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113541A - 숯을 이용한 실내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숯을 이용한 실내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3541A
KR20090113541A KR1020080039315A KR20080039315A KR20090113541A KR 20090113541 A KR20090113541 A KR 20090113541A KR 1020080039315 A KR1020080039315 A KR 1020080039315A KR 20080039315 A KR20080039315 A KR 20080039315A KR 20090113541 A KR20090113541 A KR 20090113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finishing material
weight
paper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9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2090B1 (ko
Inventor
최한순
Original Assignee
최한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한순 filed Critical 최한순
Priority to KR1020080039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2090B1/ko
Publication of KR20090113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3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2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209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32Carbides; Nitrides; Borides ; Sili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34Natural resins, e.g. rosi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 Paper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벽을 마감하기 위한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숯 60~67중량%, 폐지분 30~37중량%, 전분 2~9중량%, 목초액 1~8중량%의 원료를 압축 성형함에 따라, 원적외선의 발산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콘크리트 물질의 독성 제거하고, 원활한 제습 및 가습을 통해 실내 습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숯을 이용한 실내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숯을 이용한 실내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The finishing materials containing charcoal and the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본 발명은 숯을 이용한 실내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원적외선의 발산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콘크리트 물질의 독성 제거하고 원활한 제습 및 가습을 통해 실내 습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숯을 이용한 실내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마감재는 원목이나, 석고보드, 타일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에, 원목의 경우 비싸기 때문에 통상 저렴한 석고보드나 타일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저렴한 석고보드나 타일의 경우에는 콘크리트와 시멘트 재질로 인한 독성이 발생하기 때문에 실내 거주자들이 흔히 새집증후군이나 아토피 피부질환과 같은 고통을 호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석고보드는 습기에 약하여 다습한 환경에서는 내구성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고, 타일은 주변의 습기를 빨아들이거나 주변으로 배출하는 제습 또는 가습 작용이 약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에는 적합하지 않다.
나아가 상기 석고보드나 타일의 소비는 막대한 자원을 낭비하고 이들의 폐기로 인해 환경이 오염되는 여러 문제점을 발생한다.
본 발명의 숯을 이용한 실내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은 종래 석고보드나 타일과 같은 실내 마감재에 독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거주자에게 새집증후군이나 각종 피부질환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숯을 이용한 실내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은 종래 석고보드와 같은 실내 마감재는 습기에 약하여 내구성이 저하되고, 타일과 같은 실내 마감재는 제습이나 가습이 어려워 습도 조절이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숯을 이용한 실내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은 종래 석고보드나 타일과 같은 실내 마감재의 소비로 인하여 막대한 자원이 소비될 뿐만 아니라, 이들의 폐가로 인하여 환경이 오염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내 마감재는 숯 60~67중량%, 폐지분 30~37중량%, 전분 2~9중량%, 목초액 1~8중량%의 원료를 압축 성형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압축 성형된 마감재의 표면에는 종이 또는 부직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코팅지를 부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을 이용한 실내 마감재.
한편, 본 발명의 마감재는 숯 60~67중량%, 폐지분 30~37중량%, 전분 2~9중량%, 목초액 1~8중량%의 원료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원료를 60~80℃의 온도로 발효하면서 8시간 이상 교반하는 단계; 및 상기 교반된 원료를 300℃ 이상의 온도로 가열되는 성형틀에서 압축 성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압축 성형된 마감재의 표면에 종이 또는 부직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코팅지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패널을 자연 건조 후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숯은 야자수 껍질을 탄화시킨 후 분말 형태로 분쇄하여 혼합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숯을 이용한 실내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숯으로부터 발산되는 원적외선이 콘크리트 벽체에서 발생하는 독성을 차단함에 따라, 실내 거주자에게 안전하고 건강한 생활이 가능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본 발명의 숯을 이용한 실내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숯이 주변의 습기를 빨아들이거나 주변으로 배출하는 제습 또는 가습 작용을 통해 자연스럽게 습도 조절이 이루어짐에 따라, 항상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본 발명의 숯을 이용한 실내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숯과 폐지를 이용하여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고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숯을 이용한 실내 마감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숯을 이용한 실내 마감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숯을 이용한 실내 마감재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숯을 주원료로 하여 압축 성형된 마감재(100)와 그 표면에 부착되는 코팅지(120)로 구성된다.
