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4437B1 -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74437B1 KR101474437B1 KR1020080042024A KR20080042024A KR101474437B1 KR 101474437 B1 KR101474437 B1 KR 101474437B1 KR 1020080042024 A KR1020080042024 A KR 1020080042024A KR 20080042024 A KR20080042024 A KR 20080042024A KR 101474437 B1 KR101474437 B1 KR 1014744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keys
- region
- main body
- portable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그룹의 키들이 일 면에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는 본체와, 상기 키들을 덮은 채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이동에 따라 상기 키 그룹들 중 어느 한 그룹이 인지되게 하는 제1 영역과 다른 그룹(들)이 인지되지 않게 하는 제2 영역을 구비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comprising: a main body in which a plurality of groups of keys are operably disposed on one side; and a plurality of keys, each of which is mounted on the main body movably while covering the keys, 1 region and a second region for preventing the other group (s) from being recogniz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호 (명령, 정보 등)을 입력받기 위한 키들이 선택적으로 인지되도록 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means for selectively recognizing keys for receiving signals (commands, information, etc.).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A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which is portable and has one or more functions of voice and video call function, information input / output function, and data storing function.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As the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are diversified, the portable terminal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ultimedia device having complicated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nd photographing of a moving picture, reproduction of music or video file, reception of a game, and reception of a broadcast.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In order to implement complex functions in multimedia devices, various new attempts have been made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에 대한 연구가 거듭 되고 있다. For example, a user interface environment for searching for and selecting a function easily and conveniently has been researched.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디바이스 또는 조작부에 대해서도, 사용의 조작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A method for enhancing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ion of use can be considered also for the input device or the operation unit for inputting the signal by the user's operation.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종래와 다른 형태의 입력 방식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input method of another type.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복수의 그룹의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키들 중 입력 모드에 부합되는 그룹만이 인지되어 조작의 편의성이 높은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in which only a group corresponding to an input mode among keys for receiving signals of a plurality of groups is recognized and convenience of operation is high.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복수의 그룹의 키들 중 어느 그룹의 키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이 직관적인 입력 수단에 대한 조작에 의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easily make an input for selecting a group key of a plurality of groups of keys by an operation on intuitive input means.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복수의 그룹의 키들이 일 면에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는 본체와, 상기 키들을 덮은 채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이동에 따라 상기 키 그룹들 중 어느 한 그룹이 인지되게 하는 제1 영역과 다른 그룹(들)이 인지되지 않게 하는 제2 영역을 구비하는 프레임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body having a plurality of groups of keys disposed on one surface thereof so as to be operable, And a second area for making the other group (s) not to be recognized according to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키 그룹들은 숫자키 그룹, 문자키 그룹, 및 기능키 그룹들 중 적어도 2개를 포함한다. 상기 키들은 누름 방식 및/또는 터치 방식으로 신호를 입력받는 키들일 수 있다. 상기 키들은 상기 입력되는 신호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조작 시 상기 표시된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 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 groups include at least two of a numeric key group, a character key group, and a function key group. The keys may be keys that receive a signal in a pushing manner and / or a touching manner. The keys may includ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input signal, and a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the displayed signal in operation.