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093845A - 어류의 반건조용 하이브리드 건조기 - Google Patents

어류의 반건조용 하이브리드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3845A
KR20190093845A KR1020180013157A KR20180013157A KR20190093845A KR 20190093845 A KR20190093845 A KR 20190093845A KR 1020180013157 A KR1020180013157 A KR 1020180013157A KR 20180013157 A KR20180013157 A KR 20180013157A KR 20190093845 A KR20190093845 A KR 20190093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drying chamber
drying
air
hybr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보기만
Original Assignee
황보기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보기만 filed Critical 황보기만
Priority to KR1020180013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3845A/ko
Publication of KR20190093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3845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4/00Preservation of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류의 반 건조용 하이브리드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일정한 간극을 두고 이중 측판으로 된 건조실이 구비된 건조기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공극을 이용하여 환기팬과 환기 닥트 및 공냉 응축기가 구비된 제습수단과 ; 상기 건조실의 내벽에 배선된 표면 발열온도 45℃~ 55℃ 정도의 절연피복 전열선 및 복수의 할로겐램프가 구비된 하이브리드 가열수단과; 어류의 미생물의 살균 및 악취를 저감하는 산화질소가 포함된 스팀이 발생되는 산화질소 발생기가 구비된 어류의 악취 저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냉동된 오징어, 또는 명태와 같은 어류를 건조실의 선반에 재치하고 산화질소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산화질소가 함유된 스팀을 밀폐된 건조실에 주입하여 먼저 어류의 해동(解凍)과 살균, 탈취 및 본래의 색상과 식감을 보존하고 이어서 전열선의 전열 및 할로겐램프의 복사열에 의해 건조실 내부 온도를 40℃~50℃정도로 유지하면서 환기팬에 의해 건조실의 공기가 닥트와 응축기로 순환되면서 제습(除濕)되어, 어류의 함수율 75~85%에서 30~40%인 반 건조 고다리로 제공된다.

Description

어류의 반 건조용 하이브리드 건조기{Hybrid dryer for half drying of fish}
본 발명은 어류의 반 건조용 하이브리드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일정한 간극을 두고 이중 측판으로 된 건조실이 구비된 건조기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공극을 이용하여 환기팬과 환기 닥트 및 공냉 응축기가 구비된 제습수단과 ; 상기 건조실의 내벽에 배선된 표면 발열온도 45℃~ 55℃ 정도의 절연피복 전열선 및 복수의 할로겐램프가 구비된 하이브리드 가열수단과; 어류의 미생물의 살균 및 악취를 저감하는 산화질소가 포함된 스팀이 발생되는 산화질소 발생기가 구비된 어류의 악취 저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냉동된 오징어, 또는 명태와 같은 어류를 건조실의 선반에 재치하고 산화질소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산화질소가 함유된 스팀을 밀폐된 건조실에 주입하여 먼저 어류의 해동(解凍)과 살균, 탈취 및 본래의 색상과 식감을 보존하고 이어서 전열선의 전열 및 할로겐램프의 복사열에 의해 건조실 내부 온도를 40℃~50℃정도로 유지하면서 환기팬에 의해 건조실의 공기가 닥트와 응축기로 순환되면서 제습(除濕)되어, 어류의 함수율 75~85%에서 30~40%인 반 건조 고다리로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육류, 생선, 등은 보관 및 조리 시의 풍미(風味)를 위하여 건조하거나 염장(鹽藏)하게 된다. 수산물의 건조에는 태양열 및 인공 열을 이용하는 열건조, 어개(魚介)류를 염장(鹽藏)한 다음 찜하여 건조하는 찜건조, 어류를 직화(直火)에 구어서 건조하는 구이건조, 소금에 절인 다음 건조하는 염건조, 냉동과 풍건을 반복하는 냉동건조, 박막으로 하여 건조하는 피막건조, 분유와 같은 분산에 의한 분말건조 등 다양한 건조방법이 있다.
