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57850B1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방법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7850B1
KR100957850B1 KR1020090135485A KR20090135485A KR100957850B1 KR 100957850 B1 KR100957850 B1 KR 100957850B1 KR 1020090135485 A KR1020090135485 A KR 1020090135485A KR 20090135485 A KR20090135485 A KR 20090135485A KR 100957850 B1 KR100957850 B1 KR 100957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cast concrete
curved
joint
concrete member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5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산시빌테크날러지
이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산시빌테크날러지, 이형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산시빌테크날러지
Priority to KR1020090135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78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7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7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08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preformed concrete slabs
    • E21D11/083Methods or devices for joining adjacent concrete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양 힌지접합부에 있어서,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힌지접합부에 있어 그 내측접합면은 파여진 곡면홈과 같은 곡면접합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에 연결되는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힌지접합부에 있어 그 내측접합면은 상기 곡면접합부에 완전 밀착되는 곡면돌출구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곡면접합부에는 데드앵커블럭이 매립되어 상방이 노출도록 형성시키고, 상기 데드앵커블럭에 삽입될 수 있도록 곡면돌출구에는 외부로 연장되는 인서트홀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인서트홀은 부재의 외면 또는 내면쪽으로 노출되도록 하여 앵커체의 일단부가 상기 데드앵커블록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타단부가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외면 또는 내면에서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에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부재가 힌지접합부에서 서로의 이탈 및 상대변위를 구속하면서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방법이 개시된다.
프리캐스트, 부재연결, 회전

Description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방법{CONNECTION METHOD FOR PRECAST CONCRETE MEMBER}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프리캐스트 부재를 서로 연결하여 완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부재는 제작방식은 크게 프리캐스트 방식과 현장타설 방식이 이용된다.
먼저, 현장타설 방식은 현장에서 구조물이 설치되어야 형상 및 위치에 따라 동바리, 비계와 같은 가시설을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을 통하여 최종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가시설의 설치 및 해체,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작업, 철근의 배근작업등이 수반되므로 아무래도 품질 및 시공관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현장타설 방식은 특히 대구모 구조물 시공의 경우 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므로 최근에도 많이 이용되는 방식이라 할 수 있다.
반면에, 프리캐스트 방식은 미리 구조물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공장에서 미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제작하고, 이를 현장에 운반하여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서로 연결 시공하는 방식으로 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연결하는 방식은 다양한 방식이 이용되는데,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앵커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기계적 체결방식이다.
예컨대, 콘크리트 부품을 연결하는 연결기(10)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기(10)가 장착되는 제 1, 제 2 콘크리트부품(PC1, PC2)은 수로나 옹벽 등의 콘크리트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부품이다.
이러한 연결기(10)는 수커플러(11), 암커플러(12), 스토퍼(13) 및 고정나사(14)에 의하여 제 1 콘크리트부품(PC1)과 제 2 콘크리트부품(PC2)을 상호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제 1 콘크리트부품(PC1)과 제 2 콘크리트부품(PC2)을 서로 연결할 때에는 제 1 콘크리트부품(PC1)의 연결면(PC1a)과 제 2 콘크리트부품(PC2)의 연결면(PC2a)을 도시 생략한 패킹을 거쳐 조합시킨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 1 콘크리트부품(PC1)의 오목부(FP1)와 제 2 콘크리트부품(PC2)의 오목부(FP1)와의 위치는 대략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서로의 연결면(PC1a와 PC2a)을 조합시킨 상태에서는 오목부(FP1)내에서 노출되는 수나사부(ET1)의 축선(CL1)과 오목부(FP2)내에서 노출되는 수나사부(ET2)의 축선(CL2)은 대략 일직선이 된다.
다음으로는 상기 수커플러(11)를 손끝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암커플러(12)를 손끝으로 돌려 그 암나사 구멍(12a)을 수커플러(11)의 수나사부(11a)에 나사결합한다.
이와 같이 손끝에 의한 나사결합이 곤란하게 된 곳에서 수커플러(11)의 공구 걸어맞춤부(11e)에 이것에 적합한 체결 공구를 걸어맞추어 유지한 상태로, 암커플러(11)의 공구 걸어맞춤부(12e)에 이것에 적합한 체결 공구를 걸어맞추어 수커플러(11)에 대한 암커플러(12)의 나사결합을 계속한다.
