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31485A - 패치 및 패치 제제 - Google Patents

패치 및 패치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1485A
KR20100031485A KR1020090085837A KR20090085837A KR20100031485A KR 20100031485 A KR20100031485 A KR 20100031485A KR 1020090085837 A KR1020090085837 A KR 1020090085837A KR 20090085837 A KR20090085837 A KR 20090085837A KR 20100031485 A KR20100031485 A KR 20100031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patch
weight
skin
adhesi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5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오 후나코시
츠요시 카사하라
아츠시 하마다
쥰 이시쿠라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31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1485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58Adhesives
    • A61L15/585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4Esters of carboxylic acids, e.g. fatty acid monoglycerides, medium-chain triglycerides, parabens or PEG fatty acid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체, 및 지지체의 1 이상의 표면에 형성된, 겔 분율이 50 내지 75 중량%이고, 분자 내에 가교성 작용기를 갖는 액상 고무 33 내지 65 중량%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패치로서, 피부 병변 및 상처입은 표면의 보호에 충분한 두께의 접착제층을 가지며, 가요성이며, 피부에 잘 부착되고, 접착 동안 좋은 느낌을 제공하고, 피부로부터 제거시 접착제 잔류물을 덜 남기고, 피부 변형에 대한 추적성(followability)이 양호한 패치 뿐 아니라, 약제 등을 충분히 보유할 수 있는 패치 제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패치 및 패치 제제{PATCH AND PATCH PREPARATION}
본 발명은 적절한 피부 접착성 및 가요성, 피부에 대한 우수한 접착을 나타내며 피부로부터 박리시 접착제 잔류물이 덜 남으며, 피부 병변 및 상처입은 표면의 보호, 약제의 경피 흡수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패치 및 패치 제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피부 등을 위한 패치 및 패치 제제는 피부 병변 및 상처입은 표면의 보호, 약제의 경피 흡수 등에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패치 및 패치 제제는 일반적으로 필요할 경우 약제를 함유하는 접착제 조성물로 제조된 층, 즉 접착제층이 가요성 지지체의 1 이상의 표면에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상기 언급한 접착제층은 일반적으로 하기 특성을 갖도록 요구된다.
(1) 피부 접착: 패치 등은 소정 기간 동안 피부 표면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접착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2) 제거성: 접착제층이 상기 언급한 피부 접착을 제공하도록 요구되므로, 높은 피부 접착 강도로 인해 사용 후 피부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되지 않을 경우, 박리가 통증을 일으켜, 접착제층이 피부 표면 상에 남아서 접착제 잔류물을 생성시킨 다.
(3) 낮은 자극: 접착제층이 피부에 강하게 자극을 주는 경우, 피부 발진이 유도된다.
(4) 피부 변형에 대한 추적성(followability): 피부 병변 및 상처입은 표면의 충분한 보호 뿐 아니라 약제의 경피 흡수를 위해, 접착제층은 신체의 물리적 이동에 의해 일어나는 피부 변형을 충분히 따를 수 있어야 하며, 이에 따라 패치 등이 피부 변형으로 인해 접착성을 잃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패치 등에 사용되는 접착제층은 적절한 피부 접착, 소정 시간 경과 후 제거성 및 피부 변형에 대한 추적성을 나타낼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접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하이드로겔 조성물, 아크릴 겔 조성물 등으로 구성된 다양한 겔 조성물이 사용된다.
상기 언급한 겔 조성물 중에서, 물을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건조에 견디지 못 하고 안정성이 부족한데, 이는 이것이 시간 경과에 따라 수분이 소실되면 경화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경화된 겔 조성물은 피부에 대한 접착 및 피부 변형에 대한 추적성에 불충분하다. 다른 한편, 수분이 없는 겔 조성물로서, 유기 액상 성분이 가교된 아크릴 접착제에 의해 유지되는 아크릴 겔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특허 문헌 1). 그러나, 상기 언급한 아크릴 겔 조성물을 사용하여 특정 수준의 두께를 갖는 접착제층을 지지체에 형성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층은 약제를 보유 또는 흡수하는 능력에 한계가 있고, 따라서, 경피 흡수 촉진제 등과 같은 유기 액상 성분 등은 약제를 다량으로 보유할 수 없다. 접착제층으로서 상기 언급한 조성 물을 함유하는 패치 등이 피부에 부착될 때, 상기 언급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두께가 두꺼운 접착제층을 형성시키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외부 충격 등을 흡수하는 능력을 개선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합성 고무 중합체가 가교된 겔 조성물이 공지되어 있는데, 작용기를 갖는 고무를 함유하는 고무 성분, 및 고무 성분과 상용성이 있고, 고무 성분에 가교된 액상 오일을 고무 성분 100 중량부당 20 내지 80 중량부의 액상 오일의 비율로 함유하는 겔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특허 문헌 2).
