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39637A - 미싱용 옷감누름도구 및 미싱 - Google Patents

미싱용 옷감누름도구 및 미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9637A
KR20090039637A KR1020080101683A KR20080101683A KR20090039637A KR 20090039637 A KR20090039637 A KR 20090039637A KR 1020080101683 A KR1020080101683 A KR 1020080101683A KR 20080101683 A KR20080101683 A KR 20080101683A KR 20090039637 A KR20090039637 A KR 20090039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sewing
thread
pressing tool
pres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1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5302B1 (ko
Inventor
도모아키 아네자키
다이치 후쿠시마
Original Assignee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39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9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30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6Presser fee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5/00Needle holders; Needle bars
    • D05B55/06Needle guides; Needle protecto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9/00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 D05C9/20Movement of the base fabric controlled by the presser feet; Driving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봉침(縫針)(7)의 동작에 연동하여 피봉제물(A)을 누르기 위해서, 이 봉침(7)을 구동하기 위한 바늘대 구동기구(5, 8, 9)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는 미싱용 옷감누름도구(11, 50)에 있어서, 이 옷감누름도구(11, 50)의 하면에 형성된 적어도 1개의 경사면(30, 53)을 구비하고 있다. 이 경사면(30, 53)은 봉침(7)의 실꿰기구멍(7 a)에서 나와 피봉제물(A)에게 걸쳐져 있는 윗실(T)이 이 피봉제물(A)의 움직임에 수반하여 움직이는 동안에 이 경사면(30, 53)에 맞닿았을 때, 이 윗실(T)이 이 경사면(30, 53)을 따라서 작동되는 것에 의해, 이 윗실(T)이 이 봉침(7)의 침선(針先)에 닿지 않는 위치로 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미싱용 옷감누름도구 및 미싱{SEWING MACHINE PRESSER FOOT AND SEWING MACHIN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미싱용 옷감누름도구(옷감누름공구) 및 이 옷감누름도구를 구비하는 미싱에 관한 것이고, 상세하게는, 봉침(縫針)의 이동경로에 관한 윗실을 이 이동경로로부터 퇴피(退避)시킬 수 있는 미싱용 옷감누름도구 및 이 옷감누름도구를 구비하는 미싱에 관한 것이다.
도 9에는 종래의 공업용 자수(刺繡)미싱이 구비하는 미싱헤드가 나타내어져 있고, 100은 상하구동되는 바늘대, 101은 바늘대(100)의 하단에 고정된 봉침, T는 봉침(101)의 실꿰기구멍(101a)(도 10 참조)에 통해진 윗실, A는 수평이동하는 봉제틀에 유지된 피봉제물, 102는 침판이다. 이 미싱에서는 바늘대(100)와 함께 상하이동하는 봉침(101)과 침판(102)의 아래쪽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가마와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주지(周知)의 바느질이 행해지고, 1스티치마다 피봉제물(A)을 수평이동시켜 임의의 자수무늬가 봉제된다. 또,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형적인 종래의 옷감누름도구(옷감누름공구)(103)에 있어서는, 옷감누름용 하면(103a)은 평탄하고, 평탄한 하면(103a) 전체로 옷감에 대한 밀어 붙임을 실시하도록 되어 있었 다.
이와 같은 미싱에 있어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느 스티치의 바느질이 행해진 후, 다음의 스티치를 위해서 피봉제물(A)이 자수미싱의 앞쪽(도에 있어서 좌측)으로 이동하면, 봉침(101)의 실꿰기구멍(101a)으로부터 피봉제물(A)에 걸쳐져 있는 윗실(T)이 이점쇄선 T'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로 경사진 상태가 된다. 도 10 내지 도 12에는 이 때의 봉침(101)의 선단 및 그 근방이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이 때,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윗실(T)이 봉침(101)의 침선(針先)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경우가 있다. 이 상태로 봉침(101)이 하강하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침(101)의 침선이 윗실(T)에 접촉하게 된다. 또한 봉침(101)이 하강하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침(101)의 침선이 윗실(T)에 강하게 밀어 붙여진 상태가 되어, 경우에 따라서는 봉침(101)이 윗실(T)에 꽂히는 일이 있다. 이것에 의해, 윗실(T)이 손상되거나 끊어지거나 하는 일이 있다.
또한, 피봉제물(A)의 이동은 봉침(101)이 피봉제물(A)로부터 발침(拔針)한 직후에 개시되는 경우도 있다. 그 경우, 봉침(101)이 상승할 때에도,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침(101)의 침선이 윗실(T)에 접촉한 상태가 되어, 윗실(T)이 손상되거나 끊어지거나 하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회피하기 위해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자수미싱은 윗실을 봉침의 이동경로 밖으로 제거하는 실제거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또,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자수미싱에서는 봉제틀을 한 봉침위치로부터 다음의 봉침위치로 이동시킬 때, 일단, 봉제틀을 측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윗실을 봉침 의 이동경로로부터 퇴피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실공평2-2295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2001-62174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한 미싱과 같은 실제거장치를 구비하면, 미싱의 부품점수가 증가하여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코스트 업으로 연결된다. 또, 특허문헌 2에 기재한 미싱과 같이 봉제틀을 일시적으로 측방으로 이동시키는 미싱에서는 봉제틀을 측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그 때문에, 미싱의 회전수를 내리든가, 혹은 주지의 점프기구로 바늘대를 1바늘 점프(바늘대의 상하이동을 1바늘만큼 정지)시켜야 하므로, 그 만큼 자수효율이 나빠진다.
