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09042U - 안전발판 - Google Patents

안전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9042U
KR20090009042U KR2020080002928U KR20080002928U KR20090009042U KR 20090009042 U KR20090009042 U KR 20090009042U KR 2020080002928 U KR2020080002928 U KR 2020080002928U KR 20080002928 U KR20080002928 U KR 20080002928U KR 20090009042 U KR20090009042 U KR 2009000904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support
work
scaffolding
scaffol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29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선
Original Assignee
김종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선 filed Critical 김종선
Priority to KR20200800029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9042U/ko
Publication of KR200900090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042U/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강판을 절곡하여 복수 개의 배수로 및 지지면이 형성되고, 박판 아연도금 강판의 재질로 형성되며, 작업자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표면에 다수의 엠보싱홀이 형성되고, 설치작업 시 이동 및 고정이 용이하도록 작업홀이 형성된 안전발판 바닥체;와 상기 안전발판 바닥체의 폭(W) 방향의 양쪽 끝단에 구비된 토우 플레이트;와 상기 안전발판 바닥체와 결합되어 안전발판 바닥체를 지지하는 작업지지대; 및 복수 개의 안전발판을 결합시키고 작업지지대에 의해 고정되는 체결부를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면에는 길이(L) 방향의 양 끝단에 보강엠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발판이 개시된다.
개시된 안전발판에 의하면, 지지면의 표면에 장공 형태의 요철이 형성되어 미끄럼 현상이 방지되며, 작업공구 및 기타 물건의 추락을 예방하는 토우 플레이트가 탈착 가능하여 폭(W) 방향 뿐만 아니라, 길이(L) 방향으로 다수 개의 안전발판의 연장설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안전발판, 받침, 비계, 작업대, 강판

Description

안전발판{Safety Footplate}
본 고안은 작업용으로 사용되는 안전발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작업자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면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며, 작업자와 작업공구 및 기타 물건의 추락을 방지하는 토우 플레이트의 탈착 가능하여, 폭(W) 방향 및 길이(L) 방향으로 연장 설치가 가능한 안전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발판은 건축물 축조시 또는 조선소에서의 조선작업시 가설하는 작업지지대(비계) 등의 상부에 부설하여, 작업자가 그 상부에서 발을 딛고 작업할 수 있도록 작업공간을 확보해줌과 동시에 작업자의 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이러한 안전발판은 다양한 형태와 구성으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가장 일반적인 형태와 구성은 일정한 길이와 폭을 갖는 평판부의 상부면에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의 외주연이 돌출되도록 엠보싱홀이 형성됨으로써, 작업자가 발을 딛을 때에 상기 엠보싱홀의 돌출부와 작업자의 발 바닥면이 마찰되어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안전발판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의 위치에 설치됨에 따라, 작업자가 상기 평판부에서 발을 헛디디게 되거나 평판부 상의 작업공구 및 장비가 미끄러져서, 상기 작업자 또는 작업공구 및 장비가 안전발판의 아래로 추락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평판부의 폭 방향(W)의 양 끝단이 일정높이로 상향 절곡되어 형성된 토우 플레이트(Toe-Plate;추락방지대)가 구비되어, 상기 작업자 또는 작업공구 및 장비가 미끄러지더라도 상기 토우 플레이트의 일측부에 걸리게 되어 추락을 예방할 수 있도록 사용되고 있다.
또한, 건설현장 및 조선 작업장에서의 다양한 작업공간의 형태로 인하여 안전발판이 사용됨에 있어서, 작업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작업공간의 형태에 맞추어, 다수 개의 안전발판이 서로 연결되어 다양한 형태로 연장 설치되어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안전발판의 경우, 다수 개의 안전발판을 폭(W)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장 설치는 가능하나, 폭(W) 방향으로 형성된 토우 플레이트로 인하여 상기 안전발판을 길이(L)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유발된다.
