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131220A -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1220A
KR20090131220A KR1020080057087A KR20080057087A KR20090131220A KR 20090131220 A KR20090131220 A KR 20090131220A KR 1020080057087 A KR1020080057087 A KR 1020080057087A KR 20080057087 A KR20080057087 A KR 20080057087A KR 20090131220 A KR20090131220 A KR 20090131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ssification information
image
file name
recording
director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7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7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31220A/ko
Priority to US12/472,569 priority patent/US20100003010A1/en
Priority to CN2009801223644A priority patent/CN102067590A/zh
Priority to PCT/KR2009/002897 priority patent/WO2009154365A2/en
Priority to GB1020716A priority patent/GB2472950A/en
Publication of KR20090131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1220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촬영한 영상을 기록(저장)할 때 그 영상의 특징에 따른 분류 정보를 획득하고, 이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파일 이름을 부여하여 영상의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함으로써 많은 수의 영상들을 보다 편리하게 분류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영상을 획득하고; 영상을 기록할 때 영상의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파일 이름을 부여하여 영상을 기록한다.
영상, 분류, 저장, 검색, 재생, 영상 파일

Description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을 획득하여 파일 형태로 기록(저장)하는 디지털 카메라 또는 디지털 캠코더와 같은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 촬영 기술 및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기술의 발달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와 같은 디지털 촬영 장치가 보편화되고,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디지털 촬영 장치를 이용하고 있다. 비교적 대용량의 저장 장치를 사용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는 과거의 아날로그 촬영 장치와는 달리 촬영한 영상을 기록하는 저장 장치의 용량의 제한을 덜 받기 때문에, 촬영하는 영상이 크게 증가하였다. 사용자는 촬영한 영상들을 각 사건별로 분류하여 저장하거나, 일부 영상에 대해서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해 출력하기도 한다.
그러나 영상의 양이 방대해지면서, 사용자가 일일이 영상을 분류하거나, 각각의 사건별로 관리하기가 어려워짐에 따라 자동으로 영상들을 분류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사용자가 직접 영상을 분류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시간적 순서나 이벤트 별로 분류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영상의 특성을 위와 같은 분류를 통하여 정확히 표현하는 것은 쉽지 않다.
한편, 영상 촬영 일시에 따른 시간적 순서를 기반으로 하여 영상을 분류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영상에 부가되어 있는 시간 정보를 사용하여 날짜별로 영상을 분류하고 이를 캘린더 형식으로 일람하도록 하는 영상 분류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단순히 날짜별로 영상을 분류하기 때문에 동일 날짜에 촬영된 영상이라도 서로 다른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는 성질의 영상들(예를 들면 동일 날짜에 직장에서 촬영한 영상과 가정에서 촬영한 영상)이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많은 양의 영상들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내용의 영상을 검색하고자 할 때에도 모든 영상을 직접 확인해야 하므로 검색에 상당히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본 발명은, 촬영한 영상을 기록(저장)할 때 그 영상의 특징에 따른 분류 정보를 획득하고, 이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파일 이름을 부여하여 영상의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함으로써 많은 수의 영상들을 보다 편리하게 분류할 수 있도록 하 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영상을 획득하고; 영상을 기록할 때 영상의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파일 이름을 부여하여 영상을 기록한다.
또한, 상술한 영상을 기록할 때 영상의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디렉터리 이름을 부여하여 디렉터리를 생성하고; 영상의 파일을 디렉터리에 기록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파일 이름과 디렉터리 이름은 분류 정보를 매개로 상호 연관성을 갖도록 결정한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은, 분류 정보를 수신하며; 영상을 획득하고; 영상을 기록할 때 수신된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파일 이름을 부여한다.
