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90489A - 통계적 분석을 통한 가축의 전염병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통계적 분석을 통한 가축의 전염병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0489A
KR20090090489A KR1020080015727A KR20080015727A KR20090090489A KR 20090090489 A KR20090090489 A KR 20090090489A KR 1020080015727 A KR1020080015727 A KR 1020080015727A KR 20080015727 A KR20080015727 A KR 20080015727A KR 20090090489 A KR20090090489 A KR 20090090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stock
health
disease
health status
inform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5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민수
Original Assignee
(주)야긴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야긴스텍 filed Critical (주)야긴스텍
Priority to KR1020080015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0489A/ko
Publication of KR20090090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048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6File or folder operations, e.g. details of user interfaces specifically adapted to file systems
    • G06F16/164File meta data gen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iophys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복수개의 축사에 사육중인 가축들의 개체별 가축의 건강상태 측정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노드(100); 센서노드(100)들에 대한 네트워크를 설정 관리하고 각 센서노드(100)들의 동작을 제어하며 센서노드(100)의 건강상태 측정정보를 수신 관리하는 게이트웨이(210)와 센서노드(100)의 건강상태 측정정보를 가공 관리하고 사용자가 정의한 상황모델 정보와 일치도 여부를 분석하는 질병관리서버(220)로 구성된 미들웨어(200); 및 미들웨어(200)에 네트워크 연동되어 해당 가축의 질병 발생 유무를 판단하는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300)을 포함하고, 질병관리서버(220)는, 상기 건강상태 측정정보를 센서노드(100)별 또는 게이트웨이(210)별로 분류하여 로그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는 로깅부(222); 상기 건강상태 측정정보를 사용자에 의하여 정의된 패턴으로 가공하여 건강상태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필터링부(223); 상기 건강상태 측정정보와 비교 분석을 통하여 해당 가축의 질병 발생 유무를 판단하도록 해당 가축의 체온, 맥박 및 호흡수에 대한 평균적 사전 정보를 입수하여 각 개체별 건강상태 평균(통계)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추론부(224); 및 상기 건강상태 메타데이터에 대응된 건강상태 평균(통계)정보를 추출하여 상호간 비교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해당 가축의 질병 발생 유무를 판단하고, 질병으로 의심되는 가축들의 건강상태 메타데이터가 복수의 가축들에게 또는 상기 특징이 인접 구역의 축사 가축들에게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발견될 경우 이를 토대로 전염병 발생 유무를 판단하는 데이터분석부(225)를 포함하는 통계적 분석을 통한 가축의 전염병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
가축, 축사, 동물, 전염병, 질병, 통계, 바이오센서, 건강

Description

통계적 분석을 통한 가축의 전염병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Cattle infection managing system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축의 전염병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농장 등의 축사에서 사육되는 개체별 소나 돼지 등의 건강상태를 바이오센서를 통해 측정된 데이터로 분석함과 동시에 관리되고 있는 축사 등의 구역별, 권역별 및 대상 가축별 전염병 발생 유무를 판단하도록 하여 효율적으로 가축들의 전염병을 예방 및 관리할 수 있는 통계적 분석을 통한 가축의 전염병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가축의 전염병관리방법은, 축사에 사육중인 각각의 소나 돼지 등의 건강상태를 농장주 또는 관리인이 개체별로 일일이 직접 확인하여 가축의 발육상태, 체온, 맥박 및 호흡수 등에 관한 건강상태 측정정보를 관리장부 등에 기재하고 해당 데이터를 농장주 또는 관리인 자신의 경험에 맞추어 분석하여 가축의 질병을 판단과 함께 전염병을 판단하거나 오프라인으로 가축관련 전문가 또는 수의사에게 해당 데이터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판단을 제공받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축의 전염병관리방법은 가축의 수가 많을 경우 소수의 인원으로 각 개체별 건강상태에 따른 효율적인 관리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오프라인을 통한 해당 전문가 또는 수의사로부터 해당 데이터에 대한 판단을 제공 받는 것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해당 가축의 질병 상태를 신속하게 인지하지 못하거나 적절한 시기에 해당 질병을 치료하지 못할 경우 다른 가축들뿐만 아니라 인근 구역별, 권역별 및 다른 종의 가축들에게 전이되는 현상을 피할 수 없는 문제점이 심각하게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축사에 사육되는 개체별 소나 돼지 등의 건강상태를 바이오센서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이를 정기적으로 업데이트되는 건강상태 평균(통계)정보와 상호간 비교 분석하여 질병이 의심되는 복수의 가축들에게 또는 인접 구역의 축사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건강상태 특징이 발생될 경우 이를 전염병으로 판단하게 하여 효율적으로 가축들의 전염병을 예방 및 관리할 수 있는 통계적 분석을 통한 가축의 전염병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축사에 사육중인 가축들의 개체별 가축의 건강상태 