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62653A - Axial swing door handle - Google Patents

Axial swing door hand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2653A
KR20090062653A KR1020070130025A KR20070130025A KR20090062653A KR 20090062653 A KR20090062653 A KR 20090062653A KR 1020070130025 A KR1020070130025 A KR 1020070130025A KR 20070130025 A KR20070130025 A KR 20070130025A KR 20090062653 A KR20090062653 A KR 20090062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door
housing
pivot
guide groo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00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영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0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2653A/en
Publication of KR20090062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2653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6Mounting of handles, e.g. to the wing or to the loc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4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 E05B85/18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a longitudinal grip part being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grip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핸들에 대해 도어래치의 해제를 축선회 방향으로 설정하고 도어의 개방방향을 당김방향으로 설정함으로써, 도어 핸들장치의 구성을 단순화시킴과 더불어 측면 충돌시 도어에 작용하는 역방향 관성력에 의해 도어래치의 원치 않는 해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sets the release of the door latch with respect to the door handle in the axial rotation direction and sets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door in the pulling direction, thereby simplifying the construction of the door handle device and by the reverse inertia force acting on the door during side collision. The purpose is to prevent unwanted release of the door latch.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에 설치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선회축(X)에 대해 축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도어래치의 해제를 위한 레버(22)를 갖추며, 상기 하우징(10)의 가이드 홈(12)에 안착되어 상기 핸들(20)의 축선회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면(26)을 갖춘 핸들(20) 및;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핸들(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핸들(20)에 축선회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3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d the housing 10 installed in the door; It is installed to pivot about the pivot axis (X) of the housing 10, has a lever 22 for releasing the door latch, seated in the guide groove (12) of the housing 10 and the handle ( A handle 20 with a guide face 26 for guiding the pivot of 2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between the housing 10 and the handle 20 is provided with a return spring 30 for providing a restoring force to the handle 20 in the axial direction.

Description

축선회 조작방식의 도어 핸들장치{door handle with rotational operation mechanism}Door handle with rotational operation mechanism

본 발명은 축선회 조작방식의 도어 핸들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핸들을 축선회 방향으로 회전시켜 도어래치를 해제하고 핸들을 당겨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축선회 조작방식의 도어 핸들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handle device of the pivot turn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rotate the handle in the axial pivot direction to release the door latch and pull the handle to open the door handle device. It is about.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 핸들에 있어 그립(Grip) 타입의 도어 핸들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에 설치된 하우징(1)에 대해 핸들(3)이 당김방향으로 조작되도록 설치되어 있어, 상기 핸들(3)의 당김에 따라 래치로드를 하강시켜 도어래치를 해제시키기 위한 레버(5)를 갖춘 구조로 이루어진다.In general, a grip type door handle device in a door handle of an automobile is installed such that the handle 3 is operated in a pull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 installed in the door. As the handle 3 is pulled, the latch rod is lowered to release the door latch.

즉, 상기 하우징(1)에 대해 상기 핸들(3)을 일정 스트로크 만큼 잡아당겨 도어래치의 해제를 실시하고, 상기 핸들(3)을 일정 스트로크 만큼 더 당겨 도어 전체를 차체로부터 선회시켜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door 3 can be released by pulling the handle 3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 by a predetermined stroke, and the handle 3 can be pulled further by a predetermined stroke to pivot the entire door away from the vehicle body to open it. do.

상기와 같은 구조의 도어 핸들장치에서는 상기 하우징(1)에 대한 상기 핸 들(3)의 조작방향에 있어, 도어래치를 해제시키는 방향과 도어를 개방시키는 방향이 모두 당김방향으로 일치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In the door handle device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n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handle 3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 both the direction of releasing the door latch and the direction of opening the door coincide in the pulling direction. have.

이에 따라, 상기 핸들(3)의 조작시 레버(5)를 통해 도어래치에 해제방향으로 작동력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상기 핸들(3)을 당기는 수평방향으로 운동력이 상기 레버(5)를 하강시키기 위한 상하방향으로 전환되어야 하므로, 조작력의 전달경로에 있어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는 별도의 부품이 요구되고, 이로 인해 도어 핸들장치의 구성을 복잡하게 하는 단점이 있었다.Accordingly, in order to transmit the actuation force to the door latch through the lever 5 in the release direction during the operation of the handle 3, the kinetic for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pull the handle 3 to lower the lever 5. Since it has to be switch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eparate part capable of switching the direction is required in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operating force, which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door handle device is complicated.

