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2533B1 -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Vacuum clea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72533B1 KR100672533B1 KR1020050000491A KR20050000491A KR100672533B1 KR 100672533 B1 KR100672533 B1 KR 100672533B1 KR 1020050000491 A KR1020050000491 A KR 1020050000491A KR 20050000491 A KR20050000491 A KR 20050000491A KR 100672533 B1 KR100672533 B1 KR 1006725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dust
- air
- discharge port
- primar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64—Mountings or coverplates for complete assembled circuit breakers, e.g. snap mounting in panel
- H01H71/0271—Mounting several complete assembled circuit breakers togeth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07—Mounting or assembl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circuit breaker
- H01H71/0214—Housing or casing lateral walls containing guiding grooves or special mounting facilit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8—Terminals; Connections
- H01H71/082—Connections between juxtaposed circuit breakers
Landscapes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 본체의 후방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이물질을 분리하여 집진하는 집진부와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모터-팬 어셈블리와 상기 모터-팬 어셈블리의 하측에 형성되어 하방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본체 배출구를 포함하는 청소기 본체; 그리고 상기 본체 배출구가 형성되는 청소기 본체의 바닥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 배출구에서 배출되어 하방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안내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의 후방으로 배출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acuum cleaner for discharging air to the rear of a cleaner main body.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vacuum cleaner main body including a dust collecting part for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a motor-fan assembly for forcedly flowing air and a main body discharge port formed below the motor- And a guide member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cleaner main body to which the main body discharge port is formed and guid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main body discharge port downward and discharging the air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of the cleaner.
청소기 본체, 집진장치, 가이드 부재, 헤파 필터, 구획판A cleaner main body, a dust collecting device, a guide member, a hepa filter,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청소기 본체를 나타낸 측면도1 is a side view showing a vacuum cleaner body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구비되는 집진장치와 청소기 본체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a cleaner main body separated from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청소기 본체를 나타낸 종단면도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vacuum cleaner body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구비되는 집진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4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dust collecting apparatus provided in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구비되는 청소기 본체의 하부 케이스를 나타낸 상부 사시도FIG. 5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a lower case of a vacuum cleaner main body provided in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구비되는 하부 케이스의 후방부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r portion of a lower case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청소기 본체의 바닥에 구비되는 가이드 부재를 나타낸 상부 사시도7 is a top perspective view showing a guide member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cleaner main body shown in FIG.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가이드 부재의 저면을 나타낸 저면도8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member shown in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00 : 청소기 본체 200 : 집진장치100: cleaner main body 200: dust collecting device
110 : 호스 연결부 120 : 바퀴 110: hose connection part 120: wheel
130 : 캐스터 140 : 모터-팬 어셈블리130: Caster 140: Motor-fan assembly
150 : 하부 케이스 160 : 본체 배출구150: Lower case 160: Body outlet
170 : 가이드 부재 180 : 헤파필터170: Guide member 180: Hepa filter
210 : 집진 용기 211 : 하부 패널 210: dust collecting container 211: lower panel
212 : 1차 먼지 저장부 213 : 2차 먼지 저장부212: Primary dust storage unit 213: Secondary dust storage unit
214 : 1차 싸이클론부 215 : 2차 싸이클론부214: primary cyclone unit 215: secondary cyclone unit
216 : 경계벽 217 : 유출부216: Perimeter wall 217:
218 : 가이드 리브 219 : 비산 방지부재218: guide rib 219: scattering prevention member
220 : 집진용기 커버 230 : 상부 커버220: dust collecting container cover 230: upper cover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에 관련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청소기 본체의 저면에 배출공기를 후방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가지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cuum cleaner having a guide member for guiding exhaust air backward to a bottom surface of a cleaner main body.
종래의 진공 청소기는, 바닥에 쌓인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 노즐, 이물질을 분리하여 집진하는 집진용기가 구비된 청소기 본체,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에서 흡입된 이물질을 상기 청소기 본체로 안내하는 연결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conventional vacuum cleaner includes a vacuum cleaner main body having a suction nozzle for suck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ccumulated on the floor, a dust collecting container for collecting and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and a connection for guiding the foreign matter sucked from the suction nozzle to the cleaner main body Tube.