또한, 상술한 분류 정보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분류 정보 가운데 영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류 정보를 선택하여 마련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분류 정보는 영상의 특징을 반영하여 영상을 대표하도록 임의로 결정하여 마련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분류 정보는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영상의 특징을 추출하고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분류 정보 가운데 추출된 특징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류 정보를 선택함으로써 마련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분류 정보의 수신은, 분류 정보의 선택을 안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목적하는 분류 정보를 선택하도록 이루어진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영상을 획득하고; 영상을 기록할 때 영상의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파일 이름을 부여하여 영상을 기록하며; 목적하는 분류 정보에 대응하는 파일들을 재생하도록 하는 재생 명령이 발생하면 기록되어 있는 영상들 가운데 목적하는 분류 정보에 대응하는 파일 이름이 부여된 영상들만을 선택하여 재생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하는 분류 정보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분류 정보 가운데 영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류 정보를 선택함으로써 결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목적하는 분류 정보는 영상의 특징을 반영하여 영상을 대표하도록 임의로 결정하여 마련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목적하는 분류 정보의 선택을 안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목적하는 분류 정보의 선택을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장치는,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영상부와; 영상이 기록되는 저장부와; 영상을 기록할 때 영상의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파일 이름을 부여하여 영상을 저장부에 기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제어부는, 영상의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그 이름이 결정되는 디렉터리가 저장부에 생성되도록 제어하고, 생성된 디렉터리에 영상의 파일이 기록되 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술한 제어부는, 분류 정보를 매개로 상호 연관성을 갖도록 파일 이름과 디렉터리 이름을 결정한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영상 장치는, 분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영상부와; 영상이 기록되는 저장부와;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분류 정보를 수신하며, 영상을 기록할 때 수신된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파일 이름을 부여하여 영상을 저장부에 기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입력부는 분류 정보의 선택을 안내하기 위해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영상 장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된다.
본 발명은, 촬영한 영상을 기록(저장)할 때 그 영상의 특징에 따른 분류 정보를 획득하고, 이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파일 이름을 부여하여 영상의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함으로써 많은 수의 영상들을 보다 편리하게 분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장치를 나타낸 도 면으로서, 일례로 캠코더(camcorder)를 나타내었다. 캠코더(100)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장치로서, 광학부(102)와 디스플레이부(104) 등을 포함한다. 광학부(100)는 렌즈와 렌즈 구동 계통을 포함하는데, 광학부(102)를 통해 입사되는 빛은 캠코더(100) 내부의 촬상 소자(CCD 또는 CMOS 등)(도 2 참조)에 의해 전기 신호의 형태로 변환되어 제어부(예를 들면 DSP)(도 2 참조)에 전달된다. 디스플레이부(104)는 촬영되는 영상을 보여주거나, 캠코더(100)의 조작을 위한 메뉴 등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터치스크린을 지원한다.
촬영되는 영상은 캠코더(100) 내부에 삽입되어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저장부(storage unit)(106)에 기록된다. 디지털 캠코더에 사용되는 저장부(106)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나 메모리 카드, 광 디스크, 자기 테이프 등이 있다.
캠코더(100)를 통해 촬영되어 기록된 영상은 대용량 외부 저장 장치인 광 디스크 드라이브(110)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12) 등에 복사되어 보관되기도 한다. 또한 캠코더(100) 자체의 재생 기능을 통해 TV(또는 PC의 모니터)(114)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 되기도 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영상 장치의 제어 계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202)의 입력 측에는 촬상 소자(204)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광학부(102)를 통해 입사된 빛이 이 촬상 소자(204)에 의해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202)에 입력된다. 이 광학부(102)와 촬상 소자(204)가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영상부이며, 필요에 따라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202)도 이 영상부의 일부분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제어부(202)의 입력 측에는 또한 입력부(104a)가 연결된다. 이 입력부(104a)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부(104)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또한 여기에 추가하여 캠코더(100)의 본체에 마련되는 다수의 버튼들 역시 입력부(104a)에 포함된다. 제어부(202)는 캠코더(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데, 이를 위한 시스템 소프트웨어 등은 시스템 메모리(206)에 저장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104)와 저장부(106)는 앞서 도 1의 설명에서 이미 언급한 바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장치의 디렉토리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장치에서는, 영상을 기록할 때 파일의 미리 설정된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파일 이름을 부여하여 파일을 생성하고 저장부(106)에 영상을 기록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장부(106)에 기록되는 영상들은 미리 정해진 계층적 디렉토리 구조에 따라 생성되는 디렉토리에 저장된다. 루트 디렉토리(ROOT)의 하위에는 정지 영상 파일들을 저장하기 위한 정지 영상 디렉토리(DCIM)와 동영상 파일들을 저장하기 위한 동영상 디렉토리(VIDEO)가 마련된다.
