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86578A - 헤드 기어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헤드 기어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6578A
KR20090086578A KR1020097011543A KR20097011543A KR20090086578A KR 20090086578 A KR20090086578 A KR 20090086578A KR 1020097011543 A KR1020097011543 A KR 1020097011543A KR 20097011543 A KR20097011543 A KR 20097011543A KR 20090086578 A KR20090086578 A KR 20090086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closed curve
band
user
c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1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이코 오무라
마사히데 다키시타
신 오오야
동고 진
히데하루 시무라
신야 후지모토
도루 히코사카
도시키 나카무라
가즈아키 후지우라
나오키 구라이
Original Assignee
데이진 화-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진 화-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이진 화-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6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6578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6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6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 A61M16/0683Hold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7/00Methods of manufacture, assembly or prod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호흡용 마스크 시스템을 사용자의 머리부에 장착하는데에 적합한 헤드 기어로서, 제조가 용이하고, 가압시의 양압 가스의 누출을 줄이면서, 장착감이 양호한 헤드 기어를 제공한다. 사용자의 안면과 접촉하고, 사용자에게 호흡용 양압 가스를 공급하는 호흡용 마스크를 사용자의 머리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헤드 기어로서, 사용자의 후두부에 장착하는 머리부 장착부와, 이 머리부 장착부에 접속된 스트랩 (3) 을 구비하고, 상기 머리부 장착부는 적어도 하나의 폐곡선의 띠 (1) 를 가지고, 당해 폐곡선의 띠는 띠 상에 적어도 하나의 접합부 (2) 를 가지고, 그 중 적어도 하나의 접합부에 의해 상기 폐곡선의 띠가 사용자 머리부의 형상에 적응한 비평면 구조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호흡용 마스크, 헤드 기어

Description

헤드 기어 및 그 제조 방법 {HEADGEA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면시 무호흡 증후군의 치료에 적합한 CPAP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요법, 환기 부전의 치료에 적합한 NIPPV (Nasal I ntermittent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요법 등에 사용하는 호흡용 마스크를 사용자의 머리부에 고정시키는 데에 사용하는 헤드 기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면시 무호흡 증후군의 치료법으로서 가장 효과적인 것의 하나로 지속 양압 호흡법 (CPAP) 이 있다. 이 치료법에서는 수면시에 사용자의 비공 (鼻孔) 부 또는 비공과 입 또는 안면 (顔面) 에 400 ∼ 2000Pa 정도의 양압 가스가 공급되는 호흡 보조 장치가 채용된다. 또, 환기 부전의 치료법으로서 가장 효과적인 것의 하나로 경비 (經鼻) 식 간헐 양압 환기 호흡법 (NIPPV) 이 있고, 사용자의 비공부에 400 ∼ 2400Pa 정도의 간헐적인 양압 가스가 공급되는 호흡 보조 장치가 채용된다.
이들 요법에 사용되는 호흡용 마스크로는, 비공에 압력을 가하여 양압 가스를 공급하는 코 마스크, 비공과 입을 가압하여 양압 가스를 공급하는 풀 페이스 마스크, 안면 전체를 덮어 양압 가스를 공급하는 토탈 페이스 마스크가 있다.
이들 호흡용 마스크는, 사용자의 후두점 (JIS Z8500, ISO 7250) 의 주위에 장착한 헤드 기어의 머리부 장착부에 접속된 스트랩부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부에 고정된다.
상기 서술한 장치를 사용하여 치료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비공부 등에 지속적인 양압 가스를 공급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호흡용 마스크는 호흡용양압 가스를 유도하는 호스를 접속하는 L 자관, L 자관과 접속하고, 마스크 쿠션을 소정의 위치에 유지하는 프레임,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시켜 사용하는 중공 (中空) 의 마스크 쿠션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호흡용 마스크는, 신축성을 갖는 헤드 기어의 스트랩부의 장력에 의해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시키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2, 특허 문헌 3 참조).
그러나, 일단 정상적으로 장착된 호흡용 마스크라도, 장착 중에 여러 요인에 의해 마스크 쿠션이 어긋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 때문에, 각각의 원인에 대응하여 어긋남을 방지하거나 완화하거나 하는 방책이 채택되고 있다. 예를 들어, 침구와의 접촉 등에 의해 발생한 프레임부의 어긋남이 마스크 쿠션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의미도 포함하여, 특허 문헌 1 이나 특허 문헌 2 에 기재된 호흡용 코 마스크에서는, 프레임부와 마스크 쿠션의 안면 접촉부 사이에 주름이 형성되어 있다. 또, 프레임에 접속된 양압 가스 공급 호스에 잡아당겨짐에 의한 프레임부의 어긋남을 완화하기 위해서, 특허 문헌 4 에 기재된 호흡용 마스크에서는, 양압 가스 공급 호스의 접속부 주변의 벽면에 가요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어긋남이 발생하면, 양압 가스가 공급되었을 때에 마스크 쿠션과 얼굴의 계면으로부터 가스 누출이 발생하여, 안부 (眼部) 에 대한 자극이나, 누출 기류에 의한 오한 등, 사용자에 불쾌감을 주고, 경우에 따라서는 치료를 중지해야 하는 예도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한 마스크 쿠션으로부터의 가스 누출 지점으로는, 비근 (鼻根) 부, 비익 (鼻翼) 부 등에서 현저하다. 이와 같은 가스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누출 장소에 관계없이, 호흡용 마스크의 고정용 벨트를 더욱 강하게 조이는 것 외에는 방법이 없지만, 수면시 등 철야 장시간 착용할 때에는, 호흡용 마스크가 사용자의 얼굴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는 것도 지적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어떠한 기술에 있어서도, 호흡용 마스크를 고정시키기 위한 헤드 기어의 착용은 필수이다. 여기에서, 헤드 기어를 사용자의 머리부에 들어맞게 할 수 있도록, 헤드 기어에 신장되기 쉬운 소재를 사용하면, 가압했을 때에 헤드 기어가 지나치게 신장되어 호흡용 마스크가 들떠 올라가, 양압 가스의 누출을 발생시킨다. 또, 옆으로 누운 상태에서 몸을 회전시키면 호흡용 마스크의 무게로 헤드 기어를 구성하는 부재가 신장되어, 역시 호흡용 마스크가 어긋나 양압 가스의 누출을 발생시킨다.
