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9620A - A firewood fired boiler - Google Patents
A firewood fired boil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19620A KR20100019620A KR1020080078280A KR20080078280A KR20100019620A KR 20100019620 A KR20100019620 A KR 20100019620A KR 1020080078280 A KR1020080078280 A KR 1020080078280A KR 20080078280 A KR20080078280 A KR 20080078280A KR 20100019620 A KR20100019620 A KR 2010001962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boiler
- firewood
- outside
- chamb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4071 soo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4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245 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60/00—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F24B1/19—Supplying combustion-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목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연소실의 내부공간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노즐을 설치하여 연소실 내부로 충분한 공기를 공급함에 따라 화목의 완전연소를 도모하여 그을음이나 연기등의 발생을 줄여 보다 높은 열효율을 낼 수 있으며, 또한 화목의 연소중 발생하는 가스가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여 보일러의 투입구로 역화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발생하는 가스를 강압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또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곳에 집진기를 설치하여 폐목이나 종이류등을 주연료로 사용할 경우 발생하는 분진등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화목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wood boiler. More specifically, by installing a nozzle that can supply air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combustion chamber to supply sufficient air into the combustion chamber,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complete combustion of firewood, thereby reducing the occurrence of soot or smoke, resulting in higher thermal efficiency. In order to prevent the gas generated during combustion of the firewoo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forcibly discharge the gas generated to prevent it from being backfired into the inlet of the boiler. Relates to a firewood boiler that prevents dust, etc. emitted from the use of fuel as the main fuel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목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화목의 원활한 연소를 위해 연소실에 다수개의 에어노즐을 구비함과 아울러 연소중 발생하는 매연을 외부로 강압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인젝션관이 설치되며 또한, 상기 매연과 아울러 발생하는 먼지들을 채집하기 위한 집진기가 구비된 화목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wood boiler, and more particularly, an injection pip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ir nozzles in a combustion chamber for the smooth combustion of firewood and an exhaust pipe for forcibly discharging the smoke generated during combustion to the outside. And it relates to a firewood boiler equipped with a dust collector for collecting the dust generated.
일반적으로 농어촌의 주택 난방은 설치가 간편하고 보일러의 관리와 사용이 편리한 기름 보일러나 가스 보일러가 대부분으로 기름보일러 및 가스보일러는 실내에 부착된 자동 온도조절기의 설정온도에 따라 버너가 자동으로 점화되어 실내온도를 설정온도로 유지하게 된다. In general, home heating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is easy to install, and most boilers and oil boilers are easy to manage and use.Boilers and gas boilers burner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set temperature of the thermostat attached to the room. The room temperature is maintained at the set temperature.
그러나 기름 또는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기름보일러 및 가스보일러는 설정온도에 따라 버너가 자동으로 점화되어 실내온도를 유지시켜 주므로 사용이 편리하나, 이와 반면에 난방비의 부담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으로 최근 국제 유가가 급등하고 있는 추세에서 농어촌의 서민들에게 큰 걱정거리로 야기되고 있다. However, oil boilers and gas boilers that use oil or gas as fuel are convenient because the burner is automatically ignited to maintain the room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set temperature. As oil prices are soaring, it is causing great concern to the people in rural areas.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농어촌이나 도심 변두리의 주택에서 겨울철 난방비를 절감하고자 나무 또는 폐목재를 주연료로 사용하는 화목(火木)보일러를 설치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화목보일러는 농어촌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나무와 폐목재등을 연료로 사용하므로 기름보일러나 가스보일러 및 전기보일러에 비하여 연료비가 저렴할 뿐만 아니라 설비 및 유지관리비 또한 저렴하여 최근 보급율이 대폭 증가하고 있다.In view of this situation, in order to reduce the heating cost in winter in rural fishing villages and other suburban homes, firewood boilers using wood or waste wood as main fuels are being installed. Such wood fired boilers are easily available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Since fuel and waste wood are used as fuels, fuel costs are lower than those of oil boilers, gas boilers, and electric boilers, and facility and maintenance costs are also low.