본 발명은 상술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부품점수 증가나 코스트 업으로 연결되지 않고, 또한 자수효율을 저하시키지 않으며, 봉침의 침선이 윗실에 접촉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미싱용 옷감누름도구 및 이 옷감누름도구를 구비하는 미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미싱용 옷감누름도구는 봉침의 동작에 연동하여 피봉제물을 누르기 위해서 상하로 왕복운동하는 미싱용 옷감누름도구로서, 이 옷감누름도구의 하면에 형성된 적어도 1개의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봉침의 실꿰기구멍에서 나와 상기 피봉제물에 걸쳐져 있는 윗실이 이 피봉제물의 움직임에 수반하여 움직이는 동안에 상기 경사면에 맞닿았을 때, 이 윗실이 이 경사면을 따라서 움직이는 것에 의해, 이 윗실이 이 봉침의 침선에 닿지 않는 위치로 피하도록 상기 경사면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옷감누름도구의 하면이 종래와 같이 평탄한 것이 아니고, 적어도 1개의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 경사면은 상기 봉침의 실꿰기구멍에서 나와 상기 피봉제물에 걸쳐져 있는 윗실이 이 피봉제물의 움직임에 수반하여 움직이는 동안에 상기 경사면에 맞닿았을 때, 이 윗실이 이 경사면을 따라서 움직이는 것에 의해, 이 윗실이 이 봉침의 침선에 닿지 않는 위치로 피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윗실이 봉침의 침선의 이동경로에 걸릴 것 같은 경우에서도 이 윗실을 봉침의 침선이동경로로부터 자동적으로 퇴피시킬 수 있다. 따라서, 봉침의 침선이 윗실에 접촉하지 않고, 윗실이 손상되거나 끊어지거나 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옷감누름도구의 하면에 적어도 1개의 경사면만을 형성하는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봉침의 침선이 윗실에 접촉하는 것을 자동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미싱의 구조가 복잡하지 않게 되고, 부품점수의 증가나 코스트 업으로 연결되지 않게 마무리된다. 또한, 통상의 바느질 동작에 있어서의 피봉제물이나 옷감누름도구의 구동제어에 수반하여 윗실을 봉침의 침선이동경로로부터 자동적으로 퇴피시킬 수 있으므로, 미싱의 바느질 동작제어의 내용은 종래와 동일한 것으로 좋다. 따라서, 미싱의 자수효율이 저하할 우려가 없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옷감누름도구의 하면에는 상기 봉침의 실꿰기구멍의 입구 측에 위치하도록 제1 누름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1쌍의 상기 경사면이 상기 제1 누름돌기의 양측에 있어서 이 제1 누름돌기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상승하는 경사로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옷감누름도구의 하면에는 상기 제1 누름돌 기와 대략 같은 높이로 제2 누름돌기가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봉제물에 상기 제1 및 제2 누름돌기가 닿는 것에 의해 밀어 붙여지도록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1쌍의 경사면 중 어느 한쪽을 따라서 윗실이 이동하는 것으로, 이 윗실이 봉침의 침선에 닿지 않는 위치로 피하게 된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옷감누름도구의 하면에는 상기 봉침의 실꿰기구멍의 입구 측에 대응하는 제1 위치로부터 어긋난 제2 위치에 제1 누름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1개의 상기 경사면이 상기 제1 누름돌기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상승하는 경사로 상기 제1 위치를 지나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옷감누름도구의 하면에는 상기 제1 누름돌기와 대략 같은 높이로 제2 누름돌기가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봉제물에 상기 제1 및 제2 누름돌기가 맞닿는 것에 의해 밀어 붙여지도록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1개의 경사면을 따라서 윗실이 이동하는 것으로, 이 윗실이 봉침의 침선에 닿지 않는 위치로 피하게 된다.
일례로서, 상기 제1 및 제2 누름돌기와 상기 경사면은 바늘통과구멍을 가지는 실회피편에 있어서 이 바늘통과구멍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고, 이 실회피편이 상기 옷감누름도구의 구조체의 하부에 부착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종래의 평탄한 하면을 가지는 옷감누름도구의 하부에 실회피편을 부착하는 것만으로, 본 발명의 옷감누름도구를 간편하게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윗실을 봉침의 침선이동경로로부터 자동적으로 퇴피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미싱의 구조에 약간의 변경을 더하는 것만으로, 윗실이 손상되거나 끊어지거나 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1 및 제2 누름돌기와 상기 경사면은 바늘통과구멍을 가지는 상기 옷감누름도구의 구조체의 하부에 있어서 이 구조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미싱은 상술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미싱용 옷감누름도구와, 상기 봉침을 하단으로 유지한 바늘대와, 상기 피봉제물을 유지하고, 상기 봉침의 봉침위치에 대해서 이동가능한 봉제틀을 구비한다.
이 구성의 미싱에 의하면, 윗실이 봉침의 침선의 이동경로에 걸려도, 옷감누름도구의 하면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서 이 윗실을 봉침의 침선의 이동경로로부터 자동적으로 퇴피시킬 수 있다. 따라서, 봉침의 침선이 윗실에 접촉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윗실이 손상되거나 끊어지거나 하는 것이 없어진다. 또, 미싱의 구조가 복잡하지 않게 되고, 부품점수의 증가나 코스트 업으로 연결되지 않게 마무리된다. 또한, 미싱의 바느질 동작제어 내용은 종래와 동일한 것으로 좋고, 미싱의 자수효율을 저하시킬 우려가 없다.