그렇다고 해서, 헤드 기어에 잘 신장되지 않는 소재를 사용하면, 사용자의 머리부 형상에 대한 적응성이 나빠, 헤드 기어의 각 면의 주변 가장자리부에서만 머리부와 접촉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머리부를 국소적으로 압박하게 되어, 장시간 호흡용 마스크를 장착한 경우에는 통증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또, 헤드 기어의 일부의 면이 들떠 올라가 있으면, 그곳에 베개 등의 침구에 걸려, 헤드 기어, 나아가서는 호흡용 마스크를 어긋나게 하는 경우도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000397호
특허 문헌 2 : 국제 공개 WO01/097893호 팜플렛
특허 문헌 3 : 국제 공개 WO98/04310호 팜플렛
특허 문헌 4 : 국제 공개 WO96/17643호 팜플렛
즉, 헤드 기어에서 기인되는 양압 가스의 누출의 방지와, 헤드 기어에 의한 압박감 완화의 양립이 해결되지 않은 문제이며,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안면과 접촉하고, 사용자에 호흡용 양압 가스를 공급하는 호흡용 마스크를 사용자의 머리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헤드 기어로서, 사용자의 후두부에 장착하는 머리부 장착부와, 이 머리부 장착부에 접속된 스트랩을 구비하고, 상기 머리부 장착부는 적어도 하나의 폐곡선 띠를 가지고, 당해 폐곡선 띠는 띠 상에 적어도 하나의 접합부를 가지고, 그 중 적어도 하나의 접합부에 의해 상기 폐곡선의 띠가 사용자 머리부의 형상에 적응한 비평면 구조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기어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의 헤드 기어의 제조 방법으로서, 평면 형상의 재료로부터 상기 폐곡선의 띠 형상 부분을 구성하는 부재를 잘라내는 절출 공정과, 당해 잘라낸 부재에 있어서의 적어도 1 쌍의 제 1 절단단 (端) 및 제 2 절단단을 접합하여, 적어도 1 지점의 상기 접합부를 형성하는 접합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절출 공정에서는, 1 장의 평면 형상의 재료로부터 상기 폐곡선의 띠 형상 부분을 구성하는 일련의 부재를 잘라내고, 이 일련의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폐곡선의 띠 형상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의 적어도 1 지점을, 제 1 절단선을 따라 절단하고, 또한 이 제 1 절단선의 근방에서, 제 1 절단선과는 평행하지 않고, 또한 교차하지 않는 제 2 절단선을 따라 절단하고, 상기 적어도 1 쌍의 제 1 절단단 및 제 2 절단단을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1 쌍의 제 1 절단단 및 제 2 절단단을 구비하는 상기 폐곡선의 띠 형상 부분을 구성하는 부재의 각각을, 1 장 이상의 평면 형상의 재료로부터 개별적으로 잘라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기어의 제조 방법이다.
여기에서 「머리부 장착부」 란, 본 발명의 헤드 기어 중, 스트랩의 장력에 의해 사용자의 후두점 주변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즉, 머리부 장착부와 호흡용 마스크 사이에 사용자의 머리부를 위치시키고, 양자를 스트랩의 장력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부에 눌러 댐으로써 양자를 사용자의 머리부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헤드 기어에 있어서의 스트랩부는, 일방의 단이 머리부 장착부에 고정되고, 타방의 단은 호흡용 마스크에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호흡용 마스크 고정용 헤드 기어는, 사용자 머리부의 형상에 적합 한 입체적인 구조를 가지므로, 잘 신장되지 않는 직물을 사용해도 양압 가스의 누출을 막으면서, 양호한 장착감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의 호흡용 마스크 고정용 헤드 기어에는 사용자 머리부의 형상에 적합한 입체적인 구조를 가지므로, 헤드 기어가 베개 등의 침구에 접촉해도 걸림이 적고, 그 결과적으로 호흡용 마스크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들 효과가 저비용으로 얻어지는 이점도 있다.
도 1 은, 봉합 전 본 발명의 헤드 기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봉합 전 본 발명의 헤드 기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봉합 전 본 발명의 헤드 기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헤드 기어의 장착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헤드 기어에 있어서의 머리부 장착부 및 스트랩 형태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헤드 기어에 있어서의 스트랩 수, 장착 위치를 예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헤드 기어에 있어서의 머리부 장착부에 별도의 환상 구조를 추가한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 은, 구미인과 일본인의 머리부 형상의 특징을 대비하는 도면이다.
