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0970Y1 - Bookstand - Google Patents
Bookstan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10970Y1 KR200310970Y1 KR20-2003-0000682U KR20030000682U KR200310970Y1 KR 200310970 Y1 KR200310970 Y1 KR 200310970Y1 KR 20030000682 U KR20030000682 U KR 20030000682U KR 200310970 Y1 KR200310970 Y1 KR 20031097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joint member
- groove
- base
- book
- suppo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4—Top adjustment
- A47B2200/0043—Inclination adjustable work top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책 또는 참고자료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독서대가 개시된다. 상기 독서대는 베이스, 하단이 베이스의 상부에 지지되는 관절부재, 관절부재의 하단을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하좌우 소정의 각도로 회전 및 고정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재 및 일측이 관절부재의 상단에 연결되는 책받침부재를 포함한다. 관절부재는 하나이상의 연결대가 피벗 연결되고, 관절부재의 하단이 베이스에 볼 조인트 방식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책을 상하좌우 소정의 각도로 회전 및 고정 시킬 수 있다. 책상이나 바닥 등 장소의 제약이 없으며, 바닥에 앉거나 누워서 책을 볼 경우에도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독서대이다.A reading stand is disclosed that can easily move a book or reference. The reading stand has a base, a joint member having a lower end suppor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a rotation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joint member so as to be rotatable and fix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base, and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joint member. And a book support member. One or more joints are pivotally connected, and the lower end of the joint member is connected to the base in a ball joint manner, so that the book can be rotated and fixed at a predetermined angle up, down, left, and right. There is no restriction on places such as a desk or the floor, and it is a reading stand that can be conveniently used even when reading books while sitting or lying on the floor.
Description
본 고안은 책 또는 참고자료를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관절부재가 피벗 및 볼 조인트 방식으로 책받침부재 및 베이스에 연결되어 책의 높낮이, 각도 및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책상외의 장소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ding stand for fixing and supporting a book or reference material, and more specifically, the joint member is connected to the book support member and the base in a pivot and ball joint manner to easily adjust the height, angle, and distance of the book. It is about reading desk which we can use in place outside desk.
일반적으로 독서대는 책상위에서 많이 사용되며, 사용자와 책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몸이 불편하여 눕거나 기대서 독서를 하는 등의 상황에 사용될 수 있는 독서대 등 다양한 독서대가 개시되어있다.In general, the reading table is used on the desk and keeps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book constant. Various reading desks have been disclosed, such as reading desks that can be used for situations such as lying down or reading in an uncomfortable manner.
기존의 독서대는 대부분 책상위에서만 사용될 수 있는 제한적인 기능을 갖고 있다. 사용자가 눕거나 바닥에 앉아서 책을 보는 경우 등 책상외의 장소나 특이한상황에 사용될 수 있는 독서대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많은 준비절차를 필요로 하였다. 책상위에서 많이 사용되는 제품으로서 책받침판의 후면에 다수의 걸림턱을 구비하여 책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독서대, 컴퓨터작업 시 많이 사용되는 제품으로서 대상물의 일측에 고정되어 승강 및 좌우회동 되는 독서대, 와 독서용으로서 두개의 평행한 지지발위에 높이가 조절되는 연결대가 고정되고 스프링과 걸림고리를 이용하여 책을 하향되게 고정하는 독서대 등 다양한 독서대가 개시되어있다.Most existing reading desks have a limited function that can only be used on a desk. The reading stand, which can be used in places other than the desk or in unusual situations, such as when a user lies down or sits on the floor and reads a book, has a complicated structure and requires a lot of preparation procedures. This product is widely used on the desk, and has a large number of locking jaws on the back of the book support plate to adjust the book's inclination, and is a product frequently used during computer work. For this purpose, various reading stands are disclosed, such as a reading stand for fixing heights on two parallel support feet, and for fixing books downward using springs and hooks.
도1a 는 종래에 개시된 독서대의 사시도이다. 도1a에 도시된 독서대는 책의 후면을 지지하는 책받침판(12), 책받침판(12)을 소정의 각도로 조절하기위한 걸림턱(16)이 형성된 책받침대(14), 및 책의 일측을 고정하기위한 고정구(18)를 구비한다. 도1a 에 도시된 독서대는 높이의 조절 없이 책의 기울기만이 조절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고개를 숙여서 책을 봐야하는 문제가 있다. 사용자가 장시간 고개를 숙이면 목에 무리가 가거나 허리가 휘게 되어 체형의 변화를 유발할 수 있으며, 근막통증 증후군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근막통증 증후군은 여러 통증을 동반하는데 전문가들은 허리를 곱게 펴고 턱은 가슴 쪽으로 당기듯이 앉아 머리는 목으로부터 15도 이상 굽히지 않아야 근막통증을 예방할 수 있다고 한다. 이를 개선하여 한 연결대 양 단부에 힌지를 사용하여 책받침부재와 베이스를 연결한 힌지독서대도 개시되어있다. 힌지 독서대는 기울기만이 조절되는 독서대에 비하여 책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고개의 숙임을 많이 줄일 수 있지만 높이 조절에는 한계가 있다. 책의 위치를 낮추면 연결대의 기울기가 낮아지게 되어 책이 앞으로 나오게 되고, 책의 위치를 높이면 연결대의 기울기는 높아지게 되어 책은 뒤로 물러나게 된다. 책의 위치를조절함에 따라 사용자와 책의 거리도 달라지게 되어 독서대 일체를 움직여야 한다. 책과 눈의 거리를 바르게 조절하지 않으면 눈의 피로가 급증하고 시력은 떨어지게 되며, 책과 눈의 거리가 멀어지면 눈을 찌그리게 되어 잘못된 인상을 유발할 수 있다.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ading stand disclosed in the related art. The bookstand shown in FIG. 1A includes a book support plate 12 supporting the back of the book, a book support 14 having a latching jaw 16 for adjusting the book support plate 12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one side of the book. A fastener 18 for fixing is provided. 1a has a problem in that the user needs to look at the book by leaning his head because only the tilt of the book is adjusted without adjusting the height. If the user leans his head for a long time, the neck is bent or the waist is bent, which may cause a change in body shape and may also cause myofascial pain syndrome. Myofascial pain syndromes are associated with many pains. Experts say they can prevent myofascial pain by sitting down like a waist and pulling your jaw toward your chest and not bending your head more than 15 degrees from your neck.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hinged reading stand is disclosed in which hinges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a connecting rod to connect a book support member and a base. The hinged reading stand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book compared to the reading stand of which only the tilt can be reduced a lot of bow, but there is a limit to the height adjustment. Lowering the position of the book lowers the tilt of the connecting rod so that the book comes out, and raising the position of the book raises the tilt of the connecting rod and the book retreats backward. As you adjust the book's pos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book also changes, so you have to move the whole book. If the distance between the book and the eye is not properly adjusted, eye fatigue may increase and vision decrease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book and the eye may be distorted, causing a false impression.