정지 영상 디렉토리(DCIM)의 하위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류 정보의 선택(또는 입력)에 의해 그 이름이 결정되는 사용자 디렉토리들이 마련된다. 도 3에서는 정지 영상 디렉토리(DCIM)의 하위에 있는 '100SPORT'와 '100FAMLY'가 사용자 디렉토리이다. 이 사용자 디렉토리들(100SPORT)(100FAMLY)에는 각 디렉토리의 분류 정보인 스포츠와 가족에 해당되는 사진 파일들이 저장된다. 예를 들면, 분류 정보가 스포츠인 스포츠 디렉토리(100SPORT)에는 분류 정보가 스포츠로 선택(또 는 입력)되어 촬영된 축구 경기 사진들(FOOT0001.JPG)(FOOT0002.JPG)(FOOT0003.JPG)이 저장된다. 만약 야구 경기 장면을 촬영하고 그 분류 정보를 스포츠로 선택(또는 입력)하면 촬영된 야구 경기 사진들 역시 이 스포츠 디렉토리(100SPORT)에 저장된다. 또 다른 사용자 디렉토리로서 분류 정보가 가족인 가족 디렉토리(100FAMLY)에는 분류 정보가 가족으로 설정되어 촬영된 사진들(BABY0001.JPG)(BABY0002.JPG)(BABY0003.JPG)이 저장된다.
동영상 디렉토리(VIDEO)의 하위에도 같은 방식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류 정보의 선택(또는 입력)에 의해 그 이름이 결정되는 사용자 디렉토리들이 마련된다. 도 3에서는 동영상 디렉토리(VIDEO)의 하위에 있는 '100SPORT' 디렉토리가 사용자 디렉토리이다. 이 사용자 디렉토리들(100SPORT)에는 분류 정보(SPORT)에 해당되는 사진 파일들(FOOT0001.MP4)(FOOT0002.MP4)(FOOT0003.MP4)이 저장된다.
도 3에서, 분류 정보가 스포츠인 사용자 디렉토리(100SPORT)에 저장되는 스포츠 사진 파일들과 스포츠 동영상 파일들 역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류 정보에 의해 그 파일 이름이 결정된다. 즉, 다수의 분류 정보 가운데 하나인 스포츠를 선택하고, 스포츠 중에서도 축구(FOOT)를 상세 분류 정보로 선택(또는 입력)하면 분류 정보를 다른 것으로 변경할 때까지는 촬영되는 모든 사진이나 동영상의 파일 이름에 축구를 의미하는 'FOOT'이라는 첨두어가 삽입되고, 생성된 파일들은 스포츠 디렉토리(100SPORT)에 저장된다. 파일 이름은 모두 여덟 개의 문자로 구성되는데, 이 가운데 처음 네 개의 문자는 분류 정보를 나타내는 네 개의 영어 문자 이며, 나머지 네 개의 문자는 일련번호를 구성하는 네 개의 숫자이다. 가족 디렉토리(100FAMLY)에 저장되는 사진이나 동영상 역시 세부 분류 정보 가운데 하나인 아기를 의미하는 첨두어인 'BABY'가 사용되어 파일 이름이 결정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류 정보의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디렉토리 생성과 파일 생성 시 공통으로 사용된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류 정보 선택을 위한 첫 번째 화면에서는 미리 정해진 넓은 범주의 분류 정보들, 예를 들면 여행이나 동물, 스포츠, 인물, 풍경 등과 같은 분류 정보들을 제시한다. 만약 사용자가 '인물'을 선택하고, 그 우측의 하위 분류 정보들인 '가족'과 '모델' 가운데 '가족'을 선택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가족'의 세부 분류 정보를 보여주기 위해 도 4(B)와 같이 전환된다. 도 4(B)에 나타낸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가족'의 세부 분류 정보인 '아기'와 '부모' 등이 나타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이 세부 분류 정보들 가운데 희망하는 분류 정보로서 '아기'를 선택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최종 분류 정보는 '아기'가 되며, 이후 촬영되는 사진이나 동영상들이 기록될 때 그 파일 이름에는 'BABY'라는 첨두어가 삽입된다. 이와 같은 분류 정보의 선택은 디렉토리와 파일 각각의 분류 정보 선택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분류 정보의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면의 상단에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디렉토리 분류 정보의 명칭을 입력하도록 안내하는 문구를 표시하고, 그 아래에 분류 정보의 명칭을 입력하기 위한 A에서 Z까지의 알파 벳 키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이 알파벳 키를 터치하여 원하는 영문자를 선택한다. 사용자가 선택하는 영문자는 화면 하단의 '현재 입력'을 표시하는 창에 표시된다. 예를 들면, '가족'을 디렉토리 분류 정보로 입력하기 위해 알파벳 키에서 F-A-M-L-Y를 순서대로 선택하면, '현재 입력'을 표시하는 창에도 F-A-M-L-Y가 차례로 표시된다. 사용자는 이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분류 정보의 명칭이 정확하게 입력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잘 못 입력되는 경우 수정의 기회를 가질 수 있다. 입력이 완료되면 '확인' 키를 선택하고, 이전 메뉴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이전 메뉴' 키를 선택한다.
