트리메틸실리)옥시)디실록시아닐)프로필)
    - 4,4'-[{(6-[4-(1,1-디메틸)아미노카보닐]페닐아미노)-1,3,5-트리아진-2,4-디일}디이미노]비스(벤조산 2-에틸헥실에스터)
    - 3-(4'-메틸벤질리덴)-d.l-캠퍼
    - 3-벤질리덴캠퍼
    - 2-에틸헥실살리실레이트
    - 2-에틸헥실 4-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벤조페논-3, 옥시벤존)
    -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 (설리소벤존, 벤조페논-4) 또는 그의 염
    - 2,2'-메틸렌비스(6-(2H-벤즈트리아졸-2-일)-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
    - 2,4-비스[{(4-(2-에틸헥실옥시)-2-하이드록시}페닐]-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 벤질리덴말로네이트-폴리실록산
    - 멘틸 안트라닐레이트
    - 헥실 2-(4-디에틸아미노-2-하이드록시벤조일)벤조에이트
    - DE 100 55 940에 개시된 인다닐리덴 화합물
    - WO 2006/015954에 개시된 벤조일신나밀 나이트릴
    - EP 1 008 593에 개시된 벤질리덴 부티로락톤
    - WO 2005/107692에 개시된 벤질리덴 β-디카르보닐 화합물
    - 마이크로파인 이산화티타늄
    - 산화 아연
    - 마이크로파인 산화아연
  12. 하기 UVA 및/또는 UVB 필터의 UVA 및/또는 UVB흡수 능력을 상승 작용에 의해 증가시키는 트록세루틴 및 디소듐 페닐 데빈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폰산 및 이의 염의 용도
    - p-아미노벤조산
    - 3-(4'-트리메틸암모늄)벤질리덴보난-2-원 메틸 설페이트
    - 호모멘틸 살리실레이트
    - 테레프탈일리덴디보난설폰산 및 염
    -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 3-(4'-설포)벤질리덴보난-2-원 및 염
    - 2-에틸헥실 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레이트
    - N-[(2 및 4)-[2-(옥소본-3-일리덴)메틸]벤질]아크릴아마이드 폴리머
    - 2-에틸헥실 p-메톡시신나메이트
    - 에틸 p-아미노벤조에이트(25몰) 에톡실레이티드
    - 이소아밀 p-메톡시신남메이트
    -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 페놀,2-(2H-벤조트리아졸-2-일)-4-메틸-6-(2-메틸-3-(1,3,3,3-테트라메틸-1-(트리메틸실리)옥시)디실록시아닐)프로필)
    - 4,4'-[{(6-[4-(1,1-디메틸)아미노카보닐]페닐아미노)-1,3,5-트리아진-2,4-디일}디이미노]비스(벤조산 2-에틸헥실에스터)
    - 3-(4'-메틸벤질리덴)-d.l-캠퍼
    - 3-벤질리덴캠퍼
    - 2-에틸헥실살리실레이트
    - 2-에틸헥실 4-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벤조페논-3, 옥시벤존)
    -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 (설리소벤존, 벤조페논-4) 또는 그의 염
    - 2,2'-메틸렌비스(6-(2H-벤즈트리아졸-2-일)-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
    - 2,4-비스[{(4-(2-에틸헥실옥시)-2-하이드록시}페닐]-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 벤질리덴말로네이트-폴리실록산
    - 멘틸 안트라닐레이트
    - 헥실 2-(4-디에틸아미노-2-하이드록시벤조일)벤조에이트
    - DE 100 55 940에 개시된 인다닐리덴 화합물
    - WO 2006/015954에 개시된 벤조일신나밀 나이트릴
    - EP 1 008 593에 개시된 벤질리덴 부티로락톤
    - WO 2005/107692에 개시된 벤질리덴 β-디카르보닐 화합물






KR1020107002255A 2007-08-07 2007-08-07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포네이트의 형광을 소광시키기 위한 트록세루틴의 사용방법 Active KR1014371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07/058208 WO2007128840A2 (en) 2007-08-07 2007-08-07 Use of troxerutin to quench the fluorescence of disodium phenyl dibenzimidazole tetrasulfon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7242A true KR20100047242A (ko) 2010-05-07
KR101437135B1 KR101437135B1 (ko) 2014-11-04

Family

ID=38668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2255A Active KR101437135B1 (ko) 2007-08-07 2007-08-07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포네이트의 형광을 소광시키기 위한 트록세루틴의 사용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185126B1 (ko)
KR (1) KR101437135B1 (ko)
BR (1) BRPI0721945B1 (ko)
ES (1) ES2634638T3 (ko)
WO (1) WO2007128840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4734A (ko) * 2014-10-16 2016-04-2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트록세루틴 함유 니오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81024A1 (en) * 2006-10-02 2008-04-03 Beasley Donathan G Photoprotective compositions comprising synergistic combination of sunscreen active compounds
