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114525A - 원터치맞춤형 암거박스 - Google Patents

원터치맞춤형 암거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4525A
KR20090114525A KR1020080040201A KR20080040201A KR20090114525A KR 20090114525 A KR20090114525 A KR 20090114525A KR 1020080040201 A KR1020080040201 A KR 1020080040201A KR 20080040201 A KR20080040201 A KR 20080040201A KR 20090114525 A KR20090114525 A KR 20090114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vert box
culvert
box
touch
customiz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0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0682B1 (ko
Inventor
이철희
Original Assignee
이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희 filed Critical 이철희
Priority to KR1020080040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0682B1/ko
Publication of KR20090114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4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68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5/00Draining the sub-base, i.e. subgrade or ground-work, e.g. embankment of roads or of the ballastway of railways or draining-off road surface or ballastway drainage by trenches, culverts, or conduits or other specially adapted means
    • E01F5/005Culverts ; Head-structures for culverts, or for drainage-conduit outlets in slo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E02D2200/146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5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at least a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터치맞춤형 암거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암거박스의 양단에 사선방향이나 대각선방향에 서로 대응하여 맞춰져 결합되는 맞춤결합구조, 즉 한 쌍을 이루는 돌출부와 오목부를 마련함으로써 암거박스의 하부방향으로 작용하는 토압에 의하여 침하되는 부동침하를 방지함은 물론 암거박스의 수평으로 작용하는 편토압에 대하여도 암거박스의 밀림 없이 확실하게 지지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한쪽에서 다른 한쪽에 이르기까지 속이 빈 터널형으로 마련되며 그 양단에 서로 이웃하는 암거박스와 맞물리게 맞춤결합구조가 형성되고 실링을 위한 실링홈부가 포함되어 있는 암거박스에 있어서, 상기 맞춤결합구조가 암거박스의 하부방향으로 작용하는 토압에 의하여 침하가 방지되고 암거박스의 수평으로 작용하는 편토압에 대하여도 밀림이 방지되도록 서로 대응하여 맞춰지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링홈부에는 서로 이웃하여 시공되는 암거박스를 그 길이방향에서 맞추기만 하면 자동적으로 체결되도록 한 쌍을 이루는 원터치방식의 체결구조가 부가된다.
암거박스, 맞춤결합구조, 체결구조

Description

원터치맞춤형 암거박스{one touch jointing type culvert box}
본 발명은 원터치맞춤형 암거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단의 맞춤구조를 사선방향 또는 대각선방향에 마련하고 암거박스 양단의 실링홈부에 원터치방식의 체결구조를 마련함으로써 부동침하 및 편토압에 대하여도 지지하면서 전단보강이 이뤄지며, 서로 이웃하여 시공되는 암거박스를 그 길이방향에서 맞추기만 하면 자동적으로 체결되므로 암거박스의 연결시공이 간편하게 이뤄지는 원터치맞춤형 암거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박스(Precast Concrete Culvert box)는 상하수도, 전력통신구, 공동구 등의 시설물로 사용되는 것이며, 이는 암거박스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속하여 설치하되 그 이음부분에 패킹 등의 기밀유지부재를 개재시켜 기밀이 유지되게 시공하고 있다.
그러나 암거박스가 시공되어진 지반은 대부분이 연약지반이어서 부등침하가 발생되기 쉬운데 이러한 경우 서로 이웃하는 암거박스 간의 연결부위가 이격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암거박스간의 기밀유지가 해제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암거박스 간의 이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암거박스들에 강선이나 철근 등을 관통시켜 그 양단을 파지하여 인장한 다음 강선의 끝단에 앵커나 정착구 등으로 인장력을 그대로 유지시킴으로써 암거박스 전체에 프리스트레스를 부여한 상태로 시공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암거박스에 대한 다양한 기술들이 제시되어 있는데, 이들 중에서 몇 개만을 발췌하여 간단하게 설명하여 본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16305호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연결되는 각 암거박스의 측벽부 내에 복수의 안내관부를 마련하고, 이 안내관부에 연결부재를 삽입하되 암거박스의 연결부위인 접촉영역에서 결합봉을 통해 연결되도록 설치한 다음, 상기 연결부재의 다른 한쪽끝단을 암거박스의 긴장작업부에서 긴장부재로 긴장시켜 고정한 것이 그 특징이다.