도 5(A)의 화면에서 디렉토리의 분류 정보 명칭의 입력이 완료되어 '확인' 키를 선택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도 5(B)에 나타낸 것과 같은 화면으로 전환된다.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면의 상단에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파일 분류 정보의 명칭을 입력하도록 안내하는 문구를 표시하고, 그 아래에 분류 정보의 명칭을 입력하기 위한 A에서 Z까지의 알파벳 키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이 알파벳 키를 터치하여 원하는 영문자를 선택한다. 사용자가 선택하는 영문자는 화면 하단의 '현재 입력'을 표시하는 창에 표시된다. 예를 들면, '아기'를 파일 분류 정보로 입력하기 위해 알파벳 키에서 B-A-B-Y를 순서대로 선택하면, '현재 입력'을 표시하는 창에도 B-A-B-Y가 차례로 표시된다. 사용자는 이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분류 정보의 명칭이 정확하게 입력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잘 못 입력되는 경우 수정의 기회를 가질 수 있다. 입력이 완료되면 '확인' 키를 선택하고, 이전 메뉴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이전 메뉴' 키를 선택한다.
이와 같은 디렉토리와 파일의 분류 정보의 선택(또는 입력)은 디렉토리 이름과 파일 이름에 고유의 분류 정보를 부여하고, 이 분류 정보는 기록되어 있는 영상들 가운데 원하는 일부 영상들을 그 파일 이름의 분류를 통해 손쉽게 재생/삭제/가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류 정보의 선택을 통해 특정 영상들만을 선택하는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분류 정보로 스포츠(SPORT)를 선택(또는 입력)하고, 선택된 영상들을 결합한 새로운 영상의 생성 및 재생 명령을 발생시키면, 제어부(202)는 저장부(106)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들 가운데 분류 정보가 스포츠(SPORT)인 파일들(BASE0001.MP4)(BASE0002.MP4)(BASE0003.MP4)만을 선택하여 서로 결합하여 하나의 새로운 영상 파일(BASE0004.MP4)을 생성한 다음, 새로운 영상 파일이 동영상일 경우 이를 재생하고 정지 영상이면 슬라이드 쇼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부(104)에 표시한다. 사용자가 원하는 분류 정보에 해당되는 파일들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앞서 설명한 도 5(A)와 도 5(B)에 나타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응용하여 구현해도 좋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서는, 영상의 분류 정보를 사용자의 선택(또는 입력)에 의존하지 않고, 영상 장치(100)의 제어부(202)에 마련되어 있는 영상의 분류 정보 추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영상으로부터 그 영상을 특징지을 수 있는 분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분류 정보를 반영하여 그 영상의 파일 이름을 결정함으로써, 영상의 파일 이름을 통해 영상들을 분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인물 영상의 경우, 사람 고유의 이목구비의 위치와 크기 등의 데 이터로부터 해당 영상이 인물 영상인 것을 파악하고, 이 영상의 분류 정보를 '인물' 영상으로 설정한다. 특히 가족과 같이 평소 촬영 빈도가 높은 피사체의 경우에는 가족 구성원 각자의 영상을 촬영하여 그 영상을 분석하여 분류 정보를 추출해 두면, 향후 가족 구성원들의 영상을 획득했을 때 가족 구성원 각자의 분류 정보가 파일 이름에 반영됨으로써 가족 구성원 각자의 영상들을 자동으로 분류하도록 한다. 풍경 사진의 경우에는 지평선 또는 수평선과 같은 풍경 사진 고유의 특징을 추출하여 이로부터 이 영상의 분류 정보를 '풍경'으로 설정한다. 스포츠 영상의 경우, 각 종목마다 경기 인원수나 선수들의 포지션 등이 다르고, 개인 종목의 경우에도 고유의 동작이 있게 마련이므로 영상으로부터 이와 같은 고유의 특징들을 추출하여 이 영상이 스포츠 영상인 것을 파악하고 분류 정보를 '스포츠'로 설정한다. 더 나아가 경기 종목을 파악하여 경기 종목을 세부 분류 정보로 설정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202)는 광학부(102)와 촬상 소자(204)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의 전기 신호의 처리를 통해 영상을 획득한다(702). 제어부(202)는, 이 영상을 기록하기 전에, 기록할 영상의 분류 정보를 획득하고(704), 이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파일 이름을 결정한다(706). 