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08815A - 눈화장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눈화장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8815A
KR20100008815A KR1020080069385A KR20080069385A KR20100008815A KR 20100008815 A KR20100008815 A KR 20100008815A KR 1020080069385 A KR1020080069385 A KR 1020080069385A KR 20080069385 A KR20080069385 A KR 20080069385A KR 20100008815 A KR20100008815 A KR 20100008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carbon black
polyethylene glycol
present
ey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9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승철
김진준
김동명
채희원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9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8815A/ko
Publication of KR20100008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815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44Elemental carbon, e.g. charcoal, carbon bl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자의 크기가 20 내지 30㎚인 카본블랙을 사용하며, 안료의 분산제로 탄소수가 16 내지 18이고, 중합도가 20 내지 25인 고급알콜의 폴리에틸렌글리콜에테르를 함유하여, 안료의 분산을 안정하게 하여 선명한 흑색을 나타내는 눈화장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카본블랙 1 내지 10중량% 및 탄소수가 16 내지 18이고, 중합도가 20 내지 25인 고급알콜의 폴리에틸렌글리콜에테르 0.1 내지 5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카본블랙, 분산제,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Description

눈화장용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for eye beauty makeup}
본 발명은 흑도를 높이기 위하여 카본블랙을 포함하는 눈화장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래의 흑색산화철을 안료로 사용하는 것과는 달리, 카본블랙 사용하며, 안료의 분산제로서 탄소수가 16 내지 18이고, 중합도가 20 내지 25인 고급알콜의 폴리에틸렌글리콜에테르룰 포함하여 선명하고 짙은 색상을 표현하는데 있어 개선된 효과를 갖고, 또한 안정성도 우수한 마스카라 또는 아이라이너와 같은 눈화장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마스카라 및 아이라이너와 같은 눈화장용 화장료 조성물은 속눈썹 및 눈 주위에 도포되어 눈의 윤곽을 강조하고, 눈매에 아름다움을 줄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카라는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기능으로서 크게 3가지로 눈썹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숱이 많아 보이게 하는 볼륨, 눈썹을 위로 올려주어 눈매가 선명해 보이도록 하는 컬링, 눈썹이 길어 보이게 하는 롱래쉬의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아이라이너는 라인이 선명하고, 강하게 발색되어 눈매가 또렷해 보이는 기능이 있다. 또한 서양 여성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속눈썹이 빈약한 동양 여성들은 마 스카라 화장을 함으로써, 보다 진하고, 선명한 눈매를 표현하는 데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조성물의 색상이 선명하고 강하게 발색되는 것이 중요한 부분이다.
통상적으로 눈화장료가 갖추어야 할 조건들은 눈 주위에 도포되는 것으로 눈에 대한 자극이 없어야 하고, 건조 속도가 빨라 도포 직후에 눈썹 밑에 묻어남이 없으면서도 속눈썹끼리 엉겨 붙거나 땀, 눈물 및 유분에 쉽게 번지지 않으면서, 가루날림이 없도록 균일하게 발릴 수 있어야 하며, 사용 시, 부담감이 없으며, 미생물에 대한 오염가능성이 적고, 세안 시, 쉽게 지워져야 하는 특징을 가져야 한다. 일반적인 흑색의 마스카라 조성물에서는 흑색산화철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산화철의 경우 자성을 띠고 있기 때문에 물에서의 분산성이 우수하지 못하므로 이로 인해 색의 선명도가 다소 떨어지며, 재응집에 의한 경시 변화가 심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기존 성분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저차산화티탄 등이 개발된 바 있는데, 저차산화티탄은 응집성이 적으며, 입도분포가 균일하여 산화철보다는 색상표현력과 분산성이 우수하지만, 여전히 원하는 수준보다 덜한 화장품 제품을 생성시킨다. 또한, 여러 물성이 우수하기는 하나, 상업적인 생산량이 적고 매우 고가인 것도 단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흑도가 높은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해 연구를 거듭한 결과, 안료로 카본블랙 사용하며, 안료의 분산제로서 탄소수가 16 내지 18이고, 중합도가 20 내지 25인 고급알콜의 폴리에틸렌글리콜에테르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한 바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흑도가 높은 마스카라 및 아이라이너 등과 같은 눈화장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카본블랙을 포함하는 눈화장용 화장료 조성물은, 카본블랙 1 내지 10중량% 및 탄소수가 16 내지 18이고, 중합도가 20 내지 25인 고급알콜의 폴리에틸렌글리콜에테르 0.1 내지 5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급알콜의 폴리에틸렌글리콜에테르는 세테스-20, 세테스-25, 이소세테스-20, 세테아레스-20, 세테아레스-25, 스테아레스-20, 스테아레스-21, 스테아레스-25, 올레스-20, 올레스-25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눈화장용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형 유화타입, 유중수형 유화타입, 유분산 타입 또는 수분산 타입 중 어느 하나의 성상을 갖는 