상기와 같은 실용신안등록의 암거박스에 있어서는, 서로 이웃하는 암거박스의 안내관부에 각각 연결부재를 삽입하되 이 연결부재의 고리가 서로 일치되도록 회전되지 않게 가고정한 다음, 이웃하는 중량물인 암거박스의 단부가 맞닿도록 하면서 서로 이웃하는 연결부재의 고리를 일치시켜야 했고, 이렇게 일치시킨 연결부재의 고리에 결합봉을 관통시켜 연결한 다음, 상기 연결부재의 다른 한쪽끝단을 암거박스의 벽면중간에 형성된 긴장작업부에서 긴장부재를 긴장시켜 고정하는 등의 모든 작업이 번거로워 시공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이로 인하여 시공 작업의 능률향상을 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18372호의 도 3a와 도 3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암거박스의 양단에 실링을 위한 홈부가 형성되되 이 홈부의 소정위치에 수개의 육각너트와 보강근이 매설되고 상기 육각너트에 각각 아이볼트를 체결한 것이어서 이 또한 서로 이웃하는 암거박스의 단부가 서로 접하게 가시공하고 그 양단의 홈부에 마련된 아이볼트의 고리가 일치되도록 하고 상기 아이볼트의 고리로 철근 등을 관통시켜 체결한 다음 상기 홈부에 실링을 위한 몰탈로 채워 양생시킨 것이 그 특징이다.
상기와 같은 공개특허공보의 암거박스에 있어서는, 암거박스 양단의 홈부에 수개의 육각너트와 보강근을 매설한 상태로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시킨 다음 거푸집을 제거한 후 각각의 육각너트에 아이볼트를 체결하고 서로 이웃하는 중량물인 암거박스의 단부를 맞추면서 서로 이웃하는 아이볼트의 고리를 일치시켜야 했으며, 이렇게 일치시킨 아이볼트의 고리에 강봉을 관통시켜 연결시키는 작업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기존의 암거박스들은 맞춤구조 없이 단순히 맞닿는 일직선이거나 대부분이 양쪽측벽의 중간이 돌출된 맞춤구조를 갖는 것이어서 하방으로의 부동침하에 대하여 방지할 수 있으나 측벽의 수평방향인 편토압에 대하여 아무런 대책이 없어 밀리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폐단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개발 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암거박스의 양단에 사선방향이나 대각선방향으로 서로 대응하여 맞춰져 결합되는 맞춤결합구조를 마련함으로써 암거박스의 하부방향으로 작용하는 토압에 의하여 침하되는 부동침하를 방지함은 물론 암거박스의 수평으로 작용하는 편토압에 대하여도 암거박스의 밀림 없이 확실하게 지지되고 전단보강이 이뤄지도록 한 원터치맞춤형 암거박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암거박스 양단의 실링홈부에 한 쌍을 이루는 원터치방식의 체결구조를 마련함으로써 서로 이웃하여 시공되는 암거박스를 그 길이방향에서 맞추기만 하면 자동적으로 체결되며 이로 인하여 암거박스의 연결시공이 간편하게 이뤄지도록 한 원터치맞춤형 암거박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쪽에서 다른 한쪽에 이르기까지 속이 빈 터널형으로 마련되며 그 양단에 서로 이웃하는 암거박스와 맞물리게 맞춤결합구조가 형성되고 실링을 위한 실링홈부가 포함되어 있는 암거박스에 있어서, 상기 맞춤결합구조가 암거박스의 하부방향으로 작용하는 토압에 의하여 침하가 방지되고 암거박스의 수평으로 작용하는 편토압에 대하여도 밀림이 방지되도록 서로 대응하여 맞춰지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맞춤형 암거박스에 있어서, 상기 맞춤결합구조는 암거박스의 끝단에서 보았을 때 하나의 사선방향이나 대각선방향에서 서로 대응하여 맞춰지는 형상이면 어떠한 요철구조라도 무방하다.
