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6048U - Reading desk for attaching to wall surface - Google Patents
Reading desk for attaching to wall surfa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06048U KR20100006048U KR2020080016194U KR20080016194U KR20100006048U KR 20100006048 U KR20100006048 U KR 20100006048U KR 2020080016194 U KR2020080016194 U KR 2020080016194U KR 20080016194 U KR20080016194 U KR 20080016194U KR 20100006048 U KR20100006048 U KR 20100006048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tary
- book
- support
- rod
- connecting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438 eyes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Landscapes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책받침대를 포함하는 벽면 부착용 독서대로서, 벽면 부착을 위한 진공흡착구; 상기 진공흡착구에 의해 지지되는 로터리지지구; 상기 로터리지지구에 대하여 상기 벽면에 직교하는 평면 상에서 360°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회전 연결구; 상기 제1 회전 연결구에 대하여 일단이 상기 제1 회전 연결구의 회전 평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면 상에서 경사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높이조절부; 상기 높이조절부의 타단에 상기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평면 상에서 180°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책받침대를 상기 높이조절부에 대하여 좌측 또는 우측으로 위치가능하게 하는 제2 회전 연결구; 상기 제2 회전 연결구의 회전 평면에 직교하는 평면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일단이 연결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조절부; 및 상기 길이조절부에 대하여 책받침대의 상하부가 역전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책받침대를 포함하는 벽면 부착용 독서대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ll-mounted reading table including a book support, vacuum suction port for wall attachment; A rotary support supported by the vacuum suction port; A first rotational connector rotatably installed 360 ° on a plane orthogonal to the wall surface with respect to the rotary support; A height adjusting part whos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al connector so as to be inclined adjustable on a plane orthogonal to the rotation plane of the first rotational connector and extends upwardly; A second rotational connecto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height adjustment part so as to be rotatable 180 ° on a plane including the height adjustment part so as to position the book rest left or right with respect to the height adjustment part; A length adjusting part having one end connected in a plane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plane of rotation of the second rotary connector and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it provides a wall-mounted reading table including a book support that is rotatably coupled so th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ook support relative to the length adjustment unit.
화장실, 독서대 Toilet, reading stand
Description
본 고안은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실에서 벽면에 부착된 상태로 사용가능한 화장실을 위한 벽면 부착용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ding stand,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ll-mounted reading stand for the toilet that can be used in a state attached to the wall in the bathroom.
일반적으로 독서대는 책을 사용자의 시선과 동일한 높이로 유지하고 책과의 거리를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목을 숙이지 않고 정면시야로 책을 보면 목에 부담이 가지 않고 장시간 바른 자세로 공부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공지된 독서대는 책받침판과 책받침판의 후면에 다수의 걸림턱을 구비하여 책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In general, the reading stand keeps the book at the same height as the user's eyes and maintains the proper distance from the book. It is used to make it possible. Known reading stand is designed to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book with a plurality of locking jaw on the back of the book support plate and the book support plate.
도 1 은 공지된 독서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책의 후면을 지지하는 책받침판(1)과 책받침판(1)을 소정 각도로 조절하기 위한 걸림턱(6)이 형성된 지지판(4) 및 책의 일측과 타측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8)을 구비한다. 그러한 이러한 종래의 독서대는 책상이 아닌 장소에서는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known reading stand, the support plate (4) formed with a support plate (1) for supporting the back of the book and a locking step (6) for adjusting the book support plate (1)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
독서대는 목에 부담을 주지 않는 편안한 자세로 장시간 독서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등, 목, 척추 등의 휨방지 및 시력 보호를 할 수 있으므로, 보다 다양한 환 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독서대 개발에 대한 요구가 앞으로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요구 중의 하나로서, 화장실에서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독서대에 대한 요구가 있다. The reading stand can be used for a long time in a comfortable posture that does not burden the neck to prevent bending of the back, neck and spine and to protect eyesight. Therefore, there is a great demand for developing a reading stand that can be used in a variety of environments. It is important. One such need is the need for a reading desk that can be used comfortably in the bathroom.
특히, 근래에는 화장실이 환경이 개선됨에 따라, 화장실이 종래의 단순한 배변 및 샤워 등의 기능을 넘어 독립된 휴식 공간으로 인정되고, 바쁜 아침 시간에 신문을 읽기 위한 별도의 시간을 마련하기 어려운 사람들은 좌변기에 앉아서 신문, 책 등을 읽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사람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화장실 벽면에 자유로이 탈부착하면서도 원하는 위치에 책을 거치시켜 사용할 수 있는 독서대가 필요하다. In particular, as the toilet is improved in recent years, the toilet is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rest space beyond the function of a conventional toilet and shower, and people who have difficulty in preparing a separate time for reading a newspaper on a busy morning are often There are a growing number of people sitting in the park reading newspapers and books. In order to meet the needs of these people, there is a need for a reading stand that can be freely attached to a toilet wall and mounted on a desired location.