도 9 는, 일본인의 머리부 형상에 적합한 본 발명의 헤드 기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헤드 기어의 일례의 사시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헤드 기어의 일례의 정면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헤드 기어의 일례의 배면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헤드 기어의 일례의 우측면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헤드 기어의 일례의 평면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헤드 기어의 일례의 저면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헤드 기어의 일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 발명의 헤드 기어에 있어서의 「폐곡선의 띠」부분
2 : 「폐곡선의 띠」에 비평면 구조를 초래하는 봉합부
3 : 본 발명의 헤드 기어에 있어서의 스트랩부
4 : 구미인의 후두점
5 : 일본인의 후두점
6 : 「폐곡선의 띠」의 중심 부분
7 : 「폐곡선의 띠」에 형성한 구멍
8 : 스트랩부 선단에 형성한 면 형상 패스너부
본 발명의 헤드 기어는, 사용자의 후두부에 장착하는 머리부 장착부와, 그것에 접속된 스트랩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헤드 기어에 사용하는 소재로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 천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과도하게 잘 신장되는 소재에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얻기 어렵다.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폼, 네오프렌 고무, 저지 등의 스트레치 소재의 두께나 폭 등을 적절히 조정하여 잘 신장되지 않도록 적당하게 할 필요가 있다. 특히, 머리부 장착부 및 스트랩부 중 적어도 스트랩부는, 1.96N 으로 잡아 당겼을 때의 신장이 0.05% 이상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1% 이상 10% 이하가 되는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소재를 사용하면, 양압 가스의 누출을 경감시킬 수 있고, 또한 마스크의 장착성이 향상된다. 또한, 1.96N 으로 잡아당겼을 때의 신장이 20% 보다 큰 소재에서는, 양압 가스의 누출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고, 1.96N 로 잡아당겼을 때의 신장이 0.05% 보다 작은 소재에서는, 사용자의 머리부 형상에 대한 적응성이 나쁘고, 또한, 장시간 호흡용 마스크를 장착했을 경우에 통증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이러한 머리부 장착부는, 적어도 하나의 폐곡선 띠를 갖는다. 스트랩부를 개재하여 호흡용 마스크를 사용자의 머리부에 고정시킨다는 헤드 기어의 기능을 발휘할 뿐이라면, 머리부 장착부는 면 형상이어도 되지만, 실제로는 습한 열기가 차는 것의 방지나 경량화 등을 위해, 중앙부가 구멍 뚫린 폐곡선의 띠 형상인 것이 사용된다. 이러한 띠 형상 부분의 폭은, 당업자이면 띠 형상 부분의 신축성, 두께, 장착감, 중량, 비용 등을 감안하여 적절히 정할 수 있다. 폭이 너무 넓으면, 일반적으로 중량, 비용이 증가되고, 신축성도 저하된다. 폭이 너무 좁으면, 머리부에 대한 압력이 좁은 범위에 집중되어 장착감이 악화된다. 필요하면, 최적화 실험을 실시하여 구체적 수치를 정할 수 있다. 또한, 띠 형상 부분의 폭은 폐곡선 전체 둘레에 걸쳐서 동일할 필요는 없다.
이러한 폐곡선의 띠 형상은, 본 발명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예를 들어 원형이나 타원형, 이등변 삼각형이나 직사각형 등을 포함하는 다각형상, 정삼각형이나 정사각형 등의 정다각형상, 또는 이들 형상에 근 사하는 형상 등으로 할 수 있다. 특히, 폐곡선의 띠 형상이 대략 원형이나 대략 타원형, 대략 정다각형상이면, 형상 밸런스도 양호하고 폐곡선의 띠 중심을 사용자의 후두점에 맞추기 용이하므로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도 5 에 머리부 장착부 및 스트랩의 형태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5 에 있어서 (A) 는 폐곡선의 띠 형상이 대략 타원형인 것, (B) 는 폐곡선의 띠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인 것, (C) 는 폐곡선의 띠 형상이 대략 정오각형인 것, (D) 는 폐곡선의 띠 형상이 대략 정삼각형인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폐곡선의 띠는, 그 폐곡선의 띠가 사용자 머리부의 형상에 적응한 비평면 구조가 되는 접합부를 적어도 하나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접합부를 형성할 때에는, 폐곡선의 띠를 구성하는 부재의 단부 (端部) 끼리가 서로 겹치지 않는 편이 바람직하다. 베개 등의 침구에 걸리는 단차 (段差) 를 만들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접합부는, 봉합이나 열 융착, 접착제의 사용, 훅-루프재 (이른바 벨크로 (등록 상표)) 의 사용 등의 각종 접합 수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봉합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제조성, 장착성 및 내구성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접합부를 봉합에 의해 형성하는 구성에 대해 이하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폐곡선의 띠 절단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1 절단단 및 제 2 절단단을 포함한다) 는, 일반적으로는 직선 형상이지만, 봉합해도 간극을 발생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면, 다른 곡선이어도 된다.
이러한 비평면 구조를 만드는 데에 기여하는 봉합부는, 1 지점이어도 되고 복수 지점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봉합부의 수는 많을수록 사용자의 머리부 형상에 의해 맞추기 용이해지고, 한편으로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수고가 증가된다. 이 때문에, 비평면 구조를 만드는 데에 기여하는 봉합부는, 2 지점 형성되는 것이 전형적이다. 또, 제조성을 중시한 경우, 비평면 구조를 만드는 데에 기여하는 봉합부는, 1 지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엇보다, 본 발명의 헤드 기어는, 이와 같은 봉합에 의해 폐곡선의 띠가 비평면 구조가 되는 봉합부 이외에, 예를 들어 제조 공정의 편의를 위해, 비평면 구조를 만드는 데에 기여하지 않는 단순한 봉합부를 추가로 가지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봉합부가 4 지점 있고, 그 중 하나를 건너 뛴 2 지점이 비평면 구조를 만들기 위한 봉합부이며, 다른 2 지점은 단순한 봉합부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봉합부가 4 지점 형성되어 있는 구성은, 장착했을 때의 밸런스가 특히 우수한 4 개 스트랩 구조의 헤드 기어를 제조하는 데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비평면 구조를 초래하는 봉합부가 직선 형상인 경우, 그 개방 각도는, 사용자의 머리부 형상에 적합하도록 설계하면 되지만, 사용자가 일본인의 머리부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개방 각도의 총합은 15 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개방 각도」 란, 후술하는 본 발명의 헤드 기어의 제조 방법 중에서 말하는 「제 1 절단선」 (예를 들어, 도 3 의 파선 (P) 또는 (S)) 과 「제 2 절단선」 (예를 들어, 도 3 의 파선 (Q) 또는 (R)) 이 이루는 각, 혹은 「제 1 절단단」 (예를 들어, 도 3 의 파선 (P) 또는 (S) 를 따른 띠의 단) 과 「제 2 절단단」 (예를 들어, 도 3 의 파선 (Q) 또는 (R) 을 따른 띠의 단) 이 이루는 각을 말한다.