이에 의하여 상기 수커플러(11)를 통하여 제 1 콘크리트부품(PC1)의 연결로드(CR1)에 굵은 화살표로 나타내는 끌어당김력이 부여됨과 동시에, 암커플러(12) 및 걸어멈춤부(12c)에 걸어맞춘 스토퍼(13)를 통하여 제 2 콘크리트부품(PC2)의 연결로드(CR2)에 굵은 화살표로 나타내는 끌어당김력이 부여되어 제 1 콘크리트부품(PC1)의 연결면(PC1a)과 제 2 콘크리트부품(PC2)의 연결면(PC2a)이 패킹을 거쳐 압접하고, 상기 압접상태 그대로 제 1 콘크리트부품(PC1)과 제 2 콘크리트부품(PC2)이 연결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암커플러(12)의 삽입구멍(12b)과 이 삽입구멍(12b)에 삽입된 수나사부(ET2)와의 사이에는 고리형상의 간극(여유)이 존재하고, 이 여유에 의하여 암커플러(12)의 위치를 수나사부(ET2)의 축선(CL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미세 조정할 수 있으므로 제 1 콘크리트부품(PC1)과 제 2 콘크리트부품(PC2)을 조합시킨 상태에서 수나사부(ET1)의 축선(CL1)과 수나사부(ET2)의 축선(CL2)에 어긋남이 있는 경우 에도 상기한 여유를 이용하여 수커플러(11)에 대한 암커플러(12)의 나사결합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나사결합시에 있어서의 암커플러(12)의 이동량을 걸어멈춤부(12c)가 스토퍼(13)에 접함으로써 제한하도록 하고, 또한 이 스토퍼(13)를 고정나사(14)에 의해 연결로드(CR2)의 수나사부(ET2)에 고정하고, 고정너트 캡(160a)의 잠금수단(16)을 통해 고정나사(14) 또는 압입핀(15)이 빠지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커플러(11)에 대한 암커플러(12)의 나사결합작업이 완료된 후는 수커플러(11) 측의 록너트(RN)를 렌치 등의 체결공구를 사용하여 세게 조여 수커플러(11)에 압접시킴과 동시에, 암커플러(12)측의 록너트(RN)를 렌치 등의 체결공구를 사용하여 세게 조여 암커플러(12)에 압접시킨다.
그리고 다음은 암커플러(12)의 관통구멍(12d)으로부터 연결기(10)내의 공간에 에폭시수지계 등의 경화재를 주입하고, 서로 연속된 오목부(FP1)내와 오목부(FP2)내에 모르타르 등의 경화재를 충전한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콘크리트 부품을 연결하는 방식은 콘크리트 부품을 서로 일체화 시키는 방식으로는 매우 유효 할지 모르지만 이러한 연결부위에 있어 부품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지는 않기 때문에 혹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연결부위에 회전이 되도록 할 필요가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에 있어 양 부재의 힌지결합부에 있어 서로의 위치를 구속하면서도 부재의 회전을 구속하지 않도록 함으로서 안정적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 연결방법 제공을 그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첫째, 상부 및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힌지접합부에 있어서,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힌지접합부에 있어 그 내측접합면은 파여진 곡면홈과 같은 곡면접합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곡면접합부와 연장되는 외측접합면은 상기 곡면접합부와 연속으로 테이퍼링 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하고,
상기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에 연결되는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힌지접합부에 있어 그 내측접합면은 상기 곡면접합부에 완전 밀착되는 곡면돌출구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곡면돌출구와 연장되는 외측접합면은 상기 곡면돌출구와 연속으로 테이퍼링 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상기 부재들의 외측접합면들이 이격되도록 하고,
상기 곡면접합부에는 데드앵커블럭이 매립되어 상방이 노출도록 형성시키고, 상기 데드앵커블럭에 삽입될 수 있도록 곡면돌출구에는 외부로 연장되는 인서트홀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인서트홀은 부재의 외면 또는 내면쪽으로 노출되도록 하 여 앵커체의 일단부가 상기 인서트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타단부가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외면 또는 내면에서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에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부재가 힌지접합부에서 서로의 이탈 및 상대변위를 구속하면서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결국 상기 앵커체와 데드앵커블럭에 의하여 부재가 서로 압착되면서 위치 구속되도록 하고, 곡면홈과 곡면돌출구에 의하여 부재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되, 상기 곡면홈과 곡면돌출구가 양 부재의 힌지접합부에 형성되도록 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한 부재는 암거 또는 터널구조물과 같은 지중 또는 지상에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상하 조립되어 시공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이 될 수 있으며, 달리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데드앵커블록은
곡면접합부에 매립되어 상부가 노출되며 내측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매립슬리브;
상기 매립슬리브 내부 하단에 나사부에 체결되는 고정되는 하단지지부;
상기 하단지지부에 지지되어 매립슬리브 내부에 안착되는 탄성스프링;
상기 탄성스프링의 하단에 지지되어 매립슬리브의 상단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쐐기부;를 포함하도록 하여 앵커체의 삽입에 의하여 그 단부가 고정 설치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는 부재가 데드앵커블럭 및 앵커체에 의하여 힌지접합부에서는 시공 시, 지진 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이탈 및 상대변위를 구속하여 곡면접합부에서 위치구속 되도록 하면서도 외적안정 회전 연결성능을 확실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 동시에 앵커체는 수평전단보강에도 기여를 하게 된다.
