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1613A - 불소기로 치환된 메타노플러렌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소자 - Google Patents
불소기로 치환된 메타노플러렌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소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61613A KR20090061613A KR1020090042300A KR20090042300A KR20090061613A KR 20090061613 A KR20090061613 A KR 20090061613A KR 1020090042300 A KR1020090042300 A KR 1020090042300A KR 20090042300 A KR20090042300 A KR 20090042300A KR 20090061613 A KR20090061613 A KR 2009006161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lkyl
- substituted
- organic
- aryl
- electronic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group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125000001153 fluoro group Chemical group F*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0
- XMWRBQBLMFGWIX-UHFFFAOYSA-N C60 fullerene Chemical class C12=C3C(C4=C56)=C7C8=C5C5=C9C%10=C6C6=C4C1=C1C4=C6C6=C%10C%10=C9C9=C%11C5=C8C5=C8C7=C3C3=C7C2=C1C1=C2C4=C6C4=C%10C6=C9C9=C%11C5=C5C8=C3C3=C7C1=C1C2=C4C6=C2C9=C5C3=C12 XMWRBQBLMFGWIX-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125000003118 aryl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29
- -1 metano fullerene compound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125000000923 (C1-C30) 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24
- 125000001072 heteroaryl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0137 ann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125000003545 alkoxy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10003472 fulleren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125000000217 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5
- 125000004453 alkoxycarbonyl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4
- 125000001424 substituent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4
- 125000003282 alkyl amino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3
- 125000004448 alkyl carbonyl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3
- 125000003710 aryl 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3
- 125000003236 benzoyl group Chemical group [H]C1=C([H])C([H])=C(C([H])=C1[H])C(*)=O 0.000 claims description 3
- 125000004093 cyano group Chemical group *C#N 0.000 claims description 3
- 125000000449 nitro group Chemical group [O-][N+](*)=O 0.000 claims description 3
- 125000000951 phenoxy group Chemical group [H]C1=C([H])C([H])=C(O*)C([H])=C1[H] 0.000 claims description 3
- 125000002924 primary amino group Chemical group [H]N([H])*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125000004435 hydrogen atom Chemical class [H]*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1338 self-assembl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8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YCKRFDGAMUMZLT-UHFFFAOYSA-N Fluorine atom Chemical compound [F] YCKRFDGAMUMZLT-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abstract 1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8
- RFFLAFLAYFXFSW-UHFFFAOYSA-N 1,2-dichlorobenzene Chemical compound ClC1=CC=CC=C1Cl RFFLAFLAYFXFS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8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0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4
- 238000005160 1H NMR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SHKWSBAVRQZYLE-UHFFFAOYSA-N 5-oxo-5-phenylpentan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C(=O)C1=CC=CC=C1 SHKWSBAVRQZYL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0
- MCEWYIDBDVPMES-UHFFFAOYSA-N [60]pcbm Chemical compound C123C(C4=C5C6=C7C8=C9C%10=C%11C%12=C%13C%14=C%15C%16=C%17C%18=C(C=%19C=%20C%18=C%18C%16=C%13C%13=C%11C9=C9C7=C(C=%20C9=C%13%18)C(C7=%19)=C96)C6=C%11C%17=C%15C%13=C%15C%14=C%12C%12=C%10C%10=C85)=C9C7=C6C2=C%11C%13=C2C%15=C%12C%10=C4C23C1(CCCC(=O)OC)C1=CC=CC=C1 MCEWYIDBDVPME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1644 13C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4992 fast atom bombardment mass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5481 NMR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JUJWROOIHBZHMG-UHFFFAOYSA-N Pyridine Chemical compound C1=CC=NC=C1 JUJWROOIHBZHM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29920000301 poly(3-hexylthiophene-2,5-di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QAOWNCQODCNURD-UHFFFAOYSA-N sulfuric acid group Chemical group S(O)(O)(=O)=O QAOWNCQODCNUR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ICGLPKIVTVWCFT-UHFFFAOYSA-N 4-methylbenzenesulfonohydrazide Chemical compound CC1=CC=C(S(=O)(=O)NN)C=C1 ICGLPKIVTVWCF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VLKZOEOYAKHREP-UHFFFAOYSA-N n-Hexane Chemical compound CCCCCC VLKZOEOYAKHRE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370 accep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2299 nitrogen atmosphe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UMJSCPRVCHMLSP-UHFFFAOYSA-N pyridine Natural products COC1=CC=CN=C1 UMJSCPRVCHMLS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IMWHBQJCEMJUOZ-UHFFFAOYSA-N 2,2,2-trifluoroethyl 5-oxo-5-phenylpentanoate Chemical compound C(C1=CC=CC=C1)(=O)CCCC(=O)OCC(F)(F)F IMWHBQJCEMJUO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ZYHOOFJBYGLFOK-UHFFFAOYSA-N C(C1=CC=CC=C1)(=O)CCCC(=O)OCC(C(F)(F)F)(F)F Chemical compound C(C1=CC=CC=C1)(=O)CCCC(=O)OCC(C(F)(F)F)(F)F ZYHOOFJBYGLFO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YMWUJEATGCHHMB-UHFFFAOYSA-N Dichloromethane Chemical compound ClCCl YMWUJEATGCHHM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ZUOUZKKEUPVFJK-UHFFFAOYSA-N diphenyl Chemical compound C1=CC=CC=C1C1=CC=CC=C1 ZUOUZKKEUPVFJ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125000000472 sulfonyl group Chemical group *S(*)(=O)=O 0.000 description 4
- WEVYAHXRMPXWCK-UHFFFAOYSA-N Acetonitrile Chemical compound CC#N WEVYAHXRMPXWC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UUMXSFBDQCGPKG-UHFFFAOYSA-N C1=CC=C(C=C1)C(=O)CCCC(=O)OCC2=C(C(=C(C(=C2F)F)F)F)F Chemical compound C1=CC=C(C=C1)C(=O)CCCC(=O)OCC2=C(C(=C(C(=C2F)F)F)F)F UUMXSFBDQCGPK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JRJQSZCLVPFYEU-UHFFFAOYSA-N C1=CC=C(C=C1)C(=O)CCCC(=O)OCCC(C(F)(F)F)(F)F Chemical compound C1=CC=C(C=C1)C(=O)CCCC(=O)OCCC(C(F)(F)F)(F)F JRJQSZCLVPFYE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XEKOWRVHYACXOJ-UHFFFAOYSA-N 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C(C)=O XEKOWRVHYACXO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YXFVVABEGXRONW-UHFFFAOYSA-N Tolu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1 YXFVVABEGXRON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862 absorption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317 iso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1997 phenyl group Chemical group [H]C1=C([H])C([H])=C(*)C([H])=C1[H]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103 photoluminescence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4076 pyrid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28 spin c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PCTZLSCYMRXUGW-UHFFFAOYSA-N 1,1,1,2,2-pentafluorobutane Chemical group [CH2]CC(F)(F)C(F)(F)F PCTZLSCYMRXUG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25000004206 2,2,2-trifluoroethyl group Chemical group [H]C([H])(*)C(F)(F)F 0.000 description 2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HEDRZPFGACZZDS-UHFFFAOYSA-N Chloroform Chemical compound ClC(Cl)Cl HEDRZPFGACZZD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CSNNHWWHGAXBCP-UHFFFAOYSA-L Magnesium sulfate Chemical compound [Mg+2].[O-][S+2]([O-])([O-])[O-] CSNNHWWHGAXBCP-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CDBYLPFSWZWCQE-UHFFFAOYSA-L Sod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Na+].[Na+].[O-]C([O-])=O CDBYLPFSWZWCQE-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WQDUMFSSJAZKTM-UHFFFAOYSA-N Sodium methoxide Chemical compound [Na+].[O-]C WQDUMFSSJAZKT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25000004429 atom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290 bipheny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05 bipheny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609 carbazolyl group Chemical group C1(=CC=CC=2C3=CC=CC=C3NC12)*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MVPPADPHJFYWMZ-UHFFFAOYSA-N chlorobenzene Chemical compound ClC1=CC=CC=C1 MVPPADPHJFYWM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25000003983 fluorenyl group Chemical group C1(=CC=CC=2C3=CC=CC=C3CC12)* 0.000 description 2
- 125000005842 heteroatom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046 mixed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1624 naphth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086 organic photovoltaic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08091008695 photoreceptor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1725 pyren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714 pyrimidin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125000001935 tetracenyl group Chemical group C1(=CC=CC2=CC3=CC4=CC=CC=C4C=C3C=C12)*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PSQZJKGXDGNDFP-UHFFFAOYSA-N 2,2,3,3,3-pentafluoropropan-1-ol Chemical compound OCC(F)(F)C(F)(F)F PSQZJKGXDGNDF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GJYYCIOYBZTPU-UHFFFAOYSA-N 2,3,4,5,6-pentafluorobenzyl alcohol Chemical compound OCC1=C(F)C(F)=C(F)C(F)=C1F PGJYYCIOYBZTP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LZQWXZLGOMCSA-UHFFFAOYSA-N 2-benzyl-5-oxo-2-(1,1,2,2,2-pentafluoroethyl)-5-phenylpent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1=CC=C(C=C1)CC(CCC(=O)C2=CC=CC=C2)(C(=O)O)C(C(F)(F)F)(F)F ALZQWXZLGOMC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PMHUDBOKDBBLG-UHFFFAOYSA-N 3,3,4,4,4-pentafluorobutan-1-ol Chemical compound OCCC(F)(F)C(F)(F)F JPMHUDBOKDBBL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VMSFILGAMDHEY-UHFFFAOYSA-N 6-(4-aminophenyl)sulfonylpyridin-3-amine Chemical compound C1=CC(N)=CC=C1S(=O)(=O)C1=CC=C(N)C=N1 XVMSFILGAMDHE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204 N-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44 PEDOT:PSS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607 Silver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RHQDFWAXVIIEBN-UHFFFAOYSA-N Trifluoroethanol Chemical compound OCC(F)(F)F RHQDFWAXVIIEB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09 alkoxy-substituted poly(p-phenylene vin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178 anthracenyl group Chemical group C1(=CC=CC2=CC3=CC=CC=C3C=C12)* 0.000 description 1
