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4733A - Manufacturing method of solar cell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method of solar cel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54733A KR20090054733A KR1020070121566A KR20070121566A KR20090054733A KR 20090054733 A KR20090054733 A KR 20090054733A KR 1020070121566 A KR1020070121566 A KR 1020070121566A KR 20070121566 A KR20070121566 A KR 20070121566A KR 20090054733 A KR20090054733 A KR 2009005473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lar cell
- substrate
- plasma
- forming
- electro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9832 plasma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3667 anti-refl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21417 amorphous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21420 polycrystalline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21421 monocrystalline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4381 surface treatment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2513 implant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4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310 reflect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29 chemical vapou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50 screen-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MYMOFIZGZYHOMD-UHFFFAOYSA-N Dioxygen Chemical compound O=O MYMOFIZGZYHOM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409201 Lui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81 Si3N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9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AZDRQVAHHNSJOQ-UHFFFAOYSA-N alumane Chemical group [AlH3] AZDRQVAHHNSJO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7 antimon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5 arseni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6 bo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5 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882 di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19 dop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3 gall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478 group 5 elemen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8 in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RLOWWWKZYUNIDI-UHFFFAOYSA-N phosphinic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P=O RLOWWWKZYUNI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15 recomb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798 recomb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HQVNEWCFYHHQES-UHFFFAOYSA-N silicon nitride Chemical compound N12[Si]34N5[Si]62N3[Si]51N64 HQVNEWCFYHHQE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44 sputte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71/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즈마 표면 처리를 이용한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제1도전형의 불순물이 도핑된 태양전지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태양전지 기판 전면을 플라즈마 처리하여 태양광에 대한 반사도를 저감시키는 단계; (c) 상기 제1도전형과 반대 도전형인 제2도전형의 불순물을 상기 태양전지 전면에 주입하여 에미터층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태양전지 기판의 전면을 플라즈마 처리하여 데드 레이어(dead layer)를 감소시키는 단계; (e) 상기 태양전지 기판의 후면을 플라즈마 처리하여 기판 후면에 에미터층 형성 시 형성된 제2도전형의 불순물 주입층을 제거함과 동시에 기판 후면을 평탄화하는 단계; (f) 상기 태양전지 기판의 전면에 반사방지막을 형성하는 단계; (g) 상기 반사방지막을 관통하여 전면 전극을 상기 에미터층에 콘택시키는 단계; 및 (h) 상기 태양전지 기판 후면에 후면 전극을 콘택시키고, 후면 전극과 접하는 기판 후면에 BSF(back surface field)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using a plasma surface treatment, comprising: (a) preparing a solar cell substrate doped with impurities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b) plasma reflecting the entire surface of the solar cell substrate to reduce reflectance to sunlight; (c) forming an emitter layer by implanting impurities of a second conductivity type opposite to the first conductivity type onto the solar cell; (d) plasma processing the entire surface of the solar cell substrate to reduce dead layers; (e) plasma-processing the rear surface of the solar cell substrate to remove the second conductive type impurity implantation layer formed when the emitter layer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simultaneously planarize the rear surface of the substrate; (f) forming an anti-reflection film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olar cell substrate; (g) contacting the front electrode to the emitter layer through the antireflection film; And (h) contacting a rear electrode on the rear surface of the solar cell substrate, and forming a back surface field (BSF)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bstrate in contact with the rear electrode.
Description
본 발명은 태양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전지의 제조 공정에서 태양전지 기판의 전면과 후면을 플라즈마 처리하여 태양전지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라즈마 표면 처리를 이용한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ar cel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using a plasma surface treatment that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by plasma-processing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olar cell substrate in the solar cell manufacturing process. It is about.
최근 석유나 석탄과 같은 기존 에너지 자원의 고갈이 예측되면서 이들을 대체할 대체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태양 에너지는 에너지 자원이 풍부하고 환경오염에 대한 문제점이 없어 특히 주목받고 있다. 태양 에너지의 이용방법으로는 태양열을 이용하여 터빈을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증기를 발생시키는 태양열 에너지와, 반도체의 성질을 이용하여 태양광(photons)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광 에너지가 있으며, 태양광 에너지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태양광 전지(이하, '태양전지'라 함)를 일컫는다.Recently, as the prediction of depletion of existing energy sources such as oil and coal is increasing, interest in alternative energy to replace them is increasing. Among them, solar energy is particularly attracting attention because it is rich in energy resources and has no problems with environmental pollution. There are two methods of using solar energy: solar energy that generates steam required to rotate turbines using solar heat, and solar energy that converts photons into electrical energy using the properties of semiconductors. In general, it refers to a solar cel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olar cell").
