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00536U - 제침기와 커터 겸용구 - Google Patents

제침기와 커터 겸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0536U
KR20100000536U KR2020080009093U KR20080009093U KR20100000536U KR 20100000536 U KR20100000536 U KR 20100000536U KR 2020080009093 U KR2020080009093 U KR 2020080009093U KR 20080009093 U KR20080009093 U KR 20080009093U KR 20100000536 U KR20100000536 U KR 2010000053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cutter
piece
slider
coup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90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우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스코리아
Priority to KR20200800090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0536U/ko
Publication of KR201000005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536U/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1/00Hand knives combined with other implements, e.g. with corkscrew, with scissors, with writing imp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11/00Nail, spike, and staple ex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5/00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 B26B5/001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with blades being slid out of handle immediately prior to use
    • B26B5/002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with blades being slid out of handle immediately prior to use segmented bl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테이플러용 철침을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제거하여 수거할 수 있는 제침기와 사무용 커터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서류 정리 작업시에 하나의 겸용구를 이용하여 철침의 제거와 서류 절단의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침기와 커터 겸용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철침보다 작게 형성되는 단부의 외측끝단에는 절개홈이 형성되고, 내측끝단은 절곡되어 연장형성된 제침편; 상기 제침편의 상측에 결합되고, 일측의 저면에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분리된 철침을 수납하는 저장공간이 마련되며, 중앙부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내부에는 커터날에 연결되는 슬라이더가 안착되어 수평이동되는 슬라이딩면이 형성되고, 내부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조정단에 걸림결합되어 상기 커터날이 외부로 돌출되는 길이 조절을 위한 조정가이드가 형성된 몸체부; 상기 제침편의 하측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안내리브가 형성되며, 저면은 볼록한 형상을 갖는 하부받침부;및 상기 안내리브에 끼움결합되는 고정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 상부에 돌출형성된 밀대의 양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슬라이더의 수평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상부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침기, 커터, 스테이플러, 철침, 자석.

