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128501A - 접속부 실구조 및 그에 이용하는 실 부재 - Google Patents

접속부 실구조 및 그에 이용하는 실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8501A
KR20090128501A KR1020097021831A KR20097021831A KR20090128501A KR 20090128501 A KR20090128501 A KR 20090128501A KR 1020097021831 A KR1020097021831 A KR 1020097021831A KR 20097021831 A KR20097021831 A KR 20097021831A KR 20090128501 A KR20090128501 A KR 20090128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nular
seal member
seal
convex
compon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1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5074B1 (ko
Inventor
히데유키 다케다
후미히토 츠치야
테츠야 이시하라
Original Assignee
씨케이디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8289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8240916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95150A external-priority patent/JP4928414B2/ja
Application filed by 씨케이디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씨케이디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28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8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5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507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8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 F16L23/22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made exclusively of a material other than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실부재의 설치/해체에 적합한 접속부 실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제1 부품(2)과 제2 부품(3)과의 접속부(12, 22)에 실부재(4)를 개재하고, 제1 부품(2)의 접속부(12)에 제1 요철조(15)가 형성되고, 제2 부품(30의 접속부(22)에 제2 요철부(25)가 형성되며, 실부재(4)는 제1 요철조(15)에 삽입되는 제1 감합부(32)가 일면에 형성되고, 제2 요철조(25)에 삽입되는 제2 감합부(33)가 타면에 형성되며, 제1 및 제2 감합부(32, 33)에 두께방향의 압입대(34)를 형성하는 접속부 실구조(1)에 있어서, 실부재(4)는 제1 및 제2 감합부(32, 33)가 형성되는 환상의 본체부(31)에서 외주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5)를 가지며, 돌출부(35)가 제1 및 제2 부품(2, 3)의 접속부(12, 22)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Description

접속부 실구조 및 그에 이용하는 실 부재{SEAL STRUCTURE FOR CONNECTION SECTIONS AND SEAL MEMBER USED FOR THE SAME }
본 발명은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접속부에 실부재가 개재하는 접속부 실구조 및 그에 이용하는 실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반도체제조공정이나 액정제조공정 등의 약액 제어에, 유량제어밸브나 개폐밸브 등의 밸브류나, 필터, 압력센서나 유량센서 등의 센서류, 조인트 블록이나 유로블록 등의 배관 블록류 등의 유체기구가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 장치의 소형화 요구 때문에, 이러한 유체기구의 접속부 사이를 직접 연결하여 접속 부분을 봉인하여, 유닛화를 이루고 있다.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접속부에 실부재가 개재하는 접속부 실구조의 예가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도 36은 종래의 접속부 실구조를 적용한 집적 패널(1100)의 단면도이다.
집적 패널(1100)은 패널 부재(1101)의 상면에 밸브(1102)를 볼트(1116)로 고정한 것으로, 패널 부재(1101)와 밸브(1102)와의 사이에 실부재(1112)가 개재되어 있다.
패널 부재(1101)는 불소 수지를 재질로 한다. 패널 부재(1101)의 접속부(1101a)에는, 제1 포트(1103)에 연통하는 수직통로(1104)와, 제2 포트(1105)에 연통하고, 수직 통로(1104)의 주위에서 링 형상으로 형성된 수직 링 통로(1106)가 개구하고 있다. 접속부(1101a)는 통로(1104, 1106)의 바깥쪽에, 환상 돌기(1107)를 포함하는 요철조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밸브(1102)는 불소 수지제의 유로블록(1108)을 포함한다. 유로블록(1108)의 접속부(1108a)에는, 패널 부재(1101)의 수직통로(1104)에 대응하는 공급측통로(1109)와, 패널 부재(1101)의 수직 링 통로(1106)에 대응하는 환상의 배출측통로(1110)가 개구되어 있다. 접속부(1108a)에 통로(1109, 1110)의 바깥쪽으로 환상 돌기(1111)를 포함하는 요철조가 형성되어 있다.
실부재(1112)는 불소 수지를 환상으로 성형한 것으로, 양단면에 환상 돌기(1107, 1111)가 삽입되는 환상구(1113, 1114)가 형성되어 있다. 환상구(1113, 1114)의 구멍 폭은 환상 돌기의 폭의 0.75~0.85배로 설정되며, 환상 돌기(1107, 1111)의 외주면과 내주면이 환상구(1113, 1114)의 대응하는 내외측주면에 압접된다. 게다가, 실부재(1112)의 외주벽에는 링 형상의 탈착 플랜지(1115)가 횡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탈착 플랜지(1115)의 두께는 접속부(1101a, 1108a)의 간격(W)보다 작은 값으로 되어 있다.
실부재(1112)를 장착할 때에는, 실부재(1112)의 환상구(1113)에 패널 부재(1101)의 환상 돌기(1107)를 삽입하도록 실부재(1112)를 패널 부재(1101)에 설치한 후, 유로블록(1108)의 환상 돌기(1111)를 실부재(1112)의 환상구(1114)에 삽입하도록 밸브(1102)를 패널 부재(1101)의 위에 설치하고, 그 후 볼트(1116)를 체결하여, 환상 돌기(1107, 1111)를 실부재(1112)의 환상구(1113, 1114)로 삽입한다.
이에 대하여, 실부재(1112)를 해체하는 경우에는, 볼트(1116)를 해체하고, 밸브(1102)를 패널 부재(1101)에서 분리시키면, 실부재(1112)가 패널 부재(1101) 또는 유로블록(1108)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실부재(1112)의 탈착 플랜지(1115)를 공구나 손으로 잡아당겨 실부재(1112)를 패널 부재(1101) 또는 유로블록(1108)의 요철조에서 분리한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2006-90378호 공보(제11항, 단락 0041 참조)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종래의 접속부 실구조는, 실부재(1112)의 탈착 플랜지(1115)가 작아, 접속부(1101a, 1108a)의 사이에 들어가 있기 때문에, 손가락으로 잡기 어려웠다. 그 때문에, 종래의 접속부 실구조는 탈착 플랜지(1115)를 공구로 잡아당겨야 하였다. 그러나, 작업시 공구가 접속부(1101a, 1108a)에 스치거나 충돌하여, 접속부(1101a, 1108a)에 손상을 입히는 경우가 있었다. 접속부(1101a, 1108a)가 손상된 경우, 손상된 부분에서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패널 부재(1101)나 유로블록(1108)을 통째로 교환해야 하므로, 실부재(1112)의 해체 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었다.
반대로, 탈착 플랜지(1115)를 손가락으로 잡은 경우에도, 패널 부재(1101)에 유로블록(1108)을 볼트(1116)로 설치한 때에, 탈착 플랜지(1115)가 패널 부재(1101)의 접속부(1101a) 또는 유로블록(1108)의 접속부(1108a)에 밀착하여 손가락으로 집을 수 없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탈착 플랜지(1115)의 두께를 접속부(1101a, 1108a)의 간견(W)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하여 탈착 플랜지(1115)의 두께가 얇아지게 된다. 그 때문에, 탈착 플랜지(1115)를 손가락으로 잡아당길 때에, 탈착 플랜지(1115)가 파손되는 경우가 있어, 실용적이지 않았다.
따라서, 제1 부품과 제2 부품과의 사이에 개재하는 실부재를 수작업으로 간단히 해체할 수 있는 접속부 실구조가 요청되었다.
또한, 종래의 접속부 실구조는, 실부재(1112)에 형성된 환상구(1113, 1114)의 구멍 폭이 개구부를 포함한 환상 돌기(1107, 1111)의 폭보다 작다. 그 때문에, 환상 돌기(1107, 1111)의 선단을 환상구(1113, 1114)에 삽입할 때까지 제1 및 제2 부품과 실부재와의 위치관계가 불안정하여, 환상 돌기(1107, 1111)를 환상구(1113, 1114)에 압입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환상 돌기를 환상구로 압입하기 쉽고, 실부재의 취급성이 좋은 접속부 실구조가 요청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실부재의 해체/설치에 적합한 접속부 실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따른 접속부 실구조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
(1) 접속부 실구조로서, 제1 요철조가 형성된 접속부를 포함하는 제1 부품; 제2 요철조가 형성된 접속부를 포함하는 제2 부품; 및 상기 제1 및 제2 부품의 접속부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요철조에 연결되는, 일면에 형성된 제1 감합부 및 상기 제2 요철조에 연결되는, 타면에 형성된 제2 감합부를 포함하는 실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감합부에 두께방향의 압입대가 형성되고, 상기 실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감합부가 형성될 수 있는 환상의 본체부에서 외주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및 제2 부품의 접속부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2) (1)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부재는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 상기 돌출부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파지부를 포함한다.
(3) (1) 또는 (2)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부재는 상기 돌출부의 양단면에 상기 본체부의 축선과 평행하게 돌출하는 위치결정 볼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부품은 상기 위치결정 볼록부가 삽입되어 위치를 결정하는 제1 위치결정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품은 상기 위치결정 볼록부가 삽입되어 위치를 결정하는 제2 위치결정 오목부를 포함한다.
