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34528A - 한방소재를 이용한 생약젤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한방소재를 이용한 생약젤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4528A
KR20100034528A KR1020080093720A KR20080093720A KR20100034528A KR 20100034528 A KR20100034528 A KR 20100034528A KR 1020080093720 A KR1020080093720 A KR 1020080093720A KR 20080093720 A KR20080093720 A KR 20080093720A KR 20100034528 A KR20100034528 A KR 201000345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herbal
jelly
mixing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3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혁
조용택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대구테크노파크
조용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대구테크노파크, 조용택 filed Critical 재단법인 대구테크노파크
Priority to KR1020080093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4528A/ko
Publication of KR20100034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45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56Mouth soluble or dispersible forms; Suckable, eatable, chewable coherent forms; Forms rapidly disintegrating in the mouth; Lozenges; Lollipops; Bite capsules; Baked products; Baits or other oral form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4Acanthopanax or Eleuther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or deco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약 성분인 삼칠, 숙지황 및 가시오가피를 주성분으로 하고, 겔화 성분, 감미제, 천연 항균제 등을 혼합하여 겔화시켜 젤리로 제조된 생약젤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생약젤리는 복용이 편리하고 휴대가 간편하여, 관절염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삼칠, 숙지황 및 가시오가피를 보다 효과적으로 복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식품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생약젤리, 삼칠, 숙지황, 가시오가피, 관절염

Description

한방소재를 이용한 생약젤리 및 그 제조방법{A herb medicine gell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한방소재를 이용한 생약젤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생약 성분인 삼칠, 숙지황 및 가시오가피를 주성분으로 하고, 겔화 성분, 감미제, 천연 항균제 등을 혼합하여 겔화시켜 젤리형태로 제조된 복용이 편리하고 휴대가 간편한 한방소재 생약젤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한약은 약재를 달인 물로 색은 거무스름하고 맛은 쓰고 독특한 냄새가 나는 탕약’형태로 복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약재적 특성으로 인하여 맛이 쓰고 먹기에 다소 힘들다는 단점이 있었다. 하지만 근래들어 현대인의 라이프 스타일에 맞춰 복용이 편리하고 휴대가 간편한 한약이 선보이고 있다.
예로써 기존 탕약의 약효와 성분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먹기 좋게 초콜릿 향과 바닐라 향을 첨가한 ‘향기탕약’이 대표적이다. 최근에는 아이들의 장(腸) 건강을 위해 건강기능식품에 쓰이는 ‘올리고당’으로 약하게 단맛을 낸 한약도 나온 바 있다. 또한 색동한약은 약재를 증류한 맑은 탕약에 천연 약재에서 추출한 빨강, 주황, 노랑, 초록 등의 빛깔을 입힌 것. 오미자로 붉은색, 진피로 노랑색, 치자로 주황색을 내서 주스처럼 마실 수 있게 제조되고 있으며, 또한, 이미 만든 탕약을 농축해 젤리나 사탕을 만들기도 한다. 한약을 농축한 뒤 가루로 만든 과립제는 소화 흡수율이 좋고 오래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짜먹는 한약은 요구르트 형태의 젤 타입으로 포장에서부터 약이라는 느낌이 들지 않는다. 입 안에 짜 넣으면 한약 성분이 든 알갱이가 입안에서 녹지 않고 식도를 넘어가면서 녹는다. 그밖에도, 한약을 액제, 정제, 환제, 과립제, 캡슐제, 주사제, 패치 등의 형태로 위생과 안전을 겸비한 한약이 선보이고 있다.
이들 중 한약을 젤리 형태로 제조하기 위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1991-0014110호 "한약의 약리성분과 종합 아미노산의 영양을 복합적으로 겸비한 한방 젤라틴 생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는 한약 생약으로부터 유효 성분을 추출하고 냉각한 후,순수한 동물성 단백질과 트립토판 및 메티오닌의 양 아미노산을 함께 첨가해서 균질하게 용해시킨 다음 냉각처리하여 묵과 같이 단단한 젤리상의 탄성체로 만드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48009호 "생약추출물 함유 기능성 젤리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젤리"에는 한방생약으로부터 추출한 생약추출물 50 내지 80중량%에 올리고당 5 내지 30중량%, 젤화제 0.2 내지 5중량%, 유기산 0.1 내지 5중량%, 유기산염 0.1 내지 5중량% 및 식이섬유 0.1 내지 1중량%를 혼합함으로써 여러가지 기능성을 갖는 생약추출물 함유 기능성 젤리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밖에 생약제품을 젤리 형태로 제조하는 다양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한편, 관절염 관련 질환은 전세계 인구의 약 12% 이상이 고통을 겪고 있는 대표적인 퇴행성, 난치성 질환이다. 관절염은 크게 퇴행성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관절외 류마티즘 또는 콜라겐 질환으로 크게 나누어 지며, 퇴행성 관절염이 주를 이룬다.
