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73901A - Handheld terminal - Google Patents

Handheld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3901A
KR20090073901A KR1020070141971A KR20070141971A KR20090073901A KR 20090073901 A KR20090073901 A KR 20090073901A KR 1020070141971 A KR1020070141971 A KR 1020070141971A KR 20070141971 A KR20070141971 A KR 20070141971A KR 20090073901 A KR20090073901 A KR 20090073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transparency
unit
portable terminal
control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19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현준
천지영
고현웅
고동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41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3901A/en
Publication of KR20090073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3901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한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반대편의 사물이 보일 수 있게 투명한 형태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부 상에 배치되며, 디스플레이부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투명도 조절부를 포함한다. 투명도 조절부는 디스플레이부에서 발생되거나 디스플레이부를 투과하는 광을 조절함으로써 반대편에 있는 다른 사람 등이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를 볼 수 없도록 하거나 선택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having a transparent display unit, and includes a display unit formed in a transparent form so that objects on the opposite side can be seen, and a transparency adjusting unit disposed on the display unit and adjusting the transparency of the display unit. The transparency control unit adjusts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display unit or transmitted through the display unit so that other persons on the other side can not see or selectively view the visual information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Description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Mobile terminal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투명한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transparent display unit.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A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device that is portable and has one or more functions such as voice and video calling, information input and output, and data storage.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이들은 종합적으로 탑재되어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를 구현하기도 한다.As the functions are diversified, the mobile terminal has complicated functions such as taking a picture or a video, playing a music or a video file, playing a game, receiving a broadcast, and the like. It also implements.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Many new attempts are being applied to these multimedia devices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to implement complex functions. For example, a user interface environment is provided for a user to search for or select a function easily and conveniently.

아울러, 휴대 단말기가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다양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개발도 요구되고 있다.In addition, while the portable terminal is regarded as a personal portable product for expressing one's personality, the development of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various designs is also required.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전통적인 디스플레이부는 일방향으로만 볼 수 있도록 하는 형태임에 반해, 기술의 발전에 따라 양방향에서 볼 수 있도록 투명한 형태도 개발되고 있다.While the traditional display unit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is viewed only in one direction, a transparent form is also being developed to be seen in both direction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그러나, 투명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경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출력되는 정보를 다른 사람이 볼 수 있으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만이 볼 수 있도록 할 필요성이 발생한다.However, when a transparent display unit is provided, the information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can be viewed by others, so that in some cases, there is a need for only the user to see i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투명한 디스플레이부를 갖춘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and an object thereof is to enable the transparency of the display unit to be adjusted in order to protect the privacy of a user 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transparent display unit.

상기와 같은 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반대편의 사물이 보일 수 있게 투명한 형태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투명도 조절부를 포함한다. 투명도 조절부는 디스플레이부에서 발생되거나 디스플레이부를 투과하는 광을 조절함으로써 반대편에 있는 다른 사람 등이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를 볼 수 없도록 하거나 선택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formed in a transparent form so that objects on the opposite side can be seen, and a transparency adjusting unit disposed on the display unit and adjusting the transparency of the display unit. do. The transparency control unit adjusts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display unit or transmitted through the display unit so that other persons on the other side can not see or selectively view the visual information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디스플레이부는 그 출력되는 정보가 반대편에서는 역상으로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양쪽에서 볼 수 있도록 하므로 디스플레이부를 얇게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디스플레이부는 이페이퍼(e-paper), 투명 OLED(Organic LED) 또는 투명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outputted information is output in reverse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this case, since the information output from one display unit can be viewed from both sides, the display unit can be made thin. 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may be implemented by an e-paper, a transparent OLED, or a transparent transistor.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투명도 조절부는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투명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투명도 조절부는 일렉트로크로미즘(electrochromism)에 의하여 제조된 유리판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 에 적층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arency adjust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ransparency by an electrical signal. In this case, the transparency control unit may be implemented by a glass plate manufactured by electrochromism, and may be formed in a stacked form on the display unit.

투명도 조절부는 조작부의 조작에 의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특정 키버튼을 누름으로써 디스플레이부를 곧바로 불투명하게 하거나, 반대로 투명하게 할 수 있다. 투명도 조절부는 투명도가 단계적으로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transparency adjust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by manipulation of the manipulation unit. That is, by pressing a specific key button, the display can be immediately opaque or vice versa. The transparency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transparency step by step.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투명도 조절부는 메시지의 수신시, 메시지의 작성시 또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경우, 불투명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강하게 보호해야 하는 경우, 그러한 모드에의 진입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의 투명도를 불투명으로 자동적으로 이행하도록 설정함으로써 일일이 조작하여야 하는 수고로움을 덜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arency adjust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switch to an opaque state when a message is received, when a message is written, or when a video is played. If the privacy of the user is to be strongly protected, it is possible to save the trouble of manually operating by setting the display unit to automatically switch the transparency of the display unit at the same time as entering the mode.