본 고안은 화장실의 벽면 공간에 자유로이 탈부착 가능하면서도 부착 벽면의 위치 예컨대 사용자를 기준으로 전면, 좌측면, 우측면 등에 부착되는 경우에 책받침대를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켜 책 등을 거치할 수 있는 벽면 부착용 독서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reely attached to the wall space of the toilet, but when attached to the position of the attachment wall, such as the front, left side, right side, etc. based on the user, the wall stand reading stand that can be placed on the desired position to place the book, etc.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책받침대를 포함하는 화장실 벽면 부착용 독서대로서, 벽면 부착을 위한 진공흡착구; 상기 진공흡착구에 의해 지지되는 로터리지지구; 상기 로터리지지구에 대하여 상기 벽면에 직교하는 평면 상에서 360°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회전 연결구; 상기 제1 회전 연결구에 대하여 일단이 상기 제1 회전 연결구의 회전 평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면 상에서 경사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높이조절부; 상기 높이조절부의 타단에 상기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평면 상에서 180°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책받침대를 상기 높이조절부에 대하여 좌측 또는 우측으로 위치가능하게 하는 제2 회전 연결구; 상기 제2 회전 연결구의 회전 평면에 직교하는 평면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일단이 연결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조절부; 및 상기 길이조절부에 대하여 책받침대의 상하부가 역전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책받침대를 포함하는 벽면 부착용 독서대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s a reading wall for reading the toilet wall including a book holder, a vacuum suction port for wall attachment; A rotary support supported by the vacuum suction port; A first rotational connector rotatably installed 360 ° on a plane orthogonal to the wall surface with respect to the rotary support; A height adjusting part whos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al connector so as to be inclined adjustable on a plane orthogonal to the rotation plane of the first rotational connector and extends upwardly; A second rotational connecto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height adjustment part so as to be rotatable 180 ° on a plane including the height adjustment part so as to position the book rest left or right with respect to the height adjustment part; A length adjusting part having one end connected in a plane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plane of rotation of the second rotary connector and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it provides a wall-mounted reading table including a book support that is rotatably coupled so th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ook support relative to the length adjustment unit.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로터리지지구는 하부면이 상기 진공흡착구에 고정되며, 상부면에 원통형이 회전홈이 형성되며, 측면으로 상기 회전홈과 연통되고 고정나사가 체결되는 나사홀이 구비되어, 상기 원통형 회전홈에 결합되는 원통형 돌출부를 구비한 제1 회전 연결구가 상기 로터리지지구에 대하여 36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ry support has a lower surface fixed to the vacuum suction port, a cylindrical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 side is provided with a screw hole in communication with the rotating groove and fastening the fixing screw, A first rotational connector having a cylindrical protrusion coupled to the cylindrical rotation groove is rotatably supported about 360 ° with respect to the rotary support.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제1 회전 연결구는 두 개의 플레이트가 마주보는 형태의 플레이트형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높이조절부의 일단에는 상기 플레이트형 연결부에 개재되는 원판형 연결부를 구비하되, 상기 플레이트형 연결부는 상기 원판형 연결부의 중심에 형성된 회전축홀가 일치하는 회전축홀를 구비하며, 상기 플레이트형 연결부에는 상기 회전축홀의 하부에 고정나사 체결을 위한 나사홀을 구비하며, 상기 원판형 연결부에는 상기 나사홀을 통해 체결된 고정나사의 단부가 위치하고 높이조절부의 조절 경사각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진 호형 회전각 규제홈이 형성되어, 상기 호형 회전각 규제홈의 양 단부가 고정나사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 기능을 하도록 구성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otary connector is provided with a plate-shaped connecting portion of the two plates facing each other, one end of the height adjustment portion is provided with a disk-shaped connecting portion interposed in the plate-shaped connecting portion, the plate-type connecting portion The rotating shaft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disk-shaped connec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rotation shaft hole, the plate-shaped connec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screw hole for fastening the fixing screw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shaft hole, the disk-shaped connecting portion is fastened through the screw hole The end of the fixed screw is positioned and the arc-shaped rotation angle restriction groove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adjustment inclination angle of the height adjustment portion is formed, both ends of the arc rotation angle regulation groove is configured to function as a locking step to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fixing screw do.
