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39017A - 메뉴 마크업 언어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메뉴 마크업 언어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9017A
KR20100039017A KR1020080098213A KR20080098213A KR20100039017A KR 20100039017 A KR20100039017 A KR 20100039017A KR 1020080098213 A KR1020080098213 A KR 1020080098213A KR 20080098213 A KR20080098213 A KR 20080098213A KR 20100039017 A KR20100039017 A KR 20100039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markup language
attribute
remote control
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8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우
임정묵
정현태
김가규
선우존
김지은
조일연
손용기
이형선
김배선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98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9017A/ko
Priority to US13/120,910 priority patent/US20110239139A1/en
Priority to PCT/KR2009/005560 priority patent/WO2010041840A1/en
Publication of KR20100039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90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뉴 마크업 언어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확장성 마크업 언어(XML) 형식의 메뉴 마크업 언어(MenuXml)로 정의된 메뉴 맵 정보로부터 전자기기 제어를 위한 가상 메뉴 맵을 공간상에 배치하고, 공간상에서 발생하는 사용자의 모션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정보를 메뉴 맵 정보로부터 추출하여 전자기기로 송출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뉴 마크업 언어를 이용하여 정의된 메뉴 맵 정보에 의거하여 구현된 가상 메뉴 맵을 전자기기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로 사용함으로써, 핸드모션과 같은 사용자의 생체신호로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확장형 마크업 언어 기반의 메뉴 마크업 언어를 이용하여 메뉴를 설계함으로써, 복수의 전자기기에 적용 가능한 메뉴 설계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메뉴 마크업 언어, XML, 가상 메뉴 맵, 메뉴 맵 정보, 메뉴 맵 정보 저장부

Description

메뉴 마크업 언어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Remote control apparatus using menu markup language}
본 발명은 메뉴 마크업 언어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메뉴 마크업 언어에 의해 정의된 메뉴 맵 정보에 따라 가상 메뉴 맵을 구현하여 사용자의 모션 정보에 따라 전자기기를 제어하도록 하는 메뉴 마크업 언어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8-F-048-01, 과제명: u-컴퓨팅 공간 협업을 위한 Wearable Personal Companion 기술개발].
일반적으로 전자기기에 적용된 대표적인 원격 제어 기술로는 적외선 송신기가 내장된 리모컨이 이용된다. 리모컨에는 볼륨 조절 버튼, 채널 변경 버튼, 전원 온/오프 버튼 등 다양한 버튼이 구비되어 있고, 각 버튼에는 하나의 기능이 1:1로 대응되어 있다. 따라서, 리모컨에 구비된 어느 하나의 버튼이 조작되면, 그에 대응하는 기능의 적외선 신호를 송출하고, 이를 해당 전자기기가 수신하여 처리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가정 또는 사무실 등과 같이 한 공간 내에 존재하는 전자기기들이 많아지면서 하나의 리모컨으로 모든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앞으로 다가올 유비쿼터스 환경에서는 지금보다 더 많은 전자기기들이 존재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하나의 원격 제어 장치로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복수의 전자기기를 제어하도록 하는 기술 개발에 대한 요구는 더욱 증대될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전자기기들은 각 전자기기 마다 원격 제어 장치에 특화된 기등이 구현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원격 제어 장치로 복수의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원격 제어 장치에 각 전자기기 마다 특화된 기능이 내재 되어 있어야 한다.
최근에는, 리모컨을 대체하여 사람의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기술이 소개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전자기기들을 리모컨이 아닌 사용자 친화적인 핸드모션과 같은 생체신호로 제어를 하기 위해서는 그에 맞는 적절한 메뉴 구현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메뉴 마크업 언어를 이용하여 정의된 메뉴 맵 정보에 의거하여 사용자의 생체신호에 따라 제어 가능한 가상 메뉴 맵을 구현하기 위한 메뉴 마크업 언어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확장성 마크업 언어를 기반으로 한 메뉴 마크업 언어를 이용하여 가상 메뉴 맵을 설계함으로써, 메뉴 구현이 용이한 마크업 언어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메뉴 마크업 언어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는, 공간상에 전자기기 제어를 위한 가상 메뉴 맵을 배치하고, 상기 공간상에서 발생하는 사용자의 모션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정보를 전자기기로 송출하는 원격 제어 장치로서, 상기 가상 메뉴 맵을 구현하기 위해, 확장성 마크업 언어 형식(XML)의 메뉴 마크업 언어(menu XML)로 정의된 메뉴 맵 정보가 저장되는 메뉴 맵 정보 저장부, 및 상기 메뉴 맵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메뉴 맵 정보에 따라 상기 가상 메뉴 맵을 구현하고, 상기 메뉴 맵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모션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전자기기로 송출하도록 하는 메뉴 맵 구현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의 모션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핸드모션 정보인 것으로 한다.
