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71693A - 중앙 집중식 공기 정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중앙 집중식 공기 정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1693A
KR20090071693A KR1020070139560A KR20070139560A KR20090071693A KR 20090071693 A KR20090071693 A KR 20090071693A KR 1020070139560 A KR1020070139560 A KR 1020070139560A KR 20070139560 A KR20070139560 A KR 20070139560A KR 20090071693 A KR20090071693 A KR 20090071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ter
line
purification system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9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엽
Original Assignee
김수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엽 filed Critical 김수엽
Priority to KR1020070139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1693A/ko
Publication of KR20090071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169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47/00Details relating to the separation of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2247/08Means for controlling the separation proce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사된 물이 체류하는 브러쉬에 의해 이루어지는 불규칙한 통로를 공기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 정화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한 다수의 공조기를 천장에 설치하고 이 공조기를 중앙에서 제어함으로써 축사에 설치한 경우 평상시에는 공기 정화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하고 구제역이 발생시에는 방역제를 물탱크에 투입하는 것만으로 방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중앙 집중식 공기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공기 흡배기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부에 물을 분사할 수 있게 설치된 물분사라인과, 상기 물분사라인의 하부 위치에 모재가 서로 겹쳐지게 축설되어 공기 통로가 불규칙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다수의 브러쉬와, 상기 브러쉬의 하부에 형성된 집수부로 이루어져 천장에 설치되는 다수의 공조기; 상기 공조기의 물분사라인과 물탱크를 연결하는 급수라인; 상기 급수라인에 설치된 펌프; 상기 집수부를 배수탱크에 연결하는 배수라인;으로 이루어진 중앙 집중식 공기 정화 시스템에 의하여 달성되어진다.
공기, 정화, 브러쉬

