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71590A - 안 렌즈 구성 요소 - Google Patents

안 렌즈 구성 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1590A
KR20090071590A KR1020097007426A KR20097007426A KR20090071590A KR 20090071590 A KR20090071590 A KR 20090071590A KR 1020097007426 A KR1020097007426 A KR 1020097007426A KR 20097007426 A KR20097007426 A KR 20097007426A KR 20090071590 A KR20090071590 A KR 20090071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view
field
lens component
reg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7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4480B1 (ko
Inventor
사울리우스 레이몬드 바나스
Original Assignee
칼 자이스 비전 오스트레일리아 홀딩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06905101A external-priority patent/AU2006905101A0/en
Application filed by 칼 자이스 비전 오스트레일리아 홀딩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칼 자이스 비전 오스트레일리아 홀딩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71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1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4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448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 in contact-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4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 G02C7/027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considering wearer's parame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02C7/061Spectacle lenses with progressively varying focal power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02C7/061Spectacle lenses with progressively varying focal power
    • G02C7/063Shape of the progressive surface
    • G02C7/066Shape, location or size of the viewing zon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08Series of lenses, lens blank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24Myopia progression preven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glasse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안 렌즈 구성요소(200)를 개시한다. 상기 안 렌즈 구성 요소(200)은 낮은 표면 비점수차의 중심 영역(102)와 주변 영역(112)를 포함한다. 상기 중심 영역(102)는 착용자의 원거리 시력 동작에 적합한 첫 번째 도수를 제공하기 위한 상위 시야 영역(104)를 포함한다. 상기 주변 영역(112)는 상기 첫 번째 도수에 대하여 정(正) 도수를 갖고, 상기 중심 영역(102)를 에워싼다. 상기 주변 영역(112)은 착용자에 대해 근시를 지연 또는 억제하기 위한 시각 교정을 제공하고 상대적으로 더 높은 표면 비점수차의 하나 이상의 영역들(110), 낮은 표면 비점수차의 하위 또는 근거리 시야 영역(106) 및 상기 상위 시야 영역(104)의 표면 도수에서부터 상기 하위 시야 영역의 표면 도수까지 변화하는 표면 도수를 갖는 낮은 표면 비점수차의 코리더(corridor)(108)를 포함한다. 상기 하위 시야 영역(106)은 착용자의 근거리 시력 동작을 위한 것이다.
렌즈, 망막, 근시, 포비어, 표면 비점수차

Description

안 렌즈 구성 요소{OPHTHALMIC LENS ELEMENT}
본 발명은 근시(myopia)를 지연시키거나 억제하기 위한 안 렌즈(안경 렌즈, ophthalmic lens) 구성 요소들과, 그와 같은 렌즈 구성 요소들의 디자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초점이 맞추어진 시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눈은 망막(retina)에 빛의 초점을 맞추게 할 수 있어야 한다. 망막에 빛의 초점을 맞추게 하기 위한 눈의 능력은 대부분 안구의 형상에 의존한다. 만약 안구가 그것의 "광축상" 초점 거리(눈의 광축에 따르는 초점 거리를 의미)에 비해 "너무 길게"되거나, 눈의 외피(즉, 각막)가 너무 만곡되어져(curved) 있다면, 눈은 원거리의 사물의 초점을 망막에 정확히 맺히게 할 수 없을 것이다. 유사하게, 안구의 광축상 초점 거리에 비해 너무 짧은 안구 또는 너무 편평한(flat) 외피를 갖는 안구는 근거리의 사물의 초점을 망막에 정확히 맺히게 할 수 없을 것이다.
망막 앞에 원거리에 있는 사물의 초점을 잡는 눈은 근시 눈(안)이라고 부른다. 그러한 상태를 근시라고 부르고, 대게 적당한 단초점 렌즈(single-vision lenses)를 사용하여 교정할 수 있다. 착용자에게 착용되는 경우, 종래의 단초점 렌즈는 중심 시력과 관련된 근시를 교정한다. 즉, 종래의 단초점 렌즈는 포비어(fovea, 중심와) 및 패러포비어(parafovea)를 사용하는 시력과 관련된 근시를 교정한다. 중심 시력은 종종 포비어 시력으로 부른다.
종래의 단초점 렌즈가 중심 시력과 관련된 근시를 교정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연구(의학 협회 연보-Annals Academy of Medicine-에 발표된 R.A. Stone & Flitcroft (2004) “Ocular Shape and Myopia” 제33권 제1호 PP.7 ~ 15에서 검토됨.)는 눈의 광축 밖(off-axis) 초점 거리 특성들이 종종 축(axial)과 패러축(paraxial) 초점 거리와 다름을 보여준다. 특히, 근시 눈은 근시 눈의 포비어 영역과 비교해서 망막의 주변 영역 내에서는 더 적은 근시를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이런 차이점은 장형의 투명한(유리같은) 챔버 형상(prolate vitreous chamber shape)을 갖는 근시 눈에 기인할 수 있다.
실제로 최근 미국학회(Multti, D.O., Sholtz, R.I., Friedman, N.E., Zadnik, K. “Peripheral refraction and ocular shape in children”, Invest. Ophthalmol. Vis. Sci. 2000 ; 제41권, pp.1022 ~ 1030)는 어린이의 근시 눈에서 평균(±표준 편차) 상대 주변 굴절[mean(± standard deviation) relative peripheral refractions]이 구형 균등물(spherical equivalent)의 +0.8±1.29 D(디옵터 ; Diopter) 값을 산출함을 알았다.
흥미롭게도, 병아리와 원숭이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포비어가 선명하게 있는 상태에서 주변 망막에서만의 초점흐려짐(defocus)은 포비어 영역(의 신 장(elongation)을 초래하고(Josh Wallman and Earl Smith independent reports to 10th International Myopia Conference, Cambridge, UK, 2004) 그 결과로서의 근시를 초래함을 나타낸다.
반면, 의생태학(epidemiological) 연구는 근시와 근접업무(근접작업, near work) 사이에 상관이 있음을 보여준다. 잘 교육받은 집단에서 근시의 유행은 비숙련 노동자들보다 심각하게 높다는 것을 잘 알려준다. 장시간의 독서는 불충분한 원근조절(accommodation)때문에 원시 포비어 흐림(hyperopic foveal blur)을 일으키는 것으로 의심되어 왔다. 이는 많은 눈 보호 전문가들로 하여금 근시의 진행이 나타나는 청소년을 위한 혁신적인 부가물(addition), 즉 이중 초점(bi-focal) 렌즈를 처방하도록 하였다. 특수 프로그레시브 렌즈(progressive lenses)는 어린이들에게 사용되도록 고안되어 왔다(미국특허 제6,343,861호). 임상 시험(clinical trials)에서 이런 렌즈들의 치료상의 장점은 근시의 진행을 지연시킴에 있어 통계적으로 현저함을 보여주나, 임상적 중요성(clinical significance)은 제한적임을 나타낸다(예로 들어, Gwiazed et al.,2003, Invest. O[hthalmol. Vis. Sci., 제44권, pp.1492 ~ 1500). 그러나, Walker and Mutti(2002), Optum. Vis. Sci., 제79권, pp.424 ~ 430 은 원근조절(accommodation) 또한 아마도 원근조절 동안에 안으로 주변 망막을 당기는 증가된 맥락막의(choroidal) 인장력 때문에 상대적(상관) 주변 굴절 에러(relative peripheral refractive error)를 증가시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불행하게도, 종래의 근시 교정 렌즈는 우연히 망막의 주변 지역에 선명하거 나 초점이 흐린 이미지를 생성한다. 그러므로 근시를 교정하기 위한 현존하는 안 렌즈는 근시 진행에 대한 자극(stimuli)을 제거하는데 실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 기술의 논의는 이 글속에서 본 발명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해 포함된다. 이는 여기서 언급된 어떠한 자료들도 본원발명의 청구항보다 우선되는 날짜에 알려졌거나 일반적인 지식의 일부라고 자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2006년 9월 15일 출원된 호주 특허 가출원번호 2006905101호와 2007년 3월 15일 출원된 호주 특허 가출원번호 2007901348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여기에서 그 내용을 참고로 한다.
도 1은 참조하기 위해 식별되는 서로 다른 영역들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 렌즈 구성 요소(100)의 간략한 표현을 묘사한다. 도 1은 상기 안 렌즈 구성 요소(100)의 서로 다른 영역들의 해당 위치를 단지 일반적으로 확인하고 묘사하려는 정도로 단순화되었다. 결과로서, 서로 다른 영역들의 형상 또는 상기 서로 다른 영역들의 사이즈 또는 정확한 위치는 도 1에 도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도록 고려된다.