상기 메뉴 마크업 언어는 복수의 전자기기를 조회하도록 정의된 루트 요소 'menuxml'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뉴 마크업 언어는 해당 전자기기를 정의하는 요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자기기를 정의하는 요소는 해당 전자기기에 대한 아이디(id) 속성, 이름(name) 속성 및 모델(model) 속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뉴 마크업 언어는 해당 전자기기에 대한 메뉴를 정의하는 요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뉴를 정의하는 요소는 해당 메뉴에 대한 아이디(id) 속성, 타이틀(title) 속성, 타입(type) 속성, 디폴트(default) 속성 및 페어런트(parent) 속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뉴 마크업 언어는 해당 메뉴를 구성하는 메뉴 버튼을 정의하는 요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뉴 버튼을 정의하는 요소는 해당 메뉴 버튼에 대한 위치를 나타내는 인덱스(index) 속성, 아이디(id) 속성 및 버튼 설명을 나타내는 텍스트(text)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메뉴 버튼을 정의하는 요소는 상기 사용자의 모션 정보에 따라 해당 메뉴 버튼을 제어하기 위한 속성을 더 포함하며, 상기 메뉴 버튼을 제어하기 위한 속성은 해당 메뉴 버튼에 대한 반복(recursive) 속성, 건너뛰기(skip) 속성, 이탈방지(nomoveout) 속성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뉴 마크업 언어는 상기 사용자의 모션 정보에 따른 이벤트 속성을 정의하며, 상기 이벤트 속성은 읽기(onload), 선택(onclick), 좌(onleft), 우(onright), 상(onup), 하(ondown), 좌회전(onspinleft) 및 우회전(onspinright) 중 적어도 하나이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메뉴 마크업 언어로 정의된 메뉴 맵 정보에 의해 구현되는 가상 메뉴 맵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 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뉴 마크업 언어를 이용하여 정의된 메뉴 맵 정보에 의거하여 구현된 가상 메뉴 맵을 전자기기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로 사용함으로써, 핸드모션과 같은 사용자의 생체신호로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뉴 맵 정보는 상위 메뉴와 하위 메뉴를 갖는 레벨구조로 구성되어, 메뉴 맵 구성에 따른 구조 파악이 용이하다.
또한, 확장형 마크업 언어 기반의 메뉴 마크업 언어를 이용하여 메뉴를 설계함으로써, 복수의 전자기기에 적용 가능한 메뉴 설계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뉴 마크업 언어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뉴 마크업 언어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는, 메뉴 마크업 언어로 정의된 메뉴 맵 정보에 의거하여 공간상에 가상 메뉴 맵(1)을 배치한다. 이때, 사용자는 공간상에 배치된 가상 메뉴 맵(1)을 인터페이스로 하여, 핸드모션 등에 의한 생체신호로부터 가상 메뉴 맵(1) 상의 버튼을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메뉴 마크업 언어(MenuXml)는 확장성 마크업 언어(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에 기반한다.
메뉴 마크업 언어로 정의된 메뉴 맵 정보에는 사용자의 모션 정보에 따른 이 벤트 및 그에 대응하는 제어정보 등이 정의되어 있어, 사용자로부터 발생된 생체신호에 대응하는 모션 정보에 따라 해당되는 메뉴 버튼을 가상 메뉴 맵(1)을 통해 배치하게 된다. 여기서, 가상 메뉴 맵(1)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메뉴 맵이나, 홀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실제 공간상에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는 전자기기(2)에 연동되어, 사용자로부터 생체신호가 발생하면, 생체신호에 대응하는 모션 정보에 따라 메뉴 맵 정보로부터 제어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전자기기(2)로 송출하도록 한다.
이에,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뉴 마크업 언어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의 구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메뉴 마크업 언어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 맵 정보 저장부(10), 모션 검출부(20), 제어부(30), 메뉴 맵 구현부(40) 및 송수신부(50)를 포함한다.
먼저, 메뉴 맵 정보 저장부(10)는 공간상에 구현되는 가상 메뉴 맵(1)에 대한 메뉴 맵 정보가 저장된다. 이때, 메뉴 맵 정보는 확장성 마크업 언어 기반의 메뉴 마크업 언어로 설계된다. 여기서, 메뉴 마크업 언어는 루트 요소와 자식 요소들을 포함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의 설명을 참조하도록 한다. 전자기기에 대한 메뉴 맵 정보는 각 전자기기에 기록되어, 원격 제어 장치와 전자기기 사이에 동기화 작업이 수행되는 동안 해당 전자기기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모션 검출부(20)는 사용자가 움직임에 따라 생체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수단으로서,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생체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으며, 모션 검 출부(20)는 각 센서를 통해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30)로 전달한다. 여기서, 모션 검출부(20)로 입력된 생체신호는 사용자의 핸드모션에 의해 입력된 신호로서, 사용자가 손을 상, 하, 좌, 우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혹은 손목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는 등 특정 방향 또는 특정 형태의 핸드모션을 취하면, 모션 검출부(20)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30)로 전달한다.