상기 맞춤결합구조는 예를 들어, 하나의 사선방향에 형성하는 경우 하나의 사선방향으론 돌출부가, 다른 하나의 사선방향으론 오목부가 형성되고, 대각선방향에 형성하는 경우 상하좌우의 4변 중간부분엔 돌출부가, 상기 4변 사이의 모서리부분엔 오목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암거박스의 다른 한쪽끝단은 상기와 반대로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암거박스를 연결하였을 때 틈새 없이 서로 맞물려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맞춤형 암거박스에 있어서, 상기 실링홈부에는 서로 이웃하여 시공되는 암거박스를 그 길이방향에서 맞추기만 하면 자동적으로 체결되도록 한 쌍을 이루는 원터치방식의 체결구조가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구조는 서로 교차 체결되도록 한 쌍을 이루는 폐쇄형상의 고리로 마련되되, 적어도 한쪽의 고리는 다른 한쪽의 고리 끝단이 밀면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게 회동도어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힌지와 회동도어부재에는 다른 한쪽의 고리 끝단이 밀면서 상기 회동도어부재를 통과하면 이를 원위치로 복귀시켜 폐쇄하는 스프링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도어부재는 확실한 체결을 위하여 고리의 내측으로만 개방될 뿐 외측으론 개방되지 않아야 하며, 고리의 한쪽 또는 양쪽에 선택적으로 마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암거박스의 양단에 사선방향이나 대각선방향으로 서로 대응하여 맞춰져 결합되는 맞춤결합구조, 즉 한 쌍을 이루는 돌출부와 오목부를 마련함으로써 암거박스의 하부방향으로 작용하는 토압에 의하여 침하되는 부동침하를 방지함은 물론 암거박스의 수평으로 작용하는 편토압에 대하여도 암거박스의 밀림 없이 확실하게 지지되고 전단보강이 이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암거박스 양단의 실링홈부에 한 쌍을 이루는 원터치방식의 체결구조를 마련함으로써 서로 이웃하여 시공되는 암거박스를 그 길이방향에서 맞추기만 하면 자동적으로 체결되며 이로 인하여 암거박스의 연결시공이 간편하게 이뤄지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원터치맞춤형 암거박스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원터치맞춤형 암거박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좌우측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 체결구조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맞춤형 암거박스가 연결 시공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체결구조에 대한 연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암거박스(100)는 한쪽에서 다른 한쪽에 이르기까지 속이 빈 터널형의 중공몸체(110)로 마련되되, 그 양단엔 서로 이웃하는 암거박스(100)와 맞물리게 형성된 맞춤결합구조와 실링을 위한 실링홈부(120)가 형 성되어 있고, 끝단에서 보았을 때의 4모서리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강선통과구멍(1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공몸체(110) 중간의 내면에는 강선통과구멍(130)이 통과된 위치에다 강선통과구멍(130)으로 통과되는 강선을 고정시키는 정착구(200)나 그립 등을 안착시킬 수 있는 정착구안착홈(1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맞춤결합구조는 암거박스(100)의 하부방향으로 작용하는 토압에 의하여 침하가 방지되고 암거박스(100)의 수평으로 작용하는 편토압에 대하여도 밀림이 방지되도록 서로 대응하여 맞춰지는 구조이다. 상기 맞춤결합구조는 암거박스(100)의 양쪽끝단에서 보았을 때 대각선방향에 서로 대응하여 맞춰지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맞춤결합구조는 중공몸체(110)의 한쪽끝단에 하나의 사선방향으로 돌출부(141)가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하나의 사선방향으론 오목부(14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공몸체(110)의 다른 한쪽끝단에는 상기와 반대로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암거박스(100)를 연결하였을 때 틈새 없이 서로 맞물려는 형상이어야 한다.
상기 실링홈부(120)에는 서로 이웃하여 시공되는 암거박스를 그 길이방향에서 맞추기만 하면 자동적으로 체결되도록 한 쌍을 이루는 원터치방식의 체결구조가 부가 마련된다.