본 고안에 의하면 높이조절부는, 일단에 상기 제1 회전 연결구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경사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원판형 연결구를 구비한 제1 봉재; 타단에 상기 제2 회전 연결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기 제1 봉재의 내경에 삽입 및 인출되는 것에 의해 전체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제2 봉재; 상기 제1 봉재 및 제 2 봉재의 내주면에 함께 맞물리는 홀이 형성된 고정홀과 외부 측면부터 상기 고정홀까지 절개되어 형성된 갭을 포함하여, 상기 갭과 교 차방향으로 형성된 나사홀을 통해 체결되는 고정나사에 의해 상기 갭이 좁여지면서 상기 제1 및 제2 봉재가 고정홀 내부에서 가압 고정되게 하는 봉재 고정구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adjustment portion, the first rod having a disk-shaped connector that is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al connector so that the tilt adjustment is possible; A second rod including a connection portion rotatably supporting the second rotary connector at the other end, and allowing the entire length to be adjusted by being inserted into and drawn out from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rod; Fixing fastened through a screw hole formed in the cross direction with the gap, including a fixing hole formed 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and the gap formed by cutting from the outer side to the fixing hole It includes a bar fixture for narrowing the gap by a screw and the first and the second bar is pressed in the fixing hole.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제2 회전 연결구는 반원형 연결부와 상기 반원형 연결부 측면으로 구비된 블럭형태의 회전지지구를 포함하되, 상기 반원형 연결부는, 상기 높이조절부의 타단에 형성되는 플레이트가 마주보는 형태의 연결부에, 상기 연결부의 상기 플레이트와 평행한 평면 상에서 180°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회전지지구는 상기 연결부의 상기 플레이트와 직교하는 평면으로 배치되는 상부면에 원통형의 회전홈을 구비하여 상기 길이조절부 일단의 회전 연결부의 하면으로 돌출된 원통형 돌출부가 360°회전가능하게 삽입되게 하며, 측면으로 상기 회전홈에 연통되어 상기 원통형 돌출부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나사가 체결될 수 있는 나사홀을 구비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rotary connector includes a semi-circular connector and a block-shaped rotary support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emi-circular connector, the semi-circular connector, the plate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height adjustment portion facing The connecting portion is rotatably connected by 180 ° on a plane parallel to the plate of the connecting portion, the rotation support is provided with a cylindrical rotating groove on the upper surface disposed in a plane orthogonal to the plate of the connecting portion to adjust the length A cylindrical protrusion protruding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otary connection of one end portion is rotatably inserted 360 °, and has a screw hole to which a fixing screw which can communicate with the rotating groove to the side to fasten the cylindrical protrusion can be fastened. .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길이조절부는, 일단에 상기 제2 회전 연결구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연결부를 구비하는 제3 봉재; 타단에 상기 책받침대를 360°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책받침대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3 봉재의 내경에 삽입 및 인출되는 것에 의해 전체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제4 봉재; 및 봉재 고정구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a third rod having a rotary connection portion rotatably connect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rotary connector at one end; A fourth rod having a book rest connect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book rest rotatably at 360 ° on the other end, and allowing the entire length to be adjusted by being inserted into and withdrawn from the inner diameter of the third rod; And a bar fixture.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책받침대는, 상기 길이조절부의 단부에 형성된 책받침대 연결부에 상하 역전이 가능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책의 후면을 지지하는 책지지판과, 책의 하면을 지지하는 책받침판과, 상기 책지지판의 측면 방향으 로 연장될 수 있는 'ㄷ'자 형태의 확장지지편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ok suppor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ok support connecting portion formed at the end of the length adjustment portion so as to be reversed, the book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the back of the book, the book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book And, it includes an expansion support piece of the 'c' shape that can exten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book support plate.
