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0963U - 수납 선반용 지지구 - Google Patents
수납 선반용 지지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00963U KR20100000963U KR2020080009632U KR20080009632U KR20100000963U KR 20100000963 U KR20100000963 U KR 20100000963U KR 2020080009632 U KR2020080009632 U KR 2020080009632U KR 20080009632 U KR20080009632 U KR 20080009632U KR 20100000963 U KR20100000963 U KR 20100000963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ove line
- support
- storage shelf
- line portion
- fram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4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screwbolts as connecting memb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5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clamping means, e.g. with sliding bolts or sliding wedg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방, 욕조, 화장실 등에서 식기, 용품 등을 수납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와이어 프레임을 구비한 수납 선반을,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지지봉에 쉽게 결합 지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간단히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는 수납 선반용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지지구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지지봉에 와이어 프레임을 구비한 수납 선반을 결합 지지하기 위한 단일체의 지지구로서, 상기 지지봉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끼움홀과; 상면 일측에, 수납 선반의 상부 프레임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수평방향의 홈이 형성된 상부 홈라인부와; 상기 상부 홈라인부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이격되어, 수납 선반의 하부 프레임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수평방향의 홈이 형성된 하부 홈라인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의 지지구는, 단일체로 되어 있어 구성이 간단하므로, 제조 단가가 저렴하며, 구조가 간단하여 수납 선반의 조립 설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수납 선반, 지지구, 끼움홀, 지지봉, 프레임, 상부 홈라인부, 하부 홈라인부
Description
본 고안은 수납 선반용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방, 욕조, 화장실 등에서 식기, 용품 등을 수납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와이어 프레임을 구비한 수납 선반을,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지지봉에 쉽게 결합 지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간단히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는 수납 선반용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 욕조, 화장실 등에서는 식기를 건조, 보관하거나 여러 가지 용품을 수납하기 위해, 와이어를 절곡 및 결속하여 만든 수납 선반을 사용하고 있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와이어 프레임을 구비한 수납 선반(2)을,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지지봉(20)에 양측을 일정 높이로 결합시켜 1단 또는 2단 이상으로 설치하는 구성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때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지지봉(20)에 수납 선반(2)을 결합 지지하기 위한 수납 선반 고정구(10)가 특허등록 제10-663201호로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고정구(10)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 지봉 고정체(11), 프레임 지지체(12) 및 조임구(16)를 이용하여 수납 선반(2)을 지지봉(20)에 결합시키는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지지봉(20)에 지지봉 고정체(11)를 끼운 후, 상기 지지봉 고정체(11)에 수평 끼움홀(14)을 갖는 프레임 지지체(12)를 끼우고, 상기 수평 끼움홀(14)에 수납 선반(2)의 상부 프레임(4) 및 하부 프레임(6)을 끼운 후, 프레임 지지체(12)의 일측에 조임구(16)를 회전시켜 결합하게 된다.
