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2592A -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제조방법과 이로부터 제조된막전극 접합체 및 연료전지 - Google Patents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제조방법과 이로부터 제조된막전극 접합체 및 연료전지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92592A KR20090092592A KR1020080017918A KR20080017918A KR20090092592A KR 20090092592 A KR20090092592 A KR 20090092592A KR 1020080017918 A KR1020080017918 A KR 1020080017918A KR 20080017918 A KR20080017918 A KR 20080017918A KR 20090092592 A KR20090092592 A KR 2009009259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ymer
- electrolyte membrane
- fuel cell
- electrode assembly
- catalyst lay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8803—Supports for the deposition of the catalytic active composition
- H01M4/881—Electrolytic membran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8878—Treatment steps after deposition of the catalytic active composition or after shaping of the electrode being free-standing body
- H01M4/8882—Heat treatment, e.g. drying, bak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2—Metals of platinum grou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2—Metals of platinum group
- H01M4/925—Metals of platinum group supported on carriers, e.g. powder carriers
- H01M4/926—Metals of platinum group supported on carriers, e.g. powder carriers on carbon or graphit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4—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membrane-electrode assemblies [MEA]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Fuel Cell (AREA)
- Inert Electrode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3)
- (S1) 전해질막 제조용 고분자 용액을 기판 상에 캐스팅하는 단계;(S2) 상기 캐스팅된 전해질막 제조용 고분자 용액을 완전 건조 되지 않도록 1차 건조하는 단계; 및(S3) 상기 1차 건조된 전해질막에 제 1 전극용 촉매층을 적층하고 완전 건조시켜 제 1 고분자 전해질막 일면에 촉매층을 형성시키는 단계;(S4) 상기 제 1 고분자 전해질막과 상기 (S1) 내지 (S3) 단계를 동일하게 거쳐 제조된, 제 2 전극용 촉매층이 형성된 제 2 고분자 전해질막을 상기 각각의 고분자 전해질막의 촉매층이 형성되지 않은 면이 서로 맞닿도록 하여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해질막 제조용 고분자는 퍼플루오르술폰산계 고분자, 탄화수소계 고분자,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술폰계 고분자,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고분자, 폴리페닐렌옥사이드계 고분자, 폴리포스파젠계 고분자,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계 고분자,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 도핑된 폴리벤즈이미다졸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케톤계 고분자 및 폴리술폰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의 고분자로 제조되는 단일 공중합체, 교대 공중합체, 랜덤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멀티블록 공중합체 또는 그라프트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해질막 제조용 고분자는 술폰화 폴리아릴렌에테르계 고분자, 술폰화 폴리에테르케톤계 고분자, 술폰화 폴리아미드계 고분자, 술폰화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술폰화 폴리포스파젠계 고분자, 술폰화 폴리스티렌계 고분자 및 방사선 중합된 술폰화 저밀도폴리에틸렌-g-폴리스티렌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의 고분자로 제조되는 단일 공중합체, 교대 공중합체, 랜덤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멀티블록 공중합체 또는 그라프트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S2) 단계의 1차 건조 단계는 30~50℃에서 0.1~3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S3) 단계에서 전해질막의 일면에 촉매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은, 촉매층이 기체확산층에 먼저 도포된 후에 1차 건조된 전해질막에 적층시키는 방법; 또는, 1차 건조된 전해질막에 촉매층이 먼저 적층된 후에 기체확산층이 상기 촉매층 상에 적층되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S3) 단계에서 완전 건조 공정은 60~300℃에서 0.5~24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촉매층은 금속촉매 또는 탄소계 지지체에 담지된 금속 촉매; 폴리머 이오노머; 및 용매를 포함하는 촉매층 형성용 잉크를 전해질막 또는 기체확산층에 도포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 제7항에 있어서,상기 금속 촉매는 백금, 루테늄, 오스뮴, 백금-루테늄 합금, 백금-오스뮴 합금, 백금-팔라듐 합금, 백금-몰리브덴 합금, 백금-로듐 합금 및 백금-전이금속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 제7항에 있어서,상기 탄소계 지지체는 흑연, 카본 블랙, 아세틸렌 블랙, 덴카 블랙, 캐천 블랙, 활성 카본, 중다공성 카본, 탄소나노튜브, 탄소나노섬유, 탄소나노혼, 탄소나노링, 탄소나노와이어, 플러렌(C60) 및 수퍼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 제7항에 있어서,상기 폴리머 이오노머는 나피온 이오노머 또는 술포네이티드 폴리트리플루오로스티렌과 같은 술폰화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 제7항에 있어서,상기 용매는 물, 부탄올, 이소프로판올,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n-부틸 아세테이트 및 에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S4) 단계에서 고분자 전해질막의 접착은 접착제 접착, 열융착, 전기융착, 초음파 융착 또는 고주파 융착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막전극 접합체와 상기 막전극 접합체들 사이에 개재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스택;연료를 상기 스택으로 공급하는 연료공급부; 및산화제를 상기 스택으로 공급하는 산화제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17918A KR101127343B1 (ko) | 2008-02-27 | 2008-02-27 |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제조방법과 이로부터 제조된막전극 접합체 및 연료전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17918A KR101127343B1 (ko) | 2008-02-27 | 2008-02-27 |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제조방법과 이로부터 제조된막전극 접합체 및 연료전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92592A true KR20090092592A (ko) | 2009-09-01 |