본 발명의 헤드 기어에 있어서의 스트랩부의 수는,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하는 것인 한 제한은 없지만, 1 내지 5 개인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에서, 머리부 장착부에 대한 스트랩부의 장착 위치나 개수의 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도 6 에 머리부 장착부 및 스트랩부의 형태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6 에 있어서, (A) 는 1 개의 스트랩을 구비한 것, (B) 는 2 개의 스트랩을 구비한 것, (C) 는 3 개의 스트랩을 구비한 것, (D) 는 4 개의 스트랩을 구비한 것, (E) 는 5 개의 스트랩을 구비한 것을 나타낸다. 이 중에서도, 특히 도 6 의 (D) 에 나타내는 4 개의 스트랩을 구비한 구성인 경우, 헤드 기어를 사용자의 머리부에 장착했을 때에 우수한 밸런스가 얻어지고, 제조도 용이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도 6 의 (A) 에 나타내는 스트랩이 1 개인 경우에는, 그 일단은 머리부 장착부에 고정시키고, 다른 일단은 호흡용 마스크를 통과하고, 추가로 헤드 기어의 다른 부분에 커넥터 부재 등을 개재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헤드 기어에 있어서의 스트랩부는, 상기 폐곡선의 띠 부분과 일체적으로 제조해도 되고, 나중에 스트랩부를 고정시켜도 된다. 스트랩부의 선단은, 호흡용 마스크의 프레임 부분 등에 고정시키는 데에 적합한 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이 통상적이다. 예를 들어, 커넥터 부재의 일방이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의 헤드 기어는, 상기 폐곡선의 띠나 스트랩 이외에도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폐곡선의 띠 형 상 부분에 접하는 형태로 별도의 고리 형상 구조가 있어도 된다. 또, 각 부의 장력의 조정이나 습기를 내보내는 목적에서, 필요에 따라 상기 폐곡선의 띠나 스트랩에 적절히 구멍 (예를 들어 도 10 의 부호 7 참조) 을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의 헤드 기어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하나로, 일본인의 머리 형상에 적합한 구조를 갖는 것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구미인의 머리는 후두점 (4) 의 위치가 높고, 주변의 경사가 급한 데 반해, 일본인의 머리는 후두점 (5) 의 위치가 낮고, 주변의 경사가 완만한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일본인이 구미인의 머리 형상에 적합한 헤드 기어, 즉 폐곡선의 띠 면적이 작은 것이나, 폐곡선의 띠 위치가 상대적으로 상방에 있는 것을 사용하면, 일본인의 후두점에는 잘 걸리지 않기 때문에, 어긋나기 쉽상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단순히 일본인이라고 칭하고, 본 발명의 헤드 기어는 일본인에 한정하지 않고, 일본인의 머리부 구조에 가까운 머리부 구조를 갖는 사람이면 어느 사람이라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러한 일본인의 머리부 구조에 적합한 본 발명의 헤드 기어는, 구체적으로는, 상기의 스트랩 4 개를 갖는 헤드 기어로서, 폐곡선의 띠 중심으로부터 스트랩 단까지의 직선 거리가 35cm 이상 45cm 이하 (예를 들어, 40cm) 인 스트랩 2 개, 및 폐곡선의 띠 중심으로부터 스트랩 단까지의 직선 거리가 28cm 이상 38cm 이하 (예를 들어, 33cm) 인 스트랩 2 개를 갖는 헤드 기어이다.
여기에서, 「폐곡선의 띠 중심」 이란, 예를 들어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 이, 폐곡선의 띠로 둘러싸인 구멍 부분이 평판이라고 가정했을 때의 그 중심에 상당하는 점 (6) 을 말한다.
또, 일본인의 머리부 구조에 적합한 헤드 기어의 다른 것은, 본 발명의 헤드 기어 중, 장착시에 일본인의 후두점에 그 폐곡선의 띠 중심이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폐곡선의 띠가 둘러싸는 면적이 50㎠ 이상 120㎠ 이하인 헤드 기어이다.
여기에서, 일본인의 후두점의 위치로는, 일본인의 표준 인두 모델, 혹은 일본인 머리부 사이즈의 통계 (AIST) 에 있는 데이터를 참조할 수 있다. 또한, 실제의 장착시에는, 후두점의 위치와 폐곡선의 띠 중심이 다소 어긋나도 본 발명의 스트랩의 효과에 큰 영향은 없어 허용된다.
