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9863A - 키버튼과 터치에 의한 입력수단을 가지는 정전 용량 센서를이용한 터치패널 및 그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키버튼과 터치에 의한 입력수단을 가지는 정전 용량 센서를이용한 터치패널 및 그 작동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49863A KR20090049863A KR1020070116188A KR20070116188A KR20090049863A KR 20090049863 A KR20090049863 A KR 20090049863A KR 1020070116188 A KR1020070116188 A KR 1020070116188A KR 20070116188 A KR20070116188 A KR 20070116188A KR 20090049863 A KR20090049863 A KR 2009004986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eypad
- touch
- key button
- printed circuit
- circuit boar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3)
- 하우징(100)의 측벽 사이에 설치되는 키패드(200)와, 상기 키패드(200)와 하부프레임(110)의 사이에 설치되는 센서(210)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220)으로 이루어지는 정전 용량 센서를 이용한 터치패널에 있어서,상기 인쇄회로기판(220)과 하부프레임(110)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접점용 스위치(250)를 더 부가하고, 상기 접점용 스위치(250)의 신호에 의해 키패드(200)를 키버튼 또는 터치스크린으로 변환시키는 제어부(300)를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키버튼과 터치에 의한 입력수단을 가지는 정전 용량 센서를 이용한 터치패널.
- 정전 용량 센서를 이용한 터치패널에 있어서,하우징(100)의 측벽 사이에 설치되는 키패드(200)와; 상기 키패드(200)의 하면에 설치되며, 센서(210)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22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220)의 저면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접점용 스위치(250)와; 상기 인쇄회로기판(220)의 하면에 설치되어 하우징(100)과 체결되며 상기 접점용 스위치(250)과 삽입되는 관통공(121)이 형성된 중간 프레임(120)과; 상기 중간 프레임(120)의 하측에 설치되며, 중도부에 접점돌기(231)가 형성되는 러버(rubber)(230)와;상기 러버(230)의 하면에 설치되어 러버(230)를 지지하며 하우징(100)과 체결되는 하부프레임(110)과;상기 접점용 스위치(250)의 신호에 의해 키패드(200)를 키버튼 또는 터치스크린으로 변환시키는 제어부(30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버튼과 터치에 의한 입력수단을 가지는 정전 용량 센서를 이용한 터치패널.
- 정전 용량 센서를 이용한 터치패널에 있어서,하우징(100)의 측벽 사이에 설치되는 키패드(200)와; 상기 키패드(200)의 하면에 설치되며, 센서(210)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22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220)의 하측에 설치되며, 중도부에 접점돌기(231)가 형성되는 러버(rubber)(230)와; 상기 인쇄회로기판(220)의 하면에 설치되어 하우징(100)과 체결되며 러버(230)의 접점돌기(231)가 삽입되는 관통공(121)이 중도부에 형성된 중간 프레임(120)과; 내측에 공간부를 가지며 상기 중간 프레임(120)의 하면에 설치되어 하우징(100)과 체결되는 하부프레임(110)과; 상기 하부프레임(110) 상면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접점용 스위치(250)와; 상기 접점용 스위치(250)의 신호에 의해 키패드(200)를 키버튼 또는 터치스크린으로 변환시키는 제어부(30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버튼과 터치에 의한 입력수단을 가지는 정전 용량 센서를 이용한 터치패널.
- 정전 용량 센서를 이용한 터치패널에 있어서,하우징(100)의 측벽 사이에 설치되는 키패드(200)와; 상기 키패드(200)의 하 부에 설치되며, 센서(210)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22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220)의 하면에 부착되며 중도부에 접점돌기(231)가 형성되는 러버(rubber)(230)와; 내측에 공간부를 가지며 상기 러버(230)의 하측에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100)과 체결되는 하부프레임(110)과;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상면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접점용 스위치(250)와; 상기 접점용 스위치(250)의 신호에 의해 키패드(200)를 키버튼 또는 터치스크린으로 변환시키는 제어부(30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버튼과 터치에 의한 입력수단을 가지는 정전 용량 센서를 이용한 터치패널.
- 제 4항에 있어서,상기 러버(230)는 하우징(100)의 측벽 저면과 하부프레임(110)의 측벽 상면 사이에 고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버튼과 터치에 의한 입력수단을 가지는 정전 용량 센서를 이용한 터치패널.
- 제 4항에 있어서,상기 러버(230)는 하우징(100)과 하부프레임(110)의 내측 공간 사이에 별도로 마련되어, 상기 러버(230)의 가장자리 하면에 형성된 탄성지지체(240)에 의해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버튼과 터치에 의한 입력수단을 가지는 정전 용량 센서를 이용한 터치패널.