그러나, 상기 언급한 특허 문헌 2에서, 하기 언급하는 소정 범위의 겔 분율을 갖는 접착제층을 포함하며, 작용기를 갖는 고무 성분 33 내지 65 중량%를 함유하는 조성물로 구성된 패치 또는 패치 제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종래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JP-A-3-220120
특허 문헌 2: JP-A-10-151185
[발명의 개요]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
따라서, 본 발명은 피부 병변 및 상처입은 표면의 보호에 충분한 두께의 접착제층을 가지며, 가요성이며, 피부에 잘 부착되고, 접착 동안 좋은 느낌을 제공하고, 피부로부터 제거시 접착제 잔류물을 덜 남기고, 피부 변형에 대한 추적성이 양호한 패치 뿐 아니라, 약제 등을 충분히 보유할 수 있는 패치 제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제 해결 수단
본 발명자들은 상기 언급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로 집중 연구를 수행한 결과, 본 발명의 상기 언급한 문제가 지지체의 1 이상의 표면에, 분자 내에 가교성 작용기를 갖는 액상 고무 33 내지 65 중량%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고 소정 범위의 겔 분율을 갖는 접착제층을 형성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 [1] 내지 [9]를 제공한다.
[1] 지지체, 및 지지체의 1 이상의 표면에 형성된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패치로서, 접착제층은 겔 분율이 50 내지 75 중량%이고, 분자 내에 가교성 작용기를 갖는 액상 고무 33 내지 65 중량%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패치.
[2] 상기 언급한 [1]에 있어서, 접착제층은 유기 액상 성분 10 내지 40 중량%를 더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인 패치.
[3] 상기 언급한 [1] 또는 [2]에 있어서, 액상 고무는 분자 내에 가교성 작용기를 갖는 액상 이소프렌 고무인 것인 패치.
[4] 상기 언급한 [2] 또는 [3]에 있어서, 유기 액상 성분은 유지, 탄화수소, 지방산 에스테르 및 고급 지방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것인 패치.
[5] 상기 언급한 [4]에 있어서, 지방산 에스테르는 지방산 모노알킬 에스테르인 것인 패치.
[6] 상기 언급한 [5]에 있어서, 지방산 모노알킬 에스테르는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및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 종인 것인 패치.
[7] 상기 언급한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접착제층은 점착제 15 내지 45 중량%를 더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인 패치.
[8] 상기 언급한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접착제층은 두께가 40 ㎛ 이상인 것인 패치.
[9] 상기 언급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패치를 포함하는 패치 제제로서, 접착제층이 약제를 포함하는 패치 제제.
본 발명에 따르면, 두께가 충분하고 피부 병변 및 상처입은 표면의 보호에 우수한 접착제층을 갖는 패치 뿐 아니라, 경피 흡수 촉진제 등과 같은 유기 액상 성분 또는 약제를 충분량 보유할 수 있는 패치 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패치 및 패치 제제는 적절한 접착성 및 가요성을 가지기 때문에, 피부에 대한 양호한 접착을 제공하고, 피부로부터 제거시 접착제 잔류물을 덜 남기며, 피부 변형에 대해 양호한 추적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분자 내에 가교성 작용기를 갖는 상기 언급한 액상 고무는 액상 고무 함유 조성물의 가교시 그물 유사 구조를 형성하여, 접착제층에 가요성 및 형상 유지성을 제공한다. 액상 고무는 분자 내에 가교성 작용기를 갖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언급한 작용기를 갖는 액상 이소프렌 고무, 상기 언급한 작용기를 갖는 액상 부타디엔 고무, 상기 언급한 작용기를 갖는 액상 이소부틸렌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1 종 이상의 액상 고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액상 고무는 고분자량이어도 액상이어서, 접착제층이 용이하게 다량의 유기 액상 성분을 함유 가능하게 한다. 작용기를 갖는 상기 언급한 액상 이소프렌 고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이것이 용이하게 접착제층에 가요성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명세서에서, "액상"은 25℃에서의 유동성을 의미한다. 용기에 샘플을 채우고 용기를 기울일 때의 변형을 평가하여 유동성의 존재 또는 부재를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분자 내에 가교성 작용기를 갖는 액상 고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고무 성분이 액상인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6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0 내지 40,000, 가장 바람직하게는 20,000 내지 30,000이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미만일 경우, 접착제층의 가요 성이 감소할 수 있고, 다량의 유기 액상 성분이 용이하게 접착제층에 함유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한편, 중량 평균 분자량이 60,000을 초과할 경우, 고무가 액상이 아닐 수 있으며, 접착제층의 함량 균일성의 유지가 어려울 수 있고, 상기 언급한 액상 고무와 접착제층에 함유된 다른 성분의 상용성의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중량 평균 분자량"은 하기 조건 하에서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한다.