한편, 종래의 안전발판을 이동 및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1인 또는 2인이 상기 안전발판의 외주단부를 지지하며 들어서 운반해야 하는데, 여기서 상기 안전발판은 강판을 절단 가공하여 성형되었기 때문에 안전발판의 외주단부는 날카로운 절단면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절단면을 매끄럽게 연마하는 별도의 가공과정이 없을 경우 안 전발판의 운반 및 설치 작업시, 상기 절단면에 의해 작업자가 쉽게 상해를 입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안전발판의 폭(W) 방향으로 형성된 토우 플레이트가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다수 개의 안전발판을 길이(L) 방향으로 연장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안전발판 바닥체의 폭(W) 방향의 양 끝단은 절단면이 절곡되도록 형성되며, 길이(L) 방향의 양 끝단에는 "ㄷ"자형의 안전커버에 의해 절단면이 가려지도록 결합됨으로써, 상기 안전발판 바닥체의 외주단부에 형성된 절단면에 의한 작업자의 부상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전발판 바닥체의 지지면에는 장갑을 착용한 작업자의 손가락이 삽입 가능하도록, φ21 내지 φ24의 범위 내의 구경을 갖는 다수 개의 작업홀이 구비되어, 작업자가 안전발판을 설치 및 운반하고자 할 때, 상기 작업홀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강판을 절곡하여 복수 개의 배수로 및 지지면이 형성되고, 박판 아연도금 강판의 재질로 형성되며, 작업자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표면에 다수의 엠보싱홀이 형성되고, 설치 작업시 이동 및 고정이 용이하도록 작업홀이 형성된 안전발판 바닥체;와 상기 안전발판 바닥체의 폭(W) 방향의 양쪽 끝단에 구비된 토우 플레이트;와 상기 안전발판 바닥체와 결합되어 상기 안전발판 바닥체를 지지하는 작업지지대; 및 복수 개의 상기 안전발판을 결합시키고, 작업지지대에 의해 고정되는 체 결부를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면에는 길이(L) 방향으로 보강엠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배수로는, 복수 개의 체결 및 배수구를 구비하여, 상기 작업지지대에 상기 안전발판 결합하거나 복수 개의 상기 안전발판을 서로 연결하여 연장 결합시 상기 체결부가 삽입되어 체결되며, 상기 배수로에 유입되는 물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상기 작업홀은, 구경의 크기가 φ21 내지 φ24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엠보싱홀은 장공(長孔)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안전발판 바닥체는 폭(W) 방향의 양쪽 끝단이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토우 플레이트는 안전발판 바닥체의 폭(W) 방향의 양쪽 끝단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안전발판에 의하면,
첫째, 안전발판 바닥체의 폭(W) 방향의 양쪽 끝단에 구비된 토우 플레이트는 탈착이 가능하여, 다수 개의 안전발판을 폭(W) 방향 또는 길이(L) 방향으로 연장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안전발판 바닥체의 지지면에는 직경의 크기가 φ21 내지 φ24인 다수 개의 작업홀이 형성되어, 작업자가 장갑을 착용한 상태로 손가락을 상기 작업홀에 삽입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작업자의 편의가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셋째, 안전발판 바닥체의 폭(W) 방향의 양 끝단은 절곡되도록 형성되며, 길이(L)) 방향의 양 끝단에는 안전커버가 결합되도록 구비되어, 안전발판 바닥체의 외주단부의 날카로운 절단면에 의한 작업자의 부상이 방지된다.
넷째, 안전발판 바닥체의 지지면 상부에 형성된 엠보싱홀은, 장공(長孔) 형태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작업자의 발바닥면과 상기 엠보싱홀의 마찰력이 증가됨으로써, 미끄럼 방지 효과가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안전발판 바닥체의 지지면 상부에는 일정한 깊이로 오목하고 길게 패인 라인 형태로 형성된 보강엠보가 지지면의 폭(W)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면의 강도가 보강됨으로써 상기 안전발판 바닥체의 휨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안전발판이 건설현장의 외벽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건설현장에서 외벽(171)과 관련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이를 위하여 상기 외벽(171)의 외측으로 지지빔(Beam;170)을 설치하고, 여러 높이에 수평으로 작업 지지대(140)를 설치하며, 그 위에 안전발판 바닥체(110)를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안전발판 바닥체(110)는 복수 개의 지지면(112)과 배수로(111)로 이루어지는 굴곡된 형태를 형성되어, 비나 눈이 내리는 경우 또는 작업으로 인해 오수가 발생되는 경우에 상기 배수로(111)를 통하여 배수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토우 플레이트(120)가 구비된다.