투명도 조절부는 디스플레이부 상의 일정 영역만 불투명하게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 메시지나, 메모 또는 전화번호부 등과 같은 사적인 정보의 블럭(block) 만을 불투명하게 함으로써 반대편에서 볼 수 없도록 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또한, 다른 예로서, 투명도 조절부는 문자 또는 숫자의 입력시, 입력된 부분을 따라 불투명하게 전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transparency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opaquely adjust only a predetermined area on the display unit. For example, this is a case where only a block of private information such as a text message or a memo or a phone book is opaque so that it cannot be viewed from the other side. 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the transparency adjust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opaquely switched along the input portion when inputting letters or numbers.

본 발명은 또한, 키패드가 설치된 제1바디와, 제1바디 상에 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바디를 포함하고, 제2바디는 반대면의 사물이 보일 수 있게 투명한 형태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디스플레이부 상에 배치되며 디스플레이부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투명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first body provided with a keypad and a second body foldably connected to the first body, wherein the second body has a display unit formed in a transparent form so that objects on the opposite side can be seen; Disclosed is a portable terminal disposed on a display unit and including a transparency control unit for adjusting transparency of the display unit.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는 제2바디가 제1바디에 폴딩되어 닫힌 경우, 불투명 하게 전환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제1바디의 키패드나 불필요한 부분이 통하여 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opaque when the second body is folded to the first body and clos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keypad or unnecessary parts of the first body from being seen.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디스플레이부는 제2바디가 제1바디에 폴딩되어 닫히거나 열리는 경우 출력되는 정보를 역상으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information outputted when the second body is folded and closed or opened on the first body to be revers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에 의하면, 투명한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양쪽에서 시각정보를 볼 수 있게 되므로 편의성을 높이는 한편 디스플레이부의 투명도를 투명도 조절부에 의하여 조절시키는 것이므로 사적인 정보의 누출을 미연에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ortable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visual information can be viewed from both sides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unit, the convenience is increased and the transparency of the display unit is adjusted by the transparency control unit, thereby minimizing the leakage of private information. It works.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휴대 단말기(1)는 외관을 이루는 단말기 본체(10)를 구비하고 있으며, 단말기 본체(10)는 프론트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11)와 리어 케이스(1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portable terminal 1 includes a terminal body 10 forming an appearance, and the terminal body 10 is formed by a front case (casing, housing, cover, etc.) 11 and a rear case 12.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built in the space formed by the front case 11 and the rear case 12. 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11 and the rear case 12. 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ng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프론트 케이스(11)에는 제1조작부(15), 디스플레이부(14), 음향출력부(13), 영상입력부(23), 음향입력부(16) 등이 배치될 수 있다. The front case 11 may include a first manipulator 15, a display 14, a sound output unit 13, an image input unit 23, a sound input unit 16, and the like.

제1조작부(1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다. The first manipulation unit 15 receives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 according to th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디스플레이부(14)는 휴대 단말기(1)가 갖는 다양한 모드에서의 시각 정보를 출력한다. 이러한 시각정보는 생성중이거나 저장되거나 통신에 의하여 전송된 컨텐츠(텍스트, 그림, 동영상 등)나, 각종 기능이나 메뉴의 조작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등을 포함한다. The display unit 14 outputs visual information in various modes of the portable terminal 1. Such visual information includes contents (text, pictures, videos, etc.) generated, stored, or transmitted by communication, or a user interface related to various functions or menu operations.

디스플레이부(14)는 반대편의 사물이 보일 수 있게 투명한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4)를 통하여 반대편의 사물을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4)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는 휴대 단말기(1)의 반대쪽에서 보여질 수 있다.The display unit 14 is formed in a transparent shape so that objects on the opposite side can be seen. Accordingly, not only the object on the opposite side can be seen through the display unit 14, but visual information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14 can be viewed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1.

음향출력부(13)는 통화시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하는 리시버(Receiver) 또는 각종 시스템의 알림음이나 재생음 등을 출력하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sound output unit 13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eiver for outputting a voice of the other party during a call or a speaker for outputting notification sounds or playback sounds of various systems.

음향입력부(16)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sound input unit 16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icrophone, for example, to receive a user's voice, other sounds, and the like.