도 1에서 묘사된 바와 같이, 안 렌즈 구성 요소(100)는 중심 영역(102)으로 여기에서 보여주는 상대적으로 낮은 표면 비점수차(surface astigmatism)의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영역(102)는 착용자의 원거리 시력 동작을 위한 적합한 첫 번째 도수를 갖는 첫 번째 또는 상위 시야 영역(104), 두 번째 또는 근거리 시야 영역(106) 및 코리더(corridor)(108)를 포함한다. 상기 두 번째 또는 근거리 시야 영역(106)은 착용자의 근시 동작에 적합하도록 위치되므로, 하위 시야 영역이다. 이하 남은 설명을 위해 첫 번째 또는 상위 시야 영역(104)은 "원거리 시야 영역"으로 부르는 반면 상기 두 번째 시야 영역 또는 하위 시야 영역은 “근거리 시야 영역”으로 부를 것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기 렌즈 구성 요소(100)는 또한 상대적으로 낮은 표면 비점수차의 영역(102)를 에워싸며, 상기 렌즈 구성요소의 경계(perimeter) "P"와 외곽 점선 "D"로 제한되는 영역으로서 여기서 보여지는 상대적으로 높은 비점수차의 영역(110)을 포함한다. 상대적으로 높은 비점수차의 영역(110)이 상대적으로 낮은 표면 비점수차의 상기 영역(102)를 에워싼다는 것이 필수적이지 는 않다.
근거리 시야 영역(106)의 정(正) 도수(positive power)는 착용자의 근거리 시력 동작에 적합할 것이고 상기 영역(106)을 통해서 근거리의 사물을 볼 때 감소한 원근조절 요구(reduced accommodative demand)를 제공할 것이다.
상기 회랑 영역(108)은 상기 원거리 시야 영역(104)의 표면 도수에서부터 상기 근시 영역(106)의 표면 도수까지 변화하는 표면 도수(surface power)를 갖는 낮은 표면 난시의 영역을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근거리 시야 영역(106), 상기 코리더(108) 및 상기 영역(110)은 상기 첫 번째 도수에 대하여 정 평균 도수의 주변 영역(112)을 형성한다. 쉽게 설명하여, 상기 주변 영역(112)의 배열의 단순한 도시는 음영 영역으로서 보여주는 도 7에서 묘사된다.
도 1에서 다시 돌아가서, 상기 원거리 시야 영역(104)은 착용자의 광축상 원거리 시력에 적합한 처방된 도수를 제공한다. 반면, 상기 주변 영역(112)은 착용자에 대해 근시를 지연하거나 억제하기 위한 시력 교정(optical correction)의 제공 및 착용자의 근거리 시야 요건에 적합한 분포를 갖고 상기 원거리 시야 영역(104)에 대하여 정(正) 평균 도수의 영역이다. 상기 주변 영역(112)은 일반적으로 상기 원거리 시야 영역(104)의 상기 도수에 대하여 낮은(low) 데서 중간(medium) 범위(range)의 정(正) 도수를 나타낼 것이다.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변 영역(112)은 상기 첫 번째 도수에 대하여 정(正) 도수의 연속적인 영역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중심 영역(102) 주변까지 연장되어 상기 중심 영역(102)를 에워싼다.
상기 근거리 시야 영역(106)과 상기 주변 영역(112)의 코리더(108)는 상대적으로 더 높은 표면 비점수차를 제공할 상기 영역(110)(다시 말해, 상기 "D"와 "P"에 의해 제한되는 영역)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표면 비점수차를 가질 것이다. 쉽게 설명하여, 도 8은 음역 영역으로서 상대적으로 더 높은 표면 비점수차의 영역(110)과 비음영 영역으로서 더 낮은 표면 비점수차의 영역(즉, 원거리 시야 영역(104), 근거리 시야 영역(106) 및 코리더(108))를 묘사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은 비점수차의 영역이 낮은 비점수차의 영역(다시 말해, 원거리 시야 영역(104), 코리더(108) 및 근거리 시야 영역(106))을 완전히 둘러싸는 단 하나의 영역으로서 묘사되기는 하지만 항상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코리더(108)와 근거리 시야 영역(106)은 상대적으로 높은 비점수차 영역(110)을 가로지르고, 그래서 이 비점수차 영역은 코리더(108)와 근거리 시야 영역(106) 사이로, 그리고 원거리 시야 영역(104) 상부로 연장하는(extending) 아크(arc)를 형성한다.
도 1로 다시 돌아가서, 또한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주변 영역(112)은 착용자의 주변 시야를 위해 시각 교정을 제공함으로써 망막의 주변 영역에 관련되는 근시를 지연 또는 억제하기 위한 자극(stimulus)을 제공한다. 그와 같은 배열은, 특히 어린이들에게서, 종래의 근시 조절 렌즈보다 근시의 진행을 지연 또는 억제함에 훨씬 효과적인 경향이 있다.
상기 주변 영역의 상기 정(正)의 평균 도수는 착용자의 주변 교정 요건 즉, 착용자의 주변 시야를 교정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각 교정을 특성화한 의료 측정기 측면에서 표현되는 시각 교정 요건에 기준하여 선택될 수 있다. 어떤 적합한 기술이 주변 수신(Rx) 데이터 또는 초음파 에이(A) 스캔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런 요건들을 획득하는데 사용될 수 있겠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런 데이터는 공개 필드 자동 굴절렌즈(굴절기)(open field auto-refrator)(예; Shin-Nippon open field auto-rafractor)와 같은 기술에서 잘 알려진 장치의 사용을 통해서 획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 렌즈는 착용자를 위해 주변 교정 측정기에 상응하게 디자인 되어지고, 조제(dispensed) 및/또는 선택되어질 수 있다. 도 9는 근시를 지연하거나 억제하기 위한 안 렌즈 구성 요소를 조제(dispensing) 또는 디자인의 방법을 위한 순서도(900)를 보여준다. 도시된 것처럼, 902 단계에서 광축 시야 동작(on-axis viewing tasks)을 위한 포비어 시력을 제공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각 교정이 획득된다.
904 단계에서, 착용자의 눈의 주변 영역에 근시를 지연 또는 억제하기 위한 자극을 제공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각 교정의 두 번째 값이 획득된다. 다시 말해, 착용자의 주변 시력을 교정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각 교정의 두 번째 값이 획득된다.