본 발명에 관한 미싱용 옷감누름도구 및 이 옷감누름도구를 구비하는 미싱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 부품점수 증가나 코스트 업으로 연결되지 않고, 또한 자수효율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봉침의 침선에 윗실이 접촉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우측 혹은 좌측이라고 할 때는 후술하는 미싱의 정면에서 본 우측 혹은 좌측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자수미싱이 구비하는 미싱헤드(H)의 정면도, 도 2는 미싱헤드(H)의 측면도(일부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미싱헤드(H)는 공업용 자수미싱 등에 이용되는 다침형의 미싱헤드이다. 이 미싱헤드(H)는 미싱프레임(M)에 고정된 암(1)과, 암(1)에 대해서 가로방향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지지된 바늘대 케이스(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암(1)의 내부에는 미싱주축(主軸)(4)이 가로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미싱주축(4)은 도시하지 않은 미싱구동모터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미싱헤드(H)의 아래쪽에는 침판(3)이 설치되어 있고, 침판(3)의 아래쪽에는 회전구동되는 도시하지 않은 주지의 가마가 설치되어 있다. 침판(3)의 상부에 위치하는 피봉제물(A)은 도시하지 않은 봉제틀에 유지되어 있다. 이 봉제틀은 봉침(7)의 봉침위치에 대해서 수평면 내에 있어서의 전후 및 좌우방향(X-Y방향)으로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바늘대 케이스(2)에는 복수 개(도에서는 9개)의 바늘대(5)가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각 바늘대(5)의 하단에는 바늘잡이(6)를 통하여 봉침(7)이 각각 고정되어 있다. 바늘대(5)의 대략 중간부에는 바늘대잡이(8)가 고정되어 있고, 바늘대잡이(8)의 배면 측에는 걸어맞춤핀(8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암(1)에는 미싱주축(4)의 회전에 의해서 상하이동하는 바늘대 구동부재(9)가 설치되어 있다. 바늘대 구동부재(9)에는 선택된 바늘대(5)의 걸어맞춤핀(8a)과 걸어맞추는 걸어맞춤 오목부(9a)가 형성되어 있다. 임의의 바늘대(5)를 선택하는 위치에 바늘대 케이스(2)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 바늘대(5)의 걸어맞춤핀(8a)이 바늘대 구동부재(9)의 걸어맞춤 오목부(9a)와 걸어맞춘다. 이것에 의해, 선택된 바늘대(5)가 바늘대 구동부재(9)에 의해서 상하이동하게 된다.
바늘대(5)의 외주에는 옷감누름잡이(10)가 바늘대(5)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옷감누름잡이(10)의 배면 측에는 걸어맞춤핀(10a)이 형성되어 있다. 옷감누름잡이(10)의 전면에는 본 발명에 관한 옷감누름도구의 일실시예인 옷감누름부재(11)가 고정되어 있다. 옷감누름부재(11)는 옷감누름잡이(10)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가늘고 긴 판상(板狀)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하방향의 대략 중간부가 절곡되어 수평면 모양의 맞닿음부(11a)로 되어 있다. 옷감누름부재(11)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바늘대(5)의 외주에 있어서의 바늘대잡이(8)와 옷감누름잡이(10) 사이에는 옷감누름부재(11)를 아래쪽으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12)이 설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12)의 가압력에 의해서, 옷감누름부재(11)의 맞닿음부(11a)가 바늘잡이(6)에 쿠션(13)을 통하여 밀어 붙여진 상태로 규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맞닿음부(11a)가 바늘잡이(6)에 밀어 붙여진 상태로 옷감누름부재(11)와 바늘대(5)가 일체로 상하로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암(1)에는 미싱주축(4)의 회전에 의해서 상하이동하는 지지부재(14)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재(1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바늘대(5)와 함께 상하이동하는 옷 감누름잡이(10)의 걸어맞춤핀(10a)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바늘대(5)의 상사점은 바늘대잡이(8)의 위쪽에 고정한 스토퍼(16)가 쿠션(17)을 통하여 가로프레임(2a)의 하면에서 받아 멈추게 되는 위치이다. 바늘대(5)의 외주에 있어서의 바늘대(5)의 상단과 가로프레임(2a)의 상면 사이에는 바늘대(5)를 위쪽으로 가압하는 바늘대 유지스프링(15)이 설치되어 있다. 바늘대(5)는 바늘대 구동부재(9)로 구동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바늘대 유지스프링(15)의 가압력에 의해서 상사점 위치에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바늘대 케이스(2)에 지지된 천칭축(天秤軸)(18)에는 각 바늘대(5)에 대응하는 각 천칭(19)이 각각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암(1)에는 미싱주축(4)의 회전에 의해서 요동되는 천칭구동레버(20)가 설치되어 있고, 천칭구동레버(20)는 선택된 바늘대(5)에 대응하는 천칭(19)과 걸어 맞추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천칭구동레버(20)의 요동에 의해서 선택된 바늘대(5)에 대응하는 천칭(19)이 요동하게 된다.
