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22584A - 다기능 건조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2584A
KR20100022584A KR1020080081159A KR20080081159A KR20100022584A KR 20100022584 A KR20100022584 A KR 20100022584A KR 1020080081159 A KR1020080081159 A KR 1020080081159A KR 20080081159 A KR20080081159 A KR 20080081159A KR 20100022584 A KR20100022584 A KR 20100022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rying
main body
dryer
dry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1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7204B1 (ko
Inventor
이기주
Original Assignee
이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주 filed Critical 이기주
Priority to KR1020080081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7204B1/ko
Publication of KR20100022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2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4/00Preservation of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4/031Apparatus for 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Preservation of fruit or vegetabl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26B21/02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 F26B21/024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by using movable fa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 F26B25/185Spacers; Elements for supporting the goods to be dried, i.e. positioned in-between the goods to build a ventilated st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냉풍발생과 온풍발생을 하나의 본체 내부로부터 독립적으로 구동하여 본체를 통과하는 공기를 냉풍, 또는 온풍으로 선택적인 흐름으로서 저온상태 또는 고온상태로 피 건조물의 종류에 다른 건조에 적합한 조건을 마련하거나, 혹은 동시에 냉각 열교환기와 전기히터를 통해 상온의 온도조건, 또는 어느 한쪽으로 약간 치우치는 온도조건 등으로 공기를 열교환시켜 건조실 내부에 배치된 피 건조물을 유효적절하게 건조시킴은 물론, 전기 발열방식에 의한 수증기 발생타입으로 습도를 조절하면서 건조하기 위한 가습기의 제공과 공기 중의 세균을 멸균시키고, 냄새 탈취를 담당하는 오존발생기의 구동으로서 안전한 제품을 위생적으로 대량 건조하는 효과와 함께 건조 대상물의 상품가치를 높일 수 있는 최적의 건조 조건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농수산물, 냉각 열교환기, 오존발생기, 전기히터, 조습건조, 살균건조)

Description

다기능 건조기{MULTI-FUNCTIONAL DRIER}
본 발명은 다기능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건조실로부터 피 건조물을 투입하여 건조하도록 함에 있어, 피 건조물의 종류에 따라 냉풍(상온) 또는 온풍을 선택적으로 또는 냉풍과 온풍을 혼합하여 건조시키며, 동시에 피 건조물의 종류에 따라 적정 습도를 제공하면서 건조시킴은 물론, 피 건조물의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의 탈취효과와 함께 살균기능을 갖도록 하여 농수축산물은 물론 다른 피건조물(가공식품이나 약품류 등)에 대해서도 최상의 건조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한 다기능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ㆍ수ㆍ축산물 등을 건조하기 위해서는 자연건조 즉, 적당한 일조량과 온ㆍ습도 하에서 훈풍으로 오랫동안 건조하는 것이 건조된 농ㆍ수ㆍ축산물 등의 품질을 높여줄 수 있어서 바람직하였다.
그러나 자연건조는 날씨 즉, 기상조건에 의해 건조 상태가 크게 좌우될 뿐만 아니라 인력이 많이 투입이 되어야 하고, 또한 상기에 따라 건조시간이 많이 걸리 기 때문에 건조물을 대량으로 얻을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농ㆍ수ㆍ축산물의 저장 용이성 또는 수송 편리성 등을 위하여 다양한 건조방법이 개발되고, 농ㆍ수ㆍ축산물의 신선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냉장(냉동)보관 방법이 일반화되고 있다.
예를 들어 수산물 중 건어물은 생선 또는 조개류를 건조시켜 미생물의 발육을 억제하여 오래 저장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든 식품으로서, 각종 수산물을 계절에 관계없이 이용할 수 있고, 일시에 많이 잡은 생선의 부패를 방지하면서 장기간 보관하면서 식재료로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건어물을 생산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천일건조와 인공건조의 방법이 이용되고 있는데, 천일건조는 햇볕과 바람을 이용하여 수산물을 건조하는 방법으로서, 비용 발생이 거의 없고 그 건조 방법이 간단하지만, 기후의 영향을 많이 받아 건조중의 관리가 힘들고, 그 생산량 또한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인공건조의 방법이 이용되고 있는데, 인공건조는 수산물을 건조하기 위하여 인공적으로 생성된 바람의 온도에 따라 열풍건조법 및 냉풍건조법으로 구별된다.