종래와 같이 수납 선반(2)을 지지봉(20)에 결합할 때, 지지봉 고정체(11), 프레임 지지체(12) 및 조임구(16)를 이용해 결합시키는 구조는, 그 구성품이 여러 개로 구성되어 있어, 제조 단가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이 불편하고, 프레임 지지체(12) 및 조임구(16)를 이용해 가압 회전시켜 단단히 결합하여야 하는 등 조립 설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수납 선반 고정구에 있어서는, 조임구(16)가 완전하게 조여지지 않은 상태에서, 수납 선반(2)에 많은 양의 그릇, 용품 등이 수납, 보관되는 경우, 무게 증가로 인해 수납 선반이 결합상태에서 해제되어, 그릇 등이 바닥에 떨어져 깨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수납 선반의 조립 설치가 용이하고, 단일체로 되어 있어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 단가가 저렴한 수납 선반용 지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납 선반용 지지구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지지봉에 와이어 프레임을 구비한 수납 선반을 결합 지지하기 위한 단일체의 지지구로서, 상기 지지봉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끼움홀과; 상면 일측에, 수납 선반의 상부 프레임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수평방향의 홈이 형성된 상부 홈라인부와; 상기 상부 홈라인부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이격되어, 수납 선반의 하부 프레임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수평방향의 홈이 형성된 하부 홈라인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구의 하부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홈라인부는 상기 연장부의 끼움홀 쪽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홈라인부는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홈라인부는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상부 홈라인부가 형성된 수직방향의 동일 위치 선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하부 홈라인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상부 홈라인부는 서로 다른 직경의 와이어 프레임이 결합되도록 크기가 상이하며, 상기 상부 홈라인부에 대응되는 각각의 상기 하부 홈라 인부는 상기 상부 홈라인부에 대응되는 크기로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끼움홀의 내측 하부에 링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구의 측면에는 피스구멍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홈라인부와 하부 홈라인부의 개구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수납 선반용 지지구는, 단일체로 되어 있어 구성이 간단하므로, 제조 단가가 저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수납 선반용 지지구는, 구조가 간단하여 수납 선반의 조립 설치가 용이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간단히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수납 선반용 지지구에 의하면, 별도의 조임구가 필요 없으므로, 조임구의 조임력이 약해지는 경우 수납 선반이 결합위치에서 이탈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수납 선반용 지지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와 같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종래의 구성과 본 고안의 구성에서 중복되는 부분의 도면 부호는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도 3 은 본 고안의 수납 선반용 지지구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 는 도 3 에 도시된 지지구의 단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수납 선반용 지지구(30)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지지봉(20)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끼움홀(36)과, 상면 일측에, 수납 선반(2)의 상부 프레임(4)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형성된 상부 홈라인부(32), 및 상기 상부 홈라인부(32)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이격되어, 수납 선반(2)의 하부 프레임(6)이 끼워지도록 형성된 하부 홈라인부(33a,33b)를 포함한다.
이때, 본 고안의 지지구(30)의 하부 일측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부(35)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홈라인부(33a,33b)는 상기 연장부(35)의 끼움홀(36) 쪽의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끼움홀(36)은,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지지봉(20)에 끼워지도록, 본 고안의 지지구(3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홈라인부(32)는, 지지구(30)의 상면 일측에, 수납 선반(2)의 상부 프레임(4)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수평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윗쪽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상기 상부 홈라인부(32)에 상부 프레임(4)을 끼워 결합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 홈라인부(33a,33b)는, 상기 상부 홈라인부(32)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상기 상부 홈라인부(32)에 대응되는 쪽의 지지구(30)의 하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부(35)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 홈라인부(33a,33b)는 상기 연장부(35)의 끼움홀(36) 쪽의 측면에 형성된다.
즉, 상기 하부 홈라인부(33a,33b)는, 상기 연장부(35)의 끼움홀(36) 쪽 측면 에, 수납 선반(2)의 하부 프레임(6)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수평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끼움홀(36) 쪽을 향해 측면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상기 하부 홈라인부(33a,33b)는 측면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수평방향으로 힘을 가하면서 수납 선반(2)의 하부 프레임(6)을 상기 하부 홈라인부(33a,33b)에 끼워 결합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 하부 프레임(6)은 상부 프레임(4)에 비해 아래쪽에 형성된다.