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일 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영역은 누름 조작 시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키들이 신호를 입력받지 않게 되는 범위 내에서 변형되는 수준의 강성을 가지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프레임 중에서 개구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된 부분에는 상기 제2 영역보다 낮은 강성을 가지는 키탑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키탑 부재는 광 투과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re formed alternately along one direction in the frame. The second area may be a part having a rigidity such that the key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rea are deformed within a range in which no signal is input when the second area is pressed. The first region may include an open portion in the frame. The key top member having lower rigidity than the second region is mounted on the opened portion, and the key top member may be formed of a light transmitting material.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 된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본체의 상기 키들이 배치되는 일 면과, 상기 일 면에서 연장하는 면(들)의 적어도 일 부분들을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와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슬라이딩 시 상기 본체와 프레임 중 어느 하나와 슬라이딩 접촉되는 윤활성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is slidably engaged with the main body. The frame may be configured to enclose at least some of the surfaces on which the keys of the body are disposed and the surface (s) extending from the one surface. A sliding memb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frame so as to be in sliding contact with one of the main body and the frame when the sliding member is slid.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며 상기 제1 및 제2 영역들은 회전 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and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are alternately formed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과 상기 본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이 상기 이동 중에 적어도 일 위치에서 정지되도록 하는 정지부가 구비된다. 상기 정지부는 하나의 돌기가 다른 돌기 또는 홈에 걸리는 방식 및/또는 자기적 인력에 의해 결합 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op portion formed between the frame and the main body so that the frame is stopped in at least one position during the movement. The stopper may be configured in such a manner that one protrusion is engaged with another protrusion or groove and / or coupled by magnetic attra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화면은 상기 프레임의 이동에 관련되어 변 환된다. 상기 이동에 따라 변환된 화면에서 출력되는 작업 내용은 상기 프레임이 원래 상태로 이동됨에 따라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display unit, and a screen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is converted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frame. The task contents output from the screen conver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can be stored or executed as the frame is moved to the original stat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의 제1 및 제2 영역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어느 한 그룹만이 사용자에게 인지된다. 사용자는 상기 그룹만을 인지하여 조작하기에, 복수의 그룹들이 동시에 인지되는 경우보다 쉽게 원하는 신호를 인지하고 그의 입력을 위한 조작을 할 수 있게 된다.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only one group is selectively recognized by the user due to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of the frame movably mounted on the main body. The user recognizes only the group, so that it becomes easier to perceive a desired signal and to perform an operation for inputting it, when a plurality of groups are simultaneously recognized.
위와 같은 그룹의 선정은 프레임의 이동이라는 직관적인 방식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는 여러 단계를 거치지 않고 간단하게 필요한 또는 작동 모드에 맞는 그룹의 키들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selection of the above group is performed by an intuitive method of frame movement, the user can simply select a group of keys according to the required or operation mode without going through various steps.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누름 방식의 입력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처음의 설명으로 갈음한다.Hereinafte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push-type input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different embodiments in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replaced with the first explanation.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제1바디(10)와, 상기 제1바디(1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20)를 포함한다. 본 도면에서는 제1 바디(10)의 길이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슬라이딩 방향(S)을 따라 슬라이딩이 이루어진 모습을 예시하고 있다. 제1바디(10)가 제2바디(20)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10)가 제2바디(20)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휴대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The portable terminal operates mainly in the standby mode in the closed state, but the standby mode is also released by the operation of the user. The portable terminal operates mainly in a communication mode in an open state, but is also switched to a standby mode by a user's operation 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상기 제1바디(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A casing (a casing, a housing, a cover, etc.) constitut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제1 바디(1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1)에는 디스플레이부(13), 음향출력부(14), 제1 영상입력부(15), 제1 조작부(16) 및 음향입력부(17)가 배치될 수 있다. The