(분석 조건)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장치: HLC8120(토소 코포레이션 제조)
컬럼: TSK 겔 GMH-H(S)(토소 코포레이션 제조)
기준물: 폴리스티렌
용리액: 테트라히드로푸란
유속: 0.5 ㎖/분
측정 온도: 40℃
검출기: 차굴절계
본 발명의 패치 및 패치 제제에서, 접착제층의 제조에 사용되는 조성물은 분자 내에 가교성 작용기를 갖는 액상 고무를 조성물의 총 중량의 33 내지 65 중량%,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중량% 비율로 함유한다. 상기 언급한 액상 고무의 양이 33 중량%보다 낮을 경우, 이에 따라 형성된 접착제층은 충분한 강도를 갖지 않을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언급한 액상 고무의 양이 6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이에 따라 형성된 접착제층은 가요성이 감소할 수 있어 피부로부터 박리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액상 고무 내 가요성 작용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아미노기, 카르복실기, 히드록실기, 클로로설폰기, 에스테르기, 에폭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메틸올기, 설폰기, 머캅토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작용기는 단독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하기 언급하는 가교제로서의 에폭시 화합물과의 가교 형성을 고려하여, 카르복실기 및 히드록실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한 액상 고무 내 분자 내 가교성 작용기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3개 이상의 작용기가 분자 내에 존재할 때, 상기 언급한 액상 고무는 일반적으로 그물 유사 구조를 효율적으로 형성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충분히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관점에서, 상기 언급한 액상 고무 내 분자 내 가교성 작용기의 수는 일반적으로 3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5개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개 이상,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10개 이상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언급한 액상 고무는 분자 내에 3개 이상의 가교성 작용기를 갖기 때문에, 액상 고무의 주쇄에 분지화제(branching agent) 등을 도입하지 않고도 3차원 그물 유사 구조를 형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다량의 유기 액상 성분을 접착제층에 함유시킬 수 있다.
다른 한편, 분자 내 상기 언급한 작용기의 수가 너무 많을 경우, 가교제의 필요량이 증가한다. 따라서, 분자 내 가교성 작용기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20개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개 이하,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12개 이하이다. 분자 내 작용기의 수가 너무 많을 경우, 나머지 활성기의 수가 증가하여, 약제 등과 같은 접착제층에 함유된 성분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접착제층의 가요성이 감소할 수 있 으며, 이에 따라 피부 변형에 대한 추적성이 불량해질 수 있다.
액상 고무의 분자 내 가교성 작용기의 수는 하기와 같이 측정한다. 즉, 샘플 내 액상 고무의 분자 내 가교성 작용기의 총 수를 측정하고, 이 수를 액상 고무의 수 평균 분자량으로 나눠서 액상 고무 한 분자당 가교성 작용기의 수를 얻는다. 이러한 작용기의 수는 일본 산업 표준(JIS) K0070 등에 기재된 방법 등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작용기가 카르복실기일 경우, 샘플 내 카르복실기의 수는 수산화칼륨을 사용하는 산가 측정법에 의해 측정한다. 작용기가 에스테르기일 경우, 그 수는 수산화칼륨을 사용하는 에스테르 수 측정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으며, 작용기가 히드록실기일 경우, 그 수는 샘플의 아세틸화 및 이의 수산화칼륨으로의 중화를 포함하는 히드록실기 수 측정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액상 고무의 수 평균 분자량은 상기 언급한 중량 평균 분자량과 동일한 조건 하에서 얻은 값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지지체의 1 이상의 표면에 형성된 접착제층은 특징적으로 50 내지 75 중량%의 겔 분율을 갖는다. 겔 분율이 50 중량%보다 낮을 경우, 접착제층이 피부로부터 제거될 때 접착제 잔류물을 남길 수 있기 때문에, 접착제층의 겔 강도가 감소한다. 반대로, 겔 분율이 7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접착제층이 경화되어 피부 접착 강도가 감소하여 접착 동안의 매끄러운 느낌이 없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겔 분율"은 톨루엔에 접착제층을 침지시켜 얻은 불용물 대 접착제층의 가교에 관련된 성분의 중량 비를 의미한다. 겔 분율은 7 일 동안 주위 온도(23℃)에서 톨루엔에 접착제층을 형성시키기 위한 조성물의 샘플을 침지하고, 얻 어진 불용물의 중량을 하기 식에 적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겔 분율(중량%) = W2/(W1×A/B)×100
A: 분자 내에 가교성 작용기를 갖는 액상 고무 및 가교제의 중량
B: 접착제층의 총 중량
W1: 접착제층으로부터 취한 샘플의 중량
W2: 톨루엔에 접착제층으로부터 취한 샘플을 침지시켜 얻은 불용물의 중량
본 발명에서 상기 언급한 50 내지 75 중량%의 겔 분율은 바람직하게는 접착제층을 가교제 처리하여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가교 처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자외선 조사를 이용한 물리적 가교 처리, 전자선 조사 등과 같은 방사선 조사, 또는 다양한 가교제를 사용한 화학적 가교 처리를 수행한다.