태양전지의 기본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 1을 참조하면, 태양전지는 다이오드와 같이 p형 반도체(101)와 n형 반도체(102)의 접합 구조를 가지며, 태양전지에 빛이 입사되면 빛과 태양전지의 반도체를 구성하는 물질과의 상호 작용으로 (-) 전하 를 띤 전자와 전자가 빠져나가 (+) 전하를 띤 정공이 발생하여 이들이 이동하면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를 광기전력효과(光起電力效果, photovoltaic effect)라 하는데, 태양전지를 구성하는 p형(101) 및 n형 반도체(102) 중 전자는 n형 반도체(102) 쪽으로, 정공은 p형 반도체(101) 쪽으로 끌어 당겨져 각각 n형 반도체(101) 및 p형 반도체(102)와 접합된 전극(103, 104)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전극(103, 104)들을 전선으로 연결하면 전기가 흐르므로 전력을 얻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showing the basic structure of a solar cell, a solar cell has a junction structure of a p-
태양전지의 출력 특성은 태양전지의 출력전류-전압곡선을 측정하여 평가한다. 출력전류-전압 곡선 상에서 출력전류 Ip와 출력전압 Vp의 곱 Ip×Vp가 최대가 되는 점을 최대출력 Pm이라 정의하고, 최대출력 Pm을 태양전지로 입사하는 총 광에너지(S×I: S는 소자면적, I는 태양전지에 조사되는 광의 강도)로 나눈 값을 변환효율 η로 정의한다. 변환효율 η를 높이기 위해서는 단락전류 Jsc(출력전류-전압 곡선 상에서 V=0 일 때의 출력전류) 또는 개방전압 Voc(출력전류-전압 곡선 상에서 I=0일 때의 출력전압)를 높이거나 출력전류-전압곡선의 각형에 가까운 정도를 나타내는 충실도(fill factor)를 높여야 한다. 충실도의 값이 1에 가까울수록 출력전류-전압곡선이 이상적인 각형에 근접하게 되고, 변환효율 η도 높아지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solar cell are evaluated by measuring the output current-voltage curve of the solar cell. The maximum output Pm is defined as the point where the product Ip × Vp of the output current Ip and the output voltage Vp becomes maximum on the output current-voltage curve, and the total light energy incident on the solar cell (S × I: S is The element area, I, is defined as the conversion efficiency η divided by the intensity of light irradiated to the solar cell. To increase the conversion efficiency η, increase the short-circuit current Jsc (output current when V = 0 on the output current-voltage curve) or open voltage Voc (output voltage when I = 0 on the output current-voltage curve) or output current. Increase the fill factor, which represents the square of the voltage curve. The closer the fidelity value is to 1, the closer the output current-voltage curve is to the ideal square and the higher the conversion efficiency η.
태양전지 제조 시 주로 사용되는 실리콘 기판은 경면 가공이 되어 있어 태양광에 대한 반사도가 높다. 따라서, 태양광 입사면 측에서 태양광의 반사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공정을 적용하여 태양전지를 제조해야만 소망하는 광전변환 효율을 갖는 태양전지의 제조가 가능하다.Silicon substrates, which are mainly used in solar cell manufacturing, are mirror-finished so they reflect high sunligh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solar cell having a desired photoelectric conversion efficiency only by manufacturing a solar cell by applying a process capable of reducing the reflectance of sunlight on the solar incident surface side.
또한, 태양전지 기판의 p-n 접합은 p형 또는 n형의 불순물이 도핑된 태양전지 기판을 확산로(diffusion furnace)에 넣고 상기 기판과 다른 도전형을 형성할 수 있는 가스를 확산로에 주입한 후 이를 태양전지 기판의 표면에 확산시켜 에미터층을 형성함에 의해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pn junction of the solar cell substrate is a solar cell substrate doped with a p-type or n-type impurities into a diffusion furnace and injecting a gas that can form a different conductivity type from the substrate after the injection into the diffusion furnace This is done by diffusing the surface of the solar cell substrate to form an emitter layer.