제1조작부(15)의 일측에는 제2조작부(17)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조작부(17)는 단말기 본체(10)의 폭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정,역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휠(19)을 포함하고 있다. 다만, 휠(19)의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회전축이 단말기 본체(1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One side of the first manipulation unit 15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manipulation unit 17. The second manipulator 17 includes a wheel 19 rotatably installed in both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bout a rotation axis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terminal body 10. However, the arrangement of the wheels 19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wheels 19 may be rotatably installed so that the rotation axis thereof is arrang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body 10.

휠(19)의 양측에는 누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푸시키(18,20)가 구비된다. 나아가, 휠(19)은 자체로 누름 조작에 의하여 입력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일부가 단말기 본체(10)의 표면으로부터 잠기도록 배치될 수 있다. 푸시키(18,20)의 양측에는 비의도적인 누름에 의한 잘못된 입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푸시키(18,20)의 눌림방지 수단 또는 형상이 포함될 수 있다.A pair of push keys 18 and 2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wheel 19 to be pushed. Furthermore, the wheel 19 may be formed to be input by a pressing operation by itself, and a part thereof may be arranged to be locked from the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10. Both sides of the push keys 18 and 20 may include an anti-pressing means or a shape of the push keys 18 and 20 so as to prevent erroneous input due to unintentional pressing.

휠(19)은 손가락 등을 대고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다양한 모드에서 포인터나 커서를 이동시키거나 각종 조절 가능한 양, 예를 들어 음량, 화면의 밝기 등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마찰력을 제공하기 위해, 원주 방향으로 규칙적인 골이 형성된 원통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휠(19)의 정회전과 역회전 및 푸시키들은 커서나 포인터에 대한 4방향 지시를 의미할 수 있다. 휠(19)의 회전과 푸시키(18,20)의 클릭의 조합에 의하여 어느 한 항목에 대한 선택을 하는 경우, 그 항목으로 커서나 포인터를 이동시키고 휠(19)을 눌러주면 해당 항목 또는 기능이 실행된다.The wheel 19 is rotated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with a finger or the like to move the pointer or cursor in various modes, or to provide a friction force to easily adjust various adjustable amounts, for example, volume, screen brightness, and the like. I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ylindrical body in which regular valleys ar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s and pushkeys of the wheel 19 may mean a four-way indication to the cursor or pointer. When selecting any one item by the combination of the rotation of the wheel 19 and the click of the push keys 18 and 20, move the cursor or pointer to the item and press the wheel 19 to select the item or function. Is executed.

리어 케이스(1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23)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23)는 리어 케이스(12)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An antenna 23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rear case 12 in addition to an antenna for a call or the like. The antenna 23 may be installed in the rear case 12 to be pulled out.

또한, 리어 케이스(12)의 측면에는 제3조작부(22) 및 외부 인터페이스(21)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조작부(17)와 더불어 제3조작부(22)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도시된 것 외에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a third manipulation unit 22 and an external interface 21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rear case 12. In addition to the first and second manipulators 17, the third manipulator 22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manipulating portion, and in addition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the third manipulator 22 may be operated in a tactile manner. Either way may be employed. For example, the operation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dome switch or a touch screen that can receive a command or information by a user's push or touch operation, a touch pad, a wheel that rotates keys, a jog method, or a method such as a joystick. It can also be implemented as.

이외에도 제2조작부(17)는 스크롤 기능 외에 후술하는 영상입력부(24)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operation unit 17 may operate as a hot key for performing a special function such as activation of the image input unit 24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o the scroll function.

외부 인터페이스(21)는 휴대 단말기(1)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외부 인터페이스(21)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외부 인터페이스(21)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 또는 리셉터클일 수도 있다. The external interface 21 serves as a passage for allowing the portable terminal 1 to exchange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external interface 21 may be wired or wireless, and a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with an earphone, a port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an infrared port (IrDA port), a Bluetooth port, a wireless LAN port ( wireless LAN port), or at least one of power supply terminals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The external interface 21 may be a card socket or receptacle that houses an external card such as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or user identity module (UIM), a memory card for storing information.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휴대 단말기(1)의 후면에는 영상입력부(24) 및 전원공급부(25)가 배치될 수 있다.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image input unit 24 and the power supply unit 25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1.

영상입력부(24)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화상통화 등을 위하여 단말기 본체(10)의 전면에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전방 및 후방의 피사체를 하나의 카메라 모듈에 의하여 촬영할 수 있도록 단말기 본체(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image input unit 24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mera module for capturing an image or a video of a user. The camera module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terminal body 10 for a video call, and may be rotat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body 10 so that the front and rear subjects can be photographed by one camera module. It is possible.

전원공급부(25)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25)는 휴대 단말기(1)의 내부 부품 및 디스플레이부(14)에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25 may be detachably coupled for charging as a rechargeable battery. The power supply unit 25 supplies power to the internal parts of the portable terminal 1 and the display unit 14.