사용자에 의한 분류 정보의 선택(또는 입력)은 앞서 도 4와 도 5의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파일 이름이 결정되면, 제어부(202)는 결정된 파일 이름을 부여하여 해당 영상을 파일 형태로 기록한다(708). 이와 같이, 영상의 분류 정보가 반영된 파일 이름으로 영상을 기록함으로써 영상들을 보다 편리하게 검색 및 선택적 삭제/재생/가공하는 것이 가 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낸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로 하여금 영상 획득 이전에 미리 분류 정보를 선택하도록 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202)는 캠코더(100)의 디스플레이부(104)를 통해 미리 정해진 복수의 분류 정보들을 표시한다(802).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04)에 표시되는 복수의 분류 정보들 가운데 원하는 분류 정보를 선택하면, 제어부(202)는 이 선택된 분류 정보를 수신하여 향후 기록될 영상의 파일 이름 결정에 대비한다(804). 촬영 시작 명령이 발생하면, 제어부(202)는 광학부(102)와 촬상 소자(204)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의 전기 신호의 처리를 통해 영상을 획득한다(806). 제어부(202)는, 이 영상을 기록하기 전에, 기록할 영상의 분류 정보를 획득하고(808), 이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파일 이름을 결정한다(810). 사용자에 의한 분류 정보의 선택(또는 입력)은 앞서 도 4와 도 5의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파일 이름이 결정되면, 제어부(202)는 결정된 파일 이름을 부여하여 해당 영상을 파일 형태로 기록한다(812). 이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선택한 영상의 분류 정보가 반영된 파일 이름으로 영상을 기록함으로써 보다 편리한 분류 정보의 설정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낸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로 하여금 영상 획득 이전에 미리 분류 정보를 입력하도록 한다. 도 9에 나타낸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로 하여금 영상 획득 이전에 미리 분류 정보를 입력하도 록 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202)는 캠코더(100)의 디스플레이부(104)를 통해 분류 정보 입력 안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902).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04)에 표시되는 분류 정보 입력 안내에 따라 원하는 분류 정보를 입력하면, 제어부(202)는 이 입력된 분류 정보를 수신하여 향후 기록될 영상의 파일 이름 결정에 대비한다(904). 촬영 시작 명령이 발생하면, 제어부(202)는 광학부(102)와 촬상 소자(204)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의 전기 신호의 처리를 통해 영상을 획득한다(906). 제어부(202)는, 이 영상을 기록하기 전에, 기록할 영상의 분류 정보를 획득하고(908), 이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파일 이름을 결정한다(910). 사용자에 의한 분류 정보의 선택(또는 입력)은 앞서 도 4와 도 5의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파일 이름이 결정되면, 제어부(202)는 결정된 파일 이름을 부여하여 해당 영상을 파일 형태로 기록한다(912). 이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영상의 분류 정보가 반영된 파일 이름으로 영상을 기록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분류 정보의 설정이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영 시작 명령이 발생하면, 제어부(202)는 광학부(102)와 촬상 소자(204)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의 전기 신호의 처리를 통해 영상을 획득한다(1002). 제어부(202)는, 이 영상을 기록하기 전에, 기록할 영상의 분류 정보를 획득하고(1004), 이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파일 이름을 결정한다(1006). 사용자에 의한 분류 정보의 선택(또는 입력)은 앞서 도 4와 도 5의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파일 이름이 결정되면, 제어부(202)는 결정된 파일 이름을 부여하여 해당 영상을 파일 형태로 기록한다(1008).