종래에는 p-n 접합 형성 시에 전면 전극과 기판 간의 콘택 특성을 향상시키고, 높은 전류 수집율을 얻을 수 있는 쉘로우(shallow) 접합을 형성하기 위해 불순물을 과도하게 도핑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경우, 에미터층의 최상층부(이하, '데드 레이어(dead layer)'라 명명함)는 도핑된 불순물의 농도가 실리콘 반도체 내에서의 고체 용해도 이상으로 증가하게 된다. 참고로, 데드 레이어는 대략 50 내지 200 ㎚ 정도의 두께를 갖는다. 그 결과, 에미터층 표면 부근에서 캐리어의 이동도가 감소하고 과도한 불순물과의 산란 영향으로 인해 캐리어의 재결합 속도가 증가하고 캐리어의 라이프 타임(life time)이 감소하는 문제가 유발되었다.Conventionally, there is a tendency to excessively dopants to form a shallow junction to improve the contact characteristics between the front electrode and the substrate and to obtain a high current collection rate when forming the p-n junction. In this case, the top layer of the emitter lay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dead layer') causes the concentration of the doped impurities to increase beyond the solid solubility in the silicon semiconductor. For reference, the dead layer has a thickness of about 50 to 200 nm.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obility of the carrier is reduced near the emitter layer surface and the scattering effect with excessive impurities increases the recombination rate of the carrier and decreases the life time of the carrier.
또한, 불순물의 확산을 통해 p-n 접합이 형성된 후에는 태양전지 기판의 표면 전체에 동일한 도전형이 형성되어 이후 형성되는 전면 전극 및 후면 전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태양전지의 효율감소의 원인이 된다. 종래에는 이를 막기 위해 태양전지 기판의 측단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다른 도전형의 불순물 주입층을 기계적인 스크라이빙이나, 레이저를 이용하여 제거하였다. 그런데, 기계적인 스크라이빙을 이용할 경우, 공정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고, 레이저를 이용할 경우, 공정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고온의 레이저에 의해 용융되었다가 다시 굳어진 부위가 효율 손실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레이저 공정을 적용한 후에는 별도의 에칭 공정으로 레이저로 인한 손상부위를 제거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In addition, after the p-n junction is formed through the diffusion of impurities, the same conductivity type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olar cell substrate, and the front electrode and the rear electrode formed thereafter are electrically connected, which causes a decrease in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Conventionally, in order to prevent this, another conductive type impurity implantation layer formed on the edge of the side end of the solar cell substrate has been removed using mechanical scribing or laser. However, when using mechanical scrib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cess takes a long time, and when using a laser, the process takes a long time, and a part that is melted and hardened by a high temperature laser causes loss of efficiency. Therefore, after applying the laser process, there was a need to remove the damage caused by the laser by a separate etching process.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에미터층 형성 전에 태양전지 기판 전면을 플라즈마로 처리하여 태양광의 반사도를 저감시켜 단락 전류를 증가시키고, 에미터층을 형성한 이후에 태양전지 기판의 전면과 후면을 플라즈마로 처리하여 에미터층으로부터 데드 레이어를 제거하면서 동시에 표면 결함을 제거하여 단락 전류와 개방 전압을 상승시키고, 에지 아이솔레이션 공정을 배제할 수 있으면서도 태양전지 기판 후면에 균일한 BSF를 형성하여 개방 전압 향상을 기할 수 있는 고효율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before the emitter layer is formed, the entire surface of the solar cell substrate is treated with plasma to reduce the reflectivity of sunlight to increase the short circuit current, and after the emitter layer is formed, Plasma treatment of the front and back of the substrate to remove dead layers from the emitter layer while simultaneously eliminating surface defects to increase short-circuit current and open-circuit voltage, while eliminating the edge isolation process, while maintaining a uniform BSF on the back of the substrat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high efficiency solar cell that can improve the open voltage by forming a.