도 4 에서 보듯이, 수납 선반(2)의 상부 프레임(4)이 상부 홈라인부(32)에 수직방향으로 끼워져 결합되고, 하부 프레임(6)은 하부 홈라인부(33a)에 수평방향으로 끼워져 결합된 상태이며, 이와 같이 상부 프레임(4)과 하부 프레임(6)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하좌우의 어느 쪽에서 수납 선반(2)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수납 선반(2)을 견고하게 지지해 주게 된다. 특히, 상기 하부 프레임(6)이, 연장부(35)의 끼움홀(36) 쪽에 형성된 하부 홈라인부(33a)에 끼워져 결합되는 형태이므로, 수납 선반(2) 쪽으로 작용하는 수평방향의 힘에 대해 뛰어난 지지력을 가지게 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하부 홈라인부는 복수개가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아래쪽의 하부 홈라인부(33a)와 위쪽의 하부 홈라인부(33b)는 크기가 상이하게 형성된다. 즉, 수납 선반(2)의 제조에 사용되는 와이어의 직경이 다를 수 있으므로, 서로 다른 직경의 와이어 프레임이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하부 홈라인부(33a,33b)는 크기가 상이하게 형성되며, 예를 들면, 큰 직경의 와이어 프레 임을 사용한 수납 선반(2)의 경우에는 아래쪽의 하부 홈라인부(33a)을 이용하여 결합하고, 작은 직경의 경우에는 위쪽의 하부 홈라인부(33b)에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부 홈라인부(32)는 상기 큰 직경의 와이어 프레임을 끼울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하여, 작은 직경에도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 홈라인부(32) 및 하부 홈라인부(33a,33b)의 개구부 일측에는, 상부 프레임(4) 및 하부 프레임(6)이 각각 상부 홈라인부(32) 및 하부 홈라인부(33a,33b)로부터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돌기부(39)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지지구(30)의 상부 홈라인부(32) 및 하부 홈라인부(33a)에 수납 선반(2)의 상부 프레임(4) 및 하부 프레임(6)이 각각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지면, 상기 돌기부(39)로 인해 수납 선반(2)이 끼워져 결합된 후에는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물론, 상기 돌기부(39)는 상부 홈라인부(32) 및 하부 홈라인부(33a,33b)의 개구부의 양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끼움홀(36)의 내측 하부에는 링 안착부(41)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지지구(30)를 지지봉(20)에 끼우고, 상기 링 안착부(41)에 고무링(40)이 끼워지면, 고무링(40)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지지봉(20)에 지지구(30)가 견고하게 결합 설치된다. 상기 고무링(40)의 위치를 조정하면, 수납 선반(2)을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의 위치로 간단하게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구(30)의 측면에는 피스구멍(29)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무링(40)을 사용하지 않거나, 고무링(40)에 의한 지지력을 보강하여 상기 지지구(30)를 지지봉(20)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하려는 경우에는, 상기 피스구멍(29) 에 피스(31)를 삽입 체결함으로써 상기 지지봉(20)에 지지구(30)를 견고하게 결합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피스구멍(29)은 상기 지지구(30)의 측면에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도 5 는 본 고안의 수납 선반용 지지구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 은 도 5 에 도시된 지지구의 단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 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수납 선반용 지지구(30)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지지봉(20)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끼움홀(36)과, 상기 지지구(30)의 상면 일측에, 수납 선반(2)의 상부 프레임(4)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수평방향의 홈이 형성된 상부 홈라인부(32), 및 상기 상부 홈라인부(32)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이격되어, 수납 선반(2)의 하부 프레임(6)이 끼워지도록 수평방향의 홈이 형성된 하부 홈라인부(34a,34b)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홈라인부(34a,34b)는 복수개가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구(30)의 상부 홈라인부(32)는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와 실질상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하부 홈라인부(34a,34b)는 상기 지지구(30)의 측면 하부에 형성되며 바깥쪽을 향하도록 개구되어 있다.
따라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선반(2)의 상부 프레임(4)을 지지구(30)의 상부 홈라인부(32)에 끼워 결합하고, 하부 프레임(6)을 하부 홈라인부(34a)에 끼워 결합하게 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 프레임(4)이 상부 홈라인부(32)에 수직방향으로 끼워져 결합되고, 하부 프레임(6)은 하부 홈라인부(34a)에 수평방향으로 끼워져 결합된 상태이며, 상부 프레임(4)과 하부 프레임(6)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하좌우의 어느 쪽 외력에 대해서도 견고한 지지력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 홈라인부(32) 및 하부 홈라인부(34a,34b)의 개구부 일측 또는 양측에는 돌기부(39)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끼움홀(36)의 내측 하부에는 링 안착부(4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기부(39), 링 안착부(41) 및 피스구멍(29)의 구성은 본 고안의 상기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과 실질상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 은 본 고안의 수납 선반용 지지구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부 홈라인부(37a,37b)가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상부 홈라인부(37a,37b)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이격되어, 각각의 상부 홈라인부(37a,37b)가 형성된 수직방향의 동일 위치 선상에 대응되도록, 하부 홈라인부(38a,38b)가 각각 형성된다.