옷감누름부재(옷감누름도구)(11)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옷감누름부재(1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옷감누름부재(11)는 옷감누름잡이(10)에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상부 구조체)(21)와, 베이스 부재(21)의 하단에 연결된 옷감누름체(하부 구조체)(22)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21)는 상하로 연장하는 가늘고 긴 박판(薄板)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상단부에는 이 베이스 부재(21)를 옷감누름잡이(10)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를 삽입하여 통하게 하는 관통구멍으로 이루어진 고정부(21a)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21a)는 상하로 연장하는 가늘고 긴 장공 (長孔)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옷감누름잡이(10)에 대한 옷감누름부재(11)의 고정위치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베이스 부재(21)의 상하의 중간부에 설치한 맞닿음부(11a)에는 바늘대(5)를 삽입하게 통하게 하는 관통구멍으로 이루어진 삽통부(揷通部)(11b)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21)의 하단부 근방에는 돌기 모양의 핀(24)이 형성되고, 핀(24)의 아래쪽에는 나사(23)를 고정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옷감누름체(2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가늘고 긴 박판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단부에는 관통구멍으로 이루어진 걸어맞춤구멍(25)이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구멍(25)은 베이스 부재(21)의 핀(24)이 대략 긴밀(緊密) 상태로 끼워 맞춰지도록 그 폭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또, 걸어맞춤구멍(25)의 아래쪽에는 나사(23)의 머리 부분이 끼워 들어가는 계단식구멍(26)이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구멍(25) 및 계단식구멍(26)은 상하로 긴 장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나사(23)에 의한 베이스 부재(21)에 대한 옷감누름체(22)의 고정위치를 상하로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옷감누름체(22)의 하단부는 대략 직각으로 굴곡하고 있고, 수평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관한 옷감누름부재(11)에 있어서는 이 옷감누름체(하부 구조체)(22)의 하단부의 하면에 실회피편(28)이 부착되어 있고, 이 실회피편(28)의 형상·구조에 특징을 가지고 있다. 실회피편(28)은 그 상단이 옷감누름체(22)의 하단부에 형성한 관통구멍에 끼워넣어져서 부착되어 있다(도 4 참조). 도 3 ~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회피편(28)은 중앙에 봉침(7)을 통하기 위한 타 원 모양의 바늘통과구멍(27)(도 6(b) 참조)을 가지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정면 중앙(바늘통과구멍(27)의 장경(長徑)방향에 따른 전방 중앙)의 하면에는 아래쪽으로 대략 V자 모양으로 돌출하는 전방누름돌기(제1 누름돌기)(29)가 형성되어 있고, 동일하게 장경방향에 따른 후방 중앙(전방누름돌기(29)의 반대 측)의 하면에는 전방누름돌기(29)와 같은 높이로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후방누름돌기(제2 누름돌기)(31)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누름돌기(29)와 후방누름돌기(31)로 피봉제물(A)을 침판(3)에 밀어 붙이도록 되어 있다. 실회피편(28)의 원통 하단부에는 전방누름돌기(29)의 양측에 있어서, 이 전방누름돌기(29)로부터 좌우 측방 및 후방으로 멀어짐에 따라 위쪽으로 경사지는 서로 대칭인 한 쌍의 경사면(실퇴피부)(30)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전방누름돌기(29)는 누름용 돌기임과 동시에, 각 경사면(30)의 시단(始端)이 되고 있다. 이 경사면(실퇴피부)(30)에 의해서 실놓음작용을 하게 된다. 즉, 봉침(7)의 실꿰기구멍(7a)으로부터 나와 피봉제물(A)에 걸쳐져 있는 윗실(T)이 이 피봉제물(A)의 움직임에 수반하여 움직이는 동안에 전방누름돌기(29)(즉 경사면(30)의 시단)에 맞닿았을 때, 이 윗실(T)이 이 경사면(30)에 따라서 작동되는 것에 의해, 이 윗실(T)이 이 봉침(7)의 침선에 닿지 않는 위치로 피하도록 이 경사면(30)이 배치되어 있다.
실회피편(28)에 있어서의 전방누름돌기(제1 누름돌기)(29)의 배치는 봉침(7)의 실꿰기구멍(7a)의 배치를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다. 윗실(T)이 봉침(7)의 침선에 꼭 맞는(그것에 의해 윗실(T)이 손상할 가능성이 있다) 것은 봉침(7)의 실꿰기구멍(7a)의 축심에 따라서(조금 경사지게 되는 정도도 포함한다), 실꿰기구 멍(7a)의 출구 측으로부터 입구 측에 피봉제물이 작동되는 경우이다. 즉, 그러한 경우, 실꿰기구멍(7a)의 출구 측에서 나온 윗실(T)이 입구 측으로 움직이게 되므로, 봉침(7)의 침선에 맞닿게 되어 손상할 우려가 생긴다. 따라서, 그러한 경우에, 윗실(T)이 실회피편(28)의 경사면(30)에 따라서 피하도록 경사면(30)을 형성하는 것으로 한다. 그래서, 이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실회피편(28)에 있어서의 전방누름돌기(제1 누름돌기)(29)를 봉침(7)의 실꿰기구멍(7a)의 입구 측에 위치하도록 형성하고, 그 양측에 경사면(30)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실꿰기구멍(7a)의 출구 측에서 나온 윗실(T)이 입구 측으로 움직이려고 할 때, 전방누름돌기(제1 누름돌기)(29)의 개소에서 좌우 어느 한나의 경사면(30)에 따라서 놓쳐지게 된다. 또한, 통상, 봉침(7)은 실꿰기를 실시하기 쉽게 실꿰기구멍(7a)의 입구가 미싱 정면으로 향하도록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봉침(7)의 실꿰기구멍(7a)의 입구 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전방누름돌기(제1 누름돌기)(29)는 미싱 앞쪽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구성의 미싱헤드(H)에 있어서의 바느질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바늘대 케이스(2)를 암(1)에 대해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으로, 임의의 바늘대(5)를 선택한다. 이것에 의해, 선택된 바늘대(5)에 대응하는 바늘대잡이(8)의 걸어맞춤핀(8a)이 바늘대 구동부재(9)의 걸어맞춤 오목부(9a)에 걸어맞춤과 동시에, 이 바늘대(5)에 대응하는 천칭(19)이 천칭구동레버(20)에 걸어맞춘다. 그 상태로 미싱주축(4)를 회전시키면, 선택된 바늘대(5)가 상하로 왕복운동함과 동시에, 이 바늘대(5)에 대응하는 천칭(19)이 상하로 요동한다.
