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81277B1 - 홍삼을 함유하는 고장초 겔 - Google Patents

홍삼을 함유하는 고장초 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1277B1
KR101381277B1 KR1020130008442A KR20130008442A KR101381277B1 KR 101381277 B1 KR101381277 B1 KR 101381277B1 KR 1020130008442 A KR1020130008442 A KR 1020130008442A KR 20130008442 A KR20130008442 A KR 20130008442A KR 101381277 B1 KR101381277 B1 KR 101381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ginseng
weight
extract
parts
g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8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효
유병완
최경민
정미란
김규일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진안홍삼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진안홍삼연구소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진안홍삼연구소
Priority to KR1020130008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12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1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127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장초, 홍삼, 진피, 황기, 공사인 백출 및 산약의 성분을 추출하여 현대인들, 특히 중장년층의 성인에게 자연강장 및 위 기능 강화 등의 효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언제 어디서나 쉽게 상기와 같은 효능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겔(Gel) 상태의 제품으로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홍삼을 함유하는 고장초 겔은 홍삼농축액, 고장초추출액, 식물혼합추출액, 대추농축액, 복분자농축액, 헛개나무열매 농축액, 배농축액, 타우린, 비타민 C, 비타민 B1 염산염, 비타민 B6 염산염, 자몽종자추출물, 프락토올리고당, 불루아가베시럽 , 꿀 , 산탄검 및 정제수로 구성된다.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을 함유하는 고장초 겔은 현대인, 특히 중장년층의 건강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한 기능성 겔(Gel) 식품이다. 특히 본 발명의 홍삼을 함유하는 고장초 겔은 홍삼의 진정작용, 조혈작용, 혈당조절, 항염효과와 고장초추출액의 혈액순환 및 소화불량 개선, 면역기능 강화, 신진대사 촉진 및 저항력 증진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홍삼을 함유하는 고장초 겔{The wild rice gel containing ginseng}
본 발명은 홍삼을 함유하는 고장초 겔에 관한 것이며, 더 상세하게는 진피, 황기, 공사인, 백출, 산약을 이용한 식물혼합추출액을 고장초추출액 및 홍삼농축액과 혼합하여 중장년 층의 성인에게 자연강장 및 위장기능 강화에 도움을 주는 홍삼을 함유하는 고장초 겔(Gel)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은 홍삼농축액과 고장초추출액, 진피 등의 식물혼합추출액을 혼합하여 홍삼이 함유된 고장초 겔을 제조하는 것이다.
고장초(菰蔣草)는 고겡 또는 줄풀(Zizania caudiflora 'Trucz. ex Tri.')이라고도 하며, 벼과의 여러해살이 풀로서 야생하는 새나 동물들이 아주 옛날부터 본능적으로 상처나 병에 걸렸을 때 이용해 온 식물이다.
고장초가 각종 질병에 대하여 효과가 있다는 것은 옛날부터 체험적으로 알고 있으나 그 약리적 효과에 대한 연구는 불충분하였다. 최근 연구자들에 의해 고장초는 혈관의 활동을 원활하게 하고 노폐물 배출을 활발하게 하여 체내 혈액의 흐름을 좋게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장의 연동운동을 활발하게 하여 소화불량을 개선하며 위와 간장, 신장 및 비장의 기능을 활성화 시켜 주는 등 내분비 장기의 기능을 강화시켜 준다. 그 외에 고장초는 면역기능을 강화시켜 주며, 세포의 신진대사를 촉진하여 세포의 재생기능을 촉진하고,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활동을 억제하여 감기 등의 예방에 효과적이고, 혈당을 낮춰주며 임파구 및 백혈구의 저항력을 증진시켜 준다.
홍삼은 수삼을 정선하여 망상조직인 껍질을 벗기지 않은 채 증기로 쪄서 건조시킨 담황갈색 또는 담적갈색의 인삼을 말하는데, 이 또한 수삼이나 백삼 등 다른 인삼에는 들어 있지 않은 특이성분들, 중추신경계에 대한 진정작용과 흥분작용, 조혈작용 및 혈당치 저하, 간보호, 내분비계에 작용하여 성행동이나 생식효과에 간접적으로 유효하게 작용하는 효과, 항염 및 항종양 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홍삼은 암세포의 전이와 항암제의 내성형성을 억제하는 활성성분이 있으며 이는 홍삼특유성분인 G-Rh2는 암세포를 스스로 사멸시키는 이른바 "세포사멸(Apoptosis)"를 유발하는 작용과 인터페론 생성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홍삼 추출액은 대식세포 활성화 작용과 항체 생성에 유효한 영향을 미친다.