(4) 접속부 실구조로서, 제1 환상 돌기가 형성된 접속부를 포함하는 제1 부품; 제2 환상 돌기가 형성된 접속부를 포함하는 제2 부품; 및 상기 제1 및 제2 부품의 접속부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환상 돌기가 삽입되는, 일면에 형성된 제1 환상구 및 상기 제2 환상 돌기가 삽입되는, 타면에 형성된 제2 환상구를 포함하는 실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환상구에 두께방향의 압입대가 형성되고, 접속부 실구조는 상기 제1 및 제2 환상 돌기를 상기 제1 및 제2 환상구의 상기 압입대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봉인되며, 상기 실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환상 돌기를 상기 제1 및 제2 환상구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압입대로 안내하는 상기 제1 및 제2 환상구의 개구부에 형성된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5) 접속부 실구조로서, 제1 환상구가 형성된 접속부를 포함하는 제1 부품;제2 환상구가 형성된 접속부를 포함하는 제2 부품; 및 상기 제1 및 제2 부품의 접속부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환상구에 삽입되는, 일면에 형성된 제1 환상 돌기 및 상기 제2 환상구에 삽입되는, 타면에 형성된 제2 환상 돌기를 포함하는 실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환상 돌기에 두께방향의 압입대가 형성되고, 접속부 실구조는 상기 제1 및 제2 환상 돌기의 상기 압입대를 상기 제1 및 제2 환상구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봉인되며, 상기 실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환상 돌기의 압입대를 상기 제1 및 제2 환상구로 안내하는 상기 제1 및 제2 환상 돌기의 선단부에 형성된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6) 접속부 실구조로서, 유로 개구부의 주위를 따라 환상 오목-볼록부가 형성되는 제1 부품, 유로 개구부의 주위를 따라 환상 오목-볼록부가 형성되는 제2 부품; 및 상기 제1 및 제2 부품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1 및 제2 부품의 접속부를 봉인하기 위해 상기 환상 오목-볼록부가 삽입되는 대응하는 환상 볼록-오목부가 형성되는 실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실부재는 상기 환상 볼록-오목부를 포함하는 원통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서 외주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부에 접속하고, 상기 돌출부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것으로, 상기 본체부 쪽으로 돌출하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에 상기 후크부를 거는 볼록부가 형성된다.
(7) (6)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부재는 상기 파지부에 상기 후크부를 형성하여, 상기 환상 볼록-오목부와 상기 환상 오목-볼록부를 위치결정하기 위해, 상기 후크부를 상기 볼록부에 건다.
(8) (6) 또는 (7)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부재는 상기 환상 볼록-오목부와 상기 환상 오목-볼록부를 정렬하기 위한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보다 안쪽에 형성된 상기 환상 볼록-오목부의 지름방향의 두께를 가지는 압입대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를 상기 볼록부에 걸 때, 상기 가이드에 상기 환상 오목-볼록부가 임시로 삽입되는 것이다.
(9) (6)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부재는 상기 파지부를 원주방향으로 분할 배치한 것이다.
(10) (6)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부재는 상기 파지부를 원주방향으로 환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파지부의 내주를 따라 상기 후크부를 형성한 것이다.
(11) (6)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부재는 상기 돌출부의 상기 파지부가 접속하는 부분에 관통공을 형성한다.
(12) (6)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부재는 상기 파지부의 양단에 상기 후크부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파지부의 양단에 후크부를 가지는' 것은 분할 배치된 각 파지부의 양단에 후크부를 형성한 경우 외에, 분할배치된 파지부 중 일부의 파지부의 일단에 후크부를 형성하고, 다른 파지부의 타단에 후크부를 형성하여, 실부재 전체로서 파지부의 양측에 후크부가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13) (6)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하는 접속부 실구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부재.
발명의 효과
상기 구성을 가지는 실구조에서 제1 부품과 제2 부품을 분리한 때, 제1 부품 또는 제2 부품에 수반하여 남아 있는 실부재는, 돌출부가 제1 부품 또는 제2 부품의 접속부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돌출부가 제1 부품과 제2 부품에 끼워져서 제1 부품 또는 제2 부품의 접속부에 붙여도, 돌출부를 잡고 돌출부를 제1 부품 또는 제2 부품의 접속부에서 분리하고, 돌출부를 손가락으로 꽉 잡아, 실부재를 제1 부품 또는 제2 부품에서 잡아당겨 해체하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접속부 실구조에 의하면, 제1 부품 또는 제2 부품의 접속부에 개재하는 실부재를 수작업으로 간단히 해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속부 실구조는 제1 및 제2 부품의 접속부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의 단부에 파지부를 형성하여 파지면적으로 넓게 하기 때문에, 파지부를 잡아당겨 실부재를 제1 또는 제2 부품에서 해체할 때, 손가락이 파지부에서 미끄러지기 어렵다.
이 경우, 파지부 내경을 제1 및 제2 부품의 접속부 형상에 따라 형성한 경우에는 파지부 내경이 제1 및 제2 부품의 접속부를 덮기 때문에, 실부재를 제1 또는 제2 부품에 장착하기 쉽다.
본 발명의 접속부 실구조는 실부재의 위치결정 볼록부를 제1 및 제2 부품의 제1 및 제2 위치결정 오목부에 삽입하여, 실부재를 제1 부품과 제2 부품을 위치결정을 하기 때문에, 실부재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속부 실구조는 제1 및 제2 환상구의 개구부에 제1 및 제2 환상 돌기를 압입대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제1 및 제2 환상 돌기를 제1 및 제2 감합부의 압입대로 압입하기 용이해서, 실부재의 취급성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접속부 실구조는 제1 및 제2 환상 돌기의 선단부에, 압입대를 제1 및 제2 환상구에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형성한 것으로, 제1 및 제2 환상 돌기를 제1 및 제2 환상구에 압입하기 용이해서, 실부재의 취급성이 좋다.
본 발명의 접속부 실구조 및 실부재는 제1 및 제2 부품을 접속한 경우에, 제1 또는 제2 볼록부의 적어도 한쪽에 후크부를 걸어 실부재의 탈락을 방지하고, 실부재의 변형이나 손상을 막는다. 이에 의해, 제1 및 제2 부품의 환상 오목-볼록부와 상기 실부재의 환상 볼록-오목부는 원주방향으로 균일하게 압입되어, 유체 누출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접속부 실구조 및 실부재에 의하면, 제1 및 제2 부품의 접속부분을 확실하게 봉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접속부 실구조 및 실부재는 예를 들면 제1 및 제2 부품을 상하방향으로 접속하는 경우에도, 후크부를 제1 또는 제2 볼록부에 걸면, 실부재가 제1 또는 제2 부품에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제1 및 제2 부품의 환상 오목-볼록부와 실부재의 환상 볼록-오목부를 적정하게 위치결정을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환상 오목-볼록부와 환상 볼록-오목부는 삽입하는 부분에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아, 유체가 누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접속부 실구조 및 실부재에 의하면, 제1 및 제2 부품의 접속부분을 확실히 봉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접속부 실구조 및 실부재는, 후크부를 제1 또는 제2 볼록부에 건 때, 환상 볼록-오목부에 형성한 가이드부에 환상 오목-볼록부를 임시로 삽입하는 경우, 제1 및 제2 부품을 서로 근접시켜 환상 볼록-오목부와 환상 오목-볼록부를 압입시킬 때, 환상 오목-볼록부를 환상 볼록-오목부의 가이드부에서 압입대로 원활히 안내하기 때문에, 환상 볼록부의 압입대로 균일하게 압입하여 적정하게 봉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속부 실구조 및 실부재는 파지부가 실부재에 분할 배치되어 변형이 용이하기 때문에, 후크부를 제1 및 제2 볼록부에 걸기 쉽다.
본 발명의 접속부 실구조 및 실부재는 실부재의 원주방향에 환상으로 형성한 파지부의 내주를 따라서 후크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파지부의 두께를 얇게 하여도 제1 또는 제2 볼록부에 후크부를 안정하게 걸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속부 실구조 및 실부재는 돌출부의 파지부가 접속하는 부분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실부재의 성형시 후크부가 언더커트되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실부재를 변형시키지 않고 금형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실 부재는 제조면에서 보면, 성형시에 후크부를 형성하기 위한 언더커트를 형성하고 있어도, 파지부를 관통공 쪽으로 변형시켜 금형에서 분리하기 쉽다.
본 발명의 접속부 실구조 및 실부재는 파지부의 양단에 후크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실부재를 제1 및 제2 부품에 설치하는 설치방향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접속부 실구조를 도시하는 확대단면 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접속부 실구조의 분해도이다. 다만, 연결 부재는 생략되어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실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하는 접속부 실구조의 실부재를 설치하는 설치 설명도로서, 접속 전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하는 접속부 실구조의 실부재를 설치하는 설치 설명도로서, 접속 후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하는 접속부 실구조의 실부재를 해체하는 해체 설명도로서, 제1 부품을 실부재에서 해체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하는 접속부 실구조의 실부재를 해체하는 해체 설명도로서, 제2 부품을 실부재에서 해체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접속부 실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실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A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한 실부재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9에 도시한 접속부 실구조의 조립 상태도로서, 특히 실부재를 일방의 접속부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4는 도 9에 도시한 접속부 실구조의 조립 상태도로서, 특히 유체기구를 끌어당기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5는 도 9에 도시한 접속부 실구조의 조립 상태도로서, 특히 연결 부재의 장착방법을 도시한다.
도 16은 도 9에 도시한 실부재의 제1 변형례로서, 외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도 9에 도시한 실부재의 제2 변형례로서,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8은 도 17의 B-B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에 도시한 실부재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에 도시한 실부재의 제1 변형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한 변형례의 B-B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1에 도시한 실부재의 제2 변형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한 변형례의 C-C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1에 도시한 실부재의 제3 변형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한 변형례의 D-D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1에 도시한 실부재의 제4 변형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도시한 변형례의 E-E 단면도이다.
도 28은 도 1에 도시한 실부재의 제5 변형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9는 도 28에 도시한 변형례의 F-F 단면도이다.
도 30은 도 1에 도시한 실부재의 제6 변형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1은 도 30 도 19에 도시한 변형례의 G-G 단면도이다.
도 32는 도 1에 도시한 실부재의 제7 변형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3은 도 32 도 21에 도시한 변형례의 H-H 단면도이다.
도 34는 도 1에 도시한 접속부 실구조의 변형례이다.
도 35는 도 1에 도시한 접속부 실구조의 변형례이다.
