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9818A - Dust bin for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Dust bin for vacuum clea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99818A KR20090099818A KR1020080025015A KR20080025015A KR20090099818A KR 20090099818 A KR20090099818 A KR 20090099818A KR 1020080025015 A KR1020080025015 A KR 1020080025015A KR 20080025015 A KR20080025015 A KR 20080025015A KR 20090099818 A KR20090099818 A KR 2009009981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cuum cleaner
- handle
- case
- dust container
- foreign mat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63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91—Mounting or coupling means for cyclonic chamber or dust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진공청소기용 먼지통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st container for a vacuum cleaner, which is easily detachable.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장치와, 구동장치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가 통과되는 유로에 구비되어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를 포함한다.In general, the vacuum cleaner includes a driving device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and a filter provided in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introduced by the driving device passes and filters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필터는 공기가 통과되고, 이물질은 통과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필터에 흡착되는 이물질의 양이 소정치 이상 증가되면 필터에 누적된 이물질이 공기의 유로를 막아 흡입력이 약해지므로 필터를 교체해야 한다.The filter is made of a material through which air passes and foreign matter does not pass. If the amount of foreign matter adsorbed on the filter is increased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foreign matter accumulated in the filter blocks the flow path of the air and the suction power is weakened. .
최근에는 사이클론 방식의 먼지통이 개발되어 먼지통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직접 필터를 통과하지 않고, 먼지통으로 유입된 공기가 먼지통 내부에서 회오리 모양으로 유동된 후에 필터를 통과하게 된다.Recently, a cyclone dust box has been developed so that the air flowing into the dust box does not pass directly through the filter, bu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ust box flows through the filter after being flowed in a tornado shape inside the dust box.
이러한 작용에 의해 공기가 먼지통 내부에서 유동되는 동안에 공기 중의 이 물질이 먼지통 바닥면으로 떨어지게 되므로 소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이 1차 포집된다.This action causes foreign matter in the air to fal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while air flows inside the dust container, so that foreign matter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are first collected.
소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이 1차로 걸러진 공기가 필터를 통과하면서 미세먼지가 걸러져 공기 중의 이물질이 먼지통 내부로 포집된다.As the first filtered air of the foreign matter larger than a predetermined size passes through the filter, fine dust is filtered and foreign matter in the air is collected into the dust container.
이러한 작동이 장기간 지속되면 먼지통 내부에 이물질 누적되어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게 되므로 먼지통을 진공청소기로부터 분리하여 먼지통 내부에 누적된 이물질을 제거하여야 한다.If this operation continues for a long time, foreign matters accumulate in the dust bin, which hinders the flow of air. Therefore, the dust bin should be separated from the vacuum cleaner to remove the accumulated foreign matter in the dust bin.
종래 기술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먼지통은 진공청소기로부터 먼지통을 분리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이물질 배출을 위해 먼지통을 진공청소기로부터 분리할 때에 먼지통의 분리작업이 용이치 않은 문제점이 있다.Since the vacuum cleaner dust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es not have a separate means for separating the dust container from the vacuum clean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eparation operation of the dust container is not easy when the dust container is separated from the vacuum cleaner for discharging the foreign matter.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분리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가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용 먼지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dust container for a vacuum cleaner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and easily assembl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이물질이 포집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는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 및 상기 진공청소기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의 결합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착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먼지통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removable vacuum cleaner case is collected foreign matter; A handle provided in the case; And a detachable part provided in the handle and the vacuum cleaner to maintain a coupled state of the cas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손잡이는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먼지통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acuum cleaner dust box,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clined.