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표면 처리를 이용한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은, (a) 제1도전형의 불순물이 도핑된 태양전지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태양전지 기판 전면을 플라즈마 처리하여 태양광에 대한 반사도를 저감시키는 단계; (c) 상기 제1도전형과 반대 도전형인 제2도전형의 불순물을 상기 태양전지 전면에 주입하여 에미터층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태양전지 기판의 전면을 플라즈마 처리하여 데드 레이어(dead layer)를 감소시키는 단계; (e) 상기 태양전지 기판의 후면을 플라즈마 처리하여 기판 후면에 에미터층 형성 시 형성된 제2도전형의 불순물 주입층을 제거함과 동시에 기판 후면을 평탄화하는 단계; (f) 상기 태양전지 기판의 전면에 반사방지막을 형성하는 단계; (g) 상기 반 사방지막을 관통하여 전면 전극을 상기 에미터층에 콘택시키는 단계; 및 (h) 상기 태양전지 기판 후면에 후면 전극을 콘택시키고, 후면 전극과 접하는 기판 후면에 BSF(back surface field)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using plasma surface treatment, the method comprising: (a) preparing a solar cell substrate doped with impurities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b) plasma reflecting the entire surface of the solar cell substrate to reduce reflectance to sunlight; (c) forming an emitter layer by implanting impurities of a second conductivity type opposite to the first conductivity type onto the solar cell; (d) plasma processing the entire surface of the solar cell substrate to reduce dead layers; (e) plasma-processing the rear surface of the solar cell substrate to remove the second conductive type impurity implantation layer formed when the emitter layer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simultaneously planarize the rear surface of the substrate; (f) forming an anti-reflection film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olar cell substrate; (g) contacting the front electrode to the emitter layer through the antireflective film; And (h) contacting a rear electrode on the rear surface of the solar cell substrate, and forming a back surface field (BSF)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bstrate in contact with the rear electrod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또는 (d) 단계는, CF4, SF6, Cl 및 O2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가스를 이용한 플라즈마에 의한 표면 처리 단계이다. 이 때, 플라즈마 처리는 대기압 하 또는 진공 분위기 하에서 진행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tep (b) or step (d) is a surface treatment step by plasma using any one selected from CF 4 , SF 6 , Cl and O 2 or a mixed gas thereof. At this time, the plasma treatment may proceed under atmospheric pressure or under a vacuum atmospher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CF4, SF6 및 Cl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가스와 O2 가스를 혼합한 가스를 이용한 플라즈마에 의한 표면 처리 단계이다. 이 때, 플라즈마 처리는 대기압 하 또는 진공 분위기 하에서 진행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e), CF 4 , SF 6 and Cl selected from any one or a mixed gas and O 2 It is a surface treatment step by the plasma using the gas which mixed gas. At this time, the plasma treatment may proceed under atmospheric pressure or under a vacuum atmospher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태양광의 반사도를 저감시켜 단락 전류를 증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hort circuit current by reducing the reflectivity of sunlight.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에미터층으로부터 데드 레이어를 제거하면서 동시에 표면 결함을 제거하여 단락 전류와 개방 전압을 상승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dead layer from the emitter layer while simultaneously removing the surface defects to increase the short circuit current and the open voltage.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에지 아이솔레이션 공정을 배제하여 태양전지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으면서도 태양전지 기판 후면에 균일한 BSF를 형성하여 개방 전압 향상을 기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solar cell manufacturing process by eliminating the edge isolation process, and to improve the open voltage by forming a uniform BSF on the rear surface of the solar cell substrate.