메뉴 맵 구현부(40)는 메뉴 맵 정보 저장부(10)에 저장된 메뉴 맵 정보에 기초하여 공간상에 가상 메뉴 맵(1)을 배치하도록 한다.
만일, 모션 검출부(20)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30)는 모션 검출부(20)에 의해 입력된 생체신호로부터 모션 정보를 검출하여, 메뉴 맵 구현부(40)로 전달한다. 메뉴 맵 구현부(40)는 메뉴 맵 정보 저장부(10)에 저장된 메뉴 맵 정보 중 사용자의 생체신호로부터 검출된 모션 정보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처리하도록 한다. 이때, 메뉴 맵 구현부(40)는 해당 이벤트를 처리함으로써 전자기기(2)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추출하여 제어부(30)로 전달한다.
이때, 제어부(30)는 메뉴 맵 구현부(40)로부터 전달된 제어정보를 송수신부(50)를 통해 해당 전자기기(2)로 송출하도록 한다. 따라서, 송수신부(50)를 통해 송출된 제어정보를 수신한 해당 전자기기(2)는, 수신된 제어정보에 따라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뉴 마크업 언어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가상 메뉴 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메뉴 맵 구현부(40)는 메뉴 맵 저장부에 저장된 메뉴 맵 정보에 의거하여 공 간상에 가상 메뉴 맵(1)을 배치하게 되는데, 이는 사용자에 의해 발생된 생체신호에 따라 도 3의 (a), (b) 및 (c)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도 3에서는 일부 실시예만을 나타낸 것으로, 다른 형태의 가상 메뉴 맵(1)을 제공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메뉴 마크업 언어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에 대한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으로서, 상세하게는 메뉴 마크업 언어를 이용하여 정의되는 메뉴 맵 정보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뉴 마크업 언어를 이용하여 메뉴 맵을 설계하기 위한 루트 요소 및 자식 요소들을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메뉴 맵 정보를 설계하기 위해 정의된 문서 타입 정의(Document Type Definition, 이하 'DTD'라 칭함)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DTD'에는 도 4의 루트 요소 및 자식 요소들을 정의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menuxml'은 메뉴 마크업 언어에서 정의되는 루트 요소로서, 자식 요소인 'device'를 복수개 가질 수 있다.
'device'는 특정 디바이스를 정의하는 요소로서, 자식 요소인 'menu'를 복수개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특정 디바이스는 원격 제어 장치와 연결되는 전자기기(2)를 말한다. 이때, 'device'는 해당 전자기기(2)의 MAC Address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ID(id), 디바이스 명(name), 모델명(model) 등의 속성을 정의한다. 한편, 'device'는 해당 디바이스가 처음 선택되었을 때 처음으로 처리할 이벤트(onload) 속성을 정의한다.
'menu'는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단일 메뉴를 정의하는 요소로서, 자식 요소인 'item'을 복수개 가질 수 있다. 이때, 'menu'는 해당 메뉴에 대한 메뉴 ID(id), 메뉴 타이틀(title), 메뉴 타입(type), 메뉴 로드 시 활성화되는 버튼의 디폴트(default), 부모 메뉴 ID(parent) 등의 속성을 정의한다. 여기서, 'id'는 정수값으로 정의한다. 또한, 'type'는 그리드(grid), 링(ring), 파이(pie)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정의하도록 한다. 또한, 'default'는 정수값으로 정의하며, 이때 정수값은 자식 요소인 'item'에 대해 지정된 순번인 것으로 한다.
한편, 'menu'는 반 시계방향으로 손목이 회전되었을 때 처리되는 이벤트(onspinleft), 시계방향으로 손목이 회전되었을 때 처리되는 이벤트(onspinright) 등의 속성을 정의한다.