본 고안에 따른 화장실 벽면 등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벽면 부착용 독서대에 의하면, 화장실의 벽면 공간에 자유로이 탈부착 가능하면서도 부착 벽면의 위치에 관계없이 책받침대를 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사용자를 기준으로 전면, 좌측면, 우측면에 부착되는 경우라도 각 부분들의 관절 구조에 의하여 책받침대를 원하는 소정의 위치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립 및 해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wall-mounted reading stand used for attaching to the bathroom wall, et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reely detachable to the wall space of the bathroom, but it is possible to position the book rest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wall. For example, even when attached to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s with respect to the user, it is possible to position the book rest in a desired position by the joint structure of the respective parts. In addition, the user can easily assemble and dismant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 2 및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벽면 부착용 독서대의 정면 사시도 및 후면 사시도이다. 2 and 3 are a front perspective view and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wall-mounted reading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화장실에서의 사용을 위한 벽면 부착용 독서대는, 진공흡착구(10), 로터리지지구(40), 제1 회전 연결구(50), 높이조절부(80), 제2 회전 연결구(100), 길이조절부(130) 및 책받침대(14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wall-mounted reading stand for use in the bath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4 내지 도 6 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실에서의 사용을 위한 벽면 부착용 독서대의 진공흡착구(10)를 도시한 도면이다. 진공흡착구(10)는 화장실의 벽면에 본 고안에 따른 벽면 부착용 독서대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4 to 6 is a view showing the
도 2 내지 도 6 을 참조하면, 진공흡착구(10)는 가압하여 누르면 벽면 상에 진공 흡착되어 결합하는 고무 재질의 흡착패드(11)와, 상기 흡착패드(11)의 중심부로부터 후면으로 연장되며 단부에 힌지공(13)이 형성된 포스트(14)와, 흡착패드(11)의 후면에 안착되는 가압구(15)와, 상기 가압구(15)의 후면으로 배치되어 가압구(15)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 손잡이(20)를 포함한다. 2 to 6, the
흡착패드(11)는 가장자리를 따라 후면으로 돌출된 링형 돌출부(12)를 구비하며, 가압구(15)의 외주면이 흡착패드(11)의 후면의 링형 돌출부(12)와 내측에서 외측으로 가압하는 형태로 가압구(15)가 흡착패드(11)의 후면에 안착된다. 후면으로 중심부에는 원통형 받침부(16)가 구비되고, 받침부(16)에는 포스트(14)가 통과하는 홀(1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원통형 받침부(16)의 외주면에는 나사체결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The
가압 손잡이(20)는 포스트(14)의 힌지공(13)에 결합되는 힌지핀(19)이 삽입되는 힌지홀(21)이 형성된 가압부(22)와, 상기 가압부(22)로부터 연장된 손잡이(25)로 구성된다. The
힌지홀(21)은 가압구(15)의 받침부(16)의 후측 표면과 접촉하는 가압부(22)의 접촉면에 대하여 편심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가압부(22)는 힌지홀(21)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운 외주면인 릴리즈면(23) 및 힌지홀(21)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외주면인 가압면(24)을 구비한다. 따라서 손잡이(25)를 잡고서 가압부(22)를 회동시키면 힌지핀(19)을 회전축으로 하여 가압부(22)가 회전하게 된다. 가압 전 상태에서는 받침부(16)의 후측 표면과 릴리즈면(23)이 접촉하고 있다가 손잡이(25)의 회 전에 의해 가압부(22)가 회전하면 받침부(16)의 후측 표면과 접촉하는 면이 가압면(24)으로 변경되는 데, 가압면(24)과 접촉시 받침부(16)와 힌지핀(19) 사이의 거리가 증대되는바, 증대된 거리만큼 포스트(14)를 당기게 되고, 이에 의해 가압구(15)가 가압부(22)에 의해 가압되어 흡착패드(14)를 향해 눌려진다. 이에 따라 가압구(15)가 흡착패드(11)를 눌러 부착 벽면에 밀착시키면서 진공흡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The
도 6 을 참조하면, 진공흡착구(10)의 가압구(15)의 받침부(16)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산을 매개로 결합지지구(30)가 결합된다. 결합지지구(30)는 로터리지지구(40)를 위한 고정면(34)이 형성된 부재로서, 결합지지구(30)의 고정면(34)에는 로터리지지구(40)가 볼팅 체결 등에 의해 고정된다. Referring to FIG. 6, a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본 고안의 실시예는 결합지지구(30)를 별도의 부재로 설명하고 있으나, 결합지지구(30)는 가압구(15)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공지된 다른 고정 방식에 의해 가압구(15)와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s the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진공흡착구(10)에는 로터리지지구(40)가 결합된다.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로터리지지구(40)를 도시한 도면이다. 2 and 3, the
도 7 을 참조하면, 로터리지지구(40)는 결합지지구(30)를 매개로 진공흡착구(10)에 결합되어 하중을 진공흡착구(10)로 전달하면서 관련 부품들을 지지한다. Referring to FIG. 7, the
로터리지지구(40)는 하부면(41)이 결합지지구(30)에 볼팅 등에 의해 고정되며, 상부면에는 제1 회전 연결구(50)와의 결합을 위한 원통형의 회전홈(42)이 형성되며, 측면으로 상기 회전홈(42)과 연통되며 고정나사(5)가 나사체결되는 나사 홀(43)이 형성된다. 회전홈(42)은 원통형 홈으로 형성되므로 결합되는 제1 회전 연결구(50)를 360°회전이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1 회전 연결구(50)는 진공흡착구(10)가 부착되는 평면 상에서 360°회전가능하다. The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로터리지지구(40)에는 제1 회전연결구(50)가 360°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회전연결구(50)를 도시한 도면이다. 2 and 3, the first