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케이스에 상기 손잡이가 결합되는 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경사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먼지통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ixing portion to which the handle is coupled, the fix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vacuum cleaner dust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is formed.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손잡이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먼지통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ust chamber for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n elastic material.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착탈부는, 상기 손잡이에 구비되는 걸림돌기; 및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되는 상기 진공청소기에 구비되는 걸림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먼지통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detachable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gaging projection provided on the handle; And it provides a dust chamber for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locking jaw portion provided in the vacuum cleaner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projection.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먼지통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손잡이가 구비됨으로써, 먼지통을 장착할 때에 소정량 변형되는 손잡이에 의해 용이한 결합을 행할 수 있고, 먼지통을 분리할 때에는 손잡이를 잡아당겨 손쉬운 분리작업을 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Vacuum cleaner dust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handl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t can be easily coupled by a handle that is deformed by a predetermined amount when mounting the dust container, and when removing the dust container, pull the handle to easily remove the separation ope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done to facilitate the user.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먼지통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dust container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진공청소기용 먼지통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vacuum cleaner dust box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a user's or operator's intention or custom.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먼지통이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먼지통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먼지통이 도시된 배면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먼지통의 손잡이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a vacuum cleaner dust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A line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vacuum cleaner dust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ust container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le of the dust container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먼지통은 흡입구(12a) 및 토출구(14a)가 구비되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 내부를 구획하고, 통과홀부(54)가 구비되는 제1가이드관(50)과, 케이스(10) 내부 및 제1가이드관(50) 내부를 구획하고, 유입홀부(72)가 구비되는 제2가이드관(70)과, 제2가이드관(70) 내벽을 따라 유동되고, 토출구(14a)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100)를 포함한다.1 to 5, a dust container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itions a
이로써, 흡입구(12a)를 통해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제1가이드관(50) 내부로 유입되면서 1차로 이물질이 걸러지고, 제2가이드관(70) 내부로 유입되면서 2차로 이물질이 걸러지고, 필터(100)를 통과하면서 3차로 이물질이 걸러져 토출구(14a)를 통해 케이스(10) 외부로 배출된다.As a resul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여기서, 케이스(10)는, 흡입구(12a)가 구비되는 본체(12)와, 본체(12)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토출구(14a)가 구비되며, 필터(100)가 수납되는 수납부(14b)를 구비하는 탑플레이트(14)와, 본체(12)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 버(16)를 포함한다.Here, the
이러한 구성에 의해 먼지통 내부를 청소할 때에는 커버(16)를 열어 본체(12) 내부에 누적된 이물질을 꺼낼 수 있고, 탑플레이트(14)에 수납된 필터(100)를 꺼내면 필터(100)의 청소 또는 교체를 행할 수 있게 된다.When cleaning the inside of the dust container by such a configuration, the