도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투명한 디스플레이부(14)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는 반대편에서는 좌우 역상(inverted image)으로 보여진다. 즉, 대기모드에서 휴대 단말기(1)의 디스플레이부(14)에서 출력되는 정보가 현재 시각인 경우, 반대쪽에서는 역상으로 된 시각을 볼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visual information output from the transparent display unit 14 is shown as an inverted image on the opposite side. That is, when th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14 of the portable terminal 1 in the standby mode is the current time, the reversed time can be seen from the opposite side.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Ⅲ-Ⅲ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과 같이, 단말기 본체(10)에는 양쪽에서 디스플레이부(14)가 보여질 수 있도록 관통홀(10a)이 형성된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1. As illustrated in FIG. 3, a through hole 10a is formed in the terminal body 10 so that the display unit 14 can be seen from both sides.

관통홀(10a)에는 위에서 설명한 투명한 디스플레이부(14)와, 디스플레이부(14) 상에 배치되며 디스플레이부(14)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투명도 조절부(40)가 설치된다.The through hole 10a is provided with the transparent display unit 14 described above, and a transparency adjusting unit 40 disposed on the display unit 14 to adjust the transparency of the display unit 14.

디스플레이부(14)는 그 출력되는 시각정보를 전후 양쪽에서 볼 수 있게 투명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페이퍼(e-paper), 투명 OLED(Organic LED) 또는 투 명 트랜지스터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전후방 양쪽의 출력을 위하여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얇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부(14)에는 터치스크린을 더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입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4 may be formed in a transparent form so that the output visual information can be seen from both front and rear sides, and may be implemented by an e-paper, a transparent OLED, or a transparent transistor. . Therefore, compared to the case of using two displays for the output of both front and rear it can be made thinner. The display unit 14 may further include a touch screen to enable input by a user's touch.

투명도 조절부(30)는 디스플레이부(14)에서 발생되거나 디스플레이부(14)를 투과하는 광을 조절함으로써, 반대편에 있는 다른 사람 등이 디스플레이부(14)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를 볼 수 없도록 하거나 선택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한다. The transparency control unit 30 adjusts the light generated by the display unit 14 or transmitted through the display unit 14, so that other people on the other side and the like cannot see the visual information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14. Make it optional.

이러한 투명도 조절부(30)는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투명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투명도 조절부(30)는 일렉트로크로미즘(electrochromism)에 의하여 제조된 유리판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도 3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4)에 적층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투명도 조절부(30)는 안료를 나노 입자로 만들어 분산시킨 잉크가 착색된 유리판을 전기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유리판의 색을 변화시키는 기술 등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안료가 프러시안 블루인 경우, 프러시안 블루의 철 성분을 다른 전이금속으로 치환하면 다양한 색상을 얻을 수 있다. The transparency control unit 30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transparency by the electrical signal. The transparency control unit 30 may be implemented by a glass plate manufactured by electrochromism, and may be formed in a form laminated on the display unit 14 as shown in FIG. 3. In other words, the transparency control unit 30 uses a technique of changing the color of the glass plate by electrically controlling the glass plate in which the ink dispersed by dispersing the pigment into nanoparticles is colored. For example, when the pigment is Prussian blue, various colors can be obtained by substituting the iron component of Prussian blue with another transition metal.

투명도 조절부(30)는 색상의 변화 뿐만 아니라, 명암의 변화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14)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반사율의 변화를 통하여도 디스플레이부(14)의 투명도를 제어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투명도 조절부(30)는 투명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다양한 선택의 기회를 부여할 수 있다.The transparency control unit 30 may adjust the transparency of the display unit 14 by changing the contrast as well as the color, and may be formed to control the transparency of the display unit 14 through the change of reflectance. Can be. In addition, the transparency control unit 30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transparency in stages can give a variety of choice opportunities.

투명도 조절부(30)는 디스플레이부(14)의 전면(全面)을 한꺼번에 조절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위 형태(unit cell)로 형성된 작은 조각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4)에서 투명도 제어가 필요한 부분만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투명도 조절부(3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부(14)의 투명도를 제어하는 모습은 도 5a 내지 도 6c에서 설명될 것이다.The transparency control unit 30 may not only be formed to a size that can adjust the entire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4 at a time, but also small pieces formed in a unit cell form a matrix to form a display unit ( In (14), it is also possible to selectively adjust only the part requiring transparency control. Controlling transparency of the display unit 14 through the transparency adjusting unit 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A to 6C.