도 8 을 참조하면, 제1 회전 연결구(50)는 하면으로 로터리지지구(40)의 회전홈(42)에 삽입되는 원통형 돌출부(52)를 구비하며,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오목한 결합 안내홈(5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에는 두 개의 플레이트가 마주보는 형태의 플레이트형 연결부(54)가 구비된다. Referring to FIG. 8, the first
원통형 돌출부(52)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비구속 상태(고정나사로 고정하기 전 상태)에서는 로터리지지구(40)의 회전홈(42) 내에서 360°회전이 가능하며, 로터리지지구(40)의 나사홀(43)을 통해 체결되는 고정나사(5)에 의해 원통형 돌출부(52)의 결합 안내홈(53) 부분이 가압되어 고정된다. 즉, 360° 회전 상태에서 방향을 전환한 후, 소정의 배치 상태로 단단히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Since the
결합 안내홈(53)이 원통형 돌출부(52)의 외주면에 대하여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므로 고정나사(55) 체결시 상하 방향 이탈 및 슬립 이동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Since the
플레이트형 연결부(54)는 높이조절부(80)의 일단에 위치하는 원판형 연결부(64)가 삽입가능하게 두 개의 플레이트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형성되며, 측면 방향으로 관통하여 회전축 삽입을 위한 회전축 홀(55)이 형성되며, 일측 회전축 홀(55)의 아래로 고정나사(5)의 체결을 위한 나사홀(56)이 형성되어 있다. Plate-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높이조절부(80)는 제1 봉재(60)와 상기 제1 봉재(60)의 내경에 슬라이딩 삽입 및 인출되면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제2 봉재(70) 및 상기 제1 봉재(60) 및 제2 봉재(70)를 함께 고정하는 봉재 고정구(90)를 포함한다. 도 9 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부(80)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도 9 를 참조하면, 제1 봉재(60)의 일측으로는 원판형 연결부(64)가 구비되어, 제1 회전 연결구(50)의 두 개의 플레이트로 된 플레이트형 연결부(54) 사이에 개재되는 형태로 결합된다. 원판형 연결부(64)는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중심부를 관통하여 회전축이 삽입되기 위한 회전축홀(65)이 형성되어 있으며, 표면에는 회전축홀(65)을 반경의 중심으로 하여 호형으로 연장되는 오목한 호형 회전각 규제홈(66)이 형성된다. 9, a disc-shaped connecting
제1 회전 연결구(50)의 플레이트형 연결부(54)의 두 플레이트 사이에 제1 봉재(60) 일단의 원판형 연결부(64)가 삽입되어 회전축홀(55, 65)을 관통하여 회전축이 삽입됨으로써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회전 연결구(5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높이조절부(80)가 조절된 후에는 플레이트형 연결부(54)의 나사홀(56)을 통해 체결되는 고정나사(5)가 단부가 호형 회전각 규제홈(66) 내에 위치하는 상태로 단단히 조여짐으로서 소정의 각도로 높이조절부(80)가 조절된다. 이러한 연결에 의해 높이조절부(80)는 제1 회전 연결구(50)가 회전하는 평면(도 2 를 기준으로 볼때, XY 평면)과 교차하는 가상의 평면 내(도 2 를 기준으로 볼 때 YZ 평면)에서 조절되 면서 경사가 조절된다. 즉, 높이조절부(80)는 제1 회전 연결구(50)의 회전 평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면 상에서 회전축홀(55, 65)에 체결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경사각이 조절된다. Between the two plates of the plate-shaped connecting
호형 회전각 규제홈(66)은 고정나사(5)의 단부가 호형 회전각 규제홈(66) 내에서 슬립되는 경우에도, 양 단부를 넘어서 슬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바, 높이조절부(8)가 소정 각도 이상으로 아래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arc-shaped rotation
화장실에서 사용되는 벽면 부착용 독서대는 사용 환경의 특성상 화장실 바닥면에 물기가 있을 수 있고, 또한 욕조에서 독서가 가능하도록 설치된 경우 후술하는 책받침대는 욕조의 상부로 위치할 수 있다. The wall-mounted reading stand used in the bathroom may have water on the bottom of the bathroom due to the nature of the use environment, and when the reading stand is installed to enable reading in the bath, the book stand described later may be positioned above the bath.
따라서 물기 또는 책 하중의 과다 또는 사용자의 실수로 부분적으로 고정나사의 체결력이 약화되어 슬립 이동이 일어나더라도 소정 높이 이하로 책받침대(140)가 하강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구조상 진공흡착구(10)가 화장실의 일측 벽면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예기치 않은 모멘트에 의해서도 책받침대(140)가 소정 높이 밑으로 하강하지 않도록 안전구조를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고정나사(5)의 단부가 호형 회전각 규제홈(66) 내부에 위치하므로 호형 회전각 규제홈(66)의 양 단부는 물리적인 방어턱을 형성하므로, 소정 각도 이하로 높이조절부(8)가 경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슬립 이동에 따른 위험성을 최소화시킨다.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the
제1 봉재(60)와 제2 봉재(70)는 원통형 봉재로 형성되고, 제1 봉재(60)의 내경을 따라 제2 봉재(70)가 삽입 또는 인출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즉, 제2 봉 재(70)가 제1 봉재(60)에 삽입되는 길이에 따라 높이조절부(80)의 길이 즉, 높이가 조절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봉재(70)는 제1 봉재(60)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제1 봉재(60) 및 제2 봉재(70)는 봉재 고정구(90)에 의해 길이조절된 상태로 고정된다. The
봉재 고정구(90)는 사각형상의 블록으로 형성되어 중심부로 제1 및 제2 봉재(60,70)의 외경에 대응되는 부분을 가진 고정홀(92)이 형성된다. 고정홀(92)에서 제1 봉재(60)에 대응하는 부분은 제1 봉재(60)의 외경에 대응되어 제1 봉재(60)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고정홀(92)에서 제2 봉재(70)에 대응하는 부분은 제2 봉재(70)의 외경에 대응된다. 즉, 고정홀(92)은 내부에 단차진 구조로 형성된다. The
봉재 고정구(90)는 측면을 향해 절개되어 고정홀(92)까지 연장되어 있다. 절개된 표면은 소정의 갭(94)을 가진다. 따라서 갭(94)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나사홀(96)을 통해 고정나사(5)를 체결하는 경우 갭(94)이 좁아지면서 고정홀(92) 내경에 의해 제1 봉재(60) 및 제2 봉재(70)가 가압되어 고정된다. The