또한 건조할 어류의 종류와 건조할 목적에 따라 건조수단도 다양한 선행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① 공개특허공보 10-2018-0003343 (2018.01.09.공개)의 '건조개체에 따른 1:1맞춤형 하이브리드 건조구동식 스마트 식품건조기'는 건조기내에 공기의 순환팬과, 복수의 적외선 LED 얼레이 모듈과, 자외선 LED 알레이 모듈을 구비하여, 50w~250w의 전력소비로 건조하여 기존 건조기의 전력소비에 비하여 70 % 정도 전력소비를 절약할 수 있고 건조속도를 80%이상 향상할 수 있으며 살균력이 높아 과실, 농작물, 가공물에 따라 건조시간, 건조온도 하이브리드 건조방식으로 1 : 1의 맞춤형으로 설정 제어하여 건조하는 것이다.
② 등록특허공보 10-0728898 (2007.06.14.공고)의 ' 생선비린내의 제거방법'은 생선의 수분함량이 30 ~ 60%가 되게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생선에 균주를 접종시키는 단계, 및 상기 균주가 접종된 생선을 숙성 및 배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균주는 페니실링엄 까망베르티(Penicillum camembertii), 페니실린엄 칸디듐(Penicillum candidum), 페니실링엄 로그포르티(Penicillum roqueforti) 므코르 뮤세도(Mucor mucedo) 등이 사용하는 것이다.
③ 등록특허공보 10-1685306 (2016.12.09.공고)의 음식물 슬러지의 건조장치'는 건조할 음식 슬러지가 다단으로 적재하게 되는 건조실과; 상건 건조실의 일 측에 내부적으로 공기가 상하로 수환되게 수직으로 구비된 닥트와; 상기 닥트의 유출구에 전극보일러와 연관되게 구비되어 열품을 공급하는 팬 코일유닛과; 상기 닥트의 하부 유입구에 수조와 연관되게 구비되어 건조실의 수분을 응결수로 응축하여 제거하는 냉각코일이 내장된 응축기와; 펜코일에 열에너지를 공급하고 산화질소가 함유된 공기를 건조실에 주입하는 전극보일러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건조실에 열풍을 순환하여 음식물 슬러지에서 증발된 수분이 공기와 함께 수냉 응축기에 의해 제습되고 산화질소(NO)가 함유된 공기에 의해 음식물 슬러지의 살균 및 악취가 저감되는 친환경적으로 건조되는 것이다.
공개특허공보 10-2018-0003343 (2018.01.09.공개) 등록특허공보 10-0728898 (2007.06.14.공고) 등록특허공보 10-1685306 (2016.12.09.공고)
본래 반 건조 생선은 수분함량 30~40%인 '고다리'라고 하여 날생선보다 조미 가공하였을 때 풍미와 식감이 좋기 때문에 날생선이나 완전건조 생선보다 선호(選好)하고 있으며 값도 보다 높다.
그러나 반 건조 오징어, 반 건조 고다리(명태) 등은 어류에 기생하는 미생물의 활성이 억제되는 영하기온(零下氣溫)의 겨울철에 한정된 산지(産地)에서 냉동, 풍건(風乾)방법으로 산출(産出)되기 때문에 여름철에는 품귀하여, 사계절(四季節)을 통하여 영업을 지속(持續)할 수 없다.