도1b는 종래에 개시된 와 독서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b 에 도시된 와독서대는 사용자의 양측에 위치하는 두개의 지지발(22), 지지발(22) 단부에 고정되어 높이가 조절되는 높이 조절대(24) 및 책을 하향되게 고정하는 책받침판(26)을 구비한다. 도1b에 도시된 와 독서대는 다수의 연결대 및 부속부재를 필요로 하며 단지, 누워서 독서할 때만 사용할 수 있는 제한된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도 1b에 도시된 와 독서대는 부피가 크고 제조 단가도 높으며, 많은 준비절차가 필요하며, 책상이나 바닥에 앉아서 책을 보는 용도로 사용하기는 부적합하다. 다관절을 사용한 만능 독서대도 개시되어 있다.Figure 1b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ading table disclosed in the prior art. The reading stand shown in FIG. 1B includes two support feet 22 positioned at both sides of the user, a height adjuster 24 fixed to the ends of the support feet 22, and a book support plate for fixing the book downward. (26) is provided. The reading stand shown in FIG. 1B requires a large number of connecting rods and accessory members, and has a limited function that can only be used when reading lying down. In addition, the reading desk shown in Figure 1b is bulky, high manufacturing cost, requires a lot of preparation procedures, it is not suitable for use for reading books sitting on the desk or floor. There is also disclosed an all-round reading table using multiple joints.
도1c 는 종래에 개시된 다관절을 사용한 만능 독서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c에 도시된 만능 독서대는 사각 베이스(32), 베이스에 고정된 수직봉(34), 수직봉(34) 상단에 고정된 연결대(36) 및 책을 지지하는 책받침부재(38)를 구비한다. 도1c 에 도시된 독서대는 두개의 연결대(36)를 사용하여 책을 다양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하지만 수직봉(34)은 베이스(32)에 완전히 고정되어 뒤로 젖혀지지 않기 때문에 책의 이동 범위는 한정된다. 책이 베이스(32)로부터 멀어지게 되면 책의 무게중심은 베이스(32)의 무게 중심으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된다. 책의 무게 중심이 베이스(32)의 무게 중심으로부터 멀어지게 되면, 연결봉(36)은 모멘트 암(arm)이 되고 책의 하중이 가해져서 베이스(32)에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회전력이 발생되면 독서대는 불안정하게 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베이스를 크게 만들거나 베이스를 고정시켜야 하지만 장소의 제한 및 사용의 불편함이 따른다. 수직봉(36)이 베이스(32)에 고정되어 회동되지 않으면 책받침부재(38)의 무게 중심과 베이스(32)의 무게 중심간의 간격을 줄일 수 없어 책의 이동범위는 한정된다. 일정 높이로 솟아있는 수직봉(34)에 다수의 연결대(36)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부피가 커지게 되고, 장소의 제한 및 제조 단가도 높아진다. 또한 수직봉(34)에 연결대(36)를 나사로 직접 연결하면 연결대(36)는 유동시마다 나사와 지속적인 마찰을 발생하게 되어 나사의 마모 및 연결부위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나사의 마모 및 연결부위에 손상이 초래되면 관절의 고정성능이 떨어지게 되어 책은 불안정하게 지지된다. 또한 책상 위 일측에 고정되어 다관절을 사용한 다관절 독서대도 개시되어 있다. 다관절 독서대는 높이와 거리 및 각도가 조절되지만 제품의 부피가 크고 대상물에 반드시 고정되어야 한다는 제한이 있다. 독서대를 다른 장소로 옮기는 데도 불편하다. 또한, 고정점으로부터 책이 멀어지게 되면 연결대에 큰 회전 모멘트가 발생하게 되어 연결부위에 큰 부하가 걸리게 된다. 이 부하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높은 강성의 연결대 및 이음부재가 필요하여 제조 단가가 상승하게 된다.Figure 1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universal reading table using a conventional articulated articulation. The universal reading table shown in FIG. 1C includes a rectangular base 32, a vertical rod 34 fixed to the base, a connecting rod 36 fixed to the top of the vertical rod 34, and a book support member 38 for supporting a book. . The reading stand shown in FIG. 1C can move the book to various positions using two connecting stands 36. However, since the vertical bar 34 is completely fixed to the base 32 and does not roll back, the movement range of the book is limited. When the book is moved away from the base 32,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ook is far from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ase 32. Whe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ook is away from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ase 32, the connecting rod 36 becomes a moment arm and a load of the book is applied to generate a rotational force on the base 32. When the rotational force is generated, the reading stand becomes unstable, and in order to overcome this, the base must be made large or fixed to the base, but there are limitations in place and inconvenience of use. If the vertical rod 36 is fixed to the base 32 and is not rotated,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ook support member 38 an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ase 32 cannot be reduced, thereby limiting the movement range of the book. Since the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36 are connected to the vertical rods 34 that rise to a certain height, the volume becomes large, and the restriction