즉, 지지구(30)의 상면 일측에 상기 상부 홈라인부(37a,37b)가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상부 홈라인부(37a,37b)에 대응되는 지지구(30)의 수직 하방의 위치에는 하부 홈라인부(38a,38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상부 홈라인부(37a,37b)는 서로 다른 직경의 와이어 프 레임이 결합되도록 크기가 상이하며, 상기 상부 홈라인부(37a,37b)에 대응되는 각각의 상기 하부 홈라인부(38a,38b)는 상기 상부 홈라인부(37a,37b)에 대응되는 크기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구(30)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상부 홈라인부(37a)가 안쪽에 위치하는 상부 홈라인부(37b)보다 큰 직경의 와이어 프레임을 끼울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아래쪽에 위치하는 하부 홈라인부(38a)는 상기 바깥쪽의 상부 홈라인부(37a)와 짝을 이루어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위쪽의 하부 홈라인부(38b)는 상기 안쪽의 상부 홈라인부(37b)와 대응하는 크기로 각각 형성된다. 이는, 수납 선반(2)이 대형일수록 큰 직경의 와이어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본 고안의 수납 선반용 지지구의 결합 및 작동관계를,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 홈라인부(32)에 수납 선반(2)의 상부 프레임(4)을 끼워 결합한 상태에서, 하부 프레임(6)을 하부 홈라인부(33a)에 끼워 결합한다.
이와 같이, 상부 프레임(4) 및 하부 프레임(6)이 끼워져 결합되면, 끼움홀(36)에 지지봉(20)을 끼워 설치하게 된다. 이때, 지지구(30)를 지지봉(20)의 원하는 높이로 조절하고, 링 안착부(41)에 고무링(40)이 끼워지면, 고무링(40)에 의해 상기 지지봉(20)에 지지구(30)가 견고하게 결합 설치된다.
상기 고무링(40)을 사용하지 않거나, 고무링(40)에 의한 지지력을 보강하여 상기 지지구(30)를 지지봉(20)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하려는 경우에는, 피스구 멍(29)에 피스(31)를 삽입 체결하여 상기 지지봉(20)에 지지구(30)를 결합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결합되면, 상부 프레임(4)과 하부 프레임(6)이 서로 다른 방향 쪽으로 끼워져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하좌우의 어느 쪽에서 수납 선반(2)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수납 선반(2)을 안정된 상태로 지지해 주게 된다.
한편, 수납 선반(2)은 지지봉(20)에 1단 또는 2단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수납 선반용 고정구를 나타내는 도면.
도 2 는 도 1 의 수납 선반용 고정구의 부분 분해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은 본 고안의 수납 선반용 지지구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 는 도 3 에 도시된 지지구의 단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 는 본 고안의 수납 선반용 지지구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 은 도 5 에 도시된 지지구의 단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 은 본 고안의 수납 선반용 지지구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부호의 설명-
2: 수납 선반 4: 상부 프레임
6: 하부 프레임 20: 지지봉
29: 피스구멍 32,37a,37b: 상부 홈라인부
33a,33b,34a,34b,38a,38b: 하부 홈라인부
35: 연장부 36: 끼움홀
39: 돌기부 41: 링 안착부
Claims (8)
-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지지봉에 와이어 프레임을 구비한 수납 선반을 결합 지지하기 위한 단일체의 지지구로서,상기 지지봉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끼움홀과;상면 일측에, 수납 선반의 상부 프레임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수평방향의 홈이 형성된 상부 홈라인부와;상기 상부 홈라인부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이격되어, 수납 선반의 하부 프레임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수평방향의 홈이 형성된 하부 홈라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선반용 지지구.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지지구의 하부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부가 형성되고,상기 하부 홈라인부는 상기 연장부의 끼움홀 쪽 측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선반용 지지구.