여기서, 상기 청소기 본체에는, 공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공기 흡입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청소기 본체의 소정 부위에는 상기 집진용기가 장착되는 집진용기 장착부가 구비된다.Here, the cleaner main body is provided with an air suction device for generating an air suction force, and a dust container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the dust container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cleaner main body.
또한, 상기 청소기 본체의 후방 양측에는 주행 바퀴가 각각 하나씩 구비되고, 상기 청소기 본체의 저면 전방부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방향 전환을 위한 회전 자재의 캐스터가 구비된다.In addition, a driving wheel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ear of the cleaner main body, and a caster of a rotating material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cleaner main body is provided in the fron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leaner main body.
여기서, 상기 캐스터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바닥에서 하향 돌출된 중공형의 연결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Here, the caster is rotatably connected to a hollow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cleaner main body.
그러나,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진공 청소기는, 상기 집진용기에서 이물질이 분리된 공기가 상기 청소기 본체의 하방 또는 측방으로 배출되므로, 청소가 이루어지지 않은 바닥의 먼지가 분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vacuum cleaner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since the air separated from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s discharged to the lower side or the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ust on the bottom not cleaned is dispersed.
또한, 근래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재차 정화하며 탈착이 편리한 필터가 구비된 진공 청소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demand for development of a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a filter that can purify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leaner body again, and which is easy to remov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청소기 본체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후방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가지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cuum cleaner having a guide member for guiding air discharged from a cleaner main body backward.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물질을 분리하여 집진하는 집진부와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모터-팬 어셈블리와 상기 모터-팬 어셈블리의 하측에 형성되어 하방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본체 배출구를 포함하는 청소기 본체; 그리 고 상기 본체 배출구가 형성되는 청소기 본체의 바닥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 배출구에서 배출되어 하방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안내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의 후방으로 배출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ust collecting apparatus including a dust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foreign matter and collecting dust, a motor-fan assembly for forcedly flowing air, and a main discharge port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motor- A cleaner main body; And a guide member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cleaner main body to which the main body discharge port is formed and guid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main body discharge port downward to discharge the cleaned air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of the cleaner .
상기 본체 배출구에는 미세 먼지를 필터링하는 헤파 필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in body discharge port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HEPA filter for filtering fine dust.
그리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하방 유동하는 공기를 후방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판; 그리고 상기 가이드 판의 후단에 구비되어 공기를 후방으로 배출하는 외부배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guide member may include a guide plate for guiding the downwardly flowing air backward; And an external discharge port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guide plate for discharging air backward.
상기 가이드 판은, 상면에 후방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좋다.The guide plate may include at least one guide protrusion having an inclined surface that is inclined upward and rearward on the upper surface.
상기 가이드 판은, 상기 가이드 판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판을 구획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획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The guide plate may include at least one partition plate protrud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plate and formed to be lo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so as to partition the guide plate.
