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79328A - 월 마운트 - Google Patents

월 마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9328A
KR20090079328A KR1020080005216A KR20080005216A KR20090079328A KR 20090079328 A KR20090079328 A KR 20090079328A KR 1020080005216 A KR1020080005216 A KR 1020080005216A KR 20080005216 A KR20080005216 A KR 20080005216A KR 20090079328 A KR20090079328 A KR 20090079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arm
bracket
wall mount
coup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5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정규
박한진
전재우
박경수
문동수
윤태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5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9328A/ko
Publication of KR20090079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328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97/001Wall mounting or suspension arrangements for blackboard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월 마운트가 개시된다. 제1 및 제2 고정홀이 형성되는 브라켓과, 제1 및 제2 고정홀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부와, 일단이 한 쌍의 지지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부 및 링크부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제1 고정홀은 한 쌍의 지지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장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 마운트는, 치수공차 및 조립공차로 인한 브라켓과 링크부 간의 틀어짐을 개선할 수 있고, 링크부의 보다 안정된 동작을 확보할 수 있다.
월 마운트, 장공, 브라켓, 지지부,

Description

월 마운트{Wall mount}
본 발명은 월 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LCD, PDP, LED 등이 적용된 TV나 모니터와 같은 평판 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브라운관 TV나 모니터를 대체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그 수요가 늘어날 전망이다.
그러나, 평판 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벽체에 거치하기 위한 종래의 월 마운트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단순히 고정되어 사용자가 위치를 변경함에 따라 최적의 시청각을 유지할 수 없었다.
또한, 브라켓의 체결구멍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암을 지지하는 지지부는, 부품 간의 조립공차와 치수공차로 인해 억지체결 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암의 회전축이 틀어져 동작 시에 소음과 동작의 부자연스러움이 발생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브라켓과 링크부 간의 치수공차 및 조립공차로 인한 조립 상의 곤란과 그 동작의 부자연스러움을 방지할 수 있는 월 마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및 제2 고정홀이 형성되는 브라켓과, 제1 및 제2 고정홀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부와, 일단이 한 쌍의 지지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부 및 링크부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제1 고정홀은 한 쌍의 지지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장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 마운트가 제공된다.
여기서, 제2 고정홀은 정공일 수 있다. 한편, 링크부는 일단이 한 쌍의 지지부 사이에 힌지 결합되는 제1 암과, 일단이 제1 암의 타단과 스위블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이 결합부와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암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치수공차 및 조립공차로 인한 브라켓과 링크부 간의 틀어짐을 개선할 수 있고, 링크부의 보다 안정된 동작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과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월 마운트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월 마운트를 나타낸 배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월 마운트의 나타낸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월 마운트(100), 브라켓(102), 체결구(104, 114), 제1 지지부(106), 제2 지지부(108), 결합부(110), 틸팅 축(112), 나사못(120), 제1 고정홀(122), 제2 고정홀(124), 링크부(150), 제1 암(154), 제2 암(152), 스위블 축(156), 힌지 축(158), 나사구멍(166)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월 마운트(100)는, 제1 및 제2 고정홀(122, 124)이 형성되는 브라켓(102)과, 제1 및 제2 고정홀(122, 124)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부(106, 108)와, 일단이 한 쌍의 지지부(106, 108)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부(150) 및 링크부(150)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110)를 포함하며, 제1 고정홀(122)은 한 쌍의 지지부(106, 108) 사이의 간격을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장공인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치수공차 및 조립공차로 인한 브라켓(102)과 링크부(150) 간의 틀어짐을 개선할 수 있고, 링크 부(150)의 보다 안정된 동작을 확보할 수 있다.
월 마운트(100)는 평면 형 디스플레이(미도시)와 같은 피구동체를 결합부(110)에 부착하고, 이를 벽면과 같은 지지체에 고정하면서, 피구동체를 좌우로 스위블(swivel), 벽면으로부터 이격(extension) 또는 기울이는(tilting) 동작 등을 구현하여, 피구동체의 위치와 자세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할 수 있다.
결합부(110)는 디스플레이와 같은 피구동체가 결합할 수 있다. 결합부(110)의 일측은 디스플레이의 배면과 결합될 있고, 타측은 링크부(150)와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110)에는 디스플레이와 결합시키는데 이용할 수 있는 체결구(114)들이 형성될 수 있다.
링크부(150)는 일단이 한 쌍의 지지부(106, 108)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이 결합부(11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링크부(150)는 하나 이상의 암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크부(150)는 한 쌍의 지지부(106, 108) 사이에 힌지 결합되는 제1 암(154)과, 일단이 제1 암(154)의 타단과 스위블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이 결합부(110)와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암(1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암(152)의 타단은 틸팅 축(112)을 이용하여 결합부(110)와 결합되며, 결합부(110)는 틸팅 축(112)을 중심으로 상하로 기울어질(tilting) 수 있다. 제2 암(152)의 일단은 제1 암(154)의 타단과 스위블 축(156)을 이용하여 스위블 가능하게 결합되며, 스위블 축(156)을 중심으로 좌우로 스위블(swivel)될 수 있다. 또한, 제1 암(154)의 스위블 축(156)과 힌지 축(158) 부분이 동시에 동작되면, 결합 부(110)에 결합된 디스플레이는 벽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암(154, 152)의 내부에는 기어드 모터와 같은 구동부가 장착될 수 있고, 이 경우 틸팅과 스위블 동작은 자동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1 암(154)의 브라켓(102)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부분에도 구동부가 결합되어, 벽면으로부터 이격 동작을 자동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암(154)의 일단은 한 쌍의 지지부(106, 108) 사이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암(154)의 일단에는 힌지 축(158)이 형성될 수 있으며, 힌지 축(158)은 한 쌍의 지지부(106, 108)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부(106, 108)는 제1 암(154)의 힌지 축(158)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브라켓(102)에는 제1 및 제2 고정홀(122, 124)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는 브라켓(102)의 제1 및 제2 고정홀(122, 124)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부에 형성되는 나사구멍(166)과, 이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못(120)을 이용하여 브라켓(102)에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102)은 월 마운트(100)를 벽면에 고정하는 부분으로써, 월 마운트(100)를 벽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체결구(10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암(154), 한 쌍의 지지부(106, 108) 및 브라켓(102)을 조립하는 경우, 이들 간에는 치수공차 및 조립공차가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힌지 축(158)의 틀어짐이 발생할 수 있다. 힌지 축(158) 틀어짐이 발생하면, 조립 상의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계자의 의도와 달리 제1 암(154), 한 쌍의 지지 부(106, 108) 및 브라켓(102)이 조립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암(154), 한 쌍의 지지부(106, 108) 및 브라켓(102)이 억지 체결될 수 있고, 힌지 축(158)이 틀어져 제1 암(154)의 동작 시 큰 부하를 받아 소음이나, 동작의 부자연스러움이 발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면도로, 한 쌍의 지지부(106, 108)가 결합되기 전에, 제1 및 제2 고정홀(122, 124)에 나사못(120)만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홀(122)은 한 쌍의 지지부(106, 108) 사이의 간격을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장공일 수 있다. 장공이라 함은 일측으로 연장된 형태의 관통홀을 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장공은 제1 지지부(106)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하로 연장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고정홀(122)과 나사못(120) 간의 상하 방향으로 여유는, 한 쌍의 지지부(106, 108)와 제1 암(154) 간의 치수공차 및 조립공차 보다 클 수 있다.
제2 고정홀(124)은 정공일 수 있다. 정공은 나사못(120)의 직경에 맞게 형성되어, 이에 고정되는 제2 지지부(108)가 상하로 이동하지 않도록 형성한 관통홀을 말할 수 있다. 제2 지지부(108)는 제2 고정홀(124)에 결합되어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제2 지지부(108)의 위치는 고정된 상태에서, 제1 지지부(106)는 상하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암(154), 한 쌍의 지지부(106, 108), 브라켓(102) 간의 치수공차, 조립공차가 있는 경우에도, 제1 지지부(106)의 위치를 상하로 이동하 여 브라켓(102)에 고정함으로써, 치수공차, 조립공차로 인하 힌지 축(158)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힌지 축(158)의 틀어짐을 방지함으로써, 제1 암(154)의 동작 시에, 제1 암(154)에 불필요한 하중이 발생하지 않고, 원활한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월 마운트를 나타낸 배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월 마운트의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을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월 마운트 102: 브라켓
106: 제1 지지부 108: 제2 지지부
120: 나사못 150: 링크부
158: 힌지 축 166: 나사구멍