이러한 건조방법에 의해 생산되는 건어물은 그 건조방법에 따라 노가리, 오징어, 쥐치 등과 같이 몸이 작거나 얇은 생선을 그대로 건조하는 소건품, 생선에 소금을 뿌리거나 소금물에 담갔다가 그늘에서 말리는 염건품, 멸치나 새우 등과 같이 한번 데친 후 건조시킨 자건품, 간장이나 설탕 등의 조미료를 발라서 건조시킨 조미건품, 붕장어나 가자미 등과 같이 한번 구워서 건조시킨 배건품 등으로 구분된 다.
특히 이렇게 다양한 종류의 건어물을 인공건조의 방법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건조에 사용되는 바람이 열풍 또는 냉풍이 독립적으로 사용되거나 복합적으로 사용되게 되는데, 종래의 건조기는 열풍만을 이용하는 열풍건조기와 냉풍만을 이용하는 냉풍건조기로 구분되어 설치 및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건조시설을 살피면, 도 1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건조실(1)은 각종 피건조물을 적재시키기 위한 건조물 대차(2)가 주차되는 공간부가 마련됨과 동시에 전방에 건조물 대차(2)가 진입되는 입구(3)와 건조 완료된 상태에서 건조물 대차를 내보내는 출구(4)가 형성된다.
건조실(1)의 일측에는 건조장치(10)가 위치하고, 상기 건조장치를 기준으로 상부측과 하부측을 슬라브(5)로 구획하여 상부측으로는 건조장치(10)로부터 바람을 일방향으로 송풍하는 제1공기 순환로(6)가 마련되고, 이 제1공기 순환로(6) 상에는 하나 이상의 송풍팬(7)이 설치되며, 슬라브를 기준으로 일측에는 하층으로 공기가 흐르는 제2공기순환로(8)가 마련되고, 하층 일측에는 바람을 하층으로 균일하게 유도하기 위한 바람조절판(9)이 설치되어 운영된다.
한편, 상기 건조실(1)의 천장부에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선택적으로 유입하는 흡입댐퍼(1-1)가 마련되고, 상기 흡입댐퍼(1-1)로부터 일정거리를 두고 배기댐퍼(102)가 설치되어 운영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흡입댐퍼(1-1)에는 공기의 유통을 제어하는 댐퍼조절모터(M)가 설치되고, 상기 배기댐퍼(1-2)측에는 배기 팬(P)이 설치되어 건조실 내부의 공기의 탁도, 습도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각각의 구동장치 등은 건조실의 외부에 설치된 콘트롤러 조작반(C)을 통해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건조장치(10)는 열풍 또는 냉풍만을 이용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피건조물의 다양한 종류에 따라 상품으로 제조하기 위해서는 각기 다른 건조실을 시설하여야 하거나, 하나의 건조실 내부에 냉풍 전용 건조기 및 온풍 전용 건조기를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건조기는 일정한 온도로만 작동되고, 사용자가 그 작동시간 및 외부 온도와 건조실 내부의 온도 차이에 의한 건조 시간의 조절은 수동으로 행하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건조실 내부의 습도조절 등은 입구 및 출구측 도어를 열어 놓거나, 상기 흡입댐퍼와 배기댐퍼의 조정에 의해서 일시적으로 해결하기 때문에 건조과정 중에서의 건조 제품에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실로부터 피건조물을 투입하여 건조하도록 함에 있어, 피건조물의 종류에 따라 냉풍(상온) 또는 온풍을 선택적으로 또는 냉풍과 온풍을 혼합하여 건조시키며, 동시에 피건조물의 종류에 따라 적정 습도를 제공하면서 조습건조시킴은 물론, 피건조물의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의 탈취효과와 함께 살균건조기능을 갖도록 하여 농수축산물은 물론 다른 피건조물(가공식품이나 약품류 등)에 대해서도 최상의 건조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한 다기능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건조실 내부에 설치되어 건조실 내부에 투입된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는 일측으로부터 공기유입구가 마련되고, 내부에 공기의 흐름통로 형성 및 설치대상물을 받쳐 지지하는 격벽이 횡으로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건조실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기와, 상기 가습기가 위치한 상측의 격벽 상에 안착 설치되어 공기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받아들이고 외부로부터 폐냉각열을 이용하여 저온으로 열교환하여 냉풍을 발생하는 냉각열교환기와, 상기 냉각 열교환기가 