현재까지 관절염의 정확한 병인은 확인이 되지 않고 있으나 관절염의 증상을 개선하는 약물요법과 수술들이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부작용이 발견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에 새로운 작용점의 물질 탐색과 예방제가 필요하다.
삼칠, 숙지황, 가시오가피는 각각 항염증과 연골 및 뼈 파괴 억제 효능이 우수한 물질로서 이미 동양권에서 2000년 이상 사용되어져 온 전통의 소재이며 그 안전성 또한 널리 알려져 있다.
삼칠(Panax notoginseng)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가을에 채취하여 뿌리를 사용하는 약재로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양에서 심혈관 질환, 염증, 지혈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ginsenoside와 notoginsenoside 같은 dammarane계 사포닌이 생리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우수한 소염, 진통 및 지혈작용이 있어 간염을 비롯한 많은 염증질환에 유효할 뿐 아니라 외상, 절상으로 생긴 출혈과 내출혈에 유효한 것으로 보고되어져 있다.
숙지황(Rehmanniae Radix Preparata)은 현삼과에 속하는 지황(Rehmannia glutinosa)의 뿌리를 황주(黃酒)에 적신 후 쪄서 말린 것으로 한방에서 약재로 사용되고 있으며,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아픈 증상이나 월경이상, 어지럼증 등을 치 료하고 각종 만성병 중 몸이 허약하여 나타나는 내열, 인후건조(咽喉燥), 갈증 등의 증상에 쓰여져 왔다. 또한 지황은 약제의 가공방법에 따라 생지황, 건지황 및 숙지황으로 분류된다. 주요성분으로는 β-sitosterol, stigmasterol과 campesterol 등을 포함하는 phytosteol류, 당류, 아미노산, iridoid glycosides, inorganic elements 등이 보고되어 있으며, 이 중 iridoid glycosides는 free radical을 제거할 수 있는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가시오가피(Eleutherococcus senticosus)는 두릅나무과(Araliaceae)에 속하며 뿌리와 줄기 및 가지의 껍질을 한방에서 약재로 사용하고 있다. 가시오가피는 자양강장, 강정, 진경 및 신진대사 활성작용이 있는 생약으로, 위궤양의 억제, 항염작용, 면역억제작용등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 문헌에 기초한 관절염에 효과적인 천연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휴대가 간편하고 복용이 용이할뿐만 아니라 약리적 효과에는 큰 영향력을 미치지 아니한 제품의 형태로서 생약젤리를 개발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관절염에 효과적인 삼칠, 숙지황 및 가시오가피의 천연 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생약젤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생약젤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삼칠, 숙지황 및 가시오가피를 생약 원료로 하여 농축액으로 제조한 후, 이를 겔화제 및 기타 첨가제를 최적 성분으로 혼합하여 겔화시키고, 관능검사를 통해 최적 배합비를 확정함으로써 달성되었다.
