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9591A - 연료전지용 전극 형성용 조성물, 연료전지용 전극, 막-전극 접합체와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 Google Patents
연료전지용 전극 형성용 조성물, 연료전지용 전극, 막-전극 접합체와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79591A KR20170079591A KR1020150190333A KR20150190333A KR20170079591A KR 20170079591 A KR20170079591 A KR 20170079591A KR 1020150190333 A KR1020150190333 A KR 1020150190333A KR 20150190333 A KR20150190333 A KR 20150190333A KR 20170079591 A KR20170079591 A KR 2017007959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fuel cell
- solvent
- composition
- membran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663—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catalytic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8825—Methods for deposition of the catalytic active composi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8878—Treatment steps after deposition of the catalytic active composition or after shaping of the electrode being free-standing body
- H01M4/8882—Heat treatment, e.g. drying, bak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4—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membrane-electrode assemblies [MEA]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 Y02E60/521—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 Inert Electro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연료전지용 전극은 기존 데칼 공정에 추가적인 처리 공정 없이도 종래의 낮은 전사율을 보였던 탄화수소계 막을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 막에 대하여 획기적인 전사율 향상을 보여 저렴한 탄화수소계 막을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고분자 전해질 막과의 접합성이 우수하여 연료전지 운전 시에 고분자 전해질 막에서 탈락되어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가혹한 운전 환경에서도 탈락되지 않기 때문에 높은 내구성을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의 모식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막-전극 접합체의 사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서 제조된 막-전극 접합체의 사진이다.
130 : 고분자 전해질 막 140 : 전사기기
150 : 막-전극 접합체
200 : 연료전지
210 : 연료 공급부 220 : 개질부
230 : 스택 231 : 제 1 공급관
232 : 제 2 공급관 233 : 제 1 배출관
234 : 제 2 배출관 240 : 산화제 공급부
Claims (17)
- 촉매,
제 1 용매, 그리고
상기 제 1 용매와 서로 상이한 종류의 제 2 용매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극 형성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매는 물, C1~5의 알코올, C1~5의 케톤, C1~5의 알데히드, C1~5의 카보네이트, C1~5의 카르복실레이트, C1~5의 카르복실산, C1~5의 에테르, C1~5의 아미드,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연료전지용 전극 형성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매를 전체 전극 형성용 조성물 중량대비 20 내지 9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인 연료전지용 전극 형성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매는 에톡시 에탄올, N-메틸피롤리돈, 글라이콜 계열 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연료전지용 전극 형성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매를 전체 전극 형성용 조성물 중량대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인 연료전지용 전극 형성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형성용 조성물은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더 포함하는 것인 연료전지용 전극 형성용 조성물. - 제1항의 전극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시켜 제조된 연료전지용 전극.
- 제7항의 연료전지용 전극을 고분자 전해질막에 접합시킨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의 유리전이온도는 250 내지 280 ℃ 인 것인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 (a) 촉매, 제 1 용매 및 상기 제 1 용매와 서로 상이한 종류의 제 2 용매를 포함하는 전극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그리고
(b) 상기 전극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시켜 전극을 제조하는 단계, 그리고
(c) 상기 전극을 고분자 전해질 막에 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매는 물, C1~5의 알코올, C1~5의 케톤, C1~5의 알데히드, C1~5의 카보네이트, C1~5의 카르복실레이트, C1~5의 카르복실산, C1~5의 에테르, C1~5의 아미드,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매를 전체 전극 형성용 조성물 중량대비 20 내지 9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인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매는 에톡시 에탄올, N-메틸피롤리돈, 글라이콜 계열 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매를 전체 전극 형성용 조성물 중량대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인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형성용 조성물의 건조는 25 내지 90 ℃에서 12시간 이상 건조시키는 것인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하는 단계는 80 내지 150 ℃, 50 내지 200 kgf/cm2의 조건에서 수행되는 것인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 제7항의 연료전지용 전극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90333A KR20170079591A (ko) | 2015-12-30 | 2015-12-30 | 연료전지용 전극 형성용 조성물, 연료전지용 전극, 막-전극 접합체와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90333A KR20170079591A (ko) | 2015-12-30 | 2015-12-30 | 연료전지용 전극 형성용 조성물, 연료전지용 전극, 막-전극 접합체와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79591A true KR20170079591A (ko) | 2017-07-10 |
Family
ID=59356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90333A Ceased KR20170079591A (ko) | 2015-12-30 | 2015-12-30 | 연료전지용 전극 형성용 조성물, 연료전지용 전극, 막-전극 접합체와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79591A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86237A (ko) * | 2018-01-12 | 2019-07-2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고분자 전해질막, 막-전극 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