상기 디스플레이부(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3)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The
상기 음향출력부(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상입력부(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조작부(1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다. 상기 음향 입력부(17)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제1바디(10)와 마찬가지로, 프론트 케이스(21)와 리어 케이스(22)가 제2 바디(20)의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The
제2 바디(2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2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조작부(23)가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21) 또는 리어 케이스(2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조작부(24), 인터페이스(26)가 배치될 수 있다. The
상기 제1 내지 제3 조작부(16,23,24)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The first to third operating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peration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dome switch or a touch screen or a touch pad capable of receiving commands or information by a push or touch operation of a user, or may be a wheel, a jog type, a joystick, Or the like.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6)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조작부(23)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제3 조작부(24)는 제1 영상입력부(1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In terms of functions, the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부(16,23,24) 중 적어도 하나, 예를 들어 제2 조작부(23)가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의해 작동하는 누름 방식의 입력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제2 조작부(23)는 쿼티(QWERTY) 배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상기 인터페이스(26)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26)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26)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The
리어 케이스(22) 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7)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공급부(27)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다.A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조작부(23)는 복수의 키들(40)과 프레임(50)을 포함한다.Referring again to FIG. 1, the
상기 키들(40)은 복수 개로서 숫자키 그룹, 문자키 그룹, 및 기능키 그룹들 같이 그룹 단위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숫자키 그룹은 0에서 9에 이르는 숫자들을, 문자키 그룹은 한글 자음 및 모음 또는 알파벳을, 기능키는 확인키나 방향키 등을 포함한다. 본 도면에는 숫자키 그룹의 키들로서, 0에서 9에 이르는 숫자들이 입력되도록 하는 숫자키들(41)이 예시되어 있고, 이는 전화번호 입력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숫자키 그룹의 키들(41)과 같이 키의 개수가 많지 않은 경우라면, 숫자키들에 일부의 기능키들이 합쳐져서 하나의 키 그룹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The
상기 프레임(50)은 주로 프론트 케이스(21)를 감싸는 채로 제2 바디(20)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50)은 프론트 케이스(21)의 주면(main surface)과 상기 주면에서 연장하는 측면(side surface)를 감싼 채로 배치된다. The
프레임(50)은 플레이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프레임(50)의 주면은 숫자키들(41)이 외부에서 인지되게 하는 제1 영역(51)과, 제1 영역(51)을 제외한 제2 영역(52)을 포함한다. The
도 2는 도 1의 프레임(50)이 전개 방향(D)을 따라 전개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본 도면을 참조하면, 프레임(50)은 슬라이딩 방향(S)에 수직한 전개 방향(D) 을 따라 프레임(50)이 슬라이딩 이동된 상태에 놓여 있다. 그러나, 프레임(50)의 슬라이딩 방향이 반드시 위 방향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this figure, the
상기 슬라이딩에 의하여, 프레임(50)의 제1 영역(51)을 통해서는 앞선 도 1에 예시된 키들(41)이 아닌 다른 키들(42)이 인지되게 된다. 위 키들(42)은 문자키들로서 알파벳을 입력받기 위한 키들이며, 쿼티(QWERTY) 배열을 이루도록 배열될 수 있다. 위 알파벳 입력을 위한 키들(42)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3)에 출력되는 내용을 보면서 문자 메세지를 작성하거나 이메일 송신을 위한 내용을 편집할 수 있게 된다. By means of the sliding,
이와 같은 슬라이딩에 의하여, 앞서 도 1에 예시된 숫자키들(41)은 프레임(50)의 제2 영역(52)에 의해 외부에서 인지되지 않도록 가려진다. 그 결과로, 단말기의 작동 모드에 맞는 키들(41 또는 42)만이 표시되기에, 복수의 그룹의 키들이 함께 표시됨에 따른 복잡함이 제거 또는 완화될 수 있다. By this sliding, the
또한, 작동 모드에 맞는 키들에 대한 선택이, 메뉴를 통해 몇 단계를 거쳐서 이루어지는 방식과 달리, 프레임(50)을 슬라이딩시키는 직관적이고 일회적인 방식에 의해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쉽게 원하는 입력 환경을 얻을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Further, unlike the method in which the selection of the keys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mode is performed through several steps through the menu, the user can easily obtain the desired input environment by performing the intuitive and one-time method of sliding the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도 3을 참조하면, 제2바디(20)의 리어 케이스(22)의 후면에는 제2 영상입력부(28)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상입력부(28)는 제1 영상입력부(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영상입력부(15)와 서 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a second
예를 들어, 제1 영상입력부(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제2 영상입력부(28)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제2 영상입력부(28)에 인접하게는 플래쉬(29)와 거울부(30)가 추가로 배치된다. 상기 플래쉬(29)는 제2 영상입력부(28)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30)는 사용자가 제2 영상입력부(28)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A
