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2518U - 펠렛난로의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펠렛난로의 집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12518U KR20100012518U KR2020090007409U KR20090007409U KR20100012518U KR 20100012518 U KR20100012518 U KR 20100012518U KR 2020090007409 U KR2020090007409 U KR 2020090007409U KR 20090007409 U KR20090007409 U KR 20090007409U KR 20100012518 U KR20100012518 U KR 20100012518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ellet stove
- immersion tank
- combustion gas
- pellet
- dust collect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8188 pelle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9000000567 combustion ga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2918 waste hea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1 Stov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95 chemical reaction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41 respir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2—Carb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adsorption or absorp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50/60—Combinations of devices covered by groups B01D46/00 and B01D4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펠렛난로의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펠렛난로의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침수조, 펠렛난로와 침수조의 일측을 연결하여 펠렛난로의 연소가스가 침수조의 내부로 유입되는 흡기관, 침수조의 내부에 서로 이격하여 지그재그로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 및 침수조의 타측에 연결되어 침수조 내부에 저장된 물을 거치면서 정화된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관을 포함하며, 펠렛난로의 연소가스에서 분진을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환경보호에 일조할 수 있고, 간단한 구조로서 제작·설치 및 사용이 간편하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펠렛난로의 집진장치를 제공한다.
펠렛, 난로, 집진, 침수조, 격벽, 연소가스, 흡기, 배기
Description
본 고안은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재 펠렛(wood pellet)을 연료로 사용하는 펠렛난로의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동절기가 되면 난방장치의 사용이 급증하는데, 주택이나 음식점, 사무실, 공장 등에서는 실내공간의 난방을 위해 난방장치를 사용하고, 농촌에서는 농작물 재배 또는 가축 사육을 위한 시설에 난방장치를 마련하게 된다.
이러한 난방장치로는 난로 또는 온풍기를 사용하게 되는데, 기존의 난로나 온풍기의 경우 대다수가 전기, 가스, 연탄, 기름 중의 어느 하나를 연료로 사용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처럼 전기, 가스, 연탄, 기름을 연료로 사용하는 경우, 연료의 수급과 보관 등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연료 자체가 고가일 뿐만 아니라, 연소시 연료의 소모량이 상당하여 난방 비용이 가중되는 문제가 있어서 비용부담이 상당하였다.
특히, 연탄과 기름을 연료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연소과정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에 다량의 화학적 유해물질이 포함되는바, 화학적 유해물질로 인한 인체손상과 환경오염이 우려되며, 장작난로의 경우 연소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연통을 필요로 하는데, 바람이나 주변건물 등 주위환경에 따라서는 연통에서 연소가스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고, 이에 따라 장작의 연소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주변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손쉽게 구할 수 있고 연소가 용이한 천연 연료를 이용하여 난방연료로 사용하는 추세가 급증하고 있으며, 간벌된 나무 등의 껍질이나 톱밥 등의 폐기물을 분쇄·압축하고 원통형상으로 성형한 목재 펠렛(wood pellet)도 그 중 하나이다.