906 단계에서, 안 렌즈 구성 요소는 902 단계, 904 단계에서 획득된 시각 교정의 값들에 따라 선택 및/또는 디자인 된다. 상기 선택 및/또는 디자인된 안 렌즈는 시각 교정의 첫 번째 요구되는 값에 대하여 첫 번째 도수를 제공하는 원거리 영역(104)(도 1에 도시됨)에 포함하는 낮은 표면 비점수차의 중심 영역과, 상대적으로 더 높은 표면 비점수차의 하나 이상의 영역들(110)(도 1에 도시됨)을 에워싸고 포함하는 상기 첫 번째 도수에 대하여 정(正) 도수의 주변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주변 영역은 또한 착용자의 근거리 시력 동작을 위한 하위 또는 근접 영역(near zone)(108) 및 상기 상위 시야 영역(104)(도 1 참조)의 표면 도수에서 하위 시야 영역(106)(도 1 참조)의 표면 도수까지 변화하는 표면 도수를 갖는 코리더를(108)(도 1 참조)을 포함한다. 상기 주변 영역은 시각 교정의 상기 두 번째 요건 값을 부합되거나 상기 두 번째 요건 값을 기반으로 선택되어진 정(正) 평균 도수의 분포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 구성 요소의 상기 선택 및/또는 디자인은 또한 착용자가 머리 회전을 시작하기 전에 착용자의 일반적인 눈 회전 범위에 부합하도록 선택 및/또는 상기 원거리 시야 영역(104)의 사이즈 및/또는 형상의 디자인을 수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원거리 시야 영역(104)은 눈 회전의 범위를 벗어나서 선명한 포비어 시력을 제공하기 위해 형상되거나 및/또는 해당 크기로 만들어지는 구경(aperture)을 제공할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근거리 시야 영역(108)의 형상 및/또는 사이즈는 착용자가 머리 회전을 시작하기 전에 착용자의 일반적인 눈 회전의 측정기에 기반하여 선택 및/또는 디자인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에서 도시되는 다양한 예들에 관해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이하 다음의 설명은 상기 설명을 국한하지 않음을 고려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 렌즈 구성 요소의 서로 다른 영역들을 보여주는 간략한 다이어그램;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 렌즈 구성 요소에 대한 표면 비점수차의 등치선도(contour plot);
도 3은 도 2에서 묘사된 표면 비점수차의 상기 등치선도를 갖는 상기 안 렌즈 구성 요소에 대한 접선 도수(tangential power)의 등치선도;
도 4는 도 2에서 묘사된 표면 비점수차의 상기 등치선도를 갖는 상기 안 렌즈 구성 요소에 대한 화살모양 도수(sagittal power) 의 등치선도;
도 5는 도 2에서 묘사된 표면 비점수차의 상기 등치선도를 갖는 상기 안 렌즈 구성 요소에 대한 평균 도수의 등치선도;
도 6은 도 2에서 묘사된 표면 비점수차의 상기 등치선도를 갖는 상기 안 렌즈 구성 요소에 대한 아이 패스 접선 및 화살모양 커버쳐 프로파일(eyepath tangential and sagittal curvature profiles)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7은 도 1에서 보여주는 상기 안 렌즈 구성 요소의 다른 간략한 표현을 보여주되 음영 영역으로서 보여주는 상기 주변 표면 비점수차의 영역에 대한 표현;
도 8은 도 1에서 보여주는 상기 안 렌즈 구성 요소의 다른 간략한 표현을 보여주되 음영 영역으로서 보여주는 상대적으로 더 높은 표면 비점수차의 영역에 대한 표현 및
도 9는 실시 예에 따른 안 렌즈의 선택 및/또는 디자인 방법의 순서도.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 렌즈 구성요소(200)는 3.25 D(디옵터 , Diopter) 기본 굴절(base curve)을 갖도록 디자인 되었다. 묘사된 예에서, 상기 렌즈 구성 요소(200)는 직경 60 mm를 갖는다. 상기 안 렌즈 구성 요소(200)에 대하여 저마다 표면 비점수차의 등치선도(contour plot), 접선 도수(tangential power), 화살모양 도수(sagittal power) 및 평균 표면 도수는 도 2 내지 도 5에서 각기 주어진다. 도 3 내지 도 5는 또한 참조를 위하여 상기 렌즈 구성요소(200)에서 컷(cut)될 수 있는 렌즈 형상의 예를 표현하는 렌즈 오버레이 (lens overlay)(300)를 묘사한다. 이때, 렌즈 오버레이(300)는 상기 안 렌즈 구성요소(200)의 기하학상의 중심에서 위로 2 mm를 중심으로 하는 55×35 mm 로 측정 되는 프레임의 윤곽(frame outline)을 표시한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0.5 D 비점수차의 등치선(astigmatic contour) (202)은 상기 원거리 시야 영역(104), 상기 근거리 시야 영역(106) 및 상기 코리더를(108)을 포함하는 하위 표면 비점수차의 영역을 한정한다. 상기 묘사된 실시 예는 상위 영역인 상대적으로 넓은 원거리 시야 영역(104)과, 상기 원거리 시야 영역(104) 아래 위치 되고 상기 코리더를(108)을 매개로 하여 상기 원거리 시야 영역(104)에 연결되는 근거리 시야 영역(106)을 제공한다.
묘사된 실시 예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은 표면 비점수차의 영역(112)은 상기 영역(102)를 에워싸고 상기 비점수차의 등치선들(astigmatic contour)(204, 206, 208)을 포함한다. 이때 등치선 204와 206은 같은 값을 갖는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역(112)은 상기 원거리 참조 포인트(DRP ; Distance Reference Point)에서 상기 원거리 시야 영역(104)의 상기 평균 도수에 대하여 약 1.50 D 까지의 정(正) 평균 도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원거리 참조 포인트(302)(도 5를 참조)는 상기 안 렌즈 구성 요소(200)의 기하학상 중심에서 위로 약 8 mm 에 위치된다.
도 6은 상기 안 렌즈 구성 요소(200)의 하위 부분에서 근거리 시야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착용자의 아이패스(eyepath)에 대하여 280도(degree meridian)를 따라서 상기 안 렌즈 구성 요소(200)의 접선 도수 (602)와 화살모양 도수들(604)을 묘사한다. 묘사된 바와 같이, 도 6에서 상기 안 렌즈 구성 요소(200)는 상기 렌즈의 기하학상 중심에서 위로 약 10 mm의 거리까지 연장되는 약 3.75 D의 만곡을 제 공한다.
상기 묘사된 렌즈는 상기 렌즈 구성요소의 기하학상 중심, 다시 말해, 도에서 "A" 와 "B" 선의 교차점에서 20 mm 반경 방향으로 연장한 약 3.75 D의 만곡을 제공한다.
상기 묘사된 렌즈는 상기 렌즈 구성 요소의 기하학상 중심, 다시 말해, 도 5에서 "A" 와 "B" 선의 교차점에서 반경 방향으로 20 mm의 연장에서 적어도 0.50 의 정(正) 접선 도수와 화살모양 도수(tangential and sagittal power)들을 제공한다. 실제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렌즈 구성 요소(200)의 기하학상 중심에서 어떤 반지름의 생성과 대체로 반경 방향으로 20 mm 연장을 갖기 위하여, 상기 주변 영역 내의 정(正) 평균 도수는 상기 원거리 영역(104)의 상기 원거리 참조 포인트에서 상기 굴절 도수에 대하여 적어도 0.5 D 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은 하위 반경 방향으로의 연장에서 유사하고, 또는 더 크고, 정(正)의 평균 도수를 제공할 수 있음을 당연히 고려할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또한 이 글에서 기술되는 실시예(구성)들에 대하여 다른 변경 및 수정이 있을 수 있음이 고려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중심 영역과 비교되는 렌즈의 주변 영역을 통하여(걸쳐서)(throughout) 상관 플러스 도수(배율)(relative plus power)를, 상기 중심 영역 내에 선명한 원거리 시력과 착용자의 근거리 시력 동작을 위해 사용되곤 하는 상기 주변 영역의 범위 내에 선명한 근거리 시력을 제공하는 도수의 분포(distribution of power)와 표면 비점수차(surface astigmatism)를 나타내는 안 렌즈 구성 요소를 제공한다.
주변 영역을 통한 상관 플러스 도수(relative plus power)의 분포는 착용자에 대한 근시를 지연 또는 억제하기 위한 시각 교정을 제공한다. 사용에서, 주변 영역을 통한 상기 상관 플러스 도수의 제공은 대체로 착용자의 망막의 실질적으로 주변 전체에 “정지 신호”를 제공하고, 이로써 렌즈 구성 요소의 하위 부분에서만 플러스 도수(배율)(plus power)의 요구되는(required) 자극을 제공하는 안 렌즈 구성 요소들과 비교해서 근시의 진행을 지연 또는 억제하는데 더욱 효과적인 경향이 있다.
주변 영역(peripheral region)은 하위 또는 근거리 시야 영역의 형태로 착용자의 근거리 시력 동작에 적합한 영역을 포함하고, 낮은 비점수차의 코리더(corridor)를 거쳐서(via) 중심 영역내의 상위 또는 원거리 시야 영역에 연결된다. 코리더와 근거리 시야 영역의 제공은 렌즈 착용자가 독서할 때 머리를 숙이는 필요를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상기 렌즈가 착용자에게 좀더 편안하게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안 렌즈 구성 요소를 제공하며,
상기 안 렌즈 구성 요소는,
착용자의 원거리 시력 동작에 적합한 첫 번째 도수를 제공하는 상위 시야 영역을 포함하는, 낮은 표면 비점수차의 중심 영역 및
착용자에 대한 근시를 지연 또는 억제하기 위한 시각 교정을 제공하며, 상 기 중심 영역을 에워싸고, 상기 첫 번째 도수에 대하여 정(正) 도수의 주변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주변 영역은,
상대적으로 더 높은 표면 비점수차의 하나 이상의 영역들;
착용자의 근거리 시력 동작을 위한, 낮은 비점수차의 하위 시야 영역 및
상기 상위 시야 영역의 표면 도수에서부터 상기 하위 시야 영역의 표면 도수까지 변화하는 표면 도수를 갖는, 낮은 표면 비점수차의 코리더(corridor)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안 렌즈 구성요소를 제공하며, 상기 프로그레시브 안 렌즈 구성요소는,
원거리 시야를 위한 첫 번째 굴절 도수를 제공하는 상위 시야 영역 및
상기 상위 시야 영역을 에워싸고, 주변영역을 통해서(걸쳐서)(throughout) 상기 첫 번째 굴절 도수에 대하여 정(正) 도수를 제공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주변 영역은,
근거리 시력을 위한 굴절 도수를 제공하는 하위 또는 근거리 시야 영역, 및 상기 상위 시야 영역의 표면 도수에서부터 상기 하위 시야 영역의 표면 도수까지의 변화하는 표면 도수(surface power)를 갖고 상기 상위 시야 영역과 상기 하위 시야 영역을 연결하는 코리더(corridor)를 포함하되,
상기 주변 영역을 통한(걸친) 평균 도수의 분포가 상기 상위 시야 영역의 도수에 관하여 정(正)(positive)이고, 착용자에 대한 근시를 지연 및 억제하기 위한 시각 교정을 제공한다.