- IVRMZWNICZWHMI-UHFFFAOYSA-N azide group Chemical group [N-]=[N+]=[N-] IVRMZWNICZWH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VURVSKYJGBCKX-UHFFFAOYSA-N butanoyl benzoate Chemical compound CCCC(=O)OC(=O)C1=CC=CC=C1 FVURVSKYJGBCK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915 carbonyl group Chemical group [*:2]C([*:1])=O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19 centrifu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676 chrysenyl group Chemical group C1(=CC=CC=2C3=CC=C4C=CC=CC4=C3C=CC12)*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40 column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74 desic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117389 dichlorobenze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86 ester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541 fur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857 hydrazo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883 imidazol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453 indazolyl group Chemical group N1N=C(C2=C1C=CC=C2)*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406 indolizinyl group Chemical group C=1(C=CN2C=CC=CC12)*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041 indol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7 in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904 isoindolyl group Chemical group C=1(NC=C2C=CC=CC12)*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183 isoquinolinyl group Chemical group C1(=NC=CC2=CC=CC=C12)*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786 isothiazol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842 isoxazol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20 luminiscence typ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43 magnesium 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41 magnesium sul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HZVOZRGWRWCICA-UHFFFAOYSA-N methanediyl Chemical compound [CH2] HZVOZRGWRWCIC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59 mixe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894 orga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44 organic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538 pentafluorophenyl group Chemical group FC1=C(F)C(F)=C(*)C(F)=C1F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792 phenanthrenyl group Chemical group C1(=CC=CC=2C3=CC=CC=C3C=CC12)*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934 phenanthridinyl group Chemical group C1(=CC=CC2=NC=C3C=CC=CC3=C12)*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264 poly(3',7'-dimethyloctyloxy phenylene vin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373 pyrazin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226 pyrazol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098 pyridazin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168 pyrrol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943 quinolinyl group Chemical group N1=C(C=CC2=CC=CC=C12)* 0.000 description 1
- 125000005493 quinol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92 reflux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7756 respiratory electron transport chai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98 silica gel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HKZLPVFGJNLROG-UHFFFAOYSA-M silver mon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Ag+] HKZLPVFGJNLROG-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29 sod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46 surface rough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831 tetrazol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5147 toluenesulfonyl group Chemical group C=1(C(=CC=CC1)S(=O)(=O)*)C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960 triphenylenyl group Chemical group C1(=CC=CC=2C3=CC=CC=C3C3=CC=CC=C3C12)*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20—Carbon compounds, e.g. carbon nanotubes or fullerenes
- H10K85/211—Fullerenes, e.g. C60
- H10K85/215—Fullerenes, e.g. C60 comprising substituents, e.g. PCBM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62—Halogen-containing esters
- C07C69/63—Halogen-containing esters of saturated acids
- C07C69/635—Halogen-containing esters of saturated acids containing rings in the acid moiety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3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3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not substituted on the ring sulphur atom
- C07D33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not substituted on the ring sulphur atom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 C07D333/08—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 C07D333/10—Thiophe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anotechnolog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한 메타노플러렌 화합물(methanofullerene)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자소자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A는 플러렌 (fullerene) 유도체로서, C60, C72, C76, C78 또는 C84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불소치환된 메타노플러렌 (Fluorinated methanofullerene) 화합물은 유기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향상되고, 전기화학적으로 전자의 이동도가 증대되고, 불소기간의 자기조합 (self-organization)이 개선되어 추가적인 열처리를 하지 않더라도 우수한 특성의 광전변환효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재료들은 태양광발전 (photovoltaic)의 활성 성분,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OTFT), OLED 및 유기메모리 소자 등에서 n-형 반도체 재료로서의 용도에 적용이 가능하다.
불소화, 메타노플러렌, acceptor, 전자받게, n-형, 유기반도체, C60, C70, C76, C78, C84, 자기조합, self-organizable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규한 불소기로 치환된 메타노플러렌 화합물(methanofullerene)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자소자에 관한 것이다.
단분자, 고분자를 이용한 유기반도체 재료들은 지난 25 년여 동안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여 왔다. 기존의 무기물을 이용한 반도체 재료들은 우수한 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고 있지만, 제조상의 단점과 소자제작공정에서의 어려움으로 인해 점점 그 역할을 유기 반도체 재료 쪽으로 이양하고 있는 게 사실이다. 유기 반도체 재료들은 무기 반도체 재료와 비교하여 제조공정 상 단순하고 소자제작 시 저가공정이 가능하며, 유기물의 특성상 간단한 구조의 변경을 통해 보다 우수한 특성을 발현하는 재료의 개발이 용이하다는 데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한편, 유기 반도체 물질이 사용되는 또 다른 예로서는 유기 태양전지를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태양 광 전지는 반도체층과 전극을 기본 구성으로 포함한다. 이러한 태양 광 전지는 외부로부터 들어온 빛에 의해 반도체층 내부에서 전자와 정공이 발생하고, 전하들이 각각 P, N극으로 이동하는 현상에 의하여 P극과 N극의 전위차가 발생하게 되면서, 이 때 태양전지에 부하를 연결하면 전류가 흐르는 원리를 이용한 소자이다. 그런데 상기 기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태양 광 전지의 반도체층 역시 고가격, 고온진공 프로세스를 필요로 하는 무기계 물질보다는 유기 반도체 물질을 적용하려는 추세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태양 광 전지 소자에 적용할 때, 스핀 코팅 공정으로 소자를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光)량 증가에 따라 전지 효율이 떨어지지 않는 반도체 화합물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또한, 통상의 유기반도체 재료는 정공과 전자의 이동도면에서 큰 차이를 보이는데, 대부분의 경우 정공의 이동도가 전자의 이동도에 비해 적게는 10배에서 많게는 1000배정도 빠른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그러므로, OTFT 등의 채널(channel) 재료로 이용되는 유기반도체 및 유기태양전지 (Organic Photovoltaic Cells)의 acceptor들 중에 전자이동을 이용한 n-형 재료에 대한 결과는 상대적으로 적게 보고되고 있다. 대표적인 n-형 유기반도체 재료로는 하기의 구조를 갖는 재료들이 있다.
Fred Wudl 그룹에서는 1995년 PCBM으로 잘 알려진 메타노플러렌 (methanofullerene) 유도체인 {6}-1-(3-(메톡시카보닐)프로필)-{5}-1-페닐[5,6]C61 ({6}-l-(3-(Methoxycarbonyl)propyl)-{5}-l-phenyl[5,6]C61)를 보고하였다. (J. Org. Chem ., 1995, 60, 532). 이 PCBM은 MEH-PPV, MDMO-PPV 및 P3HT 등의 고분자 donor 재료들과의 혼합을 통해 유기태양전지로 활용될 수 있는데, 초기에는 PPV 유도체와 1:3 정도의 혼합비로 소자화되었으며, 최근 들어 PCBM은 P3HT와의 혼합을 통해 제작된 소자를 고온에서 annealing하거나 유기박막 생성시 용매의 증발속도를 조절함을 통하여 약 4%이상의 높은 에너지 변환 효율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러한 후처리 공정은 재현성을 보장하기 어렵고, 소자가 고온에 방치될 경우 유기막의 모폴로지가 변화하여 효율이나 기타 소자 특성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메타노플러렌에 불소기를 도입함으로써, 용해도를 일부 개선하고, 전기화학적으로 전자의 이동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신규 n-형 유기반도체 화합물을 새로이 밝혀내어, 유기 태양전지 (organic photovoltaic) 및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OTFT)의 활성 성분으로서의 용도에 적용가능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한 불소기가 도입된 메타노플러렌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며, 또한, 메타노플러렌 화합물에 불소기를 도입함으로써, 박막상태에서 보다 우수한 전자이동도를 가지게 되어 우수한 n-형 유기반도체의 특성을 가질 수 있는 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신규한 불소기가 도입된 메타노플러렌 화합물들은 고분자 도너 (donor) 즉, 전자주게 재료와 혼합될 때 불소기를 포함하는 작용기간의 상호작용이 더욱 활발하여 어닐링 (annealing) 등의 후처리 공정을 거치지 않더라도 보다 우수한 특성의 소자를 구현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적인 도너 (donor), 즉 전자주게 재료와의 조합을 통해 높은 에너지 전환효율을 갖는 유기태양전지용 억셉터 (acceptor), 즉 전자받게 소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한 메타노플러렌 화합물(methanofullerene)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자소자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은 (C6-C30)아릴 또는 (C4-C30)헤테로아릴이고, 상기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은 직쇄 또는 분쇄의 (C1-C30)알킬, (C1-C30)알콕시, (C6-C30)아릴, (C6-C30)아르(C1-C30)알킬, (C1-C30)알킬(C6-C30)아릴, (C6-C30)아르(C1-C30)알콕시, (C4-C30)헤테로아릴, 히드록시, 카르복실, 아미노, 모노 또는 디 (C1-C30)알킬아미노, (C1-C30)알킬카보닐, (C1-C30)알콕시카보닐, 벤조일, 페녹시, 시아노, 니트로 또는 불소기로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더 치환될 수 있으며, 상기 알킬, 알콕시, 아릴, 아르알킬, 아르알콕시, 헤테로아릴, 알킬카보닐 또는 알콕시카보닐은 하나 이상의 불소기로 더 치환될 수 있으며;
R2는 하나 이상의 불소기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쇄의 (C1-C30)알킬, 하나 이상의 불소기로 치환된 (C6-C30)아릴, 하나 이상의 불소기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쇄의 (C1-C30)알킬(C6-C30)아릴, 하나 이상의 불소기로 치환된 (C6-C30)아르(C1-C30)알킬, 하나 이상의 불소기로 치환된 (C4-C30)헤테로아릴 또는 하나 이상의 불소기로 치환된 (C4-C30)헤테로아릴(C1-C30)알킬이며;
A는 플러렌 (fullerene) 유도체로서 C60, C72, C76, C78 또는 C84 이며;
n은 1 내지 7의 정수이다.]
