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65766A - 모바일 단말기 및 모바일 단말기의 잠금 상태 해제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 및 모바일 단말기의 잠금 상태 해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5766A
KR20090065766A KR1020070133246A KR20070133246A KR20090065766A KR 20090065766 A KR20090065766 A KR 20090065766A KR 1020070133246 A KR1020070133246 A KR 1020070133246A KR 20070133246 A KR20070133246 A KR 20070133246A KR 20090065766 A KR20090065766 A KR 20090065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mage
touch screen
touch
passwor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3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5070B1 (ko
Inventor
전태연
문정훈
이현정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1020070133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5070B1/ko
Publication of KR20090065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5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5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507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터치 스크린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 및 모바일 단말기의 잠금 상태 해제 방법이 제공된다.
잠금 해제 기능을 구비한 터치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는 암호 정보를 생성하는 암호 정보 생성부, 상기 암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할 암호 이미지를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인식하는 입력 인식부 및 상기 인식된 터치 동작이 상기 암호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암호 정보는 상기 암호 이미지의 위치 정보와 상기 암호 이미지의 터치 순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암호 이미지는 2개 이상이다.
터치 스크린, 잠금 상태 해제, 암호 정보, 암호 이미지, 터치 동작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 및 모바일 단말기의 잠금 상태 해제 방법{MOBILE TERMINAL AND UNLOCKING METHOD OF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 및 모바일 단말기의 잠금 상태 해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에서 잠금 상태 해제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은 사람의 손가락 또는 터치 펜 등을 이용하여 컴퓨터 등에 다양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장치이다.
최근에는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게임기, MP3 플레이어 등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터치 스크린을 일반적인 입력 수단으로서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는 사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터치로 인한 모바일 단말기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 잠금 기능을 구현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터치 스크린의 잠금 상태를 해제해야 한다.
기존에는 터치 스크린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 모바일 단말기에 별도 로 구비되어 있는 키 버튼 조작하여 터치 스크린의 잠금 상태를 해제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런 불편함을 극복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입력 영역을 표시하여, 간편하게 입력 영역을 터치함으로써 터치 스크린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가 소개되었다.
하지만, 상술한 모바일 단말기에는 입력 영역이 터치 스크린 상에 단순하게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터치로 인해 터치 스크린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모바일 단말기가 오작동할 수 있는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었다.
또한, 잠금 해제 방법에 있어서, 디자인적인 요소를 전혀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디자인 감각이 중요시되는 모바일 단말기 분야에서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분히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터치 스크린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 및 모바일 단말기의 잠금 상태 해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사용자의 심미적 욕구와 오락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 및 모바일 단말기의 잠금 상태 해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잠금 해제 기능을 구비한 터치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는 암호 정보를 생성하는 암호 정보 생성부, 상기 암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할 암호 이미지를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인식하는 입력 인식부 및 상기 인식된 터치 동작이 상기 암호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암호 정보는 상기 암호 이미지의 위치 정보와 상기 암호 이미지의 터치 순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암호 이미지는 2개 이상이다.
여기서, 암호 이미지의 터치 순서 정보는 숫자 또는 문자를 이용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암호 이미지의 위치 정보는 시간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의 잠금 해제 방법은 암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암호 정보를 이용한 암호 이미지를 생성하여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 암호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인식하는 단계 및 인식된 터치 동작이 암호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터치 스크린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암호 정보는 암호 이미지의 위치 정보와 암호 이미지의 터치 순서 정보를 포함하고, 암호 이미지는 2개 이상이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2개 이상의 암호 이미지를 터치 순서에 따라 터치함으로써,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터치 스크린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 및 모바일 단말기의 잠금 해제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여 터치 스크린의 잠금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사용자의 심미적 욕구와 오락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 및 모바일 단말기의 잠금 상태 해제 방법이 제공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는 암호 정보 생성부(100), 영상 처리부(200), 디스플레이부(300), 입력 인식부(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일반적인 상황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에 대한 입력이 잠금 상태로 동작하고 있다.
암호 정보 생성부(100)는 터치 스크린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터치 스크린에 대한 입력 상태를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에, 임의의 암호 정보를 생성하여 영상 처리부(200)로 전달한다. 암호 정보는 터치 스크린에 표시할 암호 이미지의 종류, 암호 이미지의 위치 정보와 암호 이미지의 순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암호 정보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영상 처리부(200)는 암호 정보 생성부(100)에서 생성한 암호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할 복수의 암호 이미지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300)는 영상 처리부(200)에서 생성한 암호 이미지를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즉, 디스플레이부(300)는 암호 이미지의 위치 정보와 암호 이미지의 순서 정보 등에 따라 영상 처리부(200)에 의해 생성된 암호 이미지를 표시한다.
