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80593Y1 - 제침기 - Google Patents

제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0593Y1
KR200280593Y1 KR2020020009465U KR20020009465U KR200280593Y1 KR 200280593 Y1 KR200280593 Y1 KR 200280593Y1 KR 2020020009465 U KR2020020009465 U KR 2020020009465U KR 20020009465 U KR20020009465 U KR 20020009465U KR 200280593 Y1 KR200280593 Y1 KR 2002805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pler
fixing piece
case
document
pie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94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태랑
Original Assignee
화신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신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화신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094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05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05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0593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서류에 고정된 스테이플러용 철침을 이탈시키는 제침기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플러용 철침을 서류에서 이탈시키도록 절곡된 단부에 절개홈이 형성되며, 내부에 안착공이 형성된 고정편을 구성하고, 상기 고정편을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를 구성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안착되어 고정편에 의해 서류에서 이탈된 스테이플러용 철침을 한 번에 고정편에서 이탈시키는 작동부재를 구성함으로서, 서류에 고정된 스테이플러용 철침을 제침기의 고정편에 끼워 제거함으로 스테이플러용 철침이 편심되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서류로부터 제거되는 스테이플러용 철침을 고정편에 끼워 보관한 후, 한 번에 다수개의 스테이플러용 철침을 쓰레기통에 투입하므로 사용을 용이하게 할 뿐만아니라, 사무실 바닥을 청결하게 하는 제침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침기{staple remover}
본 고안은 서류를 고정시키는 스테이플러용 철침을 제거하는 제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각각의 서류를 정리하여 보관할 때, 스테이플러를 사용하여 스테이플러용 철침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킨 후, 일정장소에 보관한다.
그리고 각각의 서류에 내용을 추가하거나 삭제시킬 때, 스테이플러용 철침을 서류에서 이탈시키고, 서류를 다시 정리한 후, 다시 스테이플러용 철침으로 고정시켜 보관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스테이플러용 철침이 고정된 상태에서 다시 해제시키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사용자가 이를 제침할 목적으로 손톱을 사용하였으나, 이는 손톱이 부러지거나 손가락이 다치는 안전사고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었고, 스테이플러용 철침을 제거하기가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곡면부(11a,12a)와 내경사벽(11b,12b)으로 뾰족 정점을 이루게 형성한 제침기(10)를사용하여, 이들이 교차될 때, 스테이플러용 철침을 물고, 압지하여 서류에서 이탈하게 하였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근래의 제침기는, 서류에 고정된 스테이플러용 철침을 이탈시킬 때, 서류뭉치로부터 한 쪽만 빠져서 집게나 손으로 스테이플러용 철침을 제거해야 하므로 사용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고, 서류로부터 제거된 스테이플러용 철침이 사무실 바닥에 떨어져 흩어짐에 따라 지저분하고, 이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으로 스테이플러용 철침을 별도로 치워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서류에 고정된 스테이플러용 철침을 제침기의 고정편에 끼워 제거함으로 스테이플러용 철침이 편심되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서류로부터 제거되는 스테이플러용 철침을 고정편에 끼워 보관한 후, 한 번에 다수개의 스테이플러용 철침을 쓰레기통에 투입하므로 사용을 용이하게 할 뿐만아니라, 사무실 바닥을 청결하게 하는 제침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서류에 고정된 스테이플러용 철침을 이탈시키는 제침기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플러용 철침을 서류에서 이탈시키도록 절곡된 단부에 절개홈이 형성되며, 내부에 안착공이 형성된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을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안착되어 고정편에 의해 서류에서 이탈된 스테이플러용 철침을 한 번에 고정편에서 이탈시키는 작동부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제침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제침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제침기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제침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제침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제침기에 스테이플러용 철침이 끼워지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스테이플러용 철침이 제침기에서 이탈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 작동부재의 다른실시예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고정편 110: 절개홈
120: 안착공 200: 케이스
210: 하부케이스 211: 지지편
212: 안내리브 220: 상부케이스
221: 고정리브 230: 스크류
240: 수용공간 300: 작동부재
310: 작동구 320: 스프링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제침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제침기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제침기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서류(P)에 고정된 스테이플러용 철침(S)을 이탈시키는 제침기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플러용 철침(S)을 서류(P)에서 이탈시키도록 스테이플러용 철침(S)보다 작게 형성되어 절곡되고, 단부에 절개홈(110)이 형성되며, 내부에 안착공(120)이 관통된 고정편(100)이 구성되고, 상기 고정편(100)을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200)가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에 안착되어 고정편(100)에 의해 서류(P)에서 이탈된 스테이플러용 철침(S)을 한 번에 고정편(100)에서 이탈시키는 작동부재(300)가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케이스(200)는, 상기 고정편(100)을 내부에 수용하며, 고정편(100)의 단부가 밀착되는 지지편(211)이 형성되고, 이 지지편(211)의 전방에 고정편(100)의 안착공(120)이 끼워지는 안내리브(212)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편(211)의 타측에 작동공간(213)이 형성된 하부케이스(210)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케이스(210)의 안내리브(212)에 안착되는 고정리브(221)가 형성되고, 상면에 안내장공(222)이 형성된 상부케이스(220)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케이스(210)의 안내리브(212)에 안착된 상부케이스(210)의 고정리브(221)를 고정시키는 스크류(230)가 구비되고, 전방에 서류(P)에서 이탈시킨 스테이플러용 철침(S)을 수용하는 수용공간(240)이 구비된다.