위와 같은 단락 전류 및 개방 전압의 상승을 통해 고효율 태양전지의 제조가 가능해진다.The increase in short-circuit current and open voltage as described above enables the manufacture of high efficiency solar cell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having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표면 처리를 이용한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공정 단면도들이다.2 to 7 are process cross-sectional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using plasma surface treat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은,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전형의 불순물이 도핑된 태양전지 기판(201)을 준비한다. 바람직하게, 태양전지 기판(201)은 단결정이나 다결정 실리콘 기판 또는 비정질 실리콘 기판이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태양전지 기판(201)은 전처리 공정으로 슬라이싱 가공 중에 태양전지 기판(201)의 표면에 발생된 소우 데미지(saw damage)를 습식 식각하여 제거하였다.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s shown in FIG. 2, a
그런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전지 기판(201)을 플라즈마 챔버에 로딩한 후 태양전지 기판(201) 전면을 플라즈마 처리하여 태양광의 반사도를 저감시킨다. 태양광의 반사도 저감은 플라즈마의 미세한 식각 작용으로부터 기인한다. 플라즈마 표면 처리에 의해 태양광의 반사도가 저감되면, 단락 전류 Jsc가 상승하여 그 만큼 태양전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the
본 발명에서, 상기 플라즈마(plasma)는 중성가스 분자를 전자(Electron), 이온(Ion), 자유기(Free Radical) 등이 포함된 고에너지 활성물질로 여기시킨 상태를 말한다. 플라즈마 챔버 내에서 전자는 전장 중에서 전위차로 인하여 가속되는데, 전자가 가속되는 과정 중 가스 분자와 충돌되면서 여기되는 에너지를 방사하게 되고, 충격을 받은 원자가 여기되면서 또 다시 전자를 방출하게 된다. 이렇게 과정이 반복되면서, 전자, 이온, 자유기 및 중성분자가 동시에 존재하는 상태가 되는데, 이를 플라즈마 상태라고 부른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플라즈마 가스는 부분적으로 해리된 가스 및 동일한 양의 양전하와 음전하를 띠는 입자로 구성되며, 그 중 상기 해리된 가스는 높은 활성을 지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sma refers to a state in which a neutral gas molecule is excited with a high energy active material including electrons, ions, free radicals, and the like. In the plasma chamber, electrons are accelerated by the potential difference in the electric field. The electrons collide with gas molecules during the acceleration of the electrons, radiate the excited energy, and emit the electrons again when the shocked atoms are excited. As the process is repeated, electrons, ions, free groups, and heavy components exist simultaneously, which is called a plasma state. Basically, the plasma gas is composed of partially dissociated gas and particles having the same amount of positive and negative charges, among which the dissociated gas has high activity.
도 3에 도시된 공정에서 사용되는 플라즈마의 형성을 위한 소스 가스로는, CF4, SF6, Cl 및 O2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가스가 사용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플라즈마는 진공 또는 대기압 조건 하에서 형성된다.As a source gas for forming the plasma used in the process shown in FIG. 3, any one selected from CF 4 , SF 6 , Cl, and O 2 or a mixed gas thereof is us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plasma is formed under vacuum or atmospheric conditions.
이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도전형과 반대 도전형인 제2도전 형의 불순물을 상기 태양전지 기판(201)의 전면에 주입하여 에미터층(202)을 형성한다. 에미터층(202)이 형성되면, 태양전지 기판(201)에는 p-n 접합이 형성된다. 여기서, 태양전지 기판(201)은 p형 및 n형이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중 p형 기판은 소수 캐리어의 수명 및 모빌리티(mobility)가 커서(p형의 경우 전자가 소수 캐리어임)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p형 기판에는 대표적으로 B, Ga, In 등의 3족 원소들이 도핑되어 있다. 기판이 p형인 경우, n형 에미터층은 P, As, Sb 등의 5족 원소들을 확산시켜 형성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4, an impurity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opposite to the first conductivity type is implanted into the entire surface of the
상기 제2도전형의 에미터층(202)을 형성할 때에는, 먼저 태양전지 기판(201)을 확산로(diffusion furnace)에 넣고, 산소 가스와 제2도전형의 불순물 가스를 주입하여 기판 상에 불순물이 유입된 산화막을 형성한다. 여기서, 태양전지 기판(201)이 p형인 경우, 불순물 가스로는 POCl3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런 다음, 고온 열처리를 통해 산화막 내의 불순물을 태양전지 기판(201) 표면으로 드라이브-인(drive-in) 시킨다. 그리고 나서, 기판 표면에 잔류하는 산화막인 PSG막을 제거한다. 그러면 태양전지 기판(201)에는 소정 두께의 에미터층(202)이 형성된다.When the
상술한 불순물 확산 공정을 통해 에미터층(202)에 주입된 n형 불순물의 농도는 에미터층(202)의 표면에서 가장 높고 에미터층(202)의 내부로 들어갈수록 가우시안 분포 또는 에러 함수에 따라 감소된다. 그리고 확산 공정의 진행 시 충분한 량의 n형 불순물이 확산될 수 있도록 공정 조건이 조절되었으므로 에미터층(202)의 최상부에는 고체 용해도 이상의 농도로 n형 불순물이 도핑된 데드 레이어(202')가 존재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불순물 확산 공정을 거친 태양전지 기판(201)에는 전면에 형성된 에미터층(202) 외에도 측면과 후면에도 제2도전형의 불순물 주입층(207)이 형성되므로 이를 제거하는 공정이 수반되어야 한다.The concentration of the n-type impurity injected into the
상술한 공정을 거쳐 에미터층(202)이 형성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태양전지 기판(201)의 전면과 후면에 대해서 플라즈마를 이용한 표면 처리를 진행한다. When the