그러나 종래의 화목보일러는 하기에서와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하였다. 우선 보일러의 연소실에서 화목을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외부로부터 충분한 공기가 공급되지 못하여 초기 발화과정에서 발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거나 화력이 약해 연소열이 낮으며, 연소실 내부에 한꺼번에 많은 양의 화목을 투입할 경우 불완전 연소되면서 많은 양의 그을음이나 연기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들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할 경우 보일러의 투입구로 불씨가 역화하여 작업자가 화상을 입는 등의 안전상의 문제점이 뒤따르며, 또한 나무 대신 폐목이나 각종 종이류등을 주연료로 사용할 경우 발생하는 분진이나 불씨등이 외부로 배출되어 환경을 오염시키거나 불씨가 번져 화제가 일어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firewood boiler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First, in the process of burning firewood in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boiler, insufficient air is not supplied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fire is not well ignited during the initial ignition process, or the thermal power is low, and the combustion heat is low. There is a problem that a large amount of soot or smoke occurs during combustion, and if the gases generated during the combustion process cannot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fire is backfired into the boiler's inlet, resulting in safety problems such as burns of workers. In addition, dust or embers generated when waste wood or various papers are used as the main fuel instead of wood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reby polluting the environment or spreading embers.
본 발명은 연소실의 내부공간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노즐을 설치하여 연 소실 내부로 충분한 공기를 공급함에 따라 화목의 완전연소를 도모하여 그을음이나 연기등의 발생을 줄여 보다 높은 열효율을 낼 수 있는 화목보일러를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nozzle that can supply air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combustion chamber to supply enough air into the combustion chamber to achieve the complete combustion of the firewood to reduce the occurrence of soot or smoke to achieve higher thermal efficiency In providing a boiler.
또한 본 발명은 화목의 연소중 발생하는 가스가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여 보일러의 투입구로 역화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발생하는 가스를 강압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화목보일러를 제공함에 있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ewood boiler that can forcibly discharge the gas generated to prevent the gas generated during combustion of the firewood to be backfired to the inlet of the boiler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은 집진기를 설치하여 폐목이나 종이류등을 주연료로 사용할 경우 발생하는 분진이나 불씨등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화목보일러를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al fired boiler to prevent dust or embers generated when using waste wood or paper as a main fuel by installing a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투입구가 형성된 보일러 외통과, 상기 보일러 외통의 내부공간에 조립되며 화목을 연소시키기 위한 연소실이 구비된 보일러 내통과, 상기 연소실로 공기를 공급하는 팬과, 연소과정 중 발생하는 가스을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한 배출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통상적인 화목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 내통의 저면에 조립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팬의 동작으로 공급된 공기가 저장되는 공기실과; 상기 공기실의 상부에 관통형성되는 유입구멍들과; 상기 보일러 내통의 외면에 부착되며, 일단은 상기 유입구멍들과 연통하여 상기 공기실에 저장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분배구와; 상기 공기분배구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분배구에 저장된 공기를 상기 연소실로 공급하는 에어노즐을 포함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iler outer cylinder is formed in the inlet, the boiler inner cylinder is assemb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oiler outer cylinder is provided with a combustion chamber for burning firewood, a fan for supplying air to the combustion chamber, the gas generated during the combustion process to the outside A conventional firewood boiler comprising a discharge duct for discharging, comprising: a case assemb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boiler inner cylinder; An air chamber formed inside the case and storing air supplied by the operation of the fan; Inlet holes formed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air chamber; An air distribution port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cylinder of the boiler, one end of which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inflow holes and into which air stored in the air chamber is introduced; It is installed inside the air distribution por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ir nozzle for supplying the air stored in the air distribution port to the combustion chamb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출덕트의 일단에는 집진기가 설치되며; 상기 집진기의 중앙부분에는 상기 배출덕트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를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한 연돌을 설치하되, 상기 연돌의 단부는 상기 배출덕트의 중심점보다 내려오도록 상기 집진기에 조립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dust collector at one end of the discharge duct; The central part of the dust collector is provided with a stack for discharging the ga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duct to the outside, the end of the stack is characterized in that assembled to the dust collector to be lower than the center point of the discharge duct.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는 상기 팬과 상기 공기실을 연통하는 공기분배함이 설치되며; 상기 공기분배함의 상단에는 인젝션관이 설치되어 상기 연돌로 공기를 분사시켜 발생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킴을 특징으로 한다.An air distribution box communicating with the fan and the air chamber is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ase; An injection tube is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air distribution box to discharge the gas generated by injecting air into the stack to the outside.