- 정전 용량 센서를 이용한 터치패널에 있어서,하우징(100)의 사이에 설치되는 키패드(200)와; 상기 키패드(2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센서(210)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22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220)의 저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접점용 스위치(250)와;내측에 공간부를 가지며 상기 인쇄회로기판(220)의 하측에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100)과 체결되는 하부프레임(110)과;상기 하부프레임(110) 상면에 설치되며 중도부에 접점돌기(231)가 형성되는 러버(rubber)(230)와; 상기 접점용 스위치(250)의 신호에 의해 키패드(200)를 키버튼 또는 터치스크린으로 변환시키는 제어부(30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버튼과 터치에 의한 입력수단을 가지는 정전 용량 센서를 이용한 터치패널.
- 정전 용량 센서를 이용한 터치패널에 있어서,하우징(100)의 사이에 설치되는 키패드(200)와; 상기 키패드(200)의 하면에 설치되며, 센서(210)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22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220)의 저면 중도부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접점용 스위치(250)와;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하측에 설치되어 하우징(100)과 체결되는 하부프레임(110)과;상기 하부프레임(110)의 상면에 설치되며, 중도부에 접점돌기가 형성되는 러버(rubber)(230)와; 상기 접점용 스위치(250)의 신호에 의해 키패드(200)를 키버튼 또는 터치스크린으로 변환시키는 제어부(30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버튼과 터치에 의한 입력수단을 가지는 정전 용량 센서를 이용한 터치패널.
- 제 8항에 있어서,상기 인쇄회로기판(220)의 가장자리 하면에는 하부프레임(110)과의 사이에 탄성지지체(240)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버튼과 터치에 의한 입력수단을 가지는 정전 용량 센서를 이용한 터치패널.
- 정전 용량 센서를 이용한 터치패널에 있어서,하우징(100)의 측벽 사이에 설치되는 키패드(200)와; 상기 키패드(2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중도부에 접점돌기(231)가 형성되는 러버(rubber)(230)와;상기 세서(210)를 구비하여 러버(230)의 하측에 밀착 설치되되, 중도부에 관통공(221)이 형성되고 중도부의 일측에서 하측으로 보조인쇄회로기판(222)이 분기되어 연설되는 인쇄회로기판(220)과; 내측에 공간부를 가지며 상기 보조인쇄회로기판(222)의 하측에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100)과 체결되는 하부프레임(110)과;상기 분기된 보조인쇄회로기판(222)의 상면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접점용 스위치(250)와; 상기 접점용 스위치(250)의 신호에 의해 키패드(200)를 키버튼 또는 터치스크린으로 변환시키는 제어부(30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버튼과 터치에 의한 입력수단을 가지는 정전 용량 센서를 이용한 터치패널.
-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접점용 스위치(250)는 메탈돔(metal dome)과 텍트 스위치(tact swich)와 탄성을 가지는 쿠션재와 ''자 형태의 메탈 탄성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버튼과 터치에 의한 입력수단을 가지는 정전 용량 센서를 이용한 터치패널.
- 키패드(200)의 일측에 입력도구를 이용하여 접촉하는 단계와;상기 키패드(200)의 접촉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300)에 의해 접점용 스위치(250)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상기 접점용 스위치(250)의 작동 감지 시 현재 상태의 모드를 확인하여 현재의 모드를 키버튼모드로 전환하거나 유지하는 단계와;상기 키패드(200)의 키버튼 입력신호에 따라 결과값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버튼과 터치에 의한 입력수단을 가지는 정전 용량 센서를 이용한 터치패널의 작동방법.