본 발명은 반 건조 어류의 조미가공 업자가 계절에 관계없이 원하는 어류를 반 건조하면서 풍미 있는 식품으로 가공하여 제공할 수 있는, '어류의 반 건조용 하이브리드 건조기' 의 개발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어류의 건조실에 공기의 순환수단과, 45℃ ~ 55℃로 발열되는 절연피복 전열선과, 가시광선이 방출되는 할로겐램프 (또는 탄소램프)로 된 하이브리드 가열수단 및 어류의 살균 및 악취를 저감하는 산화질소 발생기의 살군, 악취저감 수단으로 된, 어류의 반 건조용 하이브리드 건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결된 건조할 어류의 해동(解凍)과, 살균 및 악취를 저감하고 어류 본래의 신선한 색상과 식감을 유지할 수 있는, 어류의 반 건조용 하이브리드 건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반 건조 어류의 조미가공업자가 계절에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어류의 반 건조용 하이브리드 건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부에 일정한 간극을 두고 외측판과 내측판으로 된 건조실이 구비되고 상기 건조실의 상부 측의 공조실과, 하부측의 기계실이 구획된 건조기의 본체와; 상기 공조실에 구비된 환기팬의 환기닥트가 상기 본체의 배면측 공극을 통하여 수직 하방으로 유도되어 복수의 공냉 응축기를 통하여 건조실 좌우 양측판의 공극으로 연관된 하부 닥트에 연결되어 환기닥트와 건조실의 좌우 내측판에 천공된 다수의 통공을 통하여 건조실 내외로 공기의 순환 중에 응축기에 의해 응축수를 제거하는 제습수단과 ; 상기 건조실의 내면에 지그재그로 배선된 표면 발열온도 45℃~ 55℃ 정도의 절연피복 전열선 및 복수의 할로겐 램프가 구비된 하이브리드 가열수단과; 상기 기계실에 설치된 산화질소가 포함된 스팀이 발생되는 산화질소 발생기에 의해 어류의 미생물의 살균 및 악취를 저감하는 어류의 악취 저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건조기의 앞면 개구부에는 강화유리의 문짝이 구비되어 있고 본체의 하부 측 기계실에 구비된 산화질소 발생기는 등록특허 제 10-1685306호의 전극 보일러의 구성을 원용(援用)한 것으로 가열수조에 담긴 이온 수에 두 전극이 잠겨 있고 두 전극에 AC 220v의 전원을 공급하면 아크방전으로 다량의 수증기와 고열에 의한 물 분자와 공기의 분해로 산화질소가 생성하게 된 것으로 스팀관은 건조실 내부로 관통되어 있다.
또한 건조실 내부에는 다단으로 망상 건조 선반(bracket)이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순환통로에 구비된 공냉 응축기는 팬에 의해 송풍으로 닥트내의 순환공기를 냉각하여 수분의 응축기능을 가진 것이다.
또한 본체의 외 측면에는 온도제어기와, 산화질소 발생기에 물을 보충하는 물탱크와, 상기 산화질소 발생기에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펌프가 구비되어 있고 건조실의 바닥면에는 탈수 및 응축수의 배수구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반 건조할 냉동어류, 예컨대 오징어, 또는 명태 등을 건조실의 건조 선반에 재치하고 문짝을 닫아 밀폐한 다음 산화질소 발생기에 AC 220v의 전원을 공급하여 두 전극의 아크방전의 고온(약 1000℃)에 의해 발생기에 에어펌프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와 물이 폭발적으로 가열되어 물과 공기의 고열분해로 생성되는 산화질소(NO)가 포함된 스팀이 스팀관을 통하여 건조실 내부로 주입한다. 주입시간은 어류의 냉동상태와 건조 량에 따라 다르나 대략 10분정도면 해동과 살균 및 악취의 저감이 가능하다.
이때 스팀의 온도는 약 200℃ 이상으로 높으나 어류의 흡열해동으로 열량이 소모되기 때문에 건조실의 내부온도는 거의 상온상태이고 어름이 모두 해동되었을 때 어류의 단백질이 응고되기 전에 스팀의 공급은 중지된다.
어류의 해동된 용액은 건조실 바닥으로 떨어져 배수구로 배출되며 해동되는 동시 스팀에 포함된 산화질소(NO)가 어류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살균으로 자극적인 어류의 부패성 악취를 저감한다.
생선의 비린내는 생선의 종류에 따라 생선 고유의 냄새와, 어류의 부패성 악취가 발산하는데 취각(臭覺)적으로 혐오감을 주는 냄새는 주로 부패성 악취(비린내)이다.
생선에는 Muco, Rhizopus, Penicillum, Aspergillus 등의 미생물이 존재하는데, 어류의 수분함량이 30%~40% 에서는 활성이 약화되나 사멸하는 것은 아니므로 충분한 물이 존재하면 다시 수분활성(Water activity)으로 된다. 한편, 미생물이 포자나 효모인 경우에는 저항력이 훨씬 크고 세균의 포자는 건조에 대하여 무한정의 저항력을 가진다.
생선의 악취는 TMA (trimethylamine) 에 의하며, 살아있는 생선에는 상기 TMA는 존재하지 않으나, 세균의 번식에 의해 어육에 존재하는 TMAD (트리메틸아민옥시드)가 환원되어 TMA로 된다. 초기부패의 한도는 어종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UBN (휘발성 염기질소)는 약 5mg%정도이다.