이 때, 바늘대(5)가 상사점으로부터 하강을 시작하면, 옷감누름부재(11)도 바늘대(5)와 함께 하강을 시작한다. 또, 바늘대(5)의 하강개시와 동시에 지지부재(14)가 하강을 개시한다. 여기서는, 바늘대(5)의 하강속도보다 지지부재(14)의 하강속도가 약간 늦게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어떤 시점에 걸어맞춤핀(10a)이 지지부재(14)에 따라붙어, 지지부재(14)에 의해서 받아 멈춰진다. 그 이후, 걸어맞춤핀(10a)이 지지부재(14)에 지지된 상태로 옷감누름부재(11)가 지지부재(14)의 하강속도로 하강하여 하사점에 이른다. 이 사이, 옷감누름부재(11)의 하강속도보다 바늘대(5)의 하강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바늘대잡이(8)가 옷감누름잡이(10)에 가까워져 코일 스프링(12)이 압축된 상태가 된다. 옷감누름부재(11)가 하사점에 있을 때, 그 하단에 설치된 실회피편(28)의 전방누름돌기(29)와 후방누름돌기(31)로 피봉제물(A)이 침판(3)에 밀어 붙여진 상태가 된다.
옷감누름부재(11)가 하사점에 이른 후, 바늘대잡이(8)의 하강에 의해서 코일 스프링(12)이 압축되면서 바늘대(5)는 더욱 하강을 계속한다. 이것에 의해, 봉침(7)이 피봉제물(A)에 삽침(揷針)되어 하사점에 이르고, 그 후, 상승으로 전환하여 발침된다. 이 사이, 옷감누름부재(11)는 하사점에 머무른다. 바늘대(5)가 피봉제물(A)로부터 발침(拔針)된 후, 지지부재(14)와 함께 옷감누름부재(11)가 하사점으로부터 상승을 시작하고, 어느 시점에 바늘잡이(6)가 쿠션(13)을 통하여 맞닿음부(11a)에 맞닿는다. 이후, 바늘잡이(6)에 의해서 맞닿음부(11a)가 밀어 올려져, 옷감누름부재(11)가 바늘대(5)와 함께 상승하고, 봉침(7) 및 옷감누름부재(11)가 도 2에 나타내는 상태로 돌아온다.
여기서, 실회피편(28)에 의한 윗실(T)의 퇴피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은 옷감누름부재(11)의 구조를 설명함과 동시에, 봉침(7)과 옷감누름부재(1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는 봉침(7) 및 옷감누름부재(11)의 측면도(일부 단면도)이고, 도 5(a)는 옷감누름부재(11)의 하단 및 봉침(7)의 침선의 측면도(일부 단면도), 도 5(b)는 그 정면도이며, 도 6(a)은 옷감누름부재(11)의 하단 및 봉침(7)의 침선의 정면도, (b)는 그 평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느 스티치의 바느질이 행해진 후, 다음의 스티치를 위해서 봉제틀의 이동에 의해 피봉제물(A)이 미싱의 앞쪽(도에 있어서 좌측)으로 이동한 것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봉침(7)의 실꿰기구멍(7a)으로부터 피봉제물(A)에 걸쳐져 있는 윗실(T)이 이점쇄선 T'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과 걸쳐진 상태로 전후방향으로 경사진다. 이 상태로, 윗실(T)이 봉침(7)의 침선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경우가 있다. 도 5에는 그 경우의 봉침(7)의 침선 부분이 확대해 나타내고 있다. 이 때, 동일한 도(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윗실(T)이 전방누름돌기(29)에 대향하는 위치에 위치한다. 그 상태로 피봉제물(A)이 미싱의 앞쪽으로 더욱 이동하면, 윗실(T)은 전방누름돌기(29)에 맞닿는다. 그 후, 전방누름돌기(29)에 맞닿고 있는 윗실(T)이 좌우 어느 쪽인가의 경사면(30)으로 이행한다. 경사면(30)으로 이행한 윗실(T)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면(30)에 따라서 상승하면서 봉침(7)의 측방으로 피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봉침(7)의 침선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던 윗실(T)이 봉침(7)의 침선의 이동경로로부터 퇴피한다. 이렇게 하여, 봉침(7)의 침선이 윗실(T)에 접촉하는 것이 회피된다.
또한, 봉침(7)이 피봉제물(A)로부터 발침된 직후에는 옷감누름부재(11)는 하사점에 가까운 위치에 있다. 따라서, 봉침(7)이 피봉제물(A)로부터 발침된 직후에 봉제틀에 의한 피봉제물(A)의 이동이 개시되는 경우에서도 봉침(7)의 실꿰기구멍(7a)으로부터 피봉제물(A)에 걸쳐져 있는 윗실(T)이 피봉제물(A)의 이동에 수반하여 실회피편(28)의 전방누름돌기(29)에 맞닿는다. 이것에 의해, 앞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윗실(T)이 좌우 어느 쪽인가의 경사면(30)으로 이행하고, 경사면(30)에 따라서 상승하는 것으로 봉침(7)의 측방으로 피하게 된다. 이와 같이 봉침(7)이 피봉제물(A)로부터 발침한 직후에 피봉제물(A)의 이동이 개시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경사면(30)에 의해서 윗실(T)이 봉침(7)의 침선의 이동경로로부터 어긋나므로, 봉침(7)이 상승할 때에도 이 봉침(7)의 침선이 윗실(T)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윗실(T)이 전방누름돌기(29)로부터 우측의 경사면(30)으로 이행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윗실(T)이 전방누름돌기(29)로부터 좌우 어느 쪽의 경사면(30)으로 이행하는지는 스티치시의 피봉제물(A)의 이동방향 등 각종 상황에 따라 정해지는 것으로, 상황에 따라서는 좌측의 경사면(30)으로 이행하기도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미싱이 구비하는 옷감누름부재(11)에 의하면, 피봉제물(A)의 이동에 수반하여 윗실(T)이 봉침(7)의 침선의 이동경로에 걸려도 경사면(30)에 의해서 윗실(T)을 봉침(7)의 침선의 이동경로로부터 퇴피시킬 수 있다. 따라서, 봉침(7)의 침선이 윗실(T)에 접촉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윗실(T)이 손상되거나 끊어지거나 하는 것이 없어진다. 또, 본 실시형태의 미싱에 의하면, 옷감누름부재(11)에 경사면(30)을 형성하는(옷감누름부재(11)에 경사면(30)을 가지는 실회피편(28)을 부착한다) 것만으로, 봉침(7)의 침선와 윗실(T)와의 접촉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미싱의 구조가 복잡하지 않고, 부품점수의 증가나 코스트 업으로 연결되지 않게 마무리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미싱에 의하면, 옷감누름부재(11)에 형성한 경사면(30)에 의해서, 통상의 바느질 동작에 있어서의 피봉제물(A)의 이동에 수반하여 윗실(T)을 봉침(7)의 침선의 이동경로로부터 퇴피시킬 수 있으므로, 미싱의 바느질 동작은 종래와 동일한 것으로 좋다. 따라서, 미싱의 회전수를 내리거나 바늘대를 1바늘 점프시키거나 할 필요가 없어, 미싱의 자수효율이 저하할 우려가 없다.