of the place and the manufacturing cost also increase. In addition, if the connecting rod 36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vertical rod 34 with a screw, the connecting rod 36 generates continuous friction with the screw every time it flows, which may cause wear of the screw and damage to the connecting part. Wear of screws and damage to the joints will result in a loss of joint performance and the book will be unstable. Also disclosed is a multi-joint reading stand using a multi-joint fixed to one side of a desk. The articulated reading table is adjustable in height, distance and angle, but has a limitation that the product is bulky and must be fixed to the object. It is also inconvenient to move the reading table to another place. In addition, when the book is far from the fixed point, a large rotation moment is generated in the connecting rod, and a large load is applied to the connecting portion. In order to overcome this load, high rigidity connecting rods and joint members are required, which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제 1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단가가 낮출 수 있는 독서대를 제공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ading stand that is simple in structure and low in manufacturing cost.
본 고안의 제 2목적은 책의 위치를 상하좌우로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하며, 용이하게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휴대용 독서대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reading stand that can be moved and fixed up, down, left and right, and easily disassembled and assembled.
본 발병의 제 3목적은 책상이나 바닥 등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독자가 눕거나 기대거나 혹은 바닥에 앉아서도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독서대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hird purpose of the outbreak is to provide a versatile reading table that can be used by the reader to lie down, lean or sit on the floor, regardless of a desk or floor.
도1a 는 종래에 개시된 독서대의 사시도이다.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ading stand disclosed in the related art.
도1b는 종래에 개시된 와 독서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1b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ading table disclosed in the prior art.
도1c 는 종래에 개시된 다관절 독서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C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articulated reading table.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ading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는 도 2의 관절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joint member of FIG.
도 4은 도 2의 독서대의 겹합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overlap of the reading stand of FIG. 2.
도 5는 도 2의 관절부재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joint member of FIG. 2.
도 6은 도 2의 책받침 부재를 도시한 확대도이다.FIG.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supporting member of FIG. 2. FIG.
도 7은 도 2의 회전 지지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rotary support member of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1:책받침 부재 102 :관절부재101: support member 102: joint member
103 :베이스 111:받침판103: base 111: support plate
112 :오목부 113 :피벗 브래킷112: recess 113: pivot bracket
115:받침대 117:고정구115: Support 117: Fixing mouth
121:제 2 연결대 125:제1 연결대121: 2nd connecting rod 125: 1st connecting rod
131 :제1 결합구 135 :제 2결합구131: first coupling sphere 135: second coupling sphere
223 :제 3 연결대 341 :체결구223: 3rd connecting rod 341: fastener
435 :회전지지부재 517 :고정구435: rotation support member 517: fixture
635 :회전지지부재 636 :삽입홈635: rotation support member 636: insertion groove
829 :삽입홈 838 :이탈방지홈829: Insertion groove 838: Release prevention groove
834 :지지판 835 :스냅링834: support plate 835: snap ring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독서대는 베이스, 하단이 베이스의 상부에 지지되는 관절부재, 관절부재의 하단을 베이스로부터 상하좌우 소정의 각도로 회전 및 고정시키는 회전 지지부재, 및 일측이 관절부재의 상단에 연결되어 책을 지지하는 책받침부재를 구비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reading table is a base, a joint member that is supported at the lower end of the base, the lower end of the joint member from the base rotated and fixed at a predetermined angle Rotating support member,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joint member has a book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book.