먼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절발판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발판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발판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 및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발판 바닥체와 체결부 및 작업지지대의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발판(100)은 안전발판 바닥체(110), 토우 플레이트(120), 안전커버(130), 작업지지대(140), 체결부(150) 및 보강엠보(16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안전발판 바닥체(110)는 박판 아연도금의 재질로 형성된 강판을 절곡하여 복수 개의 배수로(111) 및 지지면(112)이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지지면(112)에는, 작업자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행과 다수열의 일정한 배열로 마찰돌기가 상향으로 돌출된 엠보싱홀(113)이 형성되며, 안전발판(100)의 설치 작업시 운반 및 고정이 용이하도록 복수 개의 작업홀(114)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엠보싱홀(113)은, 작업자가 안전발판(100)을 딛고 작업을 실시할 때 작업자의 발바닥면과의 마찰력이 극대화되어,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장공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엠보싱홀(113)의 구경의 크기 및 형성되는 수량은 상기 지지면(112)의 강도 또는 경도를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발판 바닥체(110)의 지지면(112)에는 작업홀(114)이 형성되어, 안전발판(100)의 설치 작업시 상기 작업홀(114)에 작업자의 손가락이 삽입되어, 안전발판 바닥체(110)를 용이하게 들어 올릴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작업홀(114)은 작업자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구경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작업홀(114)의 구경의 크기가 φ21 미만일 경우에는, 작업용 장갑을 착용한 손가락이 삽입되지 않으며, 상기 구경의 크기가 φ24 초과일 때에는 상기 지지면(112)의 강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작업홀(114)의 구경의 크기는, 지지면(112)의 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작업자의 작업용 장갑을 착용한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도록, φ21 내지 φ24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안전발판 바닥체(110)는 아연도금 강판을 절단 공구를 이용하여 가공된 것이기 때문에, 안전발판 바닥체(110)의 외주단부에는 절단면이 날카롭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절단면을 매끄럽게 연마하는 가공공정이 없을 경우, 상기 안전발판(100)을 사용하는 작업자가 이로 인해 상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안전발판 바닥체(110)의 폭 방향(W ; 도 2 참조)의 양 끝단은 도 3의 우측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면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상기 안전발판 바닥체(110)의 길이 방향(L ; 도 2 참조)의 양 끝단에 결합되는 안전커버(130)는, 그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전발판 바닥체(110)의 길이 방향의 절단면이 끼워지도록 결합되며, 상기 안전커버(130)가 상기 길이 방향의 절단면을 감싸 줌으로써,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안전발판 바닥체(110)를 형성하는 재질인, 상기 박판 아연도금 강판은 얇은 철판에 융용된 아연(Zn)을 도금한 것으로, 아연은 철보다 이온화 경향이 크므로 표면의 아연이 일부 벗겨져 철이 노출되어도 전기학적으로 내부를 보호하는 희생적 방식특성이 있을 뿐 아니라, 강재의 강도 및 경도를 유지하므로, 내식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여 외부에 설치되는 구조물인 안전발판(100)을 제조하는 데 적합하 다.
한편, 상기 안전발판 바닥체(110)의 폭 방향의 양쪽 끝단에 형성된 상기 절곡된 부위의 상부에는, 단면이 "L" 형상을 갖는 토우 플레이트(120)가 구비된다.
상기 토우 플레이트(120)는, 안전발판(100)의 상부에서 작업자가 미끄러지거나 발을 헛디뎠을 경우, 또는 안전발판(100)의 지지면(112)에 놓여진 작업공구 및 장비가 미끄러질 경우에 작업자나 작업공구 및 장비 등이 상기 토우 플레이트(120)에 걸려서 추락하지 않도록 추락방지대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토우 플레이트(120)는 안전발판 바닥체(110)의 상기 절곡된 부위와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복수 개의 안전발판(100)을 길이 방향으로 연장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결합되는 형태에 따라 상기 토우 플레이트(120)를 선택적으로 탈거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전발판 바닥체(11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면 상부에는, 도 3의 중앙의 확대도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정한 깊이로 오목하고 길게 패인 라인 형태로 형성된 보강엠보(160)가 구비된다.