도 36은 종래의 접속부 실구조를 적용한 약액밸브의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접속부 실구조
2 제1 부품
3 제2 부품
4 실부재
5 연결 부재
12 접속부
15 제1 요철조
16 제1 위치결정 오목부
22 접속부
25 제2 요철조
26 제2 위치결정 오목부
31 본체부
32 제1 환상구(제1 감합부)
33 제2 환상구(제2 감합부)
35 돌출부
36 파지부
37 위치결정 볼록부
51 환상 돌기(제1 감합부)
52 환상 돌기(제2 감합부)
53 환상구
54 환상구
55 제1 요철조
56 제2 요철조
57 압입대
58 가이드부
59 가이드부
101 접속부 실구조
102 제1 바디(제1 부품)
103 제2 바디(제2 부품)
104 제1 접속부
104b 환상 돌기(요철조)
104g 볼록부(제1 볼록부)
105 제2 접속부
105b 환상 돌기(요철조)
105g 볼록부(제2 볼록부)
106, 106A, 106B 실부재
111 본체부
111a, 111b 환상구(요철조)
112, 112A, 112B 파지부
112a, 112b 후크부(hook portion)
113 돌출부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접속부 실구조 및 실부재의 일 실시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의 접속부 실구조(1)는 도 36에 도시한 집적 밸브(1100)의 패널 부재(1101)와 유로 블록(1108)과의 접속부 등과 같은, 약액밸브용 유체기구의 유로블록과 매니폴드 블록과의 접속부나, 배관 블록 사이의 접속부 등에 적용된다. 또한, 이러한 부재는 모두 후술하는 제1 부품(2)과 제2 부품(3)의 일례로 될 수 있다.
<전체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접속부 실구조(1)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의 접속부 실구조(1)는 제1 부품(2)과 제2 부품(3)과의 사이에 실부재(4)를 개재시켜 구성되어 있다. 접속부 실구조(1)에서, 실부재(4)의 주변을 감싸도록, 한 쌍의 연결 부재(5)가 제1 부품(2)의 접속부(12)와 제2 부품(3)의 접속부(22)를 연결하고 있다.
<제1 부품의 구성>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접속부 실구조(1)의 분해도이다. 다만, 연결 부재(5)는 생략되어 있다.
제1 부품(2)은 PTFE나 PFA 등의 불소 수지를 재질로 한다. 제1 부품(2)에는 제1 유로(11)가 접속부(12)에서 개구하고 있다. 접속부(12)는 제1 부품(2)에 형성된 제1 플랜지부(13)의 단면에 형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5)를 장착하기 위해, 제1 플랜지부(13)는 제2 부품(3)의 외형치수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12)에는 제1 유로(11)가 개구하는 개구부의 외측을 따라 제1 환상 돌기(14)를 가지는 제1 요철조(15)가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환상 돌기(14)의 두께방향의 폭(W1)은 실부재(4)의 제1 및 제2 환상구(32, 33)의 폭(W3)과 같거나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접속부(12)에는 제1 요철조(15)보다 바깥쪽에 제1 위치결정 오목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부품의 구성>
제2 부품(3)은 PTFE나 PFA 등의 불소 수지를 재질로 한다. 제2 부품(3)에는 제2 유로(21)가 접속부(22)에서 개구하고 있다. 접속부(22)는 제2 부품(3)에 형성된 제2 플랜지부(23)의 단면에 형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5)를 장착하기 위해, 제2 플랜지부(23)가 제2 부품(3)의 외형치수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부품(2, 3)의 제1 및 제2 플랜지부(13, 23), 제1 및 제2 환상 돌기(14, 24), 제1 및 제2 요철조(15, 25), 제1 및 제2 위치결정 오목부(16, 26)가 대칭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실부재의 구성>
도 3은 실부재(4)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다.
실부재(4)는 PTFE나 PEA 등의 불소 수지를 재질로 한다. 제1 부품(2)과 제2 부품(3)의 설치방향을 제한하지 않기 위해, 실부재(4)의 양단면(도면 중 좌우 단면)이 대칭형상을 이룬다.
실부재(4)는 환상의 본체부(31)를 포함한다. 본체부(31)에는 제1 부품(2)의 제1 환상 돌기(14)가 삽입되는 제1 환상구(32)가 일면에 형성되어 있고, 제2 부품(3)의 제2 환상 돌기(24)가 삽입되는 제2 환상구(33)가 타면에 형성되어 있다.
실부재(4)의 제1 및 제2 환상구(32, 33)의 폭(W3)은 제1 및 제2 부품(2, 3)에 형성된 제1 및 제2 환상 돌기(14, 24)의 폭(W1)과 거의 동일한 치수 또는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및 제2 환상구(32, 33)의 폭(W3)은 제1 및 제2 환상 돌기(14, 24)의 폭(W1)의 1배 이상 1.2배 이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제1 및 제2 환상구(32, 33)의 내주벽과 외주벽에는 제1 및 제2 환상구(32, 33)의 개구부보다 안쪽에, 두께(t, t')의 압입대(34)가 두께 방향(X1)으로 각각 형성되며, 압입대(34)가 형성된 부분의 폭(W2)은 제1 및 제2 환상구(32, 33)의 폭(W3)보다 좁게 되어 있다(도 4의 접선 부분 참조). 따라서, 실부재(4)에는 제1 및 제2 환상구(32, 33)의 개구부와 압입대(34)와의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그 단차에 의해 제1 및 제2 환상 돌기(14, 24)를 제1 및 제2 환상구(32, 33)의 개구부에서 압입대(34)로 안내하기 위한 제1 및 제2 가이드부(38, 39)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t, t'는 실력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 이상적으로는 동일할 것이 바람직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치수 공차가 생긴다. 따라서, t, t'을 분리하여 고려한다. 또한, 압입대(34)의 두께는 t+t'=W1-W2로 표시한다(도 2 참조).
실부재(4)에는 본체부(31)의 외주벽에서 외주방향으로 한 쌍의 돌출부(35, 35)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35, 35)는 본체부(31)에 대하여 대칭으로 형성 및 배치되어 있다. 각 돌출부(35)는 자유롭게 휠 수 있도록 장방형의 막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각 돌출부(35)의 두께는 압입대(34)로 제1 또는 제2 환상 돌기(14, 24)가 압입되어 있는 실 부재(4)를 끌어당길 때 파손되지 않는 강도를 확보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각 돌출부(35)는 실부재(4)를 제1 및 제2 부품(2, 3)의 접속부(12, 22)에 장착한 경우에 단부가 제1 및 제2 부품(2, 3)의 접속부(12, 22)보다 바깥쪽으로 나오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돌출부(35)의 단부에는 파지부(36)가 형성되어 있다. 파지부(36)는 손가락으로 잡을 때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돌출부(35)보다 두껍게 되어 있다. 파지 부(36)의 축선 방향의 전체 길이(X2)는 본체부(31)의 축선 방향의 전체 길이(X3)보다 큰 치수로 형성되며, 실부재(4)의 단면보다 파지부(36)가 축선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어서, 실부재(4)를 설치할 때에 파지부(36)가 본체부(31)보다 먼저 다른 물체에 접촉하여, 본체부(31)와 그 실면을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파지부(36)의 내경은 제1 및 제2 플랜지부(13, 23)의 외경과 동일하게 하여, 실부재(4)를 제1 및 제2 플랜지부(13, 23)에 장착한 때에, 파지부(36)의 내주면이 제1 및 제2 플랜지부(13, 23)의 외주면을 따라 덮기 때문에, 실부재(4)를 제1 및 제2 부품(2, 3)의 접속부(12, 22)에 장착하기 쉽다.
한편의 돌출부(35)에는 위치결정 볼록부(37, 37)가 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위치결정 볼록부(37)는 돌출부(35)의 양단면에 본체부(31)의 축선 방향과 평행하게 돌출하도록 형성되며, 돌출부(35)에 대하여 대칭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위치결정 볼록부(37)는 본체부(31)보다 축선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며, 제1 및 제2 부품의 제1 및 제2 위치결정 오목부(16, 26)에 삽입되어 실부재(4)를 제1 및 제2 부품(2, 3)에 대하여 위치를 결정한다.
<연결부재의 구성>
도 1로 돌아가서, 한 쌍의 연결 부재(5)는 실부재(4)를 개재한 제1 및 제2 플랜지부(13, 23)를 양쪽에서 삽입하도록 제1 및 제2 부품(2, 3)에 장착되며, 제1 및 제2 플랜지부(13, 23)의 주위를 둘러싸면서 접속부(12, 22)를 연결하고 있다. 한 쌍의 연결 부재(5)는 제1 및 제2 플랜지부(13, 23)의 사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 한 파지부(36)를 누르도록 덮고 있다.
<실부재의 설치방법>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접속부 실구조(1)의 실부재(4)를 설치하는 설치 설명도로서, 접속 전의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접속부 실구조(1)의 실부재(4)를 설치하는 설치 설명도로서, 접속 후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부품(2)의 제1 위치결정 오목부(16)에 실부재(4)의 위치결정 볼록부(37)를 삽입하고 나서, 제1 부품(2)의 제1 환상 돌기(14)를 실부재(4)의 제1 가이드부(38)에 삽입한다. 또한, 제2 부품(3)의 제2 위치결정 오목부(26)에 실부재(4)의 위치결정 볼록부(37)를 삽입하고 나서, 제2 부품(3)의 제2 환상 돌기(24)를 실부재(4)의 제2 가이드부(39)에 삽입한다. 이것에 의해, 제1 부품(2)의 접속부(12)와 제2 부품(3)의 접속부(22)가 제1 및 제2 위치결정 오목부(16, 26)에 삽입한 위치결정 볼록부(37, 37)를 이용하여 실부재(4)의 회전을 제한하면서, 실부재(4)의 본체부(31)를 통해 위치결정하여, 제1 및 제2 유로(11, 21)를 동축 상에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제2 부품(3)을 제1 부품(2) 쪽으로 누르면, 제1 및 제2 부품(2, 3)은 실부재(4)의 위치결정 볼록부(37)에 안내되어 동축 상으로 이동하여, 접속부(12, 22)가 근접한다. 이것에 따라, 제1 및 제2 부품(2, 3)의 제1 및 제2 환상 돌기(14, 24)가 실부재(4)의 제1 및 제2 가이드부(38, 39)에서 제1 및 제2 환상구(32, 33)의 압입대(34)로 삽입된다. 제1 및 제2 환상 돌기(14, 24)를 실부재(4) 의 압입대(34)로 충분히 누르면, 제1 및 제2 부품(2, 3)의 접속부(12, 22)가 실부재(4)의 돌출부(35)로 삽입된다. 이때, 돌출부(35)의 단부에 형성된 파지부(36)가 제1 및 제2 부품(2, 3)의 접속부(12, 22)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제1 및 제2 플랜지부(13, 23)의 외주면에 위치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한 쌍의 연결 부재(5, 5)를 제1 및 제2 플랜지부(13, 23)를 덮도록 설치하여, 실부재(4)의 파지부(36, 36)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연결 부재(5, 5)는 나사 등의 고정 부재로 일체화된다. 제1 및 제2 플랜지부(13, 23)는 연결 부재(5, 5)에 삽입되어 유지되고, 접속부(12, 22)를 떨어뜨리는 방향으로 실부재(4)의 반발력을 받아도, 접속부(12, 22)의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실부재의 해체 설명>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접속부 실구조의 실부재(4)를 해체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공정도로서, 제1 부품을 실부재에서 해체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하는 한 쌍의 연결 부재(5, 5)를 제1 및 제2 플랜지부(13, 23)에서 해체하여, 도 6에 도시한 상태가 되면,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제1 부품(2)과 제2 부품(3)을 분리한다. 그러면, 실부재(4)는 제1 부품(2) 또는 제2 부품(3)의 어느 한 쪽에 남아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제2 부품(3)에 남아 있는 것으로 한다.