상기 (C6-C30)아릴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페닐(phenyl; -C6H5), 나프틸(naphthyl; -C10H7), 비페닐(biphenyl; -C12H9 ), 플루오레닐(fluorenyl; -C13H9), 페난트레닐(phenanthrenyl; -C14H9), 안트라세닐(anthracenyl; -C14H9), 트라이페닐레닐(triphenylenyl; -C18H11), 피레닐(pyrenyl; -C16H9), 크라이세닐(Chrysenyl; -C18H11), 나프타세닐(naphthacenyl; -C18H11)과 같은 방향족 그룹을 포함한다.
상기 (C4-C30)헤테로아릴은 방향족 고리 골격 원자로서 N, O, P 또는 S 중에서 선택된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고, 나머지 방향족 고리 골격 원자가 탄소인 아릴 그룹을 의미한다. 상기 헤테로아릴은 고리내 헤테로원자가 산화되거나 사원화되어, 예를 들어 N-옥사이드 또는 4차 염을 형성하는 2가 아릴 그룹을 포함한다. 대표적인 예로는 퓨릴(furyl; -C4H3O), 아이소벤조퓨란일(isobenzofuryl; -C8H5O), 피롤릴(pyrrolyl; -C4H4N), 이미다졸릴(imidazolyl; -C3H3N2), 피라졸릴(pyrazolyl; -C3H3N2), 아이소티아졸릴(isothiazolyl; -C3H2NS), 아이속사졸릴(isoxazolyl; -C3H2NO), 테트라졸릴(tetrazolyl; -CHN4), 피리딜(pyridinyl; -C5H4N), 피라진일(pyrazinyl; -C4H3N2), 피리미딘일(pyrimidinyl; -C4H3N2), 피리다진일(pyridazinyl; -C4H3N2), 인돌리진일(indolizinyl; -C8H6N), 아이소인돌릴(isoindolyl; -C8H6N), 인돌릴(indolyl; -C8H6N), 인다졸릴(indazolyl; -C7H5N2), 아이소퀴놀릴(isoquinolinyl; -C9H6N), 퀴놀릴(quinolinyl; -C9H6N), 카바졸릴(carbazolyl; -C12H8N), 페난트리딘일(phenanthridinyl; -C13H8N) 및 이들의 상응하는 N-옥사이드 (예를 들어, 피리딜 N-옥사이드, 퀴놀릴 N-옥사이드), 이들의 4차 염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R1의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은 단일고리 또는 융합고리로서, 각 고리에 대하여 (C1-C30)알킬, (C1-C30)알콕시, (C6-C30)아릴, (C6-C30)아르(C1-C30)알킬, (C1-C30)알킬(C6-C30)아릴, (C6-C30)아르(C1-C30)알콕시, (C4-C30)헤테로아릴, 히드록시, 카르복실, 아미노, 모노 또는 디 (C1-C30)알킬아미노, (C1-C30)알킬카보닐, (C1-C30)알콕 시카보닐, 벤조일, 페녹시, 시아노, 니트로 또는 불소기로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가 치환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의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화합물로서 예시될 수 있으나, 하기의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화합물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식에서, X, Y 및 Z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직쇄 또는 분쇄의 (C1-C30)알킬, (C6-C30)아르(C1-C30)알킬 또는 (C1-C30)알킬(C6-C30)아릴이고; m은 1 내지 5의 정수이고; n은 1 내지 3의 정수이고; p는 1 내지 4의 정수이고; q는 1 내지 3의 정수이고; r은 1 또는 2의 정수이고; s는 1 내지 3의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 1에서 R2는 하나 이상의 불소기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쇄의 (C1-C30)알킬, 하나 이상의 불소기로 치환된 (C6-C30)아릴 또는 하나 이상의 불소기로 치환된 (C6-C30)아르(C1-C30)알킬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메타노플러렌 화합물은 [5,6]이성체 및 [6,6]이성체를 포함하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의 화합물로서 예시될 수 있으나, 하기의 화합물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메타노플러렌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하기 반응식 1에 C60의 메타노플러렌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며, 하기 반응식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 치환된 옥소카르복실산을 하나 이상의 불소기로 치환된 알콜 유도체과 황산 (H2SO4) 촉매하에서 에스테르화 반응시킨 후, p-톨루엔술포닐 하이드라자이드 (p-toluenesulfonyl hydrazide)와의 반응을 통해 p-토실히드라존 (p-tosylhydrazone) 유도체를 형성한다. 여기에 피리딘 하에서 플러렌 (Fullerene)를 넣고 가열하면 p-토실히드라존 유도체가 분해되어 아지드 (azide) 형태를 거쳐 형성된 카벤 (carbene)이 플러렌 (Fullerene)에 부가반응하여 플러렌 (Fullerene)의 탄소수가 5개인 고리와 6개인 고리의 정션에 결합된 형태의 [5,6]-이성질체 (화합물 a)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성된 [5,6]-이성질체 (화합 물 a)를 1,2-디클로로벤젠 용매하에서 환류시켜 6개 고리간의 정션에 결합된 형태인 [6,6]-이성질체 (화합물 b)를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1]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메타노플러렌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전자소자는 유기발광소자, 유기태양전지, 유기감광체 (OPC), 유기메모리 및 유기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불소화된 메타노플러렌 유도체는 플러렌에 불소화된 치환기를 도입함으로써, 용해도를 개선하였으며, 불소치환기간의 자기 조립에 의해 보다 효과적으로 전자이동도를 개선할 수 있었다. 이 러한 신규 화합물들은 유기발광소자의 전자수송층, 유기태양전지의 전자받게 (acceptor), 유기감광체 (OPC)의 전자수송층, 유기메모리 및 유기트랜지스터의 n-형 유기반도체 등으로서의 용도에 유용하다.
이하, 본 발명의 상세한 이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화합물을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메타노플러렌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소자의 특성을 설명하나, 이는 단지 그 실시 양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
제조예
1] 화합물
PCBTFE
[6,6]-이성질체의 제조
2,2,2-
트리플루오로에틸
4-벤조일부티레이트(2,2,2-
Trifluoroethyl
4-benzoyl
butyrate
)의 제조
3구 10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4-벤조일부티릴산 4.00 g (20.8 mmol), 트리플루오로에탄올 2.50 g (25.0 mmol) 및 진한 황산 0.41 g (5.0 mmol)의 촉매를 톨루엔 30 ml에 첨가하여 24 시간동안 환류하여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냉각하여 초산염에틸 100 ml를 첨가한 후, 10% 탄산나트륨 용액 (80 mL)으로 3회 세척하고, 다시 증류수 (80 ml)로 3회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여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진공하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이염화메탄과 헥산의 혼합용액 (2/1)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2,2,2-트리플루오로에틸 4-벤조일부티레이트 (3.22 g, 56%)를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7.95 (d, ArH, 2H, J = 7.5 Hz), 7.60-7.54 (m, ArH, 1H), 7.49-7.44 (m, ArH, 2H), 4.48 (q, -OCH2-, 2H, J = 9 Hz), 3.07 (t, -O=CH2-, 2H, J = 7 Hz), 2.57 (t, -CH2CO2-, 2H, J = 7.2 Hz), 2.09 (m, -CH2CH2CH2-).
13C-NMR (125 MHz, CDCl3 = 77.00 ppm) δ 198.99, 171.601, 136.64, 133.14, 128.59, 127.92, 60.59, 60.33, 60.30, 60.00, 37.02, 32.64, 18.93.
19F-NMR (CFCl3) δ -74.31.
FABMS m/z: 274 (M+H): calcd. (C13H13F3O3), 274.24.
2,2,2-
트리플루오로에틸
4-
벤조일부티레이트
p-
토실히드라존
(2,2,2- Trifluoroethyl 4-
benzoylbutyrate
p
-
tosylhydrazone
)의 제조
2,2,2-트리플루오로에틸 4-벤조일부티레이트 3.00 g (10.94 mmol), p-톨로엔술포닐 하이드라자이드 (p-toluenesulfonyl hydrazide) 2.47 g (13.24 mmol)을 메탄올 (20 mL)에 용해하여 환류하며 5 시간동안 반응시켰다. 하루 동안 상온에서 더 반응시킨 후, -15 ℃로 냉각하여 여과하였다. 차가운 메탄올로 세척하여 2,2,2-트 리플루오로에틸 4-벤조일부티레이트 p-토실히드라존 (3.14g, 71%)를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8.85 (s, NH, 1H), 7.91 (d, HArSO2-, 2H, J = 8.5 Hz), 7.67-7.63 (m, ortho HPh, 2H), 7.37-7.33 (m, 3H), 7.29 (d, HAr SO2-, 2H, J = 8.5 Hz), 4.53 (q, -OCH2-, 2H, J = 8.3 Hz), 2.67-2.62 (m, -N=CCH2-, 2H), 2.49-2.45 (t, -CH2CO2-, 2H, J = 6.0 Hz), 2.41 (s, ArCH3, 3H), 1.80-1.70 (m, -CH2CH2CH2-, 2H).
13C-NMR (125 MHz CDCl3) δ 172.59, 153.78, 143.97, 135.99, 135.21, 129.98, 129.60, 129.45, 127.91, 126.18, 61.09, 60.81, 60.51, 60.29, 31.99, 25.63, 21.54, 20.56.
19F-NMR (CFCl3) δ -74.24 (CF3, 3F).