이와 같이 기록되어 있는 영상들에 대한 재생 명령이 발생하면(1010의 예), 제어부(202)는 캠코더(100)의 디스플레이부(104)를 통해 미리 정해진 복수의 분류 정보들을 표시한다(1012).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04)에 표시되는 복수의 분류 정보들 가운데 원하는 분류 정보를 선택하면, 제어부(202)는 이 선택된 분류 정보를 수신하여 기록되어 있는 영상의 선택에 이용한다(1014). 제어부(202)는 수신된 분류 정보에 대응하는 파일 이름의 영상들의 목록을 디스플레이부(104)를 통해 표시한다(1016). 또한 제어부(202)는 이 디스플레이되는 목록의 영상들을 결합하여 하나의 새로운 파일을 생성할 것인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104)를 통해 표시한다(1018). 만약 사용자가 이 확인 메시지에 응답하여 새로운 파일이 생성되도록 하는 명령을 발생시키면(1020의 예) 제어부(202)는 해당 영상들을 결합한 새로운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하고(1022), 해당 영상을 재생한다(1024). 이 때 새롭게 생성되는 파일의 이름은 그 소스 파일들에 적용된 분류 정보를 그대로 따르고 일련번호는 새로운 값을 갖는다. 만약 수신된 분류 정보에 대응하는 파일 이름의 영상들의 목록이 디스플레이부(104)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새로운 파일의 생성을 선택하지 않으면(1020의 아니오) 새로운 파일을 생성하지 않고 해당 영상들을 재생한다(1024).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영 시작 명령이 발생하면, 제어부(202)는 광학부(102)와 촬상 소자(204)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의 전기 신호의 처리를 통 해 영상을 획득한다(1102). 제어부(202)는, 이 영상을 기록하기 전에, 기록할 영상의 분류 정보를 획득하고(1104), 이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파일 이름을 결정한다(1106). 사용자에 의한 분류 정보의 선택(또는 입력)은 앞서 도 4와 도 5의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파일 이름이 결정되면, 제어부(202)는 결정된 파일 이름을 부여하여 해당 영상을 파일 형태로 기록한다(1108).
이와 같이 기록되어 있는 영상들에 대한 재생 명령이 발생하면(1110의 예), 제어부(202)는 캠코더(100)의 디스플레이부(104)를 통해 분류 정보 입력 안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1112).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04)에 표시되는 분류 정보 입력 안내에 따라 원하는 분류 정보를 입력하면, 제어부(202)는 이 입력된 분류 정보를 수신하여 기록되어 있는 영상의 선택에 이용한다(1114). 제어부(202)는 수신된 분류 정보에 대응하는 파일 이름의 영상들의 목록을 디스플레이부(104)를 통해 표시한다(1116). 또한 제어부(202)는 이 디스플레이되는 목록의 영상들을 결합하여 하나의 새로운 파일을 생성할 것인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104)를 통해 표시한다(1118). 만약 사용자가 이 확인 메시지에 응답하여 새로운 파일이 생성되도록 하는 명령을 발생시키면(1120의 예) 제어부(202)는 해당 영상들을 결합한 새로운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하고(1122), 해당 영상을 재생한다(1124). 이 때 새롭게 생성되는 파일의 이름은 그 소스 파일들에 적용된 분류 정보를 그대로 따르고 일련번호는 새로운 값을 갖는다. 만약 수신된 분류 정보에 대응하는 파일 이름의 영상들의 목록이 디스플레이부(104)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새로운 파일의 생성을 선택하지 않으면(1120의 아니오) 새로운 파일을 생성하지 않고 선택된 해당 영상들을 재생한다(1124).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202)는 광학부(102)와 촬상 소자(204)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의 전기 신호의 처리를 통해 영상을 획득한다(1202). 제어부(202)는, 이 영상을 기록하기 전에, 기록할 영상에 대해 분류 정보 추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해당 영상의 분류 정보를 획득하고(1204), 이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파일 이름을 결정한다(1206). 파일 이름이 결정되면, 제어부(202)는 결정된 파일 이름을 부여하여 해당 영상을 파일 형태로 기록한다(1208). 이와 같이, 영상의 분류 정보 추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영상의 분류 정보를 자동으로 추출하고, 이 자동으로 추출된 영상의 분류 정보가 반영된 파일 이름으로 영상을 기록함으로써 영상들의 분류 정보를 각 영상에 보다 편리하게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분류 정보 추출 알고리즘을 이용한 영상의 분류 정보 자동 추출 방법을 앞서 설명한 도 10 및 도 11의 "영상의 분류 정보 획득" 단계에 적용하면 보다 다양한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이 도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영상 장치의 제어 계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장치의 디렉토리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류 정보의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류 정보의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류 정보의 선택을 통해 특정 영상들만을 선택하는 개념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캠코더