도 4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4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무선통신 모듈(41), 조작부(15,17,22), 영상입력부(24), 음향입력부(16), 디스플레이부(14), 음향 출력부(13), 외부 인터페이스(21), 방송 수신 모듈(46), 메모리(44), 전원공급부(25), 투명도 조절부(30) 및 제어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4,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41, an operation unit 15, 17, 22, an image input unit 24, an audio input unit 16, and a display unit 14. And a sound output unit 13, an external interface 21,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46, a memory 44, a power supply unit 25, a transparency control unit 30, and a control unit 40.

제어부(4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40)는 통상적인 기능 제어 이외에 추가적으로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4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또는 설정된 프로그램이나 명령이 실행되는 경우 등과 같이 이벤트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투명도 조절부(30)에 제어신호를 전송한다.The controller 4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perform related control and processing for voice calls, data communications, video calls, and the like. The controller 40 addition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normal function control.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transparency control unit 30 in a situation in which an event occurs, such as when a user's operation or a set program or command is executed.

무선 통신 모듈(4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4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42)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43)을 포함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41 transmits / receives a radio signal with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an antenna. For exampl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0, the transmitter 42 is responsib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data, text data, image data, and control data, and modulates and transmits a signal to be transmitted, and a receiver for demodulating the received signal. 43).

조작부(15,17,2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40)에 제공한다. 조작부(15,17,22)는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The operation units 15, 17, and 22 are configured as shown in FIG. 1 to provide the control unit 40 with key input data input by the us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operation unit 15, 17, 22 is composed of a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pressure / capacitance),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영상입력부(24)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4)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4)로 출력된다.The image input unit 24 processe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an image sensor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is converted into image data displayable on the display unit 14 and output to the display unit 14.

영상 입력부(24)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44)에 저장되거나 무선 송수신부(41)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image input unit 24 is stored in the memory 44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41.

음향 입력부(16)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 통신 모듈(4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 통신 모듈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4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음향 입력부(16)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sound input unit 16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all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etc., and processes the external sound signal into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is converted into a form transmittabl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41 and output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 the call mode. In the recording mode, the processed voice data is output to be stored in the memory 44. The sound input unit 16 may implement various noise removing algorithms for remov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디스플레이부(14)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4)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The display unit 14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in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the call mode, the control unit 40 displays and outputs a user interface (UI) or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related to the call.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mobile terminal displays and outputs the captured image, UI, or GUI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0. When the display unit 14 includes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4 is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음향출력부(13)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무선 통신 모듈(4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4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The sound output unit 13 transmits to the sound data or the memory 44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4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0 in a call signal reception,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and the like. The stored sound data is converted and output to the outside.

또한, 음향출력부(13)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3)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으로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ound output unit 13 outputs a sound signal related to a function (for example, a call signal reception sound, a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sound output unit 13 includes a speaker, a receiver, a buzzer, and the like.

외부 인터페이스(21)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외부 인터페이스(21)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The external interface 21 connects a wired / wireless headset, an external charger,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card socket (for example, a memory card, a SIM / UIM card), etc., to the portable terminal in addi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It serves as an interface with external devices. The external interface 21 receives data or power from an external device and transmits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mobile terminal or transmits the data inside the mobile terminal to the external device.

메모리(44)는 제어부(4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memory 44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40, and provides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 output data (for example,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a video, etc.). It can also be done.

이외에도 메모리(44)에는 특정 모드나 이벤트에서 제어부(40)를 통하여 제어될 투명도 조절부(30)의 전기적 신호에 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또는 통신에 의하여 서버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받 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memory 44 may store information about an electrical signal of the transparency controller 30 to be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ler 40 in a specific mode or event. Such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from a server or a base station by a user's input or by communication.

메모리(4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러한 메모리(4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The memory 44 stores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memory 44 includes the concepts of generally known hard disks,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etc.), flash memory, RAM, ROM, and the like.

방송 수신 모듈(46)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3), 디스플레이부(14)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4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46)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 모듈(46)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44)에 저장될 수도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46 receives a broadcast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satellite or terrestrial wave, converts the broadcast signal into a form of broadcast data that can be output to the sound output unit 13 and the display unit 14, and outputs the broadcast signal to the controller 40. In addition,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46 receives additional data related to the broadcast (for example, an EPG (electric program guide), a channel list, etc.). The broadcast data and additional data converted by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46 may be stored in the memory 44.

