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10954A - 전기식 에어로졸 기구 - Google Patents

전기식 에어로졸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0954A
KR20090010954A KR1020087024863A KR20087024863A KR20090010954A KR 20090010954 A KR20090010954 A KR 20090010954A KR 1020087024863 A KR1020087024863 A KR 1020087024863A KR 20087024863 A KR20087024863 A KR 20087024863A KR 20090010954 A KR20090010954 A KR 20090010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housing
sensor
fluid reservoir
mo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4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에이. 헬프
폴 이. 퍼너
에드워드 엘. 파스
Original Assignee
에스.씨. 존슨 앤드 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씨. 존슨 앤드 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에스.씨. 존슨 앤드 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10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954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B05B17/0607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generated by electrical means, e.g. piezoelectric transducers
    • B05B17/0638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generated by electrical means, e.g. piezoelectric transducers spray being produced by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hrough a plate comprising a plurality of orifices
    • B05B17/0646Vibrating plates, i.e. plates being directly subjected to the vibrations, e.g. having a piezoelectric transducer attached thereto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22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 A01M1/2027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without heating
    • A01M1/2044Holders or dispensers for liquid insecticide, e.g. using wicks
    • A01M1/205Holders or dispensers for liquid insecticide, e.g. using wicks using vibrations, e.g. ultrasonic or piezoelectric atomiz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2Manually-actuated controlling means, e.g. push buttons, levers or trig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ime, or sequence, of deliv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B05B17/0607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generated by electrical means, e.g. piezoelectric transdu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Nozzl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유체를 확산시키기 위한 기구(2)는 내부전원과 교체가능한 액체저장기(6)를 수용하도록 적용되는 탑재조립체를 갖는 하우징(4)을 포함한다. 상기 유체저장기는 그의 방출단부 쪽으로의 상기 유체의 이동을 위한 모세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내에는 하나의 메카니즘이 위치되고 상기 내부전원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어 상기 모세관부재의 상기 방출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천공된 방출판을 진동시키도록 한다. 상기 메카니즘은 확산 상태에서 충분한 진동 운동을 제공하여 상기 방출단부로부터 상기 방출판을 통하여 대기 내로 상기 유체를 펌핑하도록 한다. 제어부(8)가 상기 하우징에 의해 수반되며, 상기 탑재조립체 아래에 위치된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시간설정된 작동 모드, 센서(5)에 의해 발달된 센서 출력에 따른 자동 작동 모드 및 수작업 작동 모드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더욱이 상기 탑재조립체는 상기 교체가능한 유체저장기를 사용중의 상태 동안에 시각적으로 검사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수용하도록 적용된다.
모세관부재, 메카니즘, 진동판, 유체, 탑재조립체, 액츄에이터, 작동버튼

Description

전기식 에어로졸 기구 {ELECTRONIC AEROSOL DEVICE}
본 발명은 분무기구(spray device)로부터 유체를 방출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압전펌프조립체(piezoelectric pump assembly)를 사용하여 노즐을 통하여 유체를 방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작업으로 작동되는 소형의(hand-held) 분무 기구들은 유체를 방출하기 위하여 펌프조립체의 반복되는 수작업 활성화를 필요로 하는 펌프-타입 분무기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분무기구들은 유체의 단일 작용 연속 분무(single action continuous spraying)가 달성될 수 없기 때문에 유용성에 제한이 있다. 대신에, 상당한 양의 제품을 방출시키기 위하여는 사용자는 반드시 반복적으로 상기 조립체를 펌핑시켜야 한다. 에어로졸 용기(aerosol containers) 등과 같은 다른 소형의 분무기구들에 있어서는, 밸브조립체를 개방시켜 가압된 추진제가 용기 내에 저장된 유체를 방출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단일 작용 연속 분무가 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연속 분무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에어로졸 용기들은 추진제들을 활용한다. 비록 이러한 기구들이 상당한 양의 제품이 방출되어야 하는 경우에 유용들에서 유용하기는 하나, 일부 소비자들은 상기 밸브조립체가 개방된 조건을 유지하도록 하는 데 필요한 힘이 손의 피로를 가져옴을 발견한다. 또한, 추진제들 및/또는 기구들(상기 추진제가 대기로부터 분리된 채로 잔류하도록 하는 제품들에서의 상기 추진제를 포함하도록 하는 피스톤 등과 같은)에 대한 요구는 원치않게 상기 기구의 복잡성 및 비용을 더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르면, 유체를 확산시키기 위한 기구는 내부전원(internal power source)을 갖는 하우징 및 교체가능한 유체저장기(fluid reservoir)를 수용하도록 적용되는 탑재조립체(mounting assembly)를 포함한다. 상기 유체저장기는 그의 방출단부(discharge end)에로의 상기 유체의 이동을 위한 모세관부재(capillary element)를 포함한다. 하나의 메카니즘(mechanism)이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되고 그리고 상기 내부전원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아(energized) 상기 모세관부재의 상기 방출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천공된 방출판(perforated discharge plate)을 진동시키도록 한다. 상기 메카니즘은 확산 상태에서 충분한 진동 이동(vibratory movement)을 제공하여 상기 유체를 상기 방출단부로부터 상기 방출판을 통하여 대기 내로 펌핑하도록 한다. 제어부(control)가 상기 하우징에 의해 수반되며 상기 탑재조립체 아래에 위치된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하나의 센서에 의해 발달된 센서 출력에 의존하여 시간제어된 작동모드(timed mode of operation), 자동 작동모드(automatic mode of operation) 및 수작업 작동모드(manual mode of operation)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제공한다. 상기 탑재조립체는 사용 중의 조건 동안에 육안으로 검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허용하는 방법으로 교체가능한 유체저장기를 수용하도록 더욱 적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휘발성 액체 분무 기구는 내부전원을 갖는 하우징과 유체를 보유하기 위한 교체가능한 유체저장기를 수용하기 위한 탑재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유체저장기는 그의 방출단부(discharge end)에로의 상기 유체의 이동을 위한 모세관부재(capillary element)를 포함한다. 압전부재(piezoelectric element)가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되고 그리고 상기 내부전원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모세관부재의 상기 방출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천공된 방출판을 진동시키도록 한다. 상기 압전부재는 확산 상태에서 충분한 진동 이동을 제공하여 상기 유체를 상기 방출판을 통하여 대기 내로 펌핑하도록 한다. 하나의 제어판(control panel)이 즉시작동버튼(instant activation button) 및 감지된 인자에 대응하여 상기 메카니즘을 자동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시간제어된 작동모드 및 센서-기반의 작동모드의 선택을 허용하는 스위치를 갖는 상기 하우징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소형의 분무 기구는 본체(body), 바닥단부(bottom end) 및 상단부(top end)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제1새시(first chassis)가 상기 본체 내에 활주가능하게 보유되며 제1위치와 제2위치들 사이에서 가변된다. 상기 하우징은 그 내부에 배터리를 수용하도록 적용된다.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기구(activation device)가 상기 하우징 상에 위치된다. 제2새시가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되며 압전액츄에이터(piezoelectric actuator) 및 오리피스판 조립체(orifice plate assembly)를 보유한다. 상기 제2새시는 방출가능한 단부를 갖는 제거가능한 액체저장기를 보유하도록 적용된다. 상기 압전액츄에이터 및 상기 오리피스판 조립체는 확산 상태에서 충분한 진동 이동을 제공하도록 적용되어 상기 액체를 상기 방출단부로부터 상기 방출판을 통하여 펌핑하도록 한다. 상기 제1새시의 상기 제1위치에로의 이동은 상기 기구가 작동 상태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허용하고 그리고 상기 제1새시의 상기 제2상태로의 이동은 상기 액체저장기 및 상기 배터리 중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하우징 내로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확산기로부터 유체를 확산시키기 위한 방법은 내부전원을 갖는 하우징, 교체가능한 유체저장기를 수용하기 위한 탑재조립체, 천공된 방출판을 진동시키기 위한 메카니즘 및 확산기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어판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교체가능한 유체저장기는 상기 탑재조립체 내에 보유되며, 상기 유체저장기는 그의 방출단부에로의 유체의 이동을 위한 모세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교체가능한 유체저장기 내에는 유체가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교체가능한 유체저장기를 상기 탑재조립체 내로 안내하여 사용자가 상기 유체저장기 내의 상기 유체의 수준을 결정하도록 하는 것을 허용하는 단계와 상기 메카니즘을 하나의 센서의 출력에 의존하여 시간제어된 작동모드, 자동 작동모드 및 수작업 작동모드들 중의 적어도 하나로 활성화시키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활성화는 상기 천공된 방출판이 인접하는 상기 모세관부재의 상기 방출단부가 진동하도록 하고 그리고 상기 유체를 상기 방출판으로부터 그리고 대기 내로 펌핑되도록 하는 원인이 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내부전원에 의하여 상기 메카니즘에 동력을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관점들 및 잇점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명백하게 될 것이며, 여기에서 유사한 요소들은 유사한 참조번호들로 할당된다.
도 1은 그 안에 삽입된 유체저장기를 갖는 유체방출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기 유체방출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상기 유체방출기구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상기 유체방출기구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상기 유체방출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유체방출기구의 제1본체부 만을 나타낸 것을 제외하고는 도 2의 그것과 유사한 시선을 따라 잘라낸 전방 축측도(front trimetric view ; 軸測圖 : 직육면체의 세 側圖가 동시에 나타난 그림)이다.
도 6a는 도 6의 상기 제1본체부의 후방 축측도이다.
도 7은 상기 유체방출기구의 제2본체부 만을 나타낸 것을 제외하고는 도 3의 그것과 유사한 시선을 따라 잘라낸 후방 축측도이다.
도 7a는 도 7의 제2본체부의 전방 축측도이다.
도 8은 유체저장기와 배터리들이 그로부터 생략된 상태의 상기 유체방출기구의 원통형본체와 새시의 분리를 나타내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개방 위치(open position)의 상기 유체방출기구의 결합된 새시와 원통형본체를 묘사하는 도 8과 유사한 사시도이다.
도 9a는 도 9에서 나타낸 상기 개방 위치의 상기 유체방출기구의 배면도이 다.
도 10 및 도 10a들은 각각 도 8, 도 9 및 도 9a들의 상기 새시들의 정면도 및 배면도들이다.
도 11은 상기 유체저장기 및 상기 압전액츄에이터 및 오리피스판 조립체들을 제외하고 그리고 명료화를 위하여 생략된 단면 평면의 평면 뒤의 부분들을 함께 나타내는 도 2의 11-11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압전요소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회로의 블록다이아그램이다.
도 13은 지지 새시(support chassis) 및 압전액츄에이터 및 오리피스판 조립체의 확대되고, 전개된 축측도이다.
도 14는 그의 제1상단부를 묘사하는 도 10 및 도 10a들의 상기 무화기구(atomizing device)의 상단부의 확대된, 부분 축측도이다.
도 14a는 그의 제2상단부를 묘사하는 도 10 및 도 10a들의 상기 무화기구(atomizing device)의 상단부의 확대된 축측도이다.
도 15는 도 1에서 묘사된 상기 유체저장기의 등각도이다.
도 16은 제1작동순서(first operational sequence)에 따라 도 1의 상기 유체방출기구의 작동을 나타내는 제1시간다이아그램(timing diagram)이다.
도 17은 제2작동순서에 따라 도 1의 상기 유체방출기구의 작동을 나타내는 제2시간다이아그램이다.
도 18은 제3작동순서에 따라 도 1의 상기 유체방출기구의 작동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9는 그 안에 삽입된 유체저장기를 갖는 유체방출기구의 다른 구체예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상기 유체방출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상기 유체방출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22는 도 19의 상기 유체방출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23은 도 19의 상기 유체방출기구의 저면도이다.
도 24는 전방덮개, 센서 및 상기 유체저장기들이 제거된 도 19와 유사한 등각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도 1 내지 도 5들은 대체로 유체방출기구(2)의 하나의 구체예를 묘사하고 있다. 상기 기구(2)는 대체로 길이가변식의 하우징(telescoping housing)(4), 유체저장기(6) 및 제어판(8)을 포함한다. 상기 기구(2)는 전형적으로는 두 가지 사용상태(in-use conditions)들 또는 작동모드들 중 적어도 하나로 작동된다. 제1작동모드에서 사용자는 상기 하우징(4)을 파지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기구(2)를 손으로 파지하고, 그 후에, 상기 제어판(8)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저장기(6)로부터 유체가 방출된다. 제2작동모드에서 상기 기구(2)의 상기 하우징(4)은 지지 표면(support surface) 상에 놓여지고 그리고 타이머 및/또는 센서(9)(작동센서)로부터의 작동 신호의 접수에 의하여 유체가 방출된다. 상기 방출된 유체는 담체유체(carrier fluid)와 함께 하거나 그렇지 않거나 간에 방향제(fragrance), 소독제(sanitizing agent), 가구세정제(household cleaner), 살충제(insecticide), 곤충퇴치제(insect repellant), 탈취액체(deodorizing liquid) 또는 그러한 것들을 위한 임의의 유체(액체 및/또는 가스)가 될 수 있다.