상기 체결구조는 서로 교차 체결되도록 한 쌍을 이루는 폐쇄형상의 고리(122,124)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고리 중 한쪽의 고리(124)는 다른 한쪽의 고리(122) 끝단이 밀면 고리몸체(125)의 힌지(126)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게 회동도 어부재(127)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힌지(126)와 회동도어부재(127)에는 다른 한쪽의 고리(122) 끝단이 밀면서 상기 회동도어부재(127)를 통과하면 이를 원위치로 복귀시켜 폐쇄하는 스프링(128)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회동도어부재(127)는 확실한 체결을 위하여 고리몸체(125)의 내측으로만 개방될 뿐 외측으론 개방되지 않게 마련되어야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원터치맞춤형 암거박스에서 맞춤결합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는 암거박스 양단에 그 단부에서 보았을 때 대각선방향으로 맞춤결합구조를 형성한 경우이다. 여기서는, 암거박스(100) 상하좌우의 4변 중간부분엔 돌출부(141a)가 형성되고, 상기 4변 사이의 각 모서리부분엔 오목부(142a)가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일실시예의 맞춤결합구조와 동일하다.
도 10은 발명의 원터치맞춤형 암거박스에서 체결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고리(124)를 이루는 고리몸체(125) 끝단의 회동도어부재(127)가 다른 한쪽의 고리(122)가 밀면 동시에 양쪽으로 회전 개방되도록 고리몸체(125)의 양쪽에 마련된 것을 제외하고는 일시예의 체결구조와 동일한 구성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00은 정착구안착홈(132)에서 강선(134)에 정착 고정되는 정착구이고, 300은 중공몸체(110)양단의 공간인 실링홈부(120)에 채워지는 실링용 몰탈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원터치맞춤형 암거박스에 대한 연속시공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여 본다.
먼저, 기준이 되는 하나의 암거박스(100)를 시공하고 이렇게 선시공(先施工) 한 암거박스(100)의 한쪽끝단에서 그 길이방향으로 연결되게 시공하고자 하는 다른 암거박스(100)를 밀착시킨다.
이렇게 선시공한 암거박스(100)의 끝단에 맞춤결합구조인 돌출부(141)와 오목부(142)가 서로 맞춤결합이 이뤄지면서 상기 맞춤결합구조의 실링홈부(120)에 마련된 체결구조를 이루는 한 쌍의 고리(122,124)가 원터치방식으로 체결되게 된다.
상기 체결구조가 체결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공몸체(110)의 실링홈부(120)에 마련된 고리(122)가 다른 중공몸체(110)의 실링홈부(120)에 마련된 고리(124)를 이루는 회동도어부재(127)를 밀치면서 들어가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회동도어부재(127)는 힌지(126)를 중심으로 하여 한쪽으로 회전되게 된다.
상기 고리(122)가 회동도어부재(127)를 통과하는 순간 스프링(128)의 탄력으로 인해 회동도어부재(127)가 원위치로 회전 복귀되면서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리몸체(125) 끝단을 폐쇄하므로 고리(122)는 분리 이탈되지 않는다. 따라서 서로 이웃하는 중공몸체(110)는 분리되지 않도록 서로 연결된 상태이다.
이렇게 선시공된 암거박스(100)에 서로 이웃하여 시공되는 암거박스(100)를 그 길이방향에서 맞추기만 하면 자동적으로 체결되며, 이로 인하여 암거박스(100)의 연결시공이 간편하고 작업성 및 시공성이 향상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암거박스(100)가 가체결된 상태에서 중공몸체(110)의 강선통과구멍(130)으로 강선(134)을 관통시키되, 선시공된 암거박스(100)의 정착구안착홈(132)에서 강선(134) 끝단에 정착구(200)를 장착하고, 강 선(134)의 중간부분에 후시공된 암거박스(100)의 정착구안착홈(132)에서 다른 또 하나의 정착구(200)를 통과하도록 하여 암거박스(100)의 끝단에서 인장기(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강선(134)을 당겨 긴장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강선(134)이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후시공된 암거박스(100)의 정착구안착홈(132)에서 강선에 정착구(200)를 정착 고정시킨 다음, 상기 인장기를 이용하여 강선(134)에 가했던 긴장력을 해제하고 정착구안착홈(132)에서 여분의 강선(134)을 절단 제거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시공하고자 하는 길이만큼 다수개의 암거박스(100)를 연결 시공한 다음에는 암거박스(100)의 중공몸체(110) 사이에 형성된 실링홈부(120)의 폐쇄공간으로 실링용 몰탈(300)을 주입시켜 양생시켜 마무리한다.