FABMS m/z: 444 (M+H): calcd. (C20H21F3N2O4S), 442.45.
{6}-l-(3-(2',2',2'-
트리플루오로에틸옥시카르보닐
)프로필)-{5}-l-
페닐
[5.6]-C61 ({6}-l-(3-(2',2',2'-
Trifluoroethyloxycarbonyl
)
propyl
)-{5}-l-
phenyl
[5.6]-C61)의 합성
질소 치환된 100 mL 3구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2,2,2,-트리플루오로에틸 4-벤 조일부티레이트 p-토실하이드라존 (2,2,2-Trifluoroethyl 4-benzoylbutyrate p-tosylhydrazone, 1.77 g, 4.0 mmol)을 10 mL의 건조된 피리딘에 용해시켜 교반시켰다. 여기에 NaOMe (225 mg, 5.0 mmol)를 15분간 서서히 첨가한 후, 플러렌 (Fullerene, 1.44 g, 2 mmol)을 100 mL의 1,2-디클로로벤젠에 녹여 주입하고, 70 ℃에서 22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감압하에서 용매를 70 mL로 농축하고 실리카겔을 이용해 컬럼크로마토 그래피 (40 x 10 cm)를 사용하여 이염화메탄과 헥산의 1:5 혼합용매를 이용해 전개하여 갈색 고체상의 {6}-l-(3-(2',2',2'-트리플루오로에틸옥시카르보닐)프로필)-{5}-l-페닐-[5.6]-C61 (350 mg, 18%)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7.93 (d, 2H, arom, J = 7.5 Hz), 7.59-7.53 (m, 2H, arom), 7.51-7.48 (m, 1H, arom), 4.47 (q, 2H, OCH2, J = 9 Hz), 2.24 (t, 2H, CH2CO2, J = 7.5 Hz), 1.66-1.63 (m, 2H, CH2CH2CO2), 1.53-1.47 (m, 2H; PhCCH2).
{6}-l-(3-(2',2',2'-
트리플루오로에틸옥시카르보닐
)프로필)-{5}-l-
페닐
[6.6]-C61 ({6}-l-(3-(2',2',2'-
Trifluoroethyloxycarbonyl
)
propyl
)-{5}-l-
phenyl
[6.6]-C61) (화합물
PCBTFE
[6,6]-이성질체)의 합성
질소대기하에서 100 mL 2구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300 mg의 {6}-l-(3- (2',2',2'-트리플루오로에틸옥시카르보닐)프로필)-{5}-l-페닐[6.6]-C61을 1,2-디클로로벤젠 용매 (50 mL)에 녹인 진한 보라색의 용액을 24시간 동안 환류하면 [5,6]이성질체가 이성질화반응을 통해 [6,6]이성질체로 변환되었다. 온도를 상온으로 낮춘 후, 감압하에서 용매를 15 mL 정도로 농축한 후 150 mL의 메탄올 용매를 부어 석출시키고 원심분리시켰다. 이렇게 분리된 고체를 10 mL의 1,2-디클로로벤젠에 녹여 메탄올 100 mL를 주입하여 다시 석출하고 원심분리하면 순수한 {6}-l-(3-(2',2',2'-트리플루오로에틸옥시카르보닐)프로필)-{5}-l-페닐[6.6]-C61 (93%)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7.93 (d, 2H, arom, J = 7.5 Hz), 7.59-7.53 (m, 2H, arom), 7.51-7.48 (m, 1H, arom), 4.47 (q, 2H, OCH2, J = 9 Hz), 2.27-2.19 (m, 2H; PhCCH2), 1.52 (t, 2H, CH2CO2, J = 7.5 Hz), 1.66-1.63 (m, 2H, CH2CH2CO2).
13C-NMR 500 MHz (CDCl3 = 77.00 ppm) δ 171.42, 148.68, 147.62, 145.19, 145.15, 145.03, 144.79, 144.66, 144.50, 143.75, 143.03, 142.99, 142.92, 142.20, 142.15, 142.11, 142.10, 138.01, 132.06, 128.48, 128.32, 121.78, 79.71, 60.75, 60.46, 60.16, 59.87, 51.59, 33.48, 33.36, 29.70, 22.04.
19F-NMR (CFCl3) δ 74.12, -74.15, -74.18.
FABMS m/z: 979 (M+H): calcd. (C18H15F5O2), 978.25.
[
제조예
2] 화합물
PCBPFP
[6,6]-이성질체의 제조
2,2,3,3,3-
펜타플루오로프로필
4-
벤조일부티레이트
(2,2,3,3,3-
Pentafluoro
propyl 4-
benzoylbutyrate
)의 제조
3구 10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4-벤조일부티릴산 10.0 g (52.0 mmol), 2,2,3,3,3-펜타플루오로프로판올 9.37 g (62.4 mmol) 및 진한 황산 0.51 g (5.2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2,2,3,3,3-펜타플루오로프로필 4-벤조일부티레이트 (12.4 g, 74%)를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7.95 (d, ArH, 2H, J = 7.5 Hz), 7.55 (m, ArH, 1H), 7.47(m, ArH, 2H), 4.56 (t, -OCH2-, 2H, J = 12 Hz), 3.07 (t, -O=CH2-, 2H, J = 7 Hz), 2.57 (t, -CH2CO2-, 2H, J = 7.2 Hz), 2.09 (m, -CH2CH2CH2-).
13C-NMR 500 MHz (CDCl3 = 77.00 ppm) δ 198.97, 171.58, 136.64, 133.15, 128.59, 127.92, 59.19, 58.97, 58.75, 37.00, 32.65, 18.87.
19F-NMR (CFCl3) δ -84.35, -124.02.
FABMS m/z: 326 (M+H): calcd. (C14H13F5O3), 324.24.
2,2,3,3,3-
펜타플루오로프로필
4-
벤조일부티레이트
p
-
토실히드라존
(2,2,3, 3,3-Pentafluoropropyl 4-
benzoylbutyrate
p
-
tosylhydrazone
)의 제조
2,2,3,3,3-펜타플루오로프로필 4-벤조일부티레이트 6.2 g (19.1 mmol), p-톨로엔술포닐 하이드라자이드 (p-toluenesulfonyl hydrazide) 3.92 g (21.0 mmol)을 메탄올 (20 mL)에 용해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2,2,3,3,3-펜타플루오로프로필 4-벤조일부티레이트 p-토실히드라존 (7.85g, 87%)를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8.74 (s, NH, 1H), 7.91 (d, HArSO2-, 2H, J = 8.5 Hz), 7.67-7.64 (m, ortho HPh, 2H), 7.37-7.33 (m, 3H), 7.29 (d, HAr SO2-, 2H, J = 8.5 Hz), 4.64 (t, -OCH2-, 2H, J = 13 Hz), 2.66-2.61 (m, -N=CCH2-, 2H), 2.49-2.43 (t, -CH2CO2-, 2H, J = 6.0 Hz), 2.41 (s, ArCH3, 3H), 1.80-1.70 (m, -CH2CH2CH2-, 2H).
13C-NMR 500 MHz (CDCl3 = 77.00 ppm) δ 172.64, 153.71, 143.97, 135.19, 135.21, 129.98, 129.60, 129.45, 127.91, 126.18, 59.72, 59.50, 59.29, 31.97, 25.60, 21.54, 20.52.
19F-NMR (CFCl3) δ -84.30 (d, CF3, 3F, J = 15 Hz), -124.00 (t, CF2, 3F, J = 15 Hz).
FABMS m/z: 495 (M+H): calcd. (C21H21F5N2O4S), 492.46.
{6}-l-(3-(2',2',3',3',3'-
펜타플루오로프로폭시카르보닐
)프로필)-{5}-l-
페닐
[5.6]-
C61
({6}-l-(3-(2',2',3',3',3'-
Pentafluoropropoxycarbonyl
)
propyl
)-{5}-l-
phenyl
[5.6]-
C61
)의 제조
질소 치환된 100 mL 3구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2,2,3,3,3-펜타플루오로프로필 4-벤조일부티레이트 p-토실하이드라존 (2,2,3,3,3,-Pentafluoropropyl 4-benzoylbutyrate p-tosylhydrazone, 1.97 g, 4.0 mmol)을 10 mL의 건조된 피리딘에 용해시켜 교반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갈색 고체상의 {6}-l-(3-(2',2',3',3',3'-펜타플루오로프로폭시카르보닐)프로필)-{5}-l-페닐-[5.6]-C61 (490 mg, 24%)를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7.92 (d, 2H, arom, J = 7.5 Hz), 7.56-7.53 (m, 2H, arom), 7.51-7.48 (m, 1H, arom), 4.55 (t, 2H, OCH2, J = 12 Hz), 2.23 (t, 2H, CH2CO2, J = 7 Hz), 1.65-1.62(m, 2H, CH2CH2CO2), 1.52-1.48 (m, 2H; PhCCH2).
{6}-l-(3-(2',2',3',3',3'-
펜타플루오로프로폭시카르보닐
)프로필)-{5}-l-
페닐
[6.6]-
C61
({6}-l-(3-(2',2',3',3',3'-
Pentafluoropropoxycarbonyl
)
propyl
)-{5}- l-phenyl[6.6]-C61) (화합물
PCBPFP
[6,6]-이성질체)의 제조
질소대기하에서 100 mL 2구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300 mg의 {6}-l-(3-(2',2',3',3',3'-펜타플루오로프로필옥시카르보닐)프로필)-{5}-l-페닐[6.6]-C61을 1,2-디클로로벤젠 용매 (50 mL)에 녹인 진한 보라색의 용액을 24시간 동안 환류하면 [5,6]이성질체가 이성질화반응을 통해 [6,6]이성질체로 변환시켰다. 온도를 상온으로 낮춘 후, 감압하에서 용매를 15 mL 정도로 농축한 후 150 mL의 메탄올 용매를 부어 석출시키고 원심분리시켰다. 이렇게 분리된 고체를 10 mL의 1,2-디클로로벤젠에 녹여 메탄올 100 mL를 주입하여 다시 석출하고 원심분리하면 순수한 {6}-l-(3-(2',2',3',3',3'-펜타플루오로프로폭시카르보닐)프로필)-{5}-l-페닐[6.6]-C61 (91%)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7.92 (d, 2H, arom, J = 7.5 Hz), 7.56-7.53 (m, 2H, arom), 7.51-7.48 (m, 1H, arom), 4.55 (t, 2H, OCH2, J = 12 Hz), 2.95-2.90 (m, 2H; PhCCH2), 2.63 (t, 2H, CH2CO2, J = 7 Hz), 2.45-2.19 (m, 2H, CH2CH2CO2).