봉재 고정구(90)는 고정홀(92)의 내주면이 제1 및 제2 봉재(60, 70)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면대면 가압 방식이므로 제2 봉재(70)의 외주면에 나사홈과 같은 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독서대의 미관을 양호하게 한다. 이때 면대면 가압력 즉, 마찰력의 증대를 위해 고정홀(92) 내부에는 고무 등의 미끄럼 방지 부재로 형성된 패드(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The
제2 봉재(70)의 단부에는 제1 회전 연결구(50)의 플레이트형 연결부(54)와 동일한 형태의 연결부(74)가 구비된다. 연결부(74)를 이루는 두 플레이트 사이에 제2 회전 연결구(100)의 반원형 연결부(104)가 삽입되어 회전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회전축홀(75)의 아래쪽에는 나사홀(76)이 형성되어 고정나사(5)가 체결된다. 제2 봉재(70)의 연결부(74)는 제2 회전 연결구(100)를 180° 방향 전환 가능하게 지지한다. An end portion of the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높이조절부의 상단을 이루는 제2 봉재(70)의 연결부(74)에는 제2 회전 연결구(100)가 180° 범위 내에서 회전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0 은 본 고안에 따른 제2 회전 연결구(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2 and 3, the
제2 회전 연결구(100)는 제2 봉재(70)의 연결부(74)의 두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회전축에 의해 결합되며, 연결부(74)의 두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가상의 평면과 평행한 가상의 평면 내에서 180° 방향 전환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호전 연결구(100)의 동작 평면은 높이조절부(80)를 포함하는 평면이다. 따라서 제2 회전 연결구(100)는 책받침대(140)를 높이 조절부(80)에 대하여 좌측 또는 우측(책받침대(140)를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으로 위치시킬 수 있게 한다. The second
제2 회전 연결구(100)에 의하여 진공흡착구(10)의 부착면이 화장실의 좌측 벽면 또는 우측 벽면 어디인지에 관계없이 책받침대(140)가 사용자를 향하는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게 한다. 즉, 도 2 를 기준으로 하면 진공흡착구(10)가 화장실의 좌측 벽면에 부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벽면 부착용 독서대가 개시되어 있으므로 책받침대는 우측 방향으로 위치한다. 그러나 진공흡착구(10) 화장실의 우측 벽면에 부착되는 경우 제2 회전 연결구(100)가 연결부(74)의 두 플레이트 사이에서 180°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책받침대(140)가 진공흡착구의 우측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진공흡착구(10)가 화장실의 전방향 벽면에 부착되는 경우에는 제1회전 연결구(50) 및 제2 봉재(70)의 제1 봉재(60)에 대한 회전에 의하여 방향이 조절되고, 제2 회전연결구(100)의 회전에 의하여 사용자는 책받침대(140)가 높이조절부(80)에 대하여 좌측 또는 우측 어느 쪽에도 위치시킬 수 있다. The second
제2 회전 연결구(100)는 제2 봉재(70)의 연결부(74)의 두 플레이트 사이에 결합하기 위한 반원형 연결부(104)와 측면으로 구비되는 블럭형태의 회전지지구(109)를 포함한다. The second
반원형 연결부(104)는 제1 봉재(60) 일측의 원판형 연결부(64)와 유사한 형태를 지니는바, 제2 봉재(70)의 연결부(70)의 두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원판형 플레이트 형태로서, 중심부를 관통하여 회전축이 삽입되기 위한 회전축홀(101)이 구비되며, 표면에는 회전축홀(101)을 반경의 중심으로 하는 반원 길이의 호형의 안내홈(102)이 구비된다. 안내홈(102)은 연결부(70)의 나사홀(76)을 통해 체결되는 고정나사(5)의 단부가 고정되는 홈이다. The semi-circular connecting
블럭형태의 회전지지구(109)는, 블럭 형태의 몸체를 구비하고, 몸체의 상부면에는 원통형의 회전홈(106)이 형성되는 측면으로 상기 회전홈(106)과 연통되는 나사홀(107)이 형성된다. The
회전지지구(109)의 회전홈(106)에는 길이조절부(130)의 일단을 이루는 회전연결부(111)의 하면으로 돌출된 원통형 돌출부(112)가 삽입되어 360°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길이조절부(130)는 제2 회전 연결구(100)의 회전 평면과 직교하 는 평면 방향으로 360°회전가능하다. 원통형 돌출부(112)에는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오목한 결합 안내홈(113)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홀(107)을 통해 체결된 고정나사(5)의 단부가 결합된다. The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제2 회전 연결구(100)에는 수평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길이조절부(130)가 구비된다. 도 11 은 본 고안에 따른 길이조절부(130)를 도시한 도면이다. 2 and 3, the second
도 11 을 참조하면 길이조절부(130)는 제3 봉재(110)와 상기 제3 봉재(110)의 내경에 슬라이딩 삽입 및 인출되면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제4 봉재(120) 및 상기 제1 봉재(60) 및 제2 봉재(70)를 함께 고정하는 봉재 고정구(9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1, the
제3 봉재(110)의 일측으로는 회전연결부(111)가 구비되어, 제2 회전 연결구(100)의 회전지지구(109)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연결부(111)는 블럭 형태의 몸체를 지니는바 하면으로 회전지지구(109)의 회전홈(106)에 삽입되는 원통형 돌출부(112)가 구비되고, 상기 원통형 돌출부(112)에는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오목한 결합 안내홈(113)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홈(113)은 고정나사(5)의 단부가 고정되는 홈이다. One side of the
제3 봉재(110)와 제4 봉재(120)는 원통형 봉재로 형성되고, 제3 봉재(110)의 내경을 따라 제4 봉재(120)가 삽입 또는 인출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즉, 제4 봉재(120)가 제3 봉재(110)에 삽입되는 길이에 따라 길이조절부(130)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이 가능하다. The
제3 봉재(110) 및 제4 봉재(120)는 봉재 고정구(90)에 의해 길이조절된 상태로 고정된다. 봉재 고정구(90)는 높이조절부(80)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하다. The
도 9 및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재 고정구(90)는 사각형상의 블록으로 형성되어 중심부로 제3 및 제4 봉재(110, 120)의 외경에 대응되는 고정홀(92)이 형성된다. 고정홀(92)에서 제3 봉재(110)에 대응하는 부분은 제3 봉재(110)의 외경에 대응되어 제3 봉재(1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고정홀(92)에서 제4 봉재(120)에 대응하는 부분은 제4 봉재(120)의 외경에 대응된다. 이와 같이 고정홀(92)은 내부에 단차진 구조로 형성된다. 봉재 고정구(90)는 측면을 향해 절개되어 고정홀(92)까지 연장되어 있다. 절개된 표면은 소정의 갭(94)을 가진다. 따라서 갭(94)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나사홀(96)을 통해 고정나사(5)를 체결하는 경우 갭(94)이 좁아지면서 고정홀(92) 내경에 의해 제3 봉재(110) 및 제4 봉재(120)가 가압되어 고정된다. 마찰력의 증대를 위해 고정홀(92) 내부에는 고무 등의 미끄럼 방지 부재로 형성된 패드(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9 and 11, the