이에, 상기 마감재(100)는 숯 60~67중량%, 폐지분 30~37중량%, 전분 2~9중량%, 목초액 1~8중량%의 원료를 압축 성형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숯은 그 자체에서 발산되는 원적외선이나 음이온을 통해 콘크리트와 시멘트의 독성을 제거함과 아울러, 수많은 기공을 통해 외부의 습도가 높으면 수분을 흡수했다가 외부 습도가 낮으면 이를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기능은 통상 약제 등에 혼합하여 독성을 중화시키는 것이나, 옷장의 제습용 또는 식물의 분재용으로 널이 사용되는 것을 통해 쉽게 알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숯은 기공의 분포가 더 많고 원적외선과 음이온의 배출이 더 많은 야자수 껍질이나, 재질이 단단한 나무를 가마에 구운 검탄(黔炭) 또는 백탄(白炭)을 사용할 수 있으며, 60중량% 이하에서는 기능이 저하되고 67중량% 이상에서는 원료의 소비가 클 뿐만 아니라 결집력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폐지분은 폐지를 잘게 자른 후 혼합하는 것으로서, 자원을 재활용하는 의미가 크다. 이때, 상기 폐지분 60중량% 이하에서는 숯의 배합비가 커지고 67중량% 이상에서는 결집력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전분은 건조되면서 점성을 갖는 것으로서 마감재의 강도를 강화 하면서 마감재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2~9중량%를 혼합한다. 이때, 상기 전분이 2중량% 이하에서는 점성이 약하여 마감재의 형태를 유지하기 어렵고 9중량% 이상에서는 점성이 강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쉽게 깨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초액은 여러 가지 기능이 있으나 특히 강력한 원적외선 발산 및 음이온 발생, 독소제거, 미생물상 개선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서, 1~8중량%을 혼합한다.
이와 같은 원료를 혼합하여 압축 성형한 마감재(100)의 표면에는 미감을 주기 위한 종이 또는 부직포 등의 코팅지(120)를 부착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코팅지는 마감재의 파손이나 균열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 마감재(100)의 배면에는 시멘트를 발라 강성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마감재(100)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숯 60~67중량%, 폐지분 30~37중량%, 전분 2~9중량%, 목초액 1~8중량%의 원료를 혼합한다. 이와 같이 혼합된 원료는 60~80℃의 온도로 발효하면서 8시간 이상 교반한 후, 상기 교반된 원료를 300℃ 이상의 온도로 가열되는 성형틀에서 패널 형태로 압축 성형한다. 이어, 상기 압축 성형된 패널의 표면에 종이 또는 부직포를 부착한 상태에서 자연 풍을 이용하여 자연 건조한 후 포장하여 제품의 제조를 완료한다.
이때, 상기 혼합되는 원료 중 숯은 야자수 껍질을 탄화시킨 후 분말 형태로 분쇄하여 혼합하는 과정을 통해 생산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숯을 이용한 실내 마감재(100)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숯으로부터 발산되는 원적외선이 콘크리트 벽체에서 발생하는 독성을 차단함에 따라, 실내 거주자에게 안전하고 건강한 생활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숯이 주변의 습기를 빨아들이거나 주변으로 배출하는 제습 또는 가습 작용을 통해 자연스럽게 습도 조절이 이루어짐에 따라, 항상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숯을 이용한 실내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숯과 폐지를 이용하여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고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숯을 이용한 실내 마감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숯을 이용한 실내 마감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숯을 이용한 실내 마감재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면의 주요 구성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마감재 120: 코팅지

Claims (5)

  1. 숯 60~67중량%, 폐지분 30~37중량%, 전분 2~9중량%, 목초액 1~8중량%의 원료를 압축 성형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을 이용한 실내 마감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성형된 마감재의 표면에는 종이 또는 부직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코팅지를 부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을 이용한 실내 마감재.