것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흑색산화철을 안료로 사용하는 것과는 달리 입자의 크기가 20 내지 30㎚인 카본블랙을 사용하며, 안료의 분산제로서 탄소수가 16 내지 18이고, 중합도가 20 내지 25인 고급알콜의 폴리에틸렌글리콜에테르를 포함하여 안 료의 분산을 안정하게 하여 선명한 흑색을 표현함에 있어 개선된 효과를 갖는 카본블랙을 포함하는 눈화장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본블랙을 포함하는 눈화장용 화장료 조성물은, 카본블랙 1 내지 10중량% 및 탄소수가 16 내지 18이고, 중합도가 20 내지 25인 고급알콜의 폴리에틸렌글리콜에테르 0.1 내지 5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눈화장용 화장료 조성물은 카본블랙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탄소수가 16 내지 18이고, 중합도가 20 내지 25인 고급알콜의 폴리에틸렌글리콜에테르를 분산제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흑도를 증가시키는 눈화장용 화장료 조성물을 위해서는 안료의 입자가 미세하여야 하며, 미세한 입자를 안정하게 분산하여야 한다. 즉, 안료가 색상을 표현하는 부분에 방해요인을 제거해야 한다. 입자가 미세한 안료로는 입자의 크기가 20 내지 30㎚인 카본블랙을 사용하는 것이 대략 300㎚인 흑색산화철을 사용하는 것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카본블랙을 분산하는 것에는 화장품 조성물에서 계면활성제로 쓰이는 탄소수가 16 내지 18이고, 중합도가 20 내지 25인 고급알콜의 폴리에틸렌글리콜에테르를 분산제로서 사용하여 미세한 입자의 상태로 속눈썹이나 눈주위에 도포되어 흑도를 개선할 수 있다. 상기에서 눈화장용 화장료 조성물은 마스카라 및 아이라이너 등과 같이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며, 통상의 아이라이너 조성물은 주로 점증제 및 피막형성제를 포함하며, 통상의 마스카라는 이에 유화제 및 왁스성분 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마스카라나 아이라이너의 조성 및 제조방법 등은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임은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카본블랙은 눈화장용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상기 카본블랙이 1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안료의 양이 너무 적어 색상 효과를 얻기 어려워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점도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사용감이 좋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카본블랙을 분산시키기 위한 분산제로서는 탄소수가 16 내지 18이고, 중합도가 20 내지 25인 고급알콜의 폴리에틸렌글리콜에테르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 분산제는 0.1 내지 5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산제가 0.1중량% 미만의 양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분산이 어려워 색상 효과를 얻기 어려워지거나, 점도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사용감이 좋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카본블랙입자들의 조성물 중에서의 안정성이 좋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분산제가 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분산제가 과량으로 첨가되어 점도에 영향을 미치며, 너무 많은 기포를 형성시켜 사용감이 좋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고급알콜의 폴리에틸렌글리콜에테르는 세테스-20, 세테스-25, 이소세테 스-20, 세테아레스-20, 세테아레스-25, 스테아레스-20, 스테아레스-21, 스테아레스-25, 올레스-20, 올레스-25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이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고급알콜의 폴리에틸렌글리콜에테르는 국내외 유수의 제조업자들에 의해 상용적으로 제공되어 장업 분야에서 숙련된 자에게는 이를 용이하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눈화장용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형 유화타입, 유중수형 유화타입, 유분산 타입 또는 수분산 타입 중 어느 하나의 성상을 갖는 것이 될 수 있다. 장업 분야에서 숙련된 자에게는 수중유형 유화타입, 유중수형 유화타입, 유분산 타입 또는 수분산 타입의 화장료의 제조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음은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마스카라 및 아이라이너 조성물의 구성 및 그 작용효과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과 2 및 비교예 1 내지 3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단위 : 중량%)로 실시예 1과 2 및 비교예 1 내지 3의 마스카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1.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2.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1.0 1.0 1.0 1.0 1.0
3. 폴리비닐알코올 3.0 3.0 3.0 3.0 3.0
4. 트리에탄올아민 4.0 4.0 4.0 4.0 4.0
5. 흑색산화철 - - - 3.0 10.0
6. 카본블랙 3.0 3.0 3.0 - -
7. 세테스-25 1.0 0.5 - - -
8. 스테아레스-20 - 0.5 - - -
9. 실리카 1.0 1.0 1.0 1.0 1.0
10. 마이카 1.0 1.0 1.0 1.0 1.0
11. 셀룰로우즈파우더 1.0 1.0 1.0 1.0 1.0
12. 밀납 6.0 6.0 6.0 6.0 6.0
13. 카르나우바납 5.0 5.0 5.0 5.0 5.0
14. 파라핀 4.0 4.0 4.0 4.0 4.0
15. 스테아린산 8.0 8.0 8.0 8.0 8.0
16. 팔미틱산 - - - - -
17.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0 1.0 1.0 1.0 1.0
18. 폴리소르베이트 20 2.0 2.0 2.0 2.0 2.0
19.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멀젼 20.0 20.0 20.0 20.0 20.0
제조방법
(1) 원료 1 내지 6들을 평량하여 75℃로 가열하면서 혼합하였다.