실부재(4)는 제1 부품(2)에서 분리된 상태로서, 본체부(31), 파지부(36), 위치결정 볼록부(37)의 일단측이 개방된다. 예를 들면, 엄지로 파지부(36)의 일단측 으로 안쪽 방향(본체부(31) 쪽)의 힘을 가하여 파지부(36)를 돌출부(35)에 대하여 기울이면, 파지부(36)의 타단측이 제2 플랜지부(23)의 외주면에서 분리되기 때문에, 분리된 파지부(36)의 타단측에 인지를 걸고, 파지부(36)를 엄지와 인지로 꽉 잡아당긴다. 파지부(36)의 전체 길이(X2)가 본체부(X3)보다 큰 치수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파지부(36)의 일단측을 누르면 파지부(36)의 타단의 분리 정도가 크고, 파지부(36)를 잡기 쉽다. 또한, 파지부(36)는 파지면적이 넓기 때문에, 실부재(4)를 당길 때, 손가락이 파지부(36)에서 미끄러지기 어렵다.
여기서, 실부재(4)는 장방 형상의 돌출부(35)를 실부재(4)의 외주벽에 2개로 형성하여, 실부재(4)를 접속부(12, 22)에 개재시킨 때에, 돌출부(35)가 접속부(12, 22)에 밀착하는 면적이 작다. 그 때문에, 돌출부(35)를 접속부(12, 22)의 사이에 정확하게 삽입하는 두께로 하여 강도를 확보하고 있어도, 파지부(36)를 제2 부품(3)과 반대쪽에 끌어당긴 때에, 돌출부(35)가 접속부(22)에서 간단하게 벗겨진다.
실부재(4)는 본체부(31)를 끼워 일직선상으로 형성한 한 쌍의 돌출부(35)의 파지부(36)을 거의 균일한 힘으로 끌어당긴다. 그 때문에, 인장력이 실부재(4)로 분산되고, 파지부(36)를 끌어당길 때에 돌출부(35)가 분리되기 어렵다. 파지부(36)를 잡아당긴 실부재(4)는 도 8에 도시한 것처럼 제2 환상구(33)와 제2 환상 돌기(24)와의 연결 상태를 해제하고, 제2 부품(3)의 제2 요철조(25)에서 해체된다.
이에 의해,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수작업으로 실부재(4)를 제1 및 제2 부품(2, 3)의 접속부(12, 22)에서 해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실부재(4)를 해제할 때에, 제1 및 제2 부품(2, 3)의 접속부(12, 22)에 손상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실부재(4) 자체도, 공구에 의한 손상이 생기지 않는다. 게다가 실부재(4)의 돌출부(35)가 강도를 가지기 때문에, 돌출부(35, 35)를 손가락으로 잡아당겨, 제1 또는 제2 부품(2, 3)의 접속부(12, 22)에서 해체시켜도, 돌출부(35)가 떨어져 나가는 등의 파손이 생기기 어렵다. 이에 의해, 제1 실시형태의 접속부 실구조(1)에서는 실부재(4)의 해체 시에, 실부재(4)나 제1 및 제2 부품(2, 3)에 손상이 생기기 어렵고, 실부재(4)를 제1 및 제2 부품(2, 3)에 반복하여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부재의 설치>
실부재(4)를 제1 및 제2 부품(2, 3)의 사이에 장착한 경우에는 상기 해체 순서와 역순으로 진행하면 된다.
또한, 이 경우 실부재(4)는 돌출부(35)의 말단부에 형성된 파지부(36, 36)를 손가락으로 잡아서, 제1 또는 제2 환상구(32, 33)를 제1 부품(2)의 제1 환상 돌기(14) 또는 제2 부품의 제2 환상 돌기(24)에 위치를 맞추고, 제1 또는 제2 환상구(32, 33)의 가이드부(38, 39)에 제1 또는 제2 환상 돌기(14, 24)의 선단부를 삽입하기 때문에, 제1 또는 제2 부품(2, 3)의 접속부(12, 22)에 장착하기 쉽다.
게다가, 파지부(36, 36)는 본체부(31)의 단면보다 축선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 때문에, 파지부(36, 36)는 제1 또는 제2 환상구(32, 33)의 가이드부(38, 39)에 제1 또는 제2 환상 돌기(14, 24)의 선단부를 삽입하기 전에 제1 또는 제2 가이드부(38, 39)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제1 또는 제2 환상구(32, 33)의 가이드 부(38, 39)와 제1 또는 제2 환상 돌기(14, 24)의 선단부를 위치결정한다. 그리고, 파지부(36)는 제1 또는 제2 가이드부(13, 23)에 따라 제1 또는 제2 환상구(32, 33)의 가이드부(38, 39)에 제1 또는 제2 환상 돌기(14, 240의 선단부를 안내하고, 가이드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실부재(4)를 제1 또는 제2 부품(2, 3)의 접속부(12, 22)에 설치하기 쉽다.
<작용효과>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접속부 실구조(1)에서는 제1 부품(2)과 제2 부품(3)을 분리한 때, 제1 부품(2) 또는 제2 부품(3)에 부착되어 남아 있는 실부재(4)의 돌출부(35)가 제1 부품(2) 또는 제2 부품(3)의 접속부(12, 22)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도 7 참조). 돌출부(35)가 제1 부품(2)과 제2 부품(3)에 끼워지는 정도의 두께로, 제1 부품(2)과 제2 부품(3)을 분리한 때에 제1 부품(2)의 접속부(12) 또는 제2 부품(3)의 접속부(22)에서 돌출되어 있어도, 돌출부(35)를 잡아 돌출부(35)를 제1 부품(2)의 접속부(12) 또는 제2 부품(3)의 접속부(22)에서 벗겨지고, 돌출부(35)를 손가락으로 꽉 잡고, 실부재(4)를 제1 부품(2) 또는 제2 부품(3)에서 잡아당겨 해체하기 쉽다. 또한, 돌출부(35)에 강도가 있기 때문에, 돌출부(35)를 잡아당기는 도중에 떨어져 나가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실시형태의 접속부 실구조(1)에 의하면, 제1 부품(2) 또는 제2 부품(3)의 접속부(12, 22)에 개재되는 실부재(4)를 간단히 해체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실시형태의 접속부 실구조(1)에 의하면, 실부재(4)의 돌출부(35)의 말단부를 손가락으로 잡아서 본체부(31)를 제1 또는 제2 부품(2, 3)의 접속부(12, 22)에 장착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실부재(4)가 작아서 취급이 어려운 경우에도, 실부재(4)를 접속부(12, 22)에 설치하기 쉽다.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접속부 실구조(1)는 제1 및 제2 부품(2, 3)의 접속부(12, 22)보다 바깥쪽으로 나와 있는 돌출부(35)의 말단부에 파지부(36)를 형성하고, 파지면적을 넓게 한 것으로(도 7 참조), 파지부(36)를 잡아당겨 실부재(4)를 제1 또는 제2 부품(2, 3)에서 해체한 경우에 손가락이 파지부(36)에서 미끄러지기 어렵다.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접속부 실구조(1)는 실부재(4)의 위치결정 볼록부(37, 37)를 제1 및 제2 부품의 제1 및 제2 위치결정 오목부(16, 26)에 삽입하여, 실부재(4)를 제1 부품(2)과 제2 부품(3)에 대하여 위치결정을 하기 때문에(도 5 참조), 실부재(4)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접속부 실구조(1)는 제1 및 제2 환상구(32, 33)의 개구부에 제1 및 제2 요철조(15, 25)에 형성된 제1 및 제2 환상 돌기(14, 24)를 압입대(34)로 안내하는 가이드부(38, 39)를 형성하기 때문에(도 5 참조), 제1 및 제2 환상 돌기(14, 24)를 제1 및 제2 환상구(32, 33)의 압입대(34)에 삽입하기 쉬워, 실부재(4)의 취급성이 좋다.