위치한 상측의 격벽 상에 안착 설치되어 공기를 가열하여 온풍을 제공하기 위한 전기히터와, 상기 본체 내의 상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살균 및 공기중의 냄새를 탈취시키는 오존발생기와, 상기 본체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본체 내에 흐르는 공기를 상기 제2공기순환로측에 강제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을 포함하여 구성된 건조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건조기는 냉풍발생과 온풍발생을 하나의 본체 내부로부터 독립적으로 구동하여 본체를 통과하는 공기를 냉풍, 또는 온풍으로 선택적인 흐름으로서 저온상태 또는 고온상태로 피 건조물의 종류에 다른 건조에 적합한 조건을 마련하거나, 혹은 동시에 냉각 열교환기와 전기히터를 통해 상온의 온도조건, 또는 어느 한쪽으로 약간 치우치는 온도조건 등으로 공기를 열교환시켜 건조실 내부에 배치된 피건조물을 유효적절하게 건조시킴은 물론, 전기 발열방식에 의한 수증기 발생타입으로 습도를 조절하면서 건조하기 위한 가습기의 제공과 공기 중의 세균을 멸균시키고, 냄새 탈취를 담당하는 오존발생기의 구동으로서 안전한 제품을 위생적으로 대량 건조하는 효과와 함께 건조 대상물의 상품가치를 높일 수 있는 최적의 건조조건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일반적인 건조기 및 건조기가 설치된 건조시설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에서 건조실에 진입되는 건조물 대차의 진출입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냉, 온풍 건조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건조실(1) 내부에 설치되어 건조실 내부에 투입된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기(100)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100)는, 일측으로부터 공기유입구(101)가 마련되고, 내부에 공기의 흐름통로 형성 및 설치대상물을 받쳐 지지하는 격벽(102)이 횡으로 설치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 내부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건조실(1)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기(120)와, 상기 가습기(120)가 위치한 상측의 격벽(102) 상에 안착 설치되어 공기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받아들이고 외부로부터 폐냉각열을 이용하여 저온으로 열교환하여 냉풍을 발생하는 냉각 열교환기(130)와, 상기 냉각 열교환기(130)가 위치한 상측의 격벽 상에 안착 설치되어 공기를 가열하여 온풍을 제공하기 위한 전기히터(140)와, 상기 본체(110) 내의 상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살균 및 공기 중의 냄새를 탈취시키는 오존발생기(150)와, 상기 본체(11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본체 내에 흐르는 공기를 건조실 내부로 강제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10) 내에 횡으로 설치되는 격벽(102)은 내부 가습기(120) 및 냉각 열교환기(130)의 후방으로부터 수증기 및 열교환 된 공기의 배출을 상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해 본체의 내측 벽면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전기히터(140)는 본체(110)의 내벽 면과 최상층 격벽(102)의 상부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방향으로 흐름을 갖는 공기를 자연스럽게 받아들 일 수 있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습기(120)는 전기 히터방식으로 수증기를 발생하여 공기 중의 수분을 조절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건조기(100)의 적용설치는 첨부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다기능 건조기의 사용상에 따른 작용을 상세 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인 다기능 건조기(100)는 첨부된 도 1에서 기술한 건조장치(10)를 개량 발명한 것으로서, 설치범위와 설치위치가 동일하게 설치되는 구조로, 도 1, 도 2에서 기술한 전반적인 공기의 흐름은 동일하다.