'item'은 메뉴 버튼을 정의하는 요소로서, 자식 요소는 갖지 않는다. 이때, 'item'은 메뉴에서 해당 버튼의 위치값(index), 각 버튼의 ID(fid), 버튼 설명(text) 등의 속성을 정의한다. 또한, 핸드모션으로 메뉴를 제어할 때 필요한 반복(recursive), 건너뛰기(skip), 이탈방지(nomoveout) 등의 속성을 정의한다. 여기서, 'recursive'는 상(up), 하(down), 좌(left), 우(right) 중 핸드모션에 의해 입력된 특정 동작에 대해 속성값이 정의된 해당 버튼을 연속적으로 선택하도록 한다. 또한, 'skip'은 버튼 이동 중 속성값이 정의된 해당 버튼을 건너뛰도록 한다. 한편, 'nomoveout'은 가장자리에 위치한 버튼에 사용할 수 있으며, 속성값이 정의된 해당 버튼에서는 팔을 내리거나 하여 메뉴를 벗어날 수 없도록 함과 동시에, 메뉴를 드래깅(dragging)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item'은 해당 버튼을 클릭했을 때 처리되는 이벤트(onclick), 해당 버튼이 활성화되었을 때 처리되는 이벤트(onfocus) 등의 속성을 정의한다.
물론, 메뉴 마크업 언어에서는 앞서 설명한 이벤트 속성 외에도 사용자의 핸드모션에 의해 발생되는 읽기(onload), 좌(onleft), 우(onright), 상(onup), 하(ondown) 등의 이벤트 속성을 정의한다. 이벤트 속성값은 스크립트 형태로 기술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정의된 DTD에 기초하여 가상 메뉴 맵(1)을 구현하기 위한 메뉴 맵 정보를 설계하며, 그 실시예는 도 6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6은 도 5에서 정의된 DTD에 기초하여 기술된 메뉴 맵 정보 중 일부를 나타낸 것으로서, 전자기기(2)가 'TV'인 경우에 대해 기술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device'에서는 TV에 대한 'id', 'name', 'model' 등을 정의하고, TV가 선택 시 처음으로 처리할 이벤트로 자식 요소인 'menu'의 속성값을 정의한다. 이때, 메뉴 맵 구현부(40)는 메뉴 속성값이 '0'인, 즉, id="0"인 'A' 영역의 메뉴를 처리하도록 한다.
'A' 영역은 가상 메뉴 맵(1)에서의 메인 화면을 구현하는 부분으로서, 메인 화면의 버튼인 'CH. UP', 'VOL. DOWN', 'MENU', 'VOL. UP' 및 'CH. DOWN'을 각각 정의한다. 이때, 메인 화면은 그리드(grid) 타입으로 구현되는 것을 예로 한다. 이에 대한 구현 예는 도 3의 (a)를 참조하도록 한다.
여기서, 'A' 영역의 메뉴가 처리되는 동안 '상(up)', '하(down)', '좌(left)', '우(right)', 또는 '선택(click)' 중 어느 하나의 생체신호가 입력되 면, 모션 검출부(20)가 이를 검출하여 제어부(30)로 인가함에 따라, 제어부(30)는 대응하는 모션 정보를 메뉴 맵 구현부(40)로 전달하도록 한다.
만일, 'up'에 해당되는 핸드모션이 입력된 경우, 메뉴 맵 구현부(40)는 fid="1"에서 정의된 'CH. UP' 버튼을 연속적으로 선택하여 처리하도록 하고, 'left'에 해당되는 핸드모션이 입력된 경우, 메뉴 맵 구현부(40)는 fid="2"에서 정의된 'VOL. DOWN' 버튼을 연속적으로 선택하여 처리하도록 한다. 또한, 'right'에 해당되는 핸드모션이 입력된 경우, 메뉴 맵 구현부(40)는 fid="4"에서 정의된 'VOL. UP' 버튼을 연속적으로 선택하여 처리하도록 하고, 'down'에 해당되는 핸드모션이 입력된 경우, 메뉴 맵 구현부(40)는 fid="5"에서 정의된 'CH. DOWN' 버튼을 연속적으로 선택하여 처리하도록 한다.
이때, 메뉴 맵 구현부(40)는 선택된 메뉴 버튼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제어부(30)는 메뉴 맵 구현부(40)에 의해 출력된 제어 정보를 송수신부(50)를 통해 'TV'로 송출하도록 한다. 따라서, 'TV'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정보에 따라 해당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click'에 해당되는 핸드모션이 입력된 경우, 메뉴 맵 구현부(40)는 fid="3"에서 정의된 'MENU'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메뉴 속성값이 '2'인, 즉, id="2"에 해당되는 'C' 영역의 메뉴를 처리하도록 한다. 이때, 메뉴 맵 구현부(40)는 'C' 영역의 메뉴를 처리함으로써 'MENU' 버튼에 대응하는 메인 메뉴 리스트를 구현하도록 한다.
만일, 'A' 영역의 메뉴가 실행되는 동안 반 시계방향으로의 손목 회전에 의 해 'spinleft'가 입력된 경우, 메뉴 맵 구현부(40)는 메뉴 속성값이 '1'인, 즉, id="1"에 해당되는 'B' 영역의 메뉴를 처리하도록 한다.