베이스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모양으로 형성되어 대상물에 안정적으로 놓일 수 있으며, 회전 지지부재의 형태에 따라서 관절부재의 하단 및 회전 지지부재를 수용하는 수용 홈이 형성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관절부재의 하단은 볼로 형성되어 회전 지지부재와 볼 조인트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절부재는 회전 지지부재로부터 좌우 0~360도 , 상하 5~90도 사이의 범위에서 회전 및 고정이 가능하며, 회전 지지부재는 하기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첫째, 베이스 상면에 일정높이로 형성되어 관절부재의 하단을 밑에서 지지하는 제 1 결합구 및 제 1 결합구에 나사결합 되어 관절부재의 하단을 측면에서 가압하는 제 2 결합구를 포함하는 회전 지지부재. 둘째, 베이스의 하면으로부터 형성된 수용 홈의 내벽 하단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판, 고정판의 상단에 설치된 스프링, 스프링 상에 설치되고 관절부재의 하단을 밑면에서 가압하여 회전 및 고정가능 하게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회전 지지부재. 셋째, 베이스 상면으로부터 형성된 수용 홈 및 수용 홈의 내벽 상단에 나사결합 되고 중심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관절부재의 하단을 측면에서 가압하는 회전 지지부재. 넷째, 베이스 상면으로부터 형성된 수용홈 및 수욤 홈의 내벽에 형성된 이탈방지 홈에 삽입되어 베이스로부터 관절부재의 하단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냅 링을 포함하는 회전 지지부재. 관절부재의 하단은 회전 지지부재와 베이스의 나사결합 정도에 따라 관절부재의 하단을 가압하는 정도가 변경되어 관절부재의 하단을 회전 및 고정 가능하게 지지한다. 회전 지지부재는 상기한 첫째의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절부재는 직렬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연결대를 포함한다. 한 연결대의 일단에는 이웃하는 다른 연결대의 타단이 삽입되는 연결 홈이 형성된다. 이웃하는 다른 연결대의 타단은 삽입 홈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어 삽입 홈에 삽입되며, 두 연결대를 동시에 관통하는 체결구에 의하여 연결대는 피벗회전하게 된다. 체결구는 볼트, 너트, 나사, 핀과 고리, 스프링, 라쳇 및 패스너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다. 체결구는 중심부에 홀이 형성되고 양단에 걸림턱이 형성된 패스너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절부재의 상단에는 책받침부재가 상기와 같은 억지끼움 식으로 연결되어 회전한다. 책받침부재는 후면에 관절부재의 상단이 연결되고 전면 중앙는 펼쳐진 책의 후면에 대응하게 오목부가 형성된 받침판, 받침판의 하단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어 책의 하단을 지지하는 받침대 및 받침대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책의 전면을 지지하는 고정구를 포함한다. 받침판은 오목부가 형성되어 책을 놓여졌을 때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고정구는 'L'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받침대의 일측에 연결된다. 고정구는 받침대로부터 좌우 및 전후방향으로 회전되어 책의 이동시 용이하며 책의 전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 base may be formed in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to be stably placed on the object, and may be implemented in a shape in which a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lower end of the joint member and the rotating support member is 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rotating support member. The lower end of the joint member is preferably formed of a ball is connected to the rotary support member and the ball joint method. Joint member can be rotated and fixed in the range between the left and right 0 ~ 360 degrees, up and down 5 ~ 90 degrees from the rotation support member, the rotation support member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s follows. First, the rotary support member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including a first coupler for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joint member from below and a second coupler screwed to the first coupler to press the bottom of the joint member from the side . Second, the fixing plate which is screwed to the lower end of the inner wall of the receiving groove form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a spring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late, the support plate which is installed on the spring to press the lower end of the joint member from the bottom to rotate and fixably Rotating support member. Third, the rotating support member is screwed to the upper end of the inner wall of the receiving groove and the receiving groove formed from the upper base surface and an opening is formed in the center to press the lower end of the joint member from the side. Fourth, the rotation supporting member including a snap ring formed in the inner wall of the receiving groove and the receiving groove form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to prevent the lower end of the joint memb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ase. The lower end of the joint member is changed to press the lower end of the joint member according to the screwing degree of the rotation support member and the base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joint member to be rotatable and fixed. The rotary support member is preferably embodied in the first manner described above. The articulation member includes one or more connecting rods connected in series. One end of the connecting rod is formed with a connecting groove in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neighboring connecting rod is inserted. The other end of the other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insertion groov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the connecting rod is pivoted by the fastener penetrating the two connecting rods at the same time. The fastener is formed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olts, nuts, screws, pins and rings, springs, ratchets and fasteners. The fastener is preferably a fastener formed with a hole in the center and a locking jaw formed at both ends. At the top of the joint member, the book support member is connected and rotated in the interference fit type as described above. The book support member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joint member at the rear and the center of the front is a support plate formed with a concav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ack of the open book, protrudes vertically from the bottom of the support plate and is rotatably connected from the support base and the support base of the book. It includes a fixture for supporting the front of the. The support plate is formed with a recess can be stably supported when the book is placed, the fastener is formed in the 'L' shape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edestal. The fixture is rotated in the left and right and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from the base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book and can stably support the front of the book.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독서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following embodiments.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ading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는 베이스(103), 베이스(103)의 상면 후방부에 형성된 제 1 결합구(131), 제 1 결합구(131) 상단에 접하는 관절부재(102), 관절부재의 하단을 측면에서 가압하는 제 2 결합구(135), 볼 조인트로 형성되는 회전 지지부재(135), 피벗 연결된 제 1 연결대(125)와 제 2 연결대(121), 후면에 관절부재의 상단을 연결하는 피벗브래킷(113)을 구비한 받침판(111), 받침판(111)의 하단에 고정된 받침대(115) 및 받침대(115)의 전단부에 형성된 두개의 고정구(117)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2, the reading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base 103 and a joint member 102 in contact with an upper end of the first coupler 131 and the first coupler 131 formed at the rea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03. ), The second coupler 135 for urging the lower end of the joint member, the rotary support member 135 formed of a ball joint, the first connecting rod 125 and the second connecting rod 121 connected pivot, the joint in the rear A support plate 111 having a pivot bracket 113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member, a pedestal 115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late 111, and two fasteners 117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pedestal 115. do.