US8431112B2 (en) 2007-08-09 2013-04-30 Hallstar Innocations Corp. Photostabilization of cholecalciferol with alkoxycrylene compounds
US7776614B2 (en) * 2007-08-09 2010-08-17 Hallstar Innovations Corp. Test method for determining compounds capable of quenching electronic singlet state excitation of photoactive compounds
US7754191B2 (en) 2007-08-09 2010-07-13 Hallstar Innovations Corp. Method of quenching electronic excitation of chromophore-containing organic molecules photoactive compositions
US7588702B2 (en) 2007-08-09 2009-09-15 Hallstar Innovations Corp. Method of quenching electronic excitation of chromophore-containing organic molecules in photoactive compositions
US8329148B1 (en) 2007-08-09 2012-12-11 Hallstar Innovations Corp. Photostabilization of coenzyme Q compounds with alkoxycrylene compounds
US8263051B2 (en) 2007-08-09 2012-09-11 Hallstar Innovations Corp. Photostabilization of resveratrol with alkoxycrylene compounds
US7597825B2 (en) 2007-08-09 2009-10-06 Hallstar Innovations Corp. Method of quenching electronic excitation of chromophore-containing organic molecules in photoactive compositions
US8257687B2 (en) 2007-08-09 2012-09-04 Hallstar Innovations Corp. Photostabilization of coenzyme Q compounds with alkoxycrylene compounds
US8070989B2 (en) 2007-08-09 2011-12-06 Hallstar Innovations Corp. Photostabilization of retinoids with alkoxycrylene compounds
US8133477B2 (en) 2007-08-09 2012-03-13 Hallstar Innovations Corp. Dispersions of inorganic particulates containing alkoxycrylene
US20100272658A1 (en) 2009-04-27 2010-10-28 Akzo Nobel Chemicals International B.V. Enhanced efficiency of sunscreen compositions
EP2859883B1 (en) * 2013-10-13 2019-05-15 Symrise AG Active mixtures comprising acylated oligopeptides and troxerutin
KR20220147709A (ko) * 2016-06-02 2022-11-03 코보 프로덕츠, 아이엔씨. 선스크린 조성물
DE102018203492A1 (de) 2018-03-08 2019-09-12 Beiersdorf Ag Sonnenschutzmittel mit reduzierter Textilverfleckung enthaltend hydriertes Pflanzenöl und Bis-Ethylhexyloxyphenol Methoxyphenyl Triazine
DE102018203498A1 (de) * 2018-03-08 2019-09-12 Beiersdorf Ag Sonnenschutzmittel mit reduzierter Textilverfleckung enthaltend hydriertes Pflanzenöl und eine UV-Filterkombination aus Ethylhexyl Triazone und 4-(tert.-Butyl)-4'-methoxydibenzoylmethan
DE102018203496A1 (de) * 2018-03-08 2019-09-12 Beiersdorf Ag Sonnenschutzmittel mit reduzierter Textilverfleckung enthaltend hydriertes Pflanzenöl und Diethylamino Hydroxybenzoyl Hexyl Benzoate
WO2019219604A1 (en) * 2018-05-18 2019-11-21 Dsm Ip Assets B.V. Topical composition
KR102783099B1 (ko) * 2018-05-18 2025-03-19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국소 조성물
CN109400995B (zh) * 2018-09-28 2020-06-16 北京化工大学 一种氢化橡胶乳液及强荧光氢化丁腈橡胶互穿网络交联膜
EP4208148A1 (en) * 2020-09-03 2023-07-12 Basf Se Sunscreen or daily care composition comprising micronized methylene bis-benzotriazolyl tetramethylbutylphenol
WO2022122133A1 (en) * 2020-12-09 2022-06-16 Symrise Ag Compositions comprising uv-filters and one or more (bio)-alkanediols
US20240173234A1 (en) * 2021-03-12 2024-05-30 Dsm Ip Assets B.V. Sunscreen composition
EP4341273A4 (en) * 2021-05-20 2025-04-23 Roc Opco Llc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VITAMIN C COMPOUNDS AND USES THEREOF
EP4176936A1 (en) 2021-11-08 2023-05-10 Martiderm, SL Cosmetic composition for protecting the skin and hair against solar radiation