'B' 영역은 'POWER', 'INPUT', 'MUTE' 등의 메뉴 버튼을 정의하는 영역으로서, 이에 대한 구현 예는 도 3의 (b)를 참조하도록 한다. 여기서, 'B' 영역의 메뉴가 처리되는 동안 '좌(left)', '우(right)' 또는 '선택(click)' 중 어느 하나의 생체신호가 입력되면, 모션 검출부(20)가 이를 검출하여 제어부(30)로 인가함에 따라, 제어부(30)는 대응하는 모션 정보를 메뉴 맵 구현부(40)로 전달하도록 한다.
만일, 'left' 또는 'right'에 해당되는 핸드모션이 입력된 경우, 메뉴 맵 구현부(40)는 'POWER', 'INPUT', 'MUTE' 버튼을 각각 이동하도록 한다. 또한, 어느 하나의 버튼에서 'click'에 해당되는 핸드모션이 입력된 경우, 메뉴 맵 구현부(40)는 선택된 버튼에 대응하는 동작을 처리하도록 한다.
즉, 'POWER' 버튼이 선택된 경우, 메뉴 맵 구현부(40)는 TV의 전원 온/오프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제어부(30)는 메뉴 맵 구현부(40)에 의해 출력된 제어 정보를 송수신부(50)를 통해 'TV'로 송출하도록 한다. 따라서, 'TV'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정보에 따라 전원을 온/오프 하도록 한다. 한편, 'MUTE' 버튼이 선택된 경우, 메뉴 맵 구현부(40)는 TV의 음소거 기능의 온/오프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제어부(30)는 메뉴 맵 구현부(40)에 의해 출력된 제어 정보를 송수신부(50)를 통해 'TV'로 송출하도록 한다. 따라서, 'TV'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정보에 따라 음소거 기능을 온/오프 하도록 한다.
한편, 'INPUT' 버튼이 선택된 경우, 메뉴 맵 구현부(40)는 메뉴 속성값이 '30'인, 즉, id="30"에 해당되는 메뉴(미도시)를 처리하도록 한다.
이때, 다른 영역의 메뉴가 실행되는 동안 반 시계방향으로의 손목 회전에 의해 'spinleft'가 입력된 경우, 메뉴 맵 구현부(40)는 자동으로 'B' 영역의 메뉴를 처리하도록 한다.
'C' 영역은 'A' 영역의 메뉴가 실행되는 동안 'MENU' 버튼이 선택됨에 따라 활성화되는 메뉴 맵을 구현하는 부분으로서, 'STATION', 'PICTURE', 'SOUND', 'TIME', 'PIP', 'SETUP' 버튼이 각각 구현된다. 이에 대한 구현 예는 도 3의 (c)를 참조하도록 한다.
여기서, 'C' 영역의 메뉴가 처리되는 동안 '상(up)', '하(down)' 또는 '선택(click)' 중 어느 하나의 생체신호가 입력되면, 모션 검출부(20)가 이를 검출하여 제어부(30)로 인가함에 따라, 제어부(30)는 대응하는 모션 정보를 메뉴 맵 구현부(40)로 전달하도록 한다.
만일, 'up' 또는 'down'에 해당되는 핸드모션이 입력된 경우, 메뉴 맵 구현부(40)는 'STATION', 'PICTURE', 'SOUND', 'TIME', 'PIP', 'SETUP' 버튼을 각각 이동하도록 한다. 또한, 어느 하나의 버튼에서 'click'에 해당되는 핸드모션이 입력된 경우, 메뉴 맵 구현부(40)는 선택된 버튼에 대응하는 동작을 처리하도록 한다.
즉, 'STATION' 버튼이 선택된 경우, 메뉴 맵 구현부(40)는 메뉴 속성값이 '3'인, 즉, id="3"인 'D' 영역의 메뉴를 처리함으로써 'STATION' 메뉴의 하위 메뉴 맵이 구현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PICTURE', 'SOUND', 'TIME', 'PIP', 'SETUP' 버튼이 각각 선택된 경우, 메뉴 맵 구현부(40)는 id="4", id="5", id="6", id="7", id="8"에 해당되는 영역의 메뉴를 처리함으로써, 해당 메뉴에 대한 하위 메뉴 맵이 구현되도록 한다.
이때, 'C' 영역의 메뉴가 실행되는 동안 반 시계방향으로의 손목 회전에 의해 'spinleft'가 입력된 경우, 메뉴 맵 구현부(40)는 자동으로 'B' 영역의 메뉴를 처리함으로써, 도 3의 (b)에 도시된 메뉴 맵이 구현되도록 한다.