[제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옷감누름도구를 사용한 자수미싱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도면 및 그 설명에 있어서는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부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 한다. 또, 이하에서 설명하는 사항 이외의 사항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같다. 도 7에는 제2 실시형태의 자수미싱이 구비하는 미싱헤드(HH)의 측면도(일부 단면도)가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미싱헤드(HH)는 제1 실시형태의 미싱헤드(H)와 비교하여, 구성부품 및 동작기구가 약간 차이가 난다. 즉, 미싱헤드(HH)가 구비하는 옷감누름부재(50)는 미싱헤드(H)가 구비하는 옷감누름부재(11)가 베이스 부재(21)와 옷감누름체(22)와의 2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과는 달리, 일부품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미싱헤드(HH)에는 옷감누름잡이(10)가 설치되지 않고, 옷감누름부재(50)의 상단은 바늘대(5)의 외주에 직접 부착되어 있다. 또 그것에 따라, 옷감누름잡이(10)에 설치하고 있던 걸어맞춤핀(10a) 및 걸어맞춤핀(10a)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4)도 생략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와 관한 옷감누름도구인 옷감누름부재(50)는 전체가 상하로 연장하는 가늘고 긴 평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단부에 형성한 수평면 모양의 위쪽 맞닿음부(50a)와 중간부에 형성한 수평면 모양의 중간 맞닿음부(50b)를 가지고 있다. 위쪽 맞닿음부(50a)와 중간 맞닿음부(50b)에는 바늘대(5)가 관통하는 관통구멍으로 이루어진 삽통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바늘대잡이(8)와 위쪽 맞닿음부(50a) 사이에는 옷감누름부재(50)를 아래쪽으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12)이 설치되어 있다. 옷감누름부재(50)는 바늘대잡이(8)의 하강에 수반하여 코일 스프링(12)의 가압에 의해서 바늘대(5)와 함께 하강한다. 옷감누름부재(50)는 위쪽 맞닿음부(50a)의 하면이 바늘대 케이스(2)의 하부에 설치한 가로프레임(2b) 위의 쿠션(51)에 맞닿는 위치에서 그 하강이 정지한다. 그 위치가 옷감누름부재(50)의 하사점으로 되어 있다.
옷감누름부재(50)가 하사점에 이른 후, 바늘대잡이(8)의 하강에 의해서 코일 스프링(12)이 압축되면서 바늘대(5)는 더욱 하강을 계속한다. 이것에 의해, 봉침(7)이 피봉제물(A)에 삽침되어 하사점에 이르고, 그 후, 상승으로 전환하여 발침된다. 이전, 옷감누름부재(50)는 하사점에 머무른다. 바늘대(5)가 피봉제물(A)로부터 발침된 후, 바늘잡이(6)가 쿠션(13)을 통하여 중간 맞닿음부(50b)에 맞닿는다. 이후, 바늘잡이(6)에 의해서 중간 맞닿음부(50b)를 밀어 올려, 옷감누름부재(50)가 바늘대(5)와 함께 상승한다.
본 실시형태의 옷감누름부재(50)는 제1 실시형태의 옷감누름부재(11)가 구비하는 실회피편(28)과는 다른 형상의 실회피편(52)을 구비하고 있다. 즉, 옷감누름부재(50)의 구조체의 하부에 실회피편(52)이 부착되어 있다. 도 8은 봉침(7) 및 옷감누름부재(50)의 확대 정면도이다. 실회피편(52)의 전방누름돌기(제1 누름돌기)(54)는 정면에서 보아(바늘통과구멍(27)의 장경방향에 따른 전방 중앙의 위치(제1 위치)에 대해서) 우측으로 치우친 위치(제2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실회피편(52)의 전방누름돌기(제1 누름돌기)(54)는 봉침(7)의 실꿰기구멍(7a)의 입구 측에 대응하는 제1 위치로부터 어긋난 제2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방누름돌기(54)로부터 연속하는 경사면(실퇴피부)(53)는 전방누름돌기(54)의 좌측에만 형성되어 있고, 전방누름돌기(54)로부터 좌측방향(시계방향)으로 돌아감에 따라 위쪽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경사면(53)은 전방누름돌기(제1 누름돌기)(54)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상승하도록 하는 경사로 제1 위치(전방 중앙)를 지나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전방누름돌기(54)의 우측에는 그러한 경사면(실퇴피부)을 형성하지 않았다. 이와 같이, 제2 실시형태의 실회피편(52)에는 1개의 경사면(실퇴피부)(53)이 형성되어 있다.