상기 산화질소에 의해 미생물이 사멸되기 때문에 부패작용은 진행되지 않으며 TAM의 생성이 억제됨으로 부패성 악취가 저감된다.
산화질소가 포함된 스팀의 공급을 중지한 다음 환기팬을 가동하는 동시에 건조실의 내면에 배선된 전열선에 전원을 공급하여 가열한다. 전열선은 45℃ ~ 55℃범위 내에서 발열되나, 어류의 수분은 흡열증발하기 때문에 건조실 내부온도는 약 40℃ ~ 50℃정도로 유지되며, 60℃ 이상의 온도로 상승되지 않아 어류의 육질단백이 경화되거나 자숙(煮熟)되는 일이 없이 어류 본래의 색상과 식감이 보존된다.
환기팬의 가동에 따라 어류에서 증발되는 수분을 포함하는 공기는 건조실의 상부 측 공조실로 흡입되어 환기닥트를 통하여 공냉 응축기를 거치는 동안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 제습되고 제습된 공기는 하부 닥트를 통하여 건조실의 좌우 측판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이동하여 건조실의 좌우 내 측판에 천공된 통공을 통하여 건조실의 내부로 유입되어 반복적으로 순환 및 제습된다.
종래의 건조기에서는 완전 건조를 위하여 100℃~ 200℃의 열풍을 가하여 건조하나, 본 발명에서는 60℃를 넘지 않는 온도범위에서 건조한다.
그 이유는 건조실에 60℃ 이상의 온도를 가하면 어류의 단백질이 경화되어 반 건조 어류, 예컨대 오징어, 또는 고다리와 같은 부드러운 식감을 유지할 수 없고 경화된 단백질이 어육의 표면에 경막(硬膜)을 이루게 됨으로 어육의 내부의 수분이동이 저해되어 건조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건조할 어류의 함수량이 목표 함수량의 절반 정도에 이를 때 할로겐램프를 점등하여 자외선과 적외선이 포함된 가시광선을 건조할 어류에 조사(照射)한다.
상기 전열선과 할로겐램프를 동시적으로 가동할 수 있으나, 어류의 건조과정에서 함수량이 감소되었을 때 할로겐램프를 조사하는 이유는 이미 산화질소에 의해 1차 미생물의 살균처리를 하였으나, 혹 잔류 미생물이 함수량이 적은 상태에서는 활성이 더욱 저하되기 때문에 이 때를 적기(適期)로 하여 할로겐램프를 가동하여 자외선과 적외선을 투사함으로서 더욱 효과적으로 살균 및 탈취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산화질소 및 할로겐램프의 자외선에 의한 살균작용으로 악취를 제거는 것은 상기 선행기술 ②의 30%~60%w정도 함수량으로 건조한 어류에 페니실링엄 까망베르티(Penicillum camembertii), 페니실린엄 칸디듐(Penicillum candidum),등의 종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키어 악취를 제거하는 것에 비하여 보다 능률적이며 위생적이다.
냉동 어류의 수분 함량이 75% ~ 85% 에서 30%~40%정도 되었을 때 건조 워크(work)를 종료하고 앞쪽의 문짝을 개방하여 상온으로 되었을 때 반 건조물을 꺼내어 조미가공에 제공된다,
물론, 어류의 건조시간을 연장하면 함수량이 10% ~ 20%정도의 건조어물이 될 수 있다.
또한 고추나 채소, 버섯과 같은 식물성 식재료도 색상과 질감을 본래의 상태로 유지하면서 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류의건조기는 어류의 건조실에 공기의 순환수단과, 45℃ ~ 55℃로 발열되는 절연피복 전열선과, 가시광선이 방출되는 할로겐램프 (또는 탄소램프) 의 하이브리드 가열수단 및 산화질소 발생기에 의한 살균 및 악취저감 수단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어류를 비롯하여 각종 식품재료를 원하는 습도, 특히 용이하게 반 건조를 할 수 있다.
또한 40℃ ~ 50℃의 온도범위에서 어류의 살균과 건조를 하기 때문에 어류 본래의 신선한 색상과 식감을 유지될 수 있어 풍미의 가공조미가 가능하다.
