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117743A - 철-아연 합금 코팅을 구비한 강철 코드 - Google Patents

철-아연 합금 코팅을 구비한 강철 코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7743A
KR20090117743A KR1020097017162A KR20097017162A KR20090117743A KR 20090117743 A KR20090117743 A KR 20090117743A KR 1020097017162 A KR1020097017162 A KR 1020097017162A KR 20097017162 A KR20097017162 A KR 20097017162A KR 20090117743 A KR20090117743 A KR 20090117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cord
zinc
steel
iron
zinc all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7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6701B1 (ko
Inventor
베르트 반데르베켄
파울 브루이넬
와우테르 반덴브란덴
스테인 반콤페르놀레
Original Assignee
엔브이 베카에르트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브이 베카에르트 에스에이 filed Critical 엔브이 베카에르트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090117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7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70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8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metals; with metal-generat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on textil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6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 D07B1/0606Reinforcing cords for rubber or plastic articles
    • D07B1/0613Reinforcing cords for rubber or plastic articles the reinforcing cords being characterised by the rope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6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6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 D07B1/0673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having a rope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10Rope or cable structures
    • D07B2201/1012Rope or cabl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ir internal structure
    • D07B2201/102Rope or cabl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ir internal structure including a cor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10Rope or cable structures
    • D07B2201/1028Rope or cabl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strands
    • D07B2201/1032Rope or cabl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strands three to eight strands respectively forming a single layer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10Rope or cable structures
    • D07B2201/1028Rope or cabl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strands
    • D07B2201/1036Rope or cabl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strands nine or more strands respectively forming multiple layer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10Rope or cable structures
    • D07B2201/104Rope or cable structures twisted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10Rope or cable structures
    • D07B2201/104Rope or cable structures twisted
    • D07B2201/1064Rope or cable structures twisted characterised by lay direction of the strand compared to the lay direction of the wires in the strand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01Wires or filaments
    • D07B2201/2006Wires or filaments characterised by a value or range of the dimension given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01Wires or filaments
    • D07B2201/201Wires or filaments characterised by a coating
    • D07B2201/2011Wires or filaments characterised by a coating comprising metal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01Wires or filaments
    • D07B2201/201Wires or filaments characterised by a coating
    • D07B2201/2013Wires or filaments characterised by a coating comprising multiple layer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15Strands
    • D07B2201/2023Strands with cor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5/00Rope or cable materials
    • D07B2205/30Inorganic materials
    • D07B2205/3021Metals
    • D07B2205/3071Zinc (Zn)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5/00Rope or cable materials
    • D07B2205/30Inorganic materials
    • D07B2205/3021Metals
    • D07B2205/3085Alloys, i.e. non ferrous
    • D07B2205/3092Zinc (Zn) and tin (Sn) alloy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501/00Application field
    • D07B2501/20Application field related to ropes or cables
    • D07B2501/2007Elevator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501/00Application field
    • D07B2501/20Application field related to ropes or cables
    • D07B2501/2015Construction industries
    • D07B2501/2023Concrete enforcement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501/00Application field
    • D07B2501/20Application field related to ropes or cables
    • D07B2501/2076Power transmi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강철 코드는 하나 이상의 강철 필라멘트(10)를 포함한다. 강철 필라멘트들 중 적어도 일부는 부분적으로 아연 피복(16)으로 피복되어 있는 철-아연 합금층을 갖는다. 아연 피복은 철-아연 합금층 내에 형성된 골부 내에만 존재한다. 강철 코드의 가공성과 고무 제품 내에서의 접착 수준이 증가된다.
강철 코드, 아연, 철-아연 합금층, 고무 제품, 접착성

Description

철-아연 합금 코팅을 구비한 강철 코드{STEEL CORD WITH IRON-ZINC ALLOY COATING}
본 발명은 강철 코드에 관한 것이다. 강철 코드는 다중 스트랜드 강철 코드, 즉, 하나 이상의 스트랜드를 포함하면서 각각의 스트랜드가 하나 이상의 강철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강철 코드나, 단일 스트랜드 또는 층상 강철 코드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강철 코드의 다양한 용도에도 관련한다.