또한, 수납부(14b)에는 제2가이드관(70)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관통홀부(14c)가 구비되고, 관통홀부(14c)로부터 연장되는 제3가이드관(90)이 구비되므로 제2가이드관(70)의 내부에서 필터(100) 측으로 유동되는 공기는 제3가이드관(90)의 외벽에 충돌되어 하측 방향으로 유동된 후에 제3가이드관(90)의 하단으로부터 다시 상승하여 필터(100) 측으로 유동된다.In addition, the
이러한 공기의 유동에 의해 공기 중의 이물질은 하측 방향으로 떨어지고, 공기만이 제3가이드관(90)을 따라 상승하게 되므로 이물질을 거르는 작동이 추가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Due to the flow of air, foreign matter in the air falls downward, and only the air rises along the
제1가이드관(70)은, 깔때기 모양을 이루는 경사면(52)과, 경사면(52)에 구비되는 통과홀부(54)와, 흡입구(12a)에 대응되는 경사면(52)에 구비되는 차단부(56)를 포함한다.The
여기서, 흡입구(12a)는 본체(12)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는 위치에 형성되므로 흡입구(12a)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본체(12)의 내벽을 따라 회오리 모양으로 유동되면서 유입된다.Here, since the
흡입구(12a)에 대응되는 차단부(56)에는 통과홀부(54)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차단부(56)에 충돌되는 공기는 제1가이드관(50)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고 경사 면(52)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유동된다.Since the
이렇게 본체(12) 내벽을 따라 회오리 모양으로 유동되는 공기가 본체(12)의 하측으로 하강했다가 상승하면서 소정 크기 이상으로 큰 이물질이 케이스(10) 바닥면, 즉 커버(16)에 떨어져 이물질의 1차 포집이 이루어진다.As the air flowing in the whirlwind shape along the inner wall of the
제2가이드관(70)은, 제3가이드관(90)에 대응되는 유입홀부(72)와, 유입홀부(72)로부터 연장되어 이물질이 흘러내리는 경사부(74)와, 경사부(74)에 구비되어 본체(12)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관(76)을 포함한다.The
이로써, 제1가이드관(50) 내부의 공기가 유입홀부(72)를 통해 제2가이드관(70) 내부로 유입되는데, 유입홀부(72)의 내측에는 팬 모양의 가이드패널(77)이 구비되므로 제2가이드관(7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회오리 모양으로 유동되도록 한다.As a result, the air inside the
이렇게 유동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은 경사부(74)를 따라 하측 방향으로 흘러 구획관(76) 내측으로 포집되어 이물질의 2차 포집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foreign matter in the air flowing in this way flows downward along the
경사부(74)는 구획관(76) 내부로 삽입되므로 구획관(76)과 경사부(74)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어 구획관(76) 내부에 포집된 이물질이 구획관(76)의 내벽을 따라 회오리 모양으로 회전되면서 상승되어도 경사부(76)에 의해 이물질의 상승이 차단되므로 이물질이 필터(100) 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아울러, 경사면(52)과 경사부(74)에 의해 제1가이드관(50)과 제2가이드관(70)이 깔때기 모양을 이루기 때문에 본체(12)와 제1가이드관(50) 사이의 공간, 및 본체(12)와 제2가이드관(70) 사이의 공간이 넓어지게 되므로 본체(12)의 내벽을 따라 유동되는 이물질이 제1가이드관(50)과 접촉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이러한 작동에 의해 공기 중의 이물질이 본체(12)의 하측으로 유동되지 않고 제1가이드관(5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이물질의 1차 포집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By this operation, foreign matter in the air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아울러, 커버(16)에는 유동방지패널(16a)이 구비되므로 커버(16)에 떨어진 이물질이 본체(12)의 내벽을 따라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이물질이 본체(12)의 내벽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포집된 이물질이 필터(100) 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제1가이드관(50)에는 탑플레이트(14)에 결합되는 결합부(58)가 구비되고, 제2가이드관(70)에는 결합부(58)에 체결되는 장착부(78)가 구비되어 탑플레이트(14)에 일체로 결합된다.The
이로써, 제1가이드관(50) 및 제2가이드관(70)을 탑플레이트(14)에 결합한 후에 탑플레이트(14)를 본체(12)에 조립하면 제1가이드관(50) 및 제2가이드관(70)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어 먼지통의 조립을 손쉽게 행할 수 있게 된다.Thus, after the
아울러, 차단부(56)가 흡입구(12a)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장착되게 하는 방향유지부(80)가 구비됨으로써, 제1가이드관(50) 및 제2가이드관(70)은 일정한 방향으로만 본체(12)에 결합될 수 있어 차단부(56)가 흡입구(12a)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In addition, since the
방향유지부(80)는, 결합부(58)에 구비되는 제1돌기(81)와, 제1돌기(81)에 대응되는 장착부(78)에 구비되는 제1홈부(82)와, 장착부(78)에 구비되는 제2돌기(83) 와, 제2돌기(83)에 대응되는 탑플레이트(14)에 구비되는 제2홈부(84)와, 본체(12)에 구비되는 제3돌기(85)와, 제3돌기(85)에 대응되는 탑플레이트(14)에 구비되는 제3홈부(86)를 포함한다.The
이로써, 제1가이드관(50)과 제2가이드관(70)을 결합할 때에 제1돌기(81) 및 제1홈부(82)에 의해 일정한 방향으로 결합되고, 제2가이드관(70)과 탑플레이트(14)를 결합할 때에 제2돌기(83) 및 제2홈부(84)에 의해 일정한 방향으로 결합되고, 탑플레이트(14)와 본체(12)를 결합할 때에 제3돌기(85)와 제3홈부(86)에 의해 일정한 방향으로 결합을 행하게 된다.Thus, when the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진공청소기용 먼지통은 케이스(10)에 구비되는 손잡이(30)와, 손잡이(30) 및 진공청소기에 구비되어 케이스(10)의 결합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착탈부(40)를 포함한다.The dust container for a vacuum clean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
여기서, 손잡이(30)는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먼지통을 진공청소기에 결합할 때에 손잡이(30)가 진공청소기 내측으로 용이하게 슬라이딩되면서 삽입된 후에 착탈부(40)에 의해 먼지통의 결합상태가 유지된다.Here, the
케이스(10)의 탑플레이트(14)에는 수납부(14b)를 밀폐시키는 손잡이프레임(20)이 설치되고, 이 손잡이프레임(20)에는 손잡이(30)가 결합되는 고정부(22)가 형성된다.The
또한, 고정부(22)에는 경사면부가 형성되므로 경사면부에 설치되는 손잡이는 케이스(10)로부터 경사지게 배치되어 먼지통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경사를 이루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is formed in the fixing