약제 등과 같은 접착제층에 함유된 성분에 대한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접착제층의 제조에 사용되는 조성물에 가교제를 첨가하여 조성물을 가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의 예는 화합물, 예컨대 아민 화합물(예, 디아미노헥산 등), 이작용성 화합물(예,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헥산디올, 프탈산 등) 및 사작용성 에폭시 화합물[예, 1,3-비스(N,N-디글리시딜 디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1,3-비스(N,N-디글리시딜 디아미노메틸)벤젠 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예컨대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예, 트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예, 헥 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예,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수화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등) 등; 유기 과산화물, 예컨대 퍼옥시케탈, 디알킬 과산화물, 디아실 과산화물 등; 유기 금속 염, 예컨대 아세틸아세톤 알루미늄 염, 아세틸아세톤 바나듐 염, 아세틸아세톤 몰리브덴 염 등; 금속 알콜레이트, 예컨대 테트라부틸 티타네이트 등;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 예컨대 알루미늄 글리시네이트, 수화알루미늄 겔 등; 산 염화물, 예컨대 이염화아디필 등; 다작용성 내부 가교를 위한 단량체, 예컨대 디알릴우레아, 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트리알릴아민 등; 다작용성 가교를 위한 중합체, 예컨대 폴리아민(예, 디알릴아민 염산염 중합체, 메틸 디알릴아민 염산염 중합체 등), 및 폴리알릴아민(예, 알릴아민 염산염 중합체, 알릴아민 아미드 설페이트 중합체 등) 등을 포함한다. 가교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액상 고무의 분자 내 가교성 작용기가 카르복실기일 경우, 상기 언급한 가교제 중에서 에폭시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에폭시기가 액상 고무의 분자 내 카르복실기와 반응하여 히드록실기를 생성시키고, 히드록실기가 다른 카르복실기와 반응할 수 있어서, 그물 유사 구조가 유리하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언급한 가교제의 양은 접착제층에 충분한 가교 구조가 형성될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이는 접착제층의 제조에 사용되는 조성물의 총량의 0.01 내지 4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 중량%이다.
본 발명의 패치 및 패치 제제에서, 접착제층은 유기 액상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유기 액상 성분은 상기 언급한 액상 고무의 가교에 의해 형성된 그물 유사 구조와 조합되어, 접착제층 내 겔의 가요성을 강화시킨다. 약제 등과 같은 화학 물질이 접착제층에 함유된 경우, 유기 액상 성분은 물질을 용해 또는 분산시킨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기 액상 성분은 접착제층 내 상기 언급한 액상 고무와 상용성이 있을 필요가 있다. 주위 온도에서 액상이며 비휘발성인 유기 액상 성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유지, 예컨대 올리브유, 피마자유, 라놀린 등, 탄화수소, 예컨대 스쿠알렌 및 액상 파라핀, 지방산 에스테르, 예컨대 지방산 알킬 에스테르 등, 고급 지방산, 예컨대 올레산, 카프릴산 등이 바람직하다. 유기 액상 성분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패치 제제에서와 같이, 약제가 접착제 조성물에 함유될 경우, 지방산 에스테르는 바람직하게는 약제의 경피 흡수를 촉진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지방산 에스테르의 예는 지방산 디알킬 에스테르, 예컨대 디옥틸 프탈레이트,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디에틸 세바케이트 등, 지방산 모노알킬 에스테르 등을 포함한다. 약제의 양호한 경피 흡수를 강화하기 위해, 지방산 모노알킬 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지방산 모노알킬 에스테르를 구성하는 지방산의 탄소 수가 필요한 것보다 많거나 적을 경우, 상기 언급한 액상 고무와의 상용성이 저하될 수 있거나, 또는 지방산 모노알킬 에스테르가 제제의 제제화 동안 가열 단계에서 휘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탄소 수 12 내지 16 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4 개의 포화 또는 불포화 고급 지방산, 및 탄소 수 1 내지 4 개의 포화 또는 불포화 저급 일가 알콜로 구성된 지방산 모노알킬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존 안정성을 위해, 포화 고급 지방산 및 포화 저급 일가 알콜로 구성된 지방산 모노알킬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이것이 산화 분해 등이 없기 때문이다. 상기 언급한 고급 지방산의 예는 라우르산(C12), 미리스트산(C14) 및 팔미트산(C16)을 포함하며, 미리스트산 및 팔미트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한 저급 일가 알콜의 예는 메틸 알콜, 에틸 알콜, 프로필 알콜 및 부틸 알콜을 포함한다. 이들은 직쇄형 알콜에 한정되지 않으며, 분지쇄형 알콜일 수 있다. 이소프로필 알콜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가장 바람직한 지방산 모노알킬 에스테르는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및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이다.
상기 언급한 유기 액상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접착제층의 제조에 사용되는 조성물의 총량의 10 내지 4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 중량%의 비율로 함유된다. 유기 액상 성분의 함량이 조성물의 총 중량의 10 중량% 미만일 경우, 가교 반응 후 얻어진 겔이 너무 경화되어, 피부에 대한 접착제층의 접착성 또는 피부에 대한 추적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접착제층 내 약제 등과 같은 다른 성분의 분산 이동성 및 흡수가 저하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유기 액상 성분의 함량이 조성물의 총량의 4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접착제층의 겔 강도가 감소하여 접착제 잔류물을 남길 수 있다.