측정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노드(100); 센서노드(100)들에 대한 네트워크를 설정 관리하고 각 센서노드(100)들의 동작을 제어하며 센서노드(100)의 건강상태 측정정보를 수신 관리하는 게이트웨이(210)와 센서노드(100)의 건강상태 측정정보를 가공 관리하고 사용자가 정의한 상황모델 정보와 일치도 여부를 분석하는 질병관리서버(220)로 구성된 미들웨어(200); 및 미들웨어(200)에 네트워크 연동되어 해당 가축의 질병 발생 유무를 판단하는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300)을 포함하고, 질병관리서버(220)는, 상기 건강상태 측정정보를 센서노드(100)별 또는 게이트웨이(210)별로 분류하여 로그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는 로깅부(222); 상기 건강상태 측정정보를 사용자에 의하여 정의된 패턴으로 가공하여 건강상태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필터링부(223); 상기 건강상태 측정정보와 비 교 분석을 통하여 해당 가축의 질병 발생 유무를 판단하도록 해당 가축의 체온, 맥박 및 호흡수에 대한 평균적 사전 정보를 입수하여 각 개체별 건강상태 평균(통계)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추론부(224); 및 상기 건강상태 메타데이터에 대응된 건강상태 평균(통계)정보를 추출하여 상호간 비교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해당 가축의 질병 발생 유무를 판단하고, 질병으로 의심되는 가축들의 건강상태 메타데이터가 복수의 가축들에게 또는 상기 특징이 인접 구역의 축사 가축들에게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발견될 경우 이를 토대로 전염병 발생 유무를 판단하는 데이터분석부(225)를 포함하는 통계적 분석을 통한 가축의 전염병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구역별, 권역별, 대상 가축별로 구분된 가축의 체온, 맥박 및 호흡수에 대한 각 개체별 건강상태 평균(통계)정보가 생성되는 단계; 구역별, 권역별, 대상 가축별로 구분된 축사에 사육중인 개체별 가축의 체온, 맥박 및 호흡수를 포함하는 건강상태 측정정보가 측정되는 단계; 상기 건강상태 측정정보가 해당 구역별, 권역별 또는 대상 가축별로 식별 관리되고 미리 정의된 건강상태 메타데이터로 가공되는 단계; 상기 건강상태 메타데이터에 대응된 건강상태 평균(통계)정보가 추출되어 상호간 비교 분석되고 이를 토대로 해당 축사의 가축들에 대한 질병 발생 유무가 판단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복수 개체의 가축들이 질병에 걸린 것으로 판단될 경우 해당 복수 개체에 대한 건강상태 메타데이터들이 비교 분석되고 이를 토대로 해당 가축들의 전염병 발생 유무가 판단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해당 가축들이 전염병에 걸린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판단 정보가 해당 가축의 축사 농장주 또는 관리인 및 전염병관리본부에 통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계적 분석을 통한 가축의 전염병관리방법이 제공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구역별, 권역별 및 대상 가축별로 구분되어 사육되는 가축들의 건강상태 측정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이를 정기적으로 업데이트되는 건강상태(통계)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상기 가축들 개체별 건강상태 판단 결과 질병이 의심되는 복수의 가축들에게 또는 인접 구역의 축사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건강상태 특징이 발생될 경우 이를 전염병으로 판단함으로써, 복수의 가축들에 대한 효율적인 전염병관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계적 분석을 통한 가축의 전염병관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계적 분석을 통한 가축의 전염병관리시스템은, 크게 복수개의 축사에 사육중인 가축들의 개체별 가축의 건강상태 측정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노드(100), 센서노드(100)들에 대한 네트워크를 설정 관리하고 각 센서노드(100)들의 동작을 제어하며 센서노드(100)의 건강상태 측정정보를 수신 관리하는 게이트웨이(210)와 센서노드(100)의 건강상태 측정정보를 가공 관리하고 사용자가 정의한 상황모델 정보와 일치도 여부를 분석하는 질병관리서버(220)로 구성된 미들웨어(200) 및 미들웨어(200)에 네트워크 연동 되어 해당 가축의 질병 발생 유무를 판단하는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3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플랫폼(300)의 응용 서비스는, 센서노드(100)의 건강상태 측정정보와 비교 분석을 통하여 해당 가축의 질병 발생 유무 등을 판단하도록 구역별, 권역별, 대상 가축별로 구분된 가축의 종, 성별, 나이, 체온, 맥박 및 호흡수 등에 대한 평균적 사전 정보를 입수하여 각 개체별 건강상태 평균(통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미들웨어(200)로 하여금 상기 건강상태 측정정보와 건강상태 평균(통계)정보를 상호간 비교 분석하여 가축의 질병 발생 유무를 판단하며 질병이 의심되는 가축들에 대한 건강상태 측정정보가 유사할 경우 전염병 판단과 함께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진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센서노드(100)는, 구역별, 권역별, 대상 가축별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가축의 몸에 개체별로 착용 또는 부착되어 해당 가축의 체온, 맥박 및 호흡수 등과 같은 건강상태 측정정보를 측정하는 바이오센서(110)들과, 바이오센서(110)의 건강상태 측정정보를 수집하여 게이트웨이(210)에 전송하는 데이터통신부(120), 바이오센서(110)들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행하는 센서제어부(130) 및 바이오센서(110)들의 상태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센서상태부(140)로 구성된 바이오센서리더기(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바이오센서(110)는, 해당 가축의 목이나 귀 및 가슴 등에 목걸이나 귀걸이 등의 형태로 부착되거나 삽입되고 개체인식을 위한 고유ID를 가지는 일종의 전자태그 인 것이 바람직하고, 해당 가축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측정기(111), 해당 가축의 맥박을 측정하는 맥박측정기(112) 및 해당 가축의 호흡수를 측정하는 호흡수측정기(113) 등을 더 포함하여 가축의 건강상태 측정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며, 센서제어부(130)의 요청시 상기 가축의 건강상태 측정정보를 고유ID와 함께 제공한다.