상기 상위 시야 영역은 착용자의 광축상(on-axis) 시력 동작에 적합할 것이고, 따라서 일반적으로 “직진으로 앞”(“straight ahead”) 시야에 적합한 시야 영역이 되거나, 실질적으로 “직진으로 앞”(“straight ahead”) 시야에 적합한 시야 영역이 될 것이다. 상기 상위 시야 영역은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원거리 시력으로 사용되는 상기 렌즈 구성 요소의 일부에 위치될 것이다.
첫 번째 도수는 착용자의 원거리 시력 요건들(viewing requirements)에 대하여 전형적으로 처방되는 도수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이하 설명을 위해, “원거리 시야 영역”(“distance viewing zone”)은 상위 시야 영역(the upper viewing zone)으로 이해될 것이다.
실시 예에서, 정(正)(positive) 도수의 상기 주변 영역은 해당 영역을 걸쳐(통해) 상기 첫 번째 도수에 대하여 정 평균 도수(positive mean power)를 나타내는 영역이다.
실시 예에서, 하위 시야 영역(lower viewing zone)은 근거리 시력을 위해 사용되는 경향이 있는 안 렌즈의 영역에 위치된다. 이하 “근거리 시야 영역(near viewing zone)”으로 부르게 될 상기 하위 시야 영역은 상기 원거리 시야 영역에 대하여 상기 렌즈의 네이절(nasal) 측(side)에 삽입될 수 있다(may be inset).
상기 근거리 시야 영역을 포함함은 독서와 같은 근거리 시야 동작 동안 머리를 숙이기 위한 착용자의 필요를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상기 렌즈는 착용을 좀더 편안하게 한다. 게다가, 상기 근거리 시야 영역을 포함함은 독서와 같은 근거리 시야 동작을 위한 착용자의 눈에 강요되는 원근조절 요구들을 감소시킬 것이다. 그러므로, 청소년들이 일반적으로 가까워지는 물체를 보기 위해 눈의 원근조절의 유용함에 기인하여 근거리 시력 교정이 필요치 않았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 렌즈 구성 요소는 청소년을 위해 특히 디자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년은 눈의 순응 시스템의 도움으로 근거리 물체를 보기 위한 상기 원거리 시야 영역을 사용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상기 주변 영역내의 상기 근거리 시야 영역의 포함함은 근거리 시야 동작 동안 눈의 순응적인 요구를 감소함에 청소년 착용자들을 도울 것이고, 이는 근시의 진행의 저지함에 작지만 무시할 수 없는 효과를 보여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종래의 근시 조절 렌즈보다 근시의 진행을 지연 또는 억제함에(특히, 어린이들에게)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상기 안 렌즈 구성 요소의 상기 원거리 시야 영역은 상대적으로 낮은 플러스와 마이너스 처방(prescribed) 도수들에 사용되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0.50 D 내지 5.00 D의 범위내의 기본 만곡(base curve)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원거리 시야 영역의 상기 굴절 도수는 착용자의 요건들에 상응하여 다양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플라노(plano) 내지 -4.00 D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인지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주변 영역의 상기 도수 분포는 착용자가 상기 원거리 시야 영역을 통해 사물을 보고 있을 때 주변 시력 교정을 위한 시각 교정에 도움이 될 것이다. 사용에 있어, 상기 주변 영역의 상기 도수 분포는 근시 진행을 지연 또는 억제하는, 눈의 바람직하지 않은 성장에 “정지 신호”의 형태로 근시를 지연 또는 억제하기 위한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착용자의 광축상(on-axis) 원거리 시력 요건들을 위한 적합한 시각 교정들을 제공하는 안 렌즈 구성 요소들을 제공하며, 동시에 상기 주변 망막 내의 원시 흐림(hyperopic blur)에 대하여 눈의 지속적인(constant) 노출로부터 기인해온 근시를 지연 또는 억제하기 위한 정지 신호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정지 신호는
주요 원거리 시야 눈 위치를 위해 상기 망막의 상기 주변 영역에서 상기 원시 흐림(hyperopic blur)의 대부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착용자의 눈의 변화하는 초점 면(plane)에 대하여 보상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 렌즈 구성요소의 상기 주변 영역을 통한 상기 정 도수(positive power)의 상기 분포는 바람직하지 않은 눈의 성장(ocular growth) 에 대한 상기 정지 신호를 제공하는 시각 교정이 제공될 것임이 기대되며,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망막의 주변 전체에(around substantially the whole of the periphery of the retina) 근시의 지연 또는 억제를 이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 렌즈 구성 요소는 앞 표면과 뒷 표면(다시 말해, 눈에 가장 근접한 면)을 포함한다. 상기 앞 또는 뒷 표면은 중심 영역과 주변 영역에 대한 굴절 도수의 적합한 외형(contours)을 제공하도록 형상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주변 영역의 정 평균 도수(positive mean power)는 “주변 도 수(the peripheral power)”로 칭할 것이고, 상기 원거리 시야 영역의 도수는 “원거리 도수(the distance power)”로 칭할 것이다.
렌즈의 앞 표면과 뒷 표면은 어떤 적당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앞 표면은 비구면(aspherical surface)이고 상기 뒷 표면은 구면(spherical surface) 또는 원환체(toric)이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앞 표면은 구면이고 상기 뒷 표면은 비구면이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앞 표면과 뒷 표면 모두는 비구면이다. 비구면의 표면은, 예를 들어, 아토릭 표면(atoric surface), 다중 초점 표면(multifocal surface), 또는 그것의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할 것이다.
상기 첫 번째 또는 원거리 도수와 상기 주변 도수는 전형적으로 착용자의 서로 다른 시각 교정 요건들에 부합할 것이다. 특히, 상기 원거리 도수는 착용자의 원거리 시력 동작을 위한 선명한 시력(다시 말해, 포비어 시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광축상 또는 패러축상(paraxial)의 시각 교정에 부합하는 반면,
상기 주변 도수는 일반적으로 두 가지 목적, 즉, 상기 시야 영역을 통해서 원거리의 사물을 볼 때 광축밖(off-axis) 시각 교정과, 상기 근거리 시야 영역을 통해 근거리의 사물을 볼 때 감소한 원근조절 요구로 착용자의 근거리 시력 동작에 대해 선명한 시력을 제공하는 광축상(on-axis) 교정을 제공하는 것을 만족시킬 것이다.
상기 요구된 주변 도수는 전형적으로 표면 도수의 단일 값으로서 규정되며, 정 평균 도수(positive mean power)로 규정될 것이다.
상기 주변 영역의 정 평균 도수는 착용자의 주변 교정 요건들, 즉, 주변 시력을 교정하기 위해 요구되는 상기 시각 교정을 특성화하는 의료 측정기의 측면에서 표현되는 시각 교정 요건들에 기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어떤 적합한 기술이 주변 수신(Rx) 데이터 또는 초음파 에이(A)-스캔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런 요건들을 획득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런 데이터는 공개 필드 자동 굴절렌즈(open field auto-refrator)(예; Shin-Nippon open field auto-rafractor)와 같은 기술에서 잘 알려진 장치의 사용을 통해서 획득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주변 영역은 상기 원거리 도수에 대하여 정 도수의 영역이고 그래서 “정 도수 교정(a plus power correction)”을 제공한다. 상기 정 도수는 상기 원거리 도수에 상응하여 약 0.50 D 내지 3.00 D 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약 1.00 D 내지 2.00 D 의 범위 안의 정 도수가 적합할 수 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렌즈 구성 요소의 기하학적 중심에서 어떤 반지름의 생성을 위해, 대체적으로 20 mm 의 반지름의 연장에서 상기 주변 영역내의 상기 정 평균 도수는 상기 상위 영역의 상기 원거리 참조 포인트에서 상기 굴절 도수에 대하여 적어도 약 0.50 D이다.
다른 실시 예에서, 대체적으로 20 mm 의 어떤 반지름의 연장에서, 상기 주변 영역내의 상기 평균 정 도수는 상기 상위 영역의 상기 원거리 참조 포인트에서 상기 굴절 도수에 대하여 적어도 1.00 D이다.