US 4,651,513호는 둘 이상의 연속적 와이어 층을 포함하는 고무 제품 보강용 강철 코드를 개시하고 있으며, 이 와이어층의 내부층은 내식성 코팅이 피복된 와이어를 포함하고, 외부면층은 황동 같은 고무 접착성 코팅을 갖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이 출원의 상술한 내식성 코팅은 아연이거나 적어도 50 wt%의 아연을 포함하는 아연 2원 합금 또는 아연 3원 합금이다. 이들 코팅들은 택일적이다. 즉, 이 출원에서는 동일 와이어 상에 아연-합금과 아연이 공존하는 상태로 코팅이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지 않고 있다.
EP-B1-1280958호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보강물용으로 구성된 강철 코드를 개시한다. 이 강철 코드는 다중 스트랜드 강철 코드이다. 적어도 일부에서, 강철 필라멘트는 철-아연 합금층을 구비하고, 이 철-아연 합금층 상부에 주로 아연으로 이루어진 별개의 층을 구비한다. 합금층을 포함하지 않은, 이 별개의 아연으로 이루어진 상부층의 두께는 2 마이크로미터 보다 작다. 이 철-아연 합금으로 이루어진 중간층과 상대적으로 얇은 아연층으로 이루어진 상부층은 열간 침지 작업(hot dip operation)에 의해 얻어진다. 강철 필라멘트는 용융 아연 욕조내에 침지된다. 필라멘트는 수직방향으로 욕조를 벗어나는 대신 수평선에 대해 작은 각도를 형성하며 욕조를 벗어나며, 다량의 아연이 기계적으로 와이핑 제거(wiping out) 된다.
EP-B1-1280958호에 언급된 바와 같이, 이런 강철 필라멘트를 구비하는 최종 강철 코드는 다수의 장점을 갖는다. 먼저, 얇은 아연층으로 인해, 소수의 분리된 아연 미립자들만이 존재하고, 강철 코드의 처리 중에 적은 양의 아연 분진(zinc dust)이 발생된다. 아연 미립자 및 아연 분진의 감소는 접착 수준을 향상시킨다. 두 번째로, 철-아연 합금층으로 인해, 강철 필라멘트가 전해증착법에 의해 아연으로 코팅되는 경우보다 내식성이 매우 우수하다. 세 번째로, 아연층과 철-아연 합금층이 더 얇아지기 때문에, 내피로성 수준이 상당히 증가된다. EP-B1-1280958호에 따른 강철 코드는 실험실 규모에서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 용례에서의 광범위한 규모에서도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이 광범위한 상업적 사용은 몇몇 개선되어야할 점들을 부각시키기도 했다.
먼저, 비록 매우 얇기는 하지만, 표면에 여전히 아연이 존재하며, 아연은 후속 작업(downstream operation)에서 트위스트형성이 곤란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스위스트형성 속도가 크게 감소되거나, 윤활이 불가피해진다. 트위스트형성 공정 이후, 추가된 윤활제가 제거되어야 하는데, 그 이유는 이들 윤활제가 존재하면 폴리머 또는 엘라스토머 매트릭스 내에서의 접착 수준이 손실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경험상, 윤활제의 완전한 제거는 많은 비용이 들고, 시간 소모적이다.
두 번째로, 표면에 아연이 존재하면 소비자에게 가공성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일 예는 강철 코드 둘레에 폴리머 스트립을 압출하는 경우이다. 압출 장치에 진입하기 이전에 강철 코드가 작은 개구를 통과하여야하는 경우, 강철 코드는 개구의 벽에 대해 문질러지게 되며, 아연이 분리되어 국지적으로 누적되고, 결국에는 전체 가공을 중단시킨다. 후술될 바와 같이, 스트립이 아연 분진의 존재를 나타내는 암점(dark spot)을 나타내게 되거나, 심지어는 그 편평 특성을 잃게 될 수도 있다. 극단적 경우에, 압출 다이를 막는 아연 분진으로 인해 강철 코드가 부러진다.
본 발명의 포괄적 태양은 종래 기술의 단점들을 피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특정 태양은 코팅된 강철 필라멘트의 인발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특정 태양은 접착 수준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특정 태양은 강철 코드의 가공성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폭넓은 제1 견지에서 보면, 본 발명은 강철 코드를 제공한다. 이 강철 코드는 하나 이상의 강철 필라멘트들을 포함한다. 강철 필라멘트들 중 적어도 일부는 철-아연 합금층을 가지고, 가능하게는, 철-아연 합금층을 부분적으로 덮는 아연 피복(zinc cover)을 가질 수 있다. 아연 피복은 철-아연 합금 층의 골부(valley) 내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 철-아연 합금층이 강철 필라멘트의 아연 피복 및 철-아연 합금층의 총 체적의 50% 이상을 점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철-아연 합금층은 아연 피복과 철-아연 합금의 총 체적의 60% 이상, 예를 들어, 75% 이상, 예를 들어, 90% 이상, 예를 들어, 95% 이상을 점유한다. 달리 말해서, 철-아연 합금층은 코팅의 체적의 대부분을 점유한다.