- 제 1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하부 홈라인부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선반 용 지지구.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상부 홈라인부가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상부 홈라인부가 형성된 수직방향의 동일 위치 선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하부 홈라인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선반용 지지구.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복수개의 상부 홈라인부는 서로 다른 직경의 와이어 프레임이 결합되도록 크기가 상이하며, 상기 상부 홈라인부에 대응되는 각각의 상기 하부 홈라인부는 상기 상부 홈라인부에 대응되는 크기로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선반용 지지구.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끼움홀의 내측 하부에 링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선반용 지지구.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상부 홈라인부와 하부 홈라인부의 개구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선반용 지지구.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지지구의 측면에 피스구멍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선반용 지지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9632U KR20100000963U (ko) | 2008-07-21 | 2008-07-21 | 수납 선반용 지지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9632U KR20100000963U (ko) | 2008-07-21 | 2008-07-21 | 수납 선반용 지지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0963U true KR20100000963U (ko) | 2010-01-29 |
Family
ID=44196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80009632U Abandoned KR20100000963U (ko) | 2008-07-21 | 2008-07-21 | 수납 선반용 지지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00963U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83041A (ko) * | 2021-12-02 | 2023-06-09 | (주)코끼리 | 싱크대 선반 |
US11896122B1 (en) * | 2023-02-27 | 2024-02-13 | Dongguan Lingquan Hardware products co. LTD | Mounting structure of storage basket and multi-layer storage rack with the same |
-
2008
- 2008-07-21 KR KR2020080009632U patent/KR20100000963U/ko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83041A (ko) * | 2021-12-02 | 2023-06-09 | (주)코끼리 | 싱크대 선반 |
US11896122B1 (en) * | 2023-02-27 | 2024-02-13 | Dongguan Lingquan Hardware products co. LTD | Mounting structure of storage basket and multi-layer storage rack with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066817B2 (en) | Integrally assembled sink | |
KR20100000963U (ko) | 수납 선반용 지지구 | |
KR100997384B1 (ko) | 고정부재를 이용한 선반 | |
KR200490006Y1 (ko) | 식기건조대의 측면판과 행거부재 조립구조 | |
KR200427638Y1 (ko) | 싱크대용 선반 | |
KR101181029B1 (ko) | 조립식 의류 행거 시스템을 이루는 탄성 기둥 고정캡 및 이를 포함하는 커튼봉 고정용 횡바 구조체 | |
KR100766910B1 (ko) | 개폐식 수납선반 고정클램프 | |
KR102497931B1 (ko) | 거치 형태의 변경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선반 | |
KR101551605B1 (ko) | 도어용 옷걸이 | |
KR200332227Y1 (ko) | 씽크 선반 | |
KR100431249B1 (ko) | 확장성을 갖는 식기건조대 겸용 봉선반 | |
KR101100150B1 (ko) | 양방향 조립식선반 | |
KR200461651Y1 (ko) | 빨래 건조대 | |
KR102363576B1 (ko) | 캠핑용 트레일러의 외부선반 | |
KR200382903Y1 (ko) | 조립식 다단 선반 | |
JP4729335B2 (ja) | ベースキャビネット及び配管点検口カバー | |
JP2013007167A (ja) | 浴室構造 | |
KR200473975Y1 (ko) | 가구용 받침다리 | |
KR100939298B1 (ko) | 싱크대 다리 | |
KR101088036B1 (ko) | 싱크대 다리 | |
KR20110072511A (ko) | 싱크대 다리 결합구조 | |
KR200443182Y1 (ko) | 주방용 선반 | |
KR100997388B1 (ko) | 행거 설치형 선반 | |
KR20090050692A (ko) | 신발장 | |
KR100997385B1 (ko) | 행거 설치형 선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80721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00628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0120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U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