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67387A - 심해 반잠수식 가두리 양식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심해 반잠수식 가두리 양식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7387A
KR20090067387A KR1020070135030A KR20070135030A KR20090067387A KR 20090067387 A KR20090067387 A KR 20090067387A KR 1020070135030 A KR1020070135030 A KR 1020070135030A KR 20070135030 A KR20070135030 A KR 20070135030A KR 20090067387 A KR20090067387 A KR 20090067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sea
deep
deck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5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3763B1 (ko
Inventor
윤인수
Original Assignee
윤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인수 filed Critical 윤인수
Priority to KR1020070135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3763B1/ko
Publication of KR20090067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7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3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3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01K61/65Connecting or mooring device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해 반잠수식 가두리 양식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데크 프레이트 (갑판), 원형중공 칼럼, 후팅으로 구성된 부체의 칼럼 외주부에 가두리틀을 설치하고, 파도가 거셀때에는 가두리틀을 파도의 힘이 미치지 않는 수심에 내려 대피 시키고, 풍랑이 잠잠해지면 적정수온대로 가두리틀을 끌어올려 어류를 양식하는 심해 양식장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심해의 파도가 진행방향에 따라 물의 입자는 평면 안을 원운동을 하며, 수심이 깊어지면 물입자의 원운동의 크기는 급속히 작아지고, 파도에 따라 수압도 변화하는데, 수심이 깊어질수록 그 변화량은 급격히 감소하며, 파장의 반보다 깊은 곳에는 파도에 수반되는 수압변동이 거의 미치지 않게 되는데, 태풍시 이러한 수심에 가두리틀을 하강시켜 대피 하게 함으로 한 장소에서 반 영구적으로 냉수어류를 양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바다 양어장, 파도, 파장, 반잠수식, 중성부력, 밸러스트 탱크, 후팅

Description

심해 반잠수식 가두리 양식방법 및 그 장치{omitted}
본 발명은 심해 양어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데크 프레이트, 칼럼, 후팅으로 구성된 부체의 칼럼 외주부에 가두리틀을 설치하고, 파도가 거셀때에는 가두리틀을 파도의 힘이 미치지 않는 수심에 내려 대피 시키고, 풍랑이 잠잠해지면 적정수온대로 가두리틀을 끌어올려 어류를 양식하는 심해 반잠수식 가두리 양식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다 양어장은 내해에 가두리틀을 부유시키고 어류를 양식한다. 그러나 여름철 수온이 상승하면 적조가 발생하여 어류를 폐사 시키며, 가두리어망에 해조류가 발생하여 용존산소가 풍부한 해수의 유통을 저해하고, 풍랑이 심해지면 이를 피해서 안전한 곳으로 이동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바다의 양어장이 개발(국내특허출원번호제10-1988-0014370)되었으나, 밸러스트 탱크에 해수를 담거나, 압축공기로 밸러스트 탱크내의 해수를 배수해야 하고, 요원시설 사료저장고 그리고 케이지의 유지시설이 구비된 타워와 중공부상체가 해수면상을 5∼30m와 30∼55m씩이나 부상하면, 타워와 중공부상체로 이루어진 상부기체와 이를 부상 시키고 있는 각주형 콘테이너의 해수면상의 안정성에 대단히 큰 문제가 야기 될수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시는 각주 콘테이너가 대형화 해야 하는 문제가 있고, 조류에 부유하기 때문에 관리와 운영면에서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중성부력탱크로 