또한, 종래 그립 타입의 도어 핸들장치에서는 상기 핸들(3)을 당김조작시 별도의 부품을 통해 상기 레버(5)를 거쳐 도어래치에 조작력이 전달되므로, 각 부품들의 조립 산포에 따라 조작력이 정확하게 전달되지 않을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정확한 조작력의 전달을 위해 각 부품들에 대한 조립 공차를 매우 정밀하게 관리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grip type door handle device, since the operat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door latch through the lever 5 through a separate component when the handle 3 is pulled, the operating force is accurately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assembly distribution of each component. Not only is there a fear that the assembly tolerance for each part must be managed very precisely in order to transmit the correct operating force.

아울러, 종래 그립 타입의 도어 핸들장치에서는 측면 충돌시 도어에 역방향으로 관성력이 발생될 때 핸들(3)의 동작에 따라 도어래치의 원치 않는 해제가 수반될 수 있는 우려가 있었고, 이는 충돌 사고후 도어의 개방으로 인해 2차 사고의 발생 위험도 초래할 수 있는 문제로 귀결된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grip type door handle device, when an inertial force is gener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oor during side impact, there is a concern that an unwanted release of the door latch may be accompanied by the operation of the handle 3, which is a door after a collision accident. The opening up of the problem leads to a problem that could lead to the risk of a second accident.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안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도어 핸들에 대해 도어래치의 해제를 축선회 방향으로 설정하고 도어의 개방방향을 당김방향으로 설정함으로써, 도어 핸들장치의 구성을 단순화시킴과 더불어 측면 충돌시 도어에 작용하는 역방향 관성력에 의해 도어래치의 원치 않는 해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by setting the release of the door latch with respect to the door handle in the axial rotation direction and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door in the pulling direction,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oor handle device In addition to thi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unwanted release of the door latch by a reverse inertia force acting on the door during side impact.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에 설치된 하우징과;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d a housing installed in the door;

상기 하우징의 선회축에 대해 축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도어래치의 해제를 위한 레버를 갖춘 핸들 및; A handle pivotally mounted about the pivot axis of the housing, the handle having a lever for releasing the door latch;

상기 하우징과 상기 핸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핸들에 축선회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을 구비한다.And a return spring provid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handle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the handle in the axial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축선회 조작방식의 도어 핸들장치에 의하면, 도어 핸들에 대해 도어래치의 해제가 축선회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도어의 개방이 당김방향으로 설정됨으로써, 도어 핸들로부터 도어래치에 이르는 조작력의 전달경로에 대한 구성부품이 단순화될 수 있게 되므로, 도어 핸들장치의 조립시 품질의 산포를 줄일 수 있음과 더불어 도어 핸들장치의 구성에 있어 경제성을 추구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door handle device of the pivot tur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ease of the door latch to the door handle is made in the axial rotation direction and the opening of the door is set in the pulling direction, thereby transmitting the operating force from the door handle to the door latch. Since the components on the path can be simplifi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istribution of quality when assembling the door handle device and to pursue economics in the construction of the door handle device.

또한, 도어래치의 해제방향이 축선회 방향으로 설정됨에 따라 측면 충돌시 도어에 작용하는 역방향 관성력에 의해 도어래치의 원치 않는 해제를 제한할 수 있 어, 충돌후 도어의 개방에 따른 2차 사고의 위험을 배제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release direction of the door latch is set in the axial rotation direction, it is possible to limit the unwanted release of the door latch by the reverse inertia force acting on the door in the case of side collision. Risk can be eliminat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축선회 조작방식의 도어 핸들장치는 도어의 외부에 설치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에 대해 축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도어래치(도시안됨)의 해제를 위해 조작력을 전달하는 레버(22)를 갖춘 핸들(20) 및,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핸들(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핸들(20)에 축선회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30)을 구비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door handle device of the pivot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using 10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door, and pivotal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0 and the door latch (not shown) A handle 20 having a lever 22 for transmitting an operating force for release of the handle and a return provided between the housing 10 and the handle 20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the handle 20 in an axial rotational direction. A spring 30 is provided.