홍삼의 사포닌 성분은 동맥경화증 발생 억제와 혈압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혈관의 이완반응의 촉진과 혈관 내 피세포의 손상을 방어해 주는 효과가 있다. 홍삼은 적혈구 변형능의 개선작용을 가지고 있어 말초순환을 개선시킨다. 홍삼(사포닌)은 혈관 평활근세포의 증식 억제작용을 가지고 있다. 홍삼(성분)은 콜레스테롤 대사 개선작용을 가지고 있다
홍삼에는 진세노사이드라는 사포닌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있고, 이들 진세노사이드가 각각 자양강장 이외에 불안신경증, 불면, 우울상태 등 중추신경의 증상 개선효과, 학습기능의 증진과 기억력을 개선시켜 지적 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 효능, 외적 유해인자에 대한 비특이적 생체 저항력을 증진시켜 주며,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인 외적변화에 대하여 생체를 정상화시켜 주고 혈당강하기능, 해독 촉진작용, 간손상보호 및 간 재생회복 촉진작용, 심근세포 보호작용 및 심기능 강화작용, 혈중 콜레스테롤의 함량 저하작용, 혈압 조절작용 암세포전이와 항암제의 내성형성을 억제하는 활성효과 등의 다양한 약리효능이 알려져 있다.
고장초 추출액 및 홍삼농축액과 혼합되는 식물혼합추출액은 진피, 황기, 공사인, 백출, 산약을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정제수로 추출하는 것이다.
진피(陳皮)는 귤나무의 성숙한 과실인 귤의 껍질로 휘발성 정유(精油), 헤스페리딘(플라본배당체), 구연산, 비타민 B1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진피는 소화불량에서 나타나는 식욕부진, 오심, 구토 등의 증상에 활용며, 복부팽만이나 복통이 심할 때 또는 가래가 많은 기침을 억제하는 데도 사용된다.
황기는 1m 정도로 자라는 콩과의 다년생풀이며 약초로 재배된다. 한약재로 쓰이는 황기의 뿌리는 가늘고 긴 원뿔형 모양이며 길이 10~80cm 정도 되고 봄 또는 가을에 채취하여 건조시킨다. 성분으로는 교질, 점액질, 전분, 자당, 포도당, 섬유소, 비타민 B 등이 함유되어 있다. 황기는 만성쇠약에 효과가 있으며, 중추신경계의 흥분작용 효과도 있다. 피로·무력감·음성저하 등의 증상이 있을 때 복용하면 좋은데 장기간 다량 복용해야 효과가 있다. 체질을 개선하고 전신 근육의 긴장을 높임으로써 효과를 나타낸다. 말초신경마비, 뇌졸증의 후유증인 반신불수, 만성관절류머티즘, 결관절주위염 등에 사용한다. 황기는 신장염에도 사용하는데 황기는 이뇨하여 부종을 없앨 뿐 아니라 단백뇨를 낮추고 전신의 영양상태를 개선한다. 황기는 오랫동안 헐어 있는 화농증에 사용한다. 현대 의학의 관점에서 보면, 항균작용과 인체의 저항력 증가로 인하여 자궤배농되어 유합하기 쉽게 하는 것이다.
공사인(Amomum xanthoides)은 높이 2m 정도로 자라는 생강목 생강과의 여러해살이풀의 약용식물이며, 분포지역은 중국, 미얀마, 타이이고 열매는 삭과(殼果)로 둥글고 지름 1cm 정도이며, 표면에 연한 돌기가 있고 안쪽은 3실로 되어 있다. 종자는 검은 회갈색이고 다면체이며 정유가 들어 있어 특유한 향기와 맛이 있다. 한방에서는 이 종자를 방향성 건위제, 구풍 및 소화제로 같은 속에 딸린 종으로서 사인(砂仁:A. villosum)과 초과(草果:A. tsao-ko)가 있다.