가두리망을 상승 시키기도 하고 하강 시키는 방법도 개발 되었으나, 태풍시에는 사료를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와 고도의 기술과 과다한 운영비가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갑판, 원형중공칼럼, 후팅으로 구성된 부체를 앵커로 심해에 고정시키고, 해면상의 갑판의 위치를 예상파고보다 높게 하고, 해수중의 원형 칼럼의 길이를 파장의 1/2이하에 이르게 하여, 원형칼럼의 총 길이를 해면상의 길이에 해수중의 길이를 합한 길이로 하고, 이에 갑판과 밸러스트 탱크 즉 후팅을 결착 시켜 부체를 완성하고, 원형칼럼의 외주부에 가두리망을 장착하고, 태풍시에 갑판에 설치된 윈치로 가두리망을 하강시켜 파도를 피하고, 평온시에는 가두리망을 상승시켜 안전하게 양식을 할수 있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파도의 물의 입자는 파도의 진행방향에 따라 평면안을 원운동 한다. 그러나 수심이 깊어지면, 물입자의 원운동의 크기는 급속히 작아진다. 파도에 따라 수압도 변화하는데 수심이 깊어질수록 그 변화량은 급격히 감소하여 파장의 반보다 깊은 곳에는 파도에 수반되는 수압변동이 거의 미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원형칼럼의 총 길이를, 해상에 노출되는 높이의 길이는 당해수역 해수면 파고의 최고치 보다 높게 하고, 수중의 길이는 파장 길이의 1/2 이상이 되는 수중길이를 합한 길이로 하고, 이 원형중공칼럼 상단 해상에는 갑판을, 하단 해수중에는 후팅을 결착한 부체를 앵커로 해저에 고정 시키고, 이 원형중공칼럼 외주부에 가두리틀을 장착하고, 이 가두리틀을 갑판에 설치한 윈치로 태풍시에는 끌어 내리고, 평온시에는 끌어 올려 어류를 양식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원형중공칼럼의 총 길이를, 해상의 길이는 당해수역 해수면 파고의 최고치 보다 높게 하고, 수중의 길이는 파장 길이의 1/2 이상이 되는 길이를 합한 것으로 하여, 이 원형중공칼럼을 중심으로, 그 상부 즉 해상에는 갑판을, 해수중에는 후팅을 결착한 부체의 원형중공칼럼 외주부에 가두리틀을 장착하고, 이 가두리틀을 갑판에 설치한 윈치로 태풍시에는 끌어 내리고, 평온시에는 끌어 올려 어류를 양식 함으로 일정 장소에서 반영구적으로 냉수어류 양식을 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태풍시 심해 반잠수식 가두리 양식장의 사시도로써, 해수면상의 간판(10)위에는 기계실(11), 창고(12), 휴식실(13)이 구비되고, 해수중의 원형중공칼럼(20)의 외주부에는 케이지 즉 가두리틀(40)이 설치되고, 가두리틀(40)에는 상,하에 가이드(41), 가이드(41)에는 두개의 고리(42), 고리에 연결된 케이블(43), 그리고 가두리틀(40)의 외주부에 메인 후레임(44)로 구성되어 수직으로 상승 하강 작동을 하게 되며, 원형중공칼럼(20)의 하단부에는 후팅(30)이 결착되어 있고, 그 밑에는 앵커(50)으로 해저에 고정 되도록 한다. 후팅(30)은 밀폐형이나, 또는 밑변 개방형으로 하며, 원형중공칼럼(20)의 일부와 후팅(30)을 밸러스트 탱크로 활용 할수도 있다. 그리고 원형중공칼럼(20)을 1개 이상 복수개로 입설 해도 된다.
미설명 부호 (60)은 파도가 밀려 갈 때, 해수중에서 원운동하는 물의 입자의 모양을 나타낸 것으로, 수심이 깊어 질수록 물의 입자가 원운동하는 강도가 약해지며, 파장의 1/2 이상의 수심에서는 파도의 영향은 거의 소멸 된다.
도 2는 태풍이 지나가고 평온상태로 돌아온 후의 가두리 양식장의 단면도이고, 도 3은 평온시 가두리틀(40)을 해수면 근처 적당한 수온이 유지된 수심으로 끌어올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다.
해상에 태풍이 불어 닥치면 높은 파도가 밀려오고, 그 높이는 태풍의 중심 기압과 풍속에 따라 달라지며, 수심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파도의 파장 길이의 1/2 이상의 수심에서는 파도의 세력이 급속히 약하여져서 그 영향이 미치지 못한다. 따라서 태풍이 불어 닥칠 때, 이러한 수심에 가두리틀(40)을 침강 시키면, 가두리 양어장은 안전하게 된다. 도 1의 원운동하는 물의 입자(60)은 이를 나타낸다. 원운동하는 물의 입자가 작아진 수심에 가두리틀(40)을 위치 시키면 잔잔한 수면과 같이 파도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해수면이 잠잠해 지면 후팅(30)을 밸러스트 탱크로 하여 해수를 담수하고, 갑판을 해수면 근처에 이르게 하면, 모든 활동이 원활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심해 반잠수식 가두리 양식방법은 갑판(10), 원형중공칼럼(20), 후팅(30)으로 구성된 부체를 심해에 부유시키며, 앵카(50)으로 해저에 고정 시키고, 가두리틀(40)만을 올리고 내리고 하기 때문에 마치 인공섬처럼 보인다.