- 키패드(200)의 일측에 입력도구를 이용하여 접촉하는 단계와;상기 키패드(200)의 접촉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300)에 의해 접점용 스위치(250)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상기 접점용 스위치(250)의 작동이 감지되지 않으면 현재의 모드를 확인하여 터치스크린모드로 전환 또는 유지시키는 단계와;상기 키패드(200)의 터치스크린모드의 입력신호에 따라 결과 값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버튼과 터치에 의한 입력수단을 가지는 정전 용량 센서를 이용한 터치패널의 작동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16188A KR20090049863A (ko) | 2007-11-14 | 2007-11-14 | 키버튼과 터치에 의한 입력수단을 가지는 정전 용량 센서를이용한 터치패널 및 그 작동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16188A KR20090049863A (ko) | 2007-11-14 | 2007-11-14 | 키버튼과 터치에 의한 입력수단을 가지는 정전 용량 센서를이용한 터치패널 및 그 작동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49863A true KR20090049863A (ko) | 2009-05-19 |
Family
ID=40858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16188A Ceased KR20090049863A (ko) | 2007-11-14 | 2007-11-14 | 키버튼과 터치에 의한 입력수단을 가지는 정전 용량 센서를이용한 터치패널 및 그 작동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49863A (ko)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6278B1 (ko) * | 2009-09-15 | 2012-01-18 | 주식회사 포인칩스 | 터치 기능을 구비한 복합 입력장치 |
WO2011119696A3 (en) * | 2010-03-24 | 2012-01-19 | Whirlpool Corporation | Touch screen coupling having tactile response capability |
KR101346002B1 (ko) * | 2012-02-10 | 2013-12-31 |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 돔 스위치를 구비하는 터치 감지 장치 |
KR20150033485A (ko) * | 2013-09-24 | 2015-04-01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클릭 가능한 터치 패널 및 그 제어 장치와 방법 |
KR20160030015A (ko) * | 2014-09-06 | 2016-03-16 | 손동일 | 다채널 스위치 모듈 |
US9418799B2 (en) | 2013-03-08 | 2016-08-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Key button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CN104133573B (zh) * | 2013-05-03 | 2016-12-28 |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 笔记型电脑触控结构 |
KR20170041990A (ko) * | 2015-10-08 | 2017-04-18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차량용 입력장치 |
WO2017206448A1 (zh) * | 2016-05-31 | 2017-12-07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可穿戴设备 |
US10510097B2 (en) | 2011-10-19 | 2019-12-17 | Firstface Co., Ltd. |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
-
2007
- 2007-11-14 KR KR1020070116188A patent/KR20090049863A/ko not_active Ceased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6278B1 (ko) * | 2009-09-15 | 2012-01-18 | 주식회사 포인칩스 | 터치 기능을 구비한 복합 입력장치 |
WO2011119696A3 (en) * | 2010-03-24 | 2012-01-19 | Whirlpool Corporation | Touch screen coupling having tactile response capability |
US8416214B2 (en) | 2010-03-24 | 2013-04-09 | Whirlpool Corporation | Touch screen coupling having tactile response capability |
US10510097B2 (en) | 2011-10-19 | 2019-12-17 | Firstface Co., Ltd. |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
US12159299B2 (en) | 2011-10-19 | 2024-12-03 | Firstface Co., Ltd. |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
US11551263B2 (en) | 2011-10-19 | 2023-01-10 | Firstface Co., Ltd. |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
US10896442B2 (en) | 2011-10-19 | 2021-01-19 | Firstface Co., Ltd. |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
KR101346002B1 (ko) * | 2012-02-10 | 2013-12-31 |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 돔 스위치를 구비하는 터치 감지 장치 |
US9418799B2 (en) | 2013-03-08 | 2016-08-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Key button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CN104133573B (zh) * | 2013-05-03 | 2016-12-28 |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 笔记型电脑触控结构 |
KR20150033485A (ko) * | 2013-09-24 | 2015-04-01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클릭 가능한 터치 패널 및 그 제어 장치와 방법 |
KR20160030015A (ko) * | 2014-09-06 | 2016-03-16 | 손동일 | 다채널 스위치 모듈 |
KR20170041990A (ko) * | 2015-10-08 | 2017-04-18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차량용 입력장치 |
WO2017206448A1 (zh) * | 2016-05-31 | 2017-12-07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可穿戴设备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90049863A (ko) | 키버튼과 터치에 의한 입력수단을 가지는 정전 용량 센서를이용한 터치패널 및 그 작동방법 | |
CN103226418B (zh) | 带按键开关的电容式触摸板 | |
US8390481B2 (en) | Sensing capacitance changes of a housing of an electronic device | |
US8077057B2 (en) | Input device with palm detecting unit | |
WO2016192641A1 (zh) | 按键装置的操控方法、按键装置及终端 | |
EP2610719A2 (en) | Operation switch device | |
US20080202824A1 (en) | Tilting Touch Control Panel | |
US10353485B1 (en) | Multifunction input device with an embedded capacitive sensing layer | |
JP2009105875A (ja) | 入力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携帯電子機器 | |
KR20110128724A (ko) | 정전 용량식 입력 장치 | |
JP4799655B2 (ja) | 小型機器 | |
CN113496837A (zh) | 按键单元与应用其的键盘 | |
JP2011187298A (ja) | 保護シー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入力装置 | |
US20110181514A1 (en) | Touch keypad for touch screen devices | |
CN103677283A (zh) | 具有触控板按键的键盘 | |
KR100950413B1 (ko) | 입력부 제어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입력 장치 및 전자 기기 | |
JP2001318755A (ja) | 2方向入力装置およびこの2方向入力装置を用いた操作装置 | |
JP5029144B2 (ja) | 静電容量型タッチスイッチ装置 | |
JP4629621B2 (ja) | スイッチ装置 | |
JP5057937B2 (ja) | 携帯電子機器 | |
JP2007065993A (ja) | 入力装置 | |
JP4336535B2 (ja) | 操作装置 | |
JP2010262483A (ja) | タッチパッド入力装置 | |
KR20100046689A (ko) | 휴대장치용 입력장치 | |
KR20080078111A (ko) | 터치 키패드 어셈블리 및 그 운용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811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3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905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03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