백출(白朮)은 국화과(菊花科 Aster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인 삽주(Atractylodes japonica)의 뿌리의 표층을 벗겨내어 건조한 것이다. 백출의 성분으로는 휘발성 정유와 비타민 A, 비타민 D를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주로 비장과 위의 경락에 작용한다. 백출의 효능으로는 무력해진 소화기능을 도와 생기가 돌게 하고 몸을 무겁게 하는 여분의 습기를 말리며 소변이 잘 배출되도록 한다. 또 피부가 약해져서 헛땀이 나는 것을 방지하고 태반 및 태아를 안정시키는 작용을 하며, 특히 소아의 병후에 식욕부진·신체허약·자한 등의 증상이 있을 때 반드시 사용하는 중요한 한약재이다.
산약(Dioscoreaceae)은 마과에 속하는 덩굴성 다년생풀로서 참마(Disocorea japonica) 또는 마(Disocorea batatas)의 덩이뿌리이다. 산약의 성분으로는 전분·점액·단백질·지방·알란토인·아르기닌콜린 등과 일종의 디아스타제를 함유하고 , 주로 비장·폐·신장의 경락에 작용하며, 위나 간장의 경략에도 작용한다. 산약은 비장과 신장의 허증(虛症)에 자양보양약물로서 사용되며, 또한 당뇨병에도 효과가 있는데 매일 달여서 차 대신 장기간 복용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효능이 있는 홍삼농축액, 고장초추출액 및 식물혼합추출액의 성분을 현대인들에게 언제 어디서나 쉽게 섭취할 수 있도록 겔(Gel)로 제조한 것이다.
(등록특허공보) KR 10-1181321 B1 (2012. 09. 04.)
본 발명은 고장초, 홍삼, 진피, 황기, 공사인 백출 및 산약의 성분을 추출하여 현대인들, 특히 중장년층의 성인에게 자연강장 및 위 기능 강화 등의 효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언제 어디서나 쉽게 상기와 같은 효능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겔(Gel) 상태의 제품으로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홍삼의 진정작용, 조혈작용, 혈당치 조절 및 항염효과와 고장초추출액의 위 기능 및 면역기능 강화, 식물추출물의 원료로 사용되는 진피, 황기, 공사인, 백출 및 산약 등 한약재의 효과를 종합적으로 쉽게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홍삼을 함유하는 고장초 겔은 홍삼농축액 0.1~2중량부, 고장초추출액 1~5중량부, 식물혼합추출액 5~10중량부, 대추농축액 4~7중량부, 복분자 농축액 1~5중량부, 헛개나무열매 농축액 1~5중량부, 배농축액 1~4중량부, 타우린 1~2중량부, 비타민 C 0.01~0.5중량부, 비타민 B1 염산염 0.005~0.05중량부, 비타민 B6 염산염 0.005~0.05중량부, 자몽종자추출물 0.01~0.05중량부, 프락토올리고당 3~7중량부, 불루아가베시럽 1~3중량부, 꿀 1~3중량부, 산탄검 0.1~1중량부를 정제수 50~70중량부에 혼합하여 제조한다.
상기 홍삼농축액의 원료가 되는 홍삼은 수삼을 세척하고 증삼 및 건조하여 제조한다. 상기 홍삼농축액은 홍삼 질량의 5~6배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80~95에서 추출한다. 이때, 추출은 연속식 탱크에 서는 6~7회, 배치식 탱크에서는 3~4회 반복하여 추출하여 가열 탱크에 이송보관 한다. 여기서 연속식 공정과 배치식의 차이점은 연속식은 홍삼고유의 지표성분 추출 및 색도/맛을 고농도로 균일하게 추출하는데 유리하며, 배치식은 고유한 성분 및 향을 유지되도록 하면서 많은 양을 단시간에 추출하는데 유리하다. 상기 홍삼 추출액을 95℃에서 가열하여 살균처리 한다.
상기 살균 처리된 홍삼 추출액을 원심분리가 용이하도록 4-7℃의 온도로 냉각한 다음 약 4,000 내지 8,500 rpm의 원심분리기에서 10L/min 내지 30L/min의 유속으로 통과시켜 호화된 전분질과 기타 이물 찌꺼기 등의 불순물을 제거한다.
상기 불순물이 제거된 홍삼 추출액은 55-65의 온도로 진공 농축하고 120# 체에서 불순물을 제거한 후 숙성시킨다.
상기 홍삼농축액의 당분 농도는 40-75 브릭스(Brix) 범위이고, 전분은 2 - 3% 범위이어야 적합한 홍삼 농축액으로 인정된다. 추가하여, 상기 홍삼 농축액의 최종 제품검사 방법으로 색도, 수분함량, 미생물 등을 분석한다. 색도는 0.20 -℃ 0.50 이내로 하고, 수분함량은 30 - 45% 범위 이내이며, 미생물은 100/ml 이하, 납 0.3mg/kg 이하, 타르 및 보존료 불검출, 대장균군은 음성이어야 적합하다.