13C-NMR 500 MHz (CDCl3 = 77.00 ppm) δ 171.36, 147.61, 145.79, 145.19, 145.15, 145.03, 144.78, 144.65, 144.50, 143.74, 143.03, 142.99, 142.91, 142.19, 142.15, 142.11, 142.10, 132.05, 128.48, 128.33, 79.70, 59.34, 59.12, 58.90, 51.59, 33.48, 33.39, 22.04.
19F-NMR (CFCl3) δ 84.24, -123.83, -123.88, -123.93.
FABMS m/z: 1029 (M+H): calcd. (C14H15F5O2), 1028.26.
[
제조예
3] 화합물
PCBPFB
[6,6]-이성질체의 제조
3,3,4,4,4-
펜타플루오로부틸
4-
벤조일부티레이트
(3,3,4,4,4-
Pentafluoro
butyl 4-
benzoylbutyrate
)의 제조
3구 10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4-벤조일부티릴산 3.00 g (15.6 mmol), 3,3,4,4,4-펜타플루오로부탄올 3.07 g (18.7 mmol) 및 진한 황산 0.31 g (3.2 mmol)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3,3,4,4,4-펜타플루오로프로필 4-벤조일부티레이트 (2.6 g, 50%)를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7.96 (d, ArH, 2H, J = 7.5 Hz), 7.55 (m, ArH, 1H), 7.47(m, ArH, 2H), 4.37 (t, -OCH2-, 1H, J = 6.5 Hz), 4.16 (t, -OCH2-, 1H, J = 6.5 Hz), 3.07 (t, -O=CH2-, 2H, J = 7 Hz), 2.47 (t, -CH2CO2-, 2H, J = 7.2 Hz), 2.17-2.04 (m, -CH2CH2CH2-, CH2CF2, 4H).
13C-NMR 500 MHz (CDCl3 = 77.00 ppm) δ 199.24, 173.01, 136.71, 133.10, 128.57, 127.94, 62.81, 37.26, 33.10, 19.86, 19.01.
19F-NMR (CFCl3) δ -86.24, 118.04.
FABMS m/z: 338 (M+H): calcd. (C14H13F5O3), 338.27.
3,3,4,4,4-
펜타플루오로부틸
4-
벤조일부티레이트
p
-
토실히드라존
(3,3,4,4,4-Pentafluorobutyl 4-
benzoylbutyrate
p
-
tosylhydrazone
)의 제조
3,3,4,4,4-펜타플루오로부필 4-벤조일부티레이트 5.00 g (14.8 mmol), p-톨로엔술포닐 하이드라자이드 (p-toluenesulfonyl hydrazide) 3.03 g (16.3 mmol)을 메탄올 (20 mL)에 용해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3,3,4,4,4-펜타플루오로프로필 4-벤조일부티레이트 p-토실히드라존 (4.20 g, 60%)를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9.14 (s, NH, 1H), 7.91 (d, HArSO2-, 2H, J = 8.5 Hz), 7.67-7.62 (m, ortho HPh, 2H), 7.37-7.33 (m, 3H), 7.28 (d, HAr SO2-, 2H, J = 8.5 Hz), 4.27 (t, -OCH2-, 2H, J = 6 Hz), 2.66-2.61 (m, -N=CCH2-, 2H), 2.40 (s, ArCH3, 3H), 2.39-2.34 (t, -CH2CO2-, 2H, J= 6.0 Hz), 2.01-1.96 (m, CH2CF2, 2H), 180-1.70 (m, -CH2CH2CH2-, 2H).
13C-NMR 500 MHz (CDCl3 = 77.00 ppm) δ 174.27, 153.55, 143.76, 136.11, 135.31, 133.112, 129.93, 129.54, 128.23, 126.17, 63.73, 32.10, 25.80, 21.54, 20.80.
19F-NMR (CFCl3) δ -81.02 (-CF3, 3F), -128.19 (-CF2-, 2F).
FABMS m/z: 507 (M+H): calcd. (C22H23F5N2O4S), 506.49.
{6}-l-(3-(3',3',4',4',4'-
펜타플루오로부톡시카르보닐
)프로필)-{5}-l-
페닐
[5.6]-C61 ({6}-l-(3-(3',3',4',4',4'-
Pentafluorobutoxycarbonyl
)
propyl
)-{5}-l- phenyl[5.6]-C61)의 제조
질소 치환된 100 mL 3구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3,3,4,4,4-펜타플루오로부틸 4-벤조일부티레이트 p-토실하이드라존 (3,3,4,4,4-Pentafluorobutyl 4-benzoylbutyrate p-tosylhydrazone, 2.03 g, 4.00 mmol)을 10 mL의 건조된 피리딘에 용해시켜 교반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갈색 고체상의 {6}-l-(3-(3',3',4',4',4'-펜타플루오로부톡시카르보닐)프로필)-{5}-l-페닐- [5.6]-C61 (370 mg, 18%)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7.92 (d, 2H, arom, J = 7.5 Hz), 7.57-7.53 (m, 2H, arom), 7.50-7.48 (m, 1H, arom), 4.15 (t, 2H, OCH2, J = 6.5 Hz), 2.14 (t, 2H, CH2CO2, J = 7 Hz), 1.93-1.90 (m, 2H, CH2CH2CF2CF3), 1.65-1.63 (m, 2H, CH2CH2CO2), 1.50-1.46 (m, 2H; PhCCH2).
{6}-l-(3-(3',3',4',4',4'-
펜타플루오로부톡시옥시카르보닐
)프로필)-{5}-l-페닐[6.6]-
C61
({6}-l-(3-(3',3',4',4',4'-
Pentafluorobutoxycarbonyl
)
propyl
)-{5}-l-
phenyl
[6.6]-
C61
) (화합물
PCBPFB
[6,6]-이성질체)의 제조
질소대기하에서 100 mL 2구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300 mg의 {6}-l-(3-(2',2',3',3',3'-펜타플루오로부톡시카르보닐)프로필)-{5}-l-페닐[6.6]-C61을 1,2-디클로로벤젠 용매 (50 mL)에 녹인 진한 보라색의 용액을 24시간 동안 환류하면 [5,6]이성질체가 이성질화반응을 통해 [6,6]이성질체로 변환시켰다. 온도를 상온으로 낮춘 후, 감압하에서 용매를 15 mL 정도로 농축한 후 150 mL의 메탄올 용매를 부어 석출시키고 원심분리시켰다. 이렇게 분리된 고체를 10 mL의 1,2-디클로로벤젠에 녹여 메탄올 100 mL를 주입하여 다시 석출하고 원심분리하면 순수한 {6}-l-(3-(2',2',3',3',3'-펜타플루오로부톡시카르보닐)-프로필)-{5}-l-페닐[6.6]-C61 (93%)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7.92 (d, 2H, arom, J = 7.5 Hz), 7.57-7.53 (m, 2H, arom), 7.50-7.48 (m, 1H, arom), 4.15 (t, 2H, OCH2, J = 6.5 Hz), 2.95-2.89 (m, 2H; PhCCH2), 2.54 (t, 2H, CH2CO2, J = 7 Hz), 2.21-2.15 (m, 2H, CH2CH2CO2), 1.97-1.94 (m, 2H, CH2CH2CF2CF3).
13C-NMR 500 MHz (CDCl3 = 77.00 ppm) δ 172.83, 148.72, 145.17, 145.13, 145.02, 144.77, 144.63, 144.48, 143.73, 143.02, 142.97, 142.91, 142.89, 142.17, 142.15, 142.10, 142.08, 137.98, 132.05, 128.43, 128.26, 79.78, 62.98, 51.74, 33.88, 33.60, 29.68, 27.75, 27.57, 27.39, 22.27, 22.15, 19.89.
19F-NMR (CFCl3) δ 80.94, -80.97, -81.0, -115.68, -115.69, -115.70, -115.71, -115.73, -115.75, -115.76, -115.78, -115.80, 115.81, -115.83, -115.84, -115.86, -117.92, -128.12, -128.13.
FABMS m/z: 1043 (M+H): calcd. (C15H17F5O2), 1042.3.
[
제조예
4] 화합물
PCBPFBZ
[6,6]-이성질체의 제조
펜타플루오로벤질
4-
벤조일부티레이트
(
Pentafluorobenzyl
4-
benzoyl
butyrate)의 제조
3구 10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4-벤조일부티릴산 3.00 g (15.61 mmol), 펜타플루오로벤질알콜 3.67 g (18.7 mmol) 및 진한 황산 0.31 g (3.2 mmol)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펜타플루오로벤질 4-벤조일부티레이트 (5.7 g, 98%)를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7.94 (d, ArH, 2H, J = 7.5 Hz), 7.55 (m, ArH, 1H), 7.47(m, ArH, 2H), 6.23 (t, CHF2, 1H, J = 5 Hz), 6.06 (t, CHF2, 1H, J= 5 Hz), 5.88 (t, CHF2, 1H, J = 5 Hz), 4.61 (t, -OCH2-, 2H, J = 13.5 Hz), 3.07 (t, -O=CH2-, 2H, J = 7 Hz), 2.57 (t, -CH2CO2-, 2H, J = 7.2 Hz), 2.14-2.09 (m, -CH2CH2CH2-, 2H).