여기에서, 폐곡선의 띠가 둘러싸는 면적이 50㎠ 이상 120㎠ 이하로 한 것은, 후두점 부근의 경사가 구미인과 상이하여 완만해도 감쌀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 헤드 기어의 제조 방법이다. 즉, 본 발명의 헤드 기어의 제조 방법은, 평면 형상의 재료로부터 폐곡선의 띠 형상 부분 (예를 들어 도 2 중 부호 1 을 참조) 을 구성하는 부재를 잘라내는 절출 공정과, 당해 잘라낸 부재에 있어서의 적어도 1 쌍의 제 1 절단단 및 제 2 절단단을 접합하여, 적어도 1 지점의 접합부를 형성하는 접합 공정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폐곡선의 띠 형상 부분을 구성하는 부재」 란, 전술한 바와 같이 폐곡선의 띠 형상 부분과 스트랩 부분을 일체적으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폐곡선의 띠 형상 부분과 스트랩부를 포함하는 부재 (예를 들어 도 1 중의 4 장의 대략 Y 자 형상의 직물) 를 의미하고, 전술한 폐곡선의 띠나 스트랩 이외의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그 구조를 포함하는 부재를 의미하고, 폐곡선의 띠 형상 부분과 스트랩 부분을 따로따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폐곡선의 띠 형상 부분만을 포함하는 부재를 의미한다. 또, 「1 쌍의 제 1 절단단 및 제 2 절단단」 이란, 폐곡선의 띠 형상 부분을 구성하는 부재에 있어서의, 예를 들어 도 2 중 부호 2 와 같은 접합부를 형성하기 위한 1 쌍의 단부 (端部) 를 의미하고 있고, 이들 1 쌍의 절단단이 접합됨으로써 사용자 머리부의 형상에 적응한 비평면 구조의 폐곡선 띠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절출 공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1 방법으로서, 1 장의 평면 형상의 재료로부터 폐곡선의 띠 형상 부분을 구성하는 일련의 부재를 잘라내고, 이 일련의 부재에 있어서의 폐곡선의 띠 형상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의 적어도 1 지점을 제 1 절단선을 따라 절단하고 (제 1 절단), 또한 이 제 1 절단선의 근방에서 제 1 절단선과는 평행하지 않고, 또한 교차하지 않는 제 2 절단선을 따라 절단하여 (제 2 절단), 적어도 1 쌍의 제 1 절단단 및 제 2 절단단을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 무엇보다, 제 1 절단, 제 2 절단이라고 서술한 것은 주로 설명을 위한 것으로, 실제로는 둘의 절단을 동시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폐곡선의 띠 형상 부분을 구성하는 일련의 부재」 란, 평면 구조의 폐곡선 띠를 갖는 일련의 부재이고, 전술한 바와 같이 폐곡선의 띠 형상 부분과 스트랩 부분을 일체적으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폐곡선의 띠 형상 부분과 스트랩부를 포함하는 일련의 부재를 의미하고, 전술한 폐곡선의 띠나 스트랩 이외의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그 구조를 포함하는 일련의 부재를 의미하고, 폐곡선의 띠 형상 부분과 스트랩 부분을 따로따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폐곡선의 띠 형상 부분만을 포함하는 일련의 부재를 의미한다.
제 1 절단선은, 통상적으로는 직선이다.
한편, 제 2 절단선은,
a) 제 1 절단선의 근방으로서,
b) 제 1 절단선과는 평행하지 않고,
c) 제 1 절단선과 교차하지 않고, 또한
d) 대응하는 절단단을 중첩하지 않고 봉합함으로써 사용자 머리부의 형상에 적응한 폐곡선의 띠가 얻어지는 것이어야 한다.
이러한 「근방」 의 의미는, 과대한 잘린 단에 의해 재료의 낭비를 발생하지 않는 정도이면 되고, 본 발명의 헤드 기어가 얻어지는 한 그 정도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제 1 절단선의 일단으로부터 제 2 절단선이 개시된다. 제 2 절단선이 제 1 절단선과 평행하면, 봉합해도 폐곡선의 띠가 비평면 구조가 되는 경우는 없다. 제 2 절단선과 제 1 절단선에 교차가 있으면, 대응하는 절단단을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봉합할 수 없다.
또, 절출 공정의 제 2 방법으로서, 적어도 1 쌍의 제 1 절단단 및 제 2 절단단을 구비하는 폐곡선의 띠 형상 부분을 구성하는 부재의 각각을 1 장 이상의 평면 형상의 재료로부터 개별적으로 잘라내는 방법이 있다. 이와 같은 제 2 방법이면, 작은 평면 재료로부터 잘라낼 수 있어 편리하고, 또, 남은 재료의 활용에 의한 비용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제 1 방법과 같이 큰 평면 재 료로부터 폐곡선의 띠 형상 부분을 구성하는 부재를 잘라내는 경우에 비해, 자르고 남은 재료의 발생량을 억제할 수 있고, 제조 장치도 소형이면 되어, 제조상의 장점도 크다.