본 발명은 삼칠, 숙지황 및 가시오가피를 주성분으로 하는 한방소재 생약젤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약젤리의 제조 방법은
삼칠, 숙지황 및 가시오가피를 조분쇄하여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에 10배수의 정제수를 가한 후, 열수 추출하고, 여과기로 여과하여 생액 혼합물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카파-카라기난, 글루코만난, L.B.G. 및 아이오타-카라기난를 혼합한 후, 정제수를 혼합하고, 교반하면서 90℃까지 가열하여 겔화제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겔화제와 생약 혼합물 농축액, 구연산 나트륨, 염화 칼륨, 스테비텐 후레쉬 및 자몽종자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중탕 살균하고, 냉각시키는 단계
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삼칠, 숙지황 및 가시오가피의 혼합비는 바람직하게는 5:4:1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겔화제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카파-카라기난 65 내지 70 중량%, 글루코만난 3.5 내지 4.0 중량%, L.B.G. 11.0 내지 11.5 중량% 및 아이오타-카라기난 15 내지 20 중량%를 혼합되어 제조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생약젤리는 바람직하게는 겔화제 28 내지 33 중량%와 생약 혼합물 농축액 60 내지 65 중량%, 구연산 나트륨 1.5 내지 2.0 중량%, 염화 칼륨 4.0 내지 4.5 중량%, 스테비텐 후레쉬 0.5 내지 1.0 중량 % 및 자몽종자 추출물 0.5 내지 0.6 중량%를 혼합되어 제조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카파-카라기난, 글루코만난 및 L.B.G(Locost Bean Gum)는 겔화제로서 작용을 하며, 아이오타-카라기난은 겔화제인 동시에 이수방지제로서의 작용을 하고, 구연산 나트륨은 산도조절제, 스테비텐 후레쉬는 감미제, 자몽종자추출물은 천연 항균제 및 염화칼륨은 겔화 보조제로서 작용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삼칠, 숙지황 및 가시오가피의 혼합 농축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한방소재 생액젤리를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생약젤리는 바람직하게는 삼칠, 숙지황 및 가시오가피의 혼합 비율이 5:4: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한방소재 생약젤리는 생약 성분인 삼칠, 숙지황 및 가시오가피를 주성분으로 하고, 겔화 성분, 감미제, 천연 항균제 등을 혼합하여 겔화시켜 젤리로 제조됨으로써, 복용이 편리하고 휴대가 간편하여, 관절염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삼칠, 숙지황 및 가시오가피를 보다 효과적으로 복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식품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하기의 실시예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생약 추출물의 제조
삼칠과 숙지황, 가시오가피를 1차 조분쇄하여 5:4:1의 비율로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10배수의 정제수를 가하고, 95℃에서 8시간 열수 추출하여 퍼라이트(입도 : #60 24%, #80 15%, #100 16%, #140 14%, #200 11%)로 코팅된 여과기로 여과를 실시하였다.
한편, 상기 생약 혼합물을 효소 분해의 병행 방법으로 추출하였으며, 그 지표물질의 용출정도는 큰 차이가 없으며, 수율 역시 극명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데이터는 나타내지 않음)
상기에서 수득한 여과된 추출액을 감압농축기를 사용하여 50Brix까지 농축하 였다.
실시예 2 : 생약젤리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생약 혼합물 농축액을 이용하여 생액젤리를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생약 혼합물 농축액과 해조류 코토니에서 추출한 물질인 카파-카라기난, 정제곤약 베이스의 글루코만난, L.B.G(Locost Bean Gum), 해조류 스피노즘에서 추출한 물질인 아이오타-카라기난, 구연산 나트륨, 스테비텐 후레쉬, 자몽종자추출물 및 염화칼륨을 하기 표 1과 같은 비율로 배합하여 5 가지의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표 1>
Figure 112008067152788-PAT00001
상기에서 카파-카라기난, 글루코만난 및 L.B.G(Locost Bean Gum)는 겔화제로서 작용을 하며, 아이오타-카라기난은 겔화제인 동시에 이수방지제로서의 작용을 하고, 구연산 나트륨은 산도조절제, 스테비텐 후레쉬는 감미제, 자몽종자추출물은 천연 항균제 및 염화칼륨은 겔화 보조제로서 작용을 한다.
우선, 겔화제로서 카파-카라기난, 글루코만난 L.B.G. 및 아이오타-카라기난과 정제수를 혼합하고, 교반하면서 90℃까지 가열하여 분말을 완전히 용해시켰다. 상기 혼합 겔화제를 50℃까지 냉각시키고, 이를 생약 혼합물 농축액, 구연산 나트륨, 염화 칼륨, 스테비텐 후레쉬 및 자몽종자 추출물과 혼합하고,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용기에 충전하고 85℃에서 40분 동안 중탕 살균하였다. 이를 상온에서 냉각시켜 최종 생약 젤리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관능검사
상기 실시예 2에서 5 가지 배합비로 제조된 생약 젤리에 대한 관능검사를 (재)대구테크노파크 바이오산업지원센터의 연구원11명과 영남대학교 식품가공학전공 대학원생 3명, 일심제약의 연구원 3명 등 17명이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112008067152788-PAT00002
* 가장 좋음 5점, 좋음 4점, 보통 3점, 나쁨 2점, 아주나쁨 1점.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Je496의 경우 겔이 단단하고 퍼석하였으며, Je539의 경우 퍼석함과 함께 탄력이 부족하였고, Je136의 경우 전반적인 겔의 성질 은 양호하나 약간의 탄성이 부족하였다. JE972의 경우 전체적으로 양호하였으며, Je664의 경우 겔의 식감이 강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약젤리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약젤리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3)

  1. 삼칠, 숙지황 및 가시오가피를 조분쇄하여 5:4:1의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에 10배수의 정제수를 가한 후, 열수 추출하고, 여과기로 여과하여 50Brix 생액 혼합물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카파-카라기난 65 내지 70 중량%, 글루코만난 3.5 내지 4.0 중량%, L.B.G. 11.0 내지 11.5 중량% 및 아이오타-카라기난 15 내지 20 중량%를 혼합한 후, 정제수를 혼합하고, 교반하면서 90℃까지 가열하여 겔화제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겔화제 28 내지 33 중량%와 생약 혼합물 농축액 60 내지 65 중량%, 구연산 나트륨 1.5 내지 2.0 중량%, 염화 칼륨 4.0 내지 4.5 중량%, 스테비텐 후레쉬 0.5 내지 1.0 중량 % 및 자몽종자 추출물 0.5 내지 0.6 중량%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중탕 살균하고, 냉각시키는 단계
    로 이루어진 한방소재 생약젤리의 제조 방법.