또 다른 실 시 예에서, 대체적으로 20 mm 의 어떤 반지름의 연장에서, 상기 주변 영역내의 상기 평균 정 도수는 상기 상위 영역의 상기 원거리 참조 포인트에 서 상기 굴절 도수에 대하여 적어도 1.50 D이다.
실시 예에서, 상기 상위 또는 원거리 시야 영역은 원거리 시력 동작을 위한 눈 회전의 범위를 넘어 요구되는 시각 교정을 제공하기 위해 형상화되거나 크기화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원거리 시야 영역은 눈 회전의 각도 범위를 통한 착용자의 원거리 시력 요건들을 뒷받침하기 위한 형상 및/또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근거리 시야 영역은 또한 차용자의 근거리 시력 동작을 위하여 눈 회전의 범위를 벗어나서 낮은 표면 비점수차의 영역을 제공하는 형상 및/또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근거리 또는 하위 시야 영역은 눈 회전의 각도 범위를 통한 착용자의 근거리 시력 요건들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형상화 및/또는 크기화 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시야 영역의 범위는 일반적으로 상기 근거리 시야 영역의 범위보다 더 클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프로그레시브 안 렌즈 구성 요소를 제공하며, 상기 프로그레시브 안 렌즈 구성 요소는,
원거리 시력을 위하고 대체적으로 플라노(plano)에서 -4.00 D 까지 범위의 첫 번째 굴절 도수를 제공하는 상위 시야 영역 및
상기 상위 시야 영역을 에워싸고 해당 영역을 통해서 상기 첫 번째 굴절 도수에 대하여 정 도수를 제공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주변 영역은,
근거리 시력을 위한 굴절 도수를 제공하는 하위 또는 근거리 시야 영역 및 상기 상위 시야 영역의 표면 도수에서부터 상기 하위 시야 영역의 표면 도수까지의 변화하는 표면 도수를 갖고 상기 상위 시야 영역과 상기 하위 시야 영역을 연결하는 코리더(corridor)를 포함하되,
상기 렌즈 구성 요소의 기하학상 중심에서 어떤 반지름의 생성을 위해, 대체적으로 20 mm 보다 더 큰 모든 반경 방향으로의 연장들에서 상기 주변 영역 내의 상기 정 평균 도수는 상기 상위 영역의 상기 원거리 참조 포인트에서 상기 굴절 도수에 상응하여 적어도 0.50 D 이고, 상기 주변 영역을 통한 정 평균 도수의 상기 분포는 착용자에 대한 근시의 지연 및 억제를 위한 시각 교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 렌즈 구성요소는 어떤 적합한 물질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합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중합 물질은 어떤 적합한 물질 중의 하나 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디아릴 글리콜 카보네이트(Diallyl glycol carbonate type), 예를 들어 CR-39 (PPG industries) 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중합 물질(polymeric article)은 교차 결합 가능한 중합 주조 조성(cross-linkable polymeric casting compositions),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 4,912,155호, 미국 출원 제07/781,392호, 호주 특허출원 제50581/93호, 제50582/93호, 제81216/87호, 제74160/91호 및 유럽특허에 기재된 조성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이들 자료들은 여기에서 참조로 한다.
상기 중합 물질은 염료, 예를 들어 상기 중합 물질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어지는 단량체 합성(monomer formulation) 에 첨가되어질 수 있는 바람직하게는 광 색성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 렌즈 구성 요소는 게다가 상기 앞 또는 뒷 표면에 통전 변색성(electrochromic) 코팅을 포함하는 표준의 추가적인 코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앞 렌즈 표면은 AR(Anti Reflective) 코팅,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 5,704,692호에 기재된 타입이며, 그 내용은 여기에서 참조로 한다. 상기 앞 렌즈 표면은 마모방지 코팅(abrasion resistant coating),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 4,954,591호에 기재된 타입이며, 그 내용은 여기에서 참조로 한다.
상기 앞과 뒷 표면은 전형적으로 써모크로믹(thermochromic) 및 광색성의 염료들을 포함하는 물질, 염료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편광제(polarizing agents), 적외선 안정제(UV stabilizers) 및 굴절율을 변경 가능한 물질와 같은 주조 구성에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근시를 지연 또는 억제하기 위한 안 렌즈(ophthalmic lens)의 조제(dispensing) 또는 디자인의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착용자를 위해, 광축상 시야 검사에 대한 포비어 시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위 시야 영역을 위한 시각 교정의 첫 번째 요구 값 및 착용자의 눈의 주변 영역에서 근시를 지연 또는 억제하기 위한 자극을 제공하기 위한 시각 교정의 두 번째 요구 값을 획득하는 단계;
시작 교정의 상기 값들에 대하여 안 렌즈 구성 요소를 선택 또는 디자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렌즈 구성 요소는,
시각 교정의 상기 첫 번째 요구 값에 대하여 첫 번째 도수를 제공하는 상위 시야 영역을 포함하는 낮은 표면 비점수차의 중심 영역 및 상기 중심 영역을 에워싸며 시각 교정의 상기 두 번째 요구 값들을 포함하는 정 도수의 분포를 제공하고 상기 첫 번째 도수에 대하여 정 평균 도수의 주변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주변 영역은,
상대적으로 더 높은 표면 비점수차의 하나 이상의 영역들;
착용자의 근거리 시력 동작을 위한 낮은 표면 비점수차의 두 번째 시야 영역 및
상기 상위 시야 영역의 표면 도수에서부터 상기 두 번째 시야 영역의 표면 도수까지 변화하는 표면 도수를 갖는 낮은 표면 비점수차의 코리더(corridor)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착용자의 머리 움직임 및/또는 눈 움직임 특성을 측정하는 단계 및 착용자의 머리 움직임 및 눈 움직임 동작에 따른 상기 상위 시야 영역, 하위 시야 영역 및 상기 코리더(corridor)를 크기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상적으로, 상기 상위 시야 영역, 상기 두 번째 시야 영역 및 상기 코리더는 착용자의 원거리 시력과 근거리 시력 요건들을 포함하는 눈 회전의 각도 범위를 통해서 선명한 시력을 제공하기 위해 크기화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적합한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 어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시스템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또는 착용자의 눈에서 근시를 지연 또는 억제하기 위한 안 렌즈 구성 요소의 조제(dispensing) 또는 디자인의 프로세싱 시스템을 제공하며,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착용자를 위해, 광축 시야 동작을 위해 포비어 시력을 제공하기 위한 상위 시야 영역에 대한 시각 교정의 첫 번째 요구 값 및 착용자의 눈의 주변 영역 내의 근시를 지연 또는 억제하기 위한 자극을 제공하는 시각 교정의 두 번째 요구 값을 획득하기 위한 입력 수단;
시각 교정의 상기 값들에 따른 안 렌즈 구성 요소를 선택 또는 디자인하기 위한 시각 교정의 값을 프로세싱하는 프로세싱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안 렌즈 구성 요소는,
시각 교정의 상기 첫 번째 요구 값에 대하여 첫 번째 도수를 제공하는 상위 시야 영역을 포함하며, 낮은 표면 비점수차의 중심 영역 및
상기 중심 영역을 에워싸고, 상기 첫 번째 도수에 대하여 정 도수의 주변 영역을 포함하며 시각 교정의 상기 두 번째 요구 값을 포함하는 정 도수의 분포를 제공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주변 영역은,
상대적으로 더 높은 표면 비점수차의 하나 이상의 영역들;
착용자의 근거리 시력 동작을 위하며 낮은 표면 비점수차의 두 번째 시야 영역 및
상기 상위 시야 영역의 표면 도수에서부터 상기 하위 시야 영역의 표면 도수까지 변화하는 표면 도수를 갖는 낮은 표면 비점수차의 코리더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게다가 착용자를 위하여 머리 움직임과 눈 움직임 특성을 받아들이거나 획득하기 위한 입력 수단 및
착용자의 머리 움직임과 눈 움직임 특성에 따른 상기 상위 시야 영역 및/또는 상기 두 번째 시야 영역의 크기 및/또는 형상을 수정하기 위한 프로세싱 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근시를 지연 또는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근시인 사람에 대해 한 쌍의 안 렌즈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안경을 제공하며, 상기 각각의 눈을 위한 각 렌즈 구성 요소는,
착용자의 원거리 시력 동작에 적합한 첫 번째 도수를 제공하는 상위 시야 영역을 포함하며, 낮은 표면 비점수차의 중심 영역;
상기 중심 영역을 에워싸고, 착용자에 대한 근시를 지연 또는 억제하기 위한 시각 교정을 제공하며, 상기 첫 번째 도수에 대하여 정 도수의 주변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주변 영역은,
상대적으로 더 높은 표면 비점수차의 하나 이상의 영역들;
착용자의 근거리 시력 동작을 위하며, 낮은 표면 비점수차의 두 번째 시야 영역 및
상기 상위 시야 영역의 표면 도수에서부터 상기 하위 시야 영역의 표면 도 수까지 변화하는 표면 도수를 갖는 낮은 표면 비점수차의 코리더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 구성 요소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상기 중심 영역의 상기 첫 번째 또는 상위 영역에 대하여 정 평균 도수[즉, “정 도수 교정(a plus power correction)”]를 제공하는 주변 영역을 갖는 안 렌즈 구성 요소를 제공한다. 그러나, 정 굴절 도수(positive refracting power)는 잘 조절되지 않으므로, 상기 안 렌즈 구성 요소는 시각의 원래면(original field) 주변에, 사물을 보기 위해 회전할 때 망막의 포비어에 흐림을 야기할 것이다. 이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안 렌즈 구성 요소의 실시 예는 원거리 시력 동작을 위해 착용자의 일반적인 눈 회전에 해당하는 범위를 벗어나서 처방된 도수를 제공하기 위해 크기화된 원거리 시야 영역과, 상기 원거리 시야 영역과 별개로 근거리 시력 동작을 위해 착용자의 일반적인 눈 회전에 해당하는 범위를 벗어나서 상기 원거리 영역에 대하여 정 평균 도수를 갖는 근거리 시야 영역을 포함하는 중심 영역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실시 예는
착용자의 원거리와 근거리 시력 요건들을 위한 정확한 포비어 교정에만 국한되지 않고, 머리의 회전의 시작에 앞서 일반적인 눈 회전의 연장을 나타내는 범위 내에서도 정확한 포비어 교정을 제공할 수 있다.