DE102022203499A1 (de) 2022-04-07 2023-10-12 Beiersdorf Aktiengesellschaft Sonnenschutzmittel mit Dinatrium-Phenyldibenzimidazoltetrasulfonat
CN120239598A (zh) * 2022-11-25 2025-07-01 Lvmh研究公司 液体油包水乳液化妆品组合物
DE102023202921A1 (de) 2023-03-30 2024-10-02 Beiersdorf Aktiengesellschaft Sonnenschutzmittel mit Dinatrium-Phenyldibenzimidazoltetrasulfonat und Terephthalylidendicamphersulfonsäur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55504A1 (de) * 1997-12-13 1999-06-17 Beiersdorf Ag Verwendung von Flavonen und Flavonoiden gegen die UV-induzierte Zersetzung von Dibenzoylmethan und dessen Derivaten
DE19923712A1 (de) * 1999-05-22 2000-11-23 Beiersdorf Ag Wirkstoffkombination aus sulfonierten UV-Filtersubstanzen und Flavonderivaten und/oder Flavanonderivaten, insbesondere Flavonoiden, sowie kosmetische Zubereitungen, solche Wirkstoffkombinationen enthaltend
US7799317B2 (en) * 2002-11-22 2010-09-21 Hallstar Innovations Corp. Photostabilizers, UV absorbers, and methods of photostabilizing composit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4734A (ko) * 2014-10-16 2016-04-2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트록세루틴 함유 니오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721945A2 (pt) 2014-03-18
WO2007128840A2 (en) 2007-11-15
EP2185126A2 (en) 2010-05-19
BRPI0721945A8 (pt) 2016-01-26
WO2007128840A3 (en) 2008-07-03
ES2634638T3 (es) 2017-09-28
EP2185126B1 (en) 2017-06-21
KR101437135B1 (ko) 2014-11-04
BRPI0721945B1 (pt) 202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7135B1 (ko)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포네이트의 형광을 소광시키기 위한 트록세루틴의 사용방법
EP2178493B2 (en) Stable soluble salts of phenylbenzimidazole sulfonic acid at pH 6.0 to below 6.8
US20090130035A1 (en) Stabilized preparations comprising phenolic compounds and benzophenones
US20090162305A1 (en) Formulations of low oil content comprising diphenylmethane derivatives
EP1937366B1 (en) Synergistic mixtures of bisabolol and ginger extract
ES2313342T3 (es) Compuestos de benciliden-b-dicarbolino como nuevos absorbentes uv.
JP5869087B2 (ja) Uvフィルターカプセル
EP2887929A2 (en) Compounds for preventing, reducing and/or alleviating itchy skin condition(s)
CA2779547C (en) Sunscreen composition with fatty acid alkanolamides
JP2022526141A (ja) 植物ペプチドとその用途(ii)
WO2007135197A2 (en) Use of benzophenone-4 and its salts to quench the fluorescence of disodium phenyl dibenzimidazole tetrasulfonate
WO2007122251A2 (en) Synergistic mixture of glycosyl flavanones and xanthines
US20190374454A1 (en) Oxybenzone-free compositions
EP1311233A1 (de) Substanzen zur induktion und intensivierung der bräunungsmechanismen der haut und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formulierungen dieselben enthaltend
DE102005048778A1 (de) Kosmetische Formulierungen zur Verbesserung des Aussehens der Haut
DE102005048777A1 (de) Kosmetische Formulierungen zur Verbesserung der Mikrozirkulation der Hau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2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5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311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5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8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8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