본 발명의 패치 및 패치 제제는 접착제층의 제조 동안 일반적인 점착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점착제의 예는 천연 물질 및 이의 유도체, 예컨대 로진 수지, 테 르펜 수지 등, 합성 수지, 예컨대 지방족 석유 수지, 지환족 석유 수지, 예컨대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 석유 수지, 지방족 석유 수지, 쿠마론-인덴 수지, 스티렌 수지, 페놀 수지, 크실렌 수지 등을 포함한다. 이들 점착제는 바람직하게는 접착제층의 제조에 사용되는 조성물의 총량의 15 내지 4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 중량%의 비율로 함유된다. 이것이 15 중량% 미만일 경우, 접착제층은 충분한 접착성을 갖지 않을 수 있고, 이것이 45 중량%를 초과할 경우, 점착제가 접착제층에서 분리되어 접착제층의 점착을 일으킬 수 있고 및/또는 접착제층을 피부로부터 제거시 접착제 잔류물을 남길 수 있다.
본 발명의 패치 및 패치 제제에서, 접착제층은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 내로 다른 임의의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예컨대, 항산화제, 예컨대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천연 비타민 E,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등, 아민-케톤 항노화제, 예컨대 2,6-tert-부틸-4-메틸페놀 등, 지방족 2차 아민 항노화제, 예컨대 N,N'-디-2-나프틸-p-페닐렌디아민 등, 모노페놀 항노화제, 예컨대 2,2,4-트리메틸-1,2-디히드로퀴놀린 중합체 등, 비스페놀 항노화제, 예컨대 2,2'-메틸렌-비스(4-에틸-6-tert-부틸페놀) 등, 폴리페놀 항노화제, 예컨대 2,5-tert-부틸히드로퀴논 등, 충전제, 예컨대 카올린, 수화 이산화규소, 산화아연, 아크릴산 전분 1000 등, 연화제, 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부텐, 마크로골 1500 등, 보존제, 예컨대 벤조산, 벤조산나트륨, 클로르헥시딘 염산염, 소르브산, 메틸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부틸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등, 착색제, 예컨대 황색 산화철, 황색 철 세스퀴옥시드, 철 세스퀴옥시드, 흑색 산화철, 카본 블랙, 카르빈, β-카로틴, 구리 클로로필, 푸드 컬러 블루 No. 1, 푸드 컬러 옐로우 No. 4, 푸드 컬러 레드 No. 2, 감초 추출물 등, 한랭제(algefacient), 예컨대 펜넬 오일, d-캠퍼, dl-캠퍼, 페퍼민트 오일, d-보르네올, l-메톨 등, 향료, 예컨대 스피아민트 오일, 정향유, 바닐린, 베르가못 오일(bergamot oil), 라벤더유 등이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패치 및 패치 제제는 일반적으로 하기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즉, 상기 언급한 액상 고무 및 유기 액상 성분을 필요할 경우 용매의 존재 하에 혼합하고, 여기에 가교제를 첨가하고, 필요할 경우 유기 용매로 점도를 조정한 후, 혼합물을 지지체의 1 이상의 표면에 도포한다. 그 다음, 용매를 적절한 온도에서 증발시켜 액상 고무에 가교를 형성시켜 지지체 상에 접착제층을 제공한다. 필요할 경우, 접착제층을 숙성시킨다. 또한, 하기 설명하는 박리 라이너(release liner)를 또한 압착 결합시켜 적층물(laminate)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층을 박리 라이너 상에 형성시킬 수 있으며, 지지체를 접착제층의 접착제 면에 압착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지지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접착제층에 함유된 성분이 실질적으로 투과되지 않게 하는 지지체, 즉 접착제층에 함유된 성분이 지지체를 통과하여 지지체의 이면으로부터 소실되게 하지 않는 지지체가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한 지지체로서, 가요성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이것이 피부에 패치로서 도포되기 때문이다. 재료의 예는 합성 수지, 예컨대 가소화 가소성 염화폴리비닐, 비가소화 가소성 염화폴리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 부텐,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우레탄, 염화폴리비닐리덴, 폴리비닐 알콜 등으로 제조된 필름 또는 시트를 포함한다. 또한, 부직포의 가요성 필름 및 시트, 발포 플라스틱 시트, 셀룰로오스, 아세틸 셀룰로오스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재료로 제조된 박리 라이너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박리 라이너의 예는 글라신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알루미늄 필름, 발포 폴리에틸렌 필름, 발포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 또는 이로부터 선택된 소재의 적층물, 또는 실리콘 공정, 엠보스 공정 등을 이용한 상기 언급한 것들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패치 및 패치 제제에서, 특정 수준의 두께를 갖는 접착제층을 지지체에 형성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피부 상의 충격 등으로부터 피부 병변 및 상처입은 표면을 보호하는 효과가 개선될 수 있으며, 접착제층은 다량의 약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패치 및 패치 제제에서, 접착제층은 바람직하게는 두께가 4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 이상이다. 다른 한편, 접착제층의 두께는 약 400 ㎛ 이하, 바람직하게는 300 ㎛여야 한다. 