(제2 실시형태)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의 실부재는 실 접속부를 콤팩트하게 하기 위해, 제1 및 제2의 수지제 부품에 장착하는 파지부를 충분히 크게 할 수 없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제2의 수지제 부품의 접속부에 파지부를 연결해서 실부재를 제2의 수지제 부품에 임시로 장착한 후, 제1의 수지제 부품을 실부재에 임시로 장착할 때까지의 사이에, 실부재가 자체의 무게나 어떤 충격에 의해 제2 수지제 부품에서 탈락하는 경우가 있었다. 탈락한 실부재에 변형이나 파손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실부재의 환상구가 환상 돌기에 대하여 적정한 형상이라면, 환상구를 환상 돌기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균일하게 압입하여 적정하게 접속부를 봉인할 수 있다. 그러나, 변형이나 파손 등에 의해 환상구가 환상 돌기에 대하여 적정한 형상을 하고 있지 않은 실부재는 환상구와 환상 돌기를 원주방향으로 균일하게 압입될 수 없게 되고, 봉인이 약한 부분에서 유체누출이 생길 염려가 있었다.
도 9는 접속부 실구조(101)의 단면도이다.
제2 실시형태의 접속부 실구조(101) 및 그에 이용하는 실부재(106)는 제1 실시형태의 실부재 및 그를 이용한 접속부 실구조에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다. 실부재(106)에 후크부(112a, 112b)를 형성하여, 접속부(104, 105)를 연결하는 작업 중에 실부재(106)가 제1 또는 제2 접속부(104, 105)에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접속부 실구조의 전체구성>
제2 실시형태의 접속부 실구조(101)는 예를 들면 반도체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제1 유체기구의 제1 바디(102)("제1 부품"의 일례)와 제2 유체기구의 제2 바 디(103)("제2 부품"의 일례)와의 접속부에 적용된다. 접속부 실구조(101)는 제1 바디(102)의 제1 접속부(104)와 제2 바디(103)의 제2 접속부(105)와의 사이에 실부재(106)를 배치하고, 연결 부재(107)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접속부(104, 105)를 접속하고 있다.
제1 및 제2 바디(102, 103)는 PTFE 등의 내열성이나 내부식성을 가지는 불소 수지를 블록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제1 및 제2 바디(102, 103)에는 유로(104h, 105h)가 단면에서 개구하는 제1 및 제2 접속부(104, 105)가 각각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접속부(104, 105)는 동일한 구조를 이룬다.
제1 및 제2 접속부(104, 105)의 단면에는 유로 개구부의 주변에 실 구멍(104a, 105a)이 형성되어 있다. 실 구멍(104a, 105a)에는 "환상 요철조"의 일례인 환상 돌기(104b, 105b)가 유로(104h, 105h)와 동심인 원 형상으로 돌설되어 있다. 제1 및 제2 접속부(104, 105)의 단면 외주에는, 볼록부(104g, 105g)가 환상으로 돌설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 접속부(104, 105)의 외주면에는 후술할 지그(115)가 설치되는 제1 및 제2 설치구(104f, 105f)가 각각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접속부(104, 105)는 그 단면과 제1 및 제2 설치구(104f, 105f)와의 사이에 연결 부재(107)를 장착하기 위한 제1 및 제2 장착구(104c, 105c)가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107)는 제1 분할편(108)과 제2 분할편(109)으로 분할되며, 도시하지 않은 고정부재로 제1 분할편(108)과 제2 분할편(109)을 일체화하는 것에 의해 제1 및 제2 접속부(104, 105)의 접속상태를 유지한다. 제1 및 제2 분할편(108, 109)은 제1 및 제2 접속부(104, 105)의 외주에 장착하기 위해, 반원 형상의 원호면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분할편(108, 109)의 원호면에는 돌부(108j, 108k. 109j, 109k)가 안쪽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각각 형성되며, 돌부(108j, 108k. 109j, 109k)의 사이에 제1 및 제2 보호구(108f, 109f)가 형성되어 있다.
<실부재>
도 10은 도 9에 도시하는 실부재(106)의 평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A-A 단면도이다. 또한, 도 12는 도 10에 도시한 실부재(106)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9에 도시한 접속부 실구조(101)의 조립 설명도로서, 특히 실부재(106)를 일방의 접속부(105)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다.
실부재(106)는 PFA(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등의 딱딱하고 내부식성을 가지는 수제를 재질로 한다. 도 10~도 12에 도시한 것처럼, 실부재(106)는 본체부(111), 파지부(112) 및 돌출부(113)를 포함한다.
도 10~도 12에 도시한 것처럼, 본체부(111)는 짧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11)는 제1 및 제2 접속부(104, 105)의 환상 돌기(104b, 105b)가 삽입되는 환상구(111a, 111b)("요철조"의 일례)가 양단면에 형성되며, 단면은 H형을 이루고 단면이 선대칭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11에 도시한 환상구(111a, 111b)의 구멍 폭은 제1 및 제2 접속부(104, 105)의 환상 돌기(104b, 105b)(도 9 참조)의 두께 방향의 폭 치수와 동일 또는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환상구(111a, 111b)는 개구부보다 안쪽의 내측 내벽과 외 측 내벽에 압입대(111c, 111d)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환상구(111a, 111b)의 개구부보다 안쪽의 구멍 폭을 환상 돌기(104b, 105b)의 두께 방향의 폭 치수보다 작게 하고 있다. 이 때문에, 환상구(111a, 111b)의 개구부에는 환상 돌기(104b, 105b)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11e)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한 것처럼, 내주면과 외주면에 실구(104a, 105a)의 저부에 형성된 경사(도 9 참조)와 대응하도록 이와 같은 본체부(111)에 경사가 형성되며, 본체부(111)의 환상구(111a, 111b)에 제1 및 제2 접속부(104, 105)의 환상 돌기(104b, 105b)를 삽입할 때, 실부재(106)의 환상구(111a, 111b)의 폭이 확대되어, 실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도 10~도 12에 도시한 것처럼, 본체부(111)의 외주면에는 돌출부(113)가 바깥방향으로 돌설되어 있다. 돌출부(113)는 본체부(111)이 외주면을 따라서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13)의 외연부에는 복수의 파지부(112)가 소정간격을 두고 일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파지부(112)는 돌출부(113)의 단부에서 양쪽으로 돌출부(113)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각 파지부(112)는 본체부(111)의 외주면에 대하여 일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각 파지부(112)의 양단부에는 제1 및 제2 접속부(104, 105)의 볼록부(104g, 105g)에 걸려 연결되는 후크부(112a, 112b)가 본체부(111) 쪽으로 (안쪽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후크부(112a, 112b)가 제1 또는 제2 접속부(104, 105)의 볼록부(104g, 105g)에 걸린 경우에, 제1 또는 제2 접속부(104, 105)에 형성된 환상 돌기(104b, 105b)의 선단부가 환상구(111a, 111b)의 가이드 부(111e)에 임시로 삽입되어, 환상 돌기(104b, 105b)와 환상구(111a, 111b)를 적정하게 위치를 결정하도록, 각 파지부(112)에 후크부(112a, 112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부재(106)는 사출성형에 의해 도 10~도 12에 도시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사출성형으로 사용하는 금형에는 후크부(112a, 112b)를 형성하기 위한 언더커트(undercut)가 형성되지만, 파지부(112)가 분할 배치되어 변형하기 쉽기 때문에 금형에서 실부재(106)를 분리하기 쉽다.
<유체기구의 접속방법>
다음으로, 제1 및 제2 유체기구의 제1 및 제2 바디(102, 103)를 접속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도 9에 도시하는 접속부 실구조(101)의 조립 설명도로서, 특히 실부재(106)를 일반의 접속부(105)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도 14는 도 9에 도시하는 접속부 실구조(101)의 조립 설명도로서, 특히 유체기구를 조이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5는 도 9에 도시하는 접속부 실구조(101)의 조립 설명도로서, 특히 연결 부재(107)의 장착방법을 도시한다.
먼저, 장갑을 착용한 손으로 실부재(106)의 파지부(112)를 잡고, 도 13에 도시한 것처럼 예를 들면 제2 접속부(105)의 볼록부(105g)에 실부재(106)의 후크부(112a)를 걸어, 파지부(112)를 제2 접속부(105)의 외주에 장착하고, 실부재(106)를 제2 접속부(105)에 임시로 고정한다. 여기서, 장갑을 착용하는 것은 실면에 이물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유로(104h, 105h)에 부착한 약액 등이 손에 묻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실부재(106)는 파지부(112)를 분할 배치하기 때문 에, 각 파지부(112)를 변형하기 용이한 것 외에, 후크부(112a)가 전체 원주에 형성되어 있지 않는다. 따라서, 실부재(106)는 후크부(112a)를 볼록부(105g)에 걸기 쉬워, 제2 접속부(105)에 간단히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후크부(112a)가 볼록부(105g)에 걸린 실부재(106)는 환상구(111a)의 개구부에 형성된 가이드부(111e)에 제2 접속부(105)의 환상 돌기(105b)의 선단부가 임시로 삽입되어 덜컹거리지 않고, 실면(압입대(111c, 111d)나 환상 돌기(105b))을 손상시키지 않고, 환상구(111a)와 환상 돌기(105b)를 적정하게 위치결정할 수 있다. 또한, 실부재(106)는 후크부(112a)를 볼록부(105g)에 걸기 때문에, 제2 바디(103)를 기울이지 않아도 환상구(111a)와 환상 돌기(105b)를 적정하게 위치결정한 상태로 제2 접속부(105)에서 탈락하지 않고 취급하기 용이하다.
또한, 실부재(106)는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후크부(112b)를 볼록부(104g)에 걸어 제1 접속부(104)에 장착하고, 실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환상구(111b)를 환상 돌기(104b)에 대하여 위치결정한다.