아울러, 손잡이(3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착탈부(40)에 의해 진공청소기에 결합될 때에 소정량 변형되면서 용이한 결합을 이룰 수 있게 하고, 먼지통을 분리할 때에는 손잡이(30)를 당겨 변형시키면 먼지통을 진공청소기로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착탈부(40)는, 손잡이(30)에 구비되는 걸림돌기(42)와, 걸림돌기(42)에 대응되는 진공청소기에 구비되는 걸림턱부(44)를 포함한다.The
이로써, 먼지통을 진공청소기에 삽입하면 손잡이(30)가 소정량 변형되면서 걸림돌기(42)가 걸림턱부(44) 내측으로 삽입되고, 먼지통의 안착이 완료되면 복원력에 의해 손잡이(30)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걸림돌기(42)가 걸림턱부(44)에 걸러지게 되어 먼지통의 결합상태가 유지된다.Accordingly, when the dust container is inserted into the vacuum cleaner,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먼지통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dust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진공청소기의 구동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면 흡입력이 발생되어 흡입구(12a)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므로 본체(12) 내벽을 따라 회오리 모양으로 유동되면서 본체(12)의 하측 방향으로 유동되었다가 다시 상승하면서 통과홀부(54)를 통해 제1가이드관(50) 내부로 유입된다.First,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driving device of the vacuum cleaner, suction force is generated and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이때, 흡입구(12a)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편심된 흡입구(12a)에 의해 본체(12) 내벽을 따라 회오리 모양으로 유동되고, 제1가이드관(50) 측으로 직접 유동되는 공기는 차단부(56)에 충돌되어 하측 방향으로 유동되므로 본체(12)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하측 방향으로 하강하였다가 다시 상승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air flowing through the
이러한 공기 유동에 의해 소정 크기 이상으로 큰 이물질은 커버(16) 측으로 떨어져 이물질의 1차 포집이 이루어지게 된다.By the air flow, foreign matter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size fall to the
이렇게 커버(16) 상면으로 떨어진 이물질은 유동방지패널(16a)에 의해 회오리 모양으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본체(12)의 내벽을 따라 유동되지 않아 필터(100) 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foreign matter dropp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제1가이드관(5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유입홀부(72)를 통해 제2가이드관(70) 내부로 유입되는데, 유입홀부(72)에 구비되는 가이드패널(77)에 의해 다시 회오리 모양으로 유동되고, 제2가이드관(70)의 내벽을 따라 유동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은 경사부(74)를 따라 구획관(76) 내부로 떨어져 이물질의 2차 포집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이렇게 구획관(76) 내부로 포집된 이물질은 공기의 유동에 의해 구획관(76)의 내벽을 따라 회오리 모양으로 유동하면서 상승하는데, 경사부(74)의 단부가 구획관(76) 내부로 삽입되어 단차가 형성됨으로써, 구획관(76)이 이물질의 상승을 방지하여 이물질이 필터(100) 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foreign matter collected into the
상기한 바와 같이 제2가이드관(7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제3가이드관(90)의 외벽에 충돌되어 다시 하측 방향으로 하강하였다가 제3가이드관(90)의 개구된 하단으로부터 상승하면서 제3가이드관(90)을 지나 수납부(14b)로 유동된다.As described abov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이때, 공기가 하강하면서 공기 중의 이물질이 구획관(76) 측으로 떨어져 이물질의 3차 포집을 이루게 된다.At this time, as the air descends, foreign matter in the air falls to the
수납부(14b)를 통과하는 공기는 필터(100)를 지나면서 이물질의 4차 포집을 행하게 되고, 토출구(14a)를 통해 먼지통 외부로 배출된다.The air passing through the
상기한 바와 같이 제1가이드관(50), 제2가이드관(70), 및 제3가이드관(90)에 의해 포집되는 이물질은 커버(16)에 떨어지고, 경사부(74), 및 유동방지패널(16a)에 의해 이물질이 필터(100) 측으로 상승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먼지통 내부에 누적되는 이물질이 한계치에 도달할 때까지 필터(100)에 누적되는 이물질의 양은 많지 않게 된다.As described above, foreign matter collected by the
이로써, 누적된 이물질의 양이 한계치에 도달할 때까지 이물질이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이 약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foreign matters can be prevented from obstructing the flow of air until the accumulated amount of foreign matters reaches the limit value, thereby suppressing the weak suction force of the vacuum cleaner.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이 장기간 이루어지게 되면, 먼지통 내부에 누적되는 이물질이 한계치에 도달하게 되므로 먼지통을 진공청소기로부터 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야 한다.If th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is made for a long time, since the foreign matter accumulated in the dust container reaches the limit, the dust container should be separated from the vacuum cleaner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이때, 사용자는 손잡이(30)를 케이스(10) 방향으로 당기면 손잡이(30)가 소정량 변형되면서 걸림돌기(42)가 걸림턱부(44)로부터 이탈되어 먼지통을 쉽게 꺼낼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pulls the
진공청소기로부터 분리한 먼지통은 커버(16)를 개방하여 본체(12) 내부의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고, 손잡이프레임(20)을 탑플레이트(14)로부터 분리하면 필터 케이스(15)를 수납부(14b)로부터 분리하여 필터(100)를 청소 또는 교체할 수 있게 된다.The dust container separated from the vacuum cleaner may open the