착용자에 의해 요구되는 정 도수 교정의 정도(level of the plus power correction)는 Mutti et al.(2000)에 의해 발견된 근시의 주변 굴절의 큰 범위 내에서 변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련의 실시 예에서, 다수의 주변 애스퍼라리제이션(aspherisations)은 정 도수 교정(plus power corrections)의 범위를 제 공받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설명으로 들어가기에 전에, 앞서 사용하고 본 명세서에 걸쳐 사용되는 일부 용어는 설명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내의 “렌즈 구성 요소” 용어에 관련하여, 이는 렌즈에 국한되지 않고, 특별한 환자에 대한 처방에 따라 요구하거나 완성하는 렌즈 웨이퍼(wafers) 및 반가공된 렌즈 제품(semifinished lens blanks)을 포함하는 광학 기술(Ophthalmic arts) 에서 사용하는 개개의 굴절 광학체(individual refractive optical bodies)의 모든 형상들에 대한 것이다.
또한, “표면 비점수차” 용어에 대해서는, 표면의 한 점에서 렌즈의 표면에 대해 정상적인 교차 평면들 사이에서 렌즈의 커버쳐(curvature)가 변화하는 정도에 의 측정에 대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포비어 영역” 용어에 대한 참조는 상기 포비어를 포함하고 상기 패러포비어에 의해 제한되는 상기 망막의 영역에 관련하여 이해되어야 한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 걸쳐, “주변 영역” 용어에 대한 참조는 상기 망막에 관하여 사용될 경우, 외부에 있어 상기 포비어 영역을 둘러싸는 망막의 영역에 대한 참조를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 렌즈 구성 요소는 동시에 그리고 대체로 원거리 시력 동작 동안 중심과 주변 시력 모두를 교정한다. 이러한 형태의 교정은 근시안의 사람들, 특히 근시안의 어린이들에서의 근시의 진행의 시작을 제거 또는 적어도 지연할 것으로 예상된다.

Claims (16)

  1. 착용자의 원거리 시력 동작을 위해 적합한 첫 번째 도수를 제공하는 상위 시야 영역을 포함하는, 낮은 표면 비점수차의 중심 영역 및
    상기 중심 영역을 에워싸고, 상기 첫 번째 도수에 대하여 정(正) 도수의 주변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주변 영역은,
    상대적으로 더 높은 표면 비점수차의 하나 이상의 영역들;
    낮은 표면 비점수차의 하위 또는 근거리 시야 영역, 여기에서 하위 시야 영역은 착용자의 근거리 시력 동작을 위한 것인, 및
    상기 상위 시야 영역의 표면 도수에서부터 상기 하위 시야 영역의 표면 도수까지 변화하는 표면 도수를 갖는, 낮은 표면 비점수차의 코리더(corridor)를 포함하되,
    상기 주변 영역이 착용자에 대해 근시를 지연 또는 억제하기 위한 시각 보정을 제공하는 안 렌즈 구성 요소.
  2. 원거리 시야를 위한 첫 번째 굴절 도수를 제공하는 상위 시야 영역 및
    상기 상위 시야 영역을 에워싸고 해당 영역을 통해서 상기 첫 번째 굴절 도수에 대하여 정(正) 도수를 제공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주변 영역은,
    근거리 시력을 위한 굴절 도수를 제공하는 하위 또는 근거리 시야 영역 및 상기 상위 시야 영역의 도수에서부터 상기 하위 시야 영역의 도수까지의 변화하는 표면 도수를 갖고 상기 상위 시야 영역과 상기 하위 시야 영역을 연결하는 코리더(corridor)를 포함하되,
    상기 주변 영역을 통한 평균 도수의 분포가 상기 상위 시야 영역의 도수에 관하여 정(正)의 값을 가지고, 착용자에 대한 근시를 지연 및 억제하기 위한 시각 교정을 제공하는,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안 렌즈 구성 요소.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따른 안 렌즈 구성 요소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도수는 착용자의 광축상 원거리 시력 시야 요건들에 대하여 시각 교정을 제공하기 위한 처방된 도수인, 안 렌즈 구성 요소.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안 렌즈 구성 요소에 있어서,
    상기 주변 영역의 시각 교정은 상기 망막의 주변 영역과 연관된 근시를 지연 또는 억제하기 위한 자극을 제공하는, 안 렌즈 구성 요소.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안 렌즈 구성 요소에 있어서,
    상기 렌즈 구성 요소의 기하학상 중심에서 20 mm 보다 더 큰 모든 반경 방향으로의 연장들에서 상기 주변 영역을 통한 상기 정 평균 도수는 상기 상위 영역의 상기 원거리 참조 포인트에서 상기 굴절 도수에 관하여 0.50 D 내지 3.00 D의 범위에 있는, 안 렌즈 구성 요소.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안 렌즈 구성 요소에 있어서,
    상기 렌즈 구성 요소의 기하학상 중심으로부터 어떠한 반지름의 생성을 위해 대체적으로 20 mm의 반경 방향으로의 연장에서 상기 주변 영역 내의 상기 정 평균 도수는 상기 상위 영역의 상기 원거리 참조 포인트에서 상기 굴절 도수에 관하여 적어도 0.50 D인, 안 렌즈 구성 요소.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안 렌즈 구성 요소에 있어서,
    상기 렌즈 구성 요소의 기하학상 중심에서 어떠한 반지름의 생성을 위해 대체적으로 20 mm의 반경 방향으로의 연장에서 상기 주변 영역 내의 상기 정 평균 도수는 상기 상위 영역의 상기 원거리 참조 포인트에서 상기 굴절 도수에 관하여 적어도 1.00 D인, 안 렌즈 구성 요소.
  8.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안 렌즈 구성 요소에 있어서,
    상기 렌즈 구성 요소의 기하학상 중심에서 어떠한 반지름의 생성을 위해 대체적으로 20 mm의 반경 방향으로의 연장에서 상기 주변 영역 내의 상기 정 평균 도수는 상기 상위 영역의 상기 원거리 참조 포인트에서 상기 굴절 도수에 관하여 적어도 1.50 D인, 안 렌즈 구성 요소.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안 렌즈 구성 요소에 있어서,
    상기 상위 영역 내의 상기 굴절 도수는 플라노(plano)에서 -4.00 D까지의 범위에 있는, 안 렌즈 구성 요소.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안 렌즈 구성 요소에 있어서,
    상기 상위 영역은 착용자가 머리 회전을 시작하기 전에 착용자의 일반적인 눈 회전에 대한 상기 연장에 대하여 형상 및/또는 사이즈를 갖는 구경(aperture)인, 안 렌즈 구성 요소.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일련의 안 렌즈 구성 요소들에 있어서,
    상기 일련의 각 렌즈는 서로 다른 주변 교정 요건들에 대하여 정 평균 도수의 범위는 갖는 주변 영역을 제공하는, 일련의 안 렌즈 구성 요소.