또한 계절에 관계없이 반 건조 어류의 조미가공에 지속적으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도면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건조기의 사시도
도면2는 동 일부를 절결한 건조기의 정면도
도면3은 동 일부를 절결한 건조기의 내측면도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1내지 도면 3에 표시된 바와 같이, 건조기(D)의 직사각형이 본체(10)는 외측판(11)과 내측판(12)이 공기통로를 위한 간극(c)을 두고 이중으로 형성되고 좌우 내측판(12)에는 다수의 통공(13)이 배열 천공되며, 상기 본체(10)의 상부 측에 공조실(A)이, 하부 측에는 기계실(M)이 구획된 건조실(13)이 구비되어 앞면 개방부에 강화유리의 문짝(14)이 여닫을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공조실(A)에 흡기팬(f)이 설치되고 흡기팬(f)에 연관된 환기닥트(d1)는 상기 본체(10)의 배면 측 외측판(11)과 내측판(12) 사이의 간극(c)을 통하여 수직 하방으로 유도되어 복수의 공냉 응축기(Cn)에 연관되고 상기 공냉 응축기(Cn)에 연관된 좌우 양측의 하부 닥트(d2)는 상기 본체(10)의 좌우 측면의 외측판(11)과 내측판(12) 사이의 공극(c)의 하부에 접속되어 건조실의 공기가 환기 중에 제습(除濕)하게 되어 있다.
상기 본체(10)의 건조실(13)의 좌우 측면과 배면의 내측판(12)에 가열을 위한 표면 발열온도 45℃~ 55℃ 정도의 절열피복 전열선(H)이 애자(t1)에 의해 세로로 일정한 간격의 지그재그로 배선되어 전원단자(t2)에 연결되고 상기 건조실(13)의 배면의 내측판(12)에는 복수의 할로겐램프(HL)가 소켓단자(st)에 탈부착 가능하게 상하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하이브리드로 가열하게 되어 있다
상기 본체(10)의 하부 기계실(M)에 산화질소 발생기(B)가 구비되어 스팀관(sd)이 건조실(13)의 저판(10b)으로 관통되어 산화질소가 포함된 스팀을 건조실(13)에 주입하게 되어 있고 적어도 2개의 전극(a)(b)이 구비된 상기 산화질소 발생기(B)에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wt)가 본체(10)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수관(p1)이 밸브(v)와 함께 산화질소 발생기(B)의 하부 측에 연관되고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펌프(ap)가 본체(10)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공기도관(p2)이 상기 산화질소 발생기(B)의 하부 측에 연관되어 살균 및 악취를 저감하게 되어 있다.
상기 건조실(13)의 바닥(10b)에는 탈수 및 응축수의 배수관(10d)이 구비되고 건조실(13)에는 수개의 망상 건조 선반(br)이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이 내장된 전자 제어기(C)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도2와 같이, 반 건조할 냉동어류, 예컨대 오징어, 또는 명태 등을 건조실(13)의 건조 선반(br)에 재치하고 문짝(14)을 닫아 밀폐한 다음 산화질소 발생기(B)의 전극(a)(b)에 AC 220v 전원을 공급하면 산화질소 발생기에 담긴 이온 수에 침지된 전극이 아크방전으로 약 1000℃의 열이 발생되어 폭발적으로 스팀이 발생되는 동시 물 분자(H2O) 및 에어펌프(ap)에 의해 공기도관(p2)을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가 고열 분해되고 분해된 원소가 다시 결합으로 생성된 산화질소(NO)가 스팀과 함께 스팀관(sd)을 통하여 상기 건조실(13) 내부로 주입된다. 주입시간은 어류의 냉동상태와 건조 량에 따라 다르나 약 10분정도면 해동된다.
이때 스팀의 온도는 약 200℃ 이상으로 높으나 어류의 흡열(吸熱), 해동(解凍)으로 인하여 건조실(13)의 내부온도는 거의 상온상태이며, 어류의 해동 용액은 배수관(10d)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어름의 해동으로 노출된 어류의 표면에 스팀에 포함된 산화질소(NO)에 의해 살균되므로 어류의 TMAD(트리메틸아민옥시드)가 세균의 활성으로 인하여 TMA (trimethylamine)로 환원되는 형상이 없고 미생물의 사멸에 의해 부패작용이 진행되지 않으므로 UBN (휘발성 염기질소)이 5mg% 이하로 유지되어 부패성 악취가 나지 않는다,
상기 산화질소의 주입 시에는 별도의 가열이 없고 또한 공기의 순환작용도 없다.