Description

제침기와 커터 겸용구{Combined tool of stapler remover and cutter}
본 고안은 제침기와 커터 겸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테이플러용 철침을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제거하여 수거할 수 있는 제침기와 사무용 커터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서류 정리 작업시에 하나의 겸용구를 이용하여 철침의 제거와 서류 절단의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침기와 커터 겸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류를 취급하는 장소인 사무실이나 가정 등에서 사용하는 스테이플러(Stapler)는 스테이플러용 철침의 양끝단이 서류를 관통한 후 반대방향으로 휘어져 서류에 압착 고정되는 방식을 통해 서류를 묶음 단위로 정리하여 보관할 때 사용되는 용구이다.
상기 스테이플러용 철침은 일단 서류에 박혀서 고정되면 철침과 서류간에 밀착된 상태가 되므로, 철침의 고정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서류의 추가나 재정리를 위하여 철침과 서류가 결합된 상태에서 철침을 분리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별도의 제침기를 사용하지 않고서 서류에 고정된 철침을 분리하는 경우에는 손가락 등 신체에 상해를 입을 수 있고, 서류면에도 흠집 등의 손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종래의 제침기는 끝단이 뾰족 정점을 이루는 집게 구조로 형성된 것으로, 철침의 제거시에는 철침의 일지점을 물고 잡아당길 때 큰 힘을 가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고, 서류에 휘어져 고정된 철침의 양단 중 일측단이 펴지면서 서류에서 분리되어 빠져 나오더라도 철침의 다른 측단을 마져 빼내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제침기를 이용하여 철침을 서류에서 분리시킨 후에는 철침이 책상위나 사무실 바닥에 흩어져 있게 되어 주변 환경을 어지럽히게 되고, 이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자가 일일이 분리된 철침을 찾아서 치워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서류 정리 작업시에는 제침기 이외에 사무용 커터를 수시로 사용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상기 제침기와 사무용 커터가 별도의 용구로 제작되고 있기 때문에 두 가지 용구의 기능을 모두 이용하기 위해서는 제침기와 사무용 커터를 각각 별도로 구비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서류에 고정된 스테이플러용 철침을 용이하게 제거하여 수거할 수 있는 제침기와 사무용 커터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제침기와 커터 겸용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제침기와 커터 겸용구는, 단부(42)는 스테이플러용 철침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단부(42)의 외측끝단(42a)에는 절개홈(44)이 형성되며, 상기 단부(42)의 내측끝단(42b)은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 제침편(40); 상기 제침편(40)의 상측에 결합되고, 일측의 저면에는 단차부(27)가 형성되어 상기 제침편(40)의 상측으로 분리된 철침을 수납하는 저장공간(45)이 마련되며, 중앙부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내부에는 커터날(36)의 끝단에 연결되는 슬라이더(30)가 안착되어 수평이동되는 슬라이딩면(22)이 형성되고, 내부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더(30)의 조정단(34)에 걸림결합되어 상기 커터날(36)이 외부로 돌출되는 길이 조절을 위한 조정가이드(26)가 형성된 몸체부(20); 상기 제침편(40)의 하측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안내리브(52)가 형성되며, 저면은 볼록한 형상을 갖는 하부받침부(50);및 상기 안내리브(52)에 끼움결합되는 고정리브(16)를 매개로 상기 몸체부(20)와 상기 제침편(40)과 상기 하부받침부(50)를 순차로 적층결합시키고, 상기 슬라이더(30) 상부에 돌출형성된 밀대(32)의 양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슬라이더(30)의 수평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2)이 형성된 상부덮개(1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침편(40)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받침부(50)의 내부에는 자석안착부(54)가 구비되어 상기 자석안착부(54)에 고정되는 자석(56)과 상기 제침편(40)이 상호 접촉된 상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제침기와 커터 겸용구에 의하면, 일측에는 제침기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사무용 커터가 구비된 일체형의 겸용구를 이용하여 서류 작업시에 스테이플러용 철침의 제거와 서류 등의 절단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제침편의 단부를 철침과 서류 사이의 밀착된 공간에 삽입시켜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철침을 들어 올려 분리시키게 됨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철침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철침의 제거시에 신체의 상해 및 서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제침편에 연결된 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분리된 철침이 몸체부와 제침편 사이에 마련된 저장공간에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분리된 철침의 처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침기와 커터 겸용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침기와 커터 겸용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침기와 커터 겸용구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침기와 커터 겸용구의 저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본 고안의 제침기와 커터 겸용구(1)는 스테이플러용 철침을 제거하는 기능과 일반 사무용 커터의 절단 기능을 하나의 겸용구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침기와 커터 겸용구(1)는, 제침편(40)과, 상기 제침편(40)의 상측으로 일측이 결합되고 중앙부와 타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내부에는 커터날(36)과 결합되어 수평이동되는 슬라이더(30)를 수용하는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20)의 상측으로 결합되는 상부덮개(10) 및 상기 제침편(40)의 하측으로 결합되는 하부받침부(50)로 구성된다.