한편, 상기 집진부는, 싸이클론 원리에 의하여 이물질을 분리하는 1차 싸이클론부; 상기 1차 싸이클론부의 상부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다수개의 2차 싸이클론부; 그리고 상기 1차 싸이클론부와 상기 2차 싸이클론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1차 싸이클론부와 상기 2차 싸이클론부에서 각각 분리된 이물질을 저장하는 1차 먼지 저장부와 2차 먼지 저장부를 가지는 먼지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dust collecting unit includes a primary cyclone unit for separating foreign matter by a cyclone principle; A plurality of secondary cyclone portions disposed along an upper periphery of the primary cyclone portion; And a primary dust storage unit provided below the primary cyclone unit and the secondary cyclone unit for storing foreign matters separated by the primary cyclone unit and the secondary cyclone unit, And a dust storage portion having a portion for storing dust.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designation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following.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일 실시예로서 캐니스터형 진공 청소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 to 3, a canister type vacuum cleaner as an embodiment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진공 청소기는, 청소되는 바닥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노즐(미도시), 상기 흡입 노즐과 별개로 구비되는 청소기 본체(100),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과 상기 청소기 본체(100)를 상호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흡입 노즐에서 흡입된 오염공기를 상기 청소기 본체(100)로 안내하는 연결관(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3, the vacuum cleaner includes a suction nozzle (not shown) for sucking air containing foreign matter while moving along a floor to be cleaned, a
여기서, 상기 흡입 노즐의 바닥에는 소정 크기의 노즐 흡입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 내장된 공기 흡입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 흡입력으로 바닥에 쌓인 먼지를 공기와 함께 흡입한다.A nozzle suction port (not shown)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uction nozzle so that the dust accumulated on the floor is sucked together with the air by the air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air suction device built in the cleaner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는, 상기 진공 청소기를 제어하는 전장부, 그리고 상기 공기 흡입장치를 구성하는 모터-팬 어셈블리가 내장된다.The vacuum cleaner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전단 상부에는 상기 연결관이 연결되는 호스 연결부(110)가 구비되고,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후방 양측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100)가 바닥면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120)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바닥 전방부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방향 전환을 위해 회전 자재의 캐스터(caster;130)가 연결된다.
In more detail, a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전방부에는 집진장치(20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흡입노즐에서 흡입된 공기가 상기 연결관을 통해 상기 집진장치(2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여 집진하는 기능을 한다.A
다음으로, 상기 집진장치(20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후방부 내측에 형성된 소정의 유로와 상기 모터-팬 어셈블리(140)를 지나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후방으로 배출된다.The air discharged from the
한편, 상기 연결관은, 일단이 상기 흡입 노즐에 연결되는 단단한 재질의 연장관, 일단이 상기 연장관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전방에 구비된 상기 호스 연결부(110)에 연결되는 유연한 재질의 연결호스, 그리고 상기 연장관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연결관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nnecting pipe is connected to th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구비되는 집진 장치(200)의 일 실시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집진 장치(200)는, 대략 원통 형상의 집진용기(210), 상기 집진용기(210)의 일단,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집진용기(210)의 상단을 개폐하는 집진용기 커버(220), 그리고 상기 집진용기 커버(2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 집진 장치 손잡이(231)가 구비된 상부 커버(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4, the
여기서, 상기 집진용기(210)의 내부에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분리하여 집진하는 1차 집진부와 2차 집진부가 구비되며, 상기 집진용기(210)의 바닥은 개폐 가능한 하부 패널(211)로 구성된다.
The
그리고, 상기 1차 집진부는 1차 먼지 분리부와 1차 먼지 저장부(2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집진용기(210)의 내측에 제공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상의 용기로 구성된다.The primary dust collection unit includes a primary dust separation unit and a primary
또한, 상기 2차 집진부는, 상기 1차 집진부의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1차 집진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하는 2차 먼지 분리부와 2차 먼지 저장부(2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secondary dust collection unit includes a secondary dust separation unit and a secondary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1차 먼지 분리부와 상기 2차 먼지 분리부는, 각각 싸이클론 방식으로 이물질을 분리하는 1차 싸이클론부(214)와 다수개의 소형 2차 싸이클론부(215)들로 구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mary dust separator and the secondary dust separator may include a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는 하단이 개방된 원통 용기 형상으로서, 상부 측면에는 상기 호스 연결부(210)와 연통하는 제 1 흡입구(214a)가 형성되고,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천장 중앙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제 1 배기구(214b)가 형성된다.In more detail, the
여기서, 상기 제 1 흡입구(214a)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오염공기를 상기 1차 싸이클론부의 접선방향으로 안내하여, 상기 제 1 흡입구(214a)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 내벽을 따라 나선 유동을 하도록 구성된다.The
그리고,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상부에는, 상기 집진용기(210)의 외벽과 일체로 형성되는 소형의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들이 상기 1차 싸이클론부의 상부 둘레에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각 2차 싸이클론부(215)의 상단은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상단에서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된다.