이처럼, 펠렛난로(pellet stove)의 보급이 확산되면서 도심지의 주택에도 고급형의 제품이 설치되고 있는데, 도심지의 경우 주택들이 서로 근접하여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펠렛난로의 연소가스에 포함된 분진들이 인근 주택으로 확산되어 주거환경을 오염시키거나 심한 경우에는 호흡기 질환의 한 요인이 되기도 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펠렛난로의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침수조, 펠렛난로와 침수조의 일측을 연결하여 펠렛난로의 연소가스가 침수조의 내부로 유입되는 흡기관, 침수조의 내부에 서로 이격하여 지그재그로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 및 침수조의 타측에 연결되어 침수조 내부에 저장된 물을 거치면서 정화된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관을 포함하며, 펠렛난로의 연소가스에서 분진을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환경보호에 일조할 수 있고, 간단한 구조로서 제작·설치 및 사용이 간편하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펠렛난로의 집진장치와 관련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펠렛난로의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침수조, 펠렛난로와 침수조의 일측을 연결하여 펠렛난로의 연소가스가 침수조의 내부로 유입되는 흡기관, 침수조의 내부에 서로 이격하여 지그재그로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 및 침수조의 타측에 연결되어 침수조 내부에 저장된 물을 거치면서 정화된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관을 포함하는 펠렛난로의 집진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격벽은, 침수조의 바닥면에서 상향 설치되는 제1격벽과, 침수조의 천 장에서 하향 설치되는 제2격벽을 포함하며, 제1격벽과 제2격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일측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배기관의 일측에는 활성탄 필터가 구비될 수 있으며, 흡기관의 일측에는 흡기관을 통과하는 연소가스의 폐열을 활용하기 위해 팬코일 유닛이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펠렛난로의 집진장치에 의하면, 펠렛난로의 연소가스에서 분진을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환경보호에 일조할 수 있고, 간단한 구조로서 제작·설치 및 사용이 간편하며 비용이 저렴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소가스의 폐열을 활용하여 실내난방에 이용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펠렛난로의 집진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펠렛난로의 집진장치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펠렛난로의 집진장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펠렛난로의 집진장치(100)는 펠렛난로(1)의 일측 즉, 실내에 설치될 수 있으며, 펠렛난로(pellet stove)(1)에서 우드펠렛(wood pellet)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로부터 분진을 제거하게 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펠렛난로의 집진장치(100)는 크게, 펠렛난로(1)의 일측에 설치되는 침수조(200)와, 펠렛난로(1)와 침수조(200)를 연결하는 흡기관(300)과, 침수조(2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400)과, 흡기 관(300)과 대향하여 흡기관(300)이 설치된 침수조(200)의 타측에서 외부로 연통되는 배기관(5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침수조(200)는, 내부에 공간부를 가진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의 탱크(tank)로서, 내부의 공간부에는 물이 저장되는데, 펠렛난로(1)로부터 유입되는 연소가스의 분진은 이 물에 침전되고, 분진이 제거된 연소가스는 배기관(5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펠렛난로(1)와 침수조(200)는 흡기관(300)에 의해 서로 연통되는데, 흡기관(300)의 일단은 펠렛난로(1)의 일측에 구비되는 연소가스 배출구(1a)와 연결되고, 흡기관(300)의 타단은 침수조(200)의 일측에 구비되는 흡기구(200a)와 연결되며, 이 흡기관(300)을 통해 펠렛난로(1)의 연소가스가 침수조(200) 내의 공간부로 유입된다.
한편, 침수조(200)의 공간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400)이 서로 이격하여 침수조(200)의 상측과 하측에 대하여 지그재로 설치되는데, 이때 격벽(4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수조(200)의 바닥면에서 수직으로 상향 설치되는 제1격벽(410)과, 침수조(200)의 천장에서 수직으로 하향 설치되는 제2격벽(420)을 포함하며, 제1격벽(410)과 제2격벽(420)의 두께와 길이 등의 규격 및 갯수는 설계조건에 따라 사용자가 자유롭게 선택 가능하다.
여기서, 제1격벽(410)과 제2격벽(420)이 서로 이격하여 순차적으로 설치됨에 따라, 침수조(200) 내로 유입된 연소가스는 제1격벽(410)과 제2격벽(420)에 의해 형성되는 통로를 따라 침수조(200) 내부를 상하 지그재그로 통과하게 되며, 이때 연소가스 내에 포함된 미세한 분진 등의 오염입자들은 침수조 내에 저장된 물속에 함침되거나, 격벽(400)에 습기와 함께 부착됨으로써 필터링(filtering) 된다.
