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0724A - Method for constructing wall block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structing wall bloc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30724A KR20100030724A KR1020080089575A KR20080089575A KR20100030724A KR 20100030724 A KR20100030724 A KR 20100030724A KR 1020080089575 A KR1020080089575 A KR 1020080089575A KR 20080089575 A KR20080089575 A KR 20080089575A KR 20100030724 A KR20100030724 A KR 201000307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up
- groups
- blocks
- backfill
- binding rod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 E02D2300/0076—Textiles non-wo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B) 쌓기의 지반 면적을 최대한 줄이면서 더욱 견고하고 튼튼하게 시공될 수 있도록 1군의 결속봉(P1) 내지 4군의 결속봉(P4)에 1군의 그리드(G1) 내지 4군의 그리드(G4)를 각각 결속시키면서 블록(B) 쌓기의 중간 중간에 펼쳐지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1군 내지 4군의 결속봉(P1∼P4)에 결속된 1군 내지 4군의 그리드(G1∼G4)들이 서로 맞물리면서 짜여져 블록(B)의 무너짐을 철저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옹벽 블록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ground area of the stacking block (B) as much as possible to be more robust and robust construction of one group of binding rods (P1) to four groups of binding rods (P4) from the group of grid (G1) to Group 1 to group 4 of grids G1 to 4 that are bound to the group 1 to group 4 of the binding rods P1 to P4 so as to unfold in the middle of the stacking of blocks B while binding the group 4 of grids G4 to each other. It relates to a retaining wall block construction method in which G4) are interwoven with each other to prevent the collapse of the block (B).
Description
본 발명은 옹벽 블록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록 쌓기의 지반 면적을 최대한 줄이면서 더욱 견고하고 튼튼하게 시공될 수 있도록 1군의 결속봉 내지 4군의 결속봉에 1군의 그리드 내지 4군의 그리드를 각각 결속시키면서 블록 쌓기의 중간 중간에 펼쳐지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1군 내지 4군의 결속봉에 결속된 1군 내지 4군의 그리드가 서로 맞물리면서 짜여져 블록의 무너짐을 철저하게 방지할 수 있는 옹벽 블록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aining wall block construction method, and more specifically, to a group of binding rods to a group of four to one group of grids so as to be more robust and robust while reducing the ground area of the stacking block as much as possible. The four groups of grids are bound together to unfold in the middle of the block stacking, so that the grids of
일반적으로 옹벽(擁壁)은 토압력에 저항하여 토사가 무너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표고 차이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경사진 지반 또는 절개지의 한쪽 면에 토사를 억누르는 블록을 쌓아 완성된다.In general, the retaining wall is a structure for preventing soil from collapsing by resisting soil pressure and is completed by stacking blocks for suppressing soil on one side of inclined ground or incision in order to maintain the difference in elevation.
본원 출원인은 2008.04.08.자로 옹벽 블록 시공방법을 선 출원(10-2008-32460)한 바 있고,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The 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led a retaining wall block construction method (10-2008-32460) as of 2008.04.08. The contents are as follows.
도 1a는 선 출원에 따른 옹벽 블록 시공방법에 적용된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 도이고, 도 1b는 선 출원에 따른 옹벽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lock applied to the retaining wall block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line application, Figure 1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the line application.
선 출원에 따른 옹벽 블록 시공방법에 적용된 블록(B)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광후협(前廣後狹)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중앙에 중공부(B1) 및 상부에 걸림돌기(B2)를 각각 지닌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때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부(B1)와 걸림돌기(B2)의 맞물림으로 상호 견고한 조립을 이룰 수 있고, 나아가 이렇게 블록(B)을 쌓으면서 중공부(1)에 쇄석 또는 흙을 포설하여 상호간의 지지력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들여쌓기시 외부로 드러난 중공부(B1)에 조경용 화초를 식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Block (B) applied to the retaining wall block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application may be made of an all-optical narrow view (front) as shown in Figure 1a, the hollow portion (B1) in the center and the locking projection (B2) in the upper portion It is made of a structure having each, and 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1b by the engagement of the hollow portion (B1) and the engaging projection (B2) can be achieved a solid assembly with each other, furthermore by stacking the block (B) in this way 1) by laying crushed stone or soil can enhance mutual support, and furthermore, it is of course possible to plant a landscape flower on the hollow portion (B1) exposed to the outside when stacked.