본 제 2실시형태의 실회피편(52)에 의하면, 전방누름돌기(54)가 정면에서 보아 우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윗실(T)이 봉침(7)의 침선의 이동경로에 걸릴 때는 윗실(T)은 최초로 전방누름돌기(54)(즉 경사면(53)의 시단) 가 아니고, 경사면(53)의 도중에 맞닿고, 그 후, 이 윗실(T)이 피봉제물(A)의 이동에 수반하여 경사면(53)에 따라서 봉침(7)의 좌측으로 피하게 되어(장력이 늘어나므로 윗실(T)의 장력을 피하도록 경사면을 따라서 상행한다), 봉침(7)의 침선의 이동경로로부터 어긋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봉침(7)이 상승 혹은 하강할 때에 봉침(7)의 침선이 윗실(T)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 및 명세서와 도면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1실시형태에서는 옷감누름부재(11)를 서로 별개의 부품인 베이스 부재(21)와 옷감누름체(22)로 구성한 경우를 나타냈지만, 옷감누름부재(11)의 베이스 부재(21)와 옷감누름체(22)는 하나의 부품으로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실회피편(실퇴피부)은 윗실(T)을 봉침(7)의 침선의 이동경로로부터 퇴피시킬 수 있는 형상의 것이면, 상기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경사면(30, 53)과 같이 직선형상의 경사면으로는 한정되지 않고, 구면형상 또는 원호면 형상 등의 곡면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사면으로 하여도 좋다. 또, 실회피편(28, 52)는 상기와 같은 경사면(30, 53)과 누름돌기(전방누름돌기(29, 54))를 가지고 있으면, 다른 부분의 구체적인 형상은 상기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것으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경사면(30, 53)을 가지는 실회피편(28, 52)를 옷감누름부재(11, 50)에 부착한 경우를 나타냈지만, 실회피편을 옷감누름부재의 구조체와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2종류의 다른 미싱헤드(H, HH)에 적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을 적용하는 미싱헤드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것으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다침자수미싱에 적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다침자수미싱 이외의 다른 미싱에도 적용 가능하다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와 관한 옷감누름도구를 사용하는 자수미싱의 미싱헤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미싱헤드의 측면도(일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옷감누름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옷감누름도구의 구성 및 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5는 옷감누름도구의 하단 및 봉침의 침선의 부분 확대도로서, (a)는 측면(일부 단면)도, (b)는 정면도이다.
도 6은 옷감누름도구의 하단 및 봉침의 침선의 부분 확대도로서, (a)는 정면도, (b)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와 관한 옷감누름도구를 사용하는 자수미싱의 미싱헤드의 측면(일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와 관한 옷감누름도구와 그것에 관한 봉침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9는 종래의 자수미싱에 있어서의 옷감누름도구 및 봉침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자수미싱에 있어서의 봉침 및 윗실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자수미싱에 있어서의 봉침 및 윗실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 한 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자수미싱에 있어서의 봉침 및 윗실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암
2 바늘대 케이스
3 침판
4 미싱주축
5 바늘대
6 바늘잡이
7 봉침
8 바늘대 잡이
9 바늘대 구동부재
10 옷감누름잡이
11 옷감누름부재(옷감누름도구)
12 코일 스프링
14 지지부재
15 바늘대 유지 스프링
18 천칭축
19 천칭
20 천칭구동레버
21 베이스 부재
22 옷감누름체(하부 구조체)
27 바늘통과구멍
28 실회피편
29전방누름돌기(제1 누름돌기)
30 경사면(실퇴피부)
31 후방누름돌기(제2 누름돌기)
50 옷감누름부재(옷감누름도구)
52 실회피편
53 경사면(실퇴피부)
54 전방누름돌기(제1 누름돌기)
55 후방누름돌기(제2 누름돌기)
A 피봉제물
H 미싱헤드
HH 미싱헤드
T 윗실

Claims (8)

  1. 봉침(縫針)의 동작에 연동하여 피봉제물을 누르기 위해서 상하로 왕복운동하는 미싱용 옷감누름도구로서,
    이 옷감누름도구의 하면에 형성된 적어도 1개의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봉침의 실꿰기구멍에서 나와 상기 피봉제물에 걸쳐져 있는 윗실이 이 피봉제물의 움직임에 수반하여 움직이는 동안에 상기 경사면에 맞닿았을 때, 이 윗실이 이 경사면을 따라서 움직이는 것에 의해, 이 윗실이 이 봉침의 침선(針先)에 닿지 않는 위치로 피하도록 상기 경사면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용 옷감누름도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옷감누름도구의 하면에는 상기 봉침의 실꿰기구멍의 입구 측에 위치하도록 제1 누름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1쌍의 상기 경사면이 상기 제1 누름돌기의 양측에 있어서 이 제1 누름돌기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상승하도록 하는 경사로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옷감누름도구의 하면에는 상기 제1 누름돌기와 대략 같은 높이로 제2 누름돌기가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봉제물에 상기 제1 및 제2 누름돌기가 맞닿는 것에 의해 밀어 붙여지도록 되어 있는 미싱용 옷감누름도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누름돌기와 상기 1쌍의 상기 경사면은 바늘통과구멍을 가지는 실회피편에 있어서 이 바늘통과구멍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고,
    이 실회피편이 상기 옷감누름도구의 구조체의 하부에 부착되고 있는 미싱용 옷감누름도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누름돌기와 상기 1쌍의 상기 경사면은 바늘통과구멍을 가지는 상기 옷감누름도구의 구조체의 하부에 있어서 이 구조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미싱용 옷감누름도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옷감누름도구의 하면에는 상기 봉침의 실꿰기구멍의 입구 측에 대응하는 제1 위치로부터 어긋난 제2 위치에 제1 누름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1개의 상기 경사면이 상기 제1 누름돌기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상승하는 경사로 상기 제1 위치를 통해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옷감누름도구의 하면에는 상기 제1 누름돌기와 대략 같은 높이로 제2 누름돌기가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봉제물에 상기 제1 및 제2 누름돌기가 맞닿는 것에 의해 밀어 붙여지 도록 되어 있는 미싱용 옷감누름도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누름돌기와 상기 경사면은 바늘통과구멍을 가지는 실회피편에 있어서 이 바늘통과구멍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고,
    이 실회피편이 상기 옷감누름도구의 구조체의 하부에 부착되어 있는 미싱용 옷감누름도구.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누름돌기와 상기 경사면은 바늘통과구멍을 가지는 상기 옷감누름도구의 구조체의 하부에 있어서 이 구조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미싱용 옷감누름도구.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미싱용 옷감누름도구와,
    상기 봉침을 하단에 유지한 바늘대와,
    상기 피봉제물을 유지하고, 상기 봉침의 봉침위치에 대해서 이동가능한 봉제틀을 구비하는 미싱.