이때, 제1격벽(410)에서 물에 잠기는 하단부에는 제1격벽(410)을 통과하여 물이 원활하게 유동되도록 다수의 통공(41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격벽(420)의 상단부에도 다수의 통공(4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연소가스가 제2격벽(420)의 통공(421)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분진이 제2격벽(420)에 부딪혀 부착되거나 아래의 물로 떨어져 침전되게 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과정을 거친 연소가스는 배기관(500)을 통해 침수조(2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 배기관(500)은 흡기관(300)의 반대방향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배기관(500)의 일측에는 활성탄 필터(510)가 구비되어 연소가스로부터 냄새와 함께 미세오염입자들을 한번 더 걸러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펠렛난로의 집진장치(100)는 필요시마다 분진 등 미세입자가 함침된 물을 교체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침수조(200)의 하부에는 내부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210)가 형성되고, 이 배수 구(210)를 개폐하기 위한 드레인밸브(211)가 배수구(210)의 일측에 설치된다. 또한, 새로운 물을 침수조(200)에 공급하거나 보충할 때에는 침수조(200) 상측에 구비되는 덮개(240)를 열어 공급 또는 보충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관(300)을 통해 펠렛난로(1)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연소가스를 흡기관(300)의 일측에 설치되는 팬코일 유닛(fan coil unit)(2)으로 순환시킴으로써, 연소가스의 폐열을 회수하는 한편, 팬코일 유닛(2)의 대류난방에 의해 실내를 난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팬코일 유닛(2)은 몸체 내부에 송풍기(2a)와 열교환기(2b)가 구비되며, 팬코일 유닛(2)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널리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그 구조와 작동관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펠렛난로의 집진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펠렛난로(1)에서 펠렛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흡기관(300)을 통해 침수조(200) 내부로 유입된다.
이후, 침수조(200) 내부로 유입된 연소가스는 제1격벽(410)과 제2격벽(420) 및 침수조(200)의 벽면으로 이루어지는 통로를 따라 유동하거나, 제2격벽(421)의 통공(421)을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연소가스에 포함된 분진 등의 오염입자는 침수조(200)에 저장된 물에 함침되거나, 습기에 의해 제1격벽(410) 또는 제2격벽(420) 에 부착되면서 필터링(filtering)된다.
필터링된 연소가스는 배기관(5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데, 배기관(500)에는 활성탄 필터(510)가 구비되어 냄새제거와 함께 미세입자를 한번 더 걸러내게 된다.
오랜 시간 사용시에는, 상당한 양의 분진이 침수조(200) 내의 물에 함침되거나 물의 증발작용에 의해 용량이 감소하면서 필터링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침수조(200) 내에 저장된 물을 교체할 필요가 있는데, 이때는 침수조(200)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는 드레인밸브(211)를 조작하여 배수구(210)를 개방함으로써, 이 배수구(210)를 통해 침수조(200)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고, 침수조(200) 상측의 덮개(240)를 열어서 물을 보충 또는 공급할 수 있다.
한편, 펠렛난로(1)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연소가스를 팬코일 유닛(2)으로 유도함으로써, 연소가스의 폐열을 회수하고 회수된 폐열을 실내난방에 이용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펠렛난로의 집진장치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펠렛난로의 집진장치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펠렛난로 2 : 팬코일 유닛
100 : 펠렛난로의 집진장치 200 : 침수조
200a : 흡기구 210 : 배수구
211 : 드레인밸브
240 : 덮개 300 : 흡기관
400 : 격벽 410 : 제1격벽
411 : 통공 420 : 제2격벽
500 : 배기관 510 : 활성탄 필터
Claims (5)
- 펠렛난로의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침수조;상기 펠렛난로와 상기 침수조의 일측을 연결하여, 상기 펠렛난로의 연소가스가 상기 침수조의 내부로 유입되는 흡기관;상기 침수조의 내부에 서로 이격하여 지그재그로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 및상기 침수조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침수조 내부에 저장된 물을 거치면서 정화된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관;을 포함하는 펠렛난로의 집진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상기 침수조의 바닥면에서 상향 설치되는 제1격벽과, 상기 침수조의 천장에서 하향 설치되는 제2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난로의 집진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상기 제1격벽과 상기 제2격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일측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난로의 