상기 하우징(10)은 도어의 외부에서 상기 핸들(20)의 양단부를 축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바,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핸들(20)은 상기 하우징(10)에 대해 선회축(X)을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축선회되어 도어래치를 해제시키고 상기 리턴 스프링(30)의 복원력에 의해 역방향으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된다.The housing 10 is installed to pivotally support both ends of the handle 20 from the outside of the door. More specifically, the handle 20 is pivotal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0. It is pivoted in one direction about to release the door latch and configured t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in the reverse direc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return spring (30).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핸들(20)의 축선회 방향으로의 지지를 위해 원호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가이드 홈(12)을 구비하고, 상기 핸들(20)은 상기 가이드 홈(12)에 안착되어 축선회 지지되도록 돌출되게 형성된 힌지부(24)를 일체로 구비한다.The housing 10 has a guide groove 12 recessed in an arc shape for supporting the handle 20 in the axial rotational direction, and the handle 20 is seated in the guide groove 12. The hinge part 24 which protrudes so that it may be pivotally supported may be integrally provided.

상기 가이드 홈(12)의 일단에는 상기 리턴 스프링(30)의 설치를 위해 원호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 공간부(14)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12)의 타단에는 상기 핸들(20)의 역방향으로의 축선회를 제한하는 걸림턱(1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홈(12)에는 상기 수용 공간부(14)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리턴 스프링(30)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돌기부(12a)가 일체로 형성된다.One end of the guide groove 12 is formed with a receiving space portion 14 is formed in a concave arcuate shap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return spring 30, the other end of the guide groove 12 of the handle 20 A locking step 16 is formed to limit the axial rotation in the reverse direction. In addition, the guide groove 12 is integrally formed with a protrusion 12a protruding toward the accommodation space 14 to support one end of the return spring 30.

상기 힌지부(24)의 배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12)에 면착되는 원호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가이드 면(26)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면(26)의 일단부에는 상기 리턴 스프링(30)의 타단부를 가압하도록 단차진 형태의 지지턱(28)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면(26)의 타단부에는 상기 힌지부(24)의 역방향 축선회를 제한하도록 상기 걸림턱(16)과 맞닿도록 단차진 형태의 대응 걸림턱(29)이 일체로 형성된다.The rear surface of the hinge portion 24 is provided with a guide surface 26 formed convexly convex in contact with the guide groove 12, one end of the guide surface 26 of the return spring 30 A support step 28 having a stepped shape is integrally formed to press the other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guide face 26 has the locking step 16 so as to limit the reverse axial rotation of the hinge part 24. The corresponding locking step 29 of the stepped form is integrally formed to abut.

상기 하우징(10)에는 상기 핸들(2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상기 레버(22)의 수용을 위한 개구부(10a)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22)는 상기 개구부(10a)를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배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도어래치와 연결되는 래치로드(23)의 일단부와 결합되는 데, 이를 위해 상기 레버(22)의 일단부에는 상기 래치로드(23)의 설치를 위해 설치구멍(22a)이 형성된다.The housing 10 is formed with an opening 10a for accommodating the lever 22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handle 20, and the lever 22 is connected to the housing (10) through the opening 10a. It is installed to protrude toward the back of the 10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latch rod 23 is connected to the door latch, for this purpose is installed for the installation of the latch rod 23 on one end of the lever 22 The hole 22a is formed.

상기 하우징(10)의 개구부(10a)에는 커버(40)가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상기 핸들(20)의 이탈을 억제시키도록 되어 있는 바, 상기 커버(40)는 배면에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된 원호 형상의 조립홈(18)에 결합되는 끼움돌기(42)를 일체로 형성한다.The cover 40 is coupled to the opening 10a of the housing 10 to suppress the detachment of the handle 20 from the housing 10. The cover 40 has a rear surface of the housing ( The fitting protrusion 42 coupled to the arc-shaped assembly groove 18 formed in 10) is integrally formed.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축선회 조작방식의 도어 핸들장치는 상기 하우징(10)에 대해 상기 핸들(20)이 선회축(X)을 중심으로 축선회하게 되면, 상기 레버(22)의 자유단부가 하강하게 되면서 상기 래치로드(23)를 아래로 밀게 되 고, 상기 래치로드(23)의 하향이동에 의해 도어래치는 해제된다.Therefore, the door handle device of the axial swing oper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handle 20 pivots about the pivot axis X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0, As the free end is lowered, the latch rod 23 is pushed downward, and the door latch is released by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latch rod 23.