고장초 추출액은 열수추출방법과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용매추출방법 등을 이용하여 추출하거나,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법을 통해서도 얻을 수 있다.
본원발명에서는 열수추출방법으로 고장초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유효성분으로서의 고장초추출액을 얻기 위해서 고장초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고장초를 열수추출하여 고장초 조추출액을 얻는 단계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열수추출방법에 의한 고장초추출액의 제조방법은 고장초를 고장초 건조중량의 5~20배(w/w)의 정제수에 넣고, 85~95℃의 온도에서 20~30시간 추출하여 0.5Brix의 고장초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식물혼합추출액 원료의 배합비는 진피 3~7중량%, 황기 1~5중량%, 공사인 1~3중량%, 백출 1~3중량%, 산약 0.5~2중량%를 정제수 80~93.5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85~95℃의 온도에서 3~5시간 동안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식물혼합추출액의 농도는 4~6Brix로 한다.
본원 발명의 홍삼을 함유하는 고장초 겔은 상기 홍삼농축액, 고장초추출액, 식물혼합추출액, 대추농축액, 복분자농축액, 헛개나무열매농축액, 배농축액, 타우린, 비타민 C, 비타민 B1 염산염, 비타민 B6 염산염 및 자몽종자추출물을 정량 혼합하여 홍삼혼합물을 만들고, 상기 홍삼혼합물을 프락토올리고당, 블루아가베시럽, 꿀, 및 정제수를 정량 혼합한 혼합물을 가열하고, 상기 혼합물이 85℃ 이상의 온도에서 끓기 시작하면 산탄검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산탄검혼합물을 만든다.
상기 산탄검혼합물이 충분히 교반되면 산탄검혼합물에 상기 홍삼혼합물을 넣고 혼합 교반하고 살균하여 고장초 겔을 제조한다.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을 함유하는 고장초 겔은 현대인, 특히 중장년층의 건강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한 기능성 겔(Gel) 식품이다. 특히 본 발명의 홍삼을 함유하는 고장초 겔은 홍삼의 진정작용, 조혈작용, 혈당조절, 항염효과와 고장초추출액의 혈액순환 및 소화불량 개선, 면역기능 강화, 신진대사 촉진 및 저항력 증진 효과, 진피 성분의 식욕부진, 복부팽만 및 기침완화 효과, 황기 성분의 만성쇠약 개선 및 이뇨개선 효과, 공사인 성분의 건위제, 구풍 및 소화제 효능, 백출 성분의 소화기능 및 자한 증상 개선 효과, 산약의 성분의 신장과 비장을 강화하는 효과를 종합적으로 얻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성분들의 종합적인 효과를 겔(Gel) 형태의 제품에 모아서 바쁜 현대인들이 쉽게 어디서나 섭취할 수 있도록 하여 건강 개선효과를 가져오게 하였다.
본 발명은 현대인의 자양강장 및 위 기능강화, 만성피로 회복, 항염 및 항균 능력 강화를 위한 홍삼을 함유한 고장초 겔에 관한 것으로, 홍삼농축액 및 고장초추출액, 식물혼합추출액을 혼합하여 겔 상태로 제조한 것이다.
상기 홍삼농축액은 수삼을 세척하고 증삼 및 건조하여 홍삼을 제조한 다음, 상기 홍삼과 홍삼 질량의 5~6배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80~95℃의 온도로 가열하여 추출한다.
이때 홍삼추출액의 추출은 연속식 탱크에 서는 6~7회, 배치식 탱크에서는 3~4회 반복하여 추출하여 가열 탱크에 이송보관 한다. 여기서 연속식 공정과 배치식의 차이점은 연속식은 홍삼고유의 지표성분 추출 및 색도/맛을 고농도로 균일하게 추출하는데 유리하며, 배치식은 고유한 성분 및 향을 유지되도록 하면서 많은 양을 단시간에 추출하는데 유리하다. 상기 홍삼 추출액을 95℃에서 가열하여 살균처리 한다.