그리고 도 14에 도시한 지그(115)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바디(102, 103)를 조이고, 실부재(106)의 압입대(111c, 111d)에 제1 및 제2 접속부(104, 105)의 환상 돌기(104b, 105b)를 삽입한다. 구체적으로, 지그(115)는 2개의 손잡이(116A, 116B)를 지축(117)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한 것이다. 손잡이(116A, 116B)의 선단부에는, 가압 플레이트(119)가 지축(118)을 이용하여 요동자재로 각각 유지되어 있다. 지그(115)는 가압 플레이트(119, 119)를 제1 및 제2 설치구(104f, 105f)에 장착하기 위해 손잡이(116A, 116B)의 폭을 조정한다. 이 시점에서, 제1 및 제2 장착구(104c, 105c)의 단면측 내측면 사이의 폭(W101)이 연결 부재(107)의 유지구(108f)의 폭(제1 돌부(108j)와 제2 돌부(108k) 사이의 폭)(W102)보다 넓어서, 연결 부재(107)를 제1 및 제2 접속부(104, 105)에 장착할 수 없다. 여기서, 지그(115)의 손잡이(116A, 116B)를 잡고, 도면 중 실선으로 도시한 것처럼, 제1 및 제2 접속부(104, 105)를 서로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조이고, 제1 및 제2 접속부(104, 105)의 환상 돌기(104b, 105b)를 실부재(106)의 압입대(111c, 111d)에 삽입한다. 이때, 환상 돌기(104b, 105b)는 선단부를 임시로 삽입되어 있던 실부재(106)의 가이드부(111e)에 따라 압입대(111c, 111d)로 안내되기 때문에, 압입대(111c, 111d)에서 원주 방향으로 균일하게 가압된다.
도 15에 도시한 것처럼, 폭(W101)이 유지구(108f)의 폭(W102) 이하로 될 때까지, 제1 및 제2 접속부(104, 105)를 지그(115)로 조이면, 제1 및 제2 접속부(104, 105)의 환상 돌기(104b, 105b)가 실부재(106)의 압입대(111c, 111d)에 규정량 삽입되고, 소정의 실력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지그(115)를 잡고 제1 및 제2 접속부(104, 105)의 접속상태를 유지한 채, 제1 및 제2 분할편(108, 109)의 돌부(108j, 108k, 109j, 109k)를 제1 및 제2 접속부(104, 105)의 제1 및 제2 장착구(104c, 105c)에 삽입하고, 도시하지 않은 고정 부재로 제1 및 제2 분할편(108, 109)을 고정한다. 이에 의해, 연결 부재(107)는 제1 및 제2 접속부(104, 105)가 실부재(106)의 반발력에 의해 분리되도록 해도, 그 힘을 제1 및 제2 돌부(108j, 108k, 109j, 109k)에서 받아, 제1 및 제2 접속부(104, 105)의 접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실부재(106)는 환상구(111a, 111b)에 제1 및 제2 접속부(104, 105)의 환상 돌기(104b, 105b)를 규정량 삽입시키고, 그 삽입부분에 소정의 봉인력을 유지한다.
<작용효과>
따라서, 제2 실시형태의 접속부 실구조(101) 및 실부재(106)는 제1 및 제2 바디(102, 103)의 제1 및 제2 접속부(104, 105)를 접속한 경우에, 제1 또는 제2 볼록부(104g, 105g)에 후크부(112a, 112b)를 걸어 실부재(106)의 탈락을 방지하고, 실부재(106)의 변형이나 손상을 막는다. 이에 의해, 제1 및 제2 접속부(104, 105)의 환상 돌기(104b, 105b)와 실부재(106)의 환상구(111a, 111b)는 원주 방향으로 균일하게 삽입되어 유체누출이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제2 실시형태의 접속부 실구조(101) 및 실부재(106)에 의하면, 제1 및 제2 바디(102, 103)에 형성된 제1 및 제2 접속부(104, 105)의 접속 부분을 확실하게 봉인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의 접속부 실구조(101) 및 실부재(106)는 예를 들면 후크부(112a)를 제2 볼록부(105g)에 걸면, 실부재(106)가 제2 접속부(105)에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한 채, 제2 접속부(105)의 환상 돌기(105b)와 실부재(106)의 환상구(111a)를 적정하게 위치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환상 돌기(105b)와 환상구(111a)는 삽입하는 부분에 어긋남이 생기지 않아, 누출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2 실시형태의 접속부 실구조(101) 및 실부재(106)에 의하면, 제1 및 제2 접속부(104, 105)의 접속부분을 확실하게 봉인할 수 있다.
특히, 제2 실시형태의 접속부 실구조(101) 및 실부재(106)는 후크부(112a, 112b)를 제1 및 제2 볼록부(104g, 105g)에 건 때, 환상구(111a, 111b)에 형성된 가이드부(111e)에 환상 돌기(104b, 105b)의 선단부를 임시로 삽입한다. 그 때문에, 제1 및 제2 바디(102, 103)의 제1 및 제2 접속부(104, 105)를 서로 근접시켜 환상구(111a, 111b)와 환상 돌기(104b, 105b)를 삽입시킬 때에는, 환상 돌기(104b, 105b)를 환상구(111a, 111b)의 가이드부(111e)에서 압입대(111c, 111d)로 원활히 안내하기 때문에, 환상구(111a, 111b)의 압입대(111c, 111d)로 환상 돌기(104b, 105b)를 균일하게 가압하여, 적정한 봉인력을 가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의 접속부 실구조(101) 및 실부재(106)는 파지부(112)가 실부재(106)에 분할배치되어 변형이 용이하기 때문에, 후크부(112a, 112b)를 제1 및 제2 볼록부(104g, 105g)에 걸기 좋다.
제2 실시형태의 접속부 실구조(101) 및 실부재(106)는 파지부(112)의 양단에 후크부(112a, 112b)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실부재(106)를 제1 및 제2 접속부(104, 105)에 설치하는 설치방향이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실시형태의 접속부 실구조(101) 및 실부재(106)는 실부재(106)의 교환시에 파지부(112)를 장갑을 착용한 손으로 집기 때문에, 실부재(106)의 접액부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실부재(106)를 교환할 수 있다.
<실부재의 변형례>
또한, 실부재(106)의 형상은 상기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6은 도 9에 도시한 실부재(106)의 제1 변형례로서, 외관 사시도를 도시한다.
예를 들면 도 16에 도시한 실부재(106A)처럼, 파지부(112A)를 실부재(106A)의 원주방향으로 환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후크부(112a, 112b)는 파지부(112A)의 일단 또는 양단부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하면 좋다. 이와 같은 실부재(106A) 및 그를 이용한 접속부 실구조는 파지부(112A)의 두께를 얇게 하여도, 제1 및 제2 볼록부(104g, 105g)에 후크부(112a, 112b)를 걸 때에 파지부(112A) 전체에서 밸런스를 맞추기 때문에, 제1 및 제2 볼록부(104g, 105g)에 후크부(112a, 112b)를 안정하게 걸 수 있다. 환언하면, 실부재(106A)를 제1 및 제2 접속부(104, 105)에 장착한 때에, 환상구(111a, 111b)를 환상 돌기(104b, 105b)에 대하여 보다 정확하게 위치결정을 할 수 있다.
또한, 실부재(106A)는 파지부(112A)가 돌출부(113)에 접속하는 부분에 관통공을 형성하여도 좋다. 이에 의하면, 성형시 후크부(112a, 112b)에 언더커트를 생성하지 않기 때문에, 실부재(106)를 변형시키지 않고 금형에서 실부재(106A)를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7은 도 9에 도시한 실부재(106)의 제2 변형례로서,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8은 도 17의 B-B 단면도이며, 도 19는 도 17에 도시한 실부재(106B)의 외관 사시도이다.
예를 들면 도 17~도 19에 도시한 실부재(106B)처럼, 분할배치한 파지부(112B)에 후크부(112a, 112b)를 번갈아 형성하여도 좋다. 이에 의하면, 실부재(106B)의 성형시 금형의 언더커트에서 실부재(106B)를 분리시키기 용이함과 동시에 실부재(106B)의 설치방향의 제한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17~도 19에 도시한 실부재(106B)처럼, 돌출부(113B)의 파지부(112B)에 접속하는 부분에 관통공(113a)을 형성하여도 좋다. 이때, 실부재(106B) 및 이를 사용하는 접속부 실구조는 파지부(112B)가 관통공(113a) 쪽으로 변형하기 쉽기 때문에, 각 파지부(112)를 제1 및 제2 접속부(104, 105)의 볼록부(104g, 105g)에 걸기 쉽다. 그리고, 실부재(106B)는 제조면에서 보면 성형시에 후크부(112a, 112b)에 언더커트를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제품을 변형시키지 않고 금형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실부재(106)는 돌출부(113)를 링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방사선 형상으로 형성한 리브로 돌출부를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실부재(106)는 4개의 파지부(112)를 분할배치하지만, 2 또는 3개, 또는 5개 이상의 파지부(112)를 분할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실부재(106)는 파지부(112)의 양단에 후크부(112a, 112b)를 형성하지만, 어느 쪽이든지 한쪽의 후크부(112a, 112b)만을 파지부(112)에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실부재(106)는 돌출부(112)의 양쪽으로 돌출시킨 파지부(112)를 형성하였지만, 돌출부(113)에서 한쪽만으로 돌출시킨 파지부를 형성하고, 그 파지부에 후크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실부재(106)는 파지부(112)의 단부에 후크부(112a, 112b)를 형성하였지만, 파지부가 돌출부에 접속하는 부분과 파지부의 단부와의 사이에 후크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실부재(106)는 파지부(112)를 따라 후크부(112a, 112b)를 형성하였지만, 각 파지부(112)에 후크부를 부분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제2 실시형태에서는 실부재(106)의 재질을 PFA로 하였지만, PP(폴리프로필렌)이나 PE(폴리에틸렌) 등의 딱딱하고 부식성이 있는 수지로 하여도 좋다. 또한, 실부재(106)의 재질은 EPDM(에틸렌프로필렌고무)나 FKM(불소고무) 등의 고무로 하여도 좋다.