이때, 상기 핸들(20)의 힌지부(24)가 선회축(X)을 중심으로 축선회할 때, 상기 리턴 스프링(30)은 상기 수용 공간부(14)내에서 압축되고, 상기 힌지부(24)가 선회축(X)을 중심으로 반대방향으로 축선회할 때에는 상기 가이드 홈(12)의 일단부에 형성된 걸림턱(16)과 상기 힌지부(24)의 배면측 일단부에 형성된 대응 걸림턱(29)이 각각 맞닿게 되면서 축선회를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상기 핸들(20)은 선회축(X)을 중심으로 항상 일방향으로만 축선회가 가능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hinge portion 24 of the handle 20 pivots about the pivot axis X, the return spring 30 is compres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4 and the hinge portion ( When the shaft 24 pivots in the opposite direction about the pivot axis X, the corresponding locking portion 16 formed at one end of the guide groove 12 and one end portion at the rear side of the hinge portion 24 are formed. As the jaws 29 abut each, it is possible to limit the pivot. As a result, the handle 20 is always pivotable in only one direction about the pivot axis (X).

이어 상기 핸들(20)에 가해졌던 축선회 방향의 작용력이 해제되면, 상기 수용 공간부(14)내에서 수축된 상태의 상기 리턴 스프링(30)이 복원하면서 상기 핸들(20)의 힌지부(24)는 역방향으로 축선회되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데, 이러한 동작은 상기 걸림턱(16)에 상기 대응 걸림턱(29)이 맞닿을 때까지 이루어지게 된다.Subsequently, when the axial rotational force applied to the handle 20 is released, the hinge spring 24 of the handle 20 is restored while the return spring 30 is retrac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4. ) Is pivoted in the reverse direction t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This operation is performed until the corresponding engaging jaw 29 abuts on the engaging jaw 16.

이후, 상기 핸들(20)을 당기게 되면, 도어는 도어힌지를 중심으로 선회하면서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Then, when the handle 20 is pulled, the door is opened while turning around the door hinge.

상기와 같은 일련의 동작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12)은 상기 힌지부(24)의 가이드 면(26)과 지속적으로 접촉되면서 상기 핸들(20)이 선회축(X)을 중심으로 안정된 방향으로 축선회될 수 있게 가이드할 수 있게 된다.In the series of operations as described above, the guide groove 12 is in constant contact with the guide surface 26 of the hinge portion 24, the handle 20 in a stable direction about the pivot axis (X). It can be guided to be pivo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선회 조작방식의 도어 핸들장치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handle device of the pivot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레버의 상세도.4 is a detailed view of the lever shown in FIG.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도어 핸들장치의 후방 사시도.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handle device shown in FIG.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도어 핸들장치에 있어 축선회 조작시 레버와 래치로드 사이의 연동관계를 도시한 도면.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n interlocking relationship between a lever and a latch rod in the pivoting operation in the door handle device shown in FIG.

도 7은 종래 그립 타입의 도어 핸들장치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grip type door handle device.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하우징 12-가이드 홈10-housing 12-guide groove

14-수용 공간부 16-걸림턱14-accommodating space 16-jaw

18-조립홈 20-핸들18-Assembly Groove 20-Handle

22-레버 24-힌지부22-lever 24-hinge

26-가이드 면 28-지지턱26-guide face 28-supporting jaw

30-리턴 스프링 40-커버30-return spring 40-cover

Claims (7)