본 발명에 따른 화목보일러는 하기에서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The firewood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연소실의 내부에 에어노즐을 설치하여 연소과정 중 필요한 공기를 원만하게 공급함에 따라 화목의 초기발화가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으며, 또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함에 따라 장시간 적정온도를 유지함으로 에너지의 효율을 극대화 시킬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First, by installing an air nozzle inside the combustion chamber to smoothly supply the necessary air during the combustion process, the initial ignition of the firewood can proceed easily, and also by maintaining the appropriate temperature for a long time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air supplied It brings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efficiency.
둘째, 연소과정 중 발생하는 가스를 강압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킴에 따라 가스가 연소실의 내부에 머물러 투입구로 역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Second, by forcibly discharging the gas generated during the combustion process to the outside, the gas stays inside the combustion chamber to prevent the backfire into the inlet.
셋째, 가스가 외부로 방출되는 곳에 집진기를 설치함에 따라 폐목이나 종이류등을 주연료로 하여 사용할 시 발생하는 분진이나 불씨등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Third, by installing a dust collector where the ga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dust or embers generated when using waste wood or paper as the main fuel are prevented from being released to the outsid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화목보일러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o expla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ors.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투입구(34)가 형성된 보일러 외통(32)과, 상기 보일러 외통(32)의 내부공간에 조립되며, 화목이 연소되는 연소실(24)이 형성된 보일러 내통(10)과, 상기 보일러 내통(10)의 바닥면에 조립되는 케이스(16)로 구성된다. 1 is a view showing in three dimensions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iler
상기 케이스(10)의 후방에는 팬(12)이 설치된다. 상기 팬(12)은 연소과정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이며, 공기를 배출하는 관의 일단은 공기분배함(14)과 조립된다. The
이때, 첨부된 도 2에서 상기 팬(12)이 공기분배함(14)의 후방에 조립된 모습은 설명의 이해를 돕도록 도시한 것이며, 실제적으로는 공기분배함(14)의 측방에 위치한다.At this time, the
상기 공기분배함(14)은 내부의 소정공간이 형성된 통상적인 박스의 형태를 지니며, 상기 팬(12)의 동작시 발생하는 공기를 양방향(도면상에서는 상, 하)으로 분배하기 위한 수단이다. The
상기 공기분배함(14)은 연결관을 통하여 상기 케이스(16)의 내부에 형성된 공기실(18)과 연통된다. 상기 공기실(18)은 통상적인 직사각형 형태로 상기 공기분배함(14)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일차적으로 보관하는 역할이다. 상기 공기실(18)의 상면에는 복수의 유입구멍(18a)이 형성된다. 상기 유입구멍(18a)은 공기분배구(20) 와 연통된다. The
상기 공기분배구(20)는 첨부된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보일러 내통(10)의 외면(내통의 양측과 상부와 후방)에 일정간격 거리를 가지며 용접된다. The
상기 공기분배구(20)는 디귿자의 절곡된 형태로 공기가 흐르기 위한 소정의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개방된 하측은 상기 유입구멍(18a)과 연통되고, 상측은 밀폐시켜 상기 유입구멍(18a)을 통해 들어온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상기 공기분배구(20)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에어노즐(22)이 배치된다. 상기 에어노즐(22)의 일단은 상기 공기분배구(20)와 연통되며, 타단은 보일러 내통(10)에 형성된 구멍(10a)에 끼워져 용접된다.A plurality of
이때, 설치되는 에어노즐(22)은 후방(22a)과 전방(22b)의 지름크기의 차이를 두고 제작하며, 이는 전방(22b)의 지름을 작게 하여 후방(22a)에 유입되는 공기의 분사압력을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At this time, the
상기와 같이 팬(12)에서부터 시작되는 공기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팬(12)의 구동시 발생하는 공기는 공기분배함(14)을 통해 상기 케이스(16)의 공기실(18)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상기 공기실(18)로 흘러들어간 공기는 유입구멍(18a)을 통해 공기분배구(20)으로 들어가게 되며, 상기 공기분배구(20)에 위치한 에어노즐(22)을 통해 상기 연소실(24)로 흘러들어가 연소과정 중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Referring to the flow of air starting from the