도 2a 내지 도 2f는 선 출원에 따른 옹벽 블록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2a to 2f is a process chart showing a retaining wall block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line application.
선 출원에 따른 옹벽 블록 시공방법은 도 2a 내지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경사진 지반(60)의 앞쪽 지면을 터파기하여 잡석 기초(70)를 다지고(a), 이 잡석 기초(70) 위에 1군의 블록(11)을 적층시키면서 그 뒤쪽에 1군의 배수용 잡석(12; 우수의 배수를 용이하게 함) 및 보강토(13)를 차례로 쌓는다(b).Retaining wall block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liminary application is to dig the front surface of the
그리고, 1군의 블록(11) 상위층의 배면으로부터 경사진 지반(60)을 향하여 제 1 콘크리트층(14)을 타설 및 양생시키고(c), 다시 1군의 블록(11)의 상위층 위에 2군의 블록(21)을 적층시키면서 그 뒤쪽에 2군의 배수용 잡석(22; 우수의 배수를 용이하게 함) 및 보강토(23)를 차례로 쌓는다(d).Then, the
이어서, 2군의 블록(21) 상위층의 배면으로부터 경사진 지반(60)을 향하여 제 2 콘크리트층(24)을 타설 및 양생시키고(e), 2군의 블록(21)의 상위층 위에 3군 의 블록(31)을 적층시키면서 그 뒤쪽에 3군의 배수용 잡석(32; 우수의 배수를 용이하게 함) 및 보강토(33)를 차례로 쌓는다(f).Subsequently, the
이때, 제 1 콘크리트층(14) 및 제 2 콘크리트층(24)은 경사진 지반(60)으로부터 전방으로 향할수록 미세하게 경사지게 시공되도록 하여 빗물이 1군 내지 3군의 보강토(13, 23, 33) 및 경사진 지반(60)을 경유하여 스며들 경우 제 1 콘크리트층(14) 및 제 2 콘크리트층(24)에 의해 전방으로 자연스럽게 흐를 수 있도록 하여 1군 내지 3군의 배수용 잡석(12, 22, 32)을 경유하여 지하로 흘러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우수에 의한 지반약화 내지는 지반의 무너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1군 내지 3군의 배수용 잡석(12, 22, 32)에 묻혀진 제 1 콘크리트층(14) 및 제 2 콘크리트층(24)에 상하방향으로 배수공(40)을 관통 형성시켜 빗물이 스며들 경우 자연스럽게 배수공(40)을 경유하여 하측방향으로 흘러갈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나아가, 선 출원에 따른 옹벽 블록 시공방법은 1군 내지 3군의 블록(11, 21, 31)과, 1군 내지 3군의 배수용 잡석(12, 22, 32) 및 보강토(13, 23, 33) 사이에 합성수지 메쉬[MESH(50); 예를 들면 지오그리드]를 교번적으로 수평지게 펼쳐 상호간의 견인력 및 지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2군 및 3군의 블록(21, 31)을 경사진 지반(60)의 기울기에 맞추어 선택적으로 들여쌓기를 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중공(B1)에 화초를 식생할 수 있도록 한다.Furthermore, the retaining wall block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application is a block (11, 21, 31) of
도 3은 선 출원에 따른 옹벽 블록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을 포 함한 측면도이다.Figure 3 is a side view including a partial cross section for explaining the retaining wall block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line application.