102 : 광학부
104 : 디스플레이부
104a : 입력부
106 : 저장부
110 : 광 디스크 드라이브
112 :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114 : TV(모니터)
204 : 촬상 소자

Claims (18)

  1.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영상을 기록할 때 상기 영상의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파일 이름을 부여하여 상기 영상을 기록하는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기록할 때 상기 영상의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디렉토리 이름을 부여하여 디렉토리를 생성하고;
    상기 영상의 파일을 상기 디렉토리에 기록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이름과 상기 디렉토리 이름은 상기 분류 정보를 매개로 상호 연관성을 갖도록 결정하는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
  4. 분류 정보를 수신하며;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영상을 기록할 때 상기 수신된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파일 이름을 부여하여 상기 영상을 기록하는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정보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분류 정보 가운데 상기 영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류 정보를 선택하여 마련되는 것인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정보는 상기 영상의 특징을 반영하여 상기 영상을 대표하도록 임의로 결정하여 마련되는 것인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정보는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의 특징을 추출하고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분류 정보 가운데 상기 추출된 특징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류 정보를 선택함으로써 마련되는 것인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정보의 수신은,
    상기 분류 정보의 선택을 안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목적하는 분류 정보를 선택하도록 이루어지는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
  9.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영상을 기록할 때 상기 영상의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파일 이름을 부여하여 상기 영상을 기록하며;
    목적하는 분류 정보에 대응하는 파일들을 재생하도록 하는 재생 명령이 발생하면 기록되어 있는 영상들 가운데 상기 목적하는 분류 정보에 대응하는 파일 이름이 부여된 영상들만을 선택하여 재생하는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하는 분류 정보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분류 정보 가운데 상기 영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류 정보를 선택함으로써 결정되는 것인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하는 분류 정보는 상기 영상의 특징을 반영하여 상기 영상을 대표하도록 임의로 결정하여 마련되는 것인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하는 분류 정보의 선택을 안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목적하는 분류 정보의 선택을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
  13.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영상부와;
    상기 영상이 기록되는 저장부와;
    상기 영상을 기록할 때 상기 영상의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파일 이름을 부여하여 상기 영상을 상기 저장부에 기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의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그 이름이 결정되는 디렉토리가 상기 저장부에 생성되도록 제어하고, 생성된 상기 디렉토리에 상기 영상의 파일이 기록되도록 제어하는 영상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류 정보를 매개로 상호 연관성을 갖도록 상기 파일 이름과 상기 디렉토리 이름을 결정하는 영상 장치.
  16. 분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영상부와;
    상기 영상이 기록되는 저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분류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영상을 기록 할 때 상기 수신된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파일 이름을 부여하여 상기 영상을 상기 저장부에 기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분류 정보의 선택을 안내하기 위해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영상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영상 장치.