상기 길이가변식의 하우징(4)은 전형적으로는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주조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4)은 원통형의 본체(10), 절두상의 반구형의 상단부(truncated hemispherical top portion)(12) 및 평면상의 바닥부(14)를 포함한다(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음). 상기 본체(10)는 약 2.0인치(5.08㎝)의 직경 및 약 6.0인치(15.24㎝)의 전체 높이를 갖는다. 상기 반구형의 상단부(12)는 오목한 함몰부(concave depression)(15)을 포함하며, 이는 도 1 및 도 5들에서 가장 잘 나타내었다. 무화되거나 또는 에어로졸화된 액체 출구(liquid outlet)(16)가 상기 오목한 함몰부(15)의 중앙 내에 제공된다. 상기 평면상의 바닥부(14)는 지지 표면 상에 놓여져서 상기 기구(2)를 직립의 상태로 유지하도록 한다.
특히, 도 1, 도 2, 도 4 및 도 5들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4)의 전방면(18)은 이하에서 상술되는 바와 같이 여러 부품들이 함께 조립되는 경우에 상기 본체(10)와 상기 상단부(12) 내에서 움푹 들어가는 평면상의 면판(faceplate)(20)을 포함한다. 상기 면판(20)은 상기 상단부(12) 내로 연장되고 그리고 그와 일체로 되는 만곡된 상단부(22)를 제외하고는 형태에 있어서 대체로 사각형이다. 경주트랙(race-track) 형태의 개구(24)가 상기 평면상의 면판(20) 내에 제공된다. 상기 개구(24)는 상기 개구(24)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방호하는 하나의 벽(26)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여진다. 상기 제어판(8)은 상기 면판(20) 상의 상기 개구(24) 아래에 위치된다. 상기 제어판(8)은 바퀴 또는 다이얼(dial)(28) 및 작동버튼(activation button)(30)을 포함한다. 비-평면상의 만곡된 부분(32)이 상기 면판(20)의 아래에 나타나 있다. 상기 만곡된 부분(32)은 상기 본체(10)로부터 내측으로 상기 면판(20)의 바닥으로부터 그의 상부쪽으로 테이퍼가 형성되게(tapered)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5들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4)의 후방면(34)은 도 1 내지 도 3들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여러 부품들이 조립된 경우에 역전된 유자형(inverted U-shape)의 형태인 하나의 통로(36)를 포함한다. 상기 유자형의 통로(36)의 제1연장부(38) 및 제2연장부(40)들은 상기 하우징(4)의 상기 바닥부(14)와 상기 상단부(12) 사이에서 법선적으로(즉, 수직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유자형의 통로(36)의 만곡된 부분(42)이 상기 상단부(12) 내에서의 상기 제1연장부(38)와 제2연장부(40) 사이에서 연장된다. 상기 후방면(34)은 또한 상기 하우징(4)을 수직의 또는 다른 지지 표면(도시하지 않음)에 부착시키기 위한 탑재오리피스(mounting orifice)(44)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4)은 제1본체부(46) 및 제2본체부(48)를 각각 더 포함한다. 도 6 및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본체부(46)는 상기 원통형 본체(10)의 상기 전방면(18) 및 그와 일체인 상기 바닥부(14)의 부분을 형성한다. 상기 전방면(18)을 상기 면판(20)을 제외하고는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본체부(46)는 바닥벽(50)에 의해 한정되며, 그 내부에 위치되는 사각형의 요부(recess), 2개의 측벽(52a, 52b)들, 전방벽(54) 및 상기 전방벽(54)과 함께 각각 상기 측벽(52a, 52b)들에 연결되는 2개의 각이 진 벽(56a, 56b)들을 포함한다. 벽(58a 내지 58c)들은 상기 전방벽(54) 내에 위치되는 사각형의 절취부(cut-out portion)(59)를 한정한다. 도 7 및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본체부(48)는 상기 원통형의 본체(10)의 후방면(34) 및 그와 함께 일체로 되는 상기 바닥부(14)의 일부를 형성한다. 도 7a는 바닥벽(60), 2개의 측벽(62a, 62b)들, 중간벽(64) 및 각각 상기 중간벽(64)에 연결되는 2개의 각이 진 벽(66a, 66b)에 의해 한정되는 사각형의 요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2본체부(48)의 전방면을 나타내고 있다. 더욱이 상기 중간벽(64)은 그 내부에 위치되는 통로(68)를 갖는다. 상기 통로(68)는 제2의 한 쌍의 각이 진 측벽(70a, 70b)들, 후방벽(72), 상기 바닥벽(60)의 일부 및 대향하는 상부벽(74)들에 의해 한정된다. 상기 중간벽(64) 및 상기 제2의 한 쌍의 각이 진 벽(70)들은 도 7에 묘사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본체부(48)의 후방 도면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상기 제1연장부(38) 및 제2연장부(40)들을 한정한다.
도 6a, 도 7a 및 도 9들을 참조하면, 상기 제1본체부(46) 및 제2본체부(48)들은 그 안에 테이퍼가 형성된 핀(pin)(77)들이 압입끼워맞춤(press-fitted)되는 정렬된 구멍(75)들을 포함한다. 하나의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가 형성된 핀(77)들은 상기 구멍(75)들에 대한 크기를 가지며, 단독으로 영구적인 방법으로 상기 제1본체부(46) 및 제2본체부(48)들을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달리, 상기 핀(77)들 및 접착제 또는 다른 고정수단들이 사용되어 영구적이거나 도는 반-영구적인 방법으로 상기 제1본체부(46) 및 제2본체부(48)들을 서로 고정시킬 수 있다. 특히, 도 6a 및 도 7a들은 각각 구멍(75a 내지 75h)들 및 구멍(75i 내지 75p)들을 묘사하고 있으며, 이들은 상기 본체(10)의 조립 동안에 그들 사이에 새시(76)가 위치된 후에(도 8, 도 9 및 도 9a) 서로에 대해 정렬된다. 테이퍼가 형성된 핀(77)들(도 9에서는 단지 핀(77a 내지 77d)들을 가상선으로 나타냄)은 상기 구멍(75a 내지 75p)들 내에 위치되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본체부(46) 및 제2본체부(48)들을 서로 고정시킨다. 도 8, 도 9 및 도 9a들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새시(76)는 상기 본체(10) 내에서 활주가능하게 보유된다. 상기 기구(2)의 사용 동안에, 상기 새시(76)는 상기 하우징(4)에 대하여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제1밀폐위치 또는 제1작동위치로부터 도 9 및 도 9a에 나타낸 제2개방위치 또는 제2작동위치에로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새시(76)는 상기 상부(12) 및 하우징(4)을 파지하고 당기는 것에 의해 상기 밀폐위치 및 개방위치들 사이에서 가변된다.
도 10 및 도 10a들은 상기 본체(10)로부터 제거된 상기 새시(76)를 묘사하고 있다. 상기 새시(760는 상부벽(80), 바닥벽(82), 전방벽(84), 후방벽(86) 및 2개의 측벽(88a, 88b)들을 갖는 사각형의 블록(block)(78)을 포함한다. 상기 블록(78)은 각각 상기 측벽(88a, 88b)들로부터 상기 전방벽(84) 쪽으로 연장되는 제1의 한 쌍의 각이 진 측벽(90a 및 90b)들을 더 포함한다. 상기 블록(78)은 또한 각각 상기 측벽(88a, 88b)들로부터 상기 후방벽(86) 쪽으로 연장되는 제2의 한 쌍의 각이 진 측벽(92a 및 92b)들을 더 포함한다. 하나의 후방판(rear plate)(94)(도 10a) 및 제3의 한 쌍의 각이 진 벽(95a, 95b)들이 상기 각이 진 측벽(92a, 92b)들로부터 상기 상부벽(80) 쪽으로 상방으로 연장된다. 더욱이 테이퍼가 형성된 벽(97)이 상기 하붕판(94)과 상기 상부벽(80) 사이에서 연장된다. 상기 후방판(94)은 상기 각이 진 측벽(92a, 92b)들 및 상기 후방벽(86)들 보다 더 먼 거리로 외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후방판(94)은 또한 상기 후방판(94)의 저단부(lower end)(98)에 인접하여 외측으로 연장되는 정지플랜지(stop flange) 또는 정지부재(96)를 포함한다.
도 11은 상기 제1본체부(46) 및 제2본체부(48)들의 결합된 사각형의 요부에 의해 한정된 공동(void)(100) 내에 맞춰진 상기 블록(78)의 단면도이다. 상기 공동(100) 내에 상기 블록(78)을 위치시키는 것은 상기 새시(76)가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상기 개방위치와 밀폐위치들 사이에서 활주되도록 하는 것을 허용한다. 상기 후방판(96)의 상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정지플랜지(96)는 상기 블록(78)이 상기 공동(100) 내에 위치되는 경우에 상기 제2본체부(48)의 상기 새시(68) 내에 들어맞도록 형성된다. 상기 정지플랜지(96)는 상기 새시(76)를 상기 개방위치 및 밀폐위치들 사이에서 안내하는 데 도움을 주고 그리고 상기 새시(76)가 상기 개방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정지플랜지(96)의 상기 통로(68)의 상기 상부벽(74)과의 물리적인 결합에 의하여 상기 새시(76)가 상기 공동(100)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실(102)이 상기 블록(78)의 상기 후방벽(86) 내에 위치된다.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콘트롤러(programmable controller), 주문형반도체(ASIC ;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그의 기능이 이하에서 상세하게 기술되는 것과 같은 것들을 포함할 수 있는 전기회로(도시하지 않음), 가 상기 제1실(102) 내에 위치된다. 약간 더 작은 제2실(106)이 상기 블록(78)의 상기 전방벽(84) 뒤에 위치된다. 한 쌍의 배터리접촉홀더(battery contact holders)(108)들이 상기 제2실(106) 내에 제공된다. 상기 배터리접촉홀더(108)들은 표준의 AA배터리들(도시하지 않음)의 단부들에 대하여 전도성의 리드(conductive leads)(110)들을 압박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리드(110)들은 상기 배터리들의 단부들로부터 상기 회로에까지 연장되고, 그에 의하여 상기 회로에 전력을 제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유체방출기구(2)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회로(112)는 전압조정기(voltage regulator)(1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직류전원(114)을 포함한다. 상기 전압조정기(116)는 출력드라이버(output driver)(118)에 전력을 공급한다. 출력드라이버(118)는 임의의 적절한 형태의 증폭기(amplifier)가 될 수 있으며, 그의 상세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쉽게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어회로(112)는 상기 출력드라이버(118)의 제1입력단(first input)(118a)에 연결되어 앞서 상세하게 기술한 바와 같은 상기 다이얼(28)의 위치 및/또는 상기 작동버튼(30) 및/또는 작동센서(9)에 따라 상기 유체방출기구의 작동을 조절하도록 하는 디지털 입력 및 제어 블록(digital input and control block)(12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출력드라이버(118)는 상기 출력드라이버(118)와 압전요소(124) 사이에서 직렬로 연결되는 인덕터(inductor)(122)를 통한 전류 흐름을 제어한다. 피드백 커패시터(feedback capacitor)(126)가 상기 압전요소(124)와 상기 출력드라이버(118)의 제2입력단자(118b) 사이에서 연결된다. 게다가, 하나의 레지스터(128)가 상기 압전요 소(124)와 상기 피드백 커패시터(126) 사이의 접점에서의 접지와 제어회로(112) 사이에서 연결된다. 상기 제어회로(112)는 전류가 다른 무엇들 보다도 상기 압전요소(124)의 특징적인 임피던스(impedance), 상기 인덕터(122)의 임피던스 및 상기 압전요소(124)의 온도에 의해 결정되는 공진주파수(resonant frequency)에서 상기 압전요소(124)를 통하여 흐르도록 하는 원인이 된다. 상기 피드백 커패시터(126)는 상기 피드백 신호의 위상(phase)을 적절한 작동을 위하여 요구되는 바 대로 90°로 진전(advance)시킨다.