투명도 조절부(30)는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각종 모드 또는 이벤트 발생시 디스플레이부(14)의 투명도를 조절한다. 예를 들어, 투명도 조절부(30)는 사용자가 조작부(15,17,22)를 통하여 조작하는 경우, 외부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어 읽는 경우, 보낼 메시지를 작성중인 경우, 사진이나 동영상을 감상하는 경우 등의 상황에서 제어부(40)의 제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부(14)의 투명도를 어둡게 함으로써 반대편의 타인 등이 디스플레이부(14)의 출력정보를 볼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The transparency controller 30 adjusts the transparency of the display unit 14 when various modes or events are generat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0. For example, the transparency control unit 30 may be used when the user operates through the operation units 15, 17, and 22, when a message is received and read from the outside, when a message is being written, or when a photo or video is viewed. In such a situation, the transparency of the display unit 14 may be darken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0 so that the other person or the like may not see the output information of the display unit 14.

전원 공급부(25)는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아울러, 전원공급부(25)는 투명도 조절부(30)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4)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The power supply unit 25 receives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internal power sou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0 to supply power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25 may supply power to the transparency control unit 30 to adjust the transparency of the display unit 14.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과 관련된 투명도 조절부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보인 전면도들이다.5A to 5F are front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transparency control uni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투명한 디스플레이부(14)를 통하여 반대편의 사람(50)이 보여지고 있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이 때, 반대편의 사람(50)도 디스플레이부(14)에서 출력되고 있는 시각정보를 볼 수 있게 된다. FIG. 5A illustrates a view of the person 50 on the opposite side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unit 14. At this time, the person 50 on the other side can also see the visual information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14.

하나의 사용예로서, 영상입력부(24)에 의하여 촬영될 사진이나 동영상은 디스플레이부(14)를 통하여 보여지는 반대편의 사물의 모습일 수 있다.As an example of use, the picture or video to be photographed by the image input unit 24 may be the shape of the opposite object seen through the display unit 14.

도 5b는 도 5a와 같은 상태에서 투명도 조절부(30)가 동작되어 반대편의 사람(50)이 디스플레이부(14)를 통하여 볼 수 없게 되었음을 도시하고 있다. 이렇게 디스플레이부(14)를 불투명하기 위해서 제1조작부(15) 또는 제2조작부(17)에 설정된 키 또는 버튼을 누름이나 휠(19)의 회전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디스플레이부(14)를 불투명하게 하기 위해 투명도 조절부(30)를 조작하기 위한 수단은 사용자의 의도적인 지시 예를 들어 소리 또는 빛에 의하여 감응시켜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FIG. 5B illustrates that the transparency adjuster 30 is operated in the same state as that of FIG. 5A so that the person 50 on the opposite side cannot be seen through the display unit 14. Thus, in order to opaque the display unit 14 may be achieved by pressing a key or button set in the first operation unit 15 or the second operation unit 17 or by rotating the wheel 19. In addition, the means for manipulating the transparency control unit 30 to make the display unit 14 opaque may be realized by inducing a user's intentional instructions, for example, by sound or light.

도 5c는 도 5a와 같은 상태에서, 메시지를 수신하였거나 사적인 데이터에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4)를 통하여 출력시키는 때, 휴대 단말기의 반대편에 있는 사람(50)이 볼 수 없도록 디스플레이부(14)가 불투명하게 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투명도 조절부(30)는, 디스플레이부(14)가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신호로써 전달받아 그 내용을 출력하는 때, 자동적으로 불투명하게 변환되도록 설 정될 수 있다.FIG. 5C shows the display unit 14 so that a person 50 on the other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cannot be seen when the message is received or information related to private data is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4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5A. Shows that it has become opaque. In this case, the transparency adjusting unit 30 may be set to be automatically converted to opacity when the display unit 14 receives a message that a message has been received and outputs the contents thereof.

도 5d는 도 5a와 같은 상태에서, 사진이나 동영상을 감상하는 경우에 휴대 단말기의 반대편에 있는 사람(50)이 볼 수 없도록 디스플레이부(14)가 불투명하게 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FIG. 5D illustrates that the display unit 14 is opaque so that the person 50 on the other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cannot see when viewing a picture or video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5A.

이와 같이,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강하게 보호해야 하는 경우, 그러한 모드에의 진입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14)의 투명도를 불투명으로 자동적으로 이행하도록 설정함으로써 일일이 조작하여야 하는 수고로움을 덜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privacy of the user is to be strongly protected, it is possible to save the trouble of manually operating by setting the display unit 14 to automatically shift the transparency of the display unit 14 at the same time as entering the mode.

도 5e는 투명도 조절부(30)에 의하여 조절되는 영역이 디스플레이부(14)의 일부분만을 불투명하게 만든 경우이다. 즉, 반대편의 사람(50)이 보여주고 싶지 않는 내용, 예를 들어, 문자 메시지나, 메모 또는 전화번호부 등과 같은 사적인 정보의 메시지 블럭 만을 불투명하게 함으로써 반대편에서 볼 수 없도록 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FIG. 5E illustrates a case in which an area controlled by the transparency controller 30 makes only a portion of the display 14 opaque. That is, this is the case that the other side 50 is not visible from the other side by opaque only the message block of the content, for example, a text message or a private information such as a memo or a phone book.