(2) 상기 (1)에서 수득된 혼합물에 원료 7 내지 10들을 넣고 혼합하였다.
(3) 원료 10 내지 17들을 82℃로 가열하면서 용해 및 혼합시켰다.
(4) 상기 (2)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상기 (3)에서 수득된 혼합물에 서서히 가하면서 혼합하여 유화시킨 후, 60℃로 냉각시킨다.
(5) 상기 (4)에서 수득된 혼합물에 원료 18를 혼합 후 30℃로 냉각시켰다.
실험예 1
기존의 방법으로 제조한 비교예 1, 2, 3의 마스카라 제품과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한 실시예 1, 2의 마스카라 제품을 20 내지 35세의 여성 50명을 대상으로 품질평가를 실시하였다.
비교항목으로는 각 제품들의 색상표현력, 발림성, 밀착력, 지속성, 자극없음으로 하였으며, 각 항목들을 품평한 후, 0 내지 5점까지의 점수를 주도록 하여 그 평균점수를 산출하였다. 데이터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5회 반복 실시하고, 그 평균점수를 산출하여 품질평가 점수로 하였으며, 이를 4단계(1 미만, 1 내지 2.5, 2.6 이상 4 미만, 4 이상)로 구분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색상표현력
발림성
밀착력
지속성
자극없음
품질평가 점수 ; 1 미만 : X, 1 내지 2.5 : △, 2.6 이상 4 미만 : ○, 4 이상 : ◎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안료로 카본블랙을 사용하고 분산제로서 탄소수가 16 내지 18이고, 중합도가 20 내지 25인 고급알콜의 폴리에틸렌글리콜에테르를 사용한 실시예 1 및 2의 경우, 종래의 마스카라 조성물을 나타내는 비교예들에 비하여 색상표현력이 우수해짐과 동시에 발림성이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상기의 실시예 1과 2 및 비교예 1, 2, 3의 마스카라 조성물의 안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각 조성물을 5℃, 40℃ 및 50℃ 항온조에서 각각 한 달간 보관하여 그 상태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한달 후의 내용물 상태를 살펴보았을 때, 내용물 분리현상이 전혀 없으면 아주 우수, 분리층의 높이가 1㎜ 미만이면 우수, 1 내지 2㎜인 경우 보통, 2㎜ 초과의 상태인 경우는 나쁨으로 평가하였다.