필요한 경우, 나카네(Nakane)와 그의 동료들의 미합중국 특허 제4,632,311호에 나타난 회로를 사용하여 상기 공진주파수에서 상기 압전요소(124)를 구동시킬 수 있으며, 특히 이러한 특허의 상세한 설명을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인용한다.
상기 새시(76)는 상기 제2실(106)의 위에서 상기 블록(78)의 상기 전방벽(84)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사각형의 부분(136)(도 8 내지 도 10들)을 더 포함한다. 2개의 아암(arms)(138a, 138b)들이 상기 상부벽(80)과 상기 하우징(4)의 상기 반구형의 상단부(12) 사이로 연장된다. 상기 상단부(12)는 제1상단부(140) 및 제2상단부(142)(도 10 및 도 11)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상단부(140)는 각각 상기 제2상단부(142)의 구멍(144c, 144d)들에 정렬되는 구멍(144a, 144b)들을 포함한다. 앞서 논의한 바와 유사한 테이퍼가 형성된 핀(도시하지 않음)들이 상기 제1상단부(140)와 제2상단부(142)들 내의 상기 정렬된 구멍(144a 내지 144d)들 내에 위치되며, 유사하게 상기 제1상단부(140)와 제2상단부(142)들을 함께 고정시킨다. 상기 제1상단부(140)는 상기 블록(78)의 상기 상부벽(80)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상기 아암(138a, 138b)들의 내측면(146)에 일체로 부착된다. 더욱이, 상기 상단부(12)는 상기 블록(78)의 상기 상부벽(80) 상에서 중심을 이룬다. 상기 사각형의 부분(136) 내의 요부, 상기 아암(138a, 138b)들 및 상기 제1상단부(140)은 상기 면판(20)이 그 안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허용하는 크기이다. 상기 면판(20)은 적절한 거리로 움푹 들어가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상기 사각형의 절취부(58)에 대해 편평하게 되도록 한다. 상기 새시(76)가 상기 개방위치로부터 밀폐위치로 가변되는 경우, 상기 면판의 하단부(148)이 상기 본체(10)와 접촉되고, 그에 의하여 상기 새시(76)의 그 이상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한다.
본 구체예에서 유용한 하나의 지지새시(support chassis)(150)는 예를 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6,896,193호에서 기술된 것과 같은 것을 포함하며,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참고로 인용한다. 도 13에 묘사된 하나의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새시(150)가 상기 상부(12) 내에 제공되고 그리고 도 14 및 도 14a에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었다. 상기 지지새시(150)는 일측면 상에서 단부가 절단되어 편평한 면(154)을 형성하는 난형바닥판(oval base plate)(152)을 포함한다. 편평한 단부(154)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새시(76)의 상기 아암(138)들 내의 대응하는 슬롯(158)들과 결합되는 2개의 슬롯(slots)(156)들을 포함한다. 상기 슬롯(158)들을 갖는 상기 아암(138)들의 부분들은 상기 제1상단부(140) 상에 위치된다. 상기 편평한 단부(154)에 대향하는 상기 바닥판(152)의 일측면은 돌출부(162) 내로 형성된 홈(groove)(160) 내에서 움푹 들어가게 된다. 상기 돌출부(162)는 도 1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상단부(142)의 상기 내측면(146)으로부터 연장된 다. 상기 편평한 단부(154)와 상기 대향하는 면 사이에서 상기 바닥판(152)의 외측 주연부는 상기 상단부(12)의 상기 내측면(146)에 매달리는 2개의 대향하는 벽(164)들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지지새시(150)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으로 성형된 저장기탑재벽(166)을 더 포함한다. 2개의 대향하는 베이요넷홈(bayonet slots)(168)들이 상기 저장기탑재벽(166)과 상기 바닥판(152) 내로 형성된다. 각 베이요넷홈(168)은 원주상으로 연장되는 멈춤쇠(detent)(170)를 포함한다. 4개의 원통형 돌출부(172)들이 상기 바닥판(152)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여기에서 각 돌출부(172)는 그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보다 작은 제2돌출부(174)를 포함한다.
도 13은 또한 미합중국 특허 제6,896,193호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압전액츄에이터 및 오리피스판조립체(178)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조립체(178)는 금속와이어프레임(metal wire frame)(180)을 포함한다. 상기 금속와이어프레임(180)은 역전된 브이자형의 방법으로 내측으로 중앙부(182)를 향하여 연장되는 상기 프레임(180)의 대향하는 측면들에 대하여 편평한 단부를 갖는다. 상기 중앙부(182)는 2개의 대향하는 유자형의 영역(U-shaped sections)들로 한정된다. 그 후에 상기 2개의 측면들은 그의 단부들에서의 고리(loops)(184)들을 갖는 브이자형으로 외측으로 펼쳐진다(flare). 상기 금속프레임(180)의 상기 중앙부(182)는 중공의 원통형 조립체하우징(hollow cylindrical assembly housing)(186)에 부착된다. 상기 조립체하우징(186)의 바닥단부(188)는 그의 상기 바닥단부(188)에 매달리는 2개의 대향하는 내측으로 층이 진 부재(stepped members)(190)들을 포함한다. 각 층이 진 부 재(190)는 그 안에 그를 통하여 연장되는 상기 금속프레임(180)의 상기 유자형 부분들을 위한 슬롯(192)을 갖는다. 2개의 돌출부(194)들이 또한 상기 2개의 대향하는 층이 진 부재(190)들 사이에서 상기 측면들 중의 어느 하나의 위에서 상기 조립체하우징(186)의 상기 바닥단부(188)에 매달리게 된다. 하나의 홈(196)이 상기 2개의 돌출부(194)들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180)은 상기 2개의 돌출부(174)들 주위의 상기 편평한 단부에 인접하는 상기 프레임(180)의 상기 역전된 브이자형 부분을 가압하고 그리고 상기 2개의 돌출부(174)들을 상기 고리(184)들 내로 잔류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지지새시(150) 상에 놓여진다.
상기 조립체(178)는 그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오리피스판(200)을 갖는 상기 압전요소(12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압전요소(124)는 환상의 형태이며 상기 조립체하우징(186) 내에 위치되어 상기 조립체하우징(186)의 상기 바닥단부(188)에 인접하는 상기 프레임(180) 상에 놓여지도록 한다. 상기 압전요소(124)는 상기 조립체하우징(186)의 상단부(206)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끝이 절단된 환상의 부분(204)과 상기 압전요소(124) 사이에서 상기 조립체하우징(186) 내로 들어맞춰지는 스프링(202)에 의해 상기 프레임(180)에 대하여 고정된다. 2개의 전선(207)들이 상기 압전요소(124)로부터 상기 홈(196)을 통하여 상기 회로에까지 연장된다. 상기 전선(207)들은 상기 회로에 의해 생성된 교호하는 전기장 또는 전압을 상기 압전요소(124)의 대향하는 측면들에 적용시키도록 제공된다. 고주파의 교호하는 전기장(high frequency alternating electric fields)들이 상기 압전요소(124)에 적용되는 경우, 이는 그의 물리적인 크기들의 일부가 변화되게 된다. 본 구체예에 있어서는, 교호하는 전기장들의 상기 압전요소(124)에의 공급이 상기 요소(124)의 직경이 교대로 감소 및 증가하는 원인이 되고, 그에 의하여 상기 오리피스판(200)이 상하로 진동하도록 하는 원인이 된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들에게 공지된 여러 압전메카니즘(piezoelectric mechanisms)들이 동일한 효과를 생성하도록 활용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유체저장기(6)는 상기 기구(2) 내로 제거가능하게 삽입되고 그리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된 방법으로 형상화될 수 있다. 도 15에 묘사한 바와 같이, 본 구체예는 익체저장기(208)를 활용한다. 본 구체예에서 유용한 다른 액체저장기들에는 예를 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6,293,474호에 기술되어 있는 것들이 포함되며,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참고로 인용한다. 상기 액체저장기(208)는 목(neck)(도시하지 않음)을 갖는 투명한 원통형의 용기(210)를 포함한다. 컴비네이션 플러그와 심지홀더(combination plug and wick holder)(214)가 상기 목에 고정된다. 상기 플러그와 심지홀더(24)는 한 쌍의 측방으로 연장되는 탑재돌기(mounting lugs)(216)들을 포함한다. 상기 액체저장기(208)는 상기 돌기(216)들을 상기 지지새시(150)들의 상기 베이요넷홈(168)들에 정렬시키고 그리고 상기 저장기(6)를 상방으로 가압하고 그에 의하여 상기 돌기(216)들이 그들의 개개 베이요넷홈(168) 내로 삽입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지지새시(150) 내로 삽입된다. 그 후 상기 액체저장기(208)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돌기(216)들이 상기 개개 베이요넷홈(168)의 멈춤쇠(170)들과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저장기(208)가 상기 기구(2) 내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저장 기(208)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돌기(216)들이 그들 개개 멈춤쇠(170)으로부터 탈착되고 그리고 상기 저장기(208)를 하방으로 당겨서 상기 돌기(216)들이 상기 베이요넷홈(168)들을 통하여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액체저장기(208)가 상기 지지새시(150)들로부터 제거딜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기구(2)가 개방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액체저장기(208)가 쉽게 상기 기구(2) 내로 삽입되거나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액체저장기(208) 내의 액체의 수준(level)은 상기 면판(20) 내의 상기 경주트랙 형태의 개구(24)를 통하여 감시되어 사용자에게 상기 액체저장기(208)가 제1조건에 있는 지 또는 제2조건에 있는 지의 여부의 표시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조건은 상기 액체저장기(208)가 채워진 것을 나타내고 그리고 상기 제2조건은 상기 액체저장기(208)가 비어 있거나 또는 거의 비워진 상태인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면판(20) 내의 상기 개구(24)와 상기 액체저장기(208)는 사용자에게 상기 액체저장기(208)가 교체되거나 또는 재충진되어야 할 것인 지의 여부를 알려주는 것에 의한 표시시스템(indicating system)으로서 작용한다.
하나의 심지(218)가 상기 컴비네이션 플러그 및 심지홀더(214) 내에 고정된다. 상기 심지(218)의 상단부(220)는 상기 목의 너머까지 연장되고 그리고 상기 심지(218)의 하단부(222)는 상기 용기(210) 내로 그의 바닥표면 쪽으로 매달리게 된다. 상기 심지(218)는 모세관 작용에 의하여 상기 저장기(208) 내로부터 상기 심지(218)의 상기 상단부(220)까지 전달한다. 상기 심지(218)의 상기 상단부(220)는 상기 오리피스판(200)의 바닥에 인접하게 놓여진다. 상기 기구(2)의 작동 동안 에, 상기 오리피스판(200)이 상기 심지(218)의 상기 상단부(220)에 인접하여 상하로 진동한다. 상기 오리피스판(200)의 상하로의 진동은 상기 액체가 상기 오리피스판(200) 내의 작은 오리피스(minute orifices)들을 통하여 펌핑되도록 하는 원인이 된다. 각 오리피스는 4 내지 10미크론(micron)의 범위 이내의 직경을 갖는다. 달리, 변화하는 수의 오리피스들 및/또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오리피스들을 갖는 방출판(discharge plate)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새시(150) 및 상기 액체저장기(208)들은 적절하게 배치되어 상기 심지(218)의 상기 상단부(220)가 상기 오리피스판(220)에 감지할 정도의 힘을 가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그에 의하여 상기 오리피스판(200)에 공급되어야 할 액체가 상기 오리피스판(200)의 진동들을 감쇄시키고(damping) 그리고 상기 액체의 무화에 있어서의 영향을 감소시키도록 하는 것을 확실하게 하도록 한다. 상기 오리피스판(200)을 통한 상기 유체의 펌핑은 상기 유체가 상기 오리피스판(200)의 상부로부터 에어로졸화 또는 무화된 액체 입자들의 형태로 방출되도록 하는 원인이 된다. 그 후, 상기 무화된 액체 입자들은 상기 조립체하우징(186)의 방해하지 않는 내부를 통과하고 그리고 상기 하우징(4)의 상기 상단부(16) 내의 상기 액체 출구(16)를 통하여 통과한다. 따라서, 상기 액체저장기(208)로부터의 상기 액체는 상기 액체 출구(16)를 통하여 대기 중으로 상방으로 방출된다. 필요한 경우, 상기 액체 출구(16)는 대신에 엘자형(L-shaped)이 되거나 또는 다른 비선형의 형상을 가져 상기 액체저장기(208)의 내용물들이 상방 이외의 방향들로 지향되도록 할 수 있다. 달리,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명백한 바와 같이 상기 액체 출구(16)의 단면의 형상 및/또는 직경이 변 형되어 임의의 적절한 분무 패턴(spray pattern)을 얻을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방출된 액체의 소용돌이 및/또는 기계적인 분산(mechanical breakup)을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구(2)의 회로는 상기 제어판(8) 상의 다이얼(28) 및 작동버튼(30)의 조작에 의해 활성화된다. 상기 다이얼(28)이 왼쪽(시계방향)으로 완전히 회전되는 경우, 상기 기구(2)는 종료 상태(off state)에 있게 된다. 상기 다이얼(28)을 상기 종료 위치로부터 멀어지도록 오른쪽(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기구(2)가 활성화된 상태(activated state)에 있게 되도록 한다. 상기 다이얼(28)이 활성 위치(active position)에 있는 경우, 상기 기구(2)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되는 바와 같이 자동화된 작동의 시간 간격 모드(automatic timed mode of operation)로 작동된다. 상기 작동버튼(30)을 누르는 것에 의해 수동 분무 작업(manual spraying operation)이 실행되게 된다. 상기 수동 분무의 선택은 필요한 경우에 사용자가 상기 기구(2)의 자동 작동의 우선(override) 및/또는 보충(supplement)을 허용하도록 한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은 유사한 기능적 특징들을 갖는 여러 다른 인터페이스(interfaces)들이 상기 제어판(8) 상에 또는 달리 상기 기구(2)들에 제공될 수 있으며, 본 상세한 설명의 범주 이내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6은 상기 기구(2)의 작동을 나타내는 본 구체예의 시간다이아그램을 묘사하고 있다. 초기에, 상기 다이얼(28)을 오른쪽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다이얼(28)을 상기 종료 위치로부터 활성 위치에로 가변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기 구(2)에 동력이 공급된다. 그 후, 상기 기구(2)는 약 1시간 등과 같은 사전설정된 시간 간격 동안 유지되는 제1휴지주기(first sleep period)로 진입하게 된다. 상기 제1휴지기간의 종료에 의하여 상기 압전요소(124)가 활성화되어 제1분무기간(first spraying period) 동안 상기 기구(2)로부터 유체를 확산시킨다. 상기 제1분무기간은 1초의 일부분 내지 수 초 또는 그 이상까지의 범위의 시간까지 지속될 수 있다. 그 후, 휴지기간과 분무기간들이 교호하는 자동작동이 연속된다.