  2. 제1항의 방법으로 제조되어, 삼칠, 숙지황 및 가시오가피의 혼합 농축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한방소재 생액젤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삼칠, 숙지황 및 가시오가피의 혼합 비율이 5:4: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소재 생액젤리.
KR1020080093720A 2008-09-24 2008-09-24 한방소재를 이용한 생약젤리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345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720A KR20100034528A (ko) 2008-09-24 2008-09-24 한방소재를 이용한 생약젤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720A KR20100034528A (ko) 2008-09-24 2008-09-24 한방소재를 이용한 생약젤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4528A true KR20100034528A (ko) 2010-04-01

Family

ID=42212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3720A KR20100034528A (ko) 2008-09-24 2008-09-24 한방소재를 이용한 생약젤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452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00260A (zh) * 2015-05-11 2015-07-29 云南文山坤七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三七超细粉及其制备方法
KR20190104748A (ko) * 2018-03-02 2019-09-11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새싹인삼을 이용한 젤리의 제조방법
KR102223638B1 (ko) * 2020-07-28 2021-03-04 곽병상 은 화합물과 착화제를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및 삼칠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중 전립선 특이항원 안정화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00260A (zh) * 2015-05-11 2015-07-29 云南文山坤七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三七超细粉及其制备方法
KR20190104748A (ko) * 2018-03-02 2019-09-11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새싹인삼을 이용한 젤리의 제조방법
KR102223638B1 (ko) * 2020-07-28 2021-03-04 곽병상 은 화합물과 착화제를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및 삼칠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중 전립선 특이항원 안정화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23786A (zh) 一种健胃消食的果冻及其制备方法
CN102422941A (zh) 一种草珊瑚清爽型凉茶(饮料)及其制备方法
KR20110051163A (ko) 녹용, 당귀, 산수유, 구기자, 울금, 산약, 진피, 배초향, 천마, 계피, 오미자, 홍삼, 맥문동 및 감귤분말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 조성물
CN106666572A (zh) 一种葛仙米果冻及其制作方法
CN106879904A (zh) 一种山药饮品的制作方法
KR102042798B1 (ko)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환의 제조방법
CN108813501B (zh) 具有清热润肺止咳化痰平喘和调节人体机能的养生蜂蜜膏
CN106578297A (zh) 一种保健酸木瓜果脯及其制备方法
KR20100034528A (ko) 한방소재를 이용한 생약젤리 및 그 제조방법
CN110772456B (zh) 一种神秘果叶复合物及在抗黑色素形成产品中的应用
CN105146667A (zh) 鹿胎阿胶固体饮料及其生产工艺
CN103947807B (zh) 一种清热解毒凉茶的制备方法
KR102659842B1 (ko) 차전자피 및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장 기능 개선 및 배변 촉진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579410A (zh) 玛咖参杞片及其制备方法
CN106509894A (zh) 一种辣木三七含片及其制备工艺
CN109287916A (zh) 一种短梗五加提取液及其饮料的制备方法
KR101795261B1 (ko) 구기자를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한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8567854A (zh) 参灵口服液及其制备方法
CN114404517A (zh) 一种用于痛风和降低尿酸的组合物及其用途与制备方法
KR101479096B1 (ko)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산전산후부종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1381277B1 (ko) 홍삼을 함유하는 고장초 겔
CN106928376A (zh) 山茱萸多糖的分离方法及其应用
KR20170014329A (ko) 당나귀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CN106213076A (zh) 一种蜂蜜樱桃汁及其制备方法
CN106173679A (zh) 一种蜂蜜红石榴汁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8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2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8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