상기 보일러 내통(10)의 윗부분에는 배출덕트(26)의 일단이 용접등의 방식으로 조립되며,상기 배출덕트(26)는 연소실(24)에 발생한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일차적인 수단이다. One end of the
상기 배출덕트(26)의 타단은 집진기(30)와 조립된다. 상기 집진기(30)는 폐목이나 종이류 등을 주원료로 사용할 시 배출되는 분진 등을 채집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집진기(30)의 중앙부분에는 연돌(28)이 관통조립된다. 상기 연돌(28)은 연소중 발생하는 가스를 외부로 방출하는 마지막 수단으로서, 상기 연돌(28)의 단부(28a)는 배출덕트(26)의 중심점보다 낮도록 집진기(30)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이유는 배출덕트(26)를 통해 나오는 분진이나 불씨등이 상기 연돌(28)의 단부(28a)와 부딪힌 후 집진기(30)의 바닥면으로 떨어뜨려 채집하기 위한 것이다.The other end of the
한편, 상기 공기분배함(14)의 상단에는 인젝션관(15)의 일단이 설치된다. 상기 인젝션관(15)은 팬(12)의 동작시 발생하는 공기를 연돌(28)로 보내기 위한 것으로서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연소과정 중 발생하는 가스가 원활히 외부로 방출되지 못할 시 연소실(24)의 내부에 가스가 가득 차버리는 현상이 발생하며, 상기와 같은 현상으로 인해 보일러의 투입구(34)로 가스나 불씨가 역화되는 등의 안전상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도시하진 않았지만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가 조립된다. On the other hand, one end of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화목보일러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operation of the firewood boil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먼저 작업자는 화목이나 폐목등을 보일러의 투입구(34)를 통해 연소실(24)에 적층시킨후 연소시키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팬(12)을 동작시키며, 상기 팬(12)의 구동으로 발생한 공기는 공기 분배함(14)을 거쳐 인젝션관(15)과 케이스(16)의 내부에 형성된 공기실(18)로 유입되게 된다. 이후 유입된 공기는 공기실(18)에 형성 된 유입구멍(18a)을 통과하여 공기분배구(20)로 들어가게 되며, 상기 공기분배구(20)에 위치한 에어노즐(22)을 통하여 연소실(24)의 내부로 들어가 연소중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First, the worker stacks firewood or waste wood in the
다음으로 연소중에 발생한 가스는 보일러 내통(10)의 윗부분에 조립된 배출덕트(26)를 통하여 이동하게 되며, 배출된 가스는 집진기(30)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이후 가스중에 포함된 분진이나 불씨등은 연돌(28)의 단부(28a)와 부딪힌 후 집진기(30)의 바닥면으로 떨어지게 되며, 한번의 집진과정을 거친 가스는 연돌(28)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가스가 원활히 외부로 배출되지 못할 시 인젝션관(15)으로 공기를 분사시켜 강압적으로 가스를 외부로 방출시키도록 한다. Next, the gas generated during combustion moves through th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목보일러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나타낸 도면1 is a view three-dimension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rewood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화목보일러의 측단면도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ewood boiler shown in FIG.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화목보일러의 평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plan view of the firewood boiler shown in FIG.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화목보일러의 정단면도. Figure 4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firewood boiler shown in FIG.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
10: 보일러 내통 16: 케이스 10: boiler inner case 16: case
18: 공기실 20: 공기분배구 18: air chamber 20: air distribution port
22: 에어노즐 24: 연소실 22: air nozzle 24: combustion chamber
28: 연돌 28a: 단부 28: stack 28a: end
30: 집진기 32: 보일러 외통 30: dust collector 32: boiler outer cylinder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78280A KR101005721B1 (en) | 2008-08-11 | 2008-08-11 | Firewood Boil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78280A KR101005721B1 (en) | 2008-08-11 | 2008-08-11 | Firewood Boil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19620A true KR20100019620A (en) | 2010-02-19 |
KR101005721B1 KR101005721B1 (en) | 2011-01-06 |