제4 봉재(120)의 단부에는 책받침대 연결부(125)가 구비된다. 책받침대 연결부(125)는 책받침대 후면을 향하여 관통된 관통홀(126)이 구비되고, 이를 통해 삽입되는 고정나사(5)가 책받침대(140)의 후면과 나사체결되는 것에 의해 책받침대(140)가 책받침대 연결부(125)에 고정된다. 책받침대(140)는 책받침대 연결부(125)에 대하여 360°회전 가능하다. The end of the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길이조절부(130)의 단부에는 책받침대(140)가 고정된다. 책받침대(140)는 도 2 및 도 3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책의 후면을 지지 하는 책지지판(141)과 책의 하면을 받치는 책받침판(142)을 구비한다. 책받침대(140)의 후면으로는 책지지판(141)을 고정하여 책받침대 연결부(125)에 연결하는 연결고정부(145)가 구비된다. 연결고정부(145)는 책지지판(142)의 3개의 볼트에 의해 볼팅 체결되어 고정되며, 중심으로 개구되고 책받침대 연결부의 관통홀(126)을 통해 삽입되는 고정나사(5)가 나사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고정나사(5)의 릴리즈 상태에서 책받침대(140)는 360°회전가능하고, 조절된 상태에서 고정나사(5)에 의해 고정가능하다. 2 and 3, the
도 12 은 책받침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책지지판(141)에는 좌우 측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ㄷ' 자 형태의 확장지지편(149)를 구비한다. 책받침대(140)에 놓여지는 책이 책지지판(141) 보다 클 때 책지지판(142)의 후면 상하에서 횡방향으로 설치된 안내홈(148)을 따라 삽입 인출되는 확장지지편(149)이 인출되어 책지지판(141)을 측면으로 확장시킨다. 책받침판(142)에는 책받침판(142)에 놓여진 책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146)가 힌지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FIG. 12 is a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book support. Th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의한 화장실 벽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벽면 부착용 독서대의 각 부분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on of each part of the wall-mounted reading stand used to be attached to the toilet wall sur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 은 본 고안에 따른 벽면 부착용 독서대의 진공흡착구(10), 로터리지지구(40), 제1 회전연결구(50) 및 길이조절부(80)의 원판형 연결부(64)의 결합관계를 보인 도면이고, 도 14 및 도 15 는 그 동작 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Figure 13 shows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disk-shaped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로터리지지구(40)에 대하여 제1회전 연결구(50)는 360°회전가능하며(도 14 참조), 제1 회전 연결구(50)에 대하여 길이조절부(80) 는 45°의 경사조절이 가능하다(도 15 참조). 여기서 45°의 경사 조절 범위는 원판형 연결부(64)의 호형 회전각 규제홈(66)의 중심각에 의해 결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호형 회전각 규제홈(66)은 슬립 이동이 일어나는 경우에도 책받침대(140)가 소정 높이 이하로 내려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도 16 은 본 고안에 따른 벽면 부착용 독서대의 길이조절부(80)의 연결부(74)와, 제2 회전 연결구(100)와 길이조절부(130)의 회전연결부(111)의 결합 상태를 보인 확대도이고, 도 17 및 도 18 은 그 동작관계를 보인 도면이다.Figure 16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connecting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제2회전 연결구(100)는 180°방향 전환이 가능하다. 또한, 도 18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길이조절부(130)의 회전연결부(11)는 제2 회전 연결구(110)에 대하여 360°회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진공흡착구(10)에 의한 벽면 부착위치가 화장실의 전측 벽면, 좌측 벽면 또는 우측 벽면 어디에 결합하더라도 책받침대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second
도 19 는 본 고안에 따른 벽면 부착용 독서대의 길이조절부(130) 및 책받침대(140)의 결합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20 및 도 21 은 그 동작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19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도 20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제3 봉재(110)에 대하여 제4 봉재(120)가 인출되는 정도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제3 봉재(110)의 내경에 제4 봉재(120)가 삽입된 형태이므로, 제3 봉재(110)의 내경에 대하여 제4 봉재(120)가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4 봉재(120)를 제3 봉재(110)에 대하여 360°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As shown in FIG. 20, the length of the
도 21 은 책받침대(140)의 회전을 보인도면으로서, 도 1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전 연결구(110)에 대하여 길이조절부(130)를 180°방향 전환한 경우 길이조절부(130) 단부에 위치하는 책받침대(140)는 상하 방향이 역전된다. 즉, 책받침판(142)가 상부로 위치하게 된다. 이때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받침대(140)를 회전시켜 그 위치를 올바르게 조절한다. 21 is a view showing the rotation of the
이하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벽면 부착용 독서대에 의하면, 부착되는 화장실의 벽면 위치에 관계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책받침대를 위치시킬 수 있어 그 효용성이 우수하다. Hereinafter, according to the wall-mounted read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gardless of the wall position of the wall to be attached to the user can place the book rest in the desired position is excellent in its utility.