피건조물을 적재한 건조물 대차(2)를 건조실(1) 내부에 입구(3)를 통해 순차적으로 진입시켜 다수대 위치시킨 상태에서 건조가 이루어지거나, 출구 방향으로 건조물 대차를 건조실 내부에서 이동시켜 최종적으로는 출구(4)를 통해 먼저 건조된 제품을 인출하는 공지의 건조 운영방법에서 이루어진다.
건조실(1)의 외부에 설치된 콘트롤러 조작반(C)을 통해 피건조물의 대상, 건조시간, 건조온도 등의 조건을 세팅하여 운영한다.
건조기(100)의 본체(110) 일측으로부터 마련된 흡입구(102)를 통해 건조실(1) 내부측 제1공기순환로(6)를 따라 상층에서 하층으로 순환되는 공기가 유입되어 짐에 있어, 상기 본체(110)에 구비된 가습기(120)는 피건조물의 건조 정도에 따라 수증기를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가습기(120)를 통해 발생 되는 수증기는 전기 발열에 의해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적정 분무량의 수증기를 발생시켜 순환되는 공기 중의 습도를 조정한다.
상기 본체(110) 내에 설치된 냉각 열교환기(130)는 외부의 냉각기(도면에서 생략함)등으로부터 가동되고 버려지는 폐열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본체(110) 내에 함께 구비된 전기히터(140)와 함께 작동하여 25~40℃ 상온의 온도로 유지시키고, 본체(110)의 상부로부터 설치된 송풍팬(160)의 구동으로 강제 송풍하여 건조실(1) 내부온도를 상온 조건으로 만들어 최적의 조건에서 피 건조물을 건조한다.
상기 냉각 열교환기(130)를 거쳐 열 교환된 공기는 저온의 온도로 상기 냉각 열교환기(130)만을 구동하는 조건에서는 냉풍을 이용한 피건조물을 건조시킬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건조실(1) 내부를 서늘한 온도로 유지시켜 신선도를 요하는 건조물의 건조, 보관유지에 적합한 조건을 제공한다.
상기와 반대로 전기히터(140)만을 이용한 열풍에 의한 건조로서 이는 고추, 약초 등등과 같은 농산물 등의 건조 등에 적합하게 운영할 수도 있다.
한편, 본체(110) 내에 설치된 오존 발생기(150)는 건조실(1)과 본체(110)의 내부를 거쳐 순환되는 공기의 흐름 중 탁한 냄새 등의 탈취효과와 함께 세균의 살균을 실시하여 보다 쾌적한 건조실 내부를 조성할 수 있게 해준다.
상기와 같은 공기의 흐름 중에 가습기(120)에 의한 습도조절, 냉각 열교환기(130)에 의한 냉풍발생으로 인한 적당한 저온유지, 전기히터(140)의 구동에 따른 적당한 고온유지, 살균 및 탈취효과를 주어 대상 피건조물의 종류에 맞는 최적의 건조 조건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건조기는 하나의 본체 내부로부터 상온의 온도, 고온, 저온 조절과 함께 건조물에 따라 필요로 하는 습도조정을 겸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에 따른 공간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효율적인 건조를 실행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자연건조에 제한을 받는 계절이나 장소에 관계없이 건조 대상물에 따라 상품가치가 있는 제품으로 최적의 조건으로 건조시킬 수 있으며, 때에 따라서 는 저온저장의 용도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건조기 및 건조기가 설치된 건조시설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에서 건조실에 진입되는 건조물 대차의 진출입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다기능 건조기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0: 건조기 101: 흡입구
102: 격벽 110: 본체
120: 가습기 130: 냉각 열교환기
140: 전기히터 150: 오존발생기
160: 송풍팬

Claims (2)

  1. 건조실(1) 내부에 설치되어 건조실 내부에 투입된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기(100)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100)는, 일측으로부터 공기유입구(101)가 마련되고, 내부에 공기의 흐름통로 형성 및 설치대상물을 받쳐 지지하는 격벽(102)이 횡으로 설치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 내부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건조실(1)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기(120)와,
    상기 가습기(120)가 위치한 상측의 격벽(102) 상에 안착 설치되어 공기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받아들이고 외부로부터 폐냉각열을 이용하여 저온으로 열교환하여 냉풍을 발생하는 냉각 열교환기(130)와,
    상기 냉각 열교환기(130)가 위치한 상측의 격벽 상에 안착 설치되어 공기를 가열하여 온풍을 제공하기 위한 전기히터(140)와,
    상기 본체(110) 내의 상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살균 및 공기 중의 냄새를 탈취시키는 오존발생기(150)와,
    상기 본체(11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본체 내에 흐르는 공기를 건조실 내부로 강제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16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기(120)는 전기 히터방식으로 수증기를 발생하여 공기 중의 수분을 조절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건조기.