구체적으로, 상기 태양전지 기판(201)의 전면과 후면에 대해서 그 표면을 플라즈마 처리할 때에는, 먼저, 플라즈마 처리를 위한 진공 또는 대기압 분위기의 플라즈마 챔버 내에 태양전지 기판(201)의 전면이 표면 처리될 수 있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챔버 내에 플라즈마 소스 가스를 주입시킨다. 이때 주입되는 소스 가스로는 CF4, SF6, Cl 및 O2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가스가 사용된다. 그리고, 주입된 소스 가스를 플라즈마 상태로 여기시켜 태양전지 기판(201)의 전면을 플라즈마 표면 처리한다.Specifically, when plasma treating the front surface and the back surface of the
태양전기 기판(201)의 전면에 대한 플라즈마 표면 처리가 완료되면, 다시 태양전지 기판(201)의 후면이 표면 처리될 수 있도록 진공 또는 대기압 분위기의 플라즈마 챔버 내에 태양전지 기판(201)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플라즈마 소스 가스를 주입시킨다. 이때 주입되는 소스 가스로는 상술한 태양전지 기판(201)의 전면을 처리할 때 사용한 플라즈마 소스 가스를 사용할 수 있지만, 태양전지 기판(201)의 후면을 처리할 때에는 O2가스를 더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라즈마 소스 가 스가 주입되면, 주입된 소스 가스를 플라즈마로 여기시켜 태양전지 기판(201)의 후면을 플라즈마로 표면 처리한다. 바람직하게, 태양전지 기판(201)의 후면을 처리할 때의 식각율(etching rate)은 태양전지 기판(201)의 전면을 처리할 때보다 크게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은 태양전지 기판(201)의 전면과 후면의 플라즈마 처리 순서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므로, 그 반대의 순서로 플라즈마 처리를 시행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하다.When the plasma surface treatmen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상술한 공정을 거쳐 태양전지 기판(201)의 전면과 후면에 대한 플라즈마 처리가 완료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태양전지 기판(201)의 전면은 에미터층(202)의 최상부에 고체 용해도 이상의 농도로 n형 불순물이 도핑된 데드 레이어(202')가 플라즈마의 식각 작용에 의해 제거된다. 그리고, 상기 태양전지 기판(201)의 후면은 상술한 불순물 확산 공정 시 형성된 제2도전형의 불순물 주입층(207)이 플라즈마의 식각 작용에 의해 제거됨과 동시에 태양전지 기판(201) 후면의 표면 조직이 평탄화를 이루게 된다. 한편, 태양전지 기판(201) 후면에 형성된 제2도전형의 불순물 주입층(207)은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제거되었다. 이처럼, 불순물 주입층(207)이 제거되면 전면 전극과 후면 전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우려가 사라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 태양전지 제조 과정에서 태양전지 기판(201)의 측면 가장자리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에지 아이솔레이션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태양전지 제조 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것임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When the plasma processing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그리고 나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태양전지 기판(201)의 전면에 형성된 에미터층(202) 상에 반사방지막(203)을 형성한다. 반사방지막(203)은 태양광에 대한 반사율을 낮추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대표적으로 실리콘나이트라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법(PECVD), 화학기상증착법(CVD) 및 스퍼터링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방지막(203)을 관통하며 에미터층(202)에 콘택되도록 전면 전극(206)을 형성하고, 상기 태양전지 기판(201)의 반사방지막(203)이 형성된 면과 반대 면에 후면 전극(204)을 형성한다. 전면 전극(206) 및 후면 전극(204)의 형성 순서는 제한되지 않아, 어느 전극을 먼저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Then, as shown in FIG. 7, the
전면 전극(206)은 은과 글라스 프릿을 포함하는 통상의 전면 전극 형성용 페이스트를 소정 패턴에 따라 반사방지막(203) 위에 스크린 인쇄한 후 열처리를 시행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열처리를 통해 전면 전극(206)은 반사방지막(203)을 관통하여 에미터층(202)과 콘택되게 된다(punch through). 상기 전면 전극(206)은 은을 포함하고 있어 전기 전도성이 우수하다.The
후면 전극(204)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통상의 후면 전극 형성용 페이스트를 상기 태양전지 기판(201)의 후면에 스크린 인쇄한 후 열처리를 시행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열처리에 의해 태양전지 기판(201)은 후면 전극(204)과 접하는 면으로부터 소정 깊이까지 전극 형성 물질(Al)이 도핑되어 BSF(back surface field)(205)가 형성된다. 후면 전극(204)은 알루미늄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전기 전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실리콘과의 친화력이 좋아서 접합성이 우수하다. 또한, 알루미늄은 3족 원소로서 태양전지 기판(201)과의 접면에서 P+층, 즉 BSF(205)을 형성하여 캐리어들이 표면에서 사라지지 않고 BSF 방향으로 모이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태양전지 기판(201)의 후면을 플라즈마 표면 처리를 통해 평탄화시킴으로써, 상기 BSF(205)의 형성에 있어 종래보다 균일한 형성이 가능하여 BSF(205)에 의한 효과가 향상되어 태양전지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inten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are illustrativ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serves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tter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도 1은 태양전지의 기본적인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basic structure of a solar cell.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표면 처리를 이용한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공정 단면도들이다.2 to 7 are process cross-sectional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using plasma surface treat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21566A KR101453086B1 (en) | 2007-11-27 | 2007-11-27 | Method for manufacturing solar cel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21566A KR101453086B1 (en) | 2007-11-27 | 2007-11-27 | Method for manufacturing solar cel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54733A true KR20090054733A (en) | 2009-06-01 |