집진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배기관의 일측에 활성탄 필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난로의 집진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흡기관의 일측에는 상기 흡기관을 통과하는 연소가스의 폐열을 활용하기 위해 팬코일 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난로의 집진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7409U KR20100012518U (ko) | 2009-06-09 | 2009-06-09 | 펠렛난로의 집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7409U KR20100012518U (ko) | 2009-06-09 | 2009-06-09 | 펠렛난로의 집진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12518U true KR20100012518U (ko) | 2010-12-17 |
Family
ID=44485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90007409U KR20100012518U (ko) | 2009-06-09 | 2009-06-09 | 펠렛난로의 집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12518U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72062B1 (ko) * | 2011-07-29 | 2013-06-07 | 석명천 | 펠릿 온풍기 |
KR101301679B1 (ko) * | 2011-07-21 | 2013-08-30 | 전갑용 | 펠릿 및 장작 겸용 스토브 |
KR200471961Y1 (ko) * | 2013-10-15 | 2014-03-27 | 이용재 | 화목 난로 |
CN104307293A (zh) * | 2014-11-07 | 2015-01-28 | 广西南宁华国环境科技有限公司 | 一种水幕组合除尘装置 |
KR101527753B1 (ko) * | 2014-06-18 | 2015-06-16 | 주식회사 태성이엔텍 | 펠릿 보일러 |
CN105351964A (zh) * | 2015-11-25 | 2016-02-24 | 桃江县源鑫节能科技有限公司 | 一种可快速引燃的燃烧炉 |
KR101658559B1 (ko) * | 2015-04-06 | 2016-09-21 | 김종락 | 펠렛난로 |
KR20220028581A (ko) * | 2020-08-29 | 2022-03-08 | 강효진 | 사계절 다기능 그린 쉼터구조물 |
-
2009
- 2009-06-09 KR KR2020090007409U patent/KR20100012518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1679B1 (ko) * | 2011-07-21 | 2013-08-30 | 전갑용 | 펠릿 및 장작 겸용 스토브 |
KR101272062B1 (ko) * | 2011-07-29 | 2013-06-07 | 석명천 | 펠릿 온풍기 |
KR200471961Y1 (ko) * | 2013-10-15 | 2014-03-27 | 이용재 | 화목 난로 |
KR101527753B1 (ko) * | 2014-06-18 | 2015-06-16 | 주식회사 태성이엔텍 | 펠릿 보일러 |
CN104307293A (zh) * | 2014-11-07 | 2015-01-28 | 广西南宁华国环境科技有限公司 | 一种水幕组合除尘装置 |
KR101658559B1 (ko) * | 2015-04-06 | 2016-09-21 | 김종락 | 펠렛난로 |
CN105351964A (zh) * | 2015-11-25 | 2016-02-24 | 桃江县源鑫节能科技有限公司 | 一种可快速引燃的燃烧炉 |
KR20220028581A (ko) * | 2020-08-29 | 2022-03-08 | 강효진 | 사계절 다기능 그린 쉼터구조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00012518U (ko) | 펠렛난로의 집진장치 | |
KR20080001082U (ko) | 습식 공기정화장치가 구비된 환기유닛 | |
KR20150051698A (ko) | 가정용 보일러의 폐열회수장치 | |
CN202494157U (zh) | 油烟净化一体机 | |
CN202709243U (zh) | 新型油烟净化一体机 | |
CN202195584U (zh) | 一体化锅炉 | |
KR100952198B1 (ko) |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필터조립체 | |
KR101658559B1 (ko) | 펠렛난로 | |
RU2581072C2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и утилизации тепла дымовых газов группы теплогенераторов систем квартирного отопления | |
EP3209942A1 (en) | Multi-purpose furnace system | |
CN105363304A (zh) | 组合式过滤装置 | |
KR101611030B1 (ko) | 화목보일러용 배기가스 집진장치 | |
CN212566924U (zh) | 一种工业炉窑专用蓄热装置 | |
KR102355094B1 (ko) | 고효율 살균형 대기 미세먼지 제거장치 | |
CN209763473U (zh) | 一种高效节能采暖炉 | |
CN108704471A (zh) | 一种用于小型焚烧炉的烟气处理系统及烟气处理方法 | |
CN209034042U (zh) | 一种高温油烟除臭组合处理装置 | |
CN100365351C (zh) | 使用废热减少油量消耗的加热设备 | |
KR100858042B1 (ko) | 화목보일러 | |
RU2464497C2 (ru) | Санитарная приставка для теплогенератора крышной котельной | |
CN104958975A (zh) | 一种工业废气净化装置 | |
KR20200114990A (ko) | 신종합 공기청정기 | |
CN2287512Y (zh) | 一种节能烟气滤清器 | |
CN216062612U (zh) | 生物质燃烧器的除尘装置 | |
CN111780193B (zh) | 一种餐厨油烟净化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0609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00914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1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