Description

중앙 집중식 공기 정화 시스템{omitted}
본 발명은 분사된 물이 체류하는 브러쉬에 의해 이루어지는 불규칙한 통로를 공기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 정화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한 다수의 공조기를 천장에 설치하고 이 공조기를 중앙에서 제어함으로써 축사에 설치한 경우 평상시에는 공기 정화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하고 구제역이 발생시에는 방역제를 물탱크에 투입하는 것만으로 방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중앙 집중식 공기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대한민국 특허 제759840호에 제시된 외기 공조기로써, 이것은 외기 흡입통로(a)에 다수의 물분사 스크러버(b)를 설치하여 물을 안개형태의 작은 물방울이 되도록 분무 시킴으로써 이를 통과하는 공기가 정화될 수 있도록 구성 되어있기 때문에 물을 안개형태로 분무할 수 있도록 특수하게 제작된 물분사 스크러버(b)를 사용해야 할 뿐만 아니라 기액을 분리하기 위한 엘리미네이터를 별도로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분사된 물이 흘러내리는 스크린을 설치하여 수막이 형성되도록 한 공조기가 제안된 바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공기와 수막을 이루는 물이 접촉되는 시간이 극히 짧기 때문에 공기 정화 효율이 미미할 뿐만 아니라 스크린을 분리하여 주기적으로 청소해줘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불규칙하게 이루어지도록 모재가 겹쳐지게 설치된 다수의 브러쉬 위에서 물을 분사하여 공기가 브러쉬에 체류하는 물에 의해 정화 되도록 함으로써 스크린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정화 효율이 높은 다수의 공조기를 천장에 설치하여 중앙에서 통합 관리할 수 있게 한 중앙 집중식 공기 정화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공기 흡배기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부에 물을 분사할 수 있게 설치된 물분사라인과, 상기 물분사라인의 하부 위치에 모재가 서로 겹쳐지게 축설되어 공기 통로가 불규칙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다수의 브러쉬와, 상기 브러쉬의 하부에 형성된 집수부로 이루어져 천장에 설치되는 다수의 공조기; 상기 공조기의 물분사라인과 물탱크를 연결하는 급수라인; 상기 급수라인에 설치된 펌프; 상기 집수부를 배수탱크에 연결하는 배수라인;으로 이루어진 중앙 집중식 공기 정화 시스템에 의하여 달성되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공조기를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보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공조기를 덕트에 연결설치 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a,b,c는 본 발명의 브러쉬가 배치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공기 정화 시스템에 사용되는 공조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흡배기구(11)(12)가 형성된 본체(10)와, 상부에 물을 분사할 수 있게 설치된 물분사라인(20)과, 상기 물분사라인(20)의 하부 위치에 모재가 서로 겹쳐지게 축설되어 공기 통로가 불규칙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두 개 이상의 브러쉬(30)와, 상기 브러쉬(30)의 하부에 형성된 집수부(40)로 이루어진다.
다수의 공조기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적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는 경우에는 각각에 별도의 공기를 흡기구(11)로 흡입하여 배기구(12)로 배출하기 위한 흡입팬(13)이 설치된다. 공조기의 용량에 따라 배기구(12)에도 배기팬(14)을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공기 정화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분사라인(20)은 급수라인(21)에 의해 물탱크(50)에 연결설치되고, 상기 급수라인(21)에는 펌프(22)가 설치되며, 상기 집수부(40)는 배수라인(41)에 의해 배수탱크(60)에 연결 설치된다.
중앙의 시스템 제어수단은 펌프(22)와 밸브(51)(52)를 작동시켜 물탱크(50)의 물을 물분사라인(20)에 공급함으로써 브러쉬(30)를 적셔주고, 브러쉬(30)로부터 흘러내린 집수부(40)의 물이 배수탱크(60)에서 정화 되어 물탱크(50)로 공급되거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배수탱크(60)의 정화 방식은 침전, 생화학 작용, 오 존 등 공지된 기술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50)에는 구제역 등이 발생시 수용성 방역제가 투입되어 상기 공조기를 통과하는 공기를 방역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급수라인(21)에 히터 또는 냉방수단을 부가하여 공조기를 온난방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히터 또는 냉방수단을 제어하는 중앙의 시스템 제어수단은 상황에 따라서는 급수라인(21)의 밸브(23)를 제어하여 공조기중 일부만이 가동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공기 정화 시스템은 중앙에서 물탱크(50)와 배수탱크(60), 각종 밸브, 히터 또는 냉방수단 등을 제어하는 것만으로 상황에 맞게 다수의 공조기의 제어함으로써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브러쉬(30)는 펌프(22)를 제어하여 물분사라인(20)의 분사압력을 높여주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처럼 스크린 필터 수단을 주기적으로 교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 편리한 잇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공조기 흡기구(11)를 건물의 덕트(70)에 연결설치 하고, 배기구(12)를 통해 정화된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게 한 것으로 상기 배기구(12)와 덕트(70)는 중앙의 시스템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전환변(71)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이와같이 된 본 발명은 흡기구(1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물분사라인(20)에서 분사되는 물에 의해 1차 정화되고 다수의 브러쉬(30)를 통과하는 과정, 즉 물이 묻어있는 모재에 의해 형성된 불규칙한 통로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2차 정화되어 배 기구(12)를 통해 실내로 공급되거나 덕트(70)를 통해 다른 공조기에서 동일한 과정을 순차적으로 거친후 실내로 공급된다.
본 발명에서 2차 정화 작용을 하는데 브러쉬(30)를 사용한 것은 물과 공기의 접촉면적과 시간을 최대화 함으로써 정화 효율을 증대 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공조기를 통과한 공기는 먼지가 완전히 정화되는 것은 물론 습도가 높아져 건조한 실내를 가습시키는 역활도 하게 되는 것으로 공기를 2차 정화 시키는 브러쉬(30)는 도 5a,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분사라인(20)과 집수부(40)사이에 다양한 배열로 설치된다.
이와같이 된 본 발명은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불규칙하게 이루어지도록 모재가 겹쳐지게 설치된 다수의 브러쉬(30) 위에서 물을 분사하여 공기가 브러쉬(30)에 체류하는 물에 의해 2차 정화 되도록 함으로써 스크린 필터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정화 효율이 높은 다수의 공조기를 천장에 설치하여 상황에 따라 중앙에서 적절히 통합 관리할 수 있게 한 등의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공조기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공조기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공조기를 덕트에 연결설치 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b,c는 본 발명의 브러쉬가 배치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흡기구
12 : 배기구 20 : 물분사라인
21 : 급수라인 22 : 펌프
23,51,52 : 밸브 30 : 브러쉬
40 : 집수부 41 : 배수라인
50 : 물탱크 60 : 배수탱크
70 : 덕트 71 : 전환변

Claims (5)