태풍이 지나고 해상이 평온해지면, 도 3과 같이 가두리틀(40)을 수온이 적절한 수심으로 끌어 올려 냉수족 어류를 양식 한다.
해상의 갑판(10) 위에는 가두리틀(40)을 끌어 올리는 윈치등의 설비를 갖춘 기계실(11), 사료등 자재를 비축하는 창고(12), 그리고 작업인이 사용하는 휴게실(13)이 갖추어져 있어, 태풍으로 해상교통이 마비된다 하여도 정상적인 작업과 생활이 가능하다.
도 4는 원형중공칼럼(20)을 복수개로 설치한 예이다
가두리틀(40)은 도 5와 같이 쌍원추형이나, 도 6과 같이 다중원주형이나, 도 7과 같이 단주형이나 또는 임의의 형상으로도 적합하며, 태풍시에도 갑판(10)은 파도에 안정적임으로, 파이프나 호수로 사료를 공급할수 있어, 어류를 정상적으로 양식 할 수가 있다.
우리나라 각 해역별 심해파는 50년 재현빈도 기준으로 동해안은 6∼7 m, 남해안은 7∼10 m , 서해안 은 4∼5 m 이다.
본 발명은 원형중공칼럼(20)의 해상 높이를 8∼15m로 하여, 맨위에 갑판(10)을 설치하고, 당해수역의 해수중 파장의 1/2 길이 이상의 수심에 가두리틀(40)을 장치하고 그 밑에 후팅(30)을 설치하고 앵커(50)으로 해저에 고정하였기 때문에 태풍에도 피해를 입지 않게 된다.
거친 파도가 원형중공칼럼(20)의 상단에 부딛쳐도 그 단면적이 적기 때문에 그 충격은 우려할만한 것이 못되고, 해수중 깊숙한 수심에서부터 부유해 있는 원형중공칼럼(20)과 후팅(30)을 요동 시킬 힘이 되지 못하여 부유체는 안정을 유지 할 수가 있다..
도 1은 태풍시 심해 반잠수식 가두리 양식장의 사시도
도 2는 태풍후 평온시 심해 반잠수식 가두리 양식장의 단면도
도 3은 평온시 적정수온이 유지되는 수심에 상승된 심해 반잠수식 가두리 양식장의 단면도
도 4는 복수개의 가두리틀 양식장의 단면도
도 5는 쌍원추형 가두리틀의 사시도
도 6은 다중원주형 가두리틀의 사시도
도 7은 단주형 가두리틀의 사시도

Claims (5)

  1. 갑판(10), 원형중공칼럼(20), 후팅(30)으로 구성된 부체에 있어서, 원형중공칼럼(20)의 해상높이를 당해수역의 최고의 파고보다 높게(남해상에서는 8∼12m) 하며, 해수중 길이는 당해 수역의 파장의 1/2 길이 보다 깊은 수심까지로 하는 길이의 원형중공칼럼(20)에, 상단에는 갑판(10)을 설치하고, 갑판(10)위에는 기계실(11), 창고(12), 휴식실(13)이 구비되고, 중단에는 가두리틀(40)을 장치하여, 이를 갑판에 설치한 윈치로 케이블(43)을 끌어 올리거나 내리게 하며, 하단에는 후팅(30)을 결착하고, 그 밑에 앵카(50)을 장치하여 해저에 고정 시켜, 반영구적으로 냉수족 어류를 양식하는 심해 반잠수식 가두리 양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원형중공칼럼(20)의 일부와 후팅(30)을 밸러스트 탱크로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해 반잠수식 가두리 양식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원형중공칼럼(20)을 1개 이상 복수개로 입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해 반잠수식 가두리 양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가두리틀(40)의 모양과 형상은 쌍원추형이나, 다중원주형, 또는 각형등 임의의 모양과 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심해 반잠수식 가두리 양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후팅(30)의 구조는 밀폐구조 이거나, 또는 밑면이 개방된 개방구조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해 반잠수식 가두리 양식 장치.