도 3은 도 2의 관절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은 도 2의 독서대의 겹합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관절부재의 작동상태 및 결합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는 도 2의 책받침부재를 도시한 확대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joint member of Figure 2,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lap of the reading table of Figure 2, Figure 5 shows the operating state and coupling of the joint member of Figure 2 6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the book holding member of FIG. 2.
도 3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관절부재(202)는 제1 연결대(225)와 제2연결대(121)를 포함하며, 제1 연결대(125)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 제3 연결대(223)를 더 연결할 수 있다. 관절부재(202)의 길이가 길어지고 관절부가 더 생기면 바닥에 앉아서 책을 볼 때 책과 눈의 거리를 줄일 수 있고 책을 다양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체결구(341)는 양단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제1 연결대와 제2 연결대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연결된다.3 to 6, the joint member 202 includes a first connecting rod 225 and a second connecting rod 121, and includes a third connecting rod 223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connecting rod 125. You can connect more. If the length of the joint member 202 is longer and more joints are formed, the distance between the book and the eyes may be reduced when sitting on the floor and the book is viewed, and the book may be moved to various positions. The fastener 341 has locking jaws formed at both ends and is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holes formed in the first connecting rod and the second connecting rod.
베이스(303)는 책이 최대한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얇은 사각 블록으로 형성되고, 제1 결합구(331)는 베이스(303)의 상면 후방부에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어 책의 무게 중심을 최대한 후방부로 이동시킨다. 베이스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만 바람직하게는 원반이나 얇은 사각 플레이트로 형성되어 최대한 적은 부피를 차지하면서 높은 접지력이 유지된다. 제1 결합구(33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결합구(331)의 상면(332)에는 관절부재의 하단(327)에 대응하게 원형 홈이 형성되고, 관절부재의 하단(327)은 구형으로 형성된다. 제 2 결합구(335)의 상단에는 제 1 연결대(325)의 하단(327)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의 구멍이 형성되고, 구멍은 하단으로 내려갈수록 구멍은 확장되다. 제 1 연결대(325)는 제 2 결합구(335)의 하부로부터 삽입되고, 제 2 결합구(335)는 제 1 결합구(331)에 나사 결합되어 관절부재의 하단을 측면에서 가압한다. 제 1 연결대의 일단(326)에는 좌우가 개방된 연결 홈(326)이 형성된다. 제 2 연결대의 타단(324)은 연결 홈(326)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어 연결 홈(326)에 억지끼움 식으로 연결되고, 두 연결대를 동시에 관통하는 체결구에 의하여 체결된다. 제 1연결대(325)와 제 2 연결대(321)는 억지 끼움으로 연결되어 높은 마찰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체결구의 조절 없이 연결대에 소정의 힘들 주면 회전되고 일정의 힘이 제거되면 바로 고정된다. 제 2 연결대(321)와 받침판(311)도 상기 제 1 연결대와 제 2 연결대의 연결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연결된다. 제 2 결합구(435)를 제 1 결합구(431)에 최대로 나사결합 시키면 관절부재의 하단(427)은 고정된다. 제 2 결합구(435)와 제 1 결합구(431)사이에 유격이 형성되면 관절부재의 하단(427)은 소정의 힘을 받아 회전될 수 있다. 관절부재의 하단(427)은 최대로 상하 5~90도, 좌우 0~360도 범위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회전범위는 베이스 관절의 형상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체결구(341)는 중공관의 양단에 걸림턱이 형성된 구조이며, 중공관의 양측은 관통되어 단락된 두개의 수직 날이 형성된다. 수직 날의 일단부에는 양측이 모따기 된 걸림턱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원형의 걸림턱이 형성된다. 두 수직날의 동시에 누르면 두날의 거리는 줄어들게 되어 두 연결대(324,325)에 형성된 홀에 삽입될 수 있다. 체결구(341)가 삽입 홈에 삽입된 후에는 두 수직날은 다시 벌어지게 되어 두 연결대(324,325)가 이탈되는 것을 막는다. 사용자는 상기 체결구(341)를 이용하면 관절부재를 용이하게 연장하거나 줄일 수 있으며, 이동시에도 쉽게 분해할 수 있다. 제 2 연결대(321)는 제 1 연결대(325)로부터 최대로 상하 10~350도 범위 내에서 피벗 회전될 수 있다. 받침판(311)은 제 2 연결대(321)로부터 최대로 상하 0~180도 범위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받침판(511)은 전면 중앙에 펼쳐진 책의 후면에 대응하게 오목부(512)가 형성된다. 받침판(511)이 책의 후면에 대응하게 형성되면 책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책을 펼쳐진 상태로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다. 받침대(515)는 받침판(511)의 하단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어 책의하부를 지지한다. 고정구(517)는 받침대(515)의 일측에 고정되고, 받침대(515)로부터 좌우 및 전후로 회전된다. 고정구(517)를 좌우로 회전시키면 받침판의 전방에는 걸리는 것이 없어 책을 책받침부재로 놓거나 뺄 때 용이하다. 고정구(517)를 전후로 회전시키면 책의 일측에 접할 수 있어 책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The base 303 is formed of a thin rectangular block to support the book as stably as possible, and the first coupling hole 33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t the rea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303 to mov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ook to the rear as much as possible. Let's do it. The base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but is preferably formed of a disc or a thin square plate to maintain a high grip while occupying as little volume as possible. Thread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upler 331. The upper surface 332 of the first coupler 331 is formed with a circular groove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327 of the joint member, the lower end 327 of the joint member is formed in a spherical shape. A hol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lower end 327 of the first connecting rod 325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oupler 335, and the hole extends toward the lower end thereof. The first connecting rod 325 is inserted from the bottom of the second coupler 335, the second coupler 335 is screwed to the first coupler 331 to press the lower end of the joint member from the side. One end 326 of the first connecting rod is formed with a connection groove 326 of which left and right are opene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rod 324 is formed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connecting groove 326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groove 326 in the fitting manner, is fastened by a fastener penetrating the two connecting rods at the same time. Since the first connecting rod 325 and the second connecting rod 321 are connected by force fitting and generate high frictional force, the first connecting rod 325 and the second connecting rod 321 are rotated when the predetermined force is applied to the connecting rod without adjustment of the fastener, and is fixed immediately when a predetermined force is removed. The second connecting rod 321 and the support plate 311 are also connec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connecting method of the first connecting rod and the second