선 출원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지반(60)의 기울기에 맞추어 들여쌓기로 이루어진 블록(B)의 중공부(B1)에 흙(H)을 포설하여 화초의 식생을 가능케 하고, 이렇게 흙(H)이 포설된 블록(B)과 접하는 하위 블록(B), 제 1 콘크리트층(14), 2군의 배수용 잡석(22), 제 2 콘크리트층(24), 3군의 배수용 잡석(32) 사이에 부직포(V)를 개재하여 흙(H)의 누출을 방지하며, 다른 한편으로 흙(H)이 포설된 블록(B) 이외의 블록(B)의 중공부(B1)에 쇄석(S)을 포설하여 상호간의 견고함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다.Preliminary application is to install the soil (H) in the hollow portion (B1) of the block (B) consisting of the stacking in accordance with the inclination of the
그리고,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B)의 중공부(B1) 전방 내측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돌기부(B3)를 돌출시켜 블록(B)의 수직방향 적층시 잡초의 자생을 미연에 방지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S. 1A and 1B, the protrusion B3 protrudes from the inner side of the hollow portion B1 toward the rear side of the block B to prevent rearing of the weeds in the vertical stacking of the block B. It is desirable to prevent it.
즉,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B)을 들여쌓기를 하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쌓을 때 하위의 블록(B) 상측의 중심으로부터 양측방향으로 놓여지는 상위의 블록(B)들 사이로 돌기부(B3)가 존재토록 하여 잡초의 자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S. 1A and 1B, when the blocks B are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out stacking, the blocks B between the upper blocks B placed in both directions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ide of the lower blocks B. Projection portion (B3) is to be present so that the native growth of weed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그런데, 선 출원에 따른 옹벽 블록 시공방법은 경사진 지반(60)의 앞쪽 지면의 면적이 넓을 경우 1군의 블록 내지 3군의 블록(11, 21, 31)을 비롯한 1군의 배수용 잡석 내지 3군의 배수용 잡석(12, 22, 32) 그리고 1군의 보강토 내지 3군의 보강토(13, 23, 33)를 여유롭게 적층 및 쌓을 수 있어 바람직하지만 경사진 지반(60)의 앞쪽 지면의 면적이 좁을 경우 그 시공이 극히 어렵고, 설령 시공을 완성 하더라도 블록(B)이 쉽게 무너져 버리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By the way, the retaining wall block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pplication is a group of drainage rubble, including one group of blocks to three groups of
본 발명의 목적은 블록 쌓기의 지반 면적을 최대한 줄이면서 더욱 견고하고 튼튼하게 시공될 수 있도록 한 옹벽 블록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taining wall block construction method which allows a more solid and robust construction while reducing the ground area of a block stack as much as possib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록 시공방법은,Retaining wall block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사면의 앞쪽 지면을 터파기하여 제 1 기초콘크리트층을 타설 및 양생시키는 스텝과,Digging the ground in front of the slope to pour and cure the first foundation concrete layer,
상기 사면을 따라 1군의 결속봉을 등간격으로 세우는 스텝과,A step of setting up a group of binding rods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slope;
상기 제 1 기초콘크리트층 위에 1군의 블록을 적층시키면서 그 뒤쪽에 1군의 바닥 골재 및 1군의 뒷채움 골재를 전후 차례로 쌓는 스텝과,Stacking one group of floor aggregates and one group of backfill aggregates in front and back while stacking one group of blocks on the first basic concrete layer;
상기 1군의 결속봉에 결속시키면서 상기 1군의 블록, 1군의 바닥 골재 및 1군의 뒷채움 골재 위에 1군의 그리드를 펼치는 스텝과,Step of spreading the grid of the
상기 1군의 결속봉에 2군의 결속봉을 각각 소켓 결합시켜 연장시키는 스텝과,And coupling the two groups of binding rods to the first group of binding rods to extend the sockets;
상기 1군의 그리드 위에 2군의 블록, 2군의 뒷채움 토사 및 2군의 뒷채움 골재를 전후 차례로 쌓으면서 그 중간에 2군의 그리드를 상기 2군의 결속봉에 결속시 켜 펼치는 스텝과,Stacking two groups of blocks, two groups of backfilled soil, and two groups of backfilled aggregates in front and back on the grid of