KR1020080081159A 2008-08-20 2008-08-20 다기능 건조기 KR101007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159A KR101007204B1 (ko) 2008-08-20 2008-08-20 다기능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159A KR101007204B1 (ko) 2008-08-20 2008-08-20 다기능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2584A true KR20100022584A (ko) 2010-03-03
KR101007204B1 KR101007204B1 (ko) 2011-01-12

Family

ID=42175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1159A KR101007204B1 (ko) 2008-08-20 2008-08-20 다기능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72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048Y1 (ko) 2018-11-02 2018-12-07 심우정 농수산물 건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912B1 (ko) 2012-12-24 2014-08-05 (주)복바우 고구마 저장장치
KR101882216B1 (ko) 2016-06-10 2018-07-26 장성혁 농수산물 상온 유지 제습 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481U (ja) * 1992-10-22 1994-05-10 エイハツ工業有限会社 食品乾燥装置
KR960014836B1 (ko) * 1993-10-30 1996-10-21 조종훈 연육질 농수산식품의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048Y1 (ko) 2018-11-02 2018-12-07 심우정 농수산물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7204B1 (ko) 2011-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88364B2 (es) Aparato y metodo para la pasteurizacion de alimentos secos.
KR101191950B1 (ko)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
KR101438257B1 (ko) 육류 숙성을 위한 건조숙성고
KR100991931B1 (ko) 증감압, 냉온풍 건조 장치
KR101834823B1 (ko) 폐열회수와 신선외기유입형 멀티존 온도균일제어타입 농산물 건조장치
NO310744B1 (no) System for törking av gjenstander som skal törkes
KR20120110313A (ko) 제습식 농산물 건조기
KR101007204B1 (ko) 다기능 건조기
JP2007105003A (ja) 干し柿乾燥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あんぽ柿の製造方法
KR101452161B1 (ko) 농산물 건조기 및 이를 이용한 농산물 건조방법
KR20110023450A (ko) 농산물 건조장치
KR200424159Y1 (ko) 농수산물 건조기
KR200414638Y1 (ko) 벌크 타입 원적외선 건조기
JP4630736B2 (ja) 乾燥機
KR20170079662A (ko) 농산물 살균 건조기
JP4293373B2 (ja) 遠赤外線乾燥システム、およびドラム型乾燥機、ならびに布団乾燥施設とそれを用いた布団遠赤外線乾燥方法
KR101996274B1 (ko) 창고형 농수산물 건조시스템
KR102768613B1 (ko) 폐열을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건조장치
KR20080089531A (ko) 농수산물 건조기
JP2008076019A (ja) 乾燥装置
KR20190093845A (ko) 어류의 반건조용 하이브리드 건조기
KR100603183B1 (ko) 고추건조기 및 그를 이용한 건조방법
KR100932445B1 (ko) 농수산물 건조기용 댐퍼
JP2012242048A (ja) 遠赤外線乾燥装置
JP2004019989A (ja) 干し柿の乾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0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