또한, 바이오센서리더기(150) 역시, 구역별, 권역별, 대상 가축별 인식을 위한 고유ID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바이오센서(110)로부터 해당 가축의 건강상태 측정정보 제공시 이를 게이트웨이(210)에 고유ID와 함께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센서노드(100)에 의하면, 구역별, 권역별 및 대상 가축별로 구분되어 사육되는 가축들에 대하여 효율적인 건강상태 측정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미들웨어(200)의 게이트웨이(210)는, 센서노드(100)간의 데이터 수집이 효율적으로 처리되도록 관리하고 센서노드(10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여과하여 미들웨어로 전송하는 데이터통신부(211), 센서노드(100)에 대하여 스케줄링을 통하여 슬립이나 작동시간의 설정과 같은 제어 명령을 적용하는 센서노드관리부(212), 게이트웨이(210)에 연결된 센서노드(100)의 상태 정보 예를 들면, 각 센서노드(100)들의 전원잔량, 동작상태, 연결유무 등을 실시간으로 관리 및 모니터링하는 센서노드모니터부(213) 및 게이트웨이(210)에 연결된 모든 센서노드(100)들에 대한 네트워크 설정을 관리하는 센서노드라우팅부(214)를 포함한다.
또한, 미들웨어(200)의 질병관리서버(220)는, 다양한 형태의 센서노드 네트 워크를 동시에 연결 가능하도록 하여 각 센서노드 네트워크에 대응된 미들웨어(200)에 대한 유지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센서노드네트워크부(221), 게이트웨이(210)로부터 수신된 건강상태 측정정보를 게이트웨이(210)별로 분류하여 로그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는 로깅부(222), 게이트웨이(210)로부터 수신된 건강상태 측정정보를 사용자에 의하여 정의된 패턴으로 가공하여 건강상태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필터링부(223), 모든 발생 가능한 상황모델 정보를 등록 관리하며 소프트웨어 플랫폼(300)의 응용 서비스에서 요구된 질의에 적합한 요소를 분석하여 적정 조건 및 요소명을 생성하는 데이터추론부(224), 상기 건강상태 메타데이터의 로그정보를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데이터 패턴을 분석하고 사용자가 정의한 상황모델 정보와 일치도 여부를 분석하여 응용 서비스에 적합한 이벤트 정보와 응용 서비스에서 요구된 상황모델 정보에 적합한 데이터를 생성 및 전송하는 데이터분석부(225), 응용 서비스에서 요청된 자료와 상황모델 정보에 일치되는 이벤트 정보를 응용서비스부(227)에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부(226) 및 소프트웨어 플랫폼(300)의 응용 서비스에서 요구되는 프로토콜에 적합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 모듈을 지원하는 응용서비스부(227)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질병관리서버(22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소프트웨어 플랫폼(300)의 응용 서비스에 의해 구역별, 권역별 또는 대상 가축별로 구성된 센서노드(100)로부터 각 가축의 개체별 건강상태 측정정보가 게이트웨이(210)를 경유하여 로깅부(222)에 수신되면, 로깅부(222)는 상기 가축의 건강상태 측정정보를 게이트웨이(210)별로 분류 저장하여 해당 구역별, 권역별 또는 대상 가축별로 식별 관리하고, 필터링부(223)는 상기 가축의 건강상태 측정정보를 미리 정의된 건강상태 메타데이터로 가공한다.
여기서, 상기 건강상태 메타데이터는, 상기 건강상태 측정정보의 차후 활용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건강상태 측정정보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 예를 들면, 상기 건강상태 측정정보의 생성 당시 해당 가축의 축사 환경이나 해당 가축의 성별, 나이, 예방 주사 접종 여부 및 임신/출산 여부 등과 같은 생체특성 등을 포함한다.
한편, 데이터추론부(224)는 센서노드(100)의 건강상태 측정정보와 비교 분석을 통하여 해당 가축의 질병 발생 유무 등을 판단하도록 구역별, 권역별, 대상 가축별로 구분된 가축의 종, 성별, 나이, 체온, 맥박 및 호흡수 등에 대한 평균(통계)적 사전 정보를 입수하여 각 개체별 건강상태 평균(통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여기서, 상기 건강상태 평균(통계)정보, 예를 들면, 특정 가축의 체온(맥박 또는 호흡수)에 대한 건강상태 평균(통계)정보는 분 단위별, 시간 단위별 또는 날짜 단위별 또는 주 단위별 또는 월 단위별 등으로 질병관리 판단을 위해 모든 발생 가능한 상황에 대응되도록 다양하게 분류되고 상기 건강상태 메타데이터를 토대로 가축의 발육상태에 따라 정기적으로 업데이트된다.
데이터분석부(225)는, 상기 건강상태 메타데이터에 대응된 데이터추론부(224)의 건강상태 평균(통계)정보를 추출하여 상호간 비교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해당 가축의 질병 발생 유무를 판단하며, 질병으로 의심되는 가축들의 건강상태 메타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유사한 특징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전염병 판단을 위한 전염병판단 기준데이터로 생성하고, 해당 축사에 인접된 다른 축사, 인근 구역별, 권역별 및 대상 가축별 축사의 전염병판단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해당 축사에서만 발생된 병인지 아니면 전염병인지 여부를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판단한다.
예를 들면, 'A' 구역 축사에 사육 중인 '암컷 성우 1'과 '암컷 성우 2' 및 '수컷 성우 1'의 상기 건강상태 메타데이터가 각각 분 단위별 체온을 나타낼 경우, 데이터분석부(225)는 사전에 미리 처리된 데이터추론부(224)의 건강상태 평균(통계)정보 중 'A' 구역 축사의 '암컷 성우 1'과 '암컷 성우 2' 및 '수컷 성우 1'의 분 단위별 평균 체온을 추출하고 상호간 비교하여 일치도 여부 판단을 통하여 해당 가축들의 질병 발생 유무를 파악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A' 구역 축사에 사육 중인 '암컷 성우 1'의 분 단위별 측정 체온/맥박/호흡수가 각각 40℃/75회/33회 이고 이에 대응된 분 단위별 평균 체온/맥박/호흡수가 각각 37.5℃-39.5℃/60회-80회/18회-30회 일 경우, 상기 'A' 구역 축사의 '암컷 성우 1'은 체온과 호흡수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이를 통하여 상기 해당 가축의 질병을 의심할 수 있다.
또한, 'A' 구역 축사에 사육 중인 '암컷 성우 2'의 분 단위별 측정 체온/맥박/호흡수가 각각 41 ℃/73회/35회 이고 이에 대응된 분 단위별 평균 체온/맥박/호흡수가 각각 37.5℃-39.5℃/60회-80회/18회-30회 일 경우, 상기 'A' 구역 축사의 ' 암컷 성우 2'역시 체온과 호흡수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이를 통하여 상기 해당 가축의 질병을 의심할 수 있다.
또한, 'A' 구역 축사에 사육 중인 '수컷 성우 1'의 분 단위별 측정 체온/맥박/호흡수가 각각 43 ℃/75회/36회 이고 이에 대응된 분 단위별 평균 체온/맥박/호흡수가 각각 37.5℃-39.5℃/60회-80회/18회-30회 일 경우, 상기 'A' 구역 축사의 '수컷 성우 1'역시 체온과 호흡수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이를 통하여 상기 해당 가축의 질병을 의심할 수 있다.
여기서, 'A' 구역 축사에 사육 중인 가축들의 분 단위별 측정 체온/맥박/호흡수가 일정 구간에서 평균 체온/맥박/호흡수를 유지하다가 특정 구간에서 상기 평균 체온/맥박/호흡수의 평균 범위를 일정 시간 지속적으로 벗어날 경우 상기 해당 가축의 질병을 의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해당 가축에 대한 질병 발생 유무 판단은 체온, 호흡수 및 맥박에 대응된 건강상태 메타데이터 중 어느 하나가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를 통해서 이루어지거나 또는 체온과 호흡수, 체온과 맥박 및 호흡수와 맥박의 합집합 조건 중 어느 하나가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또는 체온, 호흡수 및 맥박의 교집합 조건 등과 같이 상기 조건 모두가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를 통해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따라서 데이터분석부(225)는, 상기 건강상태 메타데이터와 이에 대응된 건강상태 평균(통계)정보와의 비교를 통한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A' 구역 축사에 사육 중인 상기 '암컷 성우 1', '암컷 성우 2' 및 '수컷 성우 1'이 질병이 있을 경우, 상기 해당 가축들에 대한 건강상태 메타데이터들을 비교 분석하여 상기 건강상태 메타데이터들이 유사할 경우 이를 전염병 판단을 위한 전염병판단 기준데이터로 생성하고, 이를 인근 축사 예를 들면, 같은 농장 내의 'B'구역 축사 의 전염병판단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와 같이 'A'구역 축사의 가축들이 전염병 특징이 인근 'B'구역 축사에서도 발생될 경우 전염병 발생으로 판단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해당 축사에서만 발생된 병으로 판단하게 된다.
즉, 상기 가축들 개체별 건강상태 판단 결과 질병이 의심되는 복수의 가축들에게 동일하거나 유사한 건강상태 특징이 발견될 경우 또는 상기 특징이 인접 구역의 축사 가축들에게도 발생될 경우 이를 전염병으로 판단하게 된다.
한편, 질병관리서버(220)는, 상기와 같이 데이터분석부(225)에 의해 특정 축사, 구역별, 권역별 및 대상 가축별 질병 발생 유무 판단 결과, 해당 가축들이 질병에 걸린 것으로 판단될 경우, 또는 해당 가축들이 전염병에 걸린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판단 정보를 해당 가축의 축사 농장주 또는 관리인 및 전염병관리본부에 ARS/SMS/MMS 통보하도록 하는 ARS/SMS/MMS부(228)를 더 포함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질병 및 전염병 발생 유무 판단의 정확성을 위하여 상기 판단 정보를 외부의 전문가 또는 수의사로 하여금 분석하고 이에 대응된 결과를 수신하기 위한 온/오프라인의 구성부들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미들웨어(200)에 의하면, 구역별, 권역별 및 대상 가축별로 사육되는 가축들에 대하여 각 개체별 건강상태 측정정보를 이에 대응된 건강상태 평균(통계)정보와 비교하여 일치도 여부를 통하여 해당 가축의 질병 발생 유 무와 함께 상기 질병이 전염병인지 여부를 효율적이고 신속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건강상태 평균(통계)정보는 정기적으로 업데이트됨으로써, 특정 가축의 건강상태 측정정보의 비교 분석을 보다 통계적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축들 개체별 건강상태 판단 결과 질병이 의심되는 복수의 가축들에게 또는 상기 특징이 인접 구역의 축사 가축들에게 동일하거나 유사한 건강상태 특징이 발견될 경우 이를 전염병으로 판단하여 신속한 대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계적 분석을 통한 가축의 전염병관리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계적 분석을 통한 가축의 전염병관리방법을 나타낸 제어흐름도이고, 도 3은 도 2의 통계적 분석을 통한 가축의 전염병관리방법에 있어서 바이오센서에 의해 측정된 건강상태 측정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건강상태 평균(통계)정보와의 비교 분석 그래프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2의 통계적 분석을 통한 가축의 전염병관리방법에 있어서 바이오센서에 의해 측정된 전염병판단 기준데이터들을 통한 전염병 판단의 비교 분석 그래프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병관리서버(220)의 데이터추론부(224)에 의해 사전에 구역별, 권역별, 대상 가축별로 구분된 가축의 종, 성별, 나이, 체온, 맥박 및 호흡수 등에 대한 각 개체별 건강상태 평균(통계)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된다(S100).
이후, 구역별, 권역별, 대상 가축별로 구분된 축사에 사육중인 가축에 대하여 개체별로 부착된 바이오센서(110)에 의해 해당 가축의 체온, 맥박 및 호흡수 등과 같은 건강상태 측정정보가 측정되고 질병관리서버(220)에 전송된다(S110).
이후, 질병관리서버(220)의 로깅부(222)에 의해 상기 건강상태 측정정보는 게이트웨이(210)별로 분류되어 상기 건강상태 측정정보의 가축에 대한 해당 구역별, 권역별 또는 대상 가축별로 식별 관리되고, 필터링부(223)에 의해 상기 가축의 건강상태 측정정보가 미리 정의된 건강상태 메타데이터로 가공된다(S120).
이후, 질병관리서버(220)의 데이터분석부(225)에 의해 상기 건강상태 메타데이터에 대응된 데이터추론부(224)의 건강상태 평균(통계)정보가 추출되어 상호간 비교 분석되고 이를 토대로 해당 가축의 질병 발생 유무가 판단된다(S130).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S130 단계에서 상기 건강상태 메타데이터가 'A' 구역 축사에 사육 중인 '암컷 성우 1'의 분 단위별 체온/맥박/호흡수를 포함할 경우, 데이터분석부(225)는 사전에 미리 처리된 데이터추론부(224)의 건강상태 평균(통계)정보정보 중 'A' 구역 축사의 '암컷 성우 1'에 대응되는 분 단위별 평균 체온/맥박/호흡수를 추출하고 이를 상기 건강상태 메타데이터와 비교하여 일치도 여부(오차 범위) 판단을 통하여 상기 '암컷 성우 1'의 질병 발생 유무를 판단하게 된다.
즉, 'A' 구역 축사에 사육 중인 '암컷 성우 1'의 분 단위별 측정 체온/맥박/ 호흡수가 각각 40 ℃/75회/33회 이고 이에 대응된 분 단위별 평균 체온/맥박/호흡수가 각각 37.5℃-39.5℃/60회-80회/18회-30회 일 경우, 상기 'A' 구역 축사의 '암컷 성우 1'은 체온과 호흡수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이를 통하여 상기 해당 가축의 질병을 의심할 수 있다.
또한, 'A' 구역 축사에 사육 중인 '암컷 성우 1'의 분 단위별 측정 체온/맥박/호흡수가 일정 구간에서 평균 체온/맥박/호흡수를 유지하다가 특정 구간에서 상기 평균 체온/맥박/호흡수의 평균 범위를 일정 시간 지속적으로 벗어날 경우 상기 해당 가축의 질병을 의심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S130 단계의 질병 발생 유무 판단은 체온, 호흡수 및 맥박에 대응된 건강상태 메타데이터 중 어느 하나가 오차 범위(평균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를 통해서 이루어지거나 또는 체온과 호흡수, 체온과 맥박 및 호흡수와 맥박의 합집합 조건 중 어느 하나가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또는 체온, 호흡수 및 맥박의 교집합 조건 등과 같이 상기 조건 모두가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를 통해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후, 데이터분석부(225)에 의해 상기 S130 단계에서 해당 가축이 질병에 걸린 것으로 판단되고(S140), 또한 상기 질병에 걸린 가축이 같은 축사에 사육되는 복수의 개체인지가 판단된다(S150).
만약, 상기 S140 단계에서 질병관리서버(220)의 데이터분석부(225)에 의한 가축의 질병 발생 유무 판단 결과 해당 가축이 질병에 걸린 것으로 판단되지 않을 경우, 질병관리서버(220)의 데이터추론부(224)에 의해 상기 건강상태 평균(통계)정 보는 상기 건강상태 메타데이터를 토대로 업데이트된다(S160).
이후, 상기 S150 단계에서 복수 개체의 가축들이 질병에 걸린 것으로 판단되면, 질병관리서버(220)의 데이터분석부(225)에 의해 상기 질병에 걸린 복수 개체에 대한 건강상태 메타데이터들이 비교 분석되고 이를 통하여 전염병판단 기준데이터가 생성된다(S170).
예를 들어, 'A' 구역 축사에 사육 중인 '암컷 성우 1'이외에 '암컷 성우 2' 및 '수컷 성우 1'이 질병이 있다고 할 때, 상기 해당 가축들에 대한 건강상태 메타데이터들이 상호간 비교 분석되고 상기 건강상태 메타데이터들이 유사할 경우 이를 전염병판단 기준데이터로 생성한다.
이후, 질병관리서버(220)의 데이터분석부(225)에 의해 상기 전염병판단 기준데이터가 인근 구역별, 권역별 및 대상 가축별 축사의 가축들에 대한 전염병판단 기준데이터와 비교 분석된다(S180).
이후, 데이터분석부(225)에 의해 상기 전염병판단 기준데이터와 인근 축사(구역별, 권역별 및 대상 가축별)의 가축들에 대한 전염병판단 기준데이터가 상호간 유사하여 상기 해당 축사 또는 인근 축사의 복수 개체의 가축들이 전염병에 걸린 것으로 판단되면(S190), 상기 판단 결과가 해당 가축의 축사 농장주 또는 관리인 및 전염병관리본부에 ARS/SMS/MMS 통보된다(S200).
여기서, 상기 S190 단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구역 축사의 전염병판단 기준데이터가 'A'구역 축사와 가장 인접한 'B'구역 축사의 전염병판단 기준데이터가 비교분석 되어 상기 데이터들이 유사할 경우 상기 'A'구역 축사와 'B'구 역 축사에 전염병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해당 축사의 가축들에게 특정 질병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 S150 단계에서 복수 개체의 가축들이 질병에 걸린 것으로 판단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S190 단계에서 상기 'A'구역 축사의 가축들이 전염병에 걸린 것으로 판단되지 않으면, 상기 S140 단계와 S180 단계의 판단 정보가 해당 가축의 축사 농장주 또는 관리인에게 ARS/SMS/MMS 통보된다(S210).
여기서, 상기 S170 단계는, 상기 전염병 발생 유무 판단의 정확성을 위하여 상기 판단 정보를 외부의 전문가 또는 수의사로 하여금 분석하고 이에 대응된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S170 단계에서 상기 복수 개체의 가축들이 질병에 걸린 것으로 판단되면, 질병관리서버(220)의 데이터분석부(225)에 의해 상기 질병에 걸린 복수 개체에 대한 건강상태 메타데이터들이 비교 분석되고 상기 건강상태 메타데이터들이 유사할 경우 해당 가축들이 전염병에 걸린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S180 단계와 S190 단계를 생략하여도 좋다.
따라서 상술한 바에 따르면, 구역별, 권역별 및 대상 가축별로 구분되어 사육되는 가축들의 건강상태 측정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이를 정기적으로 업데이트되는 건강상태(통계)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해당 가축의 질병 발생 유무를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축들 개체별 건강상태 판단 결과 질병이 의심되는 복수의 가축들에게 동일하거나 유사한 건강상태 특징이 발견되거나 또는 상기 특징이 인접 구 역의 축사에서도 발생될 경우 이를 전염병으로 판단하고 신속한 대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해당 구역별, 권역별 및 대상 가축별 전염병 발생 유무를 판단하여 전염병에 대한 방비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계적 분석을 통한 가축의 전염병관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계적 분석을 통한 가축의 전염병관리방법을 나타낸 제어흐름도;
도 3은 도 2의 통계적 분석을 통한 가축의 전염병관리방법에 있어서 바이오센서에 의해 측정된 건강상태 측정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건강상태 평균(통계)정보와의 비교 분석 그래프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및
도 4는 도 2의 통계적 분석을 통한 가축의 전염병관리방법에 있어서 바이오센서에 의해 측정된 전염병판단 기준데이터들을 통한 전염병 판단의 비교 분석 그래프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10)

  1. 복수개의 축사에 사육중인 가축들의 개체별 가축의 건강상태 측정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노드(100);
    센서노드(100)들에 대한 네트워크를 설정 관리하고 각 센서노드(100)들의 동작을 제어하며 센서노드(100)의 건강상태 측정정보를 수신 관리하는 게이트웨이(210)와 센서노드(100)의 건강상태 측정정보를 가공 관리하고 사용자가 정의한 상황모델 정보와 일치도 여부를 분석하는 질병관리서버(220)로 구성된 미들웨어(200); 및
    미들웨어(200)에 네트워크 연동되어 해당 가축의 질병 발생 유무를 판단하는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300)을 포함하고,
    질병관리서버(220)는,
    상기 건강상태 측정정보를 센서노드(100)별 또는 게이트웨이(210)별로 분류하여 로그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는 로깅부(222);
    상기 건강상태 측정정보를 사용자에 의하여 정의된 패턴으로 가공하여 건강상태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필터링부(223);
    상기 건강상태 측정정보와 비교 분석을 통하여 해당 가축의 질병 발생 유무를 판단하도록 해당 가축의 체온, 맥박 및 호흡수에 대한 평균적 사전 정보를 입수하여 각 개체별 건강상태 평균(통계)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추론부(224); 및
    상기 건강상태 메타데이터에 대응된 건강상태 평균(통계)정보를 추출하여 상 호간 비교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해당 가축의 질병 발생 유무를 판단하고, 질병으로 의심되는 가축들의 건강상태 메타데이터가 복수의 가축들에게 또는 상기 특징이 인접 구역의 축사 가축들에게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발견될 경우 이를 토대로 전염병 발생 유무를 판단하는 데이터분석부(2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계적 분석을 통한 가축의 전염병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센서노드(100)는, 구역별, 권역별, 대상 가축별로 구분되며, 가축의 몸에 개체별로 착용 또는 부착되어 해당 가축의 체온, 맥박 및 호흡수를 포함하는 건강상태 측정정보를 측정하는 바이오센서(110)들과, 바이오센서(110)들의 건강상태 측정정보를 수집하고 제어하여 게이트웨이(210)에 전송하는 바이오센서리더기(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계적 분석을 통한 가축의 전염병관리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바이오센서(110)는, 해당 가축의 대응 부위에 부착되거나 삽입되고 개체별 인식을 위한 고유ID를 가지며 해당 가축의 체온, 맥박 및 호흡수를 측정하고 이를 바이오센서리더기(150)에 제공하는 전자태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계적 분석을 통한 가축의 전염병관리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상태 평균(통계)정보는 가축의 개체별 체온/맥박/호흡수에 대하여 분 단위별, 시간 단위별 또는 날짜 단위별 또는 주 단위별 또는 월 단위별로 전염병관리 판단을 위한 모든 발생 가능한 상황에 대응되도록 다양하게 분류되고 상기 건강상태 메타데이터를 토대로 가축의 발육상태에 따라 정기적으로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계적 분석을 통한 가축의 전염병관리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질병관리서버(220)는, 가축이 질병에 걸린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판단 정보를 해당 가축의 축사 농장주 또는 관리인에게 ARS/SMS/MMS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계적 분석을 통한 가축의 전염병관리시스템.
  6. 구역별, 권역별, 대상 가축별로 구분된 가축의 체온, 맥박 및 호흡수에 대한 각 개체별 건강상태 평균(통계)정보가 생성되는 단계;
    구역별, 권역별, 대상 가축별로 구분된 축사에 사육중인 개체별 가축의 체온, 맥박 및 호흡수를 포함하는 건강상태 측정정보가 측정되는 단계;
    상기 건강상태 측정정보가 해당 구역별, 권역별 또는 대상 가축별로 식별 관리되고 미리 정의된 건강상태 메타데이터로 가공되는 단계;
    상기 건강상태 메타데이터에 대응된 건강상태 평균(통계)정보가 추출되어 상호간 비교 분석되고 이를 토대로 해당 축사의 가축들에 대한 질병 발생 유무가 판단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복수 개체의 가축들이 질병에 걸린 것으로 판단될 경우 해당 복수 개체에 대한 건강상태 메타데이터들이 비교 분석되고 이를 토대로 해당 가축 들의 전염병 발생 유무가 판단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해당 가축들이 전염병에 걸린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판단 정보가 해당 가축의 축사 농장주 또는 관리인 및 전염병관리본부에 통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계적 분석을 통한 가축의 전염병관리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가축들의 전염병 발생 유무 판단시, 상기 질병에 걸린 복수 개체에 대한 건강상태 메타데이터들의 비교 분석을 토대로 한 전염병판단 기준데이터가 생성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계적 분석을 통한 가축의 전염병관리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염병판단 기준데이터가 인근 구역별, 권역별 및 대상 가축별 축사의 가축들에 대한 전염병판단 기준데이터와 비교 분석되어 상호간 유사한 경우에 해당 축사의 전염병 발생 유무가 판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세서를 이용한 가축의 전염병관리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가축이 질병에 걸린 것으로 판단되지 않을 경우 상기 건강상태 평균(통계)정보는 상기 건강상태 메타데이터를 토대로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계적 분석을 통한 가축의 전염병관리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축의 질병 발생 유무 판단은 체온, 호흡수 및 맥박 에 대응된 건강상태 메타데이터 중 어느 하나가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를 통해서 이루어지거나 또는 체온과 호흡수, 체온과 맥박 및 호흡수와 맥박의 합집합 조건 중 어느 하나가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또는 체온, 호흡수 및 맥박의 교집합 조건 중 상기 조건 모두가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를 통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계적 분석을 통한 가축의 전염병관리방법.
KR1020080015727A 2008-02-21 2008-02-21 통계적 분석을 통한 가축의 전염병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Ceased KR200900904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727A KR20090090489A (ko) 2008-02-21 2008-02-21 통계적 분석을 통한 가축의 전염병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727A KR20090090489A (ko) 2008-02-21 2008-02-21 통계적 분석을 통한 가축의 전염병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489A true KR20090090489A (ko) 2009-08-26

Family

ID=41208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5727A Ceased KR20090090489A (ko) 2008-02-21 2008-02-21 통계적 분석을 통한 가축의 전염병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048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5215A3 (en) * 2012-07-19 2014-03-06 Cepheid Remote monitoring of medical devices
CN110574708A (zh) * 2018-06-08 2019-12-17 刘丹 养殖场疾控管理系统及其应用的管理装置与巡查机器人
KR20200105558A (ko) * 2019-02-28 2020-09-08 주식회사 에스티엔 컴퓨터 비전을 이용한 가축 질병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5215A3 (en) * 2012-07-19 2014-03-06 Cepheid Remote monitoring of medical devices
CN110574708A (zh) * 2018-06-08 2019-12-17 刘丹 养殖场疾控管理系统及其应用的管理装置与巡查机器人
KR20200105558A (ko) * 2019-02-28 2020-09-08 주식회사 에스티엔 컴퓨터 비전을 이용한 가축 질병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5755B1 (ko) 가축 질병 예측 시스템
US8677941B2 (en) System and methods for health monitoring of anonymous animals in livestock groups
JP6203238B2 (ja) 畜産管理システム
Firk et al. Improving oestrus detection by combination of activity measurements with information about previous oestrus cases
US20100198024A1 (en) Vitality meter for health monitoring of anonymous animals in livestock groups
KR101725659B1 (ko) 사물인터넷 기반 동물 관리 시스템 및 제공 방법
KR102165891B1 (ko) 축산 데이터 분석 기반 농가 상태 진단 시스템
KR102040276B1 (ko) 축산 지식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가축의 사양관리 시스템
KR20090090488A (ko) 바이오센서를 이용한 가축의 질병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90489A (ko) 통계적 분석을 통한 가축의 전염병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AU2020101719A4 (en) A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ternet of things based automated system for animal health care
Ronald et al. Multi-sensor fusion in livestock with IoT for biometric sensing and MQTT for enhanced health insights
CN118627918A (zh) 一种智能畜牧监测系统
KR102160551B1 (ko)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동물의 질병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Neethirajan Digitalization of animal farming
Siegford et al. Practical considerations for the use of precision livestock farming to improve animal welfare
Benjamin et al. Precision livestock farming and technology in swine welfare
Pasalkar et al. Agrisense Integrated Health Surveillance for Cattle
KR102590406B1 (ko) 가축 생육 기반의 바이오인증 장치
JP2024143153A (ja) 動物管理システムおよび動物管理方法
Baig et al. Parturition and Estrus Detection in Cows and Heifers with WSN and IoT
KR20130082780A (ko) 가축 개체정보 수집 시스템
WO2023113008A1 (ja) 情報管理装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Bhushan et al. IOT, AI, AND BLOCKCHAIN: SHAPING THE FUTURE OF IT LEGISLATION IN INDIA
Muthulekshmi et al. Advancing Livestock Genetics Through IoT and Support Vector Regression for Sustainable Farm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09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1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