Family
ID=42089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78280A KR101005721B1 (en) | 2008-08-11 | 2008-08-11 | Firewood Boil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05721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51655B1 (en) * | 2010-12-30 | 2011-07-26 | 강훈이 | Smokeless combustion device with improved combustion efficiency and firewood boiler using the same |
KR101388214B1 (en) * | 2012-07-12 | 2014-04-23 | 김관수 | stove for wood |
KR101497830B1 (en) * | 2013-10-07 | 2015-03-04 | 김석균 | The wood stove of high efficiency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92127B1 (en) * | 2016-11-30 | 2018-08-28 | 이상훈 | A combustion furnace for boiler |
KR20230162308A (en) | 2022-05-20 | 2023-11-28 | 김기남 | Firewood Boiler With An Exhaust Gas Purifier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05084U (en) * | 1997-07-11 | 1999-02-05 | 강수형 | Waste treatment incinerator |
KR100426046B1 (en) | 2002-04-17 | 2004-04-06 | 최진민 | Burner Structure of Firewood Boiler |
KR100543404B1 (en) * | 2003-07-08 | 2006-01-20 | (주)강원보일러제작소 | Standing boiler |
KR100785042B1 (en) | 2006-11-15 | 2007-12-12 | 동우환경산업(주) | Waste Combustor Using Compressed Air |
-
2008
- 2008-08-11 KR KR1020080078280A patent/KR101005721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51655B1 (en) * | 2010-12-30 | 2011-07-26 | 강훈이 | Smokeless combustion device with improved combustion efficiency and firewood boiler using the same |
KR101388214B1 (en) * | 2012-07-12 | 2014-04-23 | 김관수 | stove for wood |
KR101497830B1 (en) * | 2013-10-07 | 2015-03-04 | 김석균 | The wood stove of high efficienc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05721B1 (en) | 2011-01-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05721B1 (en) | Firewood Boiler | |
KR101438085B1 (en) | a wood boiler | |
KR200448540Y1 (en) | Pellet stove | |
KR101026937B1 (en) | Hybrid type boiler | |
KR100679316B1 (en) | Firewood boiler | |
CN102401466A (en) | Novel biomass anti-burning type water heating boiler | |
KR101287693B1 (en) | Hybrid Boiler | |
WO2013018954A1 (en) | Combustion device | |
CN201066195Y (en) | Horizontal type reverse-combusting coal-firing boiler | |
KR101224417B1 (en) | Pellet stove | |
RU2661516C2 (en) | Solid-fuel gas-generated boiler | |
KR101089622B1 (en) | Downfired Solid Fuel Boiler | |
CN107726287A (en) | Fire formaldehyde tail gas steam boiler | |
CN208998096U (en) | Hot-blast stove | |
CN102818265B (en) | Application of heat-accumulating high-temperature air burning method in burner and burning furnace | |
CN201306784Y (en) | Gas warmer | |
KR20080039633A (en) | Air supply pipe of stove | |
KR101216129B1 (en) | Firewood boiler | |
CN217178890U (en) | Boiler with heat exchange function used outdoors | |
KR101099475B1 (en) | Down-fired Wood Boiler | |
KR102088707B1 (en) | A firewood stove with an assembly structure | |
CN212719693U (en) | Horizontal biomass-fired steam boiler | |
KR20140129646A (en) | Pellet Combustion Device | |
KR20130019610A (en) | Heating boiler | |
KR101400687B1 (en) | Gun type oil bur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7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1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2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0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2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2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3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