산화질소가 포함된 스팀의 공급을 중지하고 이어서 환기팬(f)을 가동하는 동시 건조실(13)의 배면과 좌우 측면에 배선된 전열선(H)에 AC 220v의 전원을 공급하여 가열한다. 전열선은 45℃ ~ 55℃범위 내에서 발열되기 때문에 건조실(13)의 내부 온도는 약 40℃ ~ 50℃로 유지된다. 어류이 수분이 흡열증발하기 때문에 건조실이 내부 온도는 가열온도 이상의 온도로 상승되지 않는다.
환기팬(f)의 가동에 따라 건조실(13)의 공기는 어류에서 증발되는 수분과 함께 공조실(A)로 흡입되어 순환닥트(d1)를 통하여 건조실의 하부 측에 구비된 공냉 응축기(Cn)를 거쳐 하부 닥트(d2)를 통하여 건조실(13)의 좌우 외측판(11)과 내측판(12) 사이의 간극(c)을 통하여 이동한 다음 상기 건조실(13)의 내측판(12)에 천공된 통공(12h)를 통하여 건조실(13)로 유입되면서 순환된다. 더운 공기의 순환과정에서 공냉 응축기(Cn)에서 수분이 응축되어 응축수는 배출구(du)로 배출되어 제습된다.
어류의 함수량이 75% ~ 85% 에서 약 60% 정도로 감소되었을 때 할로겐램프(HL)를 점등하여 자외선과 적외선이 포함되는 가시광선을 조사(照射)한다. 건조실의 거울 면으로 된 내측판(12)에 의하여 반사광과 복사열에 의해 어류의 건조를 촉진하는 동시 자외선에 의해 살균작용이 함께 이루어진다.
상기 전열선(H)과 할로겐램프(HL)를 동시적으로 가동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미 산화질소에 의해 1차 살균을 하였으나, 혹 잔류 미생물이 함수량이 적은 상태에서는 더욱 활성이 약하기 때문에 이때에 할로겐램프를 가동하면 자외선에 의한 미생물의 살균 효과가 더욱 높게 된다.
냉동 어류의 처음 함수량이 75% ~ 85% 에서 30%~40%정로 건조 되었을 순환팬(f)의 가동을 정지하고 앞쪽의 문짝(14)을 개방하여 상온으로 되었을 때 반 건조물을 꺼내어 조미가공에 제공된다,
10 : 본체 10b : 저판 10d : 배수관 11 : 외측판
12 : 내측판 12h : 통공 13 : 건조실 14 : 문짝
A : 공조실 B : 산화질소 발생기 C : 제어기 Cn : 공냉 응축기
D : 건조기 H : 절연피복 전열선 HL : 할로겐램프 M : 기계실
c : 간극 f : 환기팬 ap : 에어펌프 br : 건조선반 d1 : 환기닥트
d2 : 하부닥트 du : 배출구 p1 : 수관 p2 : 공기도관
hd : 스팀관 st : 소켓단자 t1 : 애자 t2 : 전극단자 wt : 물탱크

Claims (4)

  1. 어류의 건조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일정한 간극을 두고 이중 측판으로 된 건조실이 구비된 건조기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공극을 이용하여 환기팬과 환기 닥트 및 공냉 응축기가 구비된 제습수단과 ; 상기 건조실의 내벽에 배선된 표면 발열온도 45℃~ 55℃ 정도의 절연피복 전열선 및 복수의 할로겐램프가 구비된 하이브리드 가열수단과; 어류의 미생물의 살균 및 악취를 저감하는 산화질소 발생기가 구비된 어류의 악취 저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반 건조용 하이브리드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건조기의 제습수단은 본체의 건조실 상부 측의 공조실에 설치된 환기 팬과, 건조실이 배면의 간극으로 유도된 환기닥트와, 상기 환기닥트에 연관된 복수의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와 건조실의 하부측 좌우 간극에 연관된 하부닥트에 의해 건조실의 공기가 순환과정에서 응축기에 의해 공기의 수분이 응축되어 제습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반 건조용 하이브리드 건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하이브리드 가열수단은 건조실의 좌우 및 배면의 내측판에 지그재그로 배선되어 표면 발열온도 약 45~55℃ 의 절연피복 전열선과, 건조실 배면의 내측판에 상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할로겐램프에 의하여 어류를 하이브리드로 가열하여 건조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반 건조용 하이브리드 건조기.