상기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암거박스가 맞춤결합구조인 돌출부(141,141a)와 오목부(142,142a)에 의해 서로 맞물린 상태로 결합되고 강선(134)에 의해 긴장력이 부여되므로 단순히 양단이 맞닿는 암거박스에 비하여 월등한 전단력보강이 이뤄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하수도, 전력통신구, 공동구 등의 시설물로 사용되는 원터치맞춤형 암거박스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이들의 시공 및 작업성 향상을 꾀할 수 있는 산업분야에 널리 이용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암거박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요부인 체결구조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체결구조에서 고리가 연결된 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암거박스를 연결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5의 체결구조가 체결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맞춤결합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체결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암거박스 110: 중공몸체
120: 시링홈부 122,124: 고리
125: 고리몸체 126: 힌지
127: 회동도어부재 128: 스프링
130: 강선통과구멍 132: 정착구안착홈
134: 강선 141,141a: 돌출부
142,142a: 오목부

Claims (5)

  1. 한쪽에서 다른 한쪽에 이르기까지 속이 빈 터널형으로 마련되며 그 양단에 서로 이웃하는 암거박스와 맞물리게 맞춤결합구조가 형성되고 실링을 위한 실링홈부가 포함되어 있는 암거박스에 있어서,
    상기 맞춤결합구조가 암거박스의 하부방향으로 작용하는 토압에 의하여 침하가 방지되고 암거박스의 수평으로 작용하는 편토압에 대하여도 밀림이 방지되도록 암거박스의 끝단에서 보았을 때 하나의 사선방향이나 대각선방향에서 서로 대응하여 맞춰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맞춤형 암거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결합구조는 하나의 사선방향에 형성하는 경우 하나의 사선방향으론 돌출부가, 다른 하나의 사선방향으론 오목부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끝단에는 서로 이웃하는 암거박스와 틈새 없이 서로 맞물리게 상기 한쪽끝단과 반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맞춤형 암거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결합구조는 대각선방향에 형성하는 경우 상하좌우의 4변 중간부분엔 돌출부가, 상기 4변 사이의 모서리부분엔 오목부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끝단에는 서로 이웃하는 암거박스와 틈새 없이 서로 맞물리게 상기 한쪽끝단과 반대로 형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맞춤형 암거박스.
  4. 한쪽에서 다른 한쪽에 이르기까지 속이 빈 터널형으로 마련되며 그 양단에 서로 이웃하는 암거박스와 맞물리게 맞춤결합구조가 형성되고 실링을 위한 실링홈부가 포함되어 있는 암거박스에 있어서,
    상기 실링홈부에는 서로 이웃하여 시공되는 암거박스를 그 길이방향에서 맞추기만 하면 자동적으로 체결되도록 한 쌍을 이루는 원터치방식의 체결구조가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맞춤형 암거박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조는 서로 교차 체결되도록 한 쌍을 이루는 폐쇄형상의 고리로 마련되되, 적어도 한쪽의 고리는 다른 한쪽의 고리 끝단이 밀면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게 회동도어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힌지와 회동도어부재에는 다른 한쪽의 고리 끝단이 밀면서 상기 회동도어부재를 통과하면 이를 원위치로 복귀시켜 폐쇄하는 스프링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맞춤형 암거박스.