상기 다이얼(28)은 무한의 수의 순환주기(duty cycle)들을 제공한다. 상기 다이얼(28)을 종료위치로부터 오른쪽으로 약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기구가 수 시간 정도의 휴지기간을 갖도록 한다. 상기 다이얼(28)을 오른쪽으로 더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휴지기간이 1시간 또는 30분 등과 같이 감소된다. 오른쪽으로 더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휴지기간이 수 분 또는 수 초 또는 그 이하로 더 감소된다. 상기 다이얼(28)이 오른쪽으로 완전히 회전되는 경우, 상기 휴지기간은 0(zero)으로 감소되고 상기 기구(2)는 연속적으로 분무한다. 사용자는 상기 다이얼(28)을 조정하여 임의의 시간에서의 장래 또는 현재의 휴지기간을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구(2)는 조정가능한 지속시간(duration)들의 휴지기간들에 의해 분리된 시간에서의 분무 기간들 동안에 상기 압전요소(124)가 상기 유체를 무화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하나의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28)에는 제0위치, 제1위치, 제2위치, 제3위치, 제4위치 및 제5위치들과 관련된 가시적인 숫자표식(visible numeric indicators)들이 제공된다. 상기 다이얼(2)이 제0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기구(2) 는 종료상태(off state)에 있게 된다. 상기 다이얼(28)의 왼쪽으로(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위치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기구(2)가 22초의 휴지기간(또는 체류시간 간격(dwell time interval)) 및 상기 유체의 12밀리초(㎳)의 뿜기(puff) 사이에서 교대되도록 한다. 상기 제2위치, 제3위치, 제4위치 및 제5위치들은 유사하게 각각 18초, 13초, 9초 및 5초의 휴지기간(또는 체류시간 간격)에 후속하여 12밀리초 동안 유체를 방출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28)에는 선, 글자, 아이콘(icons)들 등과 같은 비-숫자표식(non-numeric indicators)들이 제공된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임의의 구체예들은 상기 다이얼(28)의 위치에 따라 무한한 수의 연속적으로 가변될 수 있는 분무 순환주기들이 제공되도록 하는 능력을 가질 수 있다.
도 17은 상기 제2휴지기간 동안 상기 작동버튼(30)이 눌려지고 그리고 놓여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6과 유사하다. 상기 작동버튼(30)을 순간적으로 누르고 그리고 놓는 것에 의하여 상기 압전요소(124)가 1 내지 7초 동안 등과 같이 고정된 분무기간 동안 또는 상기 작동버튼(30)이 눌려진 시간의 길이에 따른 시간의 기간 동안 상기 기구(2)로부터 무화된 유체가 방출되도록 한다. 상기 분무기간의 완료에 따라, 사전설정된 시간 간격 동안 지속되는 제3휴지기간으로 들어가게 된다. 그 후, 휴지 및 분무기간들이 교호하는 자동작동이 연속된다. 휴지기간 동안의 임의의 시간에서 사용자는 상기 작동버튼(30)을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누르는 것에 의하여 수작업으로 상기 기구(2)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작동버튼(30)이 눌려지고 그리고 순간 보다 더 길게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 상 기 압전요소(109)는 상기 작동버튼(30)이 놓여질 때까지 연속적으로 무화된 유체를 방출하게 된다. 상기 작동버튼(30)을 놓는 것에 의하여 사전설정된 시간 간격 동안 지속되는 새로운 휴지기간이 개시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임의의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휴지기간들은 상기 분무작동이 수작업으로 또는 자동적으로 개시되었는 지에 무관하게 모두 동일한 기간이 될 수 있다. 또한,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자동 분무기간들의 길이들은 모두 동등하다. 필요한 경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휴지기간들은 다른 휴지기간들보다 길거나 또는 짧을 수 있으며,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자동 분무기간들은 다른 분무 기간들 보다 길거나 또는 짧을 수 있다. 상기 자동분무기간들의 길이들은 1초의 일부분 내지 수 초 또는 그 이상까지의 범위의 시간까지 지속될 수 있다. 상기 자동분무기간들은 상기 기구(2) 내의 상기 유체의 완전한 소모까지 또는 상기 유체의 수 회의 연속적인 방출들을 포함하는 것 등과 같이 심지어 더 길게 지속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방법론(control methodology)은 수작업 분무작동이 수행되었는지의 여부에 무관하게 분무작동들이 동등하거나 또는 동등하지 않은 간격들에서 주기적으로 수행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상기 기구(2)는 상기 압전요소(124)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센서(9)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기구(2)는 센서모드(sensor mode)에서 작동할 수 있으며, 단지 상기 압전요소(124)가 상기 센서(9)로부터의 출력에 대응하여 활성화될 수(작동될 수) 있다. 상기 기구(2)는 또한 시간설정된 작동과 센서모드 작동의 결합으로 작 동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압전요소(124)는 하나의 휴지주기의 완료 이후 또는 상기 센서(9)의 출력에 대응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센서(9)에 의해 발달된 출력신호에 의한 상기 압전요소(124)의 작동(actuation) 후에, 사전설정된 시간 간격 동안 지속되는 새로운 휴지주기가 개시될 수 있다. 이들 구체예들 중 임의의 것에 있어서, 상기 작동버튼(30)이 사용되어 휴지주기가 수작업 활성화된 분무주기로 개입(interrupt)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센서(9)는 동작센서(motion sensor), 소리작동센서(sound activated sensor), 광센서(light sensor), 온도센서(temperature sensor), 진동센서(vibration sensor), 악취화합물검출센서(malodorous compound detecting sensor) 등이 될 수 있다. 특정의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9)는 주변의 광을 수집하고 그리고 콘트롤러가 빛의 강도에서의 임의의 변화를 검출하는 것을 허용하는 광전지 동작센서(photocell motion sensor)를 포함한다. 수동 적외선 또는 압전 동작센서(passive infrared or pyroelectric motion sensors), 적외선 반사 동작센서(infrared reflective motion sensors), 초음파 동작센서(ultrasonic motion sensors) 또는 무선 또는 마이크로파 동작센서(radar or microwave radio motion sensors) 등과 같은 여러 다른 동작센서들이 본 구체예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음을 주목하여야 한다. 하나의 구체예에 있어서 이들 센서들 중의 단 하나의 센서가 활용될 수 있는 반면에, 다른 구체예들에서는 세서들의 조합이 사용된다. 더욱이, 상기한 잠재적인 센서들의 목록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상기 기구(2)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는 센서들의 다른 형태들을 단순히 설명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기구(2)의 변위는 앞서 기술된 특정의 예들 중의 어느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기구(2)가 무화된 유체의 확산이 요구되거나 또는 소망되는 및/또는 상기 센서(9)가 유효하게 되는 임의의 영역에 위치될 수 있음은 주목하여야 한다.
도 18은 상기 기구(2)의 하나의 구체예의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다이아그램을 묘사하고 있다. 본 구체예의 목적들에 대하여, 비활성의 기구(2)가 가정의 침실 등과 같은 공간 내에 놓여지는 것을 가정한다. 상기 다이얼(28)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0위치로부터 상기 제1위치 내지 제5위치들 중의 어느 하나에로 오른쪽으로 회전되는 경우에 블록(250)이 상기 기구(2)를 활성화시킨다. 본 구체예의 목적들에 대하여 또한 상기 다이얼(28)이 상기 제1위치에로 회전되어 약 22초의 자동 분무 시간 간격을 개시하는 것을 가정할 수 있다.
계속해서 블록(252)이 상기 기구(2)의 활성화에 따라 시동 폭발 모드(start-up burst mode)를 개시한다. 상기 시동 폭발 모드는 상기 기구(2)에의 동력의 인가(energization)에 후속하여 체류기간 또는 간격의 만료에 따라 상기 기구(2)로부터의 유체의 초기 폭발을 제공한다. 상기 시동 폭발 모드는 상기 다이얼(28)의 상기 제0위치로부터 상기 나머지 위치들 중의 어느 하나로의 이동에 후속하여 1초 내지 2분의 체류 간격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체류 간격은 약 1분 후에 경과하게 된다. 상기 체류 간격이 경과한 후에, 1 내지 10초,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초의 시동 분무 기간 동안 유체가 방출된다. 상기 압전요소(124)는 이 시동 분무 기간 동안에 12밀리초 이내에서 50%의 순환주기들로 전력의 공급 및 비공급을 교호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압전요소(124)가 작동된다.
블록(253)은 활성화후타이머(post-activation timer)와 센서지연주기타이머(sensor delay period timer)를 초기화시키고 그리고 개시시킨다. 상기 활성화후타이머는 상기 기구(2)의 활성화에 의하여 작동을 개시하고 그리고 상기 기구(2)의 매 전력의 공급에 후속하여 단지 한번 즉각적으로 개시된다. 상기 활성화후타이머는 언제 활성화 이후 지연 기간이 경과되었는 지를 나타낸다. 상기 활성화 이후 지연 기간은 15분 등과 같은 특정의 간격 동안 지속된다. 상기 센서지연주기타이머는 언제 센서 지연 주기가 경과되었는 지를 결정하는 데 활용된다.
그 후, 블록(254)이 공기 청량화기의 연속 작동(continuous action air freshener ; 이하에서는 "CAAF"라 언급함)의 작동 모드를 실행한다. 상기 CAAF 모드는 상기 다이얼(28)의 위치에 따라 유체의 시간설정된 폭발들을 제공한다. 본 구체예에 있어서, 매 22초 마다 12밀리초의 유체의 폭발이 확산된다. 상기 CAAF 모드의 시간간격(timing)은 상기 다이얼(28)을 조정하여 상기 유체의 폭발들 사이에서의 시간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키도록 변형될 수 있다.
블록(256)에서 상기 CAAF 모드 동안에 하나의 질문이 수행되고, 이는 상기 활성화후 지연 기간이 경과되었는 지를 결정한다. 상기 15분의 활성화후 지연 기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 상기 CAAF 모드는 개입되지 않은 채 계속된다. 일단 상기 15분의 활성화후 지연 기간이 경과되면, 블록(257)에 의하여 상기 센서지연기간이 경과되었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제2의 질문이 수행된다. 상기 바람직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지연주기타이머는 15분의 기간의 시간을 감지하며, 그 기간 동안 상기 센서(9)에 의해 발달된 상기 신호가 무시되었는 지를 감지한다. 상기 15분의 센서지연주기가 경과되지 않은 경우, 상기 CAAF 모드는 개입되지 않은 채 계속되나, 그러나 상기 센서지연주기가 경과된 경우, 상기 기구(2)는 블록(258)의 실행에 의하여 활성 센서 모드(active sensor mode)로 들어간다.