입력 인식부(400)는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암호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인식하여 제어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입력 인식부(400)는 터치스크린에 대해 사용자의 터치 동작이 있을 경우, 그 터치 동작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위치 정보 등을 생성하여 제어부(500)로 전달한다.
제어부(500)는 입력 인식부(400)에서 인식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이 암호 정보 생성부(100)에서 생성한 암호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일치한다고 판단될 경우, 터치 스크린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호 정보와 암호 이미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호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암호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암호 이미지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터치 스크린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호 정보 생성부(10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정보 및 터치 순서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암호 정보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암호 정보는 2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 1 암호 이미지는 (1, 1)의 좌표 정보 및 ’1’의 터치 순서 정보를 가지고 있고, 제 2 암호 이미지는 (4, 3)의 좌표 정보 및 ‘2’의 터치 순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제 3 암호 이미지는 (2, 4)의 좌표 정보 및 ‘3’의 터치 순서 정보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암호 정보가 암호 정보 생성부(100)에 의해 생성된 경우에, 영상 처리부(20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암호 이미지를 생성하고, 제어부(500)는 이를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해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암호 이미지(A)는 (1, 1)의 좌표 정보와 대응하는 위치에, 터치 순서 정보가 첫번째라는 것을 의미하는 ‘1’이라는 숫자와 함께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 2 암호 이미지(B)는 (4, 3)의 좌표 정보와 대응하는 위치에, 터치 순서 정보가 두번째라는 것을 의미하는 ‘2’이라는 숫자와 함께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 3 암호 이미지(C)는 (2, 4)의 좌표 정보와 대응하는 위치에, 터치 순서 정보가 세번째라는 것을 의미하는 ‘3’이라는 숫자와 함께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되어 있는 제 1 암호 이미지(A), 제 2 암호 이미지(B) 및 제 3 암호 이미지(C)를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순서대로 터치함으로써, 터치 스크린의 잠금 상 태를 해제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상의 암호 이미지를 순서대로 터치할 경우, 입력 인식부(400)는 사용자의 터치 위치 정보 및 터치 순서 정보를 인식하여 제어부(500)로 전달하고, 제어부(500)는 입력 인식부(400)로부터 수신한 터치 위치 정보와 터치 순서 정보가 암호 정보 생성부(100)에서 생성한 암호 정보의 위치 정보 및 터치 순서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입력 인식부(400)에 의해 인식된 터치 위치 정보 및 터치 순서 정보가 암호 정보 생성부(100)에서 생성한 암호 정보의 좌표 정보 및 터치 순서 정보와 모두 일치하는 경우에, 제어부(500)는 터치 스크린의 잠금 상태를 해제한다.
지금까지는, 암호 이미지가 3개인 것을 기준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암호 이미지가 2개 이상인 것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또한, 입력 인식부(400)가 제어부(500)로 터치 위치 정보와 함께 터치 순서 정보를 전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입력 인식부(400)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이 수행될 때마다, 제어부(500)로 터치 위치 정보만을 전달하고, 터치 위치 정보를 수신한 제어부(500)가 수신한 순서대로 암호 정보에 포함된 터치 순서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호 정보의 좌표 정보는 고정되 어 있는데 반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호 정보의 좌표 정보는 시간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다.
암호 정보의 좌표 정보, 즉 위치 정보가 시간에 따라 가변적인 경우에, 이에 해당하는 암호 이미지는 터치 스크린 화면 위를 움직이는 애니메이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 화면 위를 움직이는 애니메이션 형태의 암호 이미지를 터치 순서 정보에 맞게 터치하면, 잠금 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암호 이미지의 터치 순서는 정해져 있지만 그 위치는 움직이는 경우에, 사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터치로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보다 안전하게 막을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오락적 욕구와 심미적 욕구를 한층 더 충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각각이 가진 터치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암호 이미지에 숫자 대신에, a, b, c 또는 가, 나, 다 등의 문자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잠금 상태 해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우선, 도 1, 2b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의 잠금 상태 해제가 필요한 경우에 암호 정보 생성부(100)는 암호 정보를 생성하여 영상 처리부(200)로 전달한다(S110).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암호 정보는 암호 이미지의 위치 정보 및 터치 순서 정보 등을 포함하며, 2개 이상이다. 또한, 암호 정보의 위치 정보는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시간에 따라 가변적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영상 처리부(200)는 암호 정보 생성부(100)에서 생성한 암호 정보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할 암호 이미지를 생성한다(S120). 암호 이미지는 암호 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터치 스크린 상의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된다. 암호 이미지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애니메이션 형태로 움직일 수도 있다.