connecting rod. When screwing the second coupler 435 to the first coupler 431 to the maximum, the lower end 427 of the joint member is fixed. When a play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coupler 435 and the first coupler 431, the lower end 427 of the joint member may be rotated by a predetermined force. The lower end 427 of the joint member may be rotated within a maximum range of 5 to 90 degrees up and down, left and right 0 to 360 degrees. Rotation rang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ase joint. The fastener 341 has a structure in which a locking step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hollow tube, and both vertical sides of the hollow tube are formed to penetrate and short-circuit. One end of the vertical blade is formed with a jaw chamfered on both sides, the other end is formed with a circular locking jaw. When the two vertical blades are pressed at the same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blades is reduced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holes formed in the two connecting rods 324 and 325. After the fastener 34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the two vertical blades are opened again to prevent the two connecting rods 324 and 325 from being separated. The user can easily extend or reduce the joint member by using the fastener 341, and can be easily disassembled even when moving. The second connecting rod 321 may be pivotally rotated from the first connecting rod 325 within a maximum of 10 to 350 degrees. The support plate 311 may be rotated to a maximum from 0 to 180 degrees up and down from the second connecting rod 321. Support plate 511 is formed with a recess 512 corresponding to the back of the book spread in the front center. If the support plate 511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back of the book can not only stably support the book, but also can stably support the book in an unfolded state. The pedestal 515 vertically protrudes from the lower end of the base plate 511 to support the bottom of the book. Fixture 517 is fixed to one side of the pedestal 515, and is rotated from the pedestal 515 to the left and right. Rotating the fixture 517 to the left and right, there is no jam in front of the support plate is easy when the book is placed or removed from the book support member. Rotating the fixture 517 back and forth can be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book and the book is stably supported.
도 7a 는 본 고안의 회전 지지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7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rotary support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도 3 및 도 7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 지지부재(635)는 베이스(603)의 상면으로부터 형성된 삽입홈(636)의 내벽 하단에 나사결합 되는 고정판(631), 고정판(631) 상단에 설치된 스프링(632) 및 스프링(632) 상에 설치되어 관절부재의 하단(627)을 회전 및 고정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판(633)을 포함한다. 수용 홈(636)은 베이스(603) 상면으로부터 하면으로 내려갈수록 확장되는 실린더 형상이다. 수용 홈(636)의 상단은 개방되어 있으며 수용홈(636)의 내벽 상단에는 관절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634)이 형성된다. 수용홈(636)의 내벽 하단에는 회전 지지부재(635)가 결합된다. 관절부재(602))는 베이스(603)의 하부로부터 삽입되어 수용 홈(636)의 걸림턱(634)에 접하고, 회전 지지부재(639)는 베이스(603) 하부에 나사 결합되어 관절부재의 하단(627)를 밑면으로부터 상방으로 가압한다. 관절부재의 하단(627)에 접하는 삽입 홀(636)의 내면은 완곡하게 형성되어 하단(627)과의 마찰을 줄인다. 고정판(631)의 하면에는 회전 노브가 형성되어 베이스에 탈착 및 나사결합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회전 지지부재(635)를 베이스(603)에 최대로 결합시키면 스프링(632)의 탄성력으로 지지판(633)과 하단(627)의 마찰력은 증대되고 관절부재(602)는 고정된다. 회전 지지부재(635)와베이스(603)가 최대로 결합되지 않았을 때 즉, 관절부재의 하단(627)과 지지판(633)의 마찰력이 크게 증대되면 관절부재의 하단(627)은 고정된다. 관절부재(602)를 하방으로 누르면 삽입홈의 내벽 상단(634)과 하단(627)사이에는 유격이 형성되고, 관절부재(602)를 상하좌우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범위는 최대로 상하 5~90도, 좌우 0~360도이며, 회전 지지부재의 형상에 따라 회전범위는 조절될 수 있다.2, 3 and 7A, the rotation support member 635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fixing plate 631, the fixing plate screwed to the lower end of the inner wall of the insertion groove 636 form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603 631 includes a spring 632 installed on the top and a support plate 633 installed on the spring 632 to rotatably and fixably support the lower end 627 of the joint member. The accommodating groove 636 has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603 to the lower surface. The upper end of the accommodating groove 636 is open, and a locking step 634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inner wall of the accommodating groove 636 to prevent the joint member from being separated. The rotary support member 635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inner wall of the accommodation groove 636. The joint member 602 is inserted from the bottom of the base 603 to abut the locking jaw 634 of the receiving groove 636, and the rotation support member 639 is screwed to the bottom of the base 603 to the bottom of the joint member. 627 is pressed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636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627 of the joint member is formed smoothly to reduce friction with the lower end 627. A rotating knob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plate 631, so that the base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base and adjusted for screwing. When the rotation support member 635 is coupled to the base 603 to the maximum,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support plate 633 and the lower end 627 is increa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632 and the joint member 602 is fixed. When the rotary support member 635 and the base 603 are not coupled to the maximum, that is, when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lower end 627 of the joint member and the support plate 633 is greatly increased, the lower end 627 of the joint member is fixed. When the joint member 602 is pushed downward, a clearance is formed between the inner wall upper end 634 and the lower end 627 of the insertion groove, and the joint member 602 can b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up, down, left, and right. Rotation range is up to 5 ~ 90 degrees up and down, left and right 0 ~ 360 degrees, the rotation rang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rotation support member.