시험항목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5℃
40℃
50℃
나쁨 : X, 보통 : △, 우수 : ○, 아주 우수 : ◎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안료로 카본블랙을 사용하고 분산제로서 탄소수가 16 내지 18이고, 중합도가 20 내지 25인 고급알콜의 폴리에틸렌글리콜에테르를 사용한 실시예 1과 2의 마스카라가 탄소수가 16 내지 18이고, 중합도가 20 내지 25인 고급알콜의 폴리에틸렌글리콜에테르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의 마스카라 보다 안정성면에서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흑색산화철을 사용하는 비교예 2 및 비교예 3은 비교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전체적인 실시예 1, 2는 마스카라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색의 선명성이 특히 강조되는 눈 주위에 사용되는 눈화장용 조성물인 아이메이크업의 전반적인 제품 즉 아이라이너 등에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본 발명의 내용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 업자에게 자명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마스카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아이메이크업 제품 중 특히 아이라이너는 마스카라와 동일하게 안료의 분산이 매우 중요하며, 아이라이너의 여러 제형특성 즉, 유중수형 유화타입, 수중유형 유화타입, 유분산타입, 수분산타입 등 모든 제형에 카본블랙의 분산제로서 탄소수가 16 내지 18이고, 중합도가 20 내지 25인 고급알콜의 폴리에틸렌글리콜에테르를 사용하는 경우, 안정도 및 색상표현력이 탁월한 제품 개발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장품 제조산업 등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3)

  1. 카본블랙 1 내지 10중량% 및 탄소수가 16 내지 18이고, 중합도가 20 내지 25인 고급알콜의 폴리에틸렌글리콜에테르 0.1 내지 5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블랙을 포함하는 눈화장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가 16 내지 18이고, 중합도가 20 내지 25인 고급알콜의 폴리에틸렌글리콜에테르가 세테스-20, 세테스-25, 이소세테스-20, 세테아레스-20, 세테아레스-25, 스테아레스-20, 스테아레스-21, 스테아레스-25, 올레스-20, 올레스-25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블랙을 포함하는 눈화장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눈화장용 화장료 조성물이 수중유형 유화타입, 유중수형 유화타입, 유분산 타입 또는 수분산 타입 중 어느 하나의 성상을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블랙을 포함하는 눈화장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80069385A 2008-07-17 2008-07-17 눈화장용 화장료 조성물 Ceased KR201000088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385A KR20100008815A (ko) 2008-07-17 2008-07-17 눈화장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385A KR20100008815A (ko) 2008-07-17 2008-07-17 눈화장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815A true KR20100008815A (ko) 2010-01-27

Family

ID=41817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9385A Ceased KR20100008815A (ko) 2008-07-17 2008-07-17 눈화장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881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477B1 (ko) * 2010-12-09 2013-04-11 (주)아모레퍼시픽 눈 화장품 제조방법
KR101282572B1 (ko) * 2011-01-14 2013-07-04 한국콜마주식회사 눈화장용 화장료 조성물
ITMI20120430A1 (it) * 2012-03-19 2013-09-20 Intercos Italiana Composizione cosmetica di colore nero, pennarello per l'emissione di tale composizione ed uso di tale pennarello per il trattamento delle palpebre.
KR20220139013A (ko) 2021-04-07 2022-10-14 주식회사 지앤브이코스메틱 고발색 수분형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477B1 (ko) * 2010-12-09 2013-04-11 (주)아모레퍼시픽 눈 화장품 제조방법
KR101282572B1 (ko) * 2011-01-14 2013-07-04 한국콜마주식회사 눈화장용 화장료 조성물
ITMI20120430A1 (it) * 2012-03-19 2013-09-20 Intercos Italiana Composizione cosmetica di colore nero, pennarello per l'emissione di tale composizione ed uso di tale pennarello per il trattamento delle palpebre.
KR20220139013A (ko) 2021-04-07 2022-10-14 주식회사 지앤브이코스메틱 고발색 수분형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3688895T2 (de) Kosmetisches Mittel.
KR102692678B1 (ko) 혼합 사용이 가능한 채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91864A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CN114929186A (zh) 嘴唇用固体化妆品
KR101227822B1 (ko)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KR20190080447A (ko)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013619B1 (ko) 에멀젼 바인더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100008815A (ko) 눈화장용 화장료 조성물
JP6113654B2 (ja) 睫用化粧料
KR101114201B1 (ko) 색소 분산제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822003B1 (ko)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604972B1 (ko) 비누베이스를 포함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07522A (ko)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474932B1 (ko) 망이 있는 자르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JPH0525845B2 (ko)
CN110251410A (zh) 一种根据人体酸碱值显色的唇膏及其制备方法
DE202019101289U1 (de) Kosmetische Zubereitung und kosmetischer Stift
KR101199182B1 (ko) 전처리한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72315B1 (ko) 헥토라이트, 미세 분쇄 안료를 함유하는 크림형태의 아이라이너 화장료 조성물
KR101803403B1 (ko) 아이-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94478A (ko) 왁스 레진 베이스를 포함하는 눈 화장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422386B1 (ko) 오일케익용 화장료 조성물
JPWO2005028567A1 (ja) 青色着色薄片およびそれを配合した化粧料、塗料組成物、樹脂組成物およびインキ組成物
KR102421412B1 (ko) 눈화장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39112B1 (ko) 고발색 수분형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8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12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8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