도어에 설치된 하우징(10)과; A housing 10 installed in the door; 상기 하우징(10)의 선회축(X)에 대해 축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도어래치의 해제를 위한 레버(22)를 갖춘 핸들(20) 및; A handle 20 pivotally installed about the pivot axis X of the housing 10 and having a lever 22 for releasing the door latch;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핸들(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핸들(20)에 축선회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30)을 구비하는 축선회 조작방식의 도어 핸들장치.And a return spring (30) provided between the housing (10) and the handle (20)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the handle (20) in the axial rotation dir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핸들(20)의 양단부를 축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선회 조작방식의 도어 핸들장치.The housing (10) is a pivot handle door hand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so as to pivotally support both ends of the handle (20).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핸들(20)의 축선회 방향으로의 지지를 위한 원호 형상의 오목한 가이드 홈(12)을 형성하고, 상기 핸들(20)은 상기 가이드 홈(12)에 안착되어 축선회되는 힌지부(2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선회 조작방식의 도어 핸들장치.The housing 10 forms an arc-shaped concave guide groove 12 for supporting the handle 20 in the axial rotational direction, and the handle 20 is seated in the guide groove 12 to pivot. The hinge handle 24 is formed, the door handle device of the pivot turning method. 청구항 3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가이드 홈(12)의 일단에는 상기 리턴 스프링(30)의 설치를 위한 수용 공간부(14)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12)의 타단에는 상기 핸들(20)의 역방향으로의 축선회를 제한하는 걸림턱(1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선회 조작방식의 도어 핸들장치.One end of the guide groove 12 is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space 14 for installing the return spring 30, and the other end of the guide groove 12 is an axial rota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handle 20 A pivot handle operation door hand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jaw 16 is formed to limit. 청구항 4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상기 가이드 홈(12)에는 상기 수용 공간부(14)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리턴 스프링(30)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돌기부(12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선회 조작방식의 도어 핸들장치.The guide groove (12) is a door handle device of the pivot turn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portion (12a) protruding toward the receiving space portion 14 to support one end of the return spring (30). 청구항 4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상기 힌지부(24)의 배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12)에 면착되는 원호 형상의 볼록한 가이드 면(26)과, 상기 가이드 면(26)의 일단부에서 상기 리턴 스프링(30)의 타단부를 가압하도록 단차진 형태의 지지턱(28) 및, 상기 가이드 면(26)의 타단부에서 상기 힌지부(24)의 역방향 축선회를 제한하도록 상기 걸림턱(16)과 맞닿도록 단차진 형태의 대응 걸림턱(2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선회 조작방식의 도어 핸들장치.Pressing the other end of the return spring 30 on one end of the guide surface 26 and an arc-shaped convex guide surface 26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guide groove 12 on the rear surface of the hinge portion 24 The corresponding stepped shap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locking step 16 so as to limit the reverse axis rotation of the hinge portion 24 at the other end of the guide surface 26 and the stepped shape so as to Jaw 29 is formed, the door handle device of the pivot turning method.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20)의 이탈을 구속하는 커버(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40)는 배면에 상기 하우징(10)의 조립홈(18)에 결합되는 끼움돌기(42)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선회 조작방식의 도어 핸들장치.The cover 40 further includes a cover 40 coupled to the housing 10 to restrain the detachment of the handle 20, and the cover 40 is fitted to the assembly groove 18 of the housing 10. The door handle device of the pivot turn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jection 42 is formed integrally.
KR1020070130025A 2007-12-13 2007-12-13 Axial swing door handle Withdrawn KR2009006265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025A KR20090062653A (en) 2007-12-13 2007-12-13 Axial swing door hand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025A KR20090062653A (en) 2007-12-13 2007-12-13 Axial swing door hand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653A true KR20090062653A (en) 2009-06-17

Family

ID=40991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0025A Withdrawn KR20090062653A (en) 2007-12-13 2007-12-13 Axial swing door hand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2653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2978A (en) * 2015-09-16 2017-03-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oor grip handle for vehicle
KR20190058145A (en) * 2017-11-21 2019-05-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Hand grippable inside hand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2978A (en) * 2015-09-16 2017-03-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oor grip handle for vehicle
KR20190058145A (en) * 2017-11-21 2019-05-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Hand grippable inside handle
US11530556B2 (en) 2017-11-21 2022-12-20 Hyundai Motor Company Hand grippable inside hand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7001B1 (en) Safety mechanism of vehicle door handle assembly
JP5285524B2 (en) Vehicle door lock device
JP5732795B2 (en) Vehicle door handle device
JP2011106265A (en) Safety door handle
JP5039015B2 (en) Vehicle door handle device
US9273497B2 (en) Motor vehicle door latch
JP2007308941A (en) Remote-control unit for door latch for vehicle
US10352069B2 (en) Locking lever and vehicle door opening-closing device
WO2012153572A1 (en) Cable connection structure for movable member
WO2016148181A1 (en) Door handle device for vehicle
WO2016143903A1 (en) Vehicle handle device
JP2016199937A (en) Vehicle handle device
JP2017166265A (en) Vehicle handle device
KR20090062653A (en) Axial swing door handle
JP5828173B2 (en) Door opener
JP4661395B2 (en) Vehicle door closer device
KR20130060869A (en) Assemblage structure of outside handle for automobile
JP2014224425A (en) Door handle device for vehicle
JP5426602B2 (en) Unlatch device for vehicle door
JP6078881B2 (en) Door latch device for automobile
JP5420950B2 (en) Vehicle door handle device
JP5420949B2 (en) Vehicle door handle device
JP6743608B2 (en) Vehicle door lock device
JP7453873B2 (en) cylinder lock
JP5741355B2 (en) Vehicle door hand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1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