상기 2군의 블록 및 2군의 뒷채움 토사 위에 제 2 보강콘크리트층을 타설 및 양생시키는 스텝과,Placing and curing the second reinforcement concrete layer on the blocks of group 2 and the backfill soil of group 2,
상기 2군의 결속봉에 3군의 결속봉을 각각 소켓 결합시켜 연장시키는 스텝과,And coupling the three groups of rods to the two groups of rods to extend the sockets;
상기 제 2 보강콘크리트층 및 2군의 뒷채움 골재 위에 3군의 블록, 3군의 뒷채움 토사 및 3군의 뒷채움 골재를 전후 차례로 쌓으면서 그 중간에 3군의 그리드를 상기 3군의 결속봉에 결속시켜 펼치는 스텝과,Stacking three groups of blocks, three groups of backfilled soil, and three groups of backfilled aggregates in front and back on the second reinforcement concrete layer and the two groups of backfilled aggregates, and binding three groups of grids to the three groups of tie rods in the middle. And spread out the steps,
상기 3군의 블록 및 3군의 뒷채움 토사 위에 제 3 보강콘크리트층을 타설 및 양생시키는 스텝과,Placing and curing the third reinforcement concrete layer on the block of the group 3 and the backfill soil of the group 3,
상기 3군의 결속봉에 4군의 결속봉을 각각 소켓 결합시켜 연장시키는 스텝과,And coupling the four groups of binding rods to the three groups of binding rods to extend the sockets;
상기 제 3 보강콘크리트층 및 3군의 뒷채움 골재 위에 4군의 블록, 4군의 뒷채움 토사 및 4군의 뒷채움 골재를 전후 차례로 쌓으면서 그 중간에 4군의 그리드를 상기 4군의 결속봉에 결속시켜 펼치는 스텝(S12)과,4 groups of blocks, 4 groups of backfill soils, and 4 groups of backfill aggregates are stacked in front and back on the third reinforcement concrete layer and 3 groups of backfill aggregates, and the 4 groups of grids are tied to the 4 bars of the binding rod in the middle. Step (S12) to spread out,
상기 4군의 블록, 4군의 뒷채움 토사 및 4군의 뒷채움 골재 위에 제 4 보강콘크리트층을 타설 및 양생시키는 스텝(S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방법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And a step (S13) of placing and curing the fourth reinforcement concrete layer on the blocks of the 4 groups, the backfill soils of the 4 groups, and the backfill aggregates of the 4 groups.
본 발명은 사면의 앞쪽 지면의 면적이 극히 좁을 경우 블록 쌓기의 지반 면적을 최대한 줄이면서 더욱 견고하고 튼튼하게 시공될 수 있도록 1군의 결속봉 내지 4군의 결속봉에 1군의 그리드 내지 4군의 그리드를 결속시키면서 블록 쌓기의 중간 중간에 펼쳐지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1군 내지 4군의 결속봉에 결속된 1군 내지 4군의 그리드가 서로 맞물리면서 짜여져 블록의 무너짐을 철저하게 방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rea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lope is extremely narrow, the group of the first to four groups of four to four groups of binding rods to the four groups of binding rods to be more robust and robust construction while reducing the ground area of block stacking as much as possible The grids of 1 to 4 groups, which are tied to the 1 to 4 groups of binding rods, are woven together to form a grid, while the grids of the 1 to 4 groups bind to each other to form a grid. have.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록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retaining wall block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follows.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록 시공방법에 적용된 블록을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바라본 사시도이다.Figures 4a and 4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lock applied to the retaining wall block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top and bottom, respectively.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록 시공방법에 적용된 블록(B)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광후협(前廣後狹)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중앙에 제 1 홀(12)을 지닌 제 1 중공홈(11) 및 제 2 홀(14)을 지닌 제 2 중공홈(13)으로 구획됨과 동시에 상부에 걸림돌기(15)를 구비할 수 있다.Block B applied to the retaining wall block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an all-optical narrow view 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first having a