도 5f는 작성중에 있는 메시지 또는 숫자 등이 커서의 이동에 따라 순차적으로 불투명하게 변환되는 예를 보인 것이다. 투명도 조절부(30)는 메시지 또는 숫자가 적여진 영역만을 불투명하게 하고, 이를 제외한 미작성된 영역은 투명하게 하는 것이다.5F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message or a number being written is sequentially converted to opacity as the cursor moves. Transparency control unit 30 is to opaque only the area in which the message or number is written, and to make the unwritten area except the transparent.

도 6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닫힌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불투명하게 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6c는 도 6b의 휴대 단말기가 열린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6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losed state of a foldabl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B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aque state of a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6A, and FIG. 6C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6B.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a portable terminal.

이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는, 키패드(115)가 설치된 제1바디(101)와, 제1바디(101) 상에 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바디(102)를 포함하고 있다.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first body 101 provided with a keypad 115 and a second body 102 that is foldable on the first body 101. Doing.

제2바디(102)는 반대면의 사물이 보일 수 있게 투명한 형태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114)를 포함하고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14) 상에는, 도 3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4)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투명도 조절부가 포함되어 있다.The second body 102 includes a display unit 114 formed in a transparent form so that objects on the opposite side can be seen. On the display unit 114, as shown in FIG. 3, transparency of the display unit 114 is shown. Transparency control unit to control the included.

도 6a에서 보는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14)가 투명한 상태에서는 제1바디(101)의 키패드(115)가 보이게 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부(122)에 입력하거나 터치스크린이 사용된 경우 디스플레이부(114)에 대한 터치가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14)는 불투명으로 전환되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14)의 출력정보만을 볼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6A, the keypad 115 of the first body 101 is visible when the display 114 is transparent. In this state, when input to the operation unit 122 or when the touch screen is used, when there is a touch on the display unit 114, the display unit 114 is switched to opaque and the user sees only the output information of the display unit 114. It becomes possible.

도 6a의 상태 또는 도 6b의 상태에서 제2바디(102)를 회전시켜 제1바디(101)에 대하여 열면, 디스플레이부(114)의 출력정보는 반대편의 타인(50)으로 향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부(114)의 출력정보는 사용자가 올바르게 읽을 수 있도록 좌우 및 상하 역상으로 변환된다(도 6c). 따라서, 반대편의 타인(50)은 사용자가 보는 시각정보가 좌우 역상이 된 내용을 볼 수 있게 된다.In the state of FIG. 6A or the state of FIG. 6B, when the second body 102 is rotated and ope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101, the output information of the display 114 may be directed to the other person 50 on the opposite side. The output information of 114 is converted into left, right, up and down reverse phases so that the user can read it correctly (Fig. 6C). Thus, the other person 50 on the other side can see the contents of the left and right reversed visual information viewed by the user.

제2바디(102)가 도 6c와 같이 열려진 상태에서 투명도 조절부에 의한 디스플레이부(14)의 투명도 제어는 위의 도 5a 내지 도 5f의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body 102 is opened as shown in FIG. 6C, transparency control of the display unit 14 by the transparency adjuster may be implemented by the method of FIGS. 5A to 5F.

상기와 같이 설명된 휴대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portable terminal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Ⅲ-Ⅲ에 따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도 4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4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과 관련된 투명도 조절부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보인 전면도들5A to 5F are front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transparency control uni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닫힌 상태를 보인 사시도6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losed state of a folding portable terminal as an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b는 도 6a의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불투명하게 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6B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6A is opaque.

도 6c는 도 6b의 휴대 단말기가 열린 상태를 보인 사시도6C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6B.

Claims (14)