13C-NMR 500 MHz (CDCl3 = 77.00 ppm) δ 199.32, 171.75, 136.63, 133.20, 128.59, 127.93, 59.34, 37.02, 32.64, 18.90.
19F-NMR (CFCl3) δ -120.17 ~-120.31, -132.80 ~ -122.99, -124.12 ~ -124.31, -130.14 ~ -130.32, -137.73 ~ -137.98.
FABMS m/z: 508 (M+H): calcd. (C18H14F12O3), 506.28.
펜타플루오로벤질
4-
벤조일부티레이트
p
-
토실히드라존
(
Pentafluorobenzyl
4-benzoylbutyrate
p
-
tosylhydrazone
)의 제조
펜타플루오로벤질 4-벤조일부티레이트 5.00 g (13.4 mmol), p-톨로엔술포닐 하이드라자이드 (p-toluenesulfonyl hydrazide) 2.75 g (14.8 mmol)을 메탄올 (20 mL)에 용해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펜타플루오로벤질 4-벤조일부티레이트 p-토실히드라존 (6.30 g, 90%)를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8.99 (s, NH, 1H), 7.91 (d, HArSO2-, 2H, J= 8.5 Hz), 7.66-7.62 (m, orthoHPh, 2H), 7.36-7.33 (m, 3H), 7.28 (d, HAr SO2-, 2H, J = 8.5 Hz), 5.31 (s, -OCH2-, 2H), 2.67-2.61 (m, -N=CCH2-, 2H), 2.41 (s, ArCH3, 3H), 2.40-2.35 (t, -CH2CO2-, 2H, J = 6.0 Hz), 1.77-1.70 (m, -CH2CH2CH2-, 2H).
13C-NMR 500 MHz (CDCl3 = 77.00 ppm) δ 173.61, 153.62, 143.86, 136.07, 135.83, 133.14, 129.93, 129.54, 128.23, 126.17, 53.94, 32.08, 25.73, 21.57, 20.71.
19F-NMR (CFCl3) δ -142.27 (ArF, 2F), 152.48 (ArF, 1F), 161.75 (ArF, 2F).
FABMS m/z: 541 (M+H): calcd. (C25H21F5N2O4S), 540.5.
{6}-l-(3-(
펜타플루오로벤족시카르보닐
)프로필)-{5}-l-
페닐
[5.6]-
C61
({6}-l-(3-(Pentafluorobenzoxycarbonyl)propyl)-{5}-l-phenyl[5.6]-C61)의 합성
질소 치환된 100 mL 3구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펜타플루오로벤질 4-벤조일부티레이트 p-토실하이드라존 (Pentafluorobenzyl 4-benzoylbutyrate p-tosylhydrazone, 2.16 g, 4.00 mmol)을 10 mL의 건조된 피리딘에 용해시켜 교반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갈색 고체상의 {6}-l-(3-(펜타플루오로벤족시카르보닐)프로필)-{5}-l-페닐-[5.6]-C61 (290 mg, 14%)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8.99 (s, NH, 1H), 7.91 (d, HArSO2-, 2H, J = 8.5 Hz), 7.66-7.62 (m, ortho HPh, 2H), 7.36-7.33 (m, 3H), 7.28 (d, HAr SO2-, 2H, J = 8.5 Hz), 5.31 (s, -OCH2-, 2H), 2.67-2.61 (m, -N=CCH2-, 2H), 2.41 (s, ArCH3, 3H), 2.40-2.35 (t, -CH2CO2-, 2H, J = 6.0 Hz), 1.77-1.70 (m, -CH2CH2CH2-, 2H).
13C-NMR 500 MHz (CDCl3 = 77.00 ppm) δ 173.61, 153.62, 143.86, 136.07, 135.83, 133.14, 129.93, 129.54, 128.23, 126.17, 53.94, 32.08, 25.73, 21.57, 20.71.
19F-NMR (CFCl3) δ -142.27 (ArF, 2F), 152.48 (ArF, 1F), 161.75 (ArF, 2F).
FABMS m/z: 541 (M+H): calcd. (C25H21F5N2O4S), 540.5.
{6}-l-(3-(
펜타플루오로벤족시옥시카르보닐
)프로필)-{5}-l-
페닐
[6.6]-
C61
({6}-l-(3-(Pentafluorobenzoxycarbonyl)propyl)-{5}-l-phenyl[6.6]-C61) (화합물 PCBPFBZ [6,6]-이성질체)의 제조
질소대기하에서 100 mL 2구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250 mg의 {6}-l-(3-(펜타플루오로벤족시카르보닐)프로필)-{5}-l-페닐[6.6]-C61을 1,2-디클로로벤젠 용매 (50 mL)에 녹인 진한 보라색의 용액을 24시간 동안 환류하면 [5,6]이성질체가 이성질화 반응을 통해 [6,6]이성질체로 변환시켰다. 온도를 상온으로 낮춘 후, 감압하에서 용매를 15 mL 정도로 농축한 후 150 mL의 메탄올 용매를 부어 석출시키고 원심분리시켰다. 이렇게 분리된 고체를 10 mL의 1,2-디클로로벤젠에 녹여 메탄올 100 mL를 주입하여 다시 석출하고 원심분리하면 순수한 {6}-l-(3-(펜타플루오로벤족시카르보닐)-프로필)-{5}-l-페닐[6.6]-C61 (89%)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7.93 (d, 2H, arom, J = 7.5 Hz), 7.57-7.52 (m, 2H, arom), 7.49-7.44 (m, 1H, arom), 5.20 (s, 2H, OCH2), 2.18 (t, 2H, CH2CO2, J = 7 Hz), 1.62-1.61(m, 2H, CH2CH2CO2), 1.50-1.47 (m, 2H; PhCCH2).
[
제조예
5] 화합물
PCBDDFH
[6,6]-이성질체의 제조
3,3,4,4,5,5,6,6,7,7,7-
도데카플루오로헵틸
4-
벤조일부티레이트
(3,3,4,4,5,5, 6,6,7,7,7-
Dodecafluoroheptyl
4-
benzoylbutyrate
)의 제조
3구 10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4-벤조일부티릴산 10.0 g (52.0 mmol), 3,3,4,4,5,5,6,6,7,7,7-도데카플루오로헵탄올 17.8 g (62.4 mmol) 및 진한 황산 1.27 g (13.0 mmol)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3,3,4,4,5,5,6,6,7,7,7-도데카플루오로헵틸 4-벤조일부티레이트 (19 g, 73%)를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7.94 (d, ArH, 2H, J = 7.5 Hz), 7.55 (m, ArH, 1H), 7.47(m, ArH, 2H), 6.23 (t, CHF2, 1H, J = 5 Hz), 6.06 (t, CHF2, 1H, J= 5 Hz), 5.88 (t, CHF2, 1H, J = 5 Hz), 4.61 (t, -OCH2-, 2H, J = 13.5 Hz), 3.07 (t, -O=CH2-, 2H, J = 7 Hz), 2.57 (t, -CH2CO2-, 2H, J = 7.2 Hz), 2.14-2.09 (m, -CH2CH2CH2-, 2H).
13C-NMR500 MHz (CDCl3 = 77.00 ppm) δ 199.32, 171.75, 136.63, 133.20, 128.59, 127.93, 59.34, 37.02, 32.64, 18.90.
19F-NMR (CFCl3) δ -120.17 ~-120.31, -132.80 ~ -122.99, -124.12 ~ -124.31, -130.14 ~ -130.32, -137.73 ~ -137.98.
FABMS m/z: 508 (M+H): calcd. (C18H14F12O3), 506.28.
3,3,4,4,5,5,6,6,7,7,7-
도데카플루오로헵틸
4-
벤조일부티레이트
p
-
토실히드라존
(3,3,4,4,5,5,6,6,7,7,7-
Dodecafluoroheptyl
4-
benzoylbutyrate
p
-
tosyl
hydrazone)의 제조
3,3,4,4,5,5,6,6,7,7,7-도데카플루오로헵틸 4-벤조일부티레이트 10.0 g (19.8 mmol), p-톨로엔술포닐 하이드라자이드 (p-toluenesulfonyl hydrazide) 4.41 g (23.7 mmol)을 메탄올 (20 mL)에 용해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3,3,4,4,5,5,6,6,7,7,7-도데카플루오로헵틸 4-벤조일부티레이트 p-토실히 드라존 (7.00 g, 54%)를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1H-NMR 300 MHz (CDCl3) δ 8.82 (s, NH, 1H), 7.91 (d, HArSO2-, 2H, J = 8.5 Hz), 7.66-7.62 (m, ortho HPh, 2H), 7.36-7.33 (m, 3H), 7.28 (d, HAr SO2-, 2H, J = 8.5 Hz), 6.07 (m, -CF2H, 1H), 4.68 (s, -OCH2-, 2H), 2.67-2.61 (m, -N=CCH2-, 2H), 2.50-2.46 (t, -CH2CO2-, 2H, J = 6.0 Hz), 2.41 (s, ArCH3, 3H), 1.78-1.73 (m, -CH2CH2CH2-, 2H).
13C-NMR 500 MHz (CDCl3 = 77.00 ppm) δ 173.51, 162.32, 141.64, 136.75, 134.10, 131.71, 129.43, 129.25, 128.90, 127.22, 122.58, 117.63, 115.34, 114.15, 114.51, 112.11, 62.72, 34.0 24.30, 22.66, 18.56.
FABMS m/z: 675 (M+H): calcd. (C25H21F5N2O4S), 674.5.