이때, 블록(B)의 제 1 중공홈(11)에 속채움 토사(60)가 채워지고, 블록(B)의 제 2 중공홈(13)에 속채움 골재(70)가 채워진다.At this time, the filling
블록(B)의 들여쌓기시 제 1 중공홈(11)에 채워진 속채움 토사(60)에는 화초를 식생할 수 있고, 이때 제 1 홀(12)은 배수구멍의 역할을 하게 되며, 제 2 중공 홈(13)에는 속채움 골재(70)가 채워져 하중에 의한 견고한 틀을 유지토록 하고, 이때 제 2 홀(14) 역시 배수구멍의 역할을 하게 된다.When stacking the block (B) can be planted in the stuffed
도 5a 내지 도 5m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록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5a to 5m is a process chart showing a retaining wall block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록 시공방법은 도 5a 내지 도 5m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면(斜面; S)의 앞쪽 지면을 터파기하여 제 1 기초콘크리트층(C1)을 타설 및 양생시키고(S1), 사면(S)을 따라 1군의 결속봉(P1)을 등간격으로 세운 후(S2), 제 1 기초콘크리트층(C1) 위에 1군의 블록(B1)을 적층시키면서 그 뒤쪽에 1군의 바닥 골재(T1) 및 1군의 뒷채움 골재(K1)를 전후 차례로 쌓는다[S3; 이때 1군의 블록(B1) 대신 골재를 다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retaining wall block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5A to 5M, the first ground concrete layer C1 is poured and cured by digging the front surface of the slope S (S1), and the slope After setting the group of binding rods P1 at equal intervals along (S) (S2), the first group of concrete aggregates (B1) on the first foundation concrete layer (C1) while laminating the group of floor aggregates behind it (T1) and the backfill aggregate (K1) of the first group is stacked one after another [S3; At this time, instead of the block (B1) of the
그리고, 1군의 결속봉(P1)에 결속시키면서 1군의 블록(B1), 1군의 바닥 골재(T1) 및 1군의 뒷채움 골재(K1) 위에 1군의 그리드(G1)를 펼치고(S4), 1군의 결속봉(P1)에 2군의 결속봉(P2)을 각각 소켓(20) 결합시켜 연장시킨 후(S5), 다시 1군의 그리드(G1) 위에 2군의 블록(B2), 2군의 뒷채움 토사(T2) 및 2군의 뒷채움 골재(K2)를 전후 차례로 쌓으면서 그 중간에 2군의 그리드(G2)를 2군의 결속봉(P2)에 결속시켜 펼친다(S6).Then, while binding to the first group of binding rods P1, the first group of grids (B1), the first group of aggregate aggregates (T1) and the first group of back aggregate aggregates (K1) of the first group of grid (G1) to spread (S4) ), The two groups of binding rods (P2) to the first group of binding rods (P1) to each of the
이어서, 2군의 블록(B2) 및 2군의 뒷채움 토사(T2) 위에 제 2 보강콘크리트층(C2)을 타설 및 양생시키고(S7), 2군의 결속봉(P2)에 3군의 결속봉(P3)을 각각 소켓(20) 결합시켜 연장시킨 후(S8), 제 2 보강콘크리트층(C2) 및 2군의 뒷채움 골재(K2) 위에 3군의 블록(B3), 3군의 뒷채움 토사(T3) 및 3군의 뒷채움 골재(K3)를 전후 차례로 쌓으면서 그 중간에 3군의 그리드(G3)를 3군의 결속봉(P3)에 결속시켜 펼친다(S9).Subsequently, the second reinforcement concrete layer C2 is poured and cured on the block B2 of the group 2 and the backfilling soil T2 of the group 2 (S7), and the group of binding rods of the group 2 to the binding rod P2 of the group 2 After coupling (P3) and extending the
나아가, 3군의 블록(B3) 및 3군의 뒷채움 토사(T3) 위에 제 3 보강콘크리트층(C3)을 타설 및 양생시키고(S11), 3군의 결속봉(P3)에 4군의 결속봉(P4)을 각각 소켓(20) 결합시켜 연장시킨 후(S10), 제 3 보강콘크리트층(C3) 및 3군의 뒷채움 골재(K3) 위에 4군의 블록(B4), 4군의 뒷채움 토사(T4) 및 4군의 뒷채움 골재(K4)를 전후 차례로 쌓으면서 그 중간에 4군의 그리드(G4)를 4군의 결속봉(P4)에 결속시켜 펼친다(S12).Furthermore, the third reinforcement concrete layer C3 is poured and cured on the block B3 of the group 3 and the backfilled soil T3 of the group 3 (S11), and the group of 4 binding rods to the group 3 of the binding rods P3. After coupling (P4) and extending the
다음으로, 4군의 블록(B4), 4군의 뒷채움 토사(T4) 및 4군의 뒷채움 골재(K4) 위에 제 4 보강콘크리트층(C4)을 타설 및 양생시켜(S13) 옹벽 블록 시공을 완성한다.Next, the fourth reinforcement concrete layer (C4) is poured and cured on the block B4 of the four groups, the backfill soil of the four groups (T4) and the backfill aggregates of the four groups (S13) to complete the retaining wall block construction. do.