하부 커버(22)에는 제2 음향출력부(31)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음향출력부(31)는 제1 음향출력부(14, 도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The
하부 커버(2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3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32)는 제2바디(20)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At one side of the
제1바디(10)의 리어 케이스(12) 측에는 제1바디(10)와 제2바디(2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33)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33)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20)의 프론트 케이스(21)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A portion of the slide module 33 that slidably couples the
이상에서는 제2 영상입력부(28) 등이 제2바디(20)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영상입력부(28) 등과 같이 하부 커버(2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28 내지 3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바디(10), 주로는 하부 커버(1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하부 커버(1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20)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 영상입력부(28)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영상입력부(15)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영상입력부(28)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econd
도 4는 도 1의 라인(Ⅳ-Ⅳ)을 따라 취한 제2 조작부(23)의 일 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the
본 도면을 참조하면, 키들(40)은 표시부(71)와 신호 발생부(72)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this figure, the
표시부(71)는 키들(40)이 조작됨에 따라 단말기에 입력되는 신호(명령, 정보)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하게 된다. 표시부(71)는 위와 같은 신호를 알리기 위한 패턴(기호, 문양)이 인쇄된 인쇄층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신호 발생부(72)는 스위치(72a)들이 배열되는 기판(72b)을 구비하여, 스위치(72a)가 눌려짐에 따라 신호가 발생 되는 누름 방식으로 구현된다. 각 스위치(72a)에 대응해서 그의 누름 조작이 쉽게 이루어지게 하는 누름 돌기들이 구비된 누름 패드(72c)는 스위치(72a)들 위에 배치될 수 있다. The
프레임(50)의 제1 영역(51)에는 개구부(51a)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51a)에는 광 투과성의 키탑 부재(51b)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걸려진 채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키탑 부재(51b)를 구비하지 않고 개구부(51a)를 통해 키들(40)이 직접 외부로 노출되어 인지되게 할 수도 있다. 키탑 부재(51b)의 하측에는 지지부재(56)가 배치되어, 키탑 부재(51b)가 개구부(51a)에서 하측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An
지지부재(56)와 표시부(71) 사이에는 윤활부재(73)가 배치될 수 있다. 윤활부재(73)는 프레임(50)의 슬라이딩에 의해 프레임(50)과 키들(40)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마찰을 완화할 수 있다. 윤활부재(73)로서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예를 들어, POM(Poly Oxy Methylene)과 같은 윤활성이 좋은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달리, 별도로 지지부재(56)를 구비하지 않고, 윤활부재(73)가 직접 프레임(50)에 부착 또는 결합 되도록 할 수도 있다.A lubrication member 7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키탑 부재(51b)가 누름 조작됨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스위치(72a)가 눌려져서 회로기판(72b)에서는 일정 신호가 입력되게 된다. 프레임(50)의 제2 영역(52)에 대응하는 스위치(72a)는 프레임(50)이 이동되어 제1 영역(51)에 대응되지 전까지는 대기 상태에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as the key
도 5는 도 4의 제2 조작부(23)에 대한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2 조작부(23)를 이루는 키들은 터치 스크린(80)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80)을 이루는 터치 입력부(81)는 제1 영역(51)에 대한 터치 조작에 따른 신호를 입력받고, 디스플레이 모듈(82)은 터치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를 표시한다. 결과적으로, 터치 입력부(81)는 앞선 실시예의 신호 발생부(72)에 대응하고, 디스플레이 모듈(82)은 표시부(71)에 대응하는 것으로 구분될 수 있 다.Referring to FIG. 5, the keys constituting the
본 변형예에서도 윤활부재(83)는 앞선 실시예의 윤활부재(73)와 같은 특성을 가지며, 프레임(50)에 직접 부착되거나 다른 부재를 개재하고서 결합 될 수 있다.The
도 6은 도 1의 제2 바디(20)에서 프레임(50)을 분리한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2 바디(20)의 프론트 케이스(21)에는 숫자 그룹의 키들(41)과 문자 그룹의 키들(42)이 길이 방향{전개 방향(D)에 대응}을 따라 교대로 배열된다.Referring to this figure,
프레임(50)은 한 번 절곡된 플레이트 형태로서, 제1 영역(51)과 제2 영역(52)은 프레임(50)의 주면에 교대로 배열되는 형태를 가진다. The
제1 영역(51)은 광 투과성을 가져서 대응되는 키들(40)이 외부에서 인지되게 하며, 앞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개구부(51a)에 키탑 부재(51b)가 결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키탑 부재(51b)는 제2 영역(52) 보다 낮은 강성을 가져서 사용자의 누름 조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The
제2 영역(52)은, 제1 영역(51)과 달리, 광 투과성을 가지지 않아서 그에 대응하는 키들(50)이 외부에서 인지되지 않게 한다. 제2 영역(52)은 또한 제1 영역(51) 보다는 큰 강성을 가져서, 사용자 등에 의해 잘못 눌려진 경우에도 그에 대응하는 키들(40)이 조작되지 않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제2 영역(52)이 눌려진 경우라도 그에 대응하는 키들(40)이 신호를 입력받지 않게 되는 범위 내의 강성을 가지는 소재가 제2 영역(52)을 이루게 할 수 있다. 그 결과로, 제1 영역(51)의 조작성이 제2 영역(52)의 조작성보다 높아져서, 제1 영역(51)에 대응하는 키들(40)이 선별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도록 유도되게 된다.The
프레임(50)의 주면에서 절곡 되어 연장하는 측면에는 전개 방향(D)을 따라 연장하도록 돌출되는 슬라이딩부(53)가 형성된다. 슬라이딩부(53)의 일 지점에는 돌기 형태의 돌출부(55)가 형성된다.A sliding
제2 바디(20)의 측면에는 프레임(50)의 슬라이딩부(53)에 대응하는 가이드부(60)가 형성된다. 가이드부(60)는 전개 방향(D)을 따라 연장하는 그루브(groove)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가이드부(60)의 적어도 일 지점에는 그루브의 간격을 좁히는 멈춤돌기(61)들이 형성된다. 이러한 멈춤돌기(61)들에 의해 한정된 공간은 돌출부(55)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62)로서 기능 한다. On the side surface of the