'D' 영역은 'C' 영역의 메뉴에 의해 구현된 메뉴 맵에서 'STATION' 버튼이 선택됨에 따라 활성화되는 하위 메뉴 맵을 구현하는 부분으로서, 'Auto Search', 'Manual Prog', 'Favorite Ch.' 버튼이 각각 구현된다. 이에 대한 구현 예는 도 3의 (c)를 참조하도록 한다.
여기서, 'D' 영역의 메뉴가 처리되는 동안 '상(up)', '하(down)' 또는 '선택(click)' 중 어느 하나의 생체신호가 입력되면, 모션 검출부(20)가 이를 검출하여 제어부(30)로 인가함에 따라, 제어부(30)는 대응하는 모션 정보를 메뉴 맵 구현부(40)로 전달하도록 한다.
만일, 'up' 또는 'down'에 해당되는 핸드모션이 입력된 경우, 메뉴 맵 구현부(40)는 'Auto Search', 'Manual Prog', 'Favorite Ch.' 버튼을 각각 이동하도록 한다. 또한, 어느 하나의 버튼에서 'click'에 해당되는 핸드모션이 입력된 경우, 메뉴 맵 구현부(40)는 선택된 버튼에 대응하는 동작을 처리하도록 한다.
즉, 'Auto Search' 버튼이 선택된 경우, 메뉴 맵 구현부(40)는 메뉴 속성값이 '9'인, 즉, id="9"인 영역의 메뉴(미도시)를 처리함으로써 'Auto Search' 메뉴 의 하위 메뉴 맵이 구현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Manual Prog', 'Favorite Ch.' 버튼이 각각 선택된 경우, 메뉴 맵 구현부(40)는 id="10", id="11", id="12"에 해당되는 영역의 메뉴(미도시)를 처리함으로써, 해당 메뉴에 대한 하위 메뉴 맵이 구현되도록 한다.
이때, 'D' 영역의 메뉴가 실행되는 동안 반 시계방향으로의 손목 회전에 의해 'spinleft'가 입력된 경우, 메뉴 맵 구현부(40)는 자동으로 'B' 영역의 메뉴를 처리함으로써, 도 3의 (b)에 도시된 메뉴 맵이 구현되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뉴 마크업 언어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원격 제어 장치에 이용되는 메뉴 맵 정보는 MSM(Mobile Station Modem) 등과 같이 컴퓨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메뉴 마크업 언어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메뉴 마크업 언어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뉴 마크업 언어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가상 메뉴 맵을 나타낸 예시도, 그리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메뉴 마크업 언어를 이용하여 정의되는 메뉴 맵 정보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Claims (15)

  1. 사용자의 모션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정보를 전자기기로 송출하는 원격 제어 장치로서,
    전자기기 제어를 위해 공간상에 가상 메뉴 맵을 구현하기 위한, 확장성 마크업 언어(XML) 형식의 메뉴 마크업 언어(MenuXml)로 정의된 메뉴 맵 정보가 저장되는 메뉴 맵 정보 저장부; 및
    상기 메뉴 맵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메뉴 맵 정보에 따라 상기 가상 메뉴 맵을 구현하고, 상기 메뉴 맵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모션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전자기기로 송출하도록 하는 메뉴 맵 구현부;를 포함하는 메뉴 마크업 언어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뉴 마크업 언어는,
    복수의 전자기기를 조회하도록 정의된 루트 요소 'menuxml'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마크업 언어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뉴 마크업 언어는,
    해당 전자기기를 정의하는 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마 크업 언어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를 정의하는 요소는,
    해당 전자기기에 대한 아이디(id) 속성, 이름(name) 속성 및 모델(model) 속성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마크업 언어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뉴 마크업 언어는,
    해당 전자기기에 대한 메뉴를 정의하는 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마크업 언어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메뉴를 정의하는 요소는,
    해당 메뉴에 대한 아이디(id) 속성, 타이틀(title) 속성, 타입(type) 속성, 디폴트(default) 속성 및 페어런트(parent) 속성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마크업 언어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뉴 마크업 언어는,
    해당 메뉴를 구성하는 메뉴 버튼을 정의하는 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마크업 언어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메뉴 버튼을 정의하는 요소는,
    해당 메뉴 버튼에 대한 위치를 나타내는 인덱스(index) 속성, 아이디(id) 속성 및 버튼 설명을 나타내는 텍스트(text) 속성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마크업 언어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메뉴 버튼을 정의하는 요소는,
    상기 사용자의 모션 정보에 따라 해당 메뉴 버튼을 제어하기 위한 속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마크업 언어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메뉴 버튼을 제어하기 위한 속성은,
    해당 메뉴 버튼에 대한 반복(recursive) 속성, 건너뛰기(skip) 속성, 이탈방지(nomoveout) 속성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마크업 언어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뉴 마크업 언어는,
    상기 사용자의 모션 정보에 따른 이벤트 속성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마크업 언어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속성은,
    읽기(onload), 선택(onclick), 좌(onleft), 우(onright), 상(onup), 하(ondown), 좌회전(onspinleft) 및 우회전(onspinright)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마크업 언어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메뉴 맵 정보는, 상위 메뉴와 하위 메뉴를 포함하는 레벨구조를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위 메뉴와 상기 하위 메뉴는, 상기 이벤트 속성에 따라 연결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마크업 언어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모션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핸드모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마크업 언어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의 원격 제어 장치에 이용되는 메뉴 마크업 언어로 정의된 메뉴 맵 정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080098213A 2008-10-07 2008-10-07 메뉴 마크업 언어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 KR2010003901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213A KR20100039017A (ko) 2008-10-07 2008-10-07 메뉴 마크업 언어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