여기서, 본 발명의 가장 큰 핵심 기술은 사면(S)의 앞쪽 지면의 면적이 극히 좁을 경우 블록(B) 쌓기의 지반 면적을 최대한 줄이면서 더욱 견고하고 튼튼하게 시공될 수 있도록 1군의 결속봉(P1) 내지 4군의 결속봉(P4)에 1군의 그리드(G1) 내지 4군의 그리드(G4)를 각각 결속시키면서 블록(B) 쌓기의 중간 중간에 펼쳐지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1군 내지 4군의 결속봉(P1∼P4)에 결속된 1군 내지 4군의 그리드(G1∼G4)가 서로 맞물리면서 짜여져 블록(B)의 무너짐을 철저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사면(S)의 높이에 따라 블록(B) 쌓기 등의 층수는 자유롭게 가감될 수 있음은 당업자의 이해의 범주로 한다.Here, the greatest cor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roup of binding rods so that when the area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lope (S) is extremely narrow, the ground area of the stacking block (B) can be reduced to the maximum, and the construction can be made more robust and robust. P1) to 4 groups of binding rods (P4) to each group of grids (G1) to 4 groups of grids (G4) to bind to each other in the middle of the stacking of the block (B) so as to expand the overall group 1-4 The grids G1 to G4 of
한편, 사면(S)을 따라 부직포(30)를 씌워 시공 중 사면(S)으로부터 토사가 무너져 공사를 방해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고, 나아가 시공 완료 후 우수의 침투로 인한 사면(S)의 미세한 토사가 1군의 뒷채움 골재(K1) 내지 4군의 뒷채움 골재(K4) 속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1군 내지 4군의 뒷채움 골재(K1∼K4)에 의한 우수의 통로를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by covering the
또한, 1군의 결속봉(P1) 내지는 4군의 결속봉(P4)을 잡아주면서 부직포(30)를 경유하여 사면(S)에 소일 네일(40; Soil Nail)을 박아 1군의 그리드(G1) 내지는 4군의 그리드(G4)와 더불어 1군 내지 4군의 결속봉(P1∼P4)의 전체적인 지지력과 결속력을 함께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다.Further, while holding the binding rods P1 of the first group or the binding rods P4 of the fourth group, the
그리고, 제 1 기초코트리트층 위의 1군의 바닥 골재(T1) 속에 횡방향으로 유공관[50; 다수의 구멍들이 타공된 파이프]을 세팅시켜 1군의 뒷채움 골재(K1) 내지 4군의 뒷채움 골재(K4)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신속히 받아들이면서 횡방향으로 내보내 별도의 배수로에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블록(B)의 무너짐을 미연에 방지토록 한다.And, the perforated pip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first group of aggregate aggregate (T1) on the first foundation coat layer [50; Multiple holes are perforated pipes] to set the block so that it can be discharged to a separate drainage channel to quickly receive the rainwater flowing from the backfill aggregates (K1) of the first group to the backfill aggregates (K4) of the 4th group to be sent laterally Prevent collapse of (B) beforehand.