이러한 절출 공정에서는, 폐곡선의 띠 형상 부분을 구성하는 부재를 평면상에 탑재한 상태에 있어서, 제 1 절단단과 제 2 절단단의 개방 각도의 총합이 15 도 이상이 되도록, 적어도 1 쌍의 제 1 절단단 및 제 2 절단단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폐곡선의 띠의 입체 형상을 일본인의 머리 형상에 적합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절단단과 제 2 절단단의 폐곡선의 접선 방향으로부터의 각도가 각각 60 도와 120 도, 50 도와 130 도인 경우, 평면 상에서는 그들의 절단단이 각각 60 도, 80 도의 개방 각도 (합계 140 도) 를 발생시키게 되어, 이와 같은 개방 각도이면 일본인의 머리 형상에 양호하게 들어 맞는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에 본 발명의 헤드 기어의 일례를 제조하는 데에 필요한 봉합 전의 4 개의 부재 (폐곡선의 띠 형상 부분을 구성하는 부재) 가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이 배치하면, 도 2 에 있어서의 (1) 의 점선으로 표시하는, 「폐곡선의 띠」 부분을 생각할 수 있다. 또, 도 2 에 있어서의 폐곡선의 띠에 비평면 구조를 초래하는 봉합부 (2) 는, 평면 상에 배치하면, 폐곡선 띠의 외주측의 간극 쪽이 폐곡선 띠의 내주측의 간극보다 크게 되어 있다. 여기를 포함하여 4 지점의 봉합부 모두를 봉합하면, 비평면 구조의 폐곡선 띠가 된다. 도 3 에는, 이러한 봉합 부분의 각도가 예시되어 있다. 도 4 에는, 이 본 발명의 헤드 기어를 사용자가 장착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실시예 2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구미인과 일본인의 머리부 형상은 상이하다. 도 9 에, 4 개의 스트랩을 가지고, 일본인의 머리부 형상에 적절한 본 발명의 헤드 기어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여기에서는, 폐곡선의 띠 중심 (6) 은 사용자의 후두점에 일치시켜 사용하는 것으로 그려져 있다. 또한, 여기에서 규정하고 있는 것은 폐곡선의 띠 중심 (6) 으로부터 스트랩 단까지의 거리로서, 스트랩의 길이 자체는 아니다. 또, 스트랩의 형상도 실용 가능한 한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도면 중에서 파선으로 나타내는 형상이어도 된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10 ∼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부의 장력 조정이나 습기를 내보내는 목적에서, 폐곡선의 띠 형상 부분 (1) 에 4 개의 구멍 (7) 을 형성한 헤드 기어 (인공 호흡기 마스크용 장착 벨트) 를 도시하였다. 이 헤드 기어는, 폐곡선의 띠 형상 부분 (1) 의 형상이 대략 정오각형이며, 4 개의 스트랩 (3) 을 구비하고 있다. 또, 각 스트랩 (3) 의 선단에는 면상 패스너부 (8) 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예를 들어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스트랩 (3) 의 선단을 코 마스크 프레임의 스트랩 장치 구멍에 통과시 키고, 각 스트랩 (3) 의 중간부를 접어 면상 패스너부 (8) 를 각 스트랩 (3) 의 표면에 부착시킴으로써, 코 마스크를 사용자의 머리부에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10 ∼ 도 15 에서는 폐곡선의 띠 형상 부분 (1) 의 접합부를 도시 생략하고 있지만, 당연히 이 헤드 기어도 필요 지점에 접합부를 가지고 있다. 또, 도 13 에서는 우측면도만을 나타내고 있지만, 좌측면도는 이 우측면도와 대칭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도시 생략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CPAP 요법이나 NIPPV 요법 등에 사용한다. 호흡용 마스크를 사용자의 머리부에 고정시키는 것에 사용되는 헤드 기어가 제공된다.

Claims (14)

  1. 사용자의 안면과 접촉하고, 사용자에게 호흡용 양압 가스를 공급하는 호흡용 마스크를 사용자의 머리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헤드 기어로서,
    사용자의 후두부에 장착하는 머리부 장착부와,
    이 머리부 장착부에 접속된 스트랩을 구비하고,
    상기 머리부 장착부는 적어도 하나의 폐곡선의 띠를 가지고,
    당해 폐곡선의 띠는 띠 상에 적어도 하나의 접합부를 가지고, 그 중 적어도 하나의 접합부에 의해 상기 폐곡선의 띠가 사용자 머리부의 형상에 적응한 비평면 구조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기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봉합에 의해 형성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기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평면 구조를 초래하는 접합부가 2 지점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기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의 총 수가 4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기어.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평면 구조를 초래하는 접합부가 1 지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기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평면 구조를 초래하는 접합부의 개방 각도의 총합이 15 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기어.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곡선이 대략 원형, 대략 타원형 또는 대략 정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기어.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 장착부에 접속된 상기 스트랩의 수가 1 내지 5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기어.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 장착부에 접속된 상기 스트랩의 수가 4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기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으로서, 상기 폐곡선의 띠 중심으로부터 스트랩 단까지의 직선 거리가 35cm 이상 45cm 이하인 스트랩 2 개, 및 상기 폐곡선의 띠 중심으로부터 스트랩 단까지의 직선 거리가 28cm 이상 38cm 이하인 스트랩 2 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기어.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착시에 사용자의 후두점 주변에 상기 폐곡선의 띠 중심이 위치하도록 배치 되고,
    상기 폐곡선의 띠가 둘러싸는 면적이 50㎠ 이상 1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기어.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 장착부 및 상기 스트랩 중 적어도 스트랩은, 1.96N 로 잡아당겼을 때의 신장이 0.05% 이상 20% 이하인 소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기어.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헤드 기어의 제조 방법으로서,
    평면 형상의 재료로부터 상기 폐곡선의 띠 형상 부분을 구성하는 부재를 잘라내는 절출 공정과,
    당해 잘라낸 부재에 있어서의 적어도 1 쌍의 제 1 절단단 및 제 2 절단단을 접합하여, 적어도 1 지점의 상기 접합부를 형성하는 접합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절출 공정에서는,
    1 장의 평면 형상의 재료로부터 상기 폐곡선의 띠 형상 부분을 구성하는 일련의 부재를 잘라내고, 이 일련의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폐곡선의 띠 형상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의 적어도 1 지점을, 제 1 절단선을 따라 절단하고, 또한 이 제 1 절단선의 근방에서, 제 1 절단선과는 평행하지 않고, 또한 교차하지 않는 제 2 절단선을 따라 절단하고, 상기 적어도 1 쌍의 제 1 절단단 및 제 2 절단단을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1 쌍의 제 1 절단단 및 제 2 절단단을 구비하는 상기 폐곡선의 띠 형상 부분을 구성하는 부재의 각각을 1 장 이상의 평면 형상의 재료로부터 개별적으로 잘라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기어의 제조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절출 공정에서는, 상기 폐곡선의 띠 형상 부분을 구성하는 부재를 평면상에 탑재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단단과 상기 제 2 절단단의 개방 각도의 총합이 15 도 이상이 되도록, 상기 적어도 1 쌍의 제 1 절단단 및 제 2 절단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기어의 제조 방법.