A small
한편,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상단 위로 돌출된 상기 각 2차 싸이클론부(215)의 측면 중 일부는 상하 방향으로 절개되어, 상기 제 1 배기구(214b)와 연통하는 제 2 흡입구(미도시)를 형성하며, 상기 각 2차 싸이클론부(215)의 상단은 개방되어 제 2 배기구(미도시)를 형성한다.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each
그리고,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의 하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콘 부(215a)가 형성되며,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의 하단은 먼지 등의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된 이물질 배출구(215b)가 형성된다.A lower portion of the
여기서, 인접하는 2차 싸이클론부(215)들은 상호 접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 사이로 공기가 유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Here, adjacent
그리고,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들의 상부에는 상기 집진용기 커버(220)가 장착된다.The dust collecting
상기 집진용기 커버(220)의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각 2차 싸이클론부의 제 2 배기구들에 각각 대응되는 제 3 배기구(221)들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Third exhaust ports 221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xhaust ports of the respective secondary cyclone portions are vertically formed in the edge portions of the
다음으로, 상기 집진용기 커버(220)의 상부에는, 하단이 개방된 상기 상부 커버(230)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Next, the
이를 위하여, 상기 집진용기 커버(220)의 외주면에는 세 개의 걸림 돌기(미도시)들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커버(230)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 돌기들이 삽입되어 걸림되는 세개의 걸림홈(미도시)들이 형성된다. Three catching protrusions (not shown)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그리고, 상기 상부 커버(230)의 후방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후방부에 형성된 소정의 유로로 공기를 배출하는 제 4 배기구(232)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커버(230)의 내측에는 상기 제 4 배기구(232)와 연통하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A
또한, 상기 상부 커버(230)의 내측 공간에는, 상기 제 3 배기구(221)들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 먼지를 필터링하는 필터(미도시)를 수용하는 필터 수용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a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a filter (not shown) for filtering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third exhaust ports 221 is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1차 싸이클론부(214)와 2차 싸이클론부(215)에서 분리된 먼지는 상기 집진용기(210)의 외벽과 상기 하부 패널(211)에 의해 형성되는 먼지 저장부에 저장된 후, 상기 하부 패널(211)이 열리면 중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The dust separated from the
상기 먼지 저장부는 전술한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2)와 2차 먼지 저장부로 구성되며,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2)는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고, 상기 2차 먼지 저장부(213)는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한다.The dust storage unit includes the primary
여기서,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2)와 상기 2차 먼지 저장부(213)는,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들의 하부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집진용기의 외벽보다 반지름이 작은 대략 원통 형상의 경계벽(216)으로 구획된다.The primary
상기 경계벽(216)의 하단은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하단보다 하방으로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집진용기(210)의 바닥, 즉 상기 하부 패널(211)의 상면까지 연장된다.The lower end of the
이에 따라, 상기 경계벽(216)은,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2)와 상기 2차 먼지 저장부(213)가 서로 연통하는 것을 방지한다.
Accordingly, the
그리고, 상기 경계벽(216)은 원주 방향으로 굴곡진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그 이유는,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에서 형성된 나선류에 의하여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2)에 저장된 먼지가 나선류에 의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o prevent the dust stored in the primary
상기의 구성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내부에 수직하게 구비되며, 그 측면에는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제 1 배출구와 연통하는 다수개의 통공들이 형성된 유출부(217), 그리고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흡입구(214a)로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 리브(218)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vertically inside the
여기서, 상기 유출부(217)는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중심에 축 방향으로 구비되며,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이 밀폐된 형상으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대략 원추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그 이유는,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하방으로 갈수록 나선류의 속도가 감소하므로,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내벽을 따라 하강하는 먼지가 상기 유출부(217)의 흡입력에 의해 영향을 받지않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because the velocity of the spiral flow decreases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그리고, 상기 유출부(217)의 상단은 상기 제 1 배기구(214b)의 테두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유출부(217)의 상단과 상기 제 1 배기구(214b) 사이에는 기밀성을 유지하는 환형의 씰링(sealing) 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end of the