상기 살균 처리된 홍삼 추출액을 원심분리가 용이하도록 4-7℃의 온도로 냉각한 다음 약 4,000~8,500 rpm의 원심분리기에서 10L/min 내지 30L/min의 유속으로 통과시켜 호화된 전분질과 기타 이물 찌꺼기 등의 불순물을 제거한다.
상기 불순물이 제거된 홍삼 추출액은 55-65℃의 온도로 진공 농축하고 120# 체에서 불순물을 제거한 후 숙성시킨다.
상기 홍삼농축액의 당분 농도는 40-75 브릭스(Brix) 범위이고, 전분은 2 - 3% 범위이어야 적합한 홍삼 농축액으로 인정된다. 추가하여, 상기 홍삼 농축액의 최종 제품검사 방법으로 색도, 수분함량, 미생물 등을 분석한다. 색도는 0.20 - 0.50 이내로 하고, 수분함량은 30 - 45% 범위 이내이며, 미생물은 100/ml 이하이어야 적합하다.
고장초 추출액은 열수추출방법과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용매추출방법 등을 이용하여 추출하거나,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법을 통해서도 얻을 수 있다.
본원발명에서는 열수추출방법으로 고장초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유효성분으로서의 고장초추출액을 얻기 위해서 고장초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고장초를 열수추출하여 고장초 조추출액을 얻는 단계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열수추출방법에 의한 고장초추출액의 제조방법은 고장초를 고장초 건조중량의 5~20배(w/w)의 정제수에 넣고, 85~95℃의 온도에서 20~30시간 추출하여 0.5Brix의 고장초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알코올추출에 의한 고장초추출액의 제조는 고장초를 고장초 건조중량 기준으로 10~40배(w/v)의 에탄올(70%)로 1 ~ 2일 정치추출하고 이를 3 ~ 4회 반복하여 추출액을 얻은 다음 상기 추출액은 여과지(Whatman No. 3, Maidstone, England)로 여과하고 rotary vacuum evaporator(UT-1000, EYELA, Tokyo, Japan)로 농축하여 0.5Brix의 고장초추출액을 얻는다.
상기 식물혼합추출액 원료의 배합비는 진피 3~7중량%, 황기 1~5중량%, 공사인 1~3중량%, 백출 1~3중량%, 산약 0.5~2중량%를 정제수 80~93.5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85~95℃의 온도에서 3~5시간 동안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식물혼합추출액의 농도는 4~6Brix로 한다.
본원발명의 홍삼을 함유하는 고장초 겔의 제조는 다음과 같은 공정으로 제조한다.
1. 홍삼혼합물의 제조
본원 발명의 홍삼을 함유한 고장초 겔을 제조하기 위하여 홍삼농축액, 고장초추출액, 식물혼합추출액, 대추농축액, 복분자농축액, 헛개나무열매농축액, 배농축액, 타우린, 비타민 C, 비타민 B1 염산염, 비타민 B6 염산염 및 자몽종자추출물을 정량 혼합하여 홍삼혼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홍삼혼합물은 홍삼농축액 0.1~2중량부, 고장초추출액 1~5중량부, 식물혼합추출액 5~10중량부, 대추농축액 4~7중량부, 복분자 농축액 1~5중량부, 헛개나무열매 농축액 1~5중량부, 배농축액 1~4중량부, 타우린 1~2중량부, 비타민 C 0.01~0.5중량부, 비타민 B1 염산염 0.005~0.05중량부, 비타민 B6 염산염 0.005~0.05중량부 및 자몽종자추출물 0.01~0.05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다.
2. 산탄검혼합물의 제조
산탄검혼합물은 프락토올리고당, 블루아가베시럽, 꿀, 산탄검 및 정제수를 일정량 혼합 가열하여 제조한다.
먼저 산탄검 혼합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프락토올리고당 3~7중량부, 불루아가베시럽 1~3중량부, 꿀 1~3중량부를 정제수 50~70중량부에 혼합한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가열한다. 상기 혼합물이 90℃ 이상의 온도가 되어 끓기 시작하면 산탄검 0.1~1중량부를 혼합하교 교반하여 준다.
3. 고장초 겔의 제조
상기 산탄검혼합물을 85℃ 이상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85~95℃의 온도에서 혼합 교반한 다음 상기 홍삼혼합물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홍삼이 함유된 고장초 겔을 제조한다.