상기 작동부재(300)는,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에 안착되며, 안내장공(222)에 끼워져 상부로 돌출되는 손잡이(311)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311)의 하단부에 하부로 돌출되는 밀착편(312)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리브(212)를 수용하고 안내장공(222)의 길이와 동일한 크기의 장공(313)이 형성된 작동구(310)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편(211)에 밀착되어 슬라이드된 작동구(310)를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스프링(32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작동구(310)는, 상기 케이스(200)의 안내리브(212)를 수용하여 수용공간(240)으로 단부가 돌출될 수 있도록 전방에 작동홈(314)이 형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하부케이스(210)의 작동공간(213)에 작동부재(300)의 스프링(320)을 안착시켜 지지편(211)에 밀착시키고, 이 지지편(211)의 타측에 고정편(100)을 밀착한 후, 안착공(120)을 안내리브(212)에 결합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결합된 하부케이스(210)의 상부에서 작동구(310)를 안착시키는데, 이때, 작동구(310)의 밀착편(312)으로 스프링(320)을 밀착시키며, 하부케이스(210)의 안내리브(212)에 작동구(310)의 장공(313)을 안착시킨다.
상기와 같이 하부케이스(220)의 상부에 작동부재(300)가 안착되면, 상부케이스(210)를 상부에서 안착시킨다. 이때, 하부케이스(220)의 안내리브(212)에 상부케이스(210)의 고정리브(221)를 안착시킨 후, 스크류(230)로 하부케이스(210)와 상부케이스(220)를 고정시키면 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고정된 본 고안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스테이플러를 사용하여 스테이플러용 철침(S)으로 고정시킨 서류(P)에서 스테이플러용 철침(S)을 이탈시키려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류(P)에 고정된 스테이플러용 철침(S)에 고정편(100)의 단부를 위치시킨 후, 밀착하여 서류(P)와 스테이플러용 철침(S)의 사이에 삽입하여 하부케이스(210)를 서류(P)의 상면에 밀착시키고, 상부케이스(220)를 하부로 가압하면, 서류(P)의 상면에 밀착된 하부케이스(210)를 중심으로 고정편(100)이 상부로 이동하면서 스테이플러용 철침(S)을 서류(P)에서 이탈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서류(P)에 고정된 스테이플러용 철침(S)을 이탈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서류(P)에서 이탈된 스테이플러용 철침(S)이 케이스(200)의 수용공간(240)에 저장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케이스(200)의 수용공간(240)에 저장된 스테이플러용 철침(S)이 많으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케이스(200)를 잡고, 고정편(100)이 쓰레기통의 상부에 위치시켜, 사용자의 손으로 작동구(310)의 손잡이(311)를 안내장공(222)의 내부에서 고정편(100) 쪽으로 가압한다.