<변형례>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1) 예를 들면,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실부재(4)에 관하여 이하의 변형례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한 실부재(4A)처럼, 위치결정 볼록부(37)를 생략한 돌출부(35A)로 하여도 좋다. 이때, 제1 및 제2 부품(2, 3)에 위치결정 오목부(16, 26)를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한 실부재(4B)처럼,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한 돌출부(35A)의 파지부(36)를 생략하여, 돌출부(35B)로 하고, 실부재(4B)의 제조에 사용하는 재료를 줄여도 좋다. 이 경우에도, 실부재(4B)를 제1 및 제2 부품(2, 3)에 장착한 때, 돌출부(35B)가 접속부(12, 22)의 바깥쪽으로 나오면, 그 나온 부분을 손가락으로 집어 실부재(4B)를 간단히 제1 및 제2의 부품(2, 3)에서 해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실부재(4)는 본체부(31)를 사이에 두고 대칭위치에 한 쌍의 돌출부(35, 35)를 형성하였지만, 도 24 및 도 25에 도시한 실부재(4C)처럼, 본체부(31)의 편측에만 돌출부(35C)를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돌출부(35C)를 잡아당기는 힘이, 본체부(31)와 돌출부(35C)와의 접속부분에 넓게 분산하기 위해, 돌출부(35C)를 거의 삼각형 형상으로 하고, 끝으로 갈수록 가늘게 하여도 좋다. 그리고, 선단부에 파지부(36)를 형성하여도 좋다. 한편, 도 26 및 도 27에 도시하는 실부재(4D)처럼, 도 24 및 도 25에 도시한 돌출부(35C)의 파지부(36)를 생략하고, 돌출부(35D)로 하여도 좋다.
또한, 도 28 및 도 29에 도시하는 실부재(4E)처럼, 본체부(31)의 외주벽에 원주방향으로 등간력으로 돌출부(35E)를 형성하여도 좋다(여기서는, 돌출부(35E)를 본체부(31)의 주위로 충분히 배치하여도 좋다). 그리고, 각 돌출부(35E)의 단부에 파지부(36)를 형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돌출부(35E)를 많이 형성한 것에 의해, 파지부(36)를 집는 방향에 제한이 적어지고, 실부재(4E)에 탈착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30 및 도 31에 도시한 실부재(4F)처럼, 도 28 및 도 29에 도시한 돌출부(35E)의 파지부(36)를 생략하고, 돌출부(35F)로 하여도 좋다.
또한, 도 32 및 도 33에 도시한 실부재(4G)에 도시한 것처럼, 본체부(31)의 외주벽을 따라 돌출부(35G)를 환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그리고, 돌출부(35G)의 단부(외연부)에 파지부(36)를 형성하면 좋다. 이에 의해, 실부재(4G)의 설치방향이 제한되지 않는 외에, 돌출부(35G)의 강도를 확보하여, 실부재(4G)를 탈착할 때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돌출부(35G)를 환상으로 하여 접속부(12, 22)와 전면에서 접촉하면, 돌출부(35G)가 접속부(12, 22)에 봉인되어, 본래 봉인해야 할 압입부의 봉인성이 확인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여기서, 돌출부(35G)의 표면에 본체부(31)에서 외연부로 늘어나는 구멍(40)을 형성하여, 제1 및 제2 부품(2, 3)의 접속부(12, 22)에 실부재(4G)를 개재시킨 때 돌출부(35G)가 접속부(12, 22)에 밀착하여 봉인하는 것을 방지하면 좋다. 또한, 본 변형례에서는, 구멍(40)을 4개 형성하고 있지만, 구멍(40)의 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및 제2 플랜지부(13, 23)에 장착하는 연결 부재(5)를 단면 'ㄷ'자 형상으로 하였다. 이에 대하여, 도 34에 도시한 접속부 실구조(1A)처럼, 제1 및 제2 부품(2, 3)의 접속부를 제1 및 제2 플랜지부(13A, 23A)의 단면에 형성하여도 좋다. 제1 및 제2 플랜지부(13A, 23A)는 외주면에 요철구(41, 42)가 형성되며, 그 요철구(41, 42)에 삽입되는 요철부(43, 44)를 연결 부재(5A, 5A)의 내주면에 형성하여도 좋다. 그리고, 요철구(41, 42)에 요철부(43, 44)를 삽입할 때 발생하는 힘이 제1 및 제2의 플랜지부(13A, 23A)의 실면에 작용하도록 요철구(41, 42)의 내벽과 요철부(42)의 슬라이딩 면에 경사를 형성하면 좋다. 이에 의해, 실부재(4G)의 본체부(31)를 원주방향으로 균일한 힘으로 간단히 눌려, 봉인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위치결정 볼록부(37)를 핀 형상으로 형성하였지만, 판 형상 등으로 하여도 좋다.
(4)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실부재(4)에 제1 및 제2 환상구(32, 33)를 형 성하고, 제1 및 제2 부품(2, 3)에 제1 및 제2 환상 돌기(14, 24)를 형성하였다. 이에 대해, 도 35에 도시한 것처럼, 실부재(4H)를 구성하는 본체부(31A)의 양단면에 제1 및 제2 환상 돌기(51, 52)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감합부를 형성하고, 제1 및 제2 부품(2, 3)의 접속부(12, 22)에 실부재(4H)의 제1 및 제2 환상 돌기(51, 52)를 삽입하는 제1 및 제2 환상구(53, 55)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요철조(55, 56)를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제1 및 제2 환상 돌기(51, 52)는 선단부보다 안쪽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각각 두께(t, t')만큼 두께방향(X11)으로 두께로 하고, 압입대(57)를 형성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 제1 및 제2 환상 돌기(51, 52)의 선단부의 폭(W31)이 압입대(57)를 형성한 기단부의 폭(W11)보다 좁아져, 제1 및 제2 환상 돌기(51, 52)는 선단부와 기단부와의 사이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환상 돌기(51, 52)의 선단부의 폭(W31)이 제1 및 제2 부품(2, 3)에 형성된 제1 및 제2 환상구(53, 54)의 폭(W21)과 거의 동일 또는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환상 돌기(51, 52)의 선단부는 제1 및 제2 환상 돌기(51, 52)에 삽입될 때에 제1 및 제2 환상 돌기(51, 52)를 제1 및 제2 환상구(53, 54)로 안내하는 가이드부(58, 59)의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환상 돌기(51, 52)의 선단부에, 압입대(57)를 제1 및 제2 환상구(53, 54)로 안내하는 가이드부(58, 59)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제1 및 제2 환상 돌기(51, 52)를 제1 및 제2 환상구(53, 54)에 삽입하기 쉬워, 실부재(4H)의 취급성을 양호하게 한다. 제1 및 제2 환상구(53, 54)에 삽입된 제1 및 제2 환상 돌기(51, 52)는 각 압입대(57)를 누르는 부분에서 봉인된다.
또한, 실부재(4H)의 제1 및 제2 환상 돌기(51, 52)에 형성된 압입대(57)의 두께는 t+t'=W11=W21이 된다. 제1 및 제2 환상 돌기(51, 52)를 제1 및 제2 환상구(53, 54)에 삽입한 경우의 압입대(57)의 압축비(pressing ratio)는 상기 제1 실시형태와 같이, 0.1 이상 0.3 이하로 하는 바람직하다.
(5) 예를 들면, 상기 제2 실시형태에는 제1 및 제2 유체기구의 유로(104h, 105h)가 접속하는 부분을 연결 부재(107)로 연결할 때의 봉인에 접속부 실구조(101) 및 실부재(106, 106A, 106B)를 적용하였다. 이에 대하여, 예를 들면 밸브의 밸브 바디와 구동부를 볼트로 접속한 경우의 봉인이나, 매니폴드에 유체기구를 볼트 또는 연결 부재로 접속하는 경우의 봉인 등에, 접속부 실구조(101)나 실부재(106, 106A, 106B)를 적용하여도 좋다.
(6) 예를 들면, 상기 제2 실시형태의 제1 및 제2 접속부(104, 105)에 형성한 환상 돌기(104b, 15b)를 환상구로 변경하고, 상기 제2 실시형태의 실부재(106)에 형성한 환상구(111a, 111b)를 압입대를 포함하는 환상 돌기로 변경하여, 환상구와 환상 돌기와의 압입 부분에서 봉인시켜도 좋다.
(7) 예를 들면, 상기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및 제2 바디(102, 103)와 제1 및 제2 접속부(104, 105)를 수지제 부품으로 하였지만, 제1 및 제2 바디(102, 103)나 제1 및 제2 접속부(104, 105)에 금속제 부품을 사용해도 좋다.

Claims (12)

  1. 접속부 실구조로서,
    제1 요철조가 형성된 접속부를 포함하는 제1 부품;
    제2 요철조가 형성된 접속부를 포함하는 제2 부품; 및
    상기 제1 및 제2 부품의 접속부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요철조에 연결되는, 일면에 형성된 제1 감합부 및 상기 제2 요철조에 연결되는, 타면에 형성된 제2 감합부를 포함하는 실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감합부에 두께방향의 압입대가 형성되고,
    상기 실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감합부가 형성될 수 있는 환상의 본체부에서 외주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및 제2 부품의 접속부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부 실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부재는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 상기 돌출부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부 실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부재의 위치결정 볼록부가 상기 돌출부의 양단면에 상기 본체부의 축 선과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부품은 상기 위치결정 볼록부가 삽입되어 위치를 결정하는 제1 위치결정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품은 상기 위치결정 볼록부가 삽입되어 위치를 결정하는 제2 위치결정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부 실구조.
  4. 접속부 실구조로서,
    제1 환상 돌기가 형성된 접속부를 포함하는 제1 부품;
    제2 환상 돌기가 형성된 접속부를 포함하는 제2 부품; 및
    상기 제1 및 제2 부품의 접속부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환상 돌기가 삽입되는, 일면에 형성된 제1 환상구 및 상기 제2 환상 돌기가 삽입되는, 타면에 형성된 제2 환상구를 포함하는 실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환상구에 두께방향의 압입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환상 돌기를 상기 제1 및 제2 환상구의 상기 압입대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접속부 실구조가 봉인되며,
    상기 실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환상 돌기를 상기 제1 및 제2 환상구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압입대로 안내하는 상기 제1 및 제2 환상구의 개구부에 형성된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부 실구조.