보다 세부적인 제2 견지에서 보면, 본 발명은 강철 코드를 제공한다. 이 강철 코드는 하나 이상의 강철 필라멘트들을 포함한다. 강철 필라멘트들 중 적어도 일부는 철-아연 합금층을 가지며, 가능하게는, 철-아연 합금층 위에 부분적 아연 피복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철-아연 합금층의 자유 표면이 상기 강철 필라멘트의 외부면의 50% 이상을 점유하는 특징을 갖는다. "철-아연 합금층의 자유 표면"은 필라멘트의 외부로부터 철-아연 합금층에 접근할 수 있는 필라멘트의 표면의 부분, 즉, 철-아연 합금층이 실질적으로 피복되지 않은 상태이거나 외부로부터 보여지는 필라멘트의 표면의 부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철-아연 합금층의 자유 표면은 상기 필라멘트의 외부 표면의 60% 이상, 예를 들어, 75% 이상, 예를 들어, 90% 이상, 예를 들어, 95% 이상을 점유한다. 따라서, "순수" 아연은 골부들 중 소수에만 존재하고, 필라멘트의 외부면의 대부분은 철-아연 합금층을 드러낸다.
노출 표면 및 점유 체적의 측정은 표준 야금학 기술들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필라멘트가 에폭시 메트릭스 내에 매설된다. 필라멘트의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단면이 형성되고, 이 단면이 꼼꼼히 연마된다. 니탈(nital; 야금학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는, 알코올을 용매로하는 약 2% 질산 용액)을 사용하여 표면이 미소하게 에칭된다. 적절한 세정 이후, 프레임들의 추가 수치 처리를 위해 컴퓨터에 연결되어 있는 적절한 CCD 카메라를 구비하는 광학 현미경으로 단면이 관찰된다. 적절한 배율을 선택한 이후 강철, 철-아연 합금층 및 순수 아연 사이의 차이가 명확히 구별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에 의해 프레임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철-아연 합금 층과 순수 아연의 단면 내 총 표면적에 대한 순수 아연의 단면 내 표면적의 비율을 계산함으로써, 순수 아연과 철-아연 합금의 총 체적에 대한 순수 아연 체적의 비율이 결정될 수 있다. (후술된 제조 방법을 조건으로하여) 일반적으로 필라멘트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아연 코팅 내에 어떠한 변화도 발견되지 않기 때문에, 이 비율은 미소한 길이 변화만을 받는다.
동일한 방식으로, 합금층으로부터 에폭시로의 전이부를 나타내는 라인 섹션들을 프레임 상에서 식별하고, 라인 섹션들을 합산하고, 이들을 에폭시 와이어 전이부의 전체 길이로 나눔으로써 철-아연 합금의 자유 표면이 측정될 수 있다.
코팅이 매우 얇아질 때, 프레임 분석 절차는 동일한 방식으로, 스캐닝 전자 현미경(SEM) 사진에 기초하여서도 마찬가지로 양호하게 적용될 수 있다. SEM은 용이한 원소 분석을 가능하게 하며, 다양한 층들(철-아연과, 순수 아연)이 이 방식으로 구별될 수 있다.
외부면에서 연속적 아연층을 피하고 외부면에 철-아연 합금이 존재하면 강철 코드에 다양한 장점이 제공된다.
표면에 경질 철-아연 합금 층이 존재하고 "순수" 아연의 양이 감소되면 아연 분진 및 아연 미립자의 양이 추가적으로 감소된다. 그래서, 폴리머 또는 엘라스토머 매트릭스 내의 접착 정착능(adhesion anchorage)이 추가로 증가될 수 있다.
다른 장점은 압출 다이의 막힘이나 압출 스트립 내의 암점 같은 가공성 문제를 피할 수 있거나 적어도 추가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로써, 표면의 철-아연 합금층은 강철 필라멘트의 강철 코어에 매우 양호하게 접착하며 아연 분진이나 아연 미립자를 초래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제3 견지에서 보면, 본 발명은 강철 코드의 다양한 용도 또는 용례를 제공한다.