상기 고장초 겔은 고온 순간살균 또는 저온살균하여 충전하고 식품공전에서 정하는 기준 규격에 따라 제품을 제조한다. 홍삼을 함유하는 고장초겔의 품질 기준규격은 성상이 진갈색의 액상 겔 제품이고, 타르색소 및 보존료가 검출되지 않아야 하며, 대장균군은 음성이고, 납 성분은 0.3mg/kg 이하, 일반세균은 100/ml 이하이어야 한다.
홍삼농축액의 당분 농도는 40-75 브릭스(Brix) 범위이고, 전분은 2 - 3% 범위이어야 적합한 홍삼 농축액으로 인정된다. 추가하여, 상기 홍삼 농축액의 최종 제품검사 방법으로 색도, 수분함량, 미생물 등을 분석한다. 색도는 0.20 - 0.50 이내로 하고, 수분함량은 30 - 45% 범위 이내이며, 미생물은 100/ml 이하이어야 적합하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홍삼을 함유하는 고장초 겔
1) 홍삼농축액 0.2중량%, 0.5Brix의 고장초추출액 2.5중량%, 5Brix의 식물혼합추출액 7중량%, 68Brix의 대추농축액 5.5중량%, 65Brix의 복분자 농축액 3.5중량%, 65Brix의 헛개나무열매 농축액 3.5중량%, 69Brix의 배농축액 2.5중량%, 타우린 1.5중량%, 비타민 C 0.1중량%, 비타민 B1 염산염 및 비타민 B6 염산염 각각 0.01중량%, 및 자몽종자추출물 0.03중량%를 혼합하여 홍삼혼합물을 만든다.
2) 75Brix의 프락토올리고당 5중량%, 블루아가베시럽 2중량%, 꿀 2중량%를 정제수 64.15중량%에 혼합한 혼합물을 가열 교반한다.
3) 상기 2)의 혼합물에 산탄검 0.5중량%를 혼합하여 90℃의 온도로 가열하여 산탄검혼합물을 제조한다.
4) 상기 3)의 산탄검혼합물에 1)의 홍삼혼합물을 혼합하여 교반하여 홍삼을 함유하는 고장초 겔을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홍삼을 함유하는 고장초 겔은 성인 1일 1~2회 섭취하며, 1회 섭취량은 대략 15g 정도 섭취하는 경우 홍삼의 진정작용, 조혈작용, 혈당조절, 항염효과와 고장초추출액의 혈액순환 및 소화불량 개선, 면역기능 강화, 신진대사 촉진 및 저항력 증진 효과, 진피 성분의 식욕부진, 복부팽만 및 기침완화 효과, 황기 성분의 만성쇠약 개선 및 이뇨개선 효과, 공사인 성분의 건위제, 구풍 및 소화제 효능, 백출 성분의 소화기능 및 자한 증상 개선 효과, 산약의 성분의 신장과 비장을 강화하는 효과를 종합적으로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홍삼을 함유하는 고장초 겔에 있어서,
    상기 고장초 겔은 홍삼농축액, 고장초추출액 및 식물혼합추출액을 포함하되
    상기 식물혼합추출액은 진피, 황기, 공사인, 백출, 산약을 정제수로 추출한 식물혼합추출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을 함유하는 고장초 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혼합추출액은 진피 3~7중량%, 황기 1~5중량%, 공사인 1~3중량%, 백출 1~3중량%, 산약 0.5~2중량%를 정제수 80~93.5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85~95℃의 온도에서 3~5시간 동안 추출한 식물혼합추출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을 함유하는 고장초 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초 추출액은 고장초 건조중량의 5~20배(w/w)의 정제수에 고장초를 넣고, 85~95℃의 온도에서 20~30시간 추출한 고장초 추출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을 함유하는 고장초 겔.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홍삼을 함유하는 고장초 젤은 홍삼농축액, 고장초추출액, 식물혼합추출액, 대추농축액, 복분자농축액, 헛개나무열매 농축액, 배농축액, 타우린, 비타민 C, 비타민 B1 염산염, 비타민 B6 염산염, 자몽종자추출물, 프락토올리고당, 불루아가베시럽 , 꿀 , 산탄검 및 정제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을 함유하는 고장초 겔.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홍삼을 함유하는 고장초 겔은 홍삼혼합물은 홍삼농축액 0.1~2중량부, 고장초추출액 1~5중량부, 식물혼합추출액 5~10중량부, 대추농축액 4~7중량부, 복분자 농축액 1~5중량부, 헛개나무열매 농축액 1~5중량부, 배농축액 1~4중량부, 타우린 1~2중량부, 비타민 C 0.01~0.5중량부, 비타민 B1 염산염 0.005~0.05중량부, 비타민 B6 염산염 0.005~0.05중량부 및 자몽종자추출물 0.01~0.05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홍삼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프락토올리고당 3~7중량부, 불루아가베시럽 1~3중량부, 꿀 1~3중량부를 정제수 50~70중량부에 혼합한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가열하고, 상기 혼합물이 끓기 시작하면 산탄검 0.1~1중량부를 혼합하여 산탄검혼합물을 교반하는 단계;
    상기 산탄검혼합물을 85~95℃의 온도에서 혼합 교반하면서 상기 홍삼혼합물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홍삼이 함유된 고장초 겔을 제조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이 함유된 고장초 겔.