Claims (3)

  1. 제1 및 제2 고정홀이 형성되는 브라켓과;
    상기 제1 및 제2 고정홀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부와;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지지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부; 및
    상기 링크부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홀은
    상기 한 쌍의 지지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장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 마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홀은 정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 마운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지지부 사이에 힌지 결합되는 제1 암과;
    일단이 상기 제1 암의 타단과 스위블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결합부와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 마운트.
KR1020080005216A 2008-01-17 2008-01-17 월 마운트 Ceased KR200900793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216A KR20090079328A (ko) 2008-01-17 2008-01-17 월 마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216A KR20090079328A (ko) 2008-01-17 2008-01-17 월 마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328A true KR20090079328A (ko) 2009-07-22

Family

ID=41290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5216A Ceased KR20090079328A (ko) 2008-01-17 2008-01-17 월 마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932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8260B1 (ko)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월 마운트
US7984888B2 (en) Supporting device of a display unit capable of horizontal and vertical rotation
US20070235609A1 (en) Automatic wall mounting system for wall-mounted TV
KR20050058738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거치 장치
EP2149865A1 (en) Display device
KR20040088305A (ko) 모니터장치
KR20090040752A (ko) 평판 패널 디스플레이장치의 벽걸이용 지지장치
KR20080105402A (ko) 지지장치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0596583B1 (ko) 모니터장치
KR200326987Y1 (ko) Lcd모니터 지지대
KR20090079328A (ko) 월 마운트
KR101145211B1 (ko) 디스플레이장치
US20050152109A1 (en) Monitor
JP2005184506A (ja) テレビスタンド
KR100528583B1 (ko)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
JP2008129390A (ja) 薄型表示装置
KR100520088B1 (ko) 모니터장치
JP2765816B2 (ja) 扉の支持装置
KR20090079321A (ko) 월 마운트
KR20090079326A (ko)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월 마운트
KR100512749B1 (ko) 모니터장치
JP4788190B2 (ja) 映像表示装置の吊り下げ装置
KR20210121431A (ko) 벽걸이 tv용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형 브라켓
KR200279075Y1 (ko) 모니터용 천장걸이
JP4443466B2 (ja) ラックマウント及びラックマウントを付帯する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5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908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05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