상기 설명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9)는 주변의 광을 수집하고 그리고 콘트롤러가 광의 세기에서의 임의의 변화들을 검출하는 것을 허용하는 광전지 동작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활성 센서 모드는 상기 기구(2)가 상기 센서(9)에 의해 발달된 상기 신호를 등록하도록 하는 원인이 된다. 블록(260)이 상기 등록된 신호가 상기 센서(9)에 의하여 동작이 검출되었는 지를 나타내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하나의 질문을 수행한다. 상기 센서(9)에 의하여 동작이 검출되는 경우, 블록(261)이 제1연장폭발모드(first extended burst mode)를 실행한다. 상기 제1연장폭발모드는 상기 다이얼(28)과는 독립적인 특정된 기간 동안 상기 기구(2)가 유체의 연장된 폭발을 방출하도록 하는 원인이 된다. 본 구체예에 있어서, 유체의 상기 제1연장폭발은 3초의 기간 동안 지속되고 그리고 상기 압전요소(124)를 12밀리초 이내에서 50%의 순환주기들로 전력의 공급 및 비공급을 교호하는 것에 의하여 방출된다. 그 후, 블록(262)이 상기 센서지연주기타이머를 재개시시키고 그리고 재시작시키고, 그리고 상기 CAAF 모드가 재개된다. 상기 센서(9)에 의하여 동작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블록(264)이 동작의 가상모드(ghost mode)를 실행한다. 상기 가상모드는 상기 다이얼(28)의 위치와는 독립적인 유체의 시간설정된 폭발들을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유체를 보존한다. 하나의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가상모드는 사용자-선택가능한 체류기간들 또는 상기 CAAF 모드의 간격들 보다 큰 체류기간 또는 간격에 의하여 분리된 유체의 시간설정된 폭발들을 방출한다. 달리 또는 부가적으로, 상기 기구(2)는 상기 CAAF 모드의 작동 동안에 방출되는 것 보다 상기 가상모드에서의 작동 동안에 보다 짧은 유체의 폭발을 방출할 수 있다. 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가상모드의 작동 동안에 상기 다이얼(28)의 위치에 무관하게 매 3분 마다 유체의 12밀리초의 폭발이 확산된다. 따라서 거의 또는 전혀 활동이 없는 기간들 동안에의 유체의 폭발의 빈도 및/또는 기간을 감소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저장기(6) 내의 상기 유체의 활성의 수명(active life span)이 연장된다.
상기 가상모드의 작동 동안에 블록(265)는 연속적으로 상기 센서(9)에 의해 발달된 상기 신호를 기록하고 그리고 블록(266)은 연속적으로 상기 센서(9)에 의해 발달된 상기 신호가 동작이 일어났는 지의 여부를 질문한다. 상기 블록(266)이 동작이 일어나지 않았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가상모드는 개입되지 않은 채 계속된다. 그러나, 상기 블록(266)이 동작이 일어났다고 결정하는 경우, 블록(268)이 제2연장폭발모드를 실행한다.
상기 제2연장폭발모드는 상기 기구(2)가 상기 다이얼(28)과는 독립적으로 특정된 기간의 연장된 유체의 폭발을 방출하도록 하는 원인이 된다. 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유체의 연장된 폭발은 3초의 기간 동안 지속되고 그리고 상기 압전요소(124)를 12밀리초 이내에서 50%의 순환주기들로 전력의 공급 및 비공급을 교호하는 것에 의하여 방출된다. 그 후, 블록(270)이 상기 센서지연주기타이머를 재개시시키고 그리고 재시작시키고, 그리고 그 후, 상기 블록(254)가 상기 CAAF 모드의 작동을 재개한다.상기 CAAF 모드가 재개된다.
상기 기구(2)의 상기 활성 상태 동안의 임의의 시간에서 상기 작동버튼(30)이 눌려져서 수작업 폭발 모드를 개시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작업 폭발 모드는 사용자가 상기 다이얼(28)의 위치에 무관하게 또는 상기 기구(2)의 현재 모드가 무엇인지에 무관하게 상기 기구(2)로부터 유체를 방출하도록 하는 것을 허용한다. 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작동버튼(30)이 1초 이하 동안 눌려지는 경우, 상기 유체는 약 3초의 사전-설정된 기간의 시간 동안 방출된다. 달리, 상기 작동버튼(30)이 1초 이상 동안 눌려지는 경우, 상기 유체는 상기 작동버튼(30)을 놓을 때 종료되는 사용자가 결정한 주기의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방출된다. 상기 압전요소(124)는 상기 사전-설정된 기간 또는 사용자가 결정한 기간 동안 12밀리초 이내에서 50%의 순환주기들로 상기 압전요소(124)에의 전력의 공급 및 비공급을 교호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수작업 폭발 모드 동안 작동된다. 상기 사용자가 결정한 주기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가압되어야 할 상기 작동버튼(30)의 기간은 변형될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압전요소(124)에의 전력의 공급 및 비공급을 교호하는 데 사용되는 상기 사전-설정된 기간 또는 시간 간격 기간들도 마찬가지로 변형될 수 있다. 더욱이, 본 구체예와 관련하여 논의된 상기 분무 주기들 또는 지연 주기들 중의 어느 것도 유사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기구(2)는 또한 방법으로 통상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소형의 에어로졸 용기들의 사용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타이머 또는 센서의 방법에 의한 상기 기구(2)의 작동 보다는 오히려 상기 기구(2)는 사용자가 상기 유체가 방출되는 것을 원할 때까지 비활성 상태로 보유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으로 상기 용 기 본체(10)를 파지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기구(2)를 들어올린다. 사용자가 엄지손가락 또는 손가락으로 상기 작동버튼(30)을 누르는 것에 의해 상기 기구(2)가 활성화된다. 상기 작동버튼(30)의 1회 눌렀다 놓는 것에 의하여 제한된 분무 기간 동안 상기 압전요소(124)가 상기 기구(2)로부터 무화된 유체를 확산되도록 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분무 기간은 상기 버튼(30)이 눌려져 있는 것과 동일한 기간 동안 지속될 수 있는 한편으로 다른 구체예들에서는 상기 분무 기간은 수 초 등과 같은 고정된 분무 간격 동안 지속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4들은 기능 및 구조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상기 무화기구(2)와 유사한 무화기구(302)의 서로 다른 구체예를 묘사하고 있다. 상기 기구(302)는 하우징(302), 유체저장기(306) 및 제어판(308)을 포함한다. 상기 기구(302)는 지지표면(도시하지 않음) 상에 작동가능하게 위치되며, 시간간격 타이머(interval timer) 및/또는 센서(309)로부터의 작동신호의 수신에 의하여 유체를 방출한다. 상기 기구(302)는 또한 상기 제어판(308)을 경유하여 수작업으로 작동되어 유체의 폭발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상기 기구(2)와 유사하게, 상기 방출된 유체는 담체 액체(carrier liquid)와 함께의 방향제, 소독제, 가구세정제, 살충제 또는 곤충퇴치제(insect repellant) 또는 탈취액체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유체는 선택적으로 저장기로부터 방출될 수 있는 거승로서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유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04)는 전형적으로는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주조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304)은 바닥표면(312), 중앙부(314) 및 상 부(316)를 갖는 타원형본체(elliptical body)(310)를 포함한다. 하나의 특정의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310)는 약 109㎜(4.29인치)의 전체 높이, 약 91㎜(3.58인치)의 전체 폭 및 약 54㎜(2.13인치)의 전체 깊이를 갖는다. 상기 본체(310)의 상기 상부(316)는 각각이 중앙의 원형출구개구(central circular outlet opening)(322) 쪽으로 내측으로 테이퍼가 형성된 제1타원형요부(first elliptical recesses)(318) 및 제2타원형요부(second elliptical recesses)(320)들을 포함한다. 하나의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출구개구(322)는 적어도 약 8㎜(0.32인치)의 직경을 갖는다. 상기 본체(310)의 상기 바닥표면(312)은 편평하고 그리고 그 위에 놓여지는 3개의 등거리로 놓여진 원통형다리(324a, 324b, 324c)들을 포함한다. 하나의 문(door)(326)가 상기 바닥표면(312)에 힌지가능하게 고정되어 개방위치와 폐쇄위치들 사이에서 가변되도록 한다. 상기 문(326)이 개방위치에 있는 경우(도시하지 않음), 상기 기구(2)와 관련하여 기술된 것과 유사한 배터리 단말(battery terminals)들이 접근가능하며, 그에 의하여 사용자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터리들을 삽입하는 것을 허용하여 상기 기구(302)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한다.
상기 기구(302)의 상기 본체(310)는 변화하는 단면 크기들을 포함하여 상기 중앙부(314)에 인접하는 주축과 보조축들을 따르는 크기들이 상기 바닥표면(312) 및 상기 상부(316)들에 인접하는 것들 보다 더 크게 되도록 한다. 상기 본체(310)는 또한 상기 본체의 상기 중앙부(314)에 인접하는 상기 본체(310)의 전방면(330)과 후방면(332) 각각들 둘다의 위에 난형요부(ovoid recess)(328a, 328b)들을 포함한다. 각 요부(328a, 328b)들은 각각 원형 모서리(circular-shaped edge)(334a, 334b) 쪽으로 내측으로 테이퍼가 형성되어 연장된 요부(328a, 328b)들 둘 다의 상부측(336) 쪽으로 움푹 들어가게 형성된다. 상기 원형모서리(334a, 334b)들은 상기 본체(310)의 상기 전방면(330)으로부터 후방면(332) 쪽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중공부(338)의 대향하는 단부들을 한정한다. 상기 원통형의 중공부(338)를 한정하는 상부벽(342) 내에 하나의 개구(340)가 제공된다. 상기 개구(338)는 상기 상부(316)에 인접하는 상기 기구(2)의 내부 내로 탑재되는 지지새시(344)에로의 접근을 제공한다. 압전액츄에이터 및 오리피스판 조립체(도시하지 않음)이 상기 지지새시(344) 상에 위치된다. 상기 지지새시(344) 및 상기 압전액츄에이터 및 오리피스판 조립체의 구조 및 기능들은 그의 임의의 고안가능한 변형들을 포함하여 상기 기구(2)와 관련하여 기술된 상기 지지새시(150) 및 조립체(178)들과 동일하다. 더욱이, 상기 기구(2)의 상기 유체저장기(6)와 동일한 상기 유체저장기(306)는 유체저장기(6)가 상기 지지새시(150)에 매달리는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상기 지지새시(344)에 매달리게 된다. 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유체저장기(306)는 상기 개구(340)를 통하여 그리고 상기 원통형의 중공부(338) 내로 연장된다. 상기 유체저장기(306)의 바닥표면(346)은 실질적으로 편평하고 그리고 상기 본체(310)의 상기 바닥표면(312)에 대하여 평행하다.
상기 제어판(308)은 상기 본체(310)의 상기 전방면(33) 상에 활주스위치(sliding switch)(348)을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348)는 상기 연장된 둥근 요부(328a)의 저면(350) 내에 위치된다. 상기 스위치(348)는 5개의 위치들 사이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조작되도록 작동이 가능한 5점 활주스위치(five position slide switch)이다. 5개의 위치들 각각은 서로 다른 유체 강도 수준에 대응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배터리들을 상기 기구(302) 내로 삽입하거나 또는 달리 상기 기구(302)를 작동시키도록 온/오프 스위치(on/off switch)(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그에 전력을 공급한다. 그 후, 상기 기구(302)는 기구(2)에 대하여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고 그리고 도 16에서 묘사된 것과 유사한 휴지기간 및 분무기간의 작동을 교호하는 자동 시간설정 모드에서 작동한다. 그러나, 상기 기구(302)에 있어서, 상기 휴지주기의 길이는 상기 스위치(348)의 위치에 대하여 종속적이다. 하나의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348)의 상기 제1위치(352)로의 조작은 22.54초의 휴지주기 즉, 상기 기구(302)가 상기 유체를 확산시키기 위한 상기 압전요소의 활성화들 사이에서 22.54초의 체류기간 또는 휴지기간을 갖는다. 상기 스위치(348)의 제2위치(354)는 12.81초의 휴지주기에 대응하고, 제3위치(356)는 9.23초의 휴지주기에 대응하고, 제4위치(358)는 7.18초의 휴지주기에 대응하고 그리고 제5위치는 5.65초의 휴지주기에 대응한다. 상기 제1위치 내지 제5위치(352 내지 360)들에는 상기 스위치(348)의 아래로 표식들에 의해 표시된다. 사용자는 임의의 시간에서 장래 또는 현재의 휴지주기들을 변화시키도록 상기 스위치(348)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구(302)는 상기 조립체(344) 내의 상기 압전요소가 조정가능한 양의 휴지주기들에 의해 시간에 있어서 분리된 분무기간들 동안에 상기 유체를 무화시키는 것을 허용하게 된다.