강철 코드는 엘리베이터 로프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강철 코드는 윈도우 엘리베이터 로프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로프는 폴리머 또는 엘라스토머로 코팅될 수 있다.
강철 코드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또는 폴리머, 가황가능 고무 또는 열경화성수지의 보강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최종 제품은 스트립, 가요성 파이프, 호스 또는 타이어일 수 있다. 강철 코드는 콘트리트의 보강물로서 사용되거나, 기존 콘크리트 구조체를 개장(retrofitting)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제, 이하의 첨부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강철 필라멘트의 단면과, 이 단면의 부분 확대도를 보여준다.
도 1b는 강철 필라멘트의 확대 상면도를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철 코드의 제1 실시예의 단면을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철 코드의 제2 실시예의 단면을 보여준다.
도 4a 및 도 4b는 강철 코드를 엘리베이터 로프 또는 윈도우 엘리베이터 로프로서 사용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5는 강철 코드를 스트립의 보강물로서 사용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6은 강철 코드를 가요성 파이프 또는 호스의 보강물로서 사용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강철 코드의 제3 실시예의 단면을 보여준다.
도 8 및 도 9는 종래 기술 스트립을 예시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강철 코드에 사용되는 강철 필라멘트(10)의 단면을 보여준다. 또한, 도 1a는 코팅 디자인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의 확대 단면을 보여준다. 도 1b는 강철 필라멘트(10)의 표면의 확대 상면도를 보여준다. 강철 필라멘트(10)는 강철 코어(12)를 갖는다. 이 강철 코어(12)는 철-아연 합금층(14)으로 둘러싸여져 있다. 철-아연 합금층(14)의 상부에는 약간의 아연(16)이 존재할 수 있다. 광학 현미경으로 보면, 이는 고원부-영역(table-land)처럼 보여지며, 고원부-영역의 미소한 부분만이 작은 골부들에 의해 점유되어 있다. 이들 작은 골부들은 아연(16)으로 채워져 있다. 철-아연 합금은 그 4 가지 상(phase), 즉, 제타(Zeta; 5.8 내지 6.7 wt% Fe), 델타(Delta; 7 내지 11.5 wt% Fe), 감마(Gamma; 21 내지 28 wt% Fe)로 존재할 수 있다. 최대 0.03 wt% Fe를 포함하는 에타(Eta) 상은 순수 아연으로 간주된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은 단면을 갖는 강철 필라멘트의 제조 공정은 아래와 같다.
다음의 한계선들을 따른 강철 조성, 즉, 0.30% 내지 1.15% 함량 범위의 탄소, 0.10% 내지 1.10% 함량 범위의 망간, 0.10% 내지 0.90% 함량 범위의 실리콘, 0.15%까지, 바람직하게는 0.10%나 심지어 더 낮은 양까지로 제한된 함량의 황 및 인을 포함하고, 크롬(0.20% - 0.40%까지), 구리(0.20%까지) 및 바나듐(0.30%까지) 같은 부가적인 마이크로-합금형성 요소들이 추가될 수 있는 강철 조성을 갖는 와이어 로드로부터 강철 필라멘트가 제조된다.
강철 로드는 원하는 필라멘트 직경으로 냉간 인발된다. 후속 냉간 인발 단계들은 추가 인발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패턴팅(patenting) 같은 하나 이상의 적절한 열처리와 번갈아가며 수행될 수 있다.
아연의 전해 증착법과는 달리, 강철 와이어가 열간 침지 작업에 의해 아연코팅되어 철-아연 합금층(14)이 얻어질 수 있다. 열간 침지 작업에서, 강철 와이어는 용융 아연 욕조를 통해 이동하고, 아연으로 코팅되어 욕조를 벗어난다.
용융 아연의 온도 및 침지 시간은 철-아연 합금층의 두께를 결정한다. 침지 시간이 더 길 수록 또는 용융 아연의 온도가 더 높을 수록 철-아연 합금층(14)이 더 두꺼워진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아연"은 100% 순수 아연이나 현저한 철-아연 합금층의 생성 및 성장이 방지되지 않는 양의 추가 원소나 불순물을 갖는 아연 합금 또는 아연 조성물을 지칭한다.
제1 제조 방법으로서, EP-B1-1280958호와 유사하게, 강철 와이어는 수평선에 관하여 미소한 각도로 욕조를 벗어날 수 있고, 욕조를 벗어나는 강철 와이어는 기계적으로 와이핑될 수 있다. 그러나, EP-B1-1280958호와는 달리, 기계적 와이핑은 연속으로 2회 수행된다.