이렇게 먼지통의 청소작업을 완료한 후에 먼지통을 진공청소기에 삽입하면 손잡이(30)가 변형되면서 걸림돌기(42)가 걸림턱부(44) 내측으로 삽입되고, 먼지통의 안착이 완료되면 복원력에 의해 손잡이(30)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걸림돌기(42)가 걸림턱부(44)에 걸리게 되어 먼지통의 결합이 완료된다.After the dust box is cleaned, the dust box is inserted into the vacuum cleaner, and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또한, 진공청소기용 먼지통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진공청소기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먼지통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acuum cleaner dust box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is is merely illustrative, and the dust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other products than the vacuum cleaner.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먼지통이 도시된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a dust container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먼지통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ust container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먼지통이 도시된 배면 단면도이다.Figure 4 is a rear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ust container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먼지통의 손잡이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andle of a dust container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케이스 12 : 본체10 case 12: body
12a : 흡입구 14 : 탑플레이트12a: suction port 14: top plate
14a : 토출구 14b : 수납부14a:
15 : 필터 케이스 16 : 커버15: filter case 16: cover
20 : 손잡이프레임 22 : 고정부20: handle frame 22: fixed part
30 : 손잡이 40 : 착탈부30: handle 40: removable parts
42 : 걸림돌기 44 : 걸림턱부42: locking projection 44: locking jaw
50 : 제1가이드관 52 : 경사면50: first guide pipe 52: inclined surface
54 : 통과홀부 56 : 차단부54: through hole 56: cut off
58 : 결합부 70 : 제2가이드관58: coupling portion 70: second guide pipe
72 : 유입홀부 74 : 경사부72: inlet hole 74: inclined portion
76 : 구획관 77 : 가이드패널76: compartment pipe 77: guide panel
78 : 장착부 80 : 방향유지부78: mounting portion 80: direction holding portion
90 : 제3가이드관 100 : 필터90: third guide pipe 100: filter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25015A KR20090099818A (en) | 2008-03-18 | 2008-03-18 | Dust bin for vacuum clea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25015A KR20090099818A (en) | 2008-03-18 | 2008-03-18 | Dust bin for vacuum clean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99818A true KR20090099818A (en) | 2009-09-23 |
Family
ID=41358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25015A Withdrawn KR20090099818A (en) | 2008-03-18 | 2008-03-18 | Dust bin for vacuum clea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99818A (en) |
-
2008
- 2008-03-18 KR KR1020080025015A patent/KR20090099818A/en not_active Withdra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310368C2 (en) | Dust catching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versions) | |
RU2260367C1 (en) |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versions) | |
KR100611067B1 (en) | Cyclone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having same | |
RU2325837C2 (en) | Dust suction unit (options) | |
KR101610186B1 (en) |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having a function of removing dust detached from filter | |
US7879121B2 (en) | Cyclone dust-collecting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 |
RU2253346C1 (en) | Cyclone dust collecting device of vacuum cleaner | |
EP3609379B1 (en) | Cyclone separator and handheld vacuum cleaner | |
EP2218386B1 (en) | Dust-separat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 |
JP6054626B2 (en) | Electric vacuum cleaner | |
RU2302810C2 (en) | Separator and dust collector construction for vacuum-type garbage truck | |
WO2016206759A1 (en) | Arrangement for cleaning a filter of a bag-less container of a vacuum cleaner | |
KR20080032179A (en) |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 |
JP2016154706A (en) | Electric vacuum cleaner | |
EP1776911A2 (en) |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 |
JP6360543B2 (en) | Electric vacuum cleaner | |
KR101010485B1 (en) | Vacuum cleaner | |
KR20090099818A (en) | Dust bin for vacuum cleaner | |
KR100996756B1 (en) | Vacuum cleaner | |
KR20090099817A (en) | Dust bin for vacuum cleaner | |
CN101669790B (en) | Electric vacuum cleaner | |
KR101122730B1 (en) | Device of separation of the garbage for vacuum cleaner | |
KR101327633B1 (en) | Cyclone dust collector | |
KR100672533B1 (en) | Vacuum cleaner | |
KR20140136591A (en) | Cyclone vaccum clea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1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