US13/120,910 US20110239139A1 (en) 2008-10-07 2009-09-29 Remote control apparatus using menu markup language
PCT/KR2009/005560 WO2010041840A1 (en) 2008-10-07 2009-09-29 Remote control apparatus using menu markup langu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213A KR20100039017A (ko) 2008-10-07 2008-10-07 메뉴 마크업 언어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9017A true KR20100039017A (ko) 2010-04-15

Family

ID=42100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8213A KR20100039017A (ko) 2008-10-07 2008-10-07 메뉴 마크업 언어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10239139A1 (ko)
KR (1) KR20100039017A (ko)
WO (1) WO20100418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994B1 (ko) * 2018-06-29 2019-09-30 주식회사 위피엔피 비디오 모션객체를 정의하는 마크업 언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19036B2 (en) 2012-05-11 2017-04-11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System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user experience
US10452231B2 (en) * 2015-06-26 2019-10-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sability improvements for visual interfaces
US10394421B2 (en) 2015-06-26 2019-08-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creen reader improvements
US20190187875A1 (en) * 2017-12-15 2019-06-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mote control incorporating holographic displays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0996B1 (en) * 1999-02-01 2002-06-04 Steven M. Hoffberg Adaptive pattern recognition based control system and method
US5677708A (en) * 1995-05-05 1997-10-14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for displaying a list on a display screen
AU1972297A (en) * 1996-03-01 1997-09-16 U.S. Electronics Components Corp. Programmable universal remote control
US8769598B2 (en) * 1997-03-24 2014-07-01 Logitech Europe S.A. Program guide on a remote control
US6133847A (en) * 1997-10-09 2000-10-17 At&T Corp. Configurable remote control device
US6501515B1 (en) * 1998-10-13 2002-12-31 Sony Corporation Remote control system
US6351222B1 (en) * 1998-10-30 2002-02-26 Ati International Srl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an input by an entertainment device
US7313805B1 (en) * 1998-11-30 2007-12-25 Sony Corporation Content navigator graphical user interface system and method
US20010030667A1 (en) * 2000-04-10 2001-10-18 Kelts Brett R. Interactive display interface for information objects
US20020071277A1 (en) * 2000-08-12 2002-06-13 Starner Thad E.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an image
JP3725460B2 (ja) * 2000-10-06 2005-12-14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記録媒体、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半導体デバイス
US6938101B2 (en) * 2001-01-29 2005-08-30 Universal Electronics Inc. Hand held device having a browser application
GB0108354D0 (en) * 2001-04-03 2001-05-23 Thirdspace Living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 with access to a plurality of sevices and content from a broadband television service
US6806887B2 (en) * 2001-04-04 2004-10-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for integrating personalized data with visual content
US20030061033A1 (en) * 2001-09-26 2003-03-27 Dishert Lee R. Remote control system for translating an utterance to a control parameter for use by an electronic device
US20030163542A1 (en) * 2002-02-28 2003-08-2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mote control signals updated and stored via network
US7821541B2 (en) * 2002-04-05 2010-10-26 Bruno Delean Remote control apparatus using gesture recognition
US6914551B2 (en) * 2002-04-12 2005-07-05 Apple Computer, Inc. Apparatus and method to facilitate universal remote control
US11275405B2 (en) * 2005-03-04 2022-03-15 Apple Inc. Multi-functional hand-held device
EP1540647A4 (en) * 2002-08-26 2010-08-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RACTIVE MODE AUDIO-VISUAL DATA REPRODUCTION DEVICE, USER INPUT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FOR IMPLEMENTING THE SAME
GB2404546B (en) * 2003-07-25 2005-12-14 Purple Interactive Ltd A method of organising and displaying material content on a display to a viewer
US8930561B2 (en) * 2003-09-15 2015-01-06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Addition of supplemental multimedia content and interactive capability at the client
US7155305B2 (en) * 2003-11-04 2006-12-26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s for home appliance identification and control in a networked environment
US7363028B2 (en) * 2003-11-04 2008-04-22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 location determination