대안적으로, 제2 제조 방법으로서, 기계적 와이핑은 증가된 압력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 강한 기계적 와이핑은 아연(16)의 양을 감소시킨다.
제3 제조 방법으로서, 아연 욕조를 벗어난 와이어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냉각이 수행되지 않거나, 덜 강한 방식으로 적용되어 철-아연 합금층의 성장이 바로 중단되지 않는다.
제4 제조 방법으로서, 철-아연 합금층의 성장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아연 욕조의 온도가 증가된다.
이렇게 코팅된 강철 와이어는 예를 들어, 냉간 인발 공정에 의해 원하는 최종 직경으로 추가 인발될 수 있다. 인발은 잔류 아연이 흩어져 밀도가 낮아지게 하고(smear out), 길이방향으로 단위 면적당 일정한 양의 아연 코팅을 보증한다.
그후, 둘 이상의 필라멘트가 강철 코드로 트위스트되거나, 다중 스트랜드 강철 코드의 경우에는 둘 이상의 스트랜드가 하나의 스트랜드로 트위스트되고 둘 이상의 스트랜드가 최종 다중 스트랜드 강철 코드로 트위스트될 수 있다. 트위스트형성 공정은 관형 트위스트형성 기계에 의해, 또는 이중-트위스트형성 기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철 코드(20)의 단면을 보여준다. 강철 코드는 각각 7개의 필라멘트를 갖는 7개의 스트랜드를 구비한 소위 7x7 구조이다. 코어 스트랜드(22)가 6개의 층 스트랜드(24)에 의해 둘러싸여져있다. 코어 스트랜드(22)는 6개의 층 필라멘트(28)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는 코어 필라멘트(26)를 구비한다. 층 스트랜드(24)는 각각 코어 필라멘트(30)를 구비하고, 순차적으로, 각 코어 필라멘트(30)는 6개의 층 필라멘트(32)에 의해 둘러싸여진다.
가능한 구조는 아래와 같다.
- 7x7x0.175 10/14 SZ(즉, 모든 필라멘트가 동일한 직경을 가짐), 및
- d1 + 6xd2 + 6x(d2 + 6xd3) P1P2 SZ
여기서, d1 > 1.05xd2 및 d2 > 1.05xd3 이고,
d1은 코어 스트랜드(22)의 코어 필라멘트(26)의 직경이고, d2는 코어 스트랜드(22)의 층 필라멘트(28)의 직경이면서 층 스트랜드(24) 내의 코어 필라멘트(30)의 직경이며, d3은 층 스트랜드(24) 내의 층 필라멘트(32)의 직경이다.
필라멘트 직경의 편차로 인해, 이 후자의 구조는 개방 스트랜드 및 더 많은 개방 강철 코드 양자 모두를 갖는 장점을 갖는다. 이 개방도는 열가소성 재료나 엘라스토머 같은 매트릭스 재료 내에서의 강철 코드의 기계적 고정에 바람직하다.
하기의 예는 예시를 위해 제공된 것이다.
- 0.21 + 6x0.19 + 6x(0.19 + 6x0.175)
- 0.25 + 6x0.23 + 6x(0.23 + 6x0.21)
- 0.26 + 6x0.24 + 6x(0.24 + 6x0.22)
- 0.39 + 6x0.34 + 6x(0.34 + 6x0.30)
도 3은 다른 강철 코드(40)의 단면을 예시한다. 강철 코드(40)는 코어 스트랜드(42), 6개의 중간 층 스트랜드(44) 및 12개의 외부 층 스트랜드(46)를 갖는다. 모든 스트랜드는 동일한 트위스트 방향으로 트위스트되어 있으며, 코드 내로 동일한 트위스트형성 단차를 갖는다. 코드 내의 스트랜드들은 밀집된 구조(compact configuration)의 스트랜드를 형성한다. 코어 스트랜드는 3 개의 강철 필라멘트(48)를 가지고, 각각의 중간 층 스트랜드는 세 개의 강철 필라멘트(50)를 가지며, 각각의 외부 층 스트랜드는 세 개의 강철 필라멘트(52)를 갖는다. 이런 강철 코드(40)는 19x3 구조라 지칭될 수 있고, US-A-5768874호에 개시되어 있다. 16x3 같은 1 + 3xN(N=3, 4, 5...) 스트랜드로 구성된 대안적 구조가 존재한다. 대안적으로, 스트랜드는 단지 두개의 필라멘트만을 포함하여 19x2 또는 16x2 유형을 형성할 수 있다. 2개 제조 단계가 필요한 도 2의 강철 코드에 비해, 이 강철 코드(40)는 하나의 단일 트위스트형성 단계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스트랜드들이 단일 필라멘트로 대체된 밀집형 코드가 특정 코팅을 갖는 필라멘트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19x0.225를 얻을 수 있으며, 여기서, 0.225는 필라멘트의 직경을 나타낸다.