위의 슬라이딩부(53)가 가이드부(60)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프레임(50)은 전개 방향(D)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돌출부(55)가 안착부(62)에 안착됨에 따라서는, 프레임(50)은 상기 슬라이딩 중에 적어도 일 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다. As the sliding
이상에서는 키들(40)로서 2 종류의 키들(41, 42)만을 예시하였으나, 3종류 이상의 키들이 배치될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라면, 위의 프레임(50)이 정지되게 하는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프레임(50)의 제1 영역(51)이 필요에 따라 각 키들에 대응하는 위치에 정지되게 하면 될 것이다. Although only two types of
위와 같은 정지 메커니즘과 달리, 슬라이딩부(53)에 제1 자기적 요소를 배치하고 가이드부(60)에 그에 대응하는 제2 자기적 요소를 배치하여 자기적 인력에 의 해 정지가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자기적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자석이고, 다른 하나는 역시 자석이거나 금속 부재일 수 있다.Unlike the above-described stop mechanism,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the first magnetic element in the sliding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보인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서는 앞선 실시예와 달리, 제1 바디(10)가 제2 바디(20)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슬라이딩 방향(S')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2 바디(20)에 결합된다. 프레임(90)은 제1 바디(10)가 이루는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D')을 따라 전개된다. 음향 입력부(25)는 제2 바디(20)에 배치된다.The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조작부(16')에 해당되는 복수의 그룹의 키들(45)은 프레임(90)의 회전에 의해 일부 그룹이 노출되고 다른 그룹은 노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복수의 그룹의 키들(45)의 각 그룹들은 위 회전 방향(D')을 따라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a plurality of groups of
위 키들(45)은 재생, 정지, 확인 등과 같은 기능키 들이 나뉘어서 각각 그룹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90)이 회전됨에 따라 음악 감상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키들이 노출된 다음에는 시각 자료(영화, 동영상 등)의 시청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다른 기능키들이 노출될 수 있다.The
도 8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8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무선통신 모듈(110), 조작부(16,23,24), 영상 입력부(15,28), 음향입력부(17,25), 디스플레이부(13), 음향 출력부(14,31), 센싱유닛(101), 인터페이스(26), 방송수신 모듈(102), 메모리(103), 전원공급부(27), 제어부(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8,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제어부(10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00)는 통상적인 기능 제어 이외에 추가적으로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무선통신 모듈(110)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111)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112)를 포함한다.The
조작부(16,23,2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00)에 제공한다. 조작부(16,23,24)는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The
영상 입력부(15,28)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3)로 출력된다. 영상 입력부(15,28)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03)에 저장되거나 무선통신 모듈(110)을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The
음향입력부(17,25)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 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통신 모듈(110)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 통신 모듈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103)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음향입력부(17,25)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부(13)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3)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The
음향 출력부(14,31)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무선통신 모듈(110)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103)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4,31)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4,31)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으로 포함한다.The
센싱유닛(101)은 휴대 단말기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 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100)로 센싱 결과를 출력하여 단말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27)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 페이스(26)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The
인터페이스(26)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26)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The
메모리(103)는 제어부(1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03)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메모리(103)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The
방송수신 모듈(102)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4), 디스플레이부(13)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10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02)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 송수신 모듈(102)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103)에 저장될 수도 있다.The
전원 공급부(27)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도 9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일 작동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1. FIG.