또한, 암호 정보에 포함된 터치 순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터치 순서를 인식할 수 있도록 암호 이미지에는 숫자, 문자 등이 표시된다.
입력 인식부(400)는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동작을 인식하여 터치 정보를 제어부(500)로 전달한다(S130).
다음, 제어부(500)는 입력 인식부(400)로부터 전달된 터치 정보와 암호 정보 생성부(100)에서 생성한 암호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40). 터치 정보가 암호 정보와 일치할 경우, 터치 스크린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S150).
즉, 예를 들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암호 이미지(A), 제 2 암호 이미지(B) 및 제 3 암호 이미지(C)가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자가 암호 이미지에 표시된 숫자의 순서에 따라 제 1 암호 이미지(A), 제 2 암호 이미지(B) 및 제 3 암호 이미지(C)를 순서대로 터치하면 터치 스크린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고 터치 스크린에 대한 입력이 활성화 된다.
터치 스크린에 대한 입력이 활성화될 시,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된 제 1 암호 이미지(A), 제 2 암호 이미지(B) 및 제 3 암호 이미지(C)는 터치 스크린 상에서 사라지고 터치 스크린 상에는 모바일 단말기의 전용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반면, 제어부(500)로 전달된 터치 정보가 암호 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터치 스크린의 잠금 상태는 유지되며 터치 스크린 상에는 제 1 암호 이미지(A), 제 2 암호 이미지(B) 및 제 3 암호 이미지(C)가 지속적으로 표시되거나, 또 다른 암호 이미지가 표시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의 잠금 상태 해제 방법은 복수의 암호 이미지가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되고, 이를 순서대로 터치해야 하기 때문에 간편하고 안전하게 모바일 단말기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암호 이미지가 터치 스크린 상에 복수 개로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터치 동작으로는 터치 스크린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지 않는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별도의 키버튼을 이용하지 않고, 터치 스크린을 통해 터치 스크린의 잠금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의 전체적인 디자인성을 향상시켜 사용자의 심미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된 복수 개의 암호 이미지를 순서에 따라 터치하여 터치 스크린의 잠금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사용자의 오락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된 복수 개의 암호 이미지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애니메이션 형태로 움직임으로 인해, 보다 안전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오락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의 잠금 상태 해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호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암호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암호 이미지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잠금 상태 해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암호 코드 생성부 200 : 영상 처리부
300 : 디스플레이부 400 : 입력 인식부
500 : 제어부

Claims (6)

  1. 잠금 해제 기능을 구비한 터치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에 있어서,
    암호 정보를 생성하는 암호 정보 생성부,
    상기 암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할 암호 이미지를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인식하는 입력 인식부 및
    상기 인식된 터치 동작이 상기 암호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암호 정보는 상기 암호 이미지의 위치 정보와 상기 암호 이미지의 터치 순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암호 이미지는 2개 이상인 것인 모바일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 이미지의 터치 순서 정보는 숫자를 이용해 표시하는 것인 모바일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 이미지의 터치 순서 정보는 문자를 이용해 표시하는 것인 모바일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 이미지의 위치 정보는 시간에 따라 가변적인 것인 모바일 단말기.
  5.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의 잠금 해제 방법에 있어서,
    a) 암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암호 정보를 이용하여 암호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
    c) 상기 암호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인식하는 단계 및
    d) 상기 인식된 터치 동작이 상기 암호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암호 정보는 상기 암호 이미지의 위치 정보와 상기 암호 이미지의 터치 순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암호 이미지는 2개 이상인 것인 모바일 단말기의 잠금 상태 해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 이미지의 위치 정보는 시간에 따라 가변적인 것인 모바일 단말기의 잠금 상태 해제 방법.