다른 적절한 구조는 일반적 구조식으로서 19 + 8x7을 갖는다. 하기의 예는 예시로서 주어진다.
- (0.19 + 18x0.17) + 8x(0.16 + 6x0.16)(밀집형 코어)
- (0.19 + 18x0.17) + 8x(0.17 + 6x0.155)(밀집형 코어)
- (0.17 + 6x0.16 + 6x0.17 + 6x0.13) + 8x(0.14 + 6x0.14)[워링톤(Warrington) 코어]
- (0.17 + 6x0.16 + 6x0.17 + 6x0.13) + 8x(0.15 + 6x0.14)(워링톤 코어)
- (0.155 + 6x0.145 + 12x0.145) + 8x(0.14 + 6x0.14)
도 4a 및 도 4b는 강철 코드(20)(도 2의 단면)의 측면도를 보여주며, 윈도우 엘리베이터 로프나 슬라이딩 도어 로프 같은 엘리베이터 로프 또는 제어 케이블로서의 강철 코드(20)의 용례를 예시한다. 도 4a는 합성 층(synthetic layer)에 의해 피복되어 있지 않은 강철 코드(20)를 도시한다. 도 4b는 폴리우레탄 층 같은 합성 층(52)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강철 코드(20)를 도시한다.
도 5는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강철 코드(20)에 의해 보강되어 있는 스트립(60)을 예시한다. 스트립(60)은 고무 스트립일 수 있으며, 스트립(60)은 폴리우레탄 같은 엘라스토머 재료나 열가소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런 강철 코드 보강 스트립(60)은 범퍼 내부나 범퍼 상에, 엘리베이터 내에, 가요성 파이프 및 호스 내에, 판형 피복재(sheet-lining), 스냅결합식 프로파일부(snap-on profile), 내절단성 가요성 및 보호성 스트립, 손잡이 레일(handrail)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강철 코드(20)에 의해 보강된 가요성 파이프 또는 호스(62)를 예시한다. 역시, 호스의 매트릭스 재료는 열가소성수지, 엘라스토머 또는 고무일 수 있 다.
본 발명의 코드의 접착 레벨을 종래 기술 코드의 접착 레벨에 비교하였다. 양 코드는 하기의 구조식, 즉, 7x3x0.15로 이루어져있다. 본 발명의 코드 및 종래 기술 코드는 25mm의 매설 길이에 걸쳐 폴리우레탄 매트릭스 내에 매설되었다. 인출력, 즉, 폴리우레탄 매트릭스 밖으로 강철 코드를 인출하기 위해 필요한 힘이 기록되었으며, 이는 접착 레벨의 척도이다. 하기의 표는 이들 인출력의 비교값들을 나타낸다.
[표]
샘플 접착 레벨(%)
종래 기술 코드 1 100
종래 기술 코드 2 76
종래 기술 코드 3 80
종래 기술 코드 4 87
종래 기술 코드 5 78
본 발명의 코드 1 140
본 발명의 코드 2 142
본 발명의 코드 3 137
본 발명의 코드 4 141
본 발명의 코드 5 142
도 7은 강철 코드(70)의 제3 실시예의 단면을 보여준다. 강철 코드(70)는 도 2의 강철 코드(20)나 도 3의 강철 코드(40) 같은 다중 스트랜드 강철 코드가 아니다. 강철 코드(70)는 층상 코드라 지칭된다. 강철 코드(70)는 중앙 필라멘트(72), 중앙 필라멘트(72) 둘레에 트위스트된 중간층 강철 필라멘트(74) 및 중간층 둘레에 트위스트된 외부층 강철 필라멘트(76)를 갖는다.
강철 코드(70)는 구조식 d1 + 18xd2에 대응한다.
도 8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예시한다. 폴리우레탄 스트립(80)은 서로 다소 평행하게 배설된 종래 기술 강철 코드(82)에 의해 보강되어 있다. 참조 번호 84는 스트립 상의 암점을 지시한다. 이 암점은 강철 코드(82)의 처리 동안 형성된 아연 분진 또는 아연 미립자의 결과이다. 이 암점(84)의 부근에서는 다른 영역들 보다 폴리우레탄 매트릭스와 강철 코드(82)의 접착이 약하다.