상기 기구(302)는 또한 상기 원통형의 중공부(338)를 한정하는 하부벽(364) 상에 위치되는 즉시작동버튼(instant action button)(362)을 포함한다. 상기 버 튼(362)은 상기 유체저장기(306)의 상기 바닥표면(346) 아래에 중심을 두게 된다. 상기 버튼(362)을 누르는 것에 의해 수작업 분무 작동이 착수되게 된다. 상기 수작업 분무 작동은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 상기 기구(302)의 상기 자동 작동을 우선 및/또는 보충하도록 하는 것을 허용한다. 상기 버튼(362)은 상기 기구(2)와 관련하여 기술되고 그리고 도 17에 묘사된 상기 작동버튼(30)과 유사한 방법으로 작용한다. 휴지주기 또는 자동 분무 주기 동안 상기 작동버튼(362)을 누르고 그리고 놓는 것에 의하여 상기 조립체(344)가 1 내지 5초 등과 같은 수작업 분무 주기 동안 상기 기구(302)로부터 무화된 유체를 방출하게 된다. 상기 수작업 분무 주기의 완료에 의하여 상기 활주스위치(348)의 위치에 따른 사전설정된 시간 간격 동안 지속되는 휴지주기로 들어가게 된다. 그 후, 휴지주기와 분무주기들이 교호하는 자동 작동이 지속된다. 휴지주기 동안의 임의의 시간에서, 사용자는 상기 버튼(362)을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누르는 것에 의하여 상기 기구(302)를 수작업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버튼(362)이 눌려지고 그리고 눌려진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 상기 압전요소는 상기 버튼(362)이 놓여질 때까지 연속적으로 무화된 유체를 확산시키게 된다. 상기 버튼(362)을 놓는 것에 의하여, 사전설정된 시간 간격 동안 지속되는 새로운 휴지주기가 개시될 수 있다.
상기 기구(302)와 관련하여 기술된 구조 및 기능들은 또한 그의 다른 구체예들에서의 상기 기구(2)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고려되기도 한다. 유사하게, 상기 기구(2)와 관련하여 기술된 상기 구체예들이 달리 상기 기구(302)에 대하여 사용되고 그리고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구(2) 및 기구(302)들에 대한 자동 및 수작업 휴지주기 및 분무주기들의 시간간격 및 지속시간들은 이들 두 기구들에 대하여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임의의 다른 방법으로 활용되거나 또는 조정될 수 있다. 본 구체예들에 대해 고려되는 다른 변형들은 상기 기구(2)와 관련되에 기술된 센서를 상기 기구(302)에 공급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다이얼(28)에 대향하도록 하여 활주스위치를 상기 기구(2)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욱이,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은 유사한 기능저 특징들을 갖는 여러 다른 인터페이스들이 상기 기구(2) 또는 기구(302)들 둘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고 그리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관점 내에서 고려될 수 있다. 달리, 본 출원은 상기 기구(2, 302)들 둘 중의 어느 하나의 구조에 대한 변형들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구(2)의 상기 에어로졸화된 액체출구(16)는 그를 통하여 통과하는 유체를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들에게 공지된 원하는 방법으로 지향시키거나 또는 분산시키도록 변형되거나 또는 상기 본체(10)가 사각형, 삼각형 또는 난형(oval) 등과 같은 다른 형태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에게는 본 상세한 설명이 변형되어 본 명세서에서 이미 기술된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는 여러 방법들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잇점은 상기 기구로부터 상기 유체가 펌핑되는 영역에 인접하는 영역으로부터 사용자의 손을 제거할 수 있고, 그에 의하여 잔존하는 유체가 사용자의 손 위로 내려앉는 것을 방지하는 능력이다. 이러한 잇점은 상기 기지판 이 상기 지지새시와 상기 저장기 아래에 놓여지는 상기 작동버튼을 포함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더욱이, 사용자는 구성성분들을 분해하는 것이 없이 상기 저장기 내의 상기 유체의 현재의 양을 쉽게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기구는 분무 동안에도 임의의 방향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에어로졸화된 방울들의 크기들은 명백하게 통상의 에어로졸 용기들로부터 방출된 방울들 보다 작다. 이러한 후자의 특징은 방출된 유체의 분산을 촉진시키고 그리고 원치 않는 낙진(fallout)들을 최소화한다.

Claims (33)

  1. 내부 전원 및 그의 방출단부에로의 유체의 이동을 위한 모세관부재를 포함하며, 교체가능한 유체저장기를 수용하도록 적용된 탑재조립체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며 상기 내부전원에 의하여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모세관부재의 상기 방출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천공된 방출판을 진동시키며, 확산 상태에서 충분한 진동을 제공하여 상기 유체를 상기 방출단부로부터 상기 방출판을 경유하여 대기 내로 펌핑하는 메카니즘; 및
    상기 하우징에 의하여 수반되며 상기 탑재조립체 아래에 위치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가 사용자가 시간설정된 작동 모드, 센서에 의해 발달된 센서 출력에 의존하는 작동 모드 및 수작업 작동 모드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그리고 여기에서 상기 탑재조립체가 상기 교체가능한 유체저장기를 사용상태의 조건 동안에 시각적으로 검사 가능하게 검사되도록 하는 것을 허용하는 방법으로 수용하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확산을 위한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가능한 유체저장기가 상기 탑재조립체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확산을 위한 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가능한 유체저장기가 상기 유체저장기가 제1상태 또는 제2상태에 있는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확산을 위한 기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가능한 유체저장기가 사용자에게 상기 유체저장기가 교체되어야 하는 지에 대한 표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확산을 위한 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상기 확산 상태 동안에 상기 유체가 펌핑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방법으로 시간설정된 작동 모드, 센서에 의해 발달된 센서 출력에 의존하는 작동 모드 및 수작업 작동 모드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확산을 위한 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가 상기 메카니즘을 작동시키기 위한 수작업 작동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확산을 위한 기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수작업 분무 주기 동안에 상기 메카니즘이 상기 기구로부터 무화된 유체를 확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확산을 위한 기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작업 분무 주기가 1 내지 7초의 범위 이내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확산을 위한 기구.
  9. 제 8 항에 있어서,
    특정의 기간 동안 상기 수작업 작동버튼을 연속적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 상기 메카니즘이 상기 수작업 작동버튼이 놓여질 때까지 연속적으로 무화된 유체를 확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확산을 위한 기구.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작업 작동버튼을 연속적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 상기 메카니즘이 상기 작동버튼이 놓여질 때까지 연속적으로 무화된 유체를 확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확산을 위한 기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가 활성위치와 비-활성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한 다이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확산을 위한 기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의 특정의 위치로의 회전이 그 동안에 상기 메카니즘이 비활성으로 잔류하는 체류 시간 기간을 구축하고 그리고 여기에서 상기 메카니즘의 활성화가 상기 체류 시간 기간의 만료에 의하여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확산을 위한 기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체류 시간 기간이 0초와 연속적으로 비활성 분무 상태 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확산을 위한 기구.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카니즘이 활성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체류 시간 기간 동안에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확산을 위한 기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신호가 센서 출력에 의하여 발달되거나 또는 스위치의 수작업 작동에 의해 발달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확산을 위한 기구.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가 동작센서 및 악취화합물검출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확산을 위한 기구.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카니즘의 작동이 상기 유체가 특정의 분무 기간 동안 상기 유체를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확산을 위한 기구.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 기간이 1 내지 7초 사이의 기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확산을 위한 기구.
  19. 내부전원 및 유체를 보유하기 위한 교체가능한 유체저장기를 수용하는 탑재조립체를 가지며, 상기 유체저장기가 그의 방출단부에로의 상기 유체의 이동을 위한 모세관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며 상기 내부전원에 의하여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모세관부재의 상기 방출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천공된 방출판을 진동시키며, 확산 상태에서 충분한 진동을 제공하여 상기 유체를 상기 방출단부로부터 상기 방출판을 경유하여 대기 내로 펌핑하는 압전요소; 및
    즉시작동버튼과 감지된 인자에 대응하여 상기 압전요소를 자동적으로 작송시 키기 위한 시간설정된 작동 모드 및 센서-기반 작동 모드의 선택을 허용하기 위한 스위치를 갖는 상기 하우징 상에 위치되며 제어판;
    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액체 분무 기구.
  20. 본체, 바닥단부 및 상단부를 가지며, 제1새시가 상기 본체 내에 활주가능하게 보유되고 그리고 제1위치와 제2위치들 사이에서 가변되며, 또한 그 안에 배터리를 수용하도록 적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상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기구;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되며 압전액츄에이터와 오리피스판 조립체를 보유하는 제2새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상기 제2새시가 방출단부를 갖는 제거가능한 액체저장기를 보유하도록 적용되고,
    그리고 여기에서 상기 압전액츄에이터와 오리피스판 조립체가 확산 상태에서 상기 방출단부로부터 상기 오리피스판을 통하여 상기 액체를 펌핑하기에 충분한 진동 운동을 제공하도록 적용되고,
    여기에서 상기 제1새시의 제1위치에로의 이동이 상기 기구가 작동가능한 상태에 놓여지는 것을 허용하고 그리고 상기 제1새시의 제2위치에로의 이동이 상기 액체저장기와 상기 배터리 중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하우징 내로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의 분무 기구.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가 상기 오리피스판으로부터 대기 내로의 상기 액체의 방출 통로로 적용되는 액체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의 분무 기구.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실질적으로 원통형이고 그리고 상기 바닥단부가 실질적으로 편평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의 분무 기구.
  23. 제 22 항에 있어서,
    그를 통하여 연장되는 가시창(viewing port)을 갖는 면판이 상기 본체 내에서 움푹 들어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의 분무 기구.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새시가 상기 본체 내에 놓여지는 트랙 내에서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활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의 분무 기구.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액츄에이터를 수작업으로 활성화 하기 위한 작동버튼이 상기 하우징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의 분무 기구.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버튼이 눌려진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에 상기 액체가 연속적으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의 분무 기구.
  27.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상에 위치되는 다이얼이 조정되어 상기 압전액츄에이터에 의한 상기 액체의 자동 방출의 시간 간격들의 범위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의 분무 기구.
  28. 내부전원, 교체가능한 유체저장기를 수용하기 위한 탑재조립체, 천공된 방출판을 진동시키기 위한 메카니즘 및 상기 확산기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어판을 갖는 하우징을 제공하는 단계;
    그의 방출단부 쪽으로의 유체의 이동을 위한 모세관부재를 포함하는 교체가능한 유체저장기를 상기 탑재조립체 내에 보유시키는 단계;
    상기 교체가능한 유체저장기 내에 확산을 위한 유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탑재조립체 내의 상기 교체가능한 유체저장기를 사용자가 상기 유체저장기 내의 상기 유체의 수준을 결정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배향시키는 단계;
    시간설정된 작동 모드, 센서의 출력에 따른 자동 작동 모드 및 수작업 작동 모드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메카니즘을 작동시키며, 여기에서 작동이 상 기 천공된 방출판이 상기 모세관부재의 상기 방출단부에 인접하게 진동하여 상기 방출판으로부터 대기 내로 상기 유체를 펌핑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내부전원에 의해 상기 메카니즘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기로부터 유체를 확산시키는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저장기가 제1의 채워진 상태 또는 제2의 재충진 상태 중 어디에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상기 교체가능한 유체저장기 내의 상기 유체의 수준을 감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기로부터 유체를 확산시키는 방법.
  30. 제 28 항에 있어서,
    특정의 수작업 분무 기간 동안의 수작업 작동 모드 동안에 상기 메카니즘을 작동시키기 위한 버튼을 누르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기로부터 유체를 확산시키는 방법.
  31.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을 연속적으로 누르는 것에 의하여 상기 메카니즘이 상기 버튼이 놓여질 때까지 연속적으로 유체를 확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기로부터 유체를 확산시키는 방법.