  4. 제1항에 있어서,
    어류의 살균, 악취 저감수단은 건조실이 하부 기계실에 설치된 산화질소 발생기와, 상기 산화질소 발생기에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와,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를 구비하여 산화질소 발생의 전극의 아크방전에 의해 생성된 산화질소가 포함된 스팀을 건조실 내부에 주입하여 어류의 미생물을 살균 및 악취를 저감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반 건조용 하이브리드 건조기.
KR1020180013157A 2018-02-02 2018-02-02 어류의 반건조용 하이브리드 건조기 Ceased KR201900938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157A KR20190093845A (ko) 2018-02-02 2018-02-02 어류의 반건조용 하이브리드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157A KR20190093845A (ko) 2018-02-02 2018-02-02 어류의 반건조용 하이브리드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845A true KR20190093845A (ko) 2019-08-12

Family

ID=67624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157A Ceased KR20190093845A (ko) 2018-02-02 2018-02-02 어류의 반건조용 하이브리드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384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4894A1 (en) * 2021-01-26 2022-08-04 Sterile State Llc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nitric oxide
KR102755701B1 (ko) * 2024-03-21 2025-01-22 대성산업펌프 주식회사 산화질소 스팀발생모듈을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898B1 (ko) 2005-04-07 2007-06-14 김희재 생선의 비린내 제거방법
KR101685306B1 (ko) 2015-10-20 2016-12-09 황보기만 음식물 슬러지의 건조장치
KR20180003343A (ko) 2016-06-30 2018-01-09 (주)이노셈코리아 건조객체에 따른 1:1 맞춤형 하이브리드 건조구동식 스마트 식품건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898B1 (ko) 2005-04-07 2007-06-14 김희재 생선의 비린내 제거방법
KR101685306B1 (ko) 2015-10-20 2016-12-09 황보기만 음식물 슬러지의 건조장치
KR20180003343A (ko) 2016-06-30 2018-01-09 (주)이노셈코리아 건조객체에 따른 1:1 맞춤형 하이브리드 건조구동식 스마트 식품건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4894A1 (en) * 2021-01-26 2022-08-04 Sterile State Llc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nitric oxide
KR102755701B1 (ko) * 2024-03-21 2025-01-22 대성산업펌프 주식회사 산화질소 스팀발생모듈을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8257B1 (ko) 육류 숙성을 위한 건조숙성고
CN110411117B (zh) 一种基于气体调节的冰箱保鲜装置
CN108157482A (zh) 一种生食鱼片、肉片安全保鲜的加工方法及设备
KR20190093845A (ko) 어류의 반건조용 하이브리드 건조기
US20040066835A1 (en) Method and device for thawing of frozen objects consisting of organic cellular compound such as food
JP2002350060A (ja) 乾燥装置及び農水産物の乾燥方法
CN2757057Y (zh) 一种保湿杀菌冰箱
CN119063373A (zh) 食材熟成控制方法及冰箱
CN209135344U (zh) 食品真空冷冻干燥及灭菌设备
CN205019014U (zh) 一种集成水蒸汽喷射灭菌技术与热泵干燥技术的鞋护理机
KR101007204B1 (ko) 다기능 건조기
KR102768613B1 (ko) 폐열을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건조장치
KR101834130B1 (ko) 농수산물 건조장치
CN212139826U (zh) 一种鞋柜
CN208547194U (zh) 一种果蔬烘干、预冷、杀菌一体保鲜设备
Catalano et al. Experimental system and tests to optimize a tomato drying process
CN211552177U (zh) 一种加湿冷冻库
Shende Design of cold storage
CN202750617U (zh) 挂面缓苏装置
CN216255222U (zh) 一种食品加工过程中的防臭装置
CN114688812A (zh) 冰箱
CN211721035U (zh) 节能型智能种子干热消毒装置
CN2606872Y (zh) 食品冷冻干燥机
JP3245750U (ja) 食品凍結乾燥設備
CN217997197U (zh) 一种多功能型食品微生物用培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4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10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4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