몸체부(20)의 일측 저면에 결합되는 제침편(40)은 납짝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몸체부(20)의 외부로 돌출되는 단부(42)는 그 폭이 스테이플러용 철침의 폭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단부(42)의 외측끝단(42a)의 중앙에는 절개홈(4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개홈(44)은 철침과 서류 사이의 밀착된 공간으로 제침편(40)의 단부(42)를 삽입시키고 들어 올려 철침을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철침이 쉽게 분리되지 않는 경우에 철침을 상기 절개홈(44)에 끼운 상태에서 상하좌우로 요동시켜 철침을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한다.
또한, 철침의 분리시에 상기 단부(42)에 끼워진 철침이 상측으로 용이하게 들어 올려질 수 있도록 상기 단부(42)는 내측끝단(42b)이 절곡되어 상측으로 일정 각도 경사진 구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침편(40)이 결합되는 몸체부(20)의 저면에는 외측은 높고 내측은 낮은 단차부(27)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20)의 저면과 제침편(40)의 상면 사이에 형성되는 저장공간(45)으로 분리되는 철침이 적층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몸체부(20)의 중앙부로부터 타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내부에는 커터날(36)의 끝단에 연결되는 슬라이더(30)가 상면에 안착되어 수평이동되는 슬라이딩면(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30)의 끝단에 형성된 걸림돌기(38)에는 커터날(36)의 끝단이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더(30)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커터날(36)의 수평이동을 조정하기 위한 밀대(32)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더(30)의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더(30)의 몸체에 일측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은 측방향으로 돌출된 자유단으로 이루어진 조정단(34)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몸체부(20)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더(30)의 조정단(34)에 걸림결합되어 상기 커터날(36)이 몸체부(20)의 끝단에 결합되는 뚜껑(35)의 외부로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정가이드(26)가 다수의 돌기 모양으로 슬라이딩면(22)의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일렬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35)의 외측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절단홈(35a)이 절개되어, 상기 절단홈(35a)을 통하여 커터날(36)이 몸체부(20)의 외부로 돌출되는 경우 상기 커터날(36)의 흔들림을 방지함과 아울러 커터날(36)의 끝단이 무뎌진 경우에는 뚜껑(35)을 빼내어 상기 절단홈(35a)에 커터날(36)을 삽입시키고 커터날(36)의 표면 에 형성되어 있는 절단선(36a)을 따라서 커터날(36)의 끝단편을 절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침편(40)의 하측으로는 하부받침부(50)가 결합되며, 상기 하부받침부(50)의 바닥면은 중앙이 하측방향으로 볼록하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납작해지는 형태로 되어있다. 이러한 하부받침부(50)의 바닥면 구조는 철침을 분리시킬 때에 지렛대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철침과 서류 사이에 제침편(40)의 단부(42)를 끼워넣은 상태에서 몸체부(20)의 타측단을 잡고 아랫방향으로 내리면 상기 하부받침부(50)의 바닥면이 서류면과 맞닿아 회전되므로 적은 힘으로도 철침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몸체부(20)의 상측으로 결합되는 상부덮개(10)의 저면에는 고정리브(16)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리브(16)는 상기 몸체부(20)에 형성된 삽입공(28)과 제침편(40)에 형성된 삽입공(46)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받침부(50)의 내부에 형성된 안내리브(52)에 끼워져 결합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20)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홈(24)에 상기 상부덮개(10)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돌기(14)가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상부덮개(10) 일측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엄지손가락을 대고 제침 작업을 할 때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18)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덮개(10)의 중앙부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에는 상기 슬라이더(30) 상부에 돌출형성된 밀대(32)의 양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슬라이더(30)의 수평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2)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는 철침을 서류에서 분리시킨 후에 분리된 철침이 주변에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침편(40)의 재질을 금속재질로 구성하고, 상기 제침편(40)에 형성된 삽입공(48)과 상기 하부받침부(50)에 형성된 자석안착부(54)에 자석(56)을 끼워넣어, 상기 제침편(40)과 상기 자석(56)이 접촉된 상태로 결합시킴으로써 분리된 철침이 자화된 제침편(40)에 들러붙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침편(40)의 상측으로 형성되는 저장공간(45)에 철침이 부착되어 수납되고, 철침이 일정량 누적되면 한꺼번에 빼내어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제침기와 커터 겸용구는, 일측으로는 제침기의 기능을 하도록 하고 타측으로는 커터의 기능을 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관과 사용에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생산 측면에서도 종래 별도의 용구로 각각 제작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한정된 자원을 보다 경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침기와 커터 겸용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침기와 커터 겸용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침기와 커터 겸용구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침기와 커터 겸용구의 저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겸용구 10 : 상부덮개
12 : 가이드홈 14 : 결합돌기
16 : 고정리브 18 : 돌기
20 : 몸체부 22 : 슬라이딩면
24 : 결합홈 26 : 조정가이드
27 : 단차부 28,46,48 : 삽입공
30 : 슬라이더 32 : 밀대
34 : 조정단 35 : 뚜껑
35a : 절단홈 36 : 커터날
36a: 절단선 38 : 걸림돌기
40 : 제침편 42 : 단부
45 : 저장공간 50 : 하부받침부
52 : 안내리브 54 : 자석안착부
56 : 자석