KR1020080040201A 2008-04-30 2008-04-30 원터치맞춤형 암거박스 Active KR100990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201A KR100990682B1 (ko) 2008-04-30 2008-04-30 원터치맞춤형 암거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201A KR100990682B1 (ko) 2008-04-30 2008-04-30 원터치맞춤형 암거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4525A true KR20090114525A (ko) 2009-11-04
KR100990682B1 KR100990682B1 (ko) 2010-10-29

Family

ID=41555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0201A Active KR100990682B1 (ko) 2008-04-30 2008-04-30 원터치맞춤형 암거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068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850B1 (ko) * 2009-12-31 2010-05-14 주식회사 대산시빌테크날러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방법
KR20150104845A (ko) 2014-03-06 2015-09-16 주식회사 금강피씨 조립식 암거
CN105256837A (zh) * 2015-11-03 2016-01-20 深圳华瀚管廊物业服务有限公司 管廊预制件及装配式综合管廊
CN105908639A (zh) * 2016-04-27 2016-08-31 苏交科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预制箱涵及快速定位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021B1 (ko) * 2016-10-20 2018-01-26 삼성이엔씨(주) 지반 침하에 의한 누수 방지를 위한 지중 맨홀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916B1 (ko) * 2005-07-20 2006-12-27 주식회사 한양피씨 양 방향 전단,좌굴 보강 콘크리트 암거
KR100789697B1 (ko) * 2007-04-03 2008-01-03 주식회사 지구코퍼레이션 인터록킹 소켓형 콘크리트 암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850B1 (ko) * 2009-12-31 2010-05-14 주식회사 대산시빌테크날러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방법
KR20150104845A (ko) 2014-03-06 2015-09-16 주식회사 금강피씨 조립식 암거
CN105256837A (zh) * 2015-11-03 2016-01-20 深圳华瀚管廊物业服务有限公司 管廊预制件及装配式综合管廊
CN105908639A (zh) * 2016-04-27 2016-08-31 苏交科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预制箱涵及快速定位施工方法
CN105908639B (zh) * 2016-04-27 2018-01-12 苏交科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预制箱涵及快速定位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0682B1 (ko) 201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7821B1 (ko) 아치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멘트 구조체를 이용한 터널 시공방법
KR102077960B1 (ko) 꺽쇠 조인트로 결합되는 pc 암거 박스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0495782B1 (ko) 블록조립식 보강토옹벽 패널과 이 패널을 사용한보강토옹벽의 시공방법
KR100990682B1 (ko) 원터치맞춤형 암거박스
KR101053688B1 (ko)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접속 장치 및 접속 시공 방법과, 접속 장치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
KR100969586B1 (ko) 기초 및 벽체의 크기가 최소화된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358830B1 (ko) 조립식 암거박스의 접합구조
KR100665811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의 연결장치
KR101045038B1 (ko) 중공형 탄성 앵커 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접속 장치 및 접속 시공 방법과, 접속 장치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
KR20060069419A (ko) 수밀성 및 가요성을 갖는 철근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박스암거와 이 암거의 시공 구조 및 방법
KR101176937B1 (ko) 지하 매립형 조립식 저류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1054718B1 (ko) 부벽과 긴장재를 이용한 라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FR2789706A1 (fr) Procede d&#39;etanconnement a l&#39;aide de piliers de renfort d&#39;une structure a parois verticales et pilier a cet effet
KR101335182B1 (ko) 농업용수 분수(分水)용 수로관
JP7373975B2 (ja) 壁体の構築方法
KR101696282B1 (ko) 흙막이용 강관을 이용한 pc 벽체, 그 pc 벽체가 적용된 모듈식 지하구조물 및 그 pc 벽체의 연결방법
JP2016044494A (ja) 基礎の施工方法
KR200464400Y1 (ko) 프리캐스트 암거 조립체
KR100709304B1 (ko) 합성말뚝과 강널말뚝을 이용한 토목구조물 및 그의시공방법
IE970150A1 (en) A panel element and a tank comprising the panel element
KR100912438B1 (ko) 슬라이딩 앵커가 구비된 농수로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JP2005350979A (ja) 仮締切構造体および仮締切工法
KR100823348B1 (ko) 강합성옹벽 시공방법
RU2292422C1 (ru) Конструкционный блок для сборно-монолитной &#34;стены в грунте&#34; и сборно-монолитная &#34;стена в грунте&#34;
KR200464347Y1 (ko) 프리캐스트 암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30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010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0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10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2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2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2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