  12. 제 11항에 따른 일련의 안 렌즈 구성 요소들에 있어서,
    상기 렌즈 구성 요소의 기하학상 중심에서 반지름의 생성을 위해서, 실질적으로 20 mm 보다 더 큰 어떤 반경 방향으로 연장에서 상기 주변 영역 내의 상기 정(正) 평균 도수는 상기 상위 영역의 원거리 참조 포인트에서 상기 굴절 도수에 대하여 적어도 0.5 D이고, 상기 반경 방향으로 상기 정 평균 도수는 상기 착용자의 상기 주변 교정 요건에 의존하는 2.50 D까지 다양한, 각각의 렌즈용 일련의 안 렌즈 구성 요소.
  13. 제 11항 또는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일련의 안 렌즈 구성 요소들에 있어서,
    상기 상위 영역의 사이즈 및/또는 형상은 상기 착용자에 대한 눈 회전의 처방된 범위에 따르는, 일련의 안 렌즈 구성 요소.
  14. 원거리 시력을 위하고 대체적으로 플라노(plano)에서 -4.00 D 까지 범위의 첫 번째 굴절 도수를 제공하는 상위 시야 영역 및
    상기 상위 시력 영역을 에워싸고 해당 영역을 통해서 상기 첫 번째 굴절 도수에 대하여 정(正) 도수를 제공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주변 영역은,
    근거리 시력을 위한 굴절 도수를 제공하는 하위 또는 근거리 시야 영역 및 상기 상위 시야 영역의 표면 도수에서부터 상기 하위 시야 영역의 표면 도수까지 변화하는 표면 도수(Surface power)를 갖고 상기 상위 시야 영역과 상기 하위 시야 영역을 연결하는 코리더를 포함하되,
    상기 렌즈 구성요소의 기하학상 중심에서 어떤 반지름의 생성을 위해, 대체적으로 20 mm 보다 더 큰 모든 반경 방향으로의 연장들에서 상기 주변 영역 내의 상기 정 평균 도수는 상기 상위 영역의 상기 원거리 참조 포인트에서 상기 굴절 도수에 상응하여 적어도 0.50 D 이고, 상기 주변 영역을 통한 정 평균 도수의 상기 분포는 착용자에 대한 근시의 지연 및 억제를 위한 시각 교정을 제공하는, 프로그레시브 안 렌즈 구성 요소.
  15. 착용자를 위해, 광축상 시야 동작에 대한 포비어 시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위 시야 영역을 위한 시각 교정의 첫 번째 요구 값 및 착용자의 눈의 주변 영역에서 근시를 지연 또는 억제하기 위한 자극을 제공하기 위한 시각 교정의 두 번째 요구 값을 획득하는 단계;
    시각 교정의 상기 값들에 대하여 안 렌즈 구성요소를 선택 또는 디자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렌즈 구성 요소는,
    시각 교정의 상기 첫 번째 요구 값에 대하여 첫 번째 도수를 제공하는 첫 번째 또는 상위 시야 영역을 포함하는 낮은 표면 비점수차의 중심 영역 및 상기 중심 영역을 에워싸며 상기 첫 번째 도수에 대하여 정 평균 도수의 주변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주변 영역은,
    상대적으로 더 높은 표면 비점수차의 하나 이상의 영역들;
    착용자의 근거리 시력 동작을 위해 하위 시야 영역, 낮은 표면 비점수차의 하위 또는 근거리 영역 및
    상기 상위 시야 영역의 도수에서부터 상기 하위 시야 영역의 도수까지 변화하는 표면 도수를 갖는 낮은 표면 비점수차의 코리더를 포함하되,
    주변 영역은 시각 교정의 상기 두 번째 요구 값에 대하여 정 평균 도수의 분포를 제공하는, 근시를 지연 또는 억제하기 위한 안 렌즈의 조제 또는 디자인 방법.
  16.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대로의 안 렌즈 구성 요소.
KR1020097007426A 2006-09-15 2007-09-14 누진다초점 안 렌즈용 굴절 광학체 및 이를 디자인하는 방법 Active KR1014444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06905101 2006-09-15
AU2006905101A AU2006905101A0 (en) 2006-09-15 Ophthalmic lens element
AU2007901348 2007-03-15
AU2007901348A AU2007901348A0 (en) 2007-03-15 Ophthalmic lens element
PCT/AU2007/001365 WO2008031166A1 (en) 2006-09-15 2007-09-14 Ophthalmic lens el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590A true KR20090071590A (ko) 2009-07-01
KR101444480B1 KR101444480B1 (ko) 2014-09-24

Family

ID=39183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7426A Active KR101444480B1 (ko) 2006-09-15 2007-09-14 누진다초점 안 렌즈용 굴절 광학체 및 이를 디자인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7992997B2 (ko)
EP (1) EP2069854B1 (ko)
JP (2) JP2010503877A (ko)
KR (1) KR101444480B1 (ko)
CN (1) CN101595420B (ko)
AU (1) AU2007295957B2 (ko)
BR (1) BRPI0716719B1 (ko)
CA (1) CA2663276C (ko)
ES (1) ES2541912T3 (ko)
MY (1) MY150633A (ko)
PL (1) PL2069854T3 (ko)
PT (1) PT2069854E (ko)
WO (1) WO20080311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23271B (zh) * 2006-10-10 2012-07-04 诺瓦提斯公司 具有光学控制周边部分的透镜以及设计和制造该透镜的方法
MX2010011466A (es) 2008-04-18 2011-05-30 Novartis Ag Medios de control de la miopia.
BRPI0916627B1 (pt) * 2008-08-11 2019-10-08 Novartis Ag Lente de contato para impedir a miopia ou reduzir a progressão da miopia
KR20110104963A (ko) * 2008-12-19 2011-09-23 노파르티스 아게 눈의 주변 디포커스의 교정 및 굴절 이상 발생의 조절
SG172303A1 (en) 2008-12-22 2011-07-28 Wisconsin Med Colleg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imiting growth of eye length
WO2010100528A1 (en) * 2009-03-05 2010-09-10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Spectacle eyeglass for myopic child
ES2345027B1 (es) 2009-03-12 2011-09-30 Universidad De Murcia Dispositivo de correccion optica de refraccion en la retina periferica de manera asimetrica para el control de la progresion de la miopia.