상기 콘크리트 부재들의 힌지접합부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는 서로 회전을 구속하지 않아 각각에 작용하는 부재의 하중을 상기 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일부 상쇄시킬 수 있게 되어 힌지접합부의 하자 발생요인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방법은 최종 시공되 어야 구조물이 사각형 또는 원형 및 다른 여러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터널 구조물로서 설명하되, 크게 상부 및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로서 서로 조립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하되, 상기 상부 및 하부는 위치의 개념이 아닌 중력장에서 인접되어 조립되는 부재들을 양 부재로 구분한 것으로 한다.
이에 도 2는 터널 구조물이 양 측벽에 해당하는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와 상기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의 상단에 연결되는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00)의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상기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에 연결되는 상기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의 힌지접합부(110,내측 및 외측 접합면을 지칭한다)들을 차례대로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의 힌지접합부(110)를 도 2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그 내측접합면(111)에는 홈과 같이 파여진 곡면홈과 같은 곡면접합부(A)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곡면홈과 같은 곡면접합부(A)는 일정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곡률은 부재들(100,200)의 단면크기, 무게 등을 고려하여 적의 변경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곡면홈과 같은 곡면접합부(A)가 형성되는 내측접합면(111)과 연장되는 외측접합면(112)은 내측접합면(111)과 연장되도록 하되, 연장시점에서부터 연속으로 테이퍼링 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외측접합면(112)은 최종 부재(100)의 내, 외측면(C,D)으로 연장되도 록 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접합면들(111,112)의 형태는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에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00)가 안착될 수 있는 지지 접합면을 형성시키기 위함이라 할 수 있으며, 초기 세팅을 위하여 외측접합면(112)의 일부는 수평으로 형성된 지지단턱(113)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말하자면,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00)를 상기 지지단턱(113)에 지지시키면서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에 내려 안착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여기서는 지지단턱(113)에 지수제(미도시)가 치밀하게 설치되도록 수평으로 형성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곡면홈과 같은 곡면접합부(A)의 개략 중간에는 도 3과 같이 데드앵커블록(300)이 매립되도록 하여 그 개방된 상부를 통해 앵커체(400)가 상기 데드앵커블록(300)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데드앵커블록(300)은 철근, 앵커와 같은 부재의 일단부가 삽입되면 그 일단부가 데드앵커블록(300)에 내부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면 어떤 형태로도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데드앵커블록(300)은
곡면홈과 같은 곡면접합부(A)에 매립되어 상부가 노출되며 내측면에 나사부(311)가 형성된 매립슬리브(310);
상기 매립슬리브(310) 내부 하단에 나사부에 체결되는 고정되는 하단지지부(320);
상기 하단지지부(320)에 지지되어 매립슬리브(310) 내부에 안착되는 탄성스프링(330);
상기 탄성스프링(330)의 하단에 지지되어 매립슬리브(310)의 상단의 나사부(311)에 체결되는 쐐기부(340);를 포함한다.