Claims (2)

  1. 단부(42)는 스테이플러용 철침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단부(42)의 외측끝단(42a)에는 절개홈(44)이 형성되며, 상기 단부(42)의 내측끝단(42b)은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 제침편(40);
    상기 제침편(40)의 상측에 결합되고, 일측의 저면에는 단차부(27)가 형성되어 상기 제침편(40)의 상측으로 분리된 철침을 수납하는 저장공간(45)이 마련되며, 중앙부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내부에는 커터날(36)의 끝단에 연결되는 슬라이더(30)가 안착되어 수평이동되는 슬라이딩면(22)이 형성되고, 내부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더(30)의 조정단(34)에 걸림결합되어 상기 커터날(36)이 외부로 돌출되는 길이 조절을 위한 조정가이드(26)가 형성된 몸체부(20);
    상기 제침편(40)의 하측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안내리브(52)가 형성되며, 저면은 볼록한 형상을 갖는 하부받침부(50);및
    상기 안내리브(52)에 끼움결합되는 고정리브(16)를 매개로 상기 몸체부(20)와 상기 제침편(40)과 상기 하부받침부(50)를 순차로 적층결합시키고, 상기 슬라이더(30) 상부에 돌출형성된 밀대(32)의 양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슬라이더(30)의 수평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2)이 형성된 상부덮개(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침기와 커터 겸용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침편(40)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받침부(50)의 내부에는 자석안착부(54)가 구비되어 상기 자석안착부(54)에 고정되는 자석(56)과 상기 제침편(40)이 상호 접촉된 상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침기와 커터 겸용구.
KR2020080009093U 2008-07-08 2008-07-08 제침기와 커터 겸용구 Ceased KR2010000053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093U KR20100000536U (ko) 2008-07-08 2008-07-08 제침기와 커터 겸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093U KR20100000536U (ko) 2008-07-08 2008-07-08 제침기와 커터 겸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536U true KR20100000536U (ko) 2010-01-18

Family

ID=44194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9093U Ceased KR20100000536U (ko) 2008-07-08 2008-07-08 제침기와 커터 겸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053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180B1 (ko) * 2013-04-18 2014-08-29 삼성씨엔에스(주) 봉투 개봉기와 일체로 된 제침기
KR102773823B1 (ko) * 2024-12-04 2025-02-27 이혜빈 다기능 스테이플러 제침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180B1 (ko) * 2013-04-18 2014-08-29 삼성씨엔에스(주) 봉투 개봉기와 일체로 된 제침기
KR102773823B1 (ko) * 2024-12-04 2025-02-27 이혜빈 다기능 스테이플러 제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069352A1 (ja) 外科用メス刃用ホルダ
JP2014034099A (ja) 綴じ具
US7090198B1 (en) Magnetic staple remover
CN107073739B (zh) 用于锯的推杆收纳系统和具有这种系统的台锯
KR20100000536U (ko) 제침기와 커터 겸용구
JPWO2012115075A1 (ja) 見出し形成用器具
KR200443264Y1 (ko) 제침기
JP5853320B2 (ja) 刃及び綴じ機
JP3211991U (ja) 紙綴じ具
JP4305375B2 (ja) 外科用ステープルリムーバ
JP3242792U (ja) 紙綴じ補助具
JP3107691U (ja) ステープル引抜き器
JP2012111513A (ja) 結束バンド
JP5500338B2 (ja) 軟質ステープル
JP3155730U (ja) 取手成形ファイル
JP2012111513A5 (ko)
KR200280593Y1 (ko) 제침기
JP4389077B2 (ja) リムーバ
JP4861799B2 (ja) 手動スライサー用の押さえ具
KR20130012499A (ko) 커팅 장치
JP4623284B2 (ja) パンチ用サイドゲージ
JP3208914U (ja) 綴じ具及びそれを備えたファイル
KR200423483Y1 (ko) 손톱 비산 방지장치
JP3118512U (ja) 取り外し可能な容器保持具
JP2006204559A (ja) ホルダー付き爪切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8070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00729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0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