  32. 제 28 항에 있어서,
    체류 시간 기간 동안에 상기 메카니즘이 비활성으로 남게되는 체류 시간 기간을 구축하기 위한 특정의 위치로 다이얼을 회전시키며, 여기에서 상기 체류 시간 기간이 0초와 연속적으로 비활성인 분무 상태 사이에 있으며, 또한 여기에서 상기 메카니즘의 작동이 상기 체류 기간의 만료에 의해 일어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기로부터 유체를 확산시키는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작동 모드 동안의 상기 센서의 출력 및 상기 수작업 작동 모드 동안의 버튼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상기 체류 시간 기간 동안에 상기 메카니즘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신호를 발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기로부터 유체를 확산시키는 방법.
KR1020087024863A 2006-04-11 2007-04-04 전기식 에어로졸 기구 Withdrawn KR200900109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401,572 US20070235555A1 (en) 2006-04-11 2006-04-11 Electronic aerosol device
US11/401,572 2006-04-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954A true KR20090010954A (ko) 2009-01-30

Family

ID=38283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4863A Withdrawn KR20090010954A (ko) 2006-04-11 2007-04-04 전기식 에어로졸 기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70235555A1 (ko)
EP (1) EP2004334B1 (ko)
JP (2) JP5336355B2 (ko)
KR (1) KR20090010954A (ko)
CN (1) CN101466480A (ko)
BR (1) BRPI0709992A2 (ko)
CA (1) CA2647897C (ko)
MX (1) MX2008013122A (ko)
TW (1) TW200800404A (ko)
WO (1) WO2007120565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0138A (ko) * 2011-08-16 2014-07-16 플룸, 인크. 저온 전자 증발 장치 및 방법
US11241044B2 (en) 2018-07-23 2022-02-08 Juul Labs, Inc. Airflow management for vaporizer device
US11611223B2 (en) 2018-10-19 2023-03-21 Juul Labs, Inc. Charging adapter for vaporizer device
US11612702B2 (en) 2007-12-18 2023-03-28 Juul Labs, Inc. Aerosol devices and methods for inhaling a substance and uses thereof
US11647783B2 (en) 2005-07-19 2023-05-16 Juul Labs, Inc. Devices for vaporization of a substance
US12256784B2 (en) 2018-10-17 2025-03-25 Juul Labs, Inc. Cartridge for a vaporizer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622088D0 (en) * 2006-11-07 2006-12-13 Reckitt Benckiser Uk Ltd Apparatus
US7863546B2 (en) * 2006-12-27 2011-01-04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Automated preparation of infant formula and children's beverages
US20100111755A1 (en) * 2007-04-13 2010-05-06 The Dial Corporation Air treatment device utilizing a sensor for activation and operation
US20100119408A1 (en) * 2007-04-13 2010-05-13 The Dial Corporation Active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US8590743B2 (en) * 2007-05-10 2013-11-26 S.C. Johnson & Son, Inc. Actuator cap for a spray device
US20080291156A1 (en) * 2007-05-23 2008-11-27 Dietz Paul H Sanitary User Interface
GB2452970A (en) 2007-09-21 2009-03-25 Reckitt Benckiser Spraying device and method utilizing reflectance spray head
US20090117012A1 (en) * 2007-11-07 2009-05-07 The Dial Corporation Air Treatment Device Utilizing A Sensor For Activation And Operation
US7712249B1 (en) * 2007-11-16 2010-05-11 Monster Mosquito Systems, Llc Ultrasonic humidifier for repelling insects
US8296993B2 (en) * 2007-11-16 2012-10-30 Monster Mosquito Systems, Llc Ultrasonic humidifier for repelling insects
EP2641630B1 (en) * 2009-02-10 2014-08-13 Aptar France SAS Self-sensing respiratory treatment device
AU2010318707B2 (en) 2009-11-13 2013-03-14 S. C. Johnson & Son, Inc. Circuit for driving a piezoelectric actuator
US20130026250A1 (en) * 2009-11-18 2013-01-31 Reckitt Benckiser Center Iv Lavatory Treatment Device and Method
KR20120106956A (ko) * 2009-11-18 2012-09-27 레키드 벤카이저 엘엘씨 초음파 표면 처리 장치 및 방법
US8428751B2 (en) 2010-03-18 2013-04-23 Covidien Lp Electrode delivery system
JP5845564B2 (ja) * 2010-10-20 2016-01-2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静電噴霧装置
US8931713B2 (en) * 2010-11-09 2015-01-13 Dispensing Dynamics International Dispensing system for odor control
CN102601008B (zh) * 2011-01-19 2014-05-07 研能科技股份有限公司 液体雾化喷射给药装置
DE102011007359B4 (de) * 2011-04-14 2019-08-0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s Piezoaktors
USD659818S1 (en) 2011-04-28 2012-05-15 S.C. Johnson & Son, Inc. Dispenser
USD661790S1 (en) 2011-07-25 2012-06-12 Majerowski Amelia H Cover for a dispenser
WO2013043684A2 (en) 2011-09-19 2013-03-28 S. C. Johnson & Son, Inc. Spray dispenser
US8965595B2 (en) * 2011-10-17 2015-02-24 Gojo Industries, Inc. Methods for managing power consumption for a hands-free dispenser
WO2013132218A1 (en) 2012-03-06 2013-09-12 Dyson Technology Limited A fan assembly
GB2500005B (en) 2012-03-06 2014-08-27 Dyson Technology Ltd A method of generating a humid air flow
GB2500012B (en) 2012-03-06 2016-07-06 Dyson Technology Ltd A Humidifying Apparatus
GB2500011B (en) * 2012-03-06 2016-07-06 Dyson Technology Ltd A Humidifying Apparatus
GB2500017B (en) 2012-03-06 2015-07-29 Dyson Technology Ltd A Humidifying Apparatus
JP5858384B2 (ja) * 2012-05-07 2016-02-10 株式会社栄光社 液体噴霧装置
US9149553B2 (en) * 2012-05-07 2015-10-06 Hiromi Akitsu Liquid sprayer
US9833533B2 (en) * 2012-09-07 2017-12-05 S.C. Johnson & Son, Inc. Product dispensing system
US9247724B2 (en) 2012-09-07 2016-02-02 S.C. Johnson & Son, Inc. Product dispensing system
US9072885B2 (en) 2012-09-27 2015-07-07 Covidien Lp Systems for hydrating defibrillation electrodes
US9108782B2 (en) 2012-10-15 2015-08-18 S.C. Johnson & Son, Inc. Dispensing systems with improved sensing capabilities
US8807390B2 (en) * 2012-10-23 2014-08-19 S.C. Johnson & Son, Inc. Indication sequence for energy efficient volatile material dispensers
EP2951507A2 (en) 2013-01-29 2015-12-09 Dyson Technology Limited A fan assembly
US20140339337A1 (en) * 2013-05-14 2014-11-20 Serene House International Enterprise Ltd. Automatic aroma sprayer
BR112016015312A2 (pt) * 2013-12-30 2017-08-08 Pernod Ricard Recipiente, aparelho, sistema e método de dispensação de bebida
US9387501B2 (en) * 2014-05-21 2016-07-12 Derrick Gale Flying insect spray apparatus
GB2528704A (en) 2014-07-29 2016-02-03 Dyson Technology Ltd Humidifying apparatus
GB2528708B (en) 2014-07-29 2016-06-29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CN105311717B (zh) * 2014-08-01 2019-04-05 心诚镁行动医电股份有限公司 可携式超音波雾化器及其置药结构
CN104491961A (zh) * 2015-01-13 2015-04-08 江苏怡龙医疗科技有限公司 微型液体雾化器
CN105903591B (zh) * 2015-02-24 2018-08-03 拉瓦沃希股份公司 高压喷水机
US9539355B2 (en) 2015-05-05 2017-01-10 Ming Jen Hsiao Aroma diffuser
CN113952494A (zh) 2015-11-02 2022-01-21 普拉辛兹有限公司 气味分配器
CA3004774A1 (en) * 2015-11-13 2017-05-18 Savvy Inc. Fragrance dispenser and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101644769B1 (ko) * 2016-02-15 2016-08-01 이상혁 미스트 발생신호모듈 또는 피부수분량 신호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미스트 발생장치
JP2017149125A (ja) * 2016-02-27 2017-08-31 俊寛 倉見 指先加湿器
CN108906368B (zh) * 2016-06-02 2019-10-29 舟山市众享思华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喷雾器罐
CN106092181B (zh) * 2016-06-03 2018-08-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热水器及其检测装置及方法
TWM538417U (zh) * 2016-12-08 2017-03-21 Vida Int Inc 隱藏導電構造之液體噴霧裝置
CN109834006A (zh) * 2017-11-27 2019-06-04 广西明福科技有限公司 一种球型超声波雾化器
US10850690B2 (en) 2018-01-17 2020-12-01 S. C. Johnson & Son, Inc. Electronic devices for use in a vehicle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CN109954606A (zh) * 2019-03-11 2019-07-02 熊昌海 一种园林行道树智能喷白推车
WO2020232285A1 (en) 2019-05-16 2020-11-19 Dispensing Dynamics International, Inc. Fragrance dispensers and methods
KR102265543B1 (ko) * 2019-05-27 2021-06-15 김민성 스프레이 캔 자동분사장치
US11407000B2 (en) 2019-09-23 2022-08-09 S. C. Johnson & Son, Inc. Volatile material dispenser
USD936195S1 (en) 2019-10-25 2021-11-16 Xela Innovations, Llc Dispenser
US11089915B2 (en) 2019-10-25 2021-08-17 Xela Innovations, Llc Dispenser for use with refill cartridge
USD1040553S1 (en) 2021-11-15 2024-09-03 Xela Innovations, Llc Dispenser
DE102023120366B3 (de) * 2023-08-01 2024-12-05 SONOSYS® Ultraschallsysteme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Reinigungs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6125A (en) * 1964-03-24 figure
US2704623A (en) * 1955-03-22 Dispensing device
US988804A (en) * 1910-07-08 1911-04-04 William F Moore Container.