KR1020130008442A 2013-01-25 2013-01-25 홍삼을 함유하는 고장초 겔 Active KR101381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442A KR101381277B1 (ko) 2013-01-25 2013-01-25 홍삼을 함유하는 고장초 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442A KR101381277B1 (ko) 2013-01-25 2013-01-25 홍삼을 함유하는 고장초 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1277B1 true KR101381277B1 (ko) 2014-04-04

Family

ID=50656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442A Active KR101381277B1 (ko) 2013-01-25 2013-01-25 홍삼을 함유하는 고장초 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12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2078B1 (ko) * 2017-06-01 2018-11-27 동의초석잠영농조합법인 초석잠 겔 제조방법
KR20210035666A (ko) * 2019-09-24 2021-04-0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안정 산양삼 겔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9432A (ko) * 2001-12-29 2003-07-10 농업협동조합중앙회 홍삼 십전대보양갱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04334A (ko) * 2009-03-17 2010-09-29 김윤영 고장초 추출물이 포함된 액상차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04331A (ko) * 2009-03-17 2010-09-29 김윤영 고장초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한 건강 약차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9432A (ko) * 2001-12-29 2003-07-10 농업협동조합중앙회 홍삼 십전대보양갱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04334A (ko) * 2009-03-17 2010-09-29 김윤영 고장초 추출물이 포함된 액상차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04331A (ko) * 2009-03-17 2010-09-29 김윤영 고장초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한 건강 약차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2078B1 (ko) * 2017-06-01 2018-11-27 동의초석잠영농조합법인 초석잠 겔 제조방법
KR20210035666A (ko) * 2019-09-24 2021-04-0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안정 산양삼 겔 제조방법
KR102402980B1 (ko) 2019-09-24 2022-05-27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안정 산양삼 겔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49816B (zh) 一种荷叶苦瓜降脂保健茶及其制作方法
CN102827750A (zh) 一种具有提高机体免疫力及性活力的玛咖保健酒
KR101433188B1 (ko) 아미노산, 활성종합비타민 및 한방생약재를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3039789A (zh) 一种复方枸杞板栗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CN102599592B (zh) 洛神花饮料
CN104560576B (zh) 玛卡养生酒及其制备方法
CN104287036A (zh) 一种中草药绿茶保健醋饮料及生产工艺
KR20130056780A (ko) 한약 농축액과 분말을 이용한 한약 조성물
CN104207241B (zh) 一种药食同源复合保健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483255B1 (ko) 총백을 이용한 기능성 한방차 및 그 제조방법
CN104068177A (zh) 天然植物保健益寿茶
CN103103098A (zh) 一种果汁型保健黄酒饮料及生产方法
KR101381277B1 (ko) 홍삼을 함유하는 고장초 겔
KR20110056908A (ko) 다시마, 함초, 귤피, 당귀, 옥수수수염, 뽕잎 및 삼백초으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186657B (zh) 一种白术奶醋绿茶保健饮料
CN106520426A (zh) 一种缓解体力疲劳的女性保健酒
RU2533040C2 (ru) Состав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фитоджема (варианты)
CN109287916A (zh) 一种短梗五加提取液及其饮料的制备方法
CN103960415A (zh) 一种减肥保健凉茶及其制备方法
CN108684992A (zh) 一种能快速醒酒的植物配方的解酒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606913B1 (ko) 강황을 이용한 건강음료 제조방법
KR102312911B1 (ko) 옻이 함유된 잡화꿀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79096B1 (ko)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산전산후부종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CN103340411B (zh) 一种润肺油茶蜂蜜
CN102524490A (zh) 美人香体制品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3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3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1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