나아가, 1군의 블록(B1) 내지 4군의 블록(B4)은 사면(S)의 경사각도에 맞추어 들여쌓기 또는 수직쌓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낱개의 블록(B)들이 군을 이루어 완성되고, 더욱 구체적으로 블록(B)은 전광후협으로 이루어지며 중앙에 제 1 홀(12)을 지닌 제 1 중공홈(11) 및 제 2 홀(14)을 지닌 제 2 중공홈(13)으로 구획됨과 동시에 상부에 걸림돌기(15)를 구비하여 서로 축조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Further, the group of blocks (B1) to the group of blocks (B4) of the
한편, 1군의 블록(B1) 앞에 노출된 제 1 기초콘크리트층(C1) 위에 앞채움 토사(80)를 주변 지형에 맞추어 쌓아 최종 마무리토록 한다.Meanwhile, the
그리고, 본 발명은 사면(S)의 기울기에 맞추어 들여쌓기로 이루어진 블록(B)의 제 1 중공홈(11)에 속채움 토사(60)를 채워 화초의 식생을 가능케 하고, 제 2 중공홈(13)에는 속채움 골재(70)를 채워 하중에 의한 중력으로 더욱 견고한 축조를 가능케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ills the filling
본 발명은 사면의 무너짐을 방지하면서 외관의 미려함을 함께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 옹벽 블록 시공 분야에 활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utilized in the field of the retaining wall block construction to improve the beauty of the appearance while preventing the collapse of the slope.
도 1a는 선 출원된 옹벽 블록 시공방법에 적용된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lock applied to the retaining wall block construction method previously applied.
도 1b는 선 출원된 옹벽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1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retained retaining wall block.
도 2a 내지 도 2f는 선 출원된 옹벽 블록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Figure 2a to 2f is a process chart showing a pre-applying retaining wall block construction method.
도 3은 선 출원된 옹벽 블록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을 포함한 측면도.Figure 3 is a side view including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pre-applying retaining wall block construction method.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록 시공방법에 적용된 블록을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바라본 사시도.Figure 4a and Figure 4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lock applied to the retaining wall block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top and bottom, respectively.
도 5a 내지 도 5m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록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5a to 5m is a process chart showing a retaining wall block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B : 블록 11 : 제 1 중공홈B: block 11: first hollow groove
12 : 제 1 홀 13 : 제 2 중공홈12: first hole 13: second hollow groove
14 : 제 2 홀 15 : 걸림돌기14: the second hole 15: the protrusion
16 : 돌기부 20 : 소켓16
30 : 부직포 40 : 소일 네일30: nonwoven fabric 40: soil nail
50 : 유공관 60 : 속채움 토사50: Merit Hall 60: Stuffed Tosa
70 : 속채움 골재 80 : 앞채움 토사70: stuffing aggregate 80: front filling soil
S : 사면 C1 : 제 1 기초콘크리트층S: slope C1: first basic concrete layer
C2 : 제 2 보강콘크리트층 C3 : 제 3 보강콘크리트층C2: Second Reinforced Concrete Layer C3: Third Reinforced Concrete Layer
C4 : 제 4 보강콘크리트층 P1 : 1군의 결속봉C4: 4th reinforced concrete layer P1: Bind rod of 1 group
P2 : 2군의 결속봉 P3 : 3군의 결속봉P2: Bins of Group 2 P3: Bins of Group 3
P4 : 4군의 결속봉 B1 : 1군의 블록P4: Bonding Rod of
B2 : 2군의 블록 B3 : 3군의 블록B2: Group 2 block B3: Group 3 block
B4 : 4군의 블록 T1 : 1군의 바닥 골재B4:
T2 : 2군의 뒷채움 토사 T3 : 3군의 뒷채움 토사T2: backfill soil of group 2 T3: backfill soil of group 3
T4 : 4군의 뒷채움 토사 K1 : 1군의 뒷채움 골재T4: backfill of 4 groups Tosa K1: backfill of 1 group
K2 : 2군의 뒷채움 골재 K3 : 3군의 뒷채움 골재K2: Backfill aggregates from Group 2 K3: Backfill aggregates from Group 3
K4 : 4군의 뒷채움 골재 G1 : 1군의 그리드K4: Backfill aggregate of 4 groups G1: Grid of 1 group
G2 : 2군의 그리드 G3 : 3군의 그리드G2: Grid of Group 2 G3: Grid of Group 3
G4 : 4군의 그리드G4: grid of 4 groups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89575A KR100995097B1 (en) | 2008-09-11 | 2008-09-11 | Retaining Wall Block Construction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89575A KR100995097B1 (en) | 2008-09-11 | 2008-09-11 | Retaining Wall Block Construction Meth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30724A true KR20100030724A (en) | 2010-03-19 |
KR100995097B1 KR100995097B1 (en) | 2010-11-19 |
Family
ID=42180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89575A Active KR100995097B1 (en) | 2008-09-11 | 2008-09-11 | Retaining Wall Block Construction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95097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98033B1 (en) * | 2022-04-19 | 2023-02-10 | 주식회사 천윤 | A method of constructing a soil bag using a bundle tube binding material to maintain drainage function and prevent soil loss |
CN116180802A (en) * | 2022-12-07 | 2023-05-30 |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经济技术研究院 | Modular fort construction method for blocking waste soil in power transmission and transformation engineering tower foundation construction |