반대편의 사물이 보일 수 있게 투명한 형태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 및A display unit which is formed in a transparent form so that objects on the opposite side can be seen; And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투명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The mobile terminal is disposed on the display unit and includes a transparency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transparency of the display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splay unit, 그 출력되는 정보가 반대편에서는 역상으로 보여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the output information is configured to be viewed in reverse from the opposite sid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이페이퍼(e-paper), 투명 OLED(Organic LED) 또는 투명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display unit is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mplemented by e-paper, a transparent OLED (Organic LED) or a transparent transisto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투명도 조절부는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투명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transparency control unit is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parency is controlled by an electrical signal.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투명도 조절부는 일렉트로크로미즘(electrochromism)에 의하여 형성된 유리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transparency control unit is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glass plate formed by electrochromism (electrochromism).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투명도 조절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적층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transparency control unit is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form stacked on the display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투명도 조절부는 조작부의 조작에 의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transparency control unit is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operate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투명도 조절부는 투명도가 단계적으로 조절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transparency control unit is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adjust the transparency step by step.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투명도 조절부는 메시지의 수신시, 메시지의 작성시 또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경우, 불투명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transparency adjusting unit is configured to switch to an opaque state when receiving a message, writing a message, or playing a video.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투명도 조절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일정 영역만 불투명하게 조절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transparency control unit is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opaque control only a predetermined area on the display.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투명도 조절부는 문자 또는 숫자의 입력시, 입력된 부분을 따라 불투명하게 전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transparency controller is configured to be opaquely switched along the input portion when inputting letters or numbers. 키패드가 설치된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 상에 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는,A first body provided with a keypad and a second body foldably connected to the first body, wherein the second body includes: 반대면의 사물이 보일 수 있게 투명한 형태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 및A display unit formed in a transparent shape so that objects on the opposite side can be seen; And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투명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The mobile terminal is disposed on the display unit and includes a transparency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transparency of the display unit.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2바디가 상기 제1바디에 폴딩되어 닫힌 경우, 불투명하게 전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the display unit is configured to be opaque when the second body is folded and closed on the first body.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2바디가 상기 제1바디에 폴딩되어 닫히거나 열리는 경우 출력되는 정보를 역상으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the display unit is configured to convert information outputted when the second body is folded to the first body to be closed or opened in reverse.
KR1020070141971A 2007-12-31 2007-12-31 Handheld terminal Ceased KR2009007390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971A KR20090073901A (en) 2007-12-31 2007-12-31 Handheld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971A KR20090073901A (en) 2007-12-31 2007-12-31 Handheld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901A true KR20090073901A (en) 2009-07-03

Family

ID=41331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1971A Ceased KR20090073901A (en) 2007-12-31 2007-12-31 Handheld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3901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496B1 (en) * 2010-01-06 2013-07-16 애플 인크. Transparent electronic device
KR20140115043A (en) * 2013-03-20 2014-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KR20150088084A (en) * 2014-01-23 2015-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US9606353B2 (en) 2014-08-19 2017-03-28 Hyundai Motor Company Variable transparency glass and apparatus for adjusting variable transparency glass
CN108983525A (en) * 2018-08-14 2018-12-1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Electrochromic components and electronic devices
US10211422B2 (en) 2016-09-12 2019-02-19 Samsung Display Co., Ltd. Transparent display panel a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496B1 (en) * 2010-01-06 2013-07-16 애플 인크. Transparent electronic device
US8890771B2 (en) 2010-01-06 2014-11-18 Apple Inc. Transparent electronic device
US9367093B2 (en) 2010-01-06 2016-06-14 Apple Inc. Transparent electronic device
US9830844B2 (en) 2010-01-06 2017-11-28 Apple Inc. Transparent electronic device
US10657857B2 (en) 2010-01-06 2020-05-19 Apple Inc. Transparent electronic device
KR20140115043A (en) * 2013-03-20 2014-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KR20150088084A (en) * 2014-01-23 2015-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US9606353B2 (en) 2014-08-19 2017-03-28 Hyundai Motor Company Variable transparency glass and apparatus for adjusting variable transparency glass
US10211422B2 (en) 2016-09-12 2019-02-19 Samsung Display Co., Ltd. Transparent display panel a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8983525A (en) * 2018-08-14 2018-12-1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Electrochromic components and electronic devic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7833B2 (en) Mobile terminal
EP1758345B1 (en) Mobile telecommunication handset having touch pad
KR20090013129A (en) Handheld terminal
KR20110044620A (en) Expansion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KR20100005574A (en) Portable terminal
KR20090132014A (en) Handheld terminal
KR20110050243A (en) Handheld terminal
KR20100018389A (en)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110062089A (en) Handheld terminal
KR20090073901A (en) Handheld terminal
KR20100003625A (en) Function-extending assembly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090102242A (en)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090080426A (en) Expansion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same
KR20100030970A (en) Casing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441922B1 (en) A touch sensor assembly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touch sensor assembly
US8024017B2 (en) Slidable mobile terminal having a slide module
KR20100088983A (en) Portable terminal
KR101595347B1 (en)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same
KR101409872B1 (en) Portable terminal
KR20080113667A (en) Mobile terminal and its user interface
KR20110021477A (en) Mobile terminal
KR101474437B1 (en) Mobile terminal
KR101517239B1 (en) Connector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20090030093A (en) Handheld terminal
KR100930564B1 (en) Handheld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3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12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12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5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11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5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