KR1020080057087A 2008-06-17 2008-06-17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eased KR20090131220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7087A KR20090131220A (ko) 2008-06-17 2008-06-17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2/472,569 US20100003010A1 (en) 2008-06-17 2009-05-27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to control the same
CN2009801223644A CN102067590A (zh) 2008-06-17 2009-06-01 成像设备和用于控制该成像设备的方法
PCT/KR2009/002897 WO2009154365A2 (en) 2008-06-17 2009-06-01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to control the same
GB1020716A GB2472950A (en) 2008-06-17 2009-06-01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to control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7087A KR20090131220A (ko) 2008-06-17 2008-06-17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1220A true KR20090131220A (ko) 2009-12-28

Family

ID=41434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7087A Ceased KR20090131220A (ko) 2008-06-17 2008-06-17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00003010A1 (ko)
KR (1) KR20090131220A (ko)
CN (1) CN102067590A (ko)
GB (1) GB2472950A (ko)
WO (1) WO200915436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2339A (ko) * 2014-12-29 2016-07-08 주식회사 일도엔지니어링 사진 자동 분류 및 저장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55035B2 (ja) * 2011-06-08 2015-07-2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4067266A (ja) * 2012-09-26 2014-04-17 Kyocera Corp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6276987B2 (ja) * 2013-12-26 2018-02-07 株式会社貝印刃物開発センター トロカール
KR102195899B1 (ko) * 2014-03-12 2020-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트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클라우드 서버
CN106528577B (zh) * 2015-09-15 2019-12-2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设置待清理文件的方法和装置
US10318451B2 (en) * 2016-06-30 2019-06-11 Ge Aviation Systems Llc Management of data transfers
US11854544B1 (en) * 2021-06-11 2023-12-26 Amazon Technologies, Inc. Entity resolution of product search filters
JP2023142018A (ja) * 2022-03-24 2023-10-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3225A (ja) * 1992-12-08 1994-08-19 Nikon Corp デジタルスチルビデオカメラの画像データ記録方法
JPH0844827A (ja) * 1994-07-27 1996-02-16 Ricoh Co Ltd デジタル複写機
US6438320B1 (en) * 1996-10-16 2002-08-20 Canon Kabushiki Kaisha File management system for managing data of photographed images
JP3631176B2 (ja) * 2001-08-01 2005-03-2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における画像データの付属情報の修正方法
JP4061206B2 (ja) * 2002-03-11 2008-03-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代表画像生成装置
US20040098379A1 (en) * 2002-11-19 2004-05-20 Dan Huang Multi-indexed relationship media organization system
GB2412759A (en) * 2004-04-01 2005-10-05 Dutycrew Ltd Website implementation including flexible configuration of link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2339A (ko) * 2014-12-29 2016-07-08 주식회사 일도엔지니어링 사진 자동 분류 및 저장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01020716D0 (en) 2011-01-19
WO2009154365A2 (en) 2009-12-23
WO2009154365A3 (en) 2010-03-25
GB2472950A (en) 2011-02-23
US20100003010A1 (en) 2010-01-07
CN102067590A (zh) 201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3604B2 (en) Video summary including a particular person
US8665345B2 (en) Video summary including a feature of interest
KR20090131220A (ko)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4760892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70159533A1 (en) Image filing method, digital camera, image filing program and video recording player
EP1347455A2 (en) Contents recording/playback apparatus and contents edit method
JP3708854B2 (ja) メディア作品制作支援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677011B2 (ja) 動画再生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3780862A (zh) 再生控制装置以及再生控制方法
JP2006060653A (ja) 画像編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3121097A (ja) 撮像装置及び方法、並びに画像生成装置及び方法、プログラム
US8842189B2 (en) Moving image capture apparatus and moving image capture method
JP2006060652A (ja)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JP2011119936A (ja) 撮影装置及び再生方法
JP2008199330A (ja) 動画像管理装置
JP6355333B2 (ja)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4692336B2 (ja) 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2010171849A (ja) 画像再生装置および電子カメラ
JP2008311847A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249771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5010420B2 (ja) 画像再生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再生方法
JP5020705B2 (ja) 動画撮像装置及び動画撮像方法
KR20110034292A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HK1190545A (en) Video summary including a particular person
JP2004282348A (ja) 画像情報記録装置、イベント情報記録装置及び画像情報記録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1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6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6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5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8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5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