FR2944364B1 (fr) * 2009-04-14 2011-09-02 Essilor Int Realisation d'un verre de lunettes personnalise en fonction d'une perception de flou
PH12012500781A1 (en) 2009-11-09 2015-03-04 Zeiss Carl Vision Int Gmbh Ophthalmic lens element
WO2012007064A1 (en) * 2010-07-16 2012-01-19 Carl Zeiss Vision Gmbh Retardation of progression of refractive error
ES2927468T3 (es) 2012-03-14 2022-11-07 Holden Brien Vision Inst Lente para ojo miope
JP2013201638A (ja) 2012-03-26 2013-10-03 Seiko Epson Corp 振動デバイス
TWI588560B (zh) 2012-04-05 2017-06-21 布萊恩荷登視覺協會 用於屈光不正之鏡片、裝置、方法及系統
US9791718B2 (en) 2012-07-31 2017-10-17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Progressive multifocal ophthalmic lens designed to inhibit progressive myopia of the wearer
US9201250B2 (en) 2012-10-17 2015-12-01 Brien Holden Vision Institute Lenses,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refractive error
CN104768499B (zh) 2012-10-17 2017-06-23 华柏恩视觉研究中心 用于屈光不正的镜片、装置、方法和系统
FR3013132B1 (fr) * 2013-11-08 2017-01-20 Essilor Int Methode de determination d'au moins un parametre de conception optique pour une lentille ophtalmique progressive
US10545355B2 (en) * 2014-09-30 2020-01-28 Essilor International Spectacle ophthalmic lens, method for determining a spectacle ophthalmic lens
CN105785589A (zh) * 2016-05-10 2016-07-20 段亚东 四象限区周边离焦框架眼镜片
TWI849447B (zh) 2016-08-01 2024-07-21 華盛頓大學 眼用鏡片及其形成方法以及使用該眼用鏡片之眼鏡
ES2755817T3 (es) 2016-12-01 2020-04-23 Zeiss Carl Vision Int Gmbh Lente progresiva para gafas, método de fabricación de una lente progresiva para gafas y método de diseño de una lente progresiva para gafas
EP3330777A1 (en) 2016-12-01 2018-06-06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Progressive ophthalmic lens, method of manufacturing a progressive spectacle lens and method of designing a progressive spectacle lens
WO2018143813A1 (en) * 2017-02-06 2018-08-09 Barendse Nicole Optical aid
WO2018208724A1 (en) 2017-05-08 2018-11-15 Sightglass Vision, Inc. Contact lenses for reducing myopia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US10884264B2 (en) 2018-01-30 2021-01-05 Sightglass Vision, Inc. Ophthalmic lenses with light scattering for treating myopia
JP7155275B2 (ja) * 2018-03-01 2022-10-18 エシロール・アンテルナシオナル レンズ要素
US11681161B2 (en) 2018-03-29 2023-06-20 Reopia Optics, Inc. Anti-myopia-progression spectacles and associated methods
US10921612B2 (en) 2018-03-29 2021-02-16 Reopia Optics, Llc. Spectacles and associated methods for presbyopia treatment and myopia progression control
US11947197B2 (en) 2018-03-29 2024-04-02 Reopia Optics, Inc. Spectacles for presbyopia treatment and myopia progression control and associated methods
CN112534340A (zh) 2018-07-12 2021-03-19 视窗视觉公司 降低儿童近视的方法和设备
CN108957789B (zh) * 2018-09-28 2025-06-13 戴明华 防止视野不对称导致屈光恶化和视疲劳的眼镜片及治疗仪
TWI846770B (zh) * 2018-11-30 2024-07-01 美商賽特眼鏡視光有限公司 用於治療近視的光散射鏡片及包含該鏡片之眼鏡
US11583389B2 (en) 2019-04-05 2023-02-21 Amo Groningen B.V. Systems and methods for correcting photic phenomenon from an intraocular lens and using refractive index writing
US11583388B2 (en) 2019-04-05 2023-02-21 Amo Groningen B.V. Systems and methods for spectacle independence using refractive index writing with an intraocular lens
US12357509B2 (en) 2019-04-05 2025-07-15 Amo Groningen B.V.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vision from an intraocular lens in an incorrect position and using refractive index writing
US11944574B2 (en) 2019-04-05 2024-04-02 Amo Groningen B.V.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le layer intraocular lens and using refractive index writing
US11564839B2 (en) 2019-04-05 2023-01-31 Amo Groningen B.V. Systems and methods for vergence matching of an intraocular lens with refractive index writing
US11678975B2 (en) 2019-04-05 2023-06-20 Amo Groningen B.V.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ocular disease with an intraocular lens and refractive index writing
US11529230B2 (en) 2019-04-05 2022-12-20 Amo Groningen B.V. Systems and methods for correcting power of an intraocular lens using refractive index writing
SG11202110890YA (en) 2019-04-23 2021-10-28 Sightglass Vision Inc Ophthalmic lenses with dynamic optical properties for reducing development of myopia
EP4118484A4 (en) * 2020-03-11 2024-05-15 Brien Holden Vision Institute Limited Ophthalmic lenses and methods for correcting, slowing, reducing, and/or controlling the progression of myopia in conjunction with use of atropine or related compounds
CN114114711A (zh) * 2020-12-23 2022-03-01 东海光学株式会社 用于抑制近视加深的眼镜镜片
WO2022231624A1 (en) 2021-04-30 2022-11-03 Carl Zeiss Vision Inc. A progressive spectacle lens
CN113376866B (zh) * 2021-06-02 2022-11-29 苏州大学 一种带微结构的成人渐进眼镜片
EP4198615A1 (en) 2021-12-16 2023-06-21 Essilor International Method for determining an ophthalmic lens
CN114815308A (zh) * 2022-05-24 2022-07-29 江苏全真光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渐进屈光力的树脂镜片
DE102022210894B4 (de) * 2022-10-14 2024-07-25 Rodenstock Gmbh Brillenglas zum myopie management mittels peripherem wirkungsanstieg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55047A (en) * 1931-12-03 1934-04-17 Howard D Beach Spectacle lens
US5771089A (en) * 1984-08-17 1998-06-23 Optische Werke G. Rodenstock Progressive spectacle lens
AU601779B2 (en) 1986-11-21 1990-09-20 Sola International Holdings Ltd Cross-linkable casting composition
US4861153A (en) * 1986-12-19 1989-08-29 American Optical Corporation Progressive addition spectacle lens
US4912155A (en) 1987-02-27 1990-03-27 Ethyl Corporation Antioxidant aromatic fluorophosphites
US4954591A (en) 1987-11-06 1990-09-04 Pilkington Visioncare Holdings, Inc. Abrasion resistant radiation curable coating for polycarbonate article
AU637892B2 (en) 1990-04-12 1993-06-10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ynamic channeling dispatching for up-peak period
AU5058293A (en) 1992-11-16 1994-05-26 Sola International Holdings Ltd Cross-linkable polymeric composition
AU665124B2 (en) 1992-11-16 1995-12-14 Sola International Holdings Ltd Cross-linkable polymeric composition
US5285222A (en) * 1992-11-20 1994-02-08 Gentex Optics, Inc. Progressive lens series
US5327181A (en) * 1993-01-12 1994-07-05 Gentex Optics, Inc. Progressive lens for specialty and occupational use
US5526071A (en) * 1993-03-31 1996-06-11 Permeable Technologies, Inc. Multifocal contact lens and method for preparing
US5704692A (en) 1995-08-01 1998-01-06 Rockwell Heavy Vehicles Systems, Inc. Method of welding a sensor bracket to an axle
JP3196880B2 (ja) * 1995-09-22 2001-08-06 ホーヤ株式会社 累進多焦点レンズ
US5702440A (en) * 1996-01-26 1997-12-30 Allergan Multifocal ophthalmic lens for dim-lighting conditions
BR9906510A (pt) * 1998-06-04 2000-09-19 Sola Int Holdings "lentes oftálmicas formatadas"
US6343861B1 (en) * 1998-06-12 2002-02-05 Sola International Holdings, Ltd. Myopia lens
MXPA02003264A (es) * 1999-10-01 2002-09-30 Sola Int Holdings Lente progresiva.
US6390623B1 (en) * 2000-03-29 2002-05-21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Customized progressive addition lenses
US6709105B2 (en) * 2001-04-10 2004-03-23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Progressive addition lenses
US6752499B2 (en) 2001-07-11 2004-06-22 Thomas A. Aller Myopia progression control using bifocal contact lenses
JP4246422B2 (ja) * 2001-09-11 2009-04-02 セイコーオプティカルプロダクツ株式会社 累進屈折力眼鏡レンズの設計方法、および製造方法
AU2004296710B2 (en) * 2003-11-19 2009-08-27 Vision Crc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ltering relative curvature of field and positions of peripheral, off-axis focal positions
CA2626050C (en) * 2005-10-12 2015-12-08 Carl Zeiss Vision Australia Holdings Limited Ophthalmic lens element for myopia correction
ES2666900T3 (es) * 2006-01-12 2018-05-08 Brien Holden Vision Institute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controlar la posición de imagen periférica para reducir la progresión de miopí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63276C (en) 2015-04-14
EP2069854B1 (en) 2015-04-08
US7992997B2 (en) 2011-08-09
ES2541912T3 (es) 2015-07-28
AU2007295957B2 (en) 2012-06-14
US20090310082A1 (en) 2009-12-17
EP2069854A1 (en) 2009-06-17
JP2015052798A (ja) 2015-03-19
HK1139211A1 (en) 2010-09-10
EP2069854A4 (en) 2011-08-31
PL2069854T3 (pl) 2015-08-31
CA2663276A1 (en) 2008-03-20
BRPI0716719B1 (pt) 2018-07-03
PT2069854E (pt) 2015-07-02
BRPI0716719A2 (pt) 2013-09-03
JP6002732B2 (ja) 2016-10-05
JP2010503877A (ja) 2010-02-04
AU2007295957A1 (en) 2008-03-20
WO2008031166A1 (en) 2008-03-20
MY150633A (en) 2014-02-14
CN101595420B (zh) 2011-10-19
KR101444480B1 (ko) 2014-09-24
CN101595420A (zh) 200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4480B1 (ko) 누진다초점 안 렌즈용 굴절 광학체 및 이를 디자인하는 방법
US8540365B2 (en) Ophthalmic lens element
US7862171B2 (en) Ophthalmic lens element for myopia correction
AU2010314756B2 (en) Ophthalmic lens element
CN117295997A (zh) 渐变眼镜镜片
HK1139211B (zh) 眼科鏡片元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1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9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4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1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4071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4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14101004421

Request date: 20140718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4071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718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40310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14091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820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9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9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