상기 보강엠보(160)는 안전발판(100)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압박되는 외부 압력에 의해 상기 지지면(112)이 휘어지지 않도록 지지면(112)의 폭 방향으로 지지되는 강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전발판 바닥체(110)의 하부에는, 안전발판 바닥체(110)와 상기 체결부(150)에 의해 결합되어, 안전발판(100)을 지지하는 작업지지대(14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작업지지대(140)는 작업공간(건설현장 또는 조선 작업장 등)의 형태, 높이, 넓이 및 작업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작업지지대(140)는 안전발판(100)이 갖는 강도 및 경도를 고려하여 2개 이상의 수량이 구비되어, 안전발판 바닥체(1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로(111)에는 폭 방향으로 복수 개의 체결 및 배수구(115)가 형성되어, 상기 작업지지대(140)에 안전발판(100)을 고정하거나, 복수 개의 안전발판(100)을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설치하고자 할 때, 체결 및 배수구(115)에 상기 체결부(150)가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상기 안전발판(100)과 작업지지대(140)가 견고히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배수로(111)를 따라 흐르는 안전발판 바닥체(110) 상의 오수는 상기 체결 및 배수구(115)를 통해 하부로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150)는 고정용 유볼트(U-bolt;151)와 고정용 평철(152) 및 결합너트(153)가 상호 결합되어 작업지지대(140)와 안전발판 바닥체(110)가 고정되도록 체결시킨다.
여기서, 상기 안전발판 바닥체(110)는 작업지지대(140)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용 유볼트(151)의 양 끝단이 두 개의 체결 및 배수구(115)에 각각 삽입되며, 이때, 삽입된 상기 양 끝단의 중앙에는 상기 작업지지대(140)가 위치되도록 한다
이후, 작업지지대(140)의 하부로 노출된 상기 고정용 유볼트(151)의 상기 양 끝단에는 고정용 평철(152)과 결합너트(153)가 각각 체결됨으로써, 상기 안전발판 바닥체(110)는 상기 작업지지대(140)에 견고히 지지되도록 고정결합되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안전발판(100)이 연장설치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5a는 안전발판 바닥체(110)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b는 안전발판 바닥체(110)가 폭 방향으로 연장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면, 폭 방향으로 또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의 안전발판(100,100')을 연장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하나의 안전발판(100,)의 지지면(112) 및 배수로(111)와 다른 안전발판(100')의 지지면(112') 및 배수로(111')가 겹쳐지도록 포갠 후, 상기 체결부(150)가 체결 및 배수구(115)를 관통하여 결합(도 3 참조)되도록 하여, 상기 작업지지대(140)에 상기 복수 개의 안전발판(100,100')가 고정되도록 고정시킨다.
그리고, 연장 설치된 상기 안전발판(100,100')의 폭 방향의 양끝단에는 작업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토우 플레이트(120)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안전발판이 건설현장의 외벽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발판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발판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발판 바닥체와 작업지지대 및 체결부의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및
도 5a는 복수 개의 안전발판 바닥체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복수 개의 안전발판 바닥체가 폭 방향으로 연장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안전발판 110...안전발판 바닥체
111...배수로 112...지지면
113...엠보싱홀 114...작업홀
115...체결 및 배수구 120...토우 플레이트
130...안전커버 140...작업지지대
150...체결부 160...보강엠보

Claims (6)

  1. 강판을 절곡하여 복수 개의 배수로 및 지지면이 형성되고, 박판 아연도금 강판의 재질로 형성되며, 작업자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표면에 다수의 엠보싱홀이 형성되고, 설치 작업시 이동 및 고정이 용이하도록 작업홀이 형성된 안전발판 바닥체;와
    상기 안전발판 바닥체의 폭(W) 방향의 양쪽 끝단에 구비된 토우 플레이트;와
    상기 안전발판 바닥체와 결합되어 상기 안전발판 바닥체를 지지하는 작업지지대; 및
    복수 개의 상기 안전발판을 결합시키고, 상기 작업지지대에 의해 고정되는 체결부를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지지면에는 길이(L) 방향으로 보강엠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발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는,
    복수 개의 체결 및 배수구를 구비하여, 상기 작업지지대에 상기 안전발판 결합하거나 복수 개의 상기 안전발판을 서로 연결하여 연장 결합시 상기 체결부가 삽입되어 체결되며, 상기 배수로에 유입되는 물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발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홀은, 구경의 크기가 φ21 내지 φ24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발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홀은, 장공(長孔)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발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발판 바닥체는, 폭(W) 방향의 양쪽 끝단이 절곡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발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우 플레이트는, 상기 안전발판 바닥체의 폭(W) 방향의 양쪽 끝단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발판.