두께가 300 ㎛를 초과할 경우, 도포된 패치 등이 정렬되지 않아서 접착제 성분 또는 접착제 잔류물이 피부에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패치는 시트 유사 패치, 필름 유사 패치, 패드 유사 패치 등의 형태의 약학적 재료로서 또는 위생 재료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피부의 병변 및 상처 입은 부위의 보호를 위한 상처를 덮는 드레싱에서 부직포의 대체물로서, 반창고에서 거즈의 대체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패치 제제는 지지체에 형성된 접착제층에 약제를 함유하며, 매트릭스형 패치 제제, 저장 용기(reservoir)형 패치 제제, 패치형 경피 제제 등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패치 제제에 사용되는 약제는 바람직하게는 인간 등과 같은 포유 동물에 경피 투여할 수 있는 것이다. 약제의 특정 예는 전신 마취제, 국소 마취제, 마약, 수면제, 진정제, 항경련제, 항파킨슨병약, 정신신경약, 항현기증약(anti-vertiginous drug), 자율신경약, 진경약, 골격근 이완제, 항히스타민약, 강심제, 항부정맥제, 이뇨제, 강압제, 혈관 수축제, 심장 혈관 확장제, 말초 혈관 확장제, 고지혈증약, 순환 기관 약물(circulatory organ drug), 아납노익(anapnoic), 진해 거담제, 호르몬 약물, 해열 진통 항염증 약물, 고름 질환(mattery disease)에 대한 외부 투약, 가려움약, 수렴약(astringent drug), 기생 피부병 약, 지혈제, 통풍 치료 약, 당뇨병 약, 항악성종양 약, 항생제, 화학 요법 약물, 금연 보조제 등을 포함한다. 접착제층 중 상기 언급한 약물의 함량은 약물이 경피 흡수시 효능을 나타낼 수 있는 유효량으로 존재하고 본 발명의 패치 제제의 접착제층의 특성이 손상되지 않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60 중량%이다.
실시예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제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각각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분자 내에 가교성 작용기를 갖는 액상 고무로서의 카르복실화 액상 폴리이소프렌(중량 평균 분자량 = 25,000, 분자 내 카르복실기의 수 = 10), 유기 액상 성분으로서의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및 점착제로서의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연화점 = 100℃)를 혼합하고, 가교제로서 1,3-비스(N,N-디글리시딜 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TETRAD-C, 미츠비시 가스 케미컬 제조)을 첨가하여 접착제층에 대한 액체를 얻었다. 액체를 박리 라이너(실시예 4 이외의 실시예에 대해서는 건조 후 두께가 200 ㎛, 그리고 실시예 4에 대해서는 100 ㎛가 되도록 한 실리콘 처리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에 도포하고, 건조시켰다. 그 다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지지체를 접착제층의 접착제 면에 압착 결합시키고, 적층물을 3 일 동안 60℃에서 숙성시켰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각의 시편(폭 30 ㎜×길이 50 ㎜)의 접착제층의 두께를 일본 산업 표준(JIS) B7503에 정의된 다이얼 게이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Figure 112009056042257-PAT00001
상기 언급한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에 대해 하기와 같이 겔 분율을 결정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각의 샘플의 접착제층(약 0.02 g)을 취하고, 이의 중량(W1)을 정확히 측정하였다. 그 다음, 층을 7 일 동안 23℃에서 톨루엔에 침지시키고, 톨루엔 가용성 성분을 추출하였다. 불용물을 꺼내고, 3 시간 동안 120℃에서 건조시키고, 이의 중량(W2)을 측정하였다. 겔 분율을 하기 식에 의해 결정하였다.
겔 분율(중량%) = W2/(W1×A/B)×100
A: 카르복실화 액상 폴리이소프렌 및 TETRAD-C의 중량
B: 카르복실화 액상 폴리이소프렌,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 및 TETRAD-C의 총 중량
다음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각의 패치에 대해 접착도(adhesiveness), 볼 두께, 접착제층의 가요성 및 접착제 잔류물을 평가하였다. 각각의 평가 항목의 평가 방법을 하기에 나타낸다.
(1) 접착도
항온실(23℃, 상대 습도 65%)에서,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각의 샘플에 구멍을 뚫어 시편(길이 50 ㎜×폭 12 ㎜)을 얻었다. 항온실에서, 각각의 시편으로부터 박리 라이너를 분리하여 접착제 면을 노출시켰다. 시편의 접착제 면을 2 ㎏ 고무 롤러의 1 회 왕복 운동에 의해 베이클라이트 플레이트(bakelite plate)에 부착시켰다. 30 분 동안 그대로 방치한 후, 180℃에서의 박리 동안의 최대 응력을 인장 시험기에 의해 측정하였다[Autograph AG-IS(시마즈 코포레이션 제조)].
(2) 접착제층의 가요성
이 시험에서, 상기 언급한 표 1에 나타낸 조성을 갖는 접착제층에 대한 액체를 건조 후 두께가 100 ㎛가 되도록 상기 언급한 것과 동일하게 박리 라이너에 도포하고, 5 분 동안 100℃의 오븐에서 건조시키고, 동일한 재료로 제조된 박리 라이너를 접착제 면에 부착시켜 시트형 패치를 얻었다. 패치를 직사각형(폭 20 ㎜, 길이 40 ㎜)으로 절단하여 샘플을 얻었다. 그 다음, 샘플을 긴 측을 중심 축으로 하여 긴 측으로부터 빽빽하게 감아 원주형 또는 막대형(rod-like) 시편을 얻었다. 얻어진 시편 각각을 23℃의 조건, 상대 습도 65%, 척(chuck) 간격 20 ㎜(각각의 잡기 부분의 길이 10 ㎜) 하에서 인장 시험기[Autograph AG-IS(시마즈 코포레이션 제조)]에 놓고, 300 ㎜/분의 인장 강도에서 인장력(N)을 측정하였다. 얻어진 결과로부터 모듈러스 응력(modulus stress)을 측정하고, 그 값을 가요성 지수로 사용하였다.