도 1 은 공지된 독서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known reading stand.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벽면 부착용 독서대의 정면 사시도이다.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wall-mounted reading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벽면 부착용 독서대의 후면 사시도이다.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wall-mounted reading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벽면 부착용 독서대의 진공흡착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acuum suction port of the wall-mounted read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벽면 부착용 독서대의 진공 흡착부의 조립단면도이다. 5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vacuum adsorption unit of the wall mount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본 고안에 따른 벽면 부착용 독서대의 진공 흡착부와 결합지지구의 조립단면도이다. 6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vacuum adsorption unit and the coupling support for the wall mount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벽면 부착용 독서대의 로터리지지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7 is a view showing a rotary support for the wall-mounted read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벽면 부착용 독서대의 제1 회전연결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8 is a view showing a first rotary connector of the wall mount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는 본 고안에 따른 벽면 부착용 독서대의 높이조절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wall mounting table for rea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은 본 고안에 따른 벽면 부착용 독서대의 제2 회전 연결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10 is a view showing a second rotary connector of the wall mount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은 본 고안에 따른 벽면 부착용 독서대의 길이조절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11 is a view showing the length adjustment of the wall-mounted read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 은 본 고안에 따른 벽면 부착용 독서대의 책받침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book stand for wall-mounted reading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 은 본 고안에 따른 벽면 부착용 독서대의 진공흡착구, 로터리지지구, 제1 회전연결구 및 길이조절부의 결합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Figure 13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vacuum suction port, the rotary support, the first rotary connector and the length adjusting unit for the wall mounting reading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 및 도 15 는 도 13 에 도시된 부분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14 and 15 are diagrams showing the operating states of the portion shown in FIG.
도 16 은 본 고안에 따른 벽면 부착용 독서대의 길이조절부, 제2 회전 연결구, 길이조절부의 결합 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Figure 16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length adjusting unit, the second rotary connector, the length adjusting unit for the wall mounting reading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7 및 도 18 은 도 16 에 도시된 부분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17 and 18 are diagrams showing the operating states of the portion shown in FIG.
도 19 는 본 고안에 따른 벽면 부착용 독서대의 길이조절부 및 책받침대의 결합 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19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length adjustment unit and the book support for wall mount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0 및 도 21 은 도 19 도시된 부분의 동작관계를 보인 도면이다.20 and 21 are diagrams showing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portion shown in FIG.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16194U KR20100006048U (en) | 2008-12-05 | 2008-12-05 | Reading desk for attaching to wall surfa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16194U KR20100006048U (en) | 2008-12-05 | 2008-12-05 | Reading desk for attaching to wall surfa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6048U true KR20100006048U (en) | 2010-06-15 |
Family
ID=44451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80016194U Abandoned KR20100006048U (en) | 2008-12-05 | 2008-12-05 | Reading desk for attaching to wall surfa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06048U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197336A (en) * | 2018-11-17 | 2020-05-26 | 魏平录 | toilet |
WO2020240521A1 (en) * | 2019-05-30 | 2020-12-03 | Abvious, Llc | Suction-attached shelving systems and methods |
CN112293990A (en) * | 2020-11-19 | 2021-02-02 | 刘昌亚 | Hanging support for hanging cabinet |
-
2008
- 2008-12-05 KR KR2020080016194U patent/KR20100006048U/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197336A (en) * | 2018-11-17 | 2020-05-26 | 魏平录 | toilet |
WO2020240521A1 (en) * | 2019-05-30 | 2020-12-03 | Abvious, Llc | Suction-attached shelving systems and methods |
CN112293990A (en) * | 2020-11-19 | 2021-02-02 | 刘昌亚 | Hanging support for hanging cabine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66232B2 (en) | Flat-screen monitor support | |
US11846385B2 (en) | Multifunctional apparatus to support and lift a computing device | |
JPH0415695B2 (en) | ||
KR20100006048U (en) | Reading desk for attaching to wall surface | |
US7159827B2 (en) | Arm support with mouse pad | |
US8641147B2 (en) | Procedure chair with interchangeable headrests | |
WO2018235054A1 (en) | Adjustable hanging assembly for flow generating device | |
KR200437259Y1 (en) | Reading desk | |
KR100829180B1 (en) | Waist movement chair | |
JP5227615B2 (en) | Handle device | |
KR20090052624A (en) | A reading desk for using in the lying state | |
KR200310970Y1 (en) | Bookstand | |
KR101359323B1 (en) | Reading stand for attaching a desk | |
SE502496C2 (en) | Position adjustable armrest | |
CN215569077U (en) | Single-head desktop display support | |
CN113108193A (en) | Single-head desktop display support | |
CN212960670U (en) | Folding support structure of electronic equipment | |
EP2407677A1 (en) | Angular adjusting structure | |
KR200245491Y1 (en) | A writing and reading stand | |
EP2375939A1 (en) | Supporting device | |
KR200327266Y1 (en) | A device for supporting an arm | |
KR20020066691A (en) | A chair for computer | |
CN219165999U (en) | Multi-functional chair that can multi-angle be expanded | |
CN214803122U (en) | Bracket for supporting arm | |
CN222584327U (en) | Pots with adjustable handl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81205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10218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1120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U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