  3. 숯 60~67중량%, 폐지분 30~37중량%, 전분 2~9중량%, 목초액 1~8중량%의 원료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원료를 60~80℃의 온도로 발효하면서 8시간 이상 교반하는 단계; 및
    상기 교반된 원료를 300℃ 이상의 온도로 가열되는 성형틀에서 압축 성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을 이용한 실내 마감재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성형된 마감재의 표면에 종이 또는 부직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코팅지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패널을 자연 건조 후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을 이용한 실내 마감재의 제조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숯은 야자수 껍질을 탄화시킨 후 분말 형태로 분쇄하여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을 이용한 실내 마감재의 제조방법.
KR1020080039315A 2008-04-28 2008-04-28 숯을 이용한 실내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972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315A KR100972090B1 (ko) 2008-04-28 2008-04-28 숯을 이용한 실내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315A KR100972090B1 (ko) 2008-04-28 2008-04-28 숯을 이용한 실내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3541A true KR20090113541A (ko) 2009-11-02
KR100972090B1 KR100972090B1 (ko) 2010-07-22

Family

ID=41554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9315A Expired - Fee Related KR100972090B1 (ko) 2008-04-28 2008-04-28 숯을 이용한 실내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20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51813B2 (en) 2019-01-09 2023-12-26 Interface, Inc. Surface coverings including carbon sequestering materials and methods of making
CA3126040A1 (en) 2019-01-09 2020-07-16 Interface, Inc. Surface coverings including carbon sequestering materials and methods of makin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6357A (ko) * 2000-02-23 2000-07-05 김지일 원적외선이 방사되게한 건축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6757188B2 (en) * 2002-05-22 2004-06-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riple sample sensing for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MRAM) with series diodes
KR200391712Y1 (ko) 2005-05-13 2005-08-08 (주)지오베니스 실내벽용 숯 패널 장치
KR100775934B1 (ko) * 2005-11-24 2007-11-15 삼보공예(주) 숯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09499A (ko) * 2006-07-24 2008-01-29 송영빈 건축자재 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2090B1 (ko) 201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8065B1 (ko) 친환경 천연흙판의 제조방법
KR100972090B1 (ko) 숯을 이용한 실내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US8927105B2 (en) Biomass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KR101890202B1 (ko) 기능성 이미지 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101415088B1 (ko) 흡음, 단열, 난연, 조습 기능을 갖는 기능성 펄프스프레이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건축재
KR101237015B1 (ko) 건축물의 실내 인테리어 마감재와 그 제조방법
WO2011152570A1 (ko) 건축물 내벽 마감재 제조방법
KR101805269B1 (ko) 기능성 건축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타일의 제조방법
CN201704897U (zh) 具有硅藻泥涂材的墙体结构
KR100479787B1 (ko) 황토판재 제조방법
JP2003080509A (ja) 木質繊維板
KR101859442B1 (ko) 친환경 황토 보드의 제조방법
KR20100106682A (ko) 건축 내장용 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73913A (ko) 황토 판넬 보드
KR20040052778A (ko) 경량 판재 제조 방법 및 그 경량 판재
KR200364458Y1 (ko) 건축용 숯합판
KR20000049399A (ko) 황토을 이용한 다목적 납골함 제조방법
KR20070000047U (ko) 숯이 내장된 타일
KR20100127693A (ko) 붓으로 칠하면 마르면서 벽지가 되는 액상 황토 조성물
KR101057805B1 (ko) 친환경 마감재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361823Y1 (ko) 생황토를 이용한 침대
KR20130012600A (ko) 백토와 천연 소재를 이용한 건강 모르타르와 건강 모르타르 패널의 제조방법
KR20090114503A (ko) 실내 공기 질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기능성 방시공방법
CN104230299A (zh) 一种无机生态墙泥干粉及其生产方法
KR20180003795A (ko) 황토와 소나무 껍질을 활용한 건축 내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7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7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