도 9는 더 심한 상황의 종래 기술의 다른 단점을 예시한다. 강철 코드(92)에 의해 보강된 폴리우레탄 스트립(90)이 예시되어 있다. 스트립(90)의 압출 공정의 시작시, 스트립은 평면 내에 매우 평탄한 상태로 남아있다. 그러나, 잠시후, 강철 코드 상의 아연 코팅으로부터 분리된 아연 미립자가 압출 다이를 막기 시작한다. 스트립은 그 평면 형태를 소실했다. 강철 코드 중 일부가 파괴되고 화살표 94로 표시된 바와 같이 폴리우레탄으로 더이상 피복되지 않은 상태가 되면 상황은 더 심각해진다.

Claims (13)

  1. 하나 이상의 강철 필라멘트를 포함하고, 상기 강철 필라멘트 중 적어도 일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아연 피복으로 피복되어 있는 철-아연 합금층을 가지는 강철 코드에 있어서,
    상기 철-아연 합금층은 상기 아연 피복과 상기 철-아연 합금층의 총 체적의 50 체적% 이상을 점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철 코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아연 합금층은 상기 아연 피복과 상기 철-아연 합금층의 총 체적의 90 체적% 이상을 점유하는 강철 코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철-아연 합금층의 자유 표면은 상기 필라멘트의 전체 외부면의 50% 이상을 점유하는 것을 추가 특징으로 하는 강철 코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철-아연 합금층의 자유 표면은 상기 필라멘트의 상기 전체 외부 표면의 75% 이상을 점유하는 강철 코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연 피복은 상기 철-아연 합금층 내에 형성된 골부 내에 존재하는 강철 코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철 코드는 7x7 구조를 갖는 강철 코드.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철 코드는 19나 16 또는 밀집형 구조를 가능하게 하는 다른 수의 요소로 이루어진 밀집형 구조를 가지며, 상기 요소는 단일 필라멘트이거나 2개 또는 3개의 필라멘트를 갖는 스트랜드인 강철 코드.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철 코드는 7개의 필라멘트들로 이루어진 6, 7, 8, 9 또는 10개의 스트랜드들로 둘러싸여진, 19개의 필라멘트로 이루어진 코어 스트랜드를 가지는 강철 코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강철 코드를 엘리베이터 로프 또는 제어 케이블로서 사용하는 강철 코드의 용도.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강철 코드를 스트립이나 타이밍 벨트의 보강물로서 사용하는 강철 코드의 용도.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강철 코드를 가요성 파이프의 보강물로서 사용하는 강철 코드의 용도.
  12.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강철 코드를 콘트리트용 보강물이나 개장재로서 사용하는 강철 코드의 용도.
  13.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강철 코드를 윈도우 엘리베이터 코드로서 사용하는 강철 코드의 용도.
KR1020097017162A 2007-02-19 2008-02-12 철-아연 합금 코팅을 구비한 강철 코드 Active KR1013967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7102605.8 2007-02-19
EP07102605 2007-02-19
PCT/EP2008/051638 WO2008101831A1 (en) 2007-02-19 2008-02-12 Steel cord with iron-zinc alloy coat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743A true KR20090117743A (ko) 2009-11-12
KR101396701B1 KR101396701B1 (ko) 2014-05-16

Family

ID=38123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7162A Active KR101396701B1 (ko) 2007-02-19 2008-02-12 철-아연 합금 코팅을 구비한 강철 코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963093B2 (ko)
EP (1) EP2113043B1 (ko)
KR (1) KR101396701B1 (ko)
CN (1) CN101617080B (ko)
EA (1) EA015867B1 (ko)
ES (1) ES2593958T3 (ko)
MX (1) MX2009008778A (ko)
PL (1) PL2113043T3 (ko)
WO (1) WO20081018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12840A1 (en) * 2009-02-20 2010-08-26 Fred Jevaney Cut-Resistant Strip Door
PT2812480T (pt) 2012-02-06 2017-10-18 Bekaert Sa Nv Elemento de aço alongado compreendendo um revestimento de liga de latão e método correspondente
KR101928131B1 (ko) 2012-02-06 2018-12-11 엔브이 베카에르트 에스에이 스팀 수효 및 경화된 습도 접착을 위한 삼원계 또는 사원계 황동 합금 코팅, 삼원계 또는 사원계 황동 합금 코팅을 포함하는 연신된 스틸 요소 및 상응하는 방법