도 7b 는 본 고안의 회전 지지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7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rotation support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도 3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 지지부재(735)는 베이스(603)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된 삽입 홈(736)의 내벽 상단에 나사결합 되어 관절부재의 하단(727)을 측면에서 가압한다. 관절부재(702)의 하단(727)은 베이스(703)로 삽입되고, 회전 지지부재(735)는 관절부재의 하단(727)을 둘러싸게 베이스(703)에 결합된다. 삽입 홈(736)의 지름은 관절부재의 하단(727)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다. 삽입 홈(736)의 내벽 상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회전 지지부재(735) 하부의 외주면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 지지부재(735)의 상부에는 일정한 두께를 갖고 손으로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노브가 형성된다. 회전 지지부재(735)는 관절부재(702)의 타단으로부터 유입되어 하단(727)를 하방으로 가압한다. 회전 지지부재(735)를 베이스(703))에 최대로 나사결합 시키면 회전 지지부재(735)와 하단(727)의 마찰력은 증대되고 하단(727)은 고정된다. 회전 지지부재(735)를 베이스(703))에 최대로 조이지 않으면 하단(727)은 마찰력을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어 관절부재(20)를 상하좌우 임의의 각도로 회전 및 고정시킬 수있다.2, 3 and 7B, the rotary support member 735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crewed to the upper end of the inner wall of the insertion groove 736 formed to a certain depth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603 of the joint member The lower end 727 is pressed from the side. The lower end 727 of the joint member 702 is inserted into the base 703, and the rotation support member 735 is coupled to the base 703 to surround the lower end 727 of the joint member.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groove 736 is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lower end 727 of the joint member.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inner wall of the insertion groove 736, and the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ry support member 735.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ry support member 735 is formed a rotary knob having a constant thickness and can be easily rotated by hand. The rotary support member 735 flows from the other end of the joint member 702 and presses the lower end 727 downward. When screwing the rotary support member 735 to the base 703 to the maximum,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rotary support member 735 and the lower end 727 is increased and the lower end 727 is fixed. If the rotary support member 735 is not tightened to the base 703 to the maximum, the lower end 727 can overcome the friction force to some extent, and can rotate and fix the joint member 20 at any angle up, down, left, and right.
도 7c 는 본 고안의 회전 지지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7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rotary support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도 3 및 도 7c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 지지부재(835)는 베이스(803)의 상면으로부터 형성된 삽입 홈(836), 삽입 홈(836)의 내벽 상단에 형성된 이탈방지 홈(838)에 삽입되어 관절부재의 하단(827)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냅링(835)과 관절부재의 하단(827)을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가압하는 지지판(834)을 포함한다. 관절부재의 하단(827)은 삽입 홈(836)에 삽입되어 저면이 지지판(834)에 접하고, 측면이 스냅 링(835)에 의하여 둘러쌓여 진다. 스냅 링(835)은 양단이 단락된 링 모양으로 형성되고, 이탈방지 홈에 삽입되어 관절부재의 하단(827)이 삽입홈(836)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삽입 홈(836)의 지름은 하단(827)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관절부재의 하단(827)이 삽입 홈에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지 않는다. 지지판(834)는 하단(827)을 하단(827)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가압한다. 하단(827)은 지지판(824)의 상승력에 의해서 고정되며, 관절부재(802)를 하방으로 누르면 하단(827)과 스냅 링(838)사이에 유격이 형성되어 관절부재(802)를 상하좌우 임의의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하방의 힘이 제거되면 지지판(834)의 상승력에 의하여 다시 고정된다.2, 3 and 7C, the rotation support member 835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erted into the groove 836 form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803, the separation prevention formed on the top of the inner wall of the insertion groove 836 It includes a snap ring 835 inserted into the groove 838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lower end 827 of the joint member and a support plate 834 for pressing the lower end 827 of the joint member upward from the bottom. The lower end 827 of the joint member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836, the bottom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plate 834, the side is surrounded by the snap ring 835. The snap ring 835 is formed in a ring shape with both ends shorted, and is inserted into the release preventing groove to prevent the lower end 827 of the joint memb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groove 836.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groove 836 is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lower end 827 does not limit the insertion of the lower end 827 of the joint member into the insertion groove. The support plate 834 presses the lower end 827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lower end 827. The lower end 827 is fixed by the lifting force of the support plate 824, and when the joint member 802 is pushed downward, a clearance is formed between the lower end 827 and the snap ring 838 to arbitrarily move the joint member 802 up, down, left, and right. Can be rotated at an angle of, and when the downward force is removed is fixed again by the lifting force of the support plate 834.