{6}-l-(3-(3',3',4',4',5',5',6',6',7',7',7'-
도데카플루오로헵틸옥시카르보닐
)프로필)-{5}-l-
페닐
[5.6]-
C61
({6}-l-(3-(3',3',4',4',5',5',6',6',7',7',7'-Dodecafluoro
heptyloxycarbonyl
)
propyl
)-{5}-l-
phenyl
[5.6]-
C61
)의 제조
질소 치환된 100 mL 3구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3,3,4,4,5,5,6,6,7,7,7-도데카플루오로헵틸 p-토실하이드라존 (3,3,4,4,5,5,6,6,7,7,7-dodecafluoroheptyl 4-benzoylbutyrate p-tosylhydrazone, 2.70 g, 4.00 mmol)을 10 mL의 건조된 피리딘 에 용해시켜 교반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갈색 고체상의 {6}-l-(3-(3',3',4',4',5',5',6',6',7',7',7'-도데카플루오로헵틸옥시카르보닐)프로필)-{5}-l-페닐[5.6]-C61 (290 mg, 14%)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7.93 (d, 2H, arom, J = 7.5 Hz), 7.59-7.56 (m, 2H, arom), 7.49-7.45 (m, 1H, arom), 5.89 (m, -CF2H, 1H), 4.86 (s, 2H, OCH2), 2.10 (t, 2H, CH2CO2, J = 7 Hz), 1.63-1.61 (m, 2H, CH2CH2CO2), 1.51-1.47 (m, 2H; PhCCH2).
{6}-l-(3-(3',3',4',4',5',5',6',6',7',7',7'-
도데카플루오로헵틸옥시카르보닐
)프로필)-{5}-l-
페닐
[6.6]-
C61
({6}-l-(3-(3',3',4',4',5',5',6',6',7',7',7'-Dodecafluoro
heptyloxycarbonyl
)
propyl
)-{5}-l-
phenyl
[6.6]-
C61
) (화합물
PCBDDFH
[6,6]-이성질체)의 제조
질소대기하에서 100 mL 2구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250 mg의 {6}-l-(3-(3',3',4',4',5',5',6',6',7',7',7'-도데카플루오로헵틸옥시카르보닐)프로필)-{5}-l-페닐[6.6]-C61을 1,2-디클로로벤젠 용매 (50 mL)에 녹인 진한 보라색의 용액을 24시간 동안 환류하면 [5,6]이성질체가 이성질화반응을 통해 [6,6]이성질체로 변환시켰다. 온도를 상온으로 낮춘 후, 감압하에서 용매를 15 mL 정도로 농축한 후 150 mL의 메탄올 용매를 부어 석출시키고 원심분리시켰다. 이렇게 분리된 고체를 10 mL 의 1,2-디클로로벤젠에 녹여 메탄올 100 mL를 주입하여 다시 석출하고 원심분리하면 순수한 {6}-l-(3-(3',3',4',4',5',5',6',6',7',7',7'-도데카플루오로헵틸옥시카르보닐)-프로필)-{5}-l-페닐[6.6]-C61 (91%)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7.93 (d, 2H, arom, J = 7.5 Hz), 7.59-7.56 (m, 2H, arom), 7.49-7.45 (m, 1H, arom), 5.99 (m, -CF2H, 1H), 4.49 (s, 2H, OCH2), 2.87-2.85 (m, 2H; PhCCH2), 2.56 (t, 2H, CH2CO2, J = 7 Hz), 2.20-2.17(m, 2H, CH2CH2CO2), 1.97-1.94 (m, 2H, -CH2CF2-).
13C-NMR 500 MHz (CDCl3 = 77.00 ppm) δ 173.16, 148.67, 147.32, 145.19, 145.78, 145.03, 144.88, 144.75, 144.60, 143.14, 143.13, 142.99, 142.92, 142.29, 142.25, 142.21, 142.20, 132.08, 128.40, 128.21, 79.85, 59.34, 59.12, 58.90, 51.59, 33.48, 33.61, 22.38.
19F-NMR (CFCl3) δ 84.24, -123.83, -123.88, -123.93.
FABMS m/z: 1211 (M+H): calcd. (C14H15F5O2), 1210.3.
[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메타노플러렌
화합물의 광학적 특성 및 전기화학적 특성
본 발명의 상기 제조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불소화된 메타노플러렌 화합물(PCBTFE, PCBPFP, PCBPFB, PCBPFBZ 및 PCBDDFH)의 광학적 특성을 관찰하기 위해 UV/Vis 분광기와 PL 분광기를 이용하여 도 2 및 도 3에 UV 흡수 스펙트럼 및 PL 스펙트럼을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제조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불소화된 메타노플러렌 화합물(PCBTFE, PCBPFP, PCBPFB, PCBPFBZ 및 PCBDDFH)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관찰하기 위해 Cyclovoltameter를 이용한 산화/환원 특성을 관찰하였다. CV 장비는 BAS 100 cyclovoltametry를 이용하였으며, 전해질로는 0.1M의 Bu4NBF4를 아세토니트릴 용매를 사용하였고, 시료는 10-3M의 농도로 1,2,-디클로로벤젠에 녹였다. 상온에서 Ar하에서 100 mW/s의 스캔속도로 측정하였고, 유리탄소전극 (직경 0.3mm)을 워킹 전극으로 사용하였으며, Pt과 Ag/AgCl 전극을 카운터 전극과 레퍼런스 전극으로 사용하여 그 결과를 도 4에 도시하였다.
도 2의 UV 흡수 스펙트럼상에서 본 발명의 불소화된 메타노플러렌 유도체들은 기존의 PCBM ([6,6] phenyl-C61-butyric acid methyl ester), methanofullerene의 일종)과 거의 동일한 흡수특성을 보여주었고, 도 3의 PL 스펙트럼상에서는 거의 동일한 파장에서 발광특성을 보여주었으나, 상대적으로 발광효율이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메타노플러렌 화합물은 PCBM 대비 보다 용이하게 흡수된 빛 또는 전기에너지를 전극 쪽으로 전달할 가능성이 있음 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4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메타노플러렌 화합물들은 0V에서 -2.0V의 구간에서 PCBM과 유사한 3개의 quasireversible 환원 준위들을 보여주었는데, PCBM대비 다소 양의 값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도입된 불소기의 electron withdrawing 특성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다 전자 친화도가 우수하여 전자를 받을 수 있는 특성이 우수하고, 이를 통해 보다 우수한 n-형 유기반도체 재료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전자의 이송특성도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메타노플러렌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태양전지 소자 제작 및 에너지 변환효율 측정
세척된 ITO 유리기판 상에 PEDOT-PSS (Bayer Baytron P, Al 4083)을 40 nm정도 스핀코팅한 후, 폴리(3-헥실티오펜) [Poly-3-(hexylthiophene)]과 본 발명에서 제조된 불소치환된 C60 유도체 (PCBTFE, PCBPFP, PCBPFB, PCBPFBZ 및 PCBDDFH) 중의 한 가지를 선택하여 1,2-디클로로벤젠이나 클로로벤젠, 클로로포름 단독 혹은 이들의 혼합용매에 녹여 스핀코팅 등의 방법을 통해 유기 박막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형성된 유기막 위에 LiF/Al을 전극으로 진공 하에서 증착한 후, 흡습제를 부착한 유리 캡으로 봉지하였다.
일반적으로 태양전지의 에너지 변화효율 (PCE, power conversion efficiency)는 하기 수학식 1을 통하여 구할 수 있다.
[수학식 1]
[상기 수학식 1에서,
Voc는 open circuit voltage (V)로서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에서의 전압을 나타내며;
Jsc는 short circuit current (mA/cm2)로서 0 V에서의 전류밀도를 나타내며;
FF는 fill factor로서 최대 전력치를 Voc와 Jsc의 곱으로 나눈 값이며;
Pinc는 쪼여준 빛의 세기 (mW/cm2)를 나타낸다.]
[표 1] P3HT와의 혼합을 통해 제작된 유기태양전지 소자의 특성 비교.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불소화된 메타노플러렌 화합물을 이용한 소자의 경우, 별도의 annealing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기존의 PCBM 대비 높은 효율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1과 3의 전자받게 재료를 이용할 경우 3.2% 이상의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
실시예
3] 본 발명에 따른
메타노플러렌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태양전지 소자의
annealing
및 열적 안정성 비교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작된 유기태양전지 소자의 annealing을 통한 특성변화와 열적 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해 150 ℃에서 각각 5분, 15분, 30분, 60분간 열처리한 후, 소자의 I-V 특성을 조사하였다. PCBM의 경우, 열처리전에 1.8%의 에너지변환효율을 보여주었으며, 150 ℃에서 열처리 시간을 늘려줌에 따라 각각 3.1%, 2.2%, 1.4%로 5분간 처리하였을때 가장 높은 효율을 보여준 후 점차 감소하는 특성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불소화된 메타노플러렌 유도체들의 경우 열처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Voc는 다소 증가하였으며, 60분 처리후에도 거의 유사한 에너지 변환효율을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중에서 PCBTFE (제조예 1)과 PCBPFB (제조예 3)의 재료를 이용한 실험결과를 각각 도 6 및 도 7에 도시하였다.