KR1020070133246A 2007-12-18 2007-12-18 모바일 단말기 및 모바일 단말기의 잠금 상태 해제 방법 Active KR101445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246A KR101445070B1 (ko) 2007-12-18 2007-12-18 모바일 단말기 및 모바일 단말기의 잠금 상태 해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246A KR101445070B1 (ko) 2007-12-18 2007-12-18 모바일 단말기 및 모바일 단말기의 잠금 상태 해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5766A true KR20090065766A (ko) 2009-06-23
KR101445070B1 KR101445070B1 (ko) 2014-10-01

Family

ID=40993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3246A Active KR101445070B1 (ko) 2007-12-18 2007-12-18 모바일 단말기 및 모바일 단말기의 잠금 상태 해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5070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356B1 (ko) * 2011-04-28 2013-04-23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그래픽 패스워드 인증 방법 및 장치
US8925072B2 (en) 2012-02-01 2014-12-30 University Of Seoul Industry Cooperation Foundation Unlocking schemes
KR101503150B1 (ko) * 2013-08-22 2015-03-17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이용한 보안 인증 방법 및 시스템
WO2015122716A1 (en) * 2014-02-14 2015-08-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authenticating user,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N105278854A (zh) * 2014-12-16 2016-01-2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的解锁方法和移动终端
US9477831B2 (en) 2012-07-06 2016-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leasing lock using element combining color and symbol
US9588609B2 (en) 2009-07-21 2017-03-0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US10379735B2 (en) 2010-11-24 2019-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of utilizing background image of portable terminal
US10510097B2 (en) 2011-10-19 2019-12-17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KR20200098171A (ko) 2019-02-12 2020-08-20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노출방지 잠금장치 및 잠금장치 암호의 해제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453B1 (ko) 2015-02-13 2016-06-1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암호 유출 방지를 위한 모바일 기기의 잠금 장치 및 그 잠금 해제 방법
KR101968677B1 (ko) 2017-09-05 2019-04-12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인증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20190095692A (ko) 2018-02-07 2019-08-16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키스트로크 다이나믹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2014214B1 (ko) 2018-05-09 2019-10-21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인증 적합 판별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20021655L (fi) 2002-06-19 2003-12-20 Nokia Corp Menetelmä lukituksen avaamiseksi ja kannettava elektroninen laite
KR100546220B1 (ko) * 2004-02-10 2006-01-26 박세진 이동 단말기의 매크로 기능을 이용한 스크립트 등록 및실행 시스템 및 방법
JP4813943B2 (ja) 2006-03-28 2011-11-09 株式会社野村総合研究所 認証システム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88609B2 (en) 2009-07-21 2017-03-0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US10379735B2 (en) 2010-11-24 2019-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of utilizing background image of portable terminal
KR101257356B1 (ko) * 2011-04-28 2013-04-23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그래픽 패스워드 인증 방법 및 장치
US10510097B2 (en) 2011-10-19 2019-12-17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US10896442B2 (en) 2011-10-19 2021-01-19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US11551263B2 (en) 2011-10-19 2023-01-10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US12159299B2 (en) 2011-10-19 2024-12-03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US8925072B2 (en) 2012-02-01 2014-12-30 University Of Seoul Industry Cooperation Foundation Unlocking schemes
US9477831B2 (en) 2012-07-06 2016-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leasing lock using element combining color and symbol
KR101503150B1 (ko) * 2013-08-22 2015-03-17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이용한 보안 인증 방법 및 시스템
WO2015122716A1 (en) * 2014-02-14 2015-08-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authenticating user,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10127372B2 (en) 2014-02-14 2018-1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authenticating user,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10963555B2 (en) 2014-02-14 2021-03-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authenticating user,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N105278854A (zh) * 2014-12-16 2016-01-2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的解锁方法和移动终端
KR20200098171A (ko) 2019-02-12 2020-08-20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노출방지 잠금장치 및 잠금장치 암호의 해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5070B1 (ko) 2014-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65766A (ko) 모바일 단말기 및 모바일 단말기의 잠금 상태 해제 방법
US8638939B1 (en) User authentication on an electronic device
CN101604216B (zh) 密码保护方法
KR102299261B1 (ko) 어플리케이션의 잠금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KR101228088B1 (ko)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 및 방법
US9280276B2 (en)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100031200A1 (en) Method of inputting a hand-drawn pattern password
US9430634B1 (en) Authentication using gesture passwords
US20070177777A1 (en) Removable storage device and authentication method
US89596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posing an authentication password associated with an electronic device
JP6314834B2 (ja) 情報端末装置、情報端末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243779B1 (ko)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잠금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20080195976A1 (en) Method of setting password and method of authenticating password in portable device having small number of operation buttons
US20140013419A1 (en) Electronic device for multiple users and login method thereof
CN102915199B (zh) 具有触控功能的电子装置执行程序的方法
EP292783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won et al. Drag-and-Type: A new method for typing with virtual keyboards on small touchscreens
CN103514388B (zh) 图形密码轨迹设定系统
KR100880862B1 (ko) 전자 장치로의 사용자 입력 보안 방법
JP5651742B1 (ja) パスワードの入力方法、入力端末、及び入力システム
KR20100095346A (ko) 가상키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
KR101435487B1 (ko)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의 숨김 페이지 사용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TWI462004B (zh) 一種具觸控功能的電子裝置執行程式的方法
CN101882188B (zh) 增强电子签名工具数据输入安全性的方法及装置
KR20220061930A (ko) 지문인식을 이용한 암호화모듈 및 이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12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12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3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9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9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