KR2020080002928U 2008-03-05 2008-03-05 안전발판 Ceased KR2009000904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928U KR20090009042U (ko) 2008-03-05 2008-03-05 안전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928U KR20090009042U (ko) 2008-03-05 2008-03-05 안전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042U true KR20090009042U (ko) 2009-09-09

Family

ID=41297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2928U Ceased KR20090009042U (ko) 2008-03-05 2008-03-05 안전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9042U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22533A (zh) * 2016-12-26 2017-03-22 广东运达科技股份有限公司 大跨度无模数附着式升降脚手架
KR20170001386U (ko) * 2015-10-07 2017-04-18 주식회사 충일산업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
KR102490120B1 (ko) * 2022-07-29 2023-01-18 (주)이알코리아 교량 점검시설의 인서트 보강형 점검계단 및 그 시공방법
KR102539022B1 (ko) * 2022-09-02 2023-05-31 이성권 고소 작업대 안전 발판
KR20230140702A (ko) * 2022-03-30 2023-10-10 제이에이치에이 주식회사 곤도라 확장용 발판
KR102629545B1 (ko) * 2023-03-29 2024-01-25 장종호 논 슬립 기능이 특화된 대칭 패턴형 안전발판 및 안전발판 시설 구조
KR102638109B1 (ko) * 2022-12-09 2024-02-21 주식회사 아텍스에너지 태양광 설치용 경사지붕 안전발판 조립체
KR20250000335A (ko) * 2023-06-26 2025-01-03 주식회사 고려엔센 안전 발판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386U (ko) * 2015-10-07 2017-04-18 주식회사 충일산업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
CN106522533A (zh) * 2016-12-26 2017-03-22 广东运达科技股份有限公司 大跨度无模数附着式升降脚手架
KR20230140702A (ko) * 2022-03-30 2023-10-10 제이에이치에이 주식회사 곤도라 확장용 발판
KR102490120B1 (ko) * 2022-07-29 2023-01-18 (주)이알코리아 교량 점검시설의 인서트 보강형 점검계단 및 그 시공방법
KR102539022B1 (ko) * 2022-09-02 2023-05-31 이성권 고소 작업대 안전 발판
KR102638109B1 (ko) * 2022-12-09 2024-02-21 주식회사 아텍스에너지 태양광 설치용 경사지붕 안전발판 조립체
KR102629545B1 (ko) * 2023-03-29 2024-01-25 장종호 논 슬립 기능이 특화된 대칭 패턴형 안전발판 및 안전발판 시설 구조
KR20250000335A (ko) * 2023-06-26 2025-01-03 주식회사 고려엔센 안전 발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9042U (ko) 안전발판
KR101336729B1 (ko) 조선·해양 플랜트 작업발판용 발끝막이판
EP1882066B1 (en) Bracket for roof equipment
EP1852562B1 (en) Bracket for roof equipment and roof protection system with that bracket
US9551159B2 (en) Board-free roof jack clip and method of use
AU2002249004B2 (en) Ladder support bracket
US5407025A (en) Gripping device for timber
KR200428125Y1 (ko) 비계용 발판 구조
US7182548B1 (en) One-piece safety cleat
KR200368610Y1 (ko) 안전발판
KR101278256B1 (ko) 발 디딤판이 부착된 삽
GB1596084A (en) Slip-resistant walk-way members
KR101187982B1 (ko) 작업용 안전발판
KR200483677Y1 (ko)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
JP5139710B2 (ja) スレート屋根用足場板
KR101919047B1 (ko) 그레이팅 결합구
KR102784215B1 (ko) 안전 발판
JP2011058254A (ja) 屋根用安全金具
KR20090124512A (ko) 족장
KR20100112793A (ko) 논슬립 부착형 건축용 안전작업 발판
KR200328576Y1 (ko) 전주용 안전발판
JP3126396U (ja) 防滑機能を有する身体支持具
JP3121948U (ja) 屋根作業の足場防滑器具
JP2011231496A (ja) 梯子用滑り止め具と梯子
KR20230000259U (ko) 그레이팅 미끄럼 방지용 안전발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8030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00218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00429