US7559023B2 (en) * 2004-08-27 2009-07-07 Microsof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declaratively controlling the visual state of items in a report
US20060089118A1 (en) * 2004-10-21 2006-04-27 Thomas Whitehouse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identification of end user devices by a universal remote control device
KR100678896B1 (ko) * 2004-10-29 2007-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리모컨을 이용한 응용 프로그램 제어 방법 및 장치
US7280810B2 (en) * 2005-08-03 2007-10-09 Kamilo Feher Multimode communication system
KR20070023049A (ko) * 2005-08-23 2007-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버 세대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방법
US8209620B2 (en) * 2006-01-31 2012-06-26 Accenture Global Services Limited System for storage and navigation of application states and interactions
US20070222746A1 (en) * 2006-03-23 2007-09-27 Accenture Global Services Gmbh Gestural input for navigation and manipulation in virtual space
JP4650381B2 (ja) * 2006-09-08 2011-03-16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電子機器
WO2008137708A1 (en) * 2007-05-04 2008-11-13 Gesturetek, Inc. Camera-based user input for compact devices
US7889175B2 (en) * 2007-06-28 2011-02-15 Panasonic Corporation Touchpad-enabled remote controller and user interaction methods
US8818272B2 (en) * 2007-07-18 2014-08-26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bluetooth enabled electronic equipment
US8887048B2 (en) * 2007-08-23 2014-11-11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Media data presented with time-based metadata
KR100901482B1 (ko) * 2007-09-27 2009-06-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 메뉴 맵을 이용한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8487881B2 (en) * 2007-10-17 2013-07-16 Smart Technologies Ulc Interactive input system, controller therefor and method of controlling an appliance
US8031175B2 (en) * 2008-04-21 2011-10-04 Panasonic Corporation Touch sensitive remote control system that detects hand size characteristics of user and adapts mapping to screen display
US20090109183A1 (en) * 2007-10-30 2009-04-30 Bose Corporation Remote Control of a Display
US20090146947A1 (en) * 2007-12-07 2009-06-11 James Ng Universal wearable input and authentication device
US9513718B2 (en) * 2008-03-19 2016-12-06 Computime, Ltd. User action remote control
US8098337B2 (en) * 2008-09-30 2012-01-17 Echostar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configuration of a remote control device
US8112719B2 (en) * 2009-05-26 2012-02-07 Topseed Technology Corp. Method for controlling gesture-based remote control system
US9329746B2 (en) * 2009-11-27 2016-05-0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anaging contents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994B1 (ko) * 2018-06-29 2019-09-30 주식회사 위피엔피 비디오 모션객체를 정의하는 마크업 언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41840A1 (en) 2010-04-15
US20110239139A1 (en) 201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8892B2 (en)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functions
KR102247817B1 (ko) 락스크린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20084729A1 (en) Proactive browsing method with swing gesture in free space
JP574943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制御対象機器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CN101430624A (zh) 输入装置、输入装置的控制方法和程序
US20120079427A1 (en) Sprocket Shaped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a Dynamic Collection of Information
EP3518101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using captured image in electronic device
JP2012525773A (ja) 方向タッチリモート操作
KR101943988B1 (ko) 컨텐트 전송 방법 및 시스템, 기기와 그 기록 매체
CN111897478A (zh) 一种页面显示方法及显示设备
CN103019727B (zh) 桌面壁纸的处理方法及装置
KR20100039017A (ko) 메뉴 마크업 언어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
KR102498714B1 (ko) 콘텐트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N111625169A (zh) 一种遥控器浏览网页的方法及显示设备
CN114079829A (zh) 一种显示设备及视频集锦文件水印的生成方法
CN109408072A (zh) 一种应用程序删除方法及终端设备
CN102034341B (zh) 控制系统及其控制画面的产生方法
CN112473121B (zh) 一种显示设备及基于肢体识别的躲避球显示方法
JP4315638B2 (ja) 端末装置、端末装置による機器の遠隔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866568A (zh) 一种显示设备、服务器及基于语音的视频集锦获取方法
KR100677633B1 (ko)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리모컨 키를 처리하는 방법 및이를 위한 장치
WO2015167511A2 (en) Adjusting tap position on touch screen
US20120079387A1 (en) Customizable internet protocol remote control
KR20150022639A (ko)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에서 캡쳐 이미지 이용 방법
CN113573115B (zh) 确定搜索字符的方法及显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5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11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5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