KR101453086B1 KR101453086B1 (en) | 2014-10-27 |
Family
ID=40986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21566A Expired - Fee Related KR101453086B1 (en) | 2007-11-27 | 2007-11-27 | Method for manufacturing solar cel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53086B1 (en)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3953B1 (en) * | 1992-08-14 | 1995-04-21 | 주식회사금성사 | Manufactuirn method of solar cell |
JP4518731B2 (en) * | 2002-05-15 | 2010-08-04 | シャープ株式会社 | Method for forming irregularities on the surface of a polycrystalline silicon substrate |
KR100543535B1 (en) * | 2003-05-07 | 2006-01-20 | 준 신 이 | Manufacturing Method of Poly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 Using Leakage Current Reduction Technique |
KR100543504B1 (en) * | 2003-07-05 | 2006-01-20 | 준 신 이 | Low reflection, high efficiency single crystal and poly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plasma local density control |
-
2007
- 2007-11-27 KR KR1020070121566A patent/KR10145308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53086B1 (en) | 2014-10-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74221B1 (en) | Selective emitter formation method of solar cell using laser annealing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olar cell using same | |
US8071418B2 (en) | Selective emitter solar cells formed by a hybrid diffusion and ion implantation process | |
KR101225978B1 (en) | Sollar Cell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 |
KR100964153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solar cell and solar cell manufactured thereby | |
US20120048376A1 (en) | Silicon-based photovoltaic device produced by essentially electrical means | |
CN110943143A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a photovoltaic solar cell with heterojunction and emitter diffusion regions | |
KR101370126B1 (en) | Method for forming selective emitter of solar cell using annealing by laser of top hat ty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olar cell using the same | |
WO2015114922A1 (en) |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 |
KR101474008B1 (en) | Method for preparing of solar cell using plasma-surface-treatment | |
US20100240170A1 (en) | Method of fabricating solar cell | |
KR20090078275A (en) | Solar cell including uneven insulating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KR101284271B1 (en) | Method of preparing solar cell and solar cell prepared by the same | |
KR20080105280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solar cell and solar cell manufactured using same | |
CN102683504B (en) | The method of crystal silicon solar energy battery manufacture craft is improved by ion implantation arsenic | |
KR101223061B1 (en) | Method of preparing solar cell and solar cell prepared by the same | |
KR101437162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solar cell using plasma surface treatment | |
KR101223021B1 (en) | Method of preparing solar cell and solar cell | |
Veschetti et al. | Industrial process leading to 19.8% on n-type CZ silicon | |
KR20090054731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solar cell | |
KR20090054732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solar cell | |
KR101431266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solar cell | |
KR101453086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solar cell | |
KR20130061346A (en) |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2563642B1 (en) | High-efficiency back-electrode solar cel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KR101631548B1 (en) | Fabricating Method For Solar Cell And Solar Cell By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27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807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11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11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5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29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0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