US1522796A (en) * 1924-06-02 1925-01-13 Frank C Bartlomie Condiment holder
US1802199A (en) * 1930-02-21 1931-04-21 Fed Tin Company Sifter top for cans or containers
US2185284A (en) * 1934-02-16 1940-01-02 Ralph W Wilson Closure for containers
US1997492A (en) * 1934-04-14 1935-04-09 Philip E Lirio Insecticide dispensing appliance
US2036739A (en) * 1935-06-27 1936-04-07 Albert W Arnold Dispensing container
US2349724A (en) * 1940-08-12 1944-05-23 Welch J Henderson Dual shaker
US2635791A (en) * 1945-07-06 1953-04-21 F N Burt Company Inc Rotary sift-proof dispensing end closure for powder cans
US2679331A (en) * 1952-04-05 1954-05-25 Purex Corp Ltd Dispensing container
US2705171A (en) * 1952-08-26 1955-03-29 Z & W Machine Products Inc Fog spray applicator
US2832514A (en) * 1955-10-04 1958-04-29 Morton Salt Co Container
US2826345A (en) * 1956-06-20 1958-03-11 Niels C Thomsen Jar dispenser cap
US2967643A (en) * 1958-02-25 1961-01-10 Syncro Mist Controls Inc Intermittent valve actuating assembly for atomizing devices
US3235130A (en) * 1963-03-01 1966-02-15 Foley Mfg Company Condiment dispenser
US3317087A (en) * 1964-09-25 1967-05-02 Landis Plastics Inc Holder for flanged parts
US3365106A (en) * 1965-11-19 1968-01-23 Continental Can Co Dispensing container with axially rotary closure for plural dispensing outlets
US3446403A (en) * 1967-01-12 1969-05-27 Anthony W Serio Dispenser
US3658217A (en) * 1970-01-12 1972-04-25 Phillips Petroleum Co Weight-opening dispenser
USD247847S (en) * 1976-06-01 1978-05-09 Owens-Illinois, Inc. Bottle
US4380307A (en) * 1978-11-29 1983-04-19 Dart Industries Inc. Dispensing devices
USD263120S (en) * 1979-08-13 1982-02-23 Certified Chemicals, Inc. Powder dispenser
USD262906S (en) * 1979-09-13 1982-02-02 The Pharmasol Corporation Room dedorant dispenser
US4268285A (en) * 1980-02-11 1981-05-19 Mason Engineering & Designing Corporation Air freshening apparatus
USD268897S (en) * 1980-06-09 1983-05-10 Bristol-Myers Company Bottle
USD267782S (en) * 1980-07-14 1983-02-01 Sterling Drug Inc. Dispensing cap for a container
USD267781S (en) * 1980-07-14 1983-02-01 Sterling Drug Inc. Dispensing cap for a container
USD273093S (en) * 1981-03-19 1984-03-20 Astra-Syntex Scandinavia Aktiebolag Pill dispenser
US4383951A (en) * 1981-08-24 1983-05-17 Woodlets, Inc. Forced flow vapor distribution device
USD278602S (en) * 1982-11-19 1985-04-30 Florence Rosenstein Plastic threaded cover for a container
DE3300304A1 (de) * 1983-01-07 1984-07-12 Henkel KGaA, 4000 Düsseldorf Drehverschlussdeckel fuer schuettgutbehaelter
USD283479S (en) * 1983-03-03 1986-04-22 Dart Industries Inc. Condiment shaker or the like
US4702418A (en) * 1985-09-09 1987-10-27 Piezo Electric Products, Inc. Aerosol dispenser
DE3627222A1 (de) * 1986-08-11 1988-02-18 Siemens Ag Ultraschall-taschenzerstaeubergeraet
USRE37634E1 (en) * 1986-08-25 2002-04-09 Weatherchem Corporation Two-flap closure
US4723693A (en) * 1986-10-02 1988-02-09 Dart Industries, Inc. Double hinging cap
US4826083A (en) * 1986-12-08 1989-05-02 Vanderjagt John A Direct injection fluid sprayer
US4795883A (en) * 1987-07-08 1989-01-03 Environmental Fragrance Technologies, Ltd. Aroma generating apparatus and driver circuit
JPH01151860U (ko) * 1988-01-20 1989-10-19
US4925067A (en) * 1988-06-30 1990-05-15 Phoenix Closures, Inc. Dispenser closure
US5086952A (en) * 1988-09-12 1992-02-11 Diversey Corporation Detergent container
US4898292A (en) * 1989-01-17 1990-02-06 J. L. Clark, Inc. Container closure with hinged flap
US6540154B1 (en) * 1991-04-24 2003-04-01 Aeroge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fluid feed to an aerosol generator
US5183171A (en) * 1991-08-23 1993-02-02 J. L. Clark, Inc. Closure with dispensing fitment and screw-on cap
WO1993020949A1 (en) * 1992-04-09 1993-10-28 Omron Corporation Ultrasonic atomizer, ultrasonic inhal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5407107A (en) * 1992-04-29 1995-04-18 Sealright Co., Ltd. Dispenser closure
US5281401A (en) * 1992-05-08 1994-01-25 Vaportek, Inc. Vapor dispensing system
US5487494A (en) * 1992-11-19 1996-01-30 Robbins, Iii; Edward S. Dispensing cap with internal measuring chamber and selectively useable sifter
US5452711A (en) * 1992-12-24 1995-09-26 Exar Corporation Small form factor atomizer
US5383582A (en) * 1994-03-18 1995-01-24 Weatherchem Corporation Sift-resistant dispensing closure
AU126639S (en) * 1994-03-21 1996-05-07 Johnson & Johnson Consumer Products Inc Combined bottle and cap
US5671884A (en) * 1995-07-31 1997-09-30 D.B. Smith & Co., Inc. Backpack sprayer with an expandable accumulator chamber
US5673825A (en) * 1995-11-29 1997-10-07 Bobson Hygiene International Inc. Holder for holding a deodorant bottle therein
GB9604065D0 (en) * 1996-02-27 1996-05-01 Medix Ltd A nebuliser
US5601213A (en) * 1996-05-02 1997-02-11 Daniello; Jennifer J. Container lid with quantity measures
US5947171A (en) * 1997-01-30 1999-09-07 American Cyanamid Company Valve assembly for use with containers in a closed application system
USD403963S (en) * 1997-05-20 1999-01-12 Carnaudmetalbox (Holdings) Usa, Inc. Container
US5857620A (en) * 1997-07-14 1999-01-12 The Scott Fetzer Company Liquid dispenser with integral wick/emanator assembly
US5875968A (en) * 1997-07-18 1999-03-02 S. C. Johnson & Son, Inc. Liquid air freshener dispenser device with nonporous capillary wicking function
US5884808A (en) * 1997-08-21 1999-03-23 Technical Concepts, L.P. Material dispensing method and apparatus having display feature
IL122770A0 (en) * 1997-12-25 1998-08-16 Gotit Ltd Automatic spray dispenser
US6039212A (en) * 1998-02-20 2000-03-21 Ccl Industries Inc. Aerosol dispenser
US6036108A (en) * 1998-07-23 2000-03-14 Bobson Hygiene International Inc. Automatic liquid spraying device
US6009567A (en) * 1998-10-06 2000-01-04 Waterbury Companies, Inc. Inline sanitary conditioning system
JP3312216B2 (ja) * 1998-12-18 2002-08-05 オムロン株式会社 噴霧装置
US6378780B1 (en) * 1999-02-09 2002-04-30 S. C. Johnson & Son, Inc. Delivery system for dispensing volatiles
AU140335S (en) * 1999-02-13 2000-04-06 Crown Cork & Seal Tech Corporation A container
USD439843S1 (en) * 1999-02-26 2001-04-03 Jorge Dalmau Combined bottle and cap
WO2000053301A1 (en) * 1999-03-12 2000-09-14 Microscent,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localized delivery of scented aerosols
USD421910S (en) * 1999-04-09 2000-03-28 Mistic Brands Inc. Combined bottle and cap
USD437230S1 (en) * 1999-04-29 2001-02-06 Crown Cork & Seal Technologies Corporation Container
US6216925B1 (en) * 1999-06-04 2001-04-17 Multi-Vet Ltd. Automatic aerosol dispenser
USD438785S1 (en) * 1999-09-28 2001-03-13 L'oreal S.A. Bottle
JP4198850B2 (ja) * 1999-11-29 2008-12-17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液体噴霧装置
US6202902B1 (en) * 1999-11-12 2001-03-20 Robert Starr Powder-containing sifter bottle
EP1252400A4 (en) * 2000-02-04 2005-07-06 Waterbury Co Inc INTELLIGENT DISTRIBUTOR SYSTEM BASIS REQUEST
DE60019260T2 (de) * 2000-04-01 2006-02-09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zeitgesteuerter Spannungsmessung über einer Vorrichtung in einem Ladungskreis eines piezoelektrischen Element
JP3793986B2 (ja) * 2000-06-15 2006-07-05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超音波霧化装置
US6341732B1 (en) * 2000-06-19 2002-01-29 S. C. Johnson & S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control of liquid flow in a vibratory atomizing device
US20040028551A1 (en) * 2000-07-27 2004-02-12 Kvietok Frank Andrej Methods for emitting volatile compositions
US20040033171A1 (en) * 2000-07-27 2004-02-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ystems and devices for emitting volatile compositions
US6446880B1 (en) * 2000-08-02 2002-09-10 S.C. Johnson & Son, Inc. Replaceable reservoir for an atomizing apparatus
DE60003682T2 (de) * 2000-08-30 2004-05-27 Ing. Erich Pfeffer Gmbh Miniatur-Spender zur Abgabe von Düften in verschiedenen Anwendungsbereichen und Umgebungen
JP4848581B2 (ja) * 2000-09-26 2011-12-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脱臭・殺菌・除菌・防カビ装置
US20040007787A1 (en) * 2000-12-05 2004-01-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icles, systems, and methods for dispensing volatile materials
US7160515B2 (en) * 2000-12-05 2007-01-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Volatile material-containing article
US7691336B2 (en) * 2000-12-05 2010-04-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vices and systems for dispensing volatile materials
DE10062630A1 (de) * 2000-12-15 2002-08-29 Bartels Mikrotechnik Gmbh Beduftungsverfahren
KR200228292Y1 (ko) * 2001-01-09 2001-06-15 장태순 용기 내용물 이외에 별도의 복용제제를 포장할 수 있는포장병용 뚜껑
DE10102846B4 (de) * 2001-01-23 2012-04-12 Pari Pharma Gmbh Aerosolgenerator
JP3866521B2 (ja) * 2001-01-31 2007-01-10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描画装置
CN1246074C (zh) * 2001-05-22 2006-03-22 通达商业集团国际公司 用于分配定制的液态产品的手持式喷墨分配系统和方法
US6857580B2 (en) * 2001-12-03 2005-02-22 S.C. Johnson & Son, Inc. Plug-in type liquid atomizer
US6691901B2 (en) * 2001-12-14 2004-02-17 Gateway Plastics, Inc. Closure for a container
USD469698S1 (en) * 2001-12-19 2003-02-04 Colgate Palmolive Co. Bottle
CA2472644C (en) * 2002-01-07 2013-11-05 Aerogen, Inc. Devices and methods for nebulizing fluids for inhalation
USD471460S1 (en) * 2002-01-10 2003-03-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ottle with cup
WO2003068412A1 (en) * 2002-02-11 2003-08-21 Sara Lee/De N.V. Liquid spray-head, apparatus comprising a liquid spray-head and container therefore
US7687744B2 (en) * 2002-05-13 2010-03-30 S.C. Johnson & Son, Inc. Coordinated emission of fragrance, light, and sound
US6843430B2 (en) * 2002-05-24 2005-01-18 S. C. Johnson & Son, Inc. Low leakage liquid atomization device
USD471087S1 (en) * 2002-06-19 2003-03-04 S. C. Johnson & Son, Inc. Aerosol dispenser
USD470402S1 (en) * 2002-06-26 2003-02-18 S.C. Johnson & Son, Inc. Aerosol container with actuator overcap
EP1407790A1 (en) * 2002-10-10 2004-04-14 Spy Marketing Sdn. Bhd. Improved olfactory stimulating material dispensing apparatus
US6706988B1 (en) * 2002-11-08 2004-03-16 S. C. Johnson & Son, Inc. Switch actuating mechanism and electrically controlled device using same
US6981613B1 (en) * 2002-12-06 2006-01-03 Cullen Kamisugi Portable pressurized liquid storage system
WO2004073875A2 (en) * 2003-02-18 2004-09-02 Dekko Technologies, Inc. Method of discharging an aerosolized fluid
ES2378163T3 (es) * 2003-08-22 2012-04-09 Project 088, Llc Aspersor ambulante con estación de acoplamiento de válvula de suministro de agua automática incorporada
US6923777B2 (en) * 2003-10-01 2005-08-02 Multivet International Inc. Bandage cool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CA2555031C (en) * 2004-02-03 2010-02-02 S. C. Johnson & Son, Inc. Device providing coordinated emission of light and volatile active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47783B2 (en) 2005-07-19 2023-05-16 Juul Labs, Inc. Devices for vaporization of a substance
US11612702B2 (en) 2007-12-18 2023-03-28 Juul Labs, Inc. Aerosol devices and methods for inhaling a substance and uses thereof
KR20140090138A (ko) * 2011-08-16 2014-07-16 플룸, 인크. 저온 전자 증발 장치 및 방법
KR20190105123A (ko) * 2011-08-16 2019-09-11 쥴 랩스, 인크. 저온 전자 증발 장치 및 방법
KR20210002364A (ko) * 2011-08-16 2021-01-07 쥴 랩스, 인크. 저온 전자 증발 장치 및 방법
US11904089B2 (en) 2011-08-16 2024-02-20 Juul Labs, Inc. Devices for vaporization of a substance
US11241044B2 (en) 2018-07-23 2022-02-08 Juul Labs, Inc. Airflow management for vaporizer device
US12256784B2 (en) 2018-10-17 2025-03-25 Juul Labs, Inc. Cartridge for a vaporizer device
US11611223B2 (en) 2018-10-19 2023-03-21 Juul Labs, Inc. Charging adapter for vaporize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35555A1 (en) 2007-10-11
CA2647897A1 (en) 2007-10-25
JP5336355B2 (ja) 2013-11-06
MX2008013122A (es) 2008-12-12
TW200800404A (en) 2008-01-01
CN101466480A (zh) 2009-06-24
JP2014036954A (ja) 2014-02-27
EP2004334B1 (en) 2018-11-14
JP2009533216A (ja) 2009-09-17
EP2004334A1 (en) 2008-12-24
WO2007120565A1 (en) 2007-10-25
CA2647897C (en) 2012-01-24
JP5752753B2 (ja) 2015-07-22
BRPI0709992A2 (pt) 2011-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0954A (ko) 전기식 에어로졸 기구
CA2514555C (en) Point of purchase fragrance sampling
EP2320959B1 (en) Diffusion device with odor sensor
JP5411707B2 (ja) 拡散装置
AU2023203075B2 (en) Volatile material dispenser
JP5221658B2 (ja) 傾斜作動式バルブステム作動装置
JP4918049B2 (ja) スプレ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1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