(3) 볼 점착성(tackiness)
일본 산업 표준(JIS) Z0237에 따라, 하기 시험을 수행하였다. 이 시험에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샘플에 폭 50 ㎜×길이 50 ㎜의 구멍을 뚫고, 편의상 시편으로서 사용하였다. 정확하게 23℃의 조건, 상대 습도 65% 하에서, 접착제 면이 노출되도록 시편을 30° 경사각으로 볼 회전 장치에 놓고, 고정시켜 시편과 어프로치(approach) 사이의 표면 높이 차이를 방지하였다. 그 다음, 직경이 상이한 볼을 시편 위에서 굴려서, 5 초 이상 동안 그 위에 정지된 상태로 있는 가장 큰 볼의 직경을 시편의 볼 점착성으로서 취하였다.
(4) 접착제 잔류물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각의 샘플에 폭 12 ㎜×길이 50 ㎜의 구멍을 뚫고, 시편으로서 사용하였다. 박리 라이너를 시편으로부터 분리하여 접착제 면을 노출시키고, 이를 24 시간 동안 피부 표면에 부착하고, 시편 제거 후 피부의 상태를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Figure 112009056042257-PAT00002
; 접착 전과 변화 없음, 끈적임 없음
○; 피부에 약간의 끈적임 있음
△; 피부에 접착제가 부분 이동함
×; 전체 피부 표면에 접착제 잔류물 존재
각각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겔 분율, 및 상기 언급한 각각의 항목의 평가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09056042257-PAT00003
상기 표 2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분자 내에 가교성 작용기를 갖는 액상 고무를 조성물의 총량에 대해 각각 39.9 중량%, 53.1 중량%, 61.2 중량% 및 39.9 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되며 겔 분율이 50 내지 75 중량%인 접착제층을 갖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는 적절한 접착도 및 가요성을 나타냈으며, 볼 점착성 값 및 접착제 잔류물에서 양호한 평가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두께가 실시예 1의 1/2인 접착제층을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을 갖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실시예 4는 접착력 및 볼 점착성 값이 약간 감소하였고, 이러한 감소로 인해 접착제 잔류물이 양호한 평가를 나타냈다.
대조적으로, 접착제층의 제조에 사용된 조성물의 분자 내에 가교성 작용기를 갖는 액상 고무의 함량이 29.9 중량%로 낮고 점착제의 함량이 49.9 중량%로 높은 비교예 1은 양호한 접착도, 접착제층의 가요성 및 볼 점착성 값을 나타냈지만, 피부에 대해 주목할 만한 접착제 잔류물이 관찰되었다. 또한, 접착제층의 제조에 사용된 조성물의 분자 내에 가교성 작용기를 갖는 액상 고무의 함량이 69.6 중량%로서 본 발명의 성분의 상한량보다 높고 겔 분율이 75%를 초과하는 비교예 2는 더 낮은 접착제층의 가요성을 나타냈다. 또한, 접착제층의 제조에 사용된 조성물의 분자 내에 가교성 작용기를 갖는 액상 고무의 함량이 39.7 중량%로서 본 발명의 패치의 접착제층에 사용된 양의 범위 내에 있지만 겔 분율이 98 중량%로 높은 비교예 3은 매우 경화된 접착제층을 가졌으며, 더 낮은 볼 점착성 값으로 증명되는 바와 같이 주목할 만하게 낮은 접착도를 나타냈다. 다른 한편, 접착제층의 겔 분율이 50 중량% 미만인 비교예 4는 접착제층의 응집 강도가 감소하였으며, 층 제거 후 전체 피부 표면에 접착제 잔류물이 남았다.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는 양호한 가요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패치로 도포된 부분을 이동시켰을 때, 피부로부터의 패치의 들어올려짐 또는 패치 상의 주름의 전개가 관찰되지 않아서, 피부 변형에 대한 양호한 추적성이 증명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의 패치는 접착제층의 두께가 100 내지 200 ㎛였으며, 비교예의 패치에 비해 균형 잡힌 적절한 접착도 및 가요성을 나타냈으며, 피부로부터 제거시 접착제 잔류물을 적게 남겨서, 패치로서 적절하였다.
본 출원은 그 전체 내용을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인용하는, 일본에서 출원된 특허 출원 제2008-234604호(출원일: 2008년 9월 12일)에 기초한다.

Claims (10)

  1. 지지체, 및 지지체의 1 이상의 표면에 형성된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패치로서, 접착제층은 겔 분율이 50 내지 75 중량%이고, 분자 내에 가교성 작용기를 갖는 액상 고무 33 내지 65 중량%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패치.