또한, 상기 유출부(217)의 하부에는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2)에서 저장된 먼지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비산 방지부재(219)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a
상기 비산 방지부재(219)는 상기 1차 먼지 저장부에 포집된 먼지가 나선류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The
여기서, 싱기 비산 방지부재(219)의 상면은 하향 경사진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비산 방지부재(219)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Here, the upper surface of the sinker scattering-preventing
그리고, 상기 가이드 리브(218)는, 상기 제 1 흡입구(214a)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 내벽의 접선 방향으로 안내하여, 상기 제 1 흡입구(214a)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유출부(217)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The
한편, 상기 집진장치(200)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후방부에 구비되는 소정의 유로와 상기 모터-팬 어셈블리(140)를 지나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후방으로 배출된다.The air discharged from the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모터-팬 어셈블리(140)는, 상기 모터-팬 어셈블리(140)를 수용하며 바닥에 그릴형의 통풍구가 형성된 모터-팬 케이스(141)에 수용되고, 상기 모터-팬 케이스(141)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하부 케이스(150)에 하단이 지지되는 상태로 안착된다.5 to 8, the motor-
그리고, 상기 모터-팬 케이스(141)의 하측, 즉 상기 청소기 본체의 하부 케이스(150)에는 하방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본체 배출구(160)가 형성된다.A main
또한, 상기 본체 배출구(160)가 형성되는 상기 하부 케이스(150)의 바닥, 다 시 말해서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바닥에는, 상기 본체 배출구(160)에서 배출되어 하방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안내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후방으로 배출하는 가이드 부재(17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ottom of the
그 이유는, 상기 본체 배출구(160)를 통해 공기가 청소되는 바닥을 향해 하방으로 직접 배출되면, 바닥의 먼지가 비산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air is directly discharged downward through the main
이를 위하여, 상기 가이드 부재(170)는, 상기 하방 유동하는 공기를 후방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판(171), 그리고 상기 가이드 판(171)의 후단에 구비되어 공기를 후방으로 배출하는 외부 배출구(1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여기서, 상기 가이드 판(171)의 상면에는 후방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173)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At this time, at least on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판(171)의 상면 양측에 각각 하나씩의 가이드 돌기(173)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173)의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 부재(170)를 상기 하부 케이스(150)의 바닥에 고정하는 후크와 같은 고정 장치(174)들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부재(170)의 전단에는 상기 하부 케이스에 걸림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부(175)가 구비된다.One
또한, 상기 가이드 판(171)의 상면에는 상방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구획판(176)이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판(171)을 구획한다.At least one
상기 구획판(176)은 상기 가이드 부재(170)와 상기 하부 케이스(150)의 저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 배출 공간을 세분화하여, 난류를 방지한다.The
한편, 상기 본체 배출구(160)에는 미세 먼지를 필터링하는 헤파 필터(18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헤파 필터(180)는 상기 가이드 부재(170)에 의해 지지되어 이탈이 방지된다.The main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먼저, 상기 진공 청소기가 동작되면, 상기 흡입 노즐과 상기 연결관을 통해 외부의 오염공기가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로 유입된다.First, when the vacuum cleaner is operated, contaminated air from the outside flows into the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제 1 흡입구(214a)와 상기 가이드 리브(218)에 의해 상기 유출부(217)로 직접 유입되지 않고 상기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내벽에 접선 방향으로 안내되어 나선류를 형성하게 된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이에 따라, 무게가 비교적 무겁고 큰 먼지들이 싸이클론 원리에 의하여 분리되어 하강하면서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2)에 저장되고, 상기 1차 먼지 저장부에 저장되는 먼지는 상기 비산 방지부재(219)와 굴곡진 형상의 경계벽(216)에 의해 비산이 방지된다.Accordingly, the dust, which is relatively heavy and heavy, is separated and descended by the cyclone principle and stored in the primary
그리고, 비교적 큰 먼지들이 분리된 공기는 상기 유출부(217)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공과 연통하는 상기 제 1 배기구(214b)로 배출된 후, 다수개의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로 유입되어 다시 먼지 분리과정을 거친다.The air having relatively large dusts is discharged to the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에서 비교적 작은 먼지들이 분리된 공기는, 상기 제 3 배기구(221)를 통해 상기 상부 커버(230)의 내부로 유입된다.Air having relatively small dusts separated at the