본 고안에 따르면, 독서대는 관절 및 회전 지지부재에 의하여 베이스로부터 상하좌우 임의의 각도로 회전 및 고정이 가능하다. 관절부재와 베이스는 영구히 고정되는 방식이 아니라, 회전 지지부재와 베이스의 결합력을 조절하면 고정되기도 하고 회전되기도 한다. 또한 책받침판과 관절부재는 억지끼움 방식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일정 마찰력이 형성된다. 관절부재는 관절부재에 소정의 힘을 가하면 회전되고 소정의 힘을 제거하면 바로 다시 고정되는 간단한 구조이다. 또한, 관절부재는 여러 개의 관절로 연장 될 수 있어 책을 여러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체결구는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연결대와 다른 연결대, 연결대와 받침판을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어 휴대 및 설치가 편리하다. 기존의 독서대가 다양한 위치의 구현 및 장소에 제약이 따른다는 단점을 개선하여 좁은 공간 및 책상외의 장소에서도 사용자의 자세에 상관없이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독서대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ding table can be rotated and fixed at any angle up, down, left, and right from the base by a joint and a rotation support member. The joint member and the base are not permanently fixed but are fixed or rotated by adjusting the coupling force of the rotation support member and the base. 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plate and the joint member are connected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a constant frictional force is formed. The joint member is a simple structure that is rotated when a predetermined force is applied to the joint member and immediately fixed again when the predetermined force is removed. In addition, the joint member may extend to several joints to move the book to various positions. Since the fastener is formed in a simple structure, it is easy to carry and install because the connecting rod and other connecting rods, the connecting rod and the support plate can be easily removed. By improving the disadvantage that the existing reading stand is restricted to the implementation and location of various locations, a reading stand that can be conveniently used regardless of the user's posture in a narrow space and a place other than a desk is provid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t can be changed.
Claims (2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00682U KR200310970Y1 (en) | 2003-01-09 | 2003-01-09 | Bookstan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00682U KR200310970Y1 (en) | 2003-01-09 | 2003-01-09 | Bookstan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10970Y1 true KR200310970Y1 (en) | 2003-04-21 |
Family
ID=49332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00682U Expired - Fee Related KR200310970Y1 (en) | 2003-01-09 | 2003-01-09 | Bookstan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10970Y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14760B1 (en) * | 2009-11-06 | 2011-02-17 | 권민 | reading desk |
KR20160000023A (en) * | 2014-06-23 | 2016-01-04 | 주식회사 닷익스펜더 | Guide device for air blower of ceiling air conditioner |
KR101889890B1 (en) * | 2016-10-07 | 2018-09-28 | 심영재 | Reading desk |
KR20190000903U (en) * | 2017-10-03 | 2019-04-11 | 이두원 | Multi-function desk |
KR20190051681A (en) * | 2017-11-07 | 2019-05-15 | 박세령 | Reading desk to be used at lying down position |
-
2003
- 2003-01-09 KR KR20-2003-0000682U patent/KR200310970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14760B1 (en) * | 2009-11-06 | 2011-02-17 | 권민 | reading desk |
KR20160000023A (en) * | 2014-06-23 | 2016-01-04 | 주식회사 닷익스펜더 | Guide device for air blower of ceiling air conditioner |
KR101645794B1 (en) * | 2014-06-23 | 2016-08-29 | 주식회사 닷익스펜더 | Guide device for air blower of ceiling air conditioner |
KR101889890B1 (en) * | 2016-10-07 | 2018-09-28 | 심영재 | Reading desk |
KR20190000903U (en) * | 2017-10-03 | 2019-04-11 | 이두원 | Multi-function desk |
KR200490568Y1 (en) * | 2017-10-03 | 2020-01-08 | 이두원 | Multi-function desk |
KR20190051681A (en) * | 2017-11-07 | 2019-05-15 | 박세령 | Reading desk to be used at lying down position |
KR102023507B1 (en) * | 2017-11-07 | 2019-09-20 | 박세령 | Reading desk to be used at lying down posi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S2983949T3 (en) | Adjustable support arm | |
US6298794B1 (en) | Ergonomic computer workstation | |
CA2522443C (en) | Laptop holder | |
JP6737623B2 (en) | Display support device | |
US20120091076A1 (en) | Monitor support device | |
US7118080B2 (en) | Multi-functional adjustable computer support stand | |
US5868079A (en) | Stand for a monitor and a keyboard | |
US5797578A (en) | Collapsible article support | |
US5823487A (en) | Keyboard support assembly | |
US20070012827A1 (en) | Portable support device | |
US20180228279A1 (en) | Height Adjustable Desk | |
EP2171338B1 (en) | Tilt and swivel mounting for monitors and other devices | |
EP2185032A1 (en) | Mobile support for notebooks, portable computers and the like | |
KR200310970Y1 (en) | Bookstand | |
JP4343218B2 (en) | Adjustable keyboard stand | |
US5799919A (en) | Adjustable stand | |
CN216534333U (en) | Liftable reading stand support | |
GB2368784A (en) | An inclination-adjustable monitor stand | |
WO2018033695A1 (en) | Improvements in supporting computer tablets & laptops | |
KR20100006048U (en) | Reading desk for attaching to wall surface | |
JP4489211B2 (en) | Display support device | |
KR200275780Y1 (en) | Computer working chair | |
CN209769463U (en) | Lazy people's table | |
CN220212294U (en) | Sitting posture corrector | |
KR100938827B1 (en) | A reading des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0109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3040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110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0407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0405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04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0803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