KR102666790B1 (en) * | 2023-07-17 | 2024-05-17 | 주식회사 코리아그린텍 | bunker structure and the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9929A (en) | 1997-07-09 | 1999-02-02 | Kumagai Gumi Co Ltd | Reinforced filling method |
KR200242168Y1 (en) | 2001-05-10 | 2001-10-15 | 강승문 | An Assembly for Segmental Retaining Wall |
KR100660574B1 (en) | 2005-05-24 | 2006-12-22 | 이정수 | Retaining Wall Construction Block |
-
2008
- 2008-09-11 KR KR1020080089575A patent/KR100995097B1/en active Active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98033B1 (en) * | 2022-04-19 | 2023-02-10 | 주식회사 천윤 | A method of constructing a soil bag using a bundle tube binding material to maintain drainage function and prevent soil loss |
CN116180802A (en) * | 2022-12-07 | 2023-05-30 |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经济技术研究院 | Modular fort construction method for blocking waste soil in power transmission and transformation engineering tower foundation construction |
KR102666790B1 (en) * | 2023-07-17 | 2024-05-17 | 주식회사 코리아그린텍 | bunker structure and the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95097B1 (en) | 2010-11-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24933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natural friendly retaining wall using vegetation ton and fixing member and its installation structure | |
KR200185875Y1 (en) | Reinforced earth retaining-wall for using sand-bag | |
KR102666680B1 (en) | self standing gravity retaining wall block | |
KR100679873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greening retaining wall | |
KR100995097B1 (en) | Retaining Wall Block Construction Method | |
KR100959828B1 (en) | Vegetation slope composition method and the vegetation slope structure by using the method | |
KR20090019591A (en) | Retaining wall construction bloc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0660379B1 (en) | Plantable reinforced earth wall and its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earth wall | |
KR100889257B1 (en) | Prefabricated earth retaining wall using greening of front wall | |
KR20020076530A (en) | Afforestation Retaining-Wall laying Concrete-block | |
KR200345937Y1 (en) | Precast concrete block for retaining wall | |
KR102194293B1 (en) | Breast wall structure | |
KR102263958B1 (en) | the Method of Construction of Prefabricated Block for Retaining Wall Bulwark | |
KR100780216B1 (en) | Method to install honeycomb mat | |
KR100750702B1 (en) | Embankment Construction Method Using Ecological Block | |
KR101566794B1 (en) | Vertical Round Gabion Box, Retaining Wall Structures and the Construction Methods using Gabion Box | |
CN110984192B (en) | Highway reconstruction excavated slope reinforcing structure and reinforcing method | |
KR100451429B1 (en) | Combination system of block type reinforced retaining wall used waste concrete and waste limeston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KR102184291B1 (en) | Pavement Block Part for Temporary Reconstructing of Road | |
CN207062983U (en) | A kind of prefabricated frame posture retaining wall | |
KR101508591B1 (en) | Retaining wall frame and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 |
KR20100003166U (en) | Retaining Wall Block Construction Grid | |
KR100992076B1 (en) | Structure of raising the ground level and excecution method thereof | |
KR100885909B1 (en) | Self-supporting temporary retaining wall using geotextile networ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20050043552A (en) | Wall structure with gab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1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1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1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1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1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1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1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811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10811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1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1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812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811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811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40812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1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