  2. 제1항에 있어서, 접착제층은 유기 액상 성분 10 내지 40 중량%를 더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인 패치.
  3. 제1항에 있어서, 액상 고무는 분자 내에 가교성 작용기를 갖는 액상 이소프렌 고무인 것인 패치.
  4. 제2항에 있어서, 액상 고무는 분자 내에 가교성 작용기를 갖는 액상 이소프렌 고무인 것인 패치.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유기 액상 성분은 유지, 탄화수소, 지방산 에스테르 및 고급 지방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것인 패치.
  6. 제5항에 있어서, 지방산 에스테르는 지방산 모노알킬 에스테르인 것인 패치.
  7. 제6항에 있어서, 지방산 모노알킬 에스테르는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및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 종인 것인 패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접착제층은 점착제 15 내지 45 중량%를 더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인 패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접착제층은 두께가 40 ㎛ 이상인 것인 패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의 패치를 포함하는 패치 제제로서, 접착제층이 약제를 포함하는 패치 제제.
KR1020090085837A 2008-09-12 2009-09-11 패치 및 패치 제제 Withdrawn KR201000314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34604A JP5243158B2 (ja) 2008-09-12 2008-09-12 貼付材並びに貼付製剤
JPJP-P-2008-234604 2008-09-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485A true KR20100031485A (ko) 2010-03-22

Family

ID=41572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5837A Withdrawn KR20100031485A (ko) 2008-09-12 2009-09-11 패치 및 패치 제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068248A1 (ko)
EP (1) EP2163267B1 (ko)
JP (1) JP5243158B2 (ko)
KR (1) KR20100031485A (ko)
CN (1) CN101669924B (ko)
CA (1) CA267834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323B1 (ko) * 2020-09-04 2021-08-18 주식회사 우주텍 아로마 패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31071A (ja) * 2010-07-28 2012-02-16 Nitto Denko Corp 貼付剤および貼付製剤
CN103338771B (zh) * 2011-02-02 2016-04-06 日东电工株式会社 贴剂
EP2968652B1 (en) 2013-03-13 2020-07-22 Avery Dennison Corporation Improving adhesive properties
US9974754B2 (en) * 2013-12-18 2018-05-22 Maruishi Pharmaceutical Co., Ltd. Hydrous adhesive patch
CN108742750B (zh) * 2018-06-21 2020-09-22 广州迈普再生医学科技股份有限公司 组织封堵材料及其制备方法和封堵制品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1121A (ja) * 1984-12-24 1986-07-09 Taisho Pharmaceut Co Ltd 貼付薬
JP2700835B2 (ja) 1989-12-28 1998-01-21 日東電工株式会社 アクリル系ゲル材およびアクリル系ゲル製剤
JPH06145050A (ja) * 1992-11-11 1994-05-24 Sekisui Chem Co Ltd 貼付剤の製造方法
JPH10151185A (ja) 1996-11-21 1998-06-09 Nichiban Co Ltd 皮膚貼付用粘着テープ
JP2000230157A (ja) * 1999-02-09 2000-08-22 Nitto Denko Corp 伸縮性粘着テープもしくはシート
JP4358978B2 (ja) * 2000-09-05 2009-11-04 日東電工株式会社 経皮吸収製剤
JP2008162975A (ja) * 2006-12-28 2008-07-17 Lion Corp 非水系温感粘着剤組成物および温感貼付剤
JP5192296B2 (ja) * 2007-07-05 2013-05-08 日東電工株式会社 貼付剤および貼付製剤
JP5192297B2 (ja) * 2007-07-05 2013-05-08 日東電工株式会社 貼付剤および貼付製剤
JP5460971B2 (ja) * 2008-03-28 2014-04-0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経皮吸収貼付剤
JP5432613B2 (ja) * 2008-07-17 2014-03-05 日東電工株式会社 貼付剤および貼付製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323B1 (ko) * 2020-09-04 2021-08-18 주식회사 우주텍 아로마 패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43158B2 (ja) 2013-07-24
EP2163267A3 (en) 2012-03-07
CN101669924A (zh) 2010-03-17
CA2678344A1 (en) 2010-03-12
EP2163267B1 (en) 2013-11-06
CN101669924B (zh) 2013-05-29
JP2010064997A (ja) 2010-03-25
EP2163267A2 (en) 2010-03-17
US20100068248A1 (en) 201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4527B2 (en) Transdermal delivery patch
EP2002824B1 (en) Gel composition and use thereof
KR101420450B1 (ko) 첩부제
KR20100031485A (ko) 패치 및 패치 제제
JP5192297B2 (ja) 貼付剤および貼付製剤
CN108883078B (zh) 具有防止误用特性的贴剂
JP2009120551A (ja) 貼付剤および貼付製剤
EP2127644B1 (en) Gel composition for medical material or hygiene material, molded article thereof and adhesive material or adhesive preparation using same
US20100247616A1 (en) Patch and patch preparation
KR20090004742A (ko) 패치 및 패치 제제
JP4715232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皮膚貼付剤用組成物及び皮膚貼付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