  5. 접속부 실구조로서,
    제1 환상구가 형성된 접속부를 포함하는 제1 부품;
    제2 환상구가 형성된 접속부를 포함하는 제2 부품; 및
    상기 제1 및 제2 부품의 접속부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환상구에 삽입되는, 일면에 형성된 제1 환상 돌기 및 상기 제2 환상구에 삽입되는, 타면에 형성된 제2 환상 돌기를 포함하는 실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환상 돌기에 두께방향의 압입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환상 돌기의 상기 압입대를 상기 제1 및 제2 환상구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접속부 실구조가 봉인되며,
    상기 실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환상 돌기의 압입대를 상기 제1 및 제2 환상구로 안내하는 상기 제1 및 제2 환상 돌기의 선단부에 형성된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부 실구조.
  6. 접속부 실구조로서,
    유로 개구부의 주위를 따라 환상 오목-볼록부가 형성되는 제1 부품,
    유로 개구부의 주위를 따라 환상 오목-볼록부가 형성되는 제2 부품; 및
    상기 제1 및 제2 부품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1 및 제2 부품의 접속부를 봉인하기 위해 상기 환상 오목-볼록부가 삽입되는 대응하는 환상 볼록-오목부가 형성되는 실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실부재는
    상기 환상 볼록-오목부를 포함하는 원통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서 외주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부에 접속하고, 상기 돌출부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것으로, 상기 본체부 쪽으로 돌출하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에 상기 후크부를 거는 볼록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부 실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부재는 상기 파지부에 형성된 상기 후크부를 포함하여, 상기 환상 볼록-오목부와 상기 환상 오목-볼록부를 위치결정하기 위해, 상기 후크부를 상기 볼록부에 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부 실구조.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부재는 상기 파지부를 원주방향으로 분할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부 실구조.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부재는 상기 파지부를 원주방향으로 환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파지부의 내주를 따라 상기 후크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부 실구조.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부재에 상기 돌출부의 상기 파지부가 접속하는 부분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부 실구조.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부재는 상기 파지부의 양단에 상기 후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부 실구조.
  12.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접속부 실구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부재.
KR1020097021831A 2007-03-27 2008-03-21 접속부 실구조 및 그에 이용하는 실 부재 Active KR1012750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82890 2007-03-27
JP2007082890A JP2008240916A (ja) 2007-03-27 2007-03-27 接続部シール構造
JPJP-P-2007-295150 2007-11-14
JP2007295150A JP4928414B2 (ja) 2007-11-14 2007-11-14 接続部シール構造及びそれに用いるシール部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8501A true KR20090128501A (ko) 2009-12-15
KR101275074B1 KR101275074B1 (ko) 2013-06-14

Family

ID=39830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1831A Active KR101275074B1 (ko) 2007-03-27 2008-03-21 접속부 실구조 및 그에 이용하는 실 부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333386B2 (ko)
KR (1) KR101275074B1 (ko)
WO (1) WO20081231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37463A1 (en) * 2005-04-21 2006-10-26 Tony Riviezzo Component seal for plastic tanks
US9114622B2 (en) * 2008-05-20 2015-08-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eal and seal/boss assembly
US20100230960A1 (en) * 2008-07-01 2010-09-16 Uchicago Argonne, Llc Genderless flange for high vacuum waveguides
US8727134B2 (en) * 2009-08-11 2014-05-20 Mann + Hummel Gmbh Sealing device of a filter system for filtering fluids
US9206902B2 (en) * 2009-09-03 2015-12-08 Christiaan Phillipus Strydom Flange sealing system
US9409267B2 (en) * 2010-06-17 2016-08-09 Bendix Spicer Foundation Brake Llc Snap-in center seal bushing
JP2013019524A (ja) * 2011-07-14 2013-01-31 Daiyu Furiizu:Kk 簡易仕切弁装置
US20170067583A1 (en) 2013-12-20 2017-03-09 Onesubsea Ip Uk Limited Gasket Retention Systems and Methods
US20150176744A1 (en) * 2013-12-20 2015-06-25 Onesubsea Ip Uk Limited Gasket
EP3187763A1 (en) * 2015-12-30 2017-07-05 Alfa Laval Corporate AB Coupling for connecting and sealing fluid handling components
US10816117B2 (en) * 2017-04-19 2020-10-27 Ningbo Tiansheng Sealing Packing Co., Ltd. Sealing connector
US10473218B2 (en) * 2017-10-09 2019-11-12 Aptiv Technologies Limited Perimeter seal
US11320050B2 (en) * 2018-02-23 2022-05-03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Structure for mounting gasket on block
JP6905948B2 (ja) * 2018-03-13 2021-07-21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ブロックへのガスケットの装着構造およびガスケット
JP7017990B2 (ja) * 2018-06-21 2022-02-09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流体デバイスへのガスケットの装着構造
WO2020056360A1 (en) 2018-09-14 2020-03-19 National Oilwell Varco, L.P. Proppant supply system
WO2020092320A1 (en) * 2018-10-29 2020-05-07 Repligen Corporat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a reducer with an integrated seal
US11506314B2 (en) * 2018-12-10 2022-11-22 National Oilwell Varco Uk Limited Articulating flow line connector
WO2021003178A1 (en) 2019-07-01 2021-01-07 National Oilwell Varco, L.P. Smart manifold
US12331624B2 (en) 2019-07-01 2025-06-17 National Oilwell Varco, L.P. Close coupled fluid processing system
JP7556744B2 (ja) 2020-10-20 2024-09-26 イハラサイエンス株式会社 接続構造
US11702916B2 (en) 2020-12-22 2023-07-18 National Oilwell Varco, L.P. Controlling the flow of fluid to high pressure pumps
JP2024545949A (ja) * 2021-11-24 2024-12-16 アイコール・システムズ・インク 流体送達システム
TW202503171A (zh) * 2023-06-30 2025-01-16 美商艾克爾系統公司 流體輸送系統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3609A (en) * 1979-07-16 1982-02-02 Clements Harold J Sealing devices
JPH0464662U (ko) * 1990-10-16 1992-06-03
JP2514182Y2 (ja) 1991-02-13 1996-10-16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シリンダヘッドカバ―用ガスケット
JP2571528B2 (ja) 1993-11-09 1997-01-16 光洋化学株式会社 ガスケット
US6123339A (en) * 1997-05-20 2000-09-26 Daiso Corporation Non-gasket sealing structure
US6260853B1 (en) * 1998-06-23 2001-07-17 Kc Multi-Ring Products, Inc. Gasket having centering features
US20040046390A1 (en) 2000-04-03 2004-03-11 Mosse Richard Wolfgang Emil Pipe joint and gasket therefor
JP4597424B2 (ja) * 2001-06-13 2010-12-15 内山工業株式会社 ガスケットの装着構造
US6830249B2 (en) 2002-04-22 2004-12-14 General Electric Company Brazeable, multi-lead, low profile sealing fitting and method of installation
JP2004286195A (ja) * 2003-03-25 2004-10-14 Nichias Corp リング型金属ガスケット
US20050212291A1 (en) * 2004-03-29 2005-09-29 Edwards Simon P Sanitary gasket
JP4198636B2 (ja) * 2004-05-12 2008-12-17 Agcテクノグラス株式会社 ガラスライニング管の継手構造及びガスケット
US7086131B2 (en) * 2004-05-14 2006-08-08 Victaulic Company Deformable mechanical pipe coupling
JP2008510912A (ja) * 2004-08-20 2008-04-10 マン ウント フンメ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内燃機関シリンダヘッドのシリンダヘッドカバー
JP4048193B2 (ja) 2004-09-22 2008-02-13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集積パネルと流体デバイスとの接続構造
WO2006059362A1 (ja) 2004-11-30 2006-06-08 Ckd Corporation 流体用機器の接続部シール構造
JP4644477B2 (ja) 2004-11-30 2011-03-02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流体用ガスケット
JP4324575B2 (ja) * 2005-05-10 2009-09-02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フランジ配管どうしの接続構造
JP4824351B2 (ja) * 2005-06-24 2011-11-30 株式会社マーレ フィルターシステムズ ガスケット
US20070080504A1 (en) * 2005-10-06 2007-04-12 Henry Buermann Compressed gas cylinder seal
US7828302B2 (en) * 2007-08-15 2010-11-09 Federal-Mogul Corporation Lateral sealing gasket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23152A1 (ja) 2008-10-16
US8333386B2 (en) 2012-12-18
KR101275074B1 (ko) 2013-06-14
US20100320699A1 (en) 201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5074B1 (ko) 접속부 실구조 및 그에 이용하는 실 부재
KR101021892B1 (ko) 유체기구접속구조 및 유체기구유닛
RU2685169C1 (ru) Переходный соединитель
KR100754501B1 (ko) 탈·부착이 용이한 배관의 이음구
KR102357624B1 (ko) 고순도 유체 통로를 접합하기 위한 초밀봉 가스켓
CN101646886A (zh) 连接部密封结构及其所用密封构件
EP3249276B1 (en) Resin pipe joint structure
US6692036B2 (en) Universal interlocking fitting
KR101755002B1 (ko)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
KR20190114521A (ko) 배관연결장치
US20100013213A1 (en) Structure for connection between integrated panel and fluid device
JP7281362B2 (ja) 連結部材
KR101821229B1 (ko) 배관 피팅용 고정 장치
EP3441537A1 (en) Improved toilet pan connector
JP2017172785A (ja) 流体機器接続構造
TWI877223B (zh) 管接頭
JP4928414B2 (ja) 接続部シール構造及びそれに用いるシール部材
KR102154693B1 (ko) 공구없이 분리결합가능한 플라스틱 배관용 pb이음관 결합시공방법
JP2001304469A (ja) ワンタッチ継手構造
JP2006316806A (ja) 流体機器どうしの接続構造
KR101393395B1 (ko) 파이프 고정용 그립링과 너트의 조립체
KR101973010B1 (ko) 관 피팅 장치
CN116888396A (zh) 管接头
KR100446186B1 (ko) 튜브커플러
US20230265953A1 (en) Push-to-connect fitting system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2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7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3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6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6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1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