CN114023974A (zh) * | 2021-11-08 | 2022-02-08 | 重庆大学 | 一种性能可控的多用途气体扩散电极的制备方法及其产品和应用 |
KR20220017620A (ko) * | 2020-08-05 | 2022-02-14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지방족 사슬을 포함하는 폴리아릴렌에테르계 고분자, 그를 포함하는 전해질막, 및 그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
US11349139B2 (en) | 2018-01-26 | 2022-05-31 | Lg Chem, Ltd. | Method for preparing catalyst layer, catalyst layer, and membrane-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same and fuel cell |
KR20230080730A (ko) * | 2021-11-30 | 2023-06-07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지방족 사슬을 포함하는 폴리아릴렌에테르계 고분자, 그를 포함하는 전해질막, 및 그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
KR20240045192A (ko) * | 2018-07-31 | 2024-04-0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연료전지용 촉매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막-전극 접합체 및 연료전지 |
-
2015
- 2015-12-30 KR KR1020150190333A patent/KR20170079591A/ko not_active Ceased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86237A (ko) * | 2018-01-12 | 2019-07-2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고분자 전해질막, 막-전극 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
US11349139B2 (en) | 2018-01-26 | 2022-05-31 | Lg Chem, Ltd. | Method for preparing catalyst layer, catalyst layer, and membrane-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same and fuel cell |
KR20240045192A (ko) * | 2018-07-31 | 2024-04-0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연료전지용 촉매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막-전극 접합체 및 연료전지 |
KR20220017620A (ko) * | 2020-08-05 | 2022-02-14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지방족 사슬을 포함하는 폴리아릴렌에테르계 고분자, 그를 포함하는 전해질막, 및 그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
US11670791B2 (en) | 2020-08-05 | 2023-06-06 |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Polyarylene ether-based polymer containing aliphatic chain, electrolyte membrane including the same, and membrane-electrode assembly including the electrolyte membrane |
CN114023974A (zh) * | 2021-11-08 | 2022-02-08 | 重庆大学 | 一种性能可控的多用途气体扩散电极的制备方法及其产品和应用 |
KR20230080730A (ko) * | 2021-11-30 | 2023-06-07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지방족 사슬을 포함하는 폴리아릴렌에테르계 고분자, 그를 포함하는 전해질막, 및 그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
WO2023101449A1 (ko) * | 2021-11-30 | 2023-06-08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지방족 사슬을 포함하는 폴리아릴렌에테르계 고분자, 그를 포함하는 전해질막, 및 그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41882B1 (ko) | 혼합 촉매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전극 형성용 조성물, 연료전지용 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 |
JP2020145210A (ja) | 電極の製造方法、これによって製造された電極、前記電極を含む膜−電極アセンブリー、そして前記膜−電極アセンブリーを含む燃料電池 | |
KR102189064B1 (ko) | 전극의 제조 방법, 이에 의하여 제조된 전극, 상기 전극을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 |
KR101297170B1 (ko) |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 |
KR20170079591A (ko) | 연료전지용 전극 형성용 조성물, 연료전지용 전극, 막-전극 접합체와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 |
KR20110043908A (ko) |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막전극접합체 제조 방법 | |
CN1913206A (zh) | 膜电极组件及其制备方法以及包含它的燃料电池系统 | |
US10868311B2 (en) | Membrane-electrode assembly for fuel cell,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fuel cell system comprising same | |
KR102119393B1 (ko) | 전극과 전극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 |
KR101561101B1 (ko) | 고분자촉매슬러리조성물, 다공성 전극,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및 그 제조방법 | |
KR101127343B1 (ko) |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제조방법과 이로부터 제조된막전극 접합체 및 연료전지 | |
KR101351392B1 (ko) | 연료 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 및 연료 전지 시스템 | |
KR20180036212A (ko) | 전극의 제조 방법, 이에 의하여 제조된 전극, 상기 전극을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 |
KR100612233B1 (ko) |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연료전지 | |
KR20090055304A (ko) |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 |
KR20080047765A (ko) |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 |
KR100759436B1 (ko) |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 |
KR20170112542A (ko) |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090032772A (ko) |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 |
KR101035620B1 (ko) | 연료전지용 전극,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 연료전지용전극의 제조방법 | |
KR100578977B1 (ko) | 연료전지용 전극,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 연료전지용전극의 제조방법 | |
KR20080044495A (ko) |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제조된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 |
KR101343077B1 (ko) | 연료 전지용 전극,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및 연료 전지 시스템 | |
KR20070108009A (ko) |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이로부터제조된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시스템 | |
KR20090039423A (ko) |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9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12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007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12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