  1. 공기 흡배기구(11)(12)가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배기구(12)측에 설치된 흡기팬(13)과, 상부에 물을 분사할 수 있게 설치된 물분사라인(20)과, 상기 물분사라인(20)의 하부 위치에 모재가 서로 겹쳐지게 축설되어 공기 통로가 불규칙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다수의 브러쉬(30)와, 상기 브러쉬(30)의 하부에 형성된 집수부(40)로 이루어져 천장에 설치되는 다수의 공조기; 상기 공조기의 물분사라인(20)과 물탱크(50)를 연결하는 급수라인(21); 상기 급수라인(21)에 설치된 펌프(22); 상기 집수부(40)를 배수탱크(60)에 연결하는 배수라인(60);으로 이루어진 중앙 집중식 공기 정화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급수라인(21)에 히터와 냉방수단을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공기 정화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50)에 방역제를 투입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공기 정화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조기에 흡기구(11)로 공기를 흡입하여 배기구(12)로 배출하는 흡입팬(13)을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공기 정화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11)를 덕트(70)에 연결설치하고, 상기 배기구(12)와 덕트(70)는 중앙의 시스템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전환변(71)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공기 정화 시스템.
KR1020070139560A 2007-12-28 2007-12-28 중앙 집중식 공기 정화 시스템 Ceased KR200900716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560A KR20090071693A (ko) 2007-12-28 2007-12-28 중앙 집중식 공기 정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560A KR20090071693A (ko) 2007-12-28 2007-12-28 중앙 집중식 공기 정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693A true KR20090071693A (ko) 2009-07-02

Family

ID=41328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9560A Ceased KR20090071693A (ko) 2007-12-28 2007-12-28 중앙 집중식 공기 정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169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45746A (zh) * 2015-02-13 2015-05-27 中国科学院过程工程研究所 一种滚刷式气体除尘净化装置
CN105344183A (zh) * 2015-10-28 2016-02-24 张聚兵 喷水毛拴甩水除尘除烟器
KR20160144121A (ko) 2015-06-08 2016-12-16 한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격제어가 가능한 공조 제어 컨트롤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2256B1 (ko) * 1996-05-06 1999-04-15 박문찬 배기가스 내지 오염공기 정화장치 및 그 방법
JP2006081980A (ja) * 2004-09-14 2006-03-30 Isuzu Motors Ltd ガス清浄装置
KR20060075978A (ko) * 2004-12-29 2006-07-0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필터청소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2256B1 (ko) * 1996-05-06 1999-04-15 박문찬 배기가스 내지 오염공기 정화장치 및 그 방법
JP2006081980A (ja) * 2004-09-14 2006-03-30 Isuzu Motors Ltd ガス清浄装置
KR20060075978A (ko) * 2004-12-29 2006-07-0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필터청소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45746A (zh) * 2015-02-13 2015-05-27 中国科学院过程工程研究所 一种滚刷式气体除尘净化装置
CN104645746B (zh) * 2015-02-13 2016-04-06 中国科学院过程工程研究所 一种滚刷式气体除尘净化装置
KR20160144121A (ko) 2015-06-08 2016-12-16 한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격제어가 가능한 공조 제어 컨트롤러
CN105344183A (zh) * 2015-10-28 2016-02-24 张聚兵 喷水毛拴甩水除尘除烟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4316B1 (ko) 가습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가지는 가정용 제습장치
KR100482926B1 (ko) 세정식 공기정화장치
KR100583071B1 (ko) 스크린 공기세정시스템
KR100740670B1 (ko) 응축수 제거 및 가습기능을 갖는 환기조화시스템
JPH11207130A (ja) 空気浄化装置
KR20160024507A (ko) 공기청정시스템
KR20210009217A (ko) 미세먼지 저감형 흡배기 이중덕트 장치
KR200415004Y1 (ko) 실내 온도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KR100768453B1 (ko) 세척수를 이용한 공기조화장치
KR20090071693A (ko) 중앙 집중식 공기 정화 시스템
KR20120094731A (ko) 공기청정기
KR101957703B1 (ko) 기체 필터링 장치
KR102307537B1 (ko) 외부공기의 유입이 방지되는 공기 청정시스템
US6840987B1 (en) Air filtering apparatus
JP4750798B2 (ja) 抗原曝露室及びその洗浄・乾燥方法
CN211204251U (zh) 一种新风净化加湿装置
KR101597324B1 (ko) 공기조화기
KR102507590B1 (ko) 내부순환기능을 갖는 워터필터방식의 환기시스템
KR102576631B1 (ko) 현관 및 벽장의 청정 기능을 가지는 공기 순환 장치
JPH11179128A (ja) 空気浄化装置
KR100787543B1 (ko)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KR100519301B1 (ko) 환기기능을 겸비한 벽걸이형 공기청정기
JP5518678B2 (ja) 空気清浄化装置及び換気空調システム
KR20080028610A (ko) 습식 공기청정기
KR102029836B1 (ko)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공조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908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02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