KR102077359B1 (ko) * 2012-07-24 2020-02-13 엔브이 베카에르트 에스에이 황동이 선택적으로 코팅된 필라멘트를 갖는 고무 강화재용 강철 코드
US9767938B2 (en) * 2014-04-09 2017-09-19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Cables and methods of making cables
US10029887B2 (en) * 2016-03-29 2018-07-24 Otis Elevator Company Electroless metal coating of load bearing member for elevator system
JP7454499B2 (ja) * 2018-09-11 2024-03-2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ゴム物品補強用スチールコード
CN110093644B (zh) * 2019-05-15 2021-04-16 江苏兴达钢帘线股份有限公司 一种钢丝、其制造方法、钢丝绳及输送带
CN110904703A (zh) * 2019-09-28 2020-03-24 海盐宏拓五金有限公司 一种混凝土预制高强度金属连接件用钢丝绳及其生产方法
CN110924199A (zh) * 2019-09-28 2020-03-27 海盐宏拓五金有限公司 一种混凝土预制金属连接件用新型钢丝绳及其生产方法
CN113560356A (zh) * 2021-07-21 2021-10-29 海城正昌工业有限公司 一种单一锌铁合金涂层钢丝的湿式拉丝工艺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424086D0 (en) * 1984-09-24 1984-10-31 Bekaert Sa Nv Steel cord
US5059455A (en) * 1988-03-08 1991-10-22 Cyclops Corporation Method for galvanizing perforated steel sheet
JPH05125566A (ja) * 1991-10-30 1993-05-21 Sumitomo Electric Ind Ltd 重防食pc鋼撚り線
CN2156572Y (zh) * 1993-04-13 1994-02-16 王治民 耐腐蚀钢芯绞线输电导线
ATE197972T1 (de) * 1995-10-27 2000-12-15 Bekaert Sa Nv Strahlseil mit mehreren litzen
TW317599B (en) * 1996-06-03 1997-10-11 Bekaert Sa Nv Multi-strand cord for timing belts
BR9813620A (pt) * 1997-12-15 2000-10-10 Bekaert Sa Nv "cordão de aço com material de polìmero"
KR100798967B1 (ko) * 2000-05-08 2008-01-28 엔.브이. 베카에르트 에스.에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보강용에 적합한 스틸코드
WO2004076327A1 (en) * 2003-02-27 2004-09-10 N.V. Bekaert S.A. An elevator ro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63093B2 (en) 2011-06-21
PL2113043T3 (pl) 2017-03-31
KR101396701B1 (ko) 2014-05-16
EA015867B1 (ru) 2011-12-30
US20100031623A1 (en) 2010-02-11
EP2113043A1 (en) 2009-11-04
CN101617080B (zh) 2012-01-04
ES2593958T3 (es) 2016-12-14
EA200901136A1 (ru) 2010-02-26
EP2113043B1 (en) 2016-07-06
MX2009008778A (es) 2009-08-25
WO2008101831A1 (en) 2008-08-28
CN101617080A (zh) 200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17743A (ko) 철-아연 합금 코팅을 구비한 강철 코드
JP4607416B2 (ja) 耐疲労性が改善された亜鉛被覆鋼コード
AU610043B2 (en) Rope with fiber core and method of forming same
KR101095474B1 (ko) 엘리베이터 로프
EP0550005B1 (en) Rope for operating
US5956935A (en) High tensile steel filament member for rubber product reinforcement
KR101444488B1 (ko) 구조적 신도가 낮은 케이블
EP0292039A1 (en) Intermediate coating of steel wire
WO2012059284A1 (en) Compacted hybrid elevator rope
JP3660259B2 (ja) ワイヤロープ
JP7500554B2 (ja) 鋼ワイヤロープ、被覆鋼ワイヤロープ及び鋼ワイヤロープを含むベルト
WO2019004393A1 (ja) ゴム物品補強用スチールコード
JP2003041493A (ja) 多層撚りワイヤロープ
JP2006283259A (ja) ワイヤロープおよび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
EP1250198B1 (en) Deformed metal composite wire
JPH08284081A (ja) ゴム補強用スチールコード及びラジアルタイヤ
KR20000042610A (ko) 고무보강용 스틸 타이어코드
JPH05179585A (ja) 操作用ロー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1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1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5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5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