상기 매립슬리브(31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태의 부재로써 그 내면에는 나사부(311)가 형성되어 상기 나사부에 하단지지부(320)와 쐐기부(340)가 체결 또는 밀착되면서 그 위치가 구속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하단지지부(320)는 매립슬리브(310)의 하단에 형성된 나사부(311)에 체결되어 매립슬리브의 하단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후술되는 탄성스프링(330)을 매립슬리브 내부에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지지판이라 할 수 있으며, 미리 매립슬리브(310)의 최하단 내부에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 탄성스프링(330)은 용수철이 이용될 수 있으며 후술되는 쐐기부(340)를 하단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쐐기부(340)는 분할된 부채형 절편부재(341)가 그 하부들에 형성된 연결홈에 감겨진 탄성링(342)에 의하여 결합된 것으로서 PC 강선과 같은 긴장재용 정착장치인 웨지가 이용될 수 있으며, 후술되는 앵커체의 일단부가 매립슬리브(310)에 삽입되면 앵커체(400)를 감싸 물면서 앵커체의 위치를 구속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매립슬리브(310)는 콘크리트와의 정착부착을 위해 다양한 모양을 갖을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매립슬리브외면에 콘크리트와의 정착부착용 부재가 용접 되어 첨가될 수 있다.
앵커체(400)가 삽입되기 이전 까지는 쐐기부(340)가 매립슬리브의 나사부에 밀착되어 고정되지 않고, 탄성 스프링(330)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나사부(311)와 약간 이격되어 세팅되도록 하게 된다.
이에 앵커체(400)의 일단부가 매립슬리브(310)의 상부를 통해 삽입되면 상기 앵커체의 지름보다 다소 작은 크기를 가지는 쐐기부(340)의 하방경사진 상면을 밀게 되는데, 이러한 밀림에 의하여 탄성링(342, 탄성고무줄)에 의하여 임시로 조여진 각 쐐기부(340)가 나사부 쪽으로 벌어지면서 나사부에 쐐기부가 약간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밀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앵커체(400)는 최대 하단지지부(320) 상면까지 삽입되게 되면서 쐐기부에 의하여 압착고정된다.
결국, 상기 나사부에 밀착 고정된 쐐기부(340)를 관통하는 앵커체(400)는 매립슬리브에 삽입된 후 매립슬리브 내부에서 쐐기부(340)가 벌어지면서 압착되는 작용에 의하여 그 일단부가 고정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00)의 힌지접합부(210)를 도 2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그 내측접합면(211)에는 상기 곡면접합부(A)에 완전 밀착되는 곡면돌출구(B)가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곡면돌출구(B)는 앞서 살펴본 곡면접합부(A)의 곡률에 맞추어 돌출되는 모양 및 돌출정도를 정하면 되는데 도 2의 경우에는 곡면홈과 같은 곡면접합부와 곡면돌출구가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곡면돌출구(B)가 형성되는 내측접합면(211)과 연장되는 외측접합 면(212)은 내측접합면(211)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하되, 연장시점에서부터 역시 연속으로 테이퍼링 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외측접합면(212)은 최종, 부재(200)의 내,외측면(E,F)으로 연장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접합면들(211,212)의 형태는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에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00)가 역시 안착될 수 있는 지지 접합면을 형성시키기 위함이라 할 수 있으며, 역시 초기 세팅을 위하여 외측접합면(212)의 단부는 수평으로 형성된 지지단턱(213)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이에 상부 및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200)는 상기 지지단턱들(113,213)에 지지되면서 서로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200)의 외측접합면(112,212)들은 서로 이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각각의 테이퍼링이 서로 다른 비율로 형성되기 때문인데, 이는 앞서 살펴본 곡면홈과 같은 곡면접합부에서 곡면돌출구가 회전 시 그 회전에 의하여 부재의 접촉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는 등의 부재들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곡면돌출구(B)의 개략 중간에는 데드앵커블록(300)의 개방된 상부에 대응하도록 앵커체(400)가 삽입될 수 있는 인서트홀(230)이 도 3과 같이 형성된다.
이러한 인서트홀(230)은 앵커체(400)가 삽입되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중요한 것은 곡면돌출구(B)로부터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부재(200)의 내, 외 측면(E,F)으로 연장되도록 한다는 것이다.
이에 상기 인서트홀(230)은 전체적으로 굴곡되어 예컨대 상방으로 휘어지면서 내, 외측면(E,F)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이에 삽입되는 앵커체(400)를 상기 내,외측면(E,F)의 주변공간에서 정착시킬 수 있도록 하게 해준다.