상기 상부 커버(230)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 4 배기구(232)를 통해 후방으로 배출된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다음으로, 상기 제 4 배기구(232)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청소기 본체(100) 의 후방부에 형성된 소정의 유로와 상기 모터-팬 어셈블리(140)를 지나 상기 본체 배출구(160)를 통해 하방으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헤파 필터(180)에서 재차 정화된 후, 상기 가이드 부재(170)에 의해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후방으로 배출된다.The air discharged from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obvious to them.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는, 상기 본체 배출구를 통해 하방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후방으로 안내하여 배출하는 가이드 부재가 구비되어, 청소가 이루어지지 않은 바닥에 쌓인 이물질의 분산을 방지한다.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guide member for guiding and discharging the air discharged downward through the main body discharge port to the rear so as to prevent dispersion of the foreign matter accumulated on the undeveloped floor.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본체 배출구에 헤파필터가 구비되어, 먼지 제거 성능이 향상된다.Further, a HEPA filter is provided at the main body discharge port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dust removing performan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본체 배출구에 구비되는 헤파필터는 하 부에서 탈착되는 가이드 부재에 의해 지지되므로, 상기 헤파필터의 교체나 청소를 위한 필터의 탈착이 용이하다.Further, since the HEPA filter provided at the main body discharge port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orted by the guide member which is detached from the lower part, it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the filter for replacement or cleaning of the HEPA filter.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00491A KR100672533B1 (en) | 2005-01-04 | 2005-01-04 | Vacuum clea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00491A KR100672533B1 (en) | 2005-01-04 | 2005-01-04 | Vacuum clea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80034A KR20060080034A (en) | 2006-07-07 |
KR100672533B1 true KR100672533B1 (en) | 2007-01-24 |
Family
ID=37171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00491A Expired - Fee Related KR100672533B1 (en) | 2005-01-04 | 2005-01-04 | Vacuum clea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72533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15541A (en) * | 1996-08-22 | 1998-05-25 | 김광호 | Circuit switching equipment using signal bits in digital multiplexing equipment |
JP2000262438A (en) * | 1999-03-19 | 2000-09-26 | Mitsubishi Electric Corp | Vacuum cleaner |
-
2005
- 2005-01-04 KR KR1020050000491A patent/KR10067253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15541A (en) * | 1996-08-22 | 1998-05-25 | 김광호 | Circuit switching equipment using signal bits in digital multiplexing equipment |
JP2000262438A (en) * | 1999-03-19 | 2000-09-26 | Mitsubishi Electric Corp | Vacuum cleaner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12262438 * |
201998001554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80034A (en) | 2006-07-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76267B2 (en) | Filter cartridge for vacuum cleaner | |
JP4084323B2 (en) | Dust collection unit of vacuum cleaner | |
KR100651907B1 (en) | Vacuum cleaner | |
KR100640830B1 (en) |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 |
KR100964699B1 (en) |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 |
KR100934668B1 (en) |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 |
KR100546629B1 (en) |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 |
KR100577280B1 (en) | Vacuum cleaner | |
KR100577278B1 (en) | Vacuum cleaner | |
KR100546622B1 (en) |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 |
KR100672533B1 (en) | Vacuum cleaner | |
KR100546627B1 (en) |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 |
KR100546625B1 (en) |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 |
KR100577279B1 (en) | Vacuum cleaner | |
KR100546628B1 (en) |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 |
KR100577275B1 (en) | Vacuum cleaner | |
KR101208493B1 (en) |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 |
KR100617093B1 (en) |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 |
KR100617131B1 (en) |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 |
KR100628060B1 (en) | Vacuum cleaner | |
KR100628044B1 (en) | Vacuum Cleaner | |
KR100628082B1 (en) | Vacuum cleaner | |
KR100577277B1 (en) | Vacuum cleaner | |
KR100577276B1 (en) | Vacuum cleaner | |
KR100640829B1 (en) | Vacuum clea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104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5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01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1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2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2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2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2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1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