[
실시예
4] 본 발명에 따른
메타노플러렌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태양전지 소자의
annealing
전/후의 표면 변화 비교
실시예 2에서 제작된 유기태양전지 소자 중에서 제조예 3의 PCBPFB 화합물을 재료로 이용한 소자와 PCBM을 이용한 소자의 annealing 전/후의 표면을 AFM을 이용 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다. 상기 실험을 통해, 본 발명의 불소화된 메타노플러렌 유도체들의 경우, PCBM대비 보다 표면 거칠기가 적었으며, annealing시 30 분까지 미세한 변화만이 관측되었다. 하지만, PCBM을 이용한 경우, 동일조건에서의 열처리를 거친 경우, 표면의 거칠기 변화가 보다 급격하게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서 15 분 이후의 열처리 후 소자특성이 나빠지는 현상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도 1 - 불소기의 도입을 통해 전자받게 재료간의 응집을 개선할 수 있는 모식도
도 2 - 제조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불소기를 갖는 메타노플러렌 유도체들(PCBTFE, PCBPFP, PCBPFB, PCBPFBZ 및 PCBDDFH)과 PCBM의 UV 흡수 스펙트럼
도 3 - 제조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불소기를 갖는 메타노플러렌 유도체들(PCBTFE, PCBPFP, PCBPFB, PCBPFBZ 및 PCBDDFH)과 PCBM의 PL 스펙트럼
도 4 - 제조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불소기를 갖는 메타노플러렌 유도체들(PCBTFE, PCBPFP, PCBPFB 및 PCBPFBZ)과 PCBM의 CV를 통한 전기화학적 특성
도 5 - 제조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불소기를 갖는 메타노플러렌 유도체들(PCBTFE, PCBPFP, PCBPFB, PCBPFBZ 및 PCBDDFH)과 PCBM을 전자받게로 이용한 유기태양전지 소자의 전류-전압 곡선
도 6 - 전자받게 재료로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메타노플러렌 화합물(PCBTFE)과 P3HT를 이용한 소자의 annealing 시간별 전류-전압 곡선의 변화
도 7 - 전자받게 재료로 제조예 3에서 제조된 메타노플러렌 화합물(PCBPFB)과 P3HT를 이용한 소자의 annealing 시간별 전류-전압 곡선의 변화
도 8 - 전자받게 재료로 제조예 3에서 제조된 메타노플러렌 화합물(PCBPFB)과 PCBM을 이용한 소자의 annealing 시간별 AFM을 이용한 표면 특성 분석 결과 ((a), (b), (c) 및 (d) : P3HT/PCBM film에서 annealing time 0, 5, 15 및 60분; (e), (f), (g) 및 (h) : P3HT/PCBPFB(제조예 3) film에서 annealing time 0, 5, 15 및 60분)
Claims (6)
-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메타노플러렌 화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메타노플렌 화합물의 자기조립을 위한 어닐링 공정을 채용하지 않는 유기전자소자.[화학식 1][상기 식에서,R1은 (C6-C30)아릴 또는 (C4-C30)헤테로아릴이고, 상기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은 직쇄 또는 분쇄의 (C1-C30)알킬, (C1-C30)알콕시, (C6-C30)아릴, (C6-C30)아르(C1-C30)알킬, (C1-C30)알킬(C6-C30)아릴, (C6-C30)아르(C1-C30)알콕시, (C4-C30)헤테로아릴, 히드록시, 카르복실, 아미노, 모노 또는 디 (C1-C30)알킬아미노, (C1-C30)알킬카보닐, (C1-C30)알콕시카보닐, 벤조일, 페녹시, 시아노, 니트로 또는 불소기로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더 치환될 수 있으며, 상기 알킬, 알콕시, 아릴, 아르알킬, 아르알콕시, 헤테로아릴, 알킬카보닐 또는 알콕시카보닐은 하나 이상의 불소기로 더 치환될 수 있으며;R2는 하나 이상의 불소기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쇄의 (C1-C30)알킬, 하나 이상의 불소기로 치환된 (C6-C30)아릴, 하나 이상의 불소기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쇄의 (C1-C30)알킬(C6-C30)아릴, 하나 이상의 불소기로 치환된 (C6-C30)아르(C1-C30)알킬, 하나 이상의 불소기로 치환된 (C4-C30)헤테로아릴 또는 하나 이상의 불소기로 치환된 (C4-C30)헤테로아릴(C1-C30)알킬이며;A는 플러렌 (fullerene) 유도체로서 C60, C72, C76, C78 또는 C84 이며;n은 1 내지 7의 정수이다.]
- 제 1항에 있어서,R2는 하나 이상의 불소기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쇄의 (C1-C30)알킬, 하나 이상의 불소기로 치환된 (C6-C30)아릴 또는 하나 이상의 불소기로 치환된 (C6-C30)아르(C1-C30)알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자소자.
- 제 1항 내지 제 5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유기전자소자는 유기발광소자, 유기태양전지, 유기감광체 (OPC), 유기메모리 및 유기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자소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2300A KR20090061613A (ko) | 2009-05-14 | 2009-05-14 | 불소기로 치환된 메타노플러렌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소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2300A KR20090061613A (ko) | 2009-05-14 | 2009-05-14 | 불소기로 치환된 메타노플러렌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소자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57423A Division KR100907753B1 (ko) | 2007-06-12 | 2007-06-12 | 불소기로 치환된 메타노플러렌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유기전자소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61613A true KR20090061613A (ko) | 2009-06-16 |
Family
ID=40991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42300A Withdrawn KR20090061613A (ko) | 2009-05-14 | 2009-05-14 | 불소기로 치환된 메타노플러렌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소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61613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659010B2 (en) | 2011-08-30 | 2014-02-25 | Samsung Display Co., Ltd. | Photo luminescence diode and photoluminescence diplay having the same |
KR101458565B1 (ko) * | 2013-10-10 | 2014-11-10 |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 유기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1493823B1 (ko) * | 2014-09-05 | 2015-02-25 | 한국화학연구원 | 플러렌 이합체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유기 전자 소자 |
US9282612B2 (en) | 2011-09-23 | 2016-03-08 | Samsung Display Co., Ltd. | Dual mod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pixel circuit including the same |
JP2019189626A (ja) * | 2016-08-10 | 2019-10-31 | 昭和電工株式会社 | 化合物およびフラーレン誘導体の製造方法 |
-
2009
- 2009-05-14 KR KR1020090042300A patent/KR20090061613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659010B2 (en) | 2011-08-30 | 2014-02-25 | Samsung Display Co., Ltd. | Photo luminescence diode and photoluminescence diplay having the same |
US9282612B2 (en) | 2011-09-23 | 2016-03-08 | Samsung Display Co., Ltd. | Dual mod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pixel circuit including the same |
KR101458565B1 (ko) * | 2013-10-10 | 2014-11-10 |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 유기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1493823B1 (ko) * | 2014-09-05 | 2015-02-25 | 한국화학연구원 | 플러렌 이합체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유기 전자 소자 |
JP2019189626A (ja) * | 2016-08-10 | 2019-10-31 | 昭和電工株式会社 | 化合物およびフラーレン誘導体の製造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Yang et al. | Stable organic diradicals based on fused quinoidal oligothiophene imides with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 |
Zheng et al. | Synthesis of ladder-type thienoacenes and their electronic and optical properties | |
Gao et al. | Core-expanded naphthalene diimides fused with 2-(1, 3-dithiol-2-ylidene) malonitrile groups for high-performance, ambient-stable, solution-processed n-channel organic thin film transistors | |
Cai et al. | New donor–acceptor–donor molecules with pechmann dye as the core moiety for solution-processed good-performance organic field-effect transistors | |
TWI421246B (zh) | 共軛系化合物、含氮稠環化合物、含氮稠環聚合物、有機薄膜及有機薄膜元件 | |
ES2875962T3 (es) | Material orgánico fotoactivo para componentes optoelectrónicos | |
Huang et al. | Dithienopyrrolobenzotriazole-based organic dyes with high molar extinction coefficient for efficient dye-sensitized solar cells | |
EP2361915A1 (en) | Novel heterocyclic compound and use thereof | |
Domínguez et al. | Pyrrolo [3, 2‐b] pyrrole as the Central Core of the Electron Donor for Solution‐Processed Organic Solar Cells | |
Liao et al. | Novel D–A–D type dyes based on BODIPY platform for solution processed organic solar cells | |
Zhang et al. | Star-shaped carbazole-based BODIPY derivatives with improved hole transportation and near-infrared absorption for small-molecule organic solar cells with high open-circuit voltages | |
Shiau et al. | Star-shaped organic semiconductors with planar triazine core and diketopyrrolopyrrole branches for solution-processed small-molecule organic solar cells | |
JP5416282B2 (ja) | 硫黄含有複素環が縮合したナフタレンテトラカルボン酸ジイミド誘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と応用 | |
Chen et al. | Catalyst-free one-pot synthesis of unsymmetrical five-and six-membered sulfur-annulated heterocyclic perylene diimides for electron-transporting property | |
Chang et al. | Multifunctional quinoxaline containing small molecules with multiple electron-donating moieties: Solvatochromic and optoelectronic properties | |
Wu et al. | 2, 2-Dicyanovinyl-end-capped oligothiophenes as electron acceptor in solution processed bulk-heterojunction organic solar cells | |
Lee et al. | Facile synthesis of spiro-core-based hole-transporting material for high-performance and stable perovskite solar cells | |
Mirloup et al. | A deep-purple-grey thiophene–benzothiadiazole–thiophene BODIPY dye for solution-processed solar cells | |
Paramasivam et al. | Funnel shaped molecules containing benzo/pyrido [1, 2, 5] thiadiazole functionalities as peripheral acceptors for organic photovoltaic applications | |
JP2007091714A (ja) | 新規な窒素系半導体化合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有機薄膜トランジスタ、有機太陽光電池および有機電界発光素子 | |
Wu et al. | Synthesis, structures, and properties of thieno [3, 2-b] thiophene and dithiophene bridged isoindigo derivatives and their organic field-effect transistors performance | |
Ali et al. | Dithieno [3, 2-b: 2′, 3′-d] thiophene (DTT): An emerging heterocyclic building block for future organic electronic materials & functional supramolecular chemistry | |
Yang et al. | The influence of intramolecular noncovalent interactions in unsymmetrical squaraines on material properties, film morphology and photovoltaic performance | |
Somasundaram et al. | Triphenylamine and benzothiadiazole-based DA-A’and A’-ADDA-A’type small molecules for solution-processed organic solar cells | |
Lin et al. | [2.2] Paracyclophane-based hole-transporting materials for perovskite solar cell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90514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