KR101127343B1 KR101127343B1 (ko) | 2012-07-06 |
Family
ID=41301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17918A Active KR101127343B1 (ko) | 2008-02-27 | 2008-02-27 |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제조방법과 이로부터 제조된막전극 접합체 및 연료전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27343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280931A (zh) * | 2014-07-25 | 2016-01-27 | 清华大学 | 燃料电池膜电极 |
KR20200071199A (ko) * | 2018-12-10 | 2020-06-19 | 한국과학기술원 |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막전극 집합체 및 그 제조방법 |
KR20220018348A (ko) * | 2020-08-06 | 2022-02-15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복합 분리막 및 복합 분리막의 제조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35525B1 (ko) | 2017-05-18 | 2021-12-0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이종 바인더 적용 수소연료전지용 전극막 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전극막 접합체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303599A (ja) | 2002-04-10 | 2003-10-24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燃料電池用電解質膜電極接合体の製造方法 |
JP5319061B2 (ja) | 2006-10-31 | 2013-10-16 | 株式会社カネカ | 膜電極接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燃料電池 |
-
2008
- 2008-02-27 KR KR1020080017918A patent/KR101127343B1/ko active Active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280931A (zh) * | 2014-07-25 | 2016-01-27 | 清华大学 | 燃料电池膜电极 |
KR20200071199A (ko) * | 2018-12-10 | 2020-06-19 | 한국과학기술원 |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막전극 집합체 및 그 제조방법 |
KR20220018348A (ko) * | 2020-08-06 | 2022-02-15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복합 분리막 및 복합 분리막의 제조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27343B1 (ko) | 2012-07-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00196594A1 (en) | Membrane-electrode assembly for fuel cell and fuel cell system comprising same | |
US8323848B2 (en) | Membrane-electrode assembly for fuel cell, preparation method, and fuel cell comprising the same | |
JPWO2004051776A1 (ja) | 固体高分子電解質膜、当該膜を用いた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KR101267786B1 (ko) | 촉매층 형성용 파우더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 |
KR101297170B1 (ko) |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 |
KR20110043908A (ko) |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막전극접합체 제조 방법 | |
US10868311B2 (en) | Membrane-electrode assembly for fuel cell,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fuel cell system comprising same | |
KR20170079591A (ko) | 연료전지용 전극 형성용 조성물, 연료전지용 전극, 막-전극 접합체와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 |
KR101127343B1 (ko) |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제조방법과 이로부터 제조된막전극 접합체 및 연료전지 | |
JP2005108770A (ja) | 電解質膜電極接合体の製造方法 | |
KR101312971B1 (ko) | 불소계 이오노모를 이용하여 표면 개질한 탄화수소계 고분자 전해질 분리막, 막 전극 접합체 및 연료전지 | |
KR101936549B1 (ko) | 수소 저투과성 고분자 전해질막, 및 이를 이용한 막 전극 접합체 | |
KR101135477B1 (ko) | 다공성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용고분자 전해질막,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 |
JP4392222B2 (ja) | 膜−電極構造体の製造方法 | |
KR101229597B1 (ko) |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연료전지 | |
KR101715447B1 (ko) | 막 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막 전극 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 |
KR20170136372A (ko) | 강화막, 이를 포함하는 막 전극 접합체 및 연료 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153074B1 (ko) |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제조방법과 이로부터 제조된 연료전지 | |
KR20170112542A (ko) |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758960B1 (ko) | 전해질 막,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막 전극 접합체와 연료전지 | |
KR20190088723A (ko) | 막 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및 적층체 | |
KR101343077B1 (ko) | 연료 전지용 전극,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및 연료 전지 시스템 | |
KR102706751B1 (ko) | 전해질 막의 제조방법 | |
JP4271390B2 (ja) |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用電極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 | |
KR102083052B1 (ko) | 막 전극 접합체,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2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12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2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6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3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3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1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2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