이때, 작동구(310)의 밀착편(312)이 스프링(320)를 가압하면서 지지편(211) 쪽으로 이동하며, 이와 동시에 작동구(310)의 단부는 케이스(200)의 수용공간(240)에 끼워진 스테이플러용 철침(S)을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서류(P)에서 다수개의 스테이플러용 철침(S)을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300)의 다른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구(310)가 안내리브(212)에 걸리지 않고 작동할 수 있도록 작동홈(314)을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서류에 고정된 스테이플러용 철침을 제침기의 고정편에 끼워 제거함으로 스테이플러용 철침이 편심되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서류로부터 제거되는 스테이플러용 철침을 고정편에 끼워 보관한 후, 한 번에 다수개의 스테이플러용 철침을 쓰레기통에 투입하므로 사용을 용이하게 할 뿐만아니라, 사무실 바닥을 청결하게 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서류(P)에 고정된 스테이플러용 철침(S)을 이탈시키는 제침기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플러용 철침(S)을 서류(P)에서 이탈시키도록 스테이플러용 철침(S)보다 작게 형성되어 절곡되고, 단부에 절개홈(110)이 형성되며, 내부에 안착공(120)이 관통된 고정편(100)과;
    상기 고정편(100)을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200)와;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에 안착되어 고정편(100)에 의해 서류(P)에서 이탈된 스테이플러용 철침(S)을 한 번에 고정편(100)에서 이탈시키는 작동부재(30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00)는,
    상기 고정편(100)을 내부에 수용하며, 고정편(100)의 단부가 밀착되는 지지편(211)이 형성되고, 이 지지편(211)의 전방에 고정편(100)의 안착공(120)이 끼워지는 안내리브(212)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편(211)의 타측에 작동공간(213)이 형성된 하부케이스(210)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케이스(210)의 안내리브(212)에 안착되는 고정리브(221)가 형성되고, 상면에 안내장공(222)이 형성된 상부케이스(220)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케이스(210)의 안내리브(212)에 안착된 상부케이스(210)의 고정리브(221)를 고정시키는 스크류(230)가 구비되고, 전방에 서류(P)에서 이탈시킨스테이플러용 철침(S)을 수용하는 수용공간(24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침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300)는,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에 안착되며, 안내장공(222)에 끼워져 상부로 돌출되는 손잡이(311)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311)의 하단부에 하부로 돌출되는 밀착편(312)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리브(212)를 수용하고 안내장공(222)의 길이와 동일한 크기의 장공(313)이 형성된 작동구(310)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편(211)에 밀착되어 슬라이드된 작동구(310)를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스프링(32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침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구(310)는,
    상기 케이스(200)의 안내리브(212)를 수용하여 수용공간(240)으로 단부가 돌출될 수 있도록 전방에 작동홈(31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침기.
KR2020020009465U 2002-03-29 2002-03-29 제침기 Expired - Fee Related KR2002805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465U KR200280593Y1 (ko) 2002-03-29 2002-03-29 제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465U KR200280593Y1 (ko) 2002-03-29 2002-03-29 제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0593Y1 true KR200280593Y1 (ko) 2002-07-04

Family

ID=73120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465U Expired - Fee Related KR200280593Y1 (ko) 2002-03-29 2002-03-29 제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05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270Y1 (ko) 2014-03-23 2015-02-23 심영래 제침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270Y1 (ko) 2014-03-23 2015-02-23 심영래 제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8284B1 (ko) 손톱깍이
US20080149682A1 (en) Structure of staple magazine having permanent magnet
US4114793A (en) Multi-purpose stapler
US7090198B1 (en) Magnetic staple remover
CN1246086A (zh) 多用途手持工具
WO2005097427A2 (en) Stapler with detachable accessory
US1655275A (en) Stapling machine
US5492261A (en) Stapler having protecting means for prevention of injury to fingers of a user
US20040040999A1 (en) Multi-purpose hand-held unit
KR200280593Y1 (ko) 제침기
US7131636B1 (en) Staple remover with storage bin
EP1358048B1 (en) Multiple function tool
EP1954451A1 (en) Combined stapler and hole punch
JP4305375B2 (ja) 外科用ステープルリムーバ
KR200443264Y1 (ko) 제침기
JP4389077B2 (ja) リムーバ
JP6882621B2 (ja) ステープラ
KR200443977Y1 (ko) 손톱 절단편 수납 케이스
KR200228715Y1 (ko) 호치키스 침 제거장치
US20230217897A1 (en) Apparatus for dispensing pet treats
KR200350238Y1 (ko) 수납함을 갖는 케이스가 삽탈되는 손톱깍기
KR101422774B1 (ko) 스테이플러
KR200453607Y1 (ko) 제침기
KR200238104Y1 (ko) 스테플리무버
JPH08141932A (ja) 針ぬき付ホッチキ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329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62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33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619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11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005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