KR1020097011543A 2006-12-08 2007-10-16 헤드 기어 및 그 제조 방법 Abandoned KR200900865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31958 2006-12-08
JPJP-P-2006-331958 2006-12-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6578A true KR20090086578A (ko) 2009-08-13

Family

ID=39491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1543A Abandoned KR20090086578A (ko) 2006-12-08 2007-10-16 헤드 기어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8393327B2 (ko)
EP (1) EP2090327B1 (ko)
JP (1) JP5164854B2 (ko)
KR (1) KR20090086578A (ko)
CN (1) CN101553270B (ko)
AU (1) AU2007330182B2 (ko)
CA (1) CA2671591A1 (ko)
ES (1) ES2710914T3 (ko)
HK (1) HK1137156A1 (ko)
MY (1) MY149663A (ko)
TW (1) TWI471148B (ko)
WO (1) WO20080689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623720A (en) 2003-02-21 2015-10-30 Resmed Ltd Nasal assembly
NZ783745A (en) 2003-12-31 2023-06-30 ResMed Pty Ltd Compact oronasal patient interface
WO2005079726A1 (en) 2004-02-23 2005-09-01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Breathing assistance apparatus
WO2005094928A1 (en) 2004-04-02 2005-10-13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Breathing assistance apparatus
CN1942215B (zh) 2004-04-15 2012-09-26 雷斯梅德有限公司 气道正压通气机械导管
CN104645476B (zh) 2005-06-06 2017-08-22 瑞思迈有限公司 面罩系统
EP3738636B1 (en) 2006-07-14 2023-06-07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Breathing assistance apparatus
CN101495170B (zh) 2006-07-28 2013-05-29 雷斯梅德有限公司 呼吸治疗的传送系统
NZ610755A (en) 2006-07-28 2015-03-27 Resmed Ltd Delivery of respiratory therapy
WO2008070929A1 (en) 2006-12-15 2008-06-19 Resmed Ltd Delivery of respiratory therapy
US10258757B2 (en) 2008-05-12 2019-04-16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Patient interface and aspects thereof
US10792451B2 (en) 2008-05-12 2020-10-06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Patient interface and aspects thereof
ATE545443T1 (de) 2008-06-04 2012-03-15 Resmed Ltd Patientenschnittstellensysteme
EP3053623B1 (en) 2008-06-05 2019-08-14 ResMed Pty Ltd Treatment of respiratory conditions
US11660413B2 (en) 2008-07-18 2023-05-30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Breathing assistance apparatus
EP2349428B1 (en) 2008-10-10 2017-09-20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Nasal pillows for a patient interface
AU2016201534B2 (en) * 2008-12-10 2017-12-07 ResMed Pty Ltd Headgear for Masks
US8950404B2 (en) * 2008-12-10 2015-02-10 Resmed Limited Headgear for masks
JP5819817B2 (ja) 2009-06-02 2015-11-24 レスメド・リミテッドResMedLimited 邪魔にならない鼻マスク
EP2501423A4 (en) 2009-11-18 2014-10-29 Fisher & Paykel Healthcare Ltd NOSE MASK
US8839785B2 (en) * 2010-03-10 2014-09-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spirator harness having collapsible head cradle
USD695887S1 (en) * 2010-09-10 2013-12-17 Resmed Limited Respiratory mask
WO2012040792A1 (en) 2010-09-30 2012-04-05 Resmed Limited Mask system
CN103153379B (zh) 2010-09-30 2016-08-03 瑞思迈有限公司 患者接口系统
EP3406287B1 (en) 2010-10-08 2022-04-27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Respiratory mask assembly for breathing assistance apparatus
ES2963086T3 (es) 2011-04-15 2024-03-25 Fisher & Paykel Healthcare Ltd Interfaz que comprende una porción de puente nasal enrollable
US10603456B2 (en) 2011-04-15 2020-03-31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Interface comprising a nasal sealing portion
RU2014117190A (ru) * 2011-10-06 2015-11-20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Н.В. Эргономично сформированные ремни приспособления для крепления на голове
WO2013064930A1 (en) * 2011-11-03 2013-05-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ultiple-material, single-plane headgear
US9764106B2 (en) 2012-02-28 2017-09-19 Koninklijke Philips N.V. Unidirectional flexion clip
EP3384951B1 (en) * 2012-05-16 2022-03-30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Headgear
US9974915B2 (en) 2012-07-27 2018-05-22 Resmed Limited Elastic headgear
EP4223343A3 (en) 2012-07-27 2023-08-30 ResMed Pty Ltd Patient interface and method for making same
WO2014025267A1 (en) 2012-08-08 2014-02-13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Headgear for patient interface
EP4279106A3 (en) 2012-09-04 2024-01-17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Valsalva mask
AU2014207247B2 (en) 2013-01-16 2017-03-02 ResMed Pty Ltd Patient interface and method for making same
WO2015057087A2 (en) 2013-10-18 2015-04-23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Headgear
WO2015070289A1 (en) 2013-11-15 2015-05-21 Resmed Limited Patient interface and method for making same
WO2015079396A1 (en) 2013-11-27 2015-06-04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Headgear assembly for breathing interface
USD770036S1 (en) 2013-11-27 2016-10-25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Breathing interface assembly