KR1020080101683A 2007-10-17 2008-10-16 미싱용 옷감누름도구 및 미싱 Expired - Fee Related KR1010853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70727 2007-10-17
JP2007270727A JP2009095503A (ja) 2007-10-17 2007-10-17 ミシン用の布押え具及びミシ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9637A true KR20090039637A (ko) 2009-04-22
KR101085302B1 KR101085302B1 (ko) 2011-11-22

Family

ID=40514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1683A Expired - Fee Related KR101085302B1 (ko) 2007-10-17 2008-10-16 미싱용 옷감누름도구 및 미싱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9095503A (ko)
KR (1) KR101085302B1 (ko)
CN (1) CN101413185A (ko)
DE (1) DE102008051945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50043478A1 (en) * 2021-09-30 2025-02-06 Tism Co., Ltd. Sewing machine and presser foot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01398B (zh) * 2009-11-28 2013-10-02 新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花样缝纫机的压脚结构
JP6143327B2 (ja) * 2013-02-01 2017-06-07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刺繍用布押さえ
DE202015104412U1 (de) * 2015-08-20 2016-11-22 Dürkopp Adler AG Nähmaschine sowie Nähmaschinen-Baugruppe
CN106048910B (zh) * 2016-07-19 2019-01-01 苏州美山子制衣有限公司 一种单针缝纫机的压脚
CN116254653A (zh) * 2017-03-06 2023-06-13 浙江镨美科智能刺绣设备有限公司 一种绣花机机头
CN108221193B (zh) * 2018-03-22 2024-04-19 长沙学院 一种转动式多点张紧定位装置
US20210017684A1 (en) * 2018-03-30 2021-01-21 Jeong Hyeon Park Sewing machine
KR102195122B1 (ko) * 2018-09-21 2020-12-30 박정현 재봉기
US12259450B2 (en) 2023-05-05 2025-03-25 GE Precision Healthcare LLC Systems, assemblies, and methods of fabrication of radio-frequency coil assemblies of a magnetic resonanc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14935A (en) * 1968-04-18 1971-10-26 Cesare L Conti Device for driving the thread out of the way from under the presser foot of a sewing machine
JPH022295Y2 (ko) * 1986-02-28 1990-01-19
JPH022295A (ja) 1988-06-10 1990-01-08 Matsushita Graphic Commun Syst Inc 一次元イメージセンサ
JPH10110374A (ja) * 1996-09-30 1998-04-28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ミシン
JP2001062174A (ja) * 1999-08-25 2001-03-13 Barudan Co Ltd ミシン及びその枠駆動方法
KR100358930B1 (ko) 2000-07-31 2002-10-31 썬스타 특수정밀 주식회사 자수기용 노루발 스토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50043478A1 (en) * 2021-09-30 2025-02-06 Tism Co., Ltd. Sewing machine and presser foo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8051945B4 (de) 2012-10-31
KR101085302B1 (ko) 2011-11-22
CN101413185A (zh) 2009-04-22
JP2009095503A (ja) 2009-05-07
DE102008051945A1 (de) 200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5302B1 (ko) 미싱용 옷감누름도구 및 미싱
KR101329122B1 (ko) 단사 삽입장치
KR20080088455A (ko) 재봉기
JP4139843B2 (ja) ミシンの糸通し装置
CN1407162A (zh) 多针双重锁边缝纫机的针线控制装置
US7267063B2 (en) Embroidery presser for embroidery machine
CN101285247A (zh) 装饰缝制缝纫机
JP2007159619A (ja) ミシン
JP2002355467A (ja) ミシンの糸掛け装置
JP4195903B2 (ja) ミシンの糸通し装置
JP2009011726A (ja) ミシン
KR102195122B1 (ko) 재봉기
CN111936687B (zh) 缝纫机
JP2006169696A (ja) コード縫い方法及び装置
CN1776065A (zh) 上装饰缝合装置
JP4196378B2 (ja) ミシンの針受け装置
KR100944296B1 (ko) 재봉틀
JP7481893B2 (ja) ミシン
US8079318B2 (en) Sewing machine
JP7438016B2 (ja) ミシン
JP4538506B2 (ja) 糸通し器
JPH06126056A (ja) ミシン
JPH0424084A (ja) 二重環縫腕ミシンの針案内装置
JP2000070581A (ja) 多針ミシン
JPH1119372A (ja) 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2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1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1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