본 도면(및 도 1, 2)을 참조하면, 제1 바디(10)가 슬라이딩 방향(S)으로 이동되어 제2 조작부(23)가 노출되는 열린 상태로 전환되면, 이는 센싱 유닛(101)이 감지하게 된다. 제어부(100)는 센싱 유닛(101)을 통해 열린 상태임을 확인하고, 프레임(50) 또한 인출된 상태(도 2의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1 and 2, when the
프레임(50)이 인출된 상태라면 알파벳 입력을 위한 키들(42)이 인지 가능한 상태이므로, 제어부(100)는 문자 전송을 위한 입력 모드가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위 실행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3)에는 전송을 위한 문자 입력 화면이 출력된다. 프레임(50)이 수납 상태(도 1의 상태)가 되도록 앞선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함이 센싱 유닛(101)을 통해 감지된 경우라면, 제어부(100)는 작성된 문자가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설정에 따라서는, 위 이동 시 제어부(100)는 작성된 문자가 메모리(103)에 저장되도록 할 수도 있다.If the
프레임(50)이 수납 상태가 된 후에는, 프레임(50)에 의해 숫자 입력을 위한 키들(41)이 인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키들(41)에 대응하여, 제어부(100)는 디스플레이부(13)에 발신을 위한 모드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는 숫자 키들(41)을 눌러서 상대방의 전화 번호를 입력하여 전화를 걸 수 있게 된다.After the
제1 바디(10)가 슬라이딩 방향(S)으로 이동하여 닫힌 상태가 되는 경우라면, 제2 조작부(23)는 더 이상 이용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그 결과로, 제어부(100)는 열린 상태의 단말기에서 프레임(50)의 위치에 따른 작동 모드의 제어를 종료하게 된다.If the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portable terminal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프레임이 전개 방향을 따라 전개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ame of Fig. 1 is developed along the expansion direction,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고,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1,
도 4는 도 1의 라인(Ⅳ-Ⅳ)을 따라 취한 제2 조작부의 일 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며,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the second operating portion taken along line (IV-IV) in Fig. 1,
도 5는 도 4의 제2 조작부에 대한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5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second operating portion of Fig. 4,
도 6은 도 1의 제2 바디에서 프레임을 분리한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며,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rame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body of FIG. 1,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보인 사시도이고,7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며,8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일 작동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1. FIG.
Claims (1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42024A KR101474437B1 (en) | 2008-05-06 | 2008-05-06 | Mobi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42024A KR101474437B1 (en) | 2008-05-06 | 2008-05-06 | Mobile termina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16218A KR20090116218A (en) | 2009-11-11 |
KR101474437B1 true KR101474437B1 (en) | 2014-12-19 |
Family
ID=41601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42024A Expired - Fee Related KR101474437B1 (en) | 2008-05-06 | 2008-05-06 | Mobile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74437B1 (en) |
-
2008
- 2008-05-06 KR KR1020080042024A patent/KR10147443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16218A (en) | 2009-11-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467833B2 (en) | Mobile terminal | |
KR101474447B1 (en) | Mobile terminal | |
KR20090013129A (en) | Handheld terminal | |
KR20100018389A (en) |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KR20100015232A (en) | Portable terminal | |
KR20090073901A (en) | Handheld terminal | |
KR101578799B1 (en) | Casing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KR101604703B1 (en) |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KR101474437B1 (en) | Mobile terminal | |
KR20090006460A (en) | Touch input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same | |
KR101545571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409872B1 (en) | Portable terminal | |
KR101570380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595347B1 (en) |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same | |
KR20080113667A (en) | Mobile terminal and its user interface | |
KR20100088983A (en) | Portable terminal | |
KR101442543B1 (en) | Portable terminal | |
KR101437976B1 (en) |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same | |
KR101415767B1 (en) | Signal generator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KR101570378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513617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413472B1 (en) | Apparatus for generating signal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KR101604716B1 (en) | Touch-sensitive input unit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KR101474435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545572B1 (en) |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0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4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5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5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2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2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1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