KR1020070135030A 2007-12-21 2007-12-21 심해 반잠수식 가두리 양식장치 KR100963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5030A KR100963763B1 (ko) 2007-12-21 2007-12-21 심해 반잠수식 가두리 양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5030A KR100963763B1 (ko) 2007-12-21 2007-12-21 심해 반잠수식 가두리 양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7387A true KR20090067387A (ko) 2009-06-25
KR100963763B1 KR100963763B1 (ko) 2010-06-14

Family

ID=40995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5030A KR100963763B1 (ko) 2007-12-21 2007-12-21 심해 반잠수식 가두리 양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376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97306A (zh) * 2010-07-16 2010-12-01 中国海洋大学 一种近海围网养殖装置
WO2013168147A1 (en) * 2012-05-08 2013-11-14 Sea Control Holdings Ltd. Offshore aquaculture system
CN109819919A (zh) * 2019-03-27 2019-05-31 天津海太科技有限公司 抗台风、躲赤潮的半潜式离岸深水鲍鱼养殖平台
KR20190082228A (ko) * 2016-10-18 2019-07-09 씨 컨트롤 홀딩스 엘티디. 외해 수산양식 시스템
CN114375886A (zh) * 2022-02-15 2022-04-22 山东省渔业发展和资源养护总站 海洋生态养殖用多功能组合网箱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7813A (en) * 1995-03-31 1997-04-08 Ocean Spar Technologies, Llc Anchorable mobile spar and ring fish pen
KR100643777B1 (ko) * 2004-11-16 2006-11-10 고경화 수중 가두리 시설
KR100643779B1 (ko) * 2004-11-24 2006-11-10 고경화 패류용 가두리 시설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97306A (zh) * 2010-07-16 2010-12-01 中国海洋大学 一种近海围网养殖装置
WO2013168147A1 (en) * 2012-05-08 2013-11-14 Sea Control Holdings Ltd. Offshore aquaculture system
US9980469B2 (en) 2012-05-08 2018-05-29 Sea Control Holdings Ltd. Offshore aquaculture system
KR20190082228A (ko) * 2016-10-18 2019-07-09 씨 컨트롤 홀딩스 엘티디. 외해 수산양식 시스템
CN110072386A (zh) * 2016-10-18 2019-07-30 海洋管理控股有限公司 远海水产养殖系统
CN110072386B (zh) * 2016-10-18 2022-07-05 海洋管理控股有限公司 远海水产养殖系统
US11839201B2 (en) 2016-10-18 2023-12-12 Sea Control Holdings Ltd. Open-sea aquaculture system
CN109819919A (zh) * 2019-03-27 2019-05-31 天津海太科技有限公司 抗台风、躲赤潮的半潜式离岸深水鲍鱼养殖平台
CN114375886A (zh) * 2022-02-15 2022-04-22 山东省渔业发展和资源养护总站 海洋生态养殖用多功能组合网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3763B1 (ko) 2010-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6074B2 (en) Method for realising a submerged floating foundation with blocked vertical thrust for the coordinated production of mariculture and electrical energy using wind in open sea conditions and submergeable floating foundation for carrying loads to be used in said method
CN1243468C (zh) 可控制地下沉并再浮起的深水养鱼系统及其使用方法
EP2604501B1 (en) System of anchoring and mooring of floating wind turbine towers and corresponding methods for towing and erecting thereof
KR100925403B1 (ko) 부침식 수중 가두리 장치
US5412903A (en) Sea cage fish farming system
US10716296B2 (en) Floating offshore wind turbine integrated with steel fish farming cage
JP7590012B2 (ja) 浮体式洋上風力タービンプラットフォームを組み立てて配備する方法
JP2004113003A (ja) 生け簀装置及び生け簀養殖方法
CN108739575A (zh) 一种塔架式可升降养鱼网箱系统
CN111372843B (zh) 浮标及浮标的安装方法
CN113163736A (zh) 离岸养殖系统
KR101006982B1 (ko) 진자형 가두리 양식 시설물
CN102960277A (zh) 一种升降式抗风浪深水网箱
KR20090067387A (ko) 심해 반잠수식 가두리 양식방법 및 그 장치
CN113854214A (zh) 一种基于半潜式海上风电基础的海洋养殖网箱结构
NO344724B1 (en) An aquatic system
KR101497812B1 (ko) 부유식 발전설비의 해안 정박장치
CN104351103A (zh) 大型浅海围网养殖装置
KR102188713B1 (ko) 가변 부양조절이 가능한 개량형 가두리 구조
KR20140145698A (ko) 태풍에도 안전한 심해 부유 기초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해양 구조물
KR20120126218A (ko) 고정식 심해 가두리 시설
CN107801627B (zh) 外侧岛礁海域浅水区紫菜养殖方法
CN209889067U (zh) 张力腿式海上风力发电系统
JP2007135429A (ja) 水中植生工法及び水中植生施設
US20130074758A1 (en) Anchoring apparatus for wave energy conver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0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6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6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