결국, 데드앵커블록(300)의 상부는 상기 인서트홀(230)과 연통되도록 함을 알 수 있으며, 앵커체(400)는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00)의 외측면(F)에서 상기 인서트홀과 매립슬리브로 삽입될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가진 부재(예컨대 PC 강연선)가 사용되어 결국 앵커체(400)의 일단부가 데드앵커블록(300)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그 타단부는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00)의 외측면(F)에서 너트등과 같은 고정수단(410)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이에 도 4에 의하면,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00)가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의 힌지접합부로부터 앵커체에 의하여 그 위치가 확실하게 고정되어 X 및 Y축을 기준으로 구속됨을 알 수 있으며,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00)의 곡면돌출구(B)와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의 곡면홈과 같은 곡면접합부(A)는 서로 회전이 가능하여 결국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00)와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는 힌지접합부의 이격 공간(외측접합면들의 이격에 의한 것임)에 의하여 달리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도 그 회전정도가 상기 이격거리에 의하여 어느 정도 제한되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는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00)는 하중 작용 시 그 회전정도에 따라 하중을 상쇄시킬 수 있는 회전 작용이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도 1은 종래 콘크리트 부품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상부 및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사시도 및 힌지접합부의 발췌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상부 및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작용단면도이다.
<주요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
200: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
110,210: 힌지접합부
111,211: 내측접합면
112,212: 외측접합면
300:데드앵커블록
400: 앵커체

Claims (1)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양 힌지접합부에 있어서,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힌지접합부에 있어 그 내측접합면은 파여진 곡면홈과 같은 곡면접합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곡면접합부와 연장되는 외측접합면은 상기 곡면접합부와 연속으로 테이퍼링 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하고,
    상기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에 연결되는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힌지접합부에 있어 그 내측접합면은 상기 곡면접합부에 완전 밀착되는 곡면돌출구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곡면돌출구와 연장되는 외측접합면은 상기 곡면돌출구와 연속으로 테이퍼링 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상기 부재들의 외측접합면들이 이격되도록 하고,
    상기 곡면접합부에는 데드앵커블럭이 매립되어 상방이 노출도록 형성시키고, 상기 데드앵커블럭에 삽입될 수 있도록 곡면돌출구에는 외부로 연장되는 인서트홀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인서트홀은 부재의 외면 또는 내면쪽으로 노출되도록 하여 앵커체의 일단부가 상기 데드앵커블록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타단부가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외면 또는 내면에서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에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부재가 힌지접합부에서 서로의 이탈 및 상대변위를 구속하면서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방법.
KR1020090135485A 2009-12-31 2009-12-3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방법 KR100957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485A KR100957850B1 (ko) 2009-12-31 2009-12-3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485A KR100957850B1 (ko) 2009-12-31 2009-12-3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7850B1 true KR100957850B1 (ko) 2010-05-14

Family

ID=42281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5485A KR100957850B1 (ko) 2009-12-31 2009-12-3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785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4525A (ko) * 2008-04-30 2009-11-04 이철희 원터치맞춤형 암거박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4525A (ko) * 2008-04-30 2009-11-04 이철희 원터치맞춤형 암거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3565B1 (ko) 연결기 및 연결구조체
EA037721B1 (ru) Регулируемая компактная домкратная муфта и способ ее использования
JP2008115639A (ja) 上揚力対応型の構造物変位制限用ストッパ装置
KR20140021288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슬리브 리브 조인트, 이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090025759A (ko) 강관이 구비된 교각 기초 및 이를 이용한 교각의 조립 구조
CN101356318B (zh) 具有使用钢管的连接结构的预制混凝土砌块及其连接结构
KR101169461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각 및 그 급속 시공 방법
KR10129900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각용 수직 전단 연결재
KR102130526B1 (ko) 거푸집용 선시공 타입 볼트 어셈블리
JP2009114755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柱部材の接合構造、及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柱部材の接合方法
JP2005200994A (ja) 閉鎖断面部材の接合構造
KR100957850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방법
JP7484035B2 (ja) 継手
KR101309100B1 (ko) 세그먼트용 체결장치
JP2011032637A (ja) 鋼管柱の継手構造および継手方法
KR20130074627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각용 수평 전단 연결재
KR101132218B1 (ko) 체결장치
AU2020101449C4 (en) Improved Connector
JP5078023B2 (ja) 柱脚接合具及び柱脚接合構造
KR101807825B1 (ko) 철근 커플러
KR101160506B1 (ko) 곡선형 벽체용 연결재 및 이를 이용한 곡선형 벽체 시공방법
KR20060110610A (ko) 철근 연결부 구조 및 철근 연결방법
KR20030089754A (ko) 일축 및 다축 연결이 가능한 죠인트 및 이를 이용한구조물 시공방법
KR102283595B1 (ko) 콘크리트구조물 연결용 더블커플러
JP5599281B2 (ja) 杭頭接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3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5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5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0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2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