USD760379S1 (en) 2014-01-31 2016-06-28 Resmed Limited Headgear connector for patient interface
WO2016032343A1 (en) 2014-08-25 2016-03-03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Respiratory mask and related portions, components or sub-assemblies
JP6323924B2 (ja) * 2014-10-16 2018-05-16 Ikk株式会社 人工呼吸器装着用の固定具
SG10201909092SA (en) 2015-03-31 2019-11-28 Fisher & Paykel Healthcare Ltd A user interface and system for supplying gases to an airway
WO2018002169A1 (en) * 2016-06-29 2018-01-04 Koninklijke Philips N.V. Method of generating a configuration for a customized headgear
GB2607540B (en) 2016-08-11 2023-03-29 Fisher & Paykel Healthcare Ltd A collapsible conduit, patient interface and headgear connector
USD895105S1 (en) 2016-10-24 2020-09-01 ResMed Pty Ltd Combined cushion and frame module for patient interface
USD823455S1 (en) 2017-02-23 2018-07-17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Cushion assembly for breathing mask assembly
USD823454S1 (en) 2017-02-23 2018-07-17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Cushion assembly for breathing mask assembly
USD824020S1 (en) 2017-02-23 2018-07-24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Cushion assembly for breathing mask assembly
WO2019104575A1 (zh) * 2017-11-30 2019-06-06 苏州欧博时装有限公司 一种呼吸罩体用编织绑带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1864U (ja) * 1994-03-09 1994-09-06 美津濃株式会社 スポーツ用サポーター
AUPM997394A0 (en) 1994-12-09 1995-01-12 University Of Sydney, The Gas delivery mask
AUPO126596A0 (en) 1996-07-26 1996-08-22 Resmed Limited A nasal mask and mask cushion therefor
JP4290773B2 (ja) 1997-06-11 2009-07-08 帝人株式会社 呼吸用鼻マスク
US6732733B1 (en) 1997-10-03 2004-05-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alf-mask respirator with head harness assembly
FR2778575B1 (fr) * 1998-05-12 2000-07-28 Intertechnique Sa Equipement de protection respiratoire a mise en place rapide
AUPP812199A0 (en) 1999-01-12 1999-02-04 Resmed Limited Headgear
US6986352B2 (en) 2000-06-22 2006-01-17 Resmed Limited Mask with gusset
US6418929B1 (en) * 2000-09-18 2002-07-16 Suzanne H. Norfleet Infant oxygen mask
JP3785431B2 (ja) * 2002-04-09 2006-06-14 興研株式会社 バンド付きマスク
US8997742B2 (en) * 2002-04-23 2015-04-07 Resmed Limited Ergonomic and adjustable respiratory mask assembly with cushion
AUPS192602A0 (en) * 2002-04-23 2002-05-30 Resmed Limited Nasal mask
NZ602732A (en) * 2002-11-08 2014-01-31 Resmed Ltd Headgear assembly for a respiratory mask assembly
US20040149280A1 (en) * 2002-12-23 2004-08-05 Lisa Semeniuk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ear abrasion
AU2004277844C1 (en) * 2003-10-08 2011-01-20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Breathing assistance apparatus
AU2005256167A1 (en) * 2004-06-25 2006-01-05 Resmed Limited Forehead support for a patient interface
WO2006072128A1 (en) * 2005-01-03 2006-07-13 Resmed Limited Headgear assembly for patient interface
CN104645476B (zh) 2005-06-06 2017-08-22 瑞思迈有限公司 面罩系统
US7600514B2 (en) * 2005-06-17 2009-10-13 Nellcor Puritan Bennett Llc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a gas delivery mask onto a subject's head
WO2007006089A1 (en) * 2005-07-08 2007-01-18 Resmed Limited Headgear for mask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53270B (zh) 2013-03-13
JP5164854B2 (ja) 2013-03-21
CA2671591A1 (en) 2008-06-12
TW200826983A (en) 2008-07-01
US20090250065A1 (en) 2009-10-08
EP2090327A1 (en) 2009-08-19
AU2007330182A1 (en) 2008-06-12
WO2008068966A1 (ja) 2008-06-12
CN101553270A (zh) 2009-10-07
AU2007330182B2 (en) 2012-11-08
EP2090327B1 (en) 2018-12-05
MY149663A (en) 2013-09-30
US8393327B2 (en) 2013-03-12
HK1137156A1 (en) 2010-07-23
EP2090327A4 (en) 2012-08-22
ES2710914T3 (es) 2019-04-29
TWI471148B (zh) 2015-02-01
JPWO2008068966A1 (ja) 201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6578A (ko) 헤드 기어 및 그 제조 방법
JP7457059B2 (ja) 患者インターフェース及び治療システム
CN213609085U (zh) 患者接口
JP6629726B2 (ja) 患者インタフェース及び患者インタフェースを形成するための方法
CN102281925B (zh) 提供连续气道正压通气的装置
US9308343B2 (en) Respiratory mask with disposable cloth body
US20110253144A1 (en) Nasal Interface for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Mask
CN115916309A (zh) 具有多个曲率的弹性密封形成结构
CN107683160A (zh) 纺织品患者接口
CN107920608A (zh) 具有覆盖边缘的头带
JP7536856B2 (ja) 構造が変化するシール形成構造を有する患者インターフェース
JP7528184B2 (ja) 患者インターフェースのためのヘッドギアチュービング
JP7508580B2 (ja) シリコーン層を有する患者インターフェース織物シール
CN215995209U (zh) 患者接口
EP4400138A1 (en) Ventilation assistance device
US20250121149A1 (en) Patient